KR19980018727A - 일회용 기저귀 (disposable diaper)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isposable di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727A
KR19980018727A KR1019970039129A KR19970039129A KR19980018727A KR 19980018727 A KR19980018727 A KR 19980018727A KR 1019970039129 A KR1019970039129 A KR 1019970039129A KR 19970039129 A KR19970039129 A KR 19970039129A KR 19980018727 A KR19980018727 A KR 19980018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waist region
region
thin thickness
cr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003B1 (ko
Inventor
요시히사 후지오카
루미 야마키
요시오 오노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810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88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846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9539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1998001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부분에 기저귀의 세로방향에 선형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를 설치한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저귀는 기저귀의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상기 얇은 두께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여 프런트 개더를 형성한다. 상기 프런트 개더는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 수용 패드의 외형 또는 가랑이 사이의 형상에 맞추어 변형하고, 소변 수용 패드를 눌러서, 가랑이 사이에 탄성적으로 꼭 맞는다. 따라서, 소변 수용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소변 또는 대변등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의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서로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다른 고정부가 설치되어,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배열 피치가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배열 피치 보다 크고, 상기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폭치수가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보다 크다. 따라서, 몸에 착용하는 경우, 기저귀의 웨이스트 둘레의 내경이 작고, 허리 둘레의 내경이 커져도, 고정부와 다른 고정부를 고정할 수 있으며, 기저귀를 몸에 꼭 맞는 상태로 착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착용자의 체형에 꼭 맞고, 특히 소변 수용 패드(protector against incontinence)를 사용하는 경우, 소변 수용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소변 등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는 이면 시이트, 전면 시이트 및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면 시이트는 외측으로 향하는 것으로, 소변이 외측으로 새지 않도록 불투액성이고 또한 통기성이 좋은 수지 시이트로 형성된다. 또한, 전면 시이트는 피부측으로 향하여 직접 피부와 접하며, 또한 소변이 부여되는 면이 된다. 이 때문에, 소변 등의 수분을 흡수 코어에 투과하도록 투액성의 부직포나 연질의 다공성 시이트 등의 피부에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흡수 코어로는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중합체(super absorbent polymers)와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흡수 코어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성형되는데, 예를 들어 모래시계 형(sand-glass like form)으로 절단되어 성형되고 있다. 이 성형후의 흡수 코어가 이면 시이트와 전면 시이트 사이에 개재된다. 이면 시이트 및 전면 시이트는 흡수 코어와 거의 같은 형상이며, 흡수 코어보다 크게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이면 시이트 및 전면 시이트는 흡수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양단부에서 고온 용융형 접착제 등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back waist region)이 착용자의 엉덩이에 닿고, 가랑이 영역(crotch region)이 가랑이 사이에 닿으며, 전방 웨이스트 영역(front waist region)이 배쪽에 닿는다. 그리고,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있어서 기저귀의 가로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플랩을 전방으로 당겨서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겹치게 하고,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플랩을 유지 파스너(retaining fastner)를 통해 유지시켜 기저귀를 착용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랑이 영역의 가로방향(폭방향)의 단부에, 기저귀의 세로방향(길이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평탄한 고무가 이면 시이트와 전면 시이트와의 사이에 늘려진 상태로 고온 용융형 접착제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대퇴부에 닿는 개더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저귀가 성인용 기저귀인 경우, 기저귀의 크기는 유아용 기저귀 보다 꽤 크고, 그만큼 기저귀 1개당 사용되는 재료가 많아지므로, 기저귀의 단가가 상승한다. 따라서, 배뇨때마다 기저귀를 교환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소변 수용 패드가 기저귀와 병용하여 배뇨후에 이 소변 수용 패드만을 교환하도록 하고 있다.
소변 수용 패드는 불투액성 수지 시이트 등의 외측 시이트, 부직포 등의 내측 시이트 및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로 이루어지는 시이트형의 적층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적층체의 폭방향의 단부 및 길이방향 단부의 흡수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 외측 시이트와 내측 시이트가 고온 용융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또한, 폭방향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고무등의 탄성체가 외측 시이트와 내측 시이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신장된 상태로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 탄성체에 의해 개더가 형성된다.
이 소변 수용 패드를 착용하는 경우, 시이트형의 적층체는 길이방향의 중앙이 정점이 되도록 원추형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점착부를 통해 적층체의 양단이 접합된다.
남성 착용자가 소변 수용 패드를 착용한 상태로,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의 전면 시이트와 점착부를 점착시켜 기저귀 내에서 소변 수용 패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사용된다.
또한, 동일한 구조의 소변 수용 패드가 여성용 소변 수용 패드로도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적층체의 길이방향을 기저귀의 길이방향에 맞추어, 소변 수용 패드의 외측 시이트와 기저귀의 전면 시이트를 마주 대하여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에 겹치게 한다. 그리고, 소변 수용 패드의 점착부를 기저귀의 전면 시이트에 점착하여, 기저귀 내에서 소변 수용 패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사용된다.
기저귀는 모래시계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의 폭이 전방 웨이스트 영역 및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폭보다 좁다. 그러나, 소변은 주로 가랑이 영역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은 소변을 흡수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폭치수를 필요로한다. 이 때문에, 가랑이 영역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랑이 영역이 가로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착용자의 대퇴부에 의해 눌려 팽창되고,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와 기저귀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기저귀와 소변 수용 패드를 병용하는 경우,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의 전방으로의 팽창 부분에 소변 수용 패드가 위치하기 때문에, 이 소변 수용 패드가 몸에 꽉 눌려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하는 경우, 기저귀 내에서 소변 수용 패드의 위치가 벗어나기 쉽고, 소변 수용 패드에 의해 소변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기저귀의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의 경계 영역에서는 각각의 폭방향의 치수가 극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랑이 영역이 대퇴부에 의해 눌려졌을 때, 가랑이 영역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의 경계 영역의 주로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이 팽창되기 쉽다. 남성용 소변 수용 패드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의 경계 영역의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에 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웨이스트 영역이 팽창되면, 특히 남성의 경우, 기저귀가 소변 수용 패드를 억제하는 힘이 작아져 소변 수용 패드의 위치가 벗어나기 쉽다.
또한, 소변 수용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기저귀를 착용하는 경우, 기저귀와 착용자의 몸과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소변이나 대변 등의 배설물이 옆으로 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설물을 기저귀의 일정한 장소에서 유지할 수 없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이 경우에도,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의 경계 영역의 주로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의 부분이 팽창되기 쉬우며, 이 부분으로부터 배설물이 새기 쉽다.
또한,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가랑이 영역을 거쳐서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이르는 방향을 기저귀의 세로방향으로 하는 경우, 종래에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설치되는 유지 파스너의 세로방향의 배열 피치와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플랩에 설치되어 있는 유지 파스너의 세로방향의 배열 피치가 거의 동일하였다. 그 때문에,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플랩을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표면에 겹쳐 유지 파스너를 서로 유지시켰을 때, 기저귀의 내부는 원통 형상이 된다. 이 원통의 내경의 치수(직경의 치수)는 기저귀의 세로방향에서 거의 같다.
그러나, 사람의 체형은 허리부의 외경 치수보다도 몸통부의 외경 치수(웨이스트 치수)쪽이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유지 파스너를 유지한 상태의 기저귀에서는 그 내경이 허리부의 외경 치수에 맞춰지게 되고, 몸통(웨이스트) 부분에서는 기저귀와 몸과의 사이에 틈이 생긴다. 따라서, 유지 파스너를 유지시켰을 때, 기저귀가 몸통에 꼭 맞지 않고, 몸통에 기저귀가 충분히 조여지지 않아, 기저귀의 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있다. 특히, 성인의 체형은 유아에 비해 허리부의 외경 치수와 몸통부의 외경 치수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성인용 기저귀에서는 몸통부에 기저귀를 충분히 조이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신생아용 또는 유아용 기저귀에 있어서도, 가랑이 사이에 닿는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의 양이 많기 때문에, 기저귀를 몸에 착용하는 경우,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의 팽창이 커진다. 그 때문에, 유지 파스너를 유지시킨 상태의 기저귀가 내경 치수가 균일한 원통 형상이면, 유지 파스너로는 착용자의 몸통 둘레 부분 또는 배 둘레에서 기저귀를 충분히 조이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변형가능하고, 착용자의 몸에 꼭 맞고, 또한 소변 수용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 이 소변 수용 패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의 경계 영역이 착용자의 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기 쉬운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몸통에 확실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한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로서, 도 2(A)는 기저귀의 표면의 전개 평면도이고, 도 2(B)는 기저귀 이면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 또는 도 4의 III-III 선의 단면도로서, 도 3(A)는 수축되지 않은 평면적인 상태를 도시하고, 도 3(B)는 탄성 부재가 수축하여 프런트 개더 G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전개 평면도로서, 도 4(A)는 기저귀 표면의 전개 평면도이고, 도 4(B)는 기저귀 이면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소변 수용 패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A)는 전개도이고, 도 6(B)는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저귀는 흡수 코어의 외측에 이면 시이트가, 내측에 투액성의 전면 시이트가 겹쳐진 적층체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배 쪽에 닿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 엉덩이 쪽에 닿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 및 가랑이 사이에 닿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가랑이 영역을 거쳐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이르는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흡수 코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흡수 코어의 두께를 얇게 한 얇은 두께부가 세로방향에 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에는 이 흡수 코어에 대하여 상기 얇은 두께부를 횡단하는(cross) 방향으로 수축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기저귀의 세로방향의 중심 부분 보다도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에 접한 위치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 부재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는 것은 적어도 전방 웨이스트 영역 및 가랑이 영역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영역과 탄성 부재가 전혀 설치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랑이 영역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쌍방에 얇은 두께부가 설치되는 경우, 가랑이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얇은 두께부와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얇은 두께부가 상기 가랑이 영역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의 경계 부근에서 엇갈리게 교차하고 있고, 얇은 두께부가 엇갈리게 교차하고 있는 부분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이 탄성 부재로부터 흡수 코어에 수축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면 시이트의 내측에 소변 수용 패드가 부착되는 일회용 기저귀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기저귀와 소변 수용 패드를 병용하는 경우, 상기 소변 수용 패드가 부착되는 영역에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된 것으로 된다.
기저귀에 상기 소변 수용 패드가 부착되는 경우, 기저귀의 세로방향의 중심보다도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의 위치에서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와 가랑이 영역측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는 겹쳐져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즉 흡수 코어의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가 기저귀의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변 수용 패드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의 경계 영역에 부착되고, 또한 이 영역에 탄성 부재(erastic members)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고, 또한 착용하는 경우,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표면에 상기 후방 웨이스트 영역이 겹쳐져 고정되는 고정부(fastener means)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형성된 얇은 두께부는 상기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까지 연장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정부가 기저귀의 가로방향(폭방향)으로 긴 장방형 또는 허리띠형인 경우, 얇은 두께부를 고정부와 같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부재는 흡수 코어와 이면 시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얇은 두께부에서 탄성 부재, 전면 시이트 및 이면 시이트가 서로 접착·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면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설명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를 가랑이 영역의 세로방향의 중심을 향해 만곡하도록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얇은 두께부는 흡수 코어가 존재하고 있지 않고, 전면 시이트와 이면 시이트가 직접 고온 용융형의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하거나, 흡수 코어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세로방향이란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가랑이 영역을 거쳐 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저귀에는 기저귀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고, 흡수 코어에 대해 선형의 얇은 두께부에 직교하는 방향(가로방향)으로 수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평고무 등이고, 기저귀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복수조) 설치된다.
탄성 부재는 흡수 코어의 외측, 예를 들어 흡수 코어와 이면 시이트와의 사이에서 신장된 상태로 설치되며, 탄성 부재와 이면 시이트가 서로 고온 용융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또한, 얇은 두께부에 흡수 코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얇은 두께부에서 탄성 부재는 이면 시이트의 내측에 접착되는 동시에 전면 시이트와도 고온 용융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탄성 부재에 의해서 흡수 코어 및 이면 시이트 등에 가로방향으로 수축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므로써 흡수 코어 및 이면 시이트가 가로방향으로 수축하여 프런트 개더가 형성된다. 이 프런트 개더가 형성되면, 가랑이 영역이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 전방 웨이스트 영역이 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지 않으며, 기저귀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꼭 맞기 쉬워진다.
즉, 흡수 코어의 강연도(강성)보다도 탄성력이 커지는 탄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탄성 부재에 의해 얇은 두께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얇은 두께부와 얇은 두께부 사이의 부분이 얇은 두께부를 끼워서 접해져 가로방향으로 수축된다. 이것에 의해, 흡수 코어가 기저귀의 내측을 향해 약간 돌출하도록 변형하여 기저귀가 몸에 밀착된다. 즉, 기저귀가 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기 어려워지며, 몸에 꼭 맞기 쉬워진다. 특히, 얇은 두께부에서 탄성 부재, 이면 시이트 및 전면 시이트가 서로 접착되어 있으면, 탄성 부재의 수축력이 전면 시이트 및 이면 시이트에 직접 작용하여, 얇은 두께부를 끼워서 인접하는 얇은 두께부와 얇은 두께부 사이의 부분끼리 접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에서 흡수 코어가 가로방향으로 수축되어 있는 프런트 개더가 기저귀의 세로방향의 중심 영역보다도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의 가랑이 영역에 부분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프런트 개더가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프런트 개더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 이 2개의 영역의 경계 영역(모래시계형 흡수 코어의 가로방향의 치수가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과의 경계부)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이들 부분 이외(이 부분의 전후)에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런 종류의 기저귀를 착용하는 경우, 소변이 부여되는 위치는 남성, 여성 모두 기저귀의 세로방향의 중심보다도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저귀에서,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은 상기 소변이 부여되는 위치에 거의 일치한다.
이 소변이 부여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외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이 부여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흡수 코어가 몸에 압착되도록 꼭 맞으며, 소변의 누출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저귀는 전면 시이트의 내측에 소변 수용 패드(보조 패드)가 부착되는 기저귀에 효과적인 구조이다. 기저귀의 소변 수용 패드가 장치되는 위치는 상기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정확히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 개더에 의해, 기저귀의 소변 수용 패드의 부착 위치가 팽창되는 것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변 수용 패드와 몸이 밀착하여, 소변 수용 패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의 경계 영역내의 세로방향의 일정한 범위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이 기저귀의 착용자가 남성 및 여성의 어느쪽 경우라도, 프런트 개더에 의해 소변 수용 패드를 몸에 대하여 확실히 압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이 기저귀의 중심보다도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의 부분, 또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의 경계 영역뿐이기 때문에, 이 이외의 부분에서는 흡수 코어가 자연스러운 상태로 몸에 접촉하게 된다. 즉, 엉덩이 쪽에 닿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 가랑이에 끼워지는 가랑이 영역,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고정부가 설치되는 부분 등의 가로방향으로는 지나치게 큰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몸의 각각의 부분에 기저귀가 자연스럽게 꼭 맞게 된다. 특히,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서는 기저귀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이 후방 웨이스트 영역이 엉덩이부를 확실하게 덮고, 또한 엉덩이부에 꼭 맞는다. 따라서, 대변의 누설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영역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의 경계에서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와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가 엇갈리게 교차하도록 하면, 양방의 얇은 두께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얇은 두께부의 수가 많아진다. 이 때문에, 흡수 코어가 얇은 두께부에 의해 분리되는 부분이 많아지고, 이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의 경계 영역에서는 탄성 부재의 수축력을 받아 흡수 코어가 가로방향으로 크게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경계 영역이 착용자의 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변 수용 패드를 병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기저귀가 가랑이 사이에 꼭 맞게 되므로, 소변이나 대변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변이나 대변을 기저귀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방향에 선형으로 형성된 얇은 두께부는 소변을 기저귀의 전역으로 퍼지도록 유도하는 기능도 가지기 때문에, 소변 등을 흡수 코어로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랑이 영역의 전방 영역, 또는 가랑이 영역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의 경계 영역, 즉 가랑이 영역에 형성된 얇은 두께부와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형성된 얇은 두께부 사이의 영역에 얇은 두께부를 형성하지 않고, 두께부로 하여도 좋다. 단지, 이 두께부는 얇은 두께부 보다 흡수 코어의 두께가 큰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부분과 같은 두께라도 좋고, 또는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부분 보다 두꺼워도 좋다. 또한,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프런트 개더는 상기 두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소변 수용 패드는 이 두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런트 개더 부분에서 얇은 두께부로 끼워지는 부분이 탄성 부재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접해지고,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전면 시이트측의 함몰이 커져 요철이 현저해진다. 그러나, 이 프런트 개더의 형성 영역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두께부로 함으로써, 이 두께부에서는 전면 시이트의 표면이 함몰하지 않고 평탄해진다. 따라서 이 두께부에 소변 수용 패드의 점착부를 접착하면, 기저귀의 전면 시이트와 소변 수용 패드와의 접착 강도를 높게 할 수 있고, 소변 수용 패드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부는 소변이 배출되는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 두꺼운 부분으로 다량의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얇은 두께부가 존재하지않는 두께부를 형성해 두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선형의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고, 이 얇은 두께부가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설치되는 고정부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하는 경우, 전방 웨이스트 영역은 가로방향으로의 수축력을 받아, 이 수축력에 의해 고정부의 표면이 파형으로 변형하기 쉽다. 그러나, 이 고정부 부분에 얇은 두께부가 설치되면,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가로방향으로의 수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얇은 두께부는 가로방향으로 수축되지만, 얇은 두께부와 얇은 두께부 사이의 부분은 수축되기 어려워 변형하기 어려워지며, 고정부의 표면도 거의 평활해지기 쉽다. 따라서,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고정부가 접합하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고정부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고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고정부의 부근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면, 이 탄성 부재의 수축력이 고정부의 부분에 가로방향으로 가해지기 쉽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고정부의 이면에 복수의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정부의 표면 전역이 파형으로 변형하기 어렵고, 고정가능한 평면부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를 기저귀의 가로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세로방향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면, 기저귀의 전방 웨이스트 영역이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의 형에 맞추어 변형하기 쉽고, 기저귀가 보다 몸에 꼭 맞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은 흡수 코어의 외측에 이면 시이트가, 내측에 투액성의 전면 시이트가 겹쳐진 적층체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배 쪽에 닿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 엉덩이 쪽에 닿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 및 가랑이 사이에 닿는 가랑이 영역을 갖는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저귀에서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가랑이 영역을 거쳐서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이르는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표면에 고정부(one retaining members)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 이 기저귀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겹쳐지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양측부,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겹쳐지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양측부에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른 고정부(the other retaining members)가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모든 치수 보다 상기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간격 치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와 다른 고정부는 같이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그 이상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배치 피치 Pl 보다 상기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배치 피치 P2 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폭이 넓고, 이것이 기저귀의 전방 웨이스트 영역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좌우 양측에 1장씩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상기 발명에서는 우측 및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고정부가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고정부가 세로방향의 폭이 넓은 1장인 것(좌우 합계 2장)이어도 좋다. 어떻든, 고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가능한 영역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전체 길이 치수 H1 보다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간격 치수 H2 가 큰 것이 조건이 된다.
또한, 상기 세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방향으로 하는 경우, 고정부는 기저귀의 가로방향으로 긴변이 향해진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고정부는 예를 들어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수지제의 유지 시이트(retaining sheet)이고,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유지되는 직포 또는 부직포이다. 또는, 다른 고정부는 점착 테이프이며, 고정부가 이 점착 테이프가 점착되는 필름 시이트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배치 피치 Pl 보다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배치 피치 P2 가 크다. 또는,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종단부 사이의 전체 길이 치수 Hl 보다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종단부 사이의 간격 치수 H2 가 크다. 그 때문에, 이 기저귀를 착용하는 경우,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양측, 즉 플랩의 가장자리를 비스듬하게 하면, 다른 고정부가 정확히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중앙에 맞추어져 서로 고정된다. 또는, 플랩의 가장자리를 비스듬하게 하지 않으면,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단부가 고정부로부터 기저귀의 세로방향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 때문에, 착용시 필연적으로 플랩의 가장자리를 기저귀의 세로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하고, 다른 고정부를 세로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향하여 고정부에 고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고정부를 가로방향으로 긴변이 향하는 장방형 또는 허리띠형으로 하고, 고정부를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B1을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B2 보다 충분히 크게 해 둔다. 이렇게 함으써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에서 플랩의 가장자리를 기울이는 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어떠한 체형의 인체에 대해서도 기저귀를 확실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허리 부분에서는 기저귀의 지름이 크고, 몸통 부분(웨이스트 부분)에서는 기저귀의 지름이 작아지며, 몸에 꼭 맞기 쉬워진다. 또한 웨이스트측에 있어서 고정부와 다른 고정부를 확실하게 고정(retain)할 수 있고, 착용자의 웨이스트에 대하여 기저귀를 확실하게 조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착용자의 몸에 대하여 기저귀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기저귀를 성인의 체형에 맞추기 쉽게 된다. 또한, 신생아나 유아의 경우에도 기저귀를 몸통 부분(웨이스트 부분)에 확실하게 조일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기저귀(15)는 이면 시이트(16), 전면 시이트(17) 및 상기 양 시이트의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18)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면 시이트(16)는 몸의 외측으로 향하기 때문에, 소변 등이 외측으로 새지 않도록 불투액성이고, 또한 통기성인 수지 시이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시이트(17)는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하여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투액성의 부직포 등의 피부에 부드러운 소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단위 면적당 중량이 15g/m2이상이고 25g/m2이하인 부직포가 사용된다.
흡수 코어(18)로는 소변을 잘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중합체(super absorbent polymers)등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있다. 흡수 코어(18)로서 사용되는 분쇄 펄프로는 예를 들어 비중이 100 g/m2이상이고 500 g/m2이하의 가벼운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흡수 코어(18)는 분쇄 펄프 또는 고흡수성 중합체 등을 시이트형으로 형성하고, 두께를 균일하게 한 후, 가랑이 영역(15B)에서 다소 폭이 좁아지도록 모래시계 형(sand glass like form)으로 절단하여 형성한다. 도 2(B)에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흡수 코어(18)가 존재하는 영역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5)의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에는 기저귀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전방 플랩(15a,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웨이스트 영역(15C)에는 기저귀의 가로방향의 양측부가 되는 후방 플랩(15b,15b)이 후방 웨이스트 영역(15C)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전방 플랩(15a,15a) 및 후방 플랩(15b,15b)은 이면 시이트(16) 및 전면 시이트(17)를 기저귀의 가로방향으로 돌출시켜 양 시이트(16,17)와의 사이에 흡수 코어(18)를 개재시키지 않고, 양 시이트(16,17)를 직접 고온 용융형 접착제(24)로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는, 이면 시이트(16) 및 전면 시이트(17)와는 별도로, 수지 시이트 또는 중량이 큰 부직포를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여 수불용성의 접착제로 부착함으로써 전방 플랩(15a)과 후방 플랩(15b)을 형성하여도 좋다.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에서는 이면 시이트(16)의 표면에 고정 수단(retaining means)의 일례로서 유지 파스너인 고정부(19)가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있다. 또한, 후방 플랩(15b)의 선단부(후방 웨이스트 영역(15C)의 양측부)에는 같은 고정 수단으로서 유지 파스너인 다른 고정부(20)가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있다. 기저귀(15)를 착용하는 경우, 후방 웨이스트 영역(15C)은 착용자의 엉덩이에 접촉하고, 가랑이 영역(15B)은 가랑이 사이에 접촉하며,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은 배에 접촉한다. 그리고, 후방 플랩(15b,15b)이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의 이면 시이트(16)상에 겹치게 되며, 다른 고정부(20)와 고정부(19)가 유지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고정부(19)의 각각의 세로방향의 폭치수의 중심선과 중심선 사이의 간격(세로방향의 배치 피치) P1 보다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다른 고정부(20)의 세로방향 폭치수의 중심선과 중심선 사이의 간격(세로방향의 배치 피치) P2 가 커지고 있다. 또한, 고정부(19,19)의 세로방향 단부 사이의 모든 치수 Hl 보다 다른 고정부(20,20)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치수 H2 가 크다. 또한, 고정부(19)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Bl 이 고정부(20)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B2 보다 아주 크다.
예를 들어, 성인용(노인용) 기저귀의 경우, 고정부(19)의 배치 피치 Pl은 80 mm 이고, 다른 고정부(20)의 배치 피치 P2는 135 mm이다. P2/Pl의 비는 거의 3.1/1.9 이고, P2/Pl은 8/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수 Hl은 130 mm 이고, H2는 165 mm 이며, 그 차이는 35 mm 이다. 또한, 폭치수 B1은 50 mm 이고, 폭치수 B2는 30 mm 이며, Bl/B2는 5/3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19)는 긴변이 기저귀의 가로방향으로 향한 장방형 또는 허리띠형이며, 그 긴변의 길이는 예를 들어 235 mm이다.
고정부(19)는 가로방향의 치수가 길기 때문에, 착용자의 몸통둘레의 크기에 맞추어, 고정부(19,20)의 접합 위치를 변경시켜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고정부(20)의 배치 피치 P2가 고정부(19)의 배치 피치 P1 보다 크고, 다른 고정부(20)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치수 H2가 고정부(19)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치수 H1 보다 크다. 이 때문에, 이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후방 플랩(15b)의 가장자리가 세로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며, 다른 고정부(20,20)가 세로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향하여 고정부(19)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의 세로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부(19)와 다른 고정부(20)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가 세로방향의 하측(가랑이 영역(15B)측)에 위치하는 고정부(19)와 다른 고정부(20)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 보다 기저귀의 내측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른 고정부(20)를 고정부(19)의 세로방향의 거의 중심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 상태의 기저귀는 허리부에서 굵고, 몸통부(웨이스트)에서 가늘어지며, 몸에 꼭 맞기 쉽고, 또한 웨이스트 부분에서 신체에 확실하게 조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고정부(20)가 선단에 유지 헤드부를 갖는 버섯형 또는 갈고리형의 다수의 유지 돌출부가 형성된 수지제의 유지 시이트이다. 또한, 고정부(19)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재료로서 트리코 직조(toricot knitting)된 직포 또는 부직포이다. 또, 다른 고정부(20)로서 유지 시이트 대신에 점착 테이프를 설치하고, 고정부(19)로서 직포 또는 부직포 대신에 필름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다른 고정부)가 필름 표면(고정부(19))에 점착된다.
기저귀(15)의 가랑이 영역(15B)의 양가장자리에는 예를 들어 2개의 평고무(21,21)가 세로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이면 시이트(16)와 전면 시이트(17) 사이에 개재되고, 양 시이트에 대하여 고온 용융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 평고무(21,21)에 의해 가랑이 영역(15B)의 세로방향이 수축되므로써 주름을 형성하여 대퇴부 개더(15c)가 형성된다. 이 대퇴부 개더(15c)에 의해 기저귀는 이면 시이트(16)측이 돌출하는 입체 형상이 된다. 기저귀(15)를 착용했을 때, 이 대퇴부 개더(15c)가 착용자의 다리 부분을 적당히 조이고, 대퇴부와 기저귀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기저귀가 착용자의 대퇴부에 꼭 맞게 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5)의 가랑이 영역(15B)의 세로방향의 중심 부분 보다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측의 부분, 구체적으로 가랑이 영역(15B)과 상기 가랑이 영역(15B)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과의 경계 영역에 걸치는 영역 α에는 기저귀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평고무 등의 탄성 부재(22)가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2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18)의 외측과 이면 시이트(16)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 부재(22)는 원래의 길이보다도 1.5배 내지 3배, 바람직하게는 2배 내지 2.5배의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이면 시이트(16)에 고온 용융형 접착제(24)로 접착·고정되어 있다. 탄성 부재(22)와 이면 시이트(16)는 고온 용융형 접착제(24)에 의해 탄성 부재(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착되어 있다. 또는, 탄성 부재(22)와 이면 시이트(16)는 고온 용융형 접착제(24)로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부(23a)의 부분에서는 탄성 부재(22), 전면 시이트(17) 및 이면 시이트(16)가 서로 상기 접착제(24)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22)에 의해, 영역 α에서 기저귀가 가로방향으로 수축하여 프런트 개더 G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프런트 개더 G가 가랑이 영역(15B) 및 가랑이 영역(15B)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과의 경계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남성용 소변 수용 패드(8)를 이 기저귀(15)와 병용하는 경우, 탄성 부재(22)가 설치되는 영역 α는 상기 소변 수용 패드(8)가 착용되는 영역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 경우, 가랑이 영역(15B)의 가로방향의 중심선 O에서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의 가장 끝에 설치된 탄성 부재(22)까지의 거리(도 2(A)에 M으로 도시)는 250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5)의 흡수 코어(18)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의 거의 전면에 복수개의 얇은 두께부(23a,23b,23c)가 형성되어 있다. 얇은 두께부(23a)는 가랑이 영역(15B)에서 세로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얇은 두께부(23b,23c)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과 후방 웨이스트 영역(15C)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또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랑이 영역(15B)에 설치된 얇은 두께부(23a)와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 및 후방 웨이스트 영역(15C)에 설치된 얇은 두께부(23b,23c)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랑이 영역(15B)에 설치되어 있는 3개의 얇은 두께부(23a)와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에 설치된 4개의 얇은 두께부(23b)는 가랑이 영역(15B)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과의 경계 영역에서 얇은 두께부(23a,23b)의 단부끼리 엇갈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얇은 두께부(23a,23b)가 엇갈리게 겹쳐 있는 부분에서는 기저귀(15)의 가로방향에 있어서, 얇은 두께부(23a)와 얇은 두께부(23b)가 엇갈리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얇은 두께부(23a)와 얇은 두께부(23b)가 엇갈리게 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탄성 부재(22)가 설치되어 프런트 개더 G가 형성되는 영역 α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얇은 두께부(23a)와 얇은 두께부(23b)가 엇갈리게 되어 있는 부분은 가랑이 영역(15B)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과의 경계 영역과 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고, 경계 영역 부근이라면, 가랑이 영역(15B)측으로 접한 위치라도 좋고,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측으로 접한 위치라도 좋다. 또한, 얇은 두께부(23a)와 얇은 두께부(23b)가 엇갈리게 배열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영역 α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탄성 부재(22)에 의한 수축력을 받는 장소라면, 영역 α에서 약간 벗어나 있어도 좋다.
또한,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에서는 가로방향으로 허리띠형으로 연장되는 고정부(19)가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얇은 두께부(23b)는 고정부(19)가 설치된 영역의 이면에 겹치도록 연장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얇은 두께부(23a,23b,23c)에는 흡수 코어(18)가 존재하지 않는다. 얇은 두께부(23a,23b,23c)에서는 이면 시이트(16)와 전면 시이트(17)가 고온 용융형 접착제(24) 등에 의해 직접 접착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22)가 개재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상기 얇은 두께부(23a,23b,23c)에서 전면 시이트(17) 및 이면 시이트(16)가 탄성 부재(22)와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저귀(15)에 세로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23a,23b, 23c)가 설치되고, 얇은 두께부(23a,23b)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 α에서 탄성 부재(22)에 의해 상기 얇은 두께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 탄성 수축력이 흡수 코어(18)의 강연도(강성)보다 클 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부 이외의 부분이 기저귀의 가로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접해지고, 얇은 두께부(23a)를 사이에 끼워 인접한 부분끼리 밀착한다. 그리고, 얇은 두께부 이외의 부분은 다시 가로방향으로 수축하고, 이 부분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18)가 기저귀의 내측(착용자의 몸측)을 향해 돌출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기저귀(15)의 영역 α 부분이 몸에 밀착하고, 기저귀(15)와 몸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일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기저귀(15)를 몸에 꼭 맞도록 변형시키기위해서는, 예를 들어 JIS P8125에서 측정한 흡수 코어(18)의 강연도가 3 g·cm 이상이고 20 g·cm일 때, 2배의 길이로 신장했을 경우 탄성력이 10 g 이상인 탄성 부재를 2개 이상 설치하면 좋다. 이 경우, 탄성 부재(22)에 의한 탄성 수축력이 흡수 코어(18)의 강연도를 상회하고, 흡수 코어의 얇은 두께부 이외의 부분을 수축시킬 수 있다. 단, 탄성 부재(22)의 탄성 수축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기저귀(15)의 폭치수가 지나치게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22)의 1개당 탄성력의 상한은 100 g 정도이며, 탄성 부재(22)의 개수는 탄성 부재(22)의 탄성력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 2개 내지 50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것에서는 탄성 부재(22)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영역 α에 가랑이 영역(15B) 측의 얇은 두께부(23a)의 단부와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 측의 얇은 두께부(23b)의 단부 쌍방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양측의 얇은 두께부(23a,23b)가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15B)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의 경계 영역에서 흡수 코어(18)의 얇은 두께부(23a,23b)에 의해 분할된 부분의 수가 많아진다. 이 때문에, 이 부분에서 기저귀가 가로방향으로 수축하기 쉬워지며, 전방으로 팽창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얇은 두께부(23a,23b)가 엇갈리게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양측의 얇은 두께부(23a,23b)가 탄성 부재(22)에 의한 탄성 수축력의 영향을 받는 위치에 설치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얇은 두께부(23a,23b)의 단부끼리 세로방향의 상하로 약간 멀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α의 영역에서 가랑이 영역(15B)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이 가로방향으로 수축하기 쉬워지며, 흡수 코어(18)의 전방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랑이 영역(15B)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과의 경계 영역에서 3개의 얇은 두께부(23a)와 4개의 얇은 두께부(23b)가 엇갈리게 되어 있는 쪽이 더욱 좋다. 이 부분에서는 흡수 코어(18)가 가로방향으로 8개로 분할되게 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22)의 수축력을 받은 흡수 코어(18)가 가로방향으로 접해져 더욱 수축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기저귀(15)가 몸에 꼭 맞고, 기저귀(15)와 몸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아 소변이나 대변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영역(15B)의 얇은 두께부(23a)에 의해, 기저귀(15)를 바로 착용할 때에 소변이 한지점으로 집중하지 않고,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 및 후방 웨이스트 영역(15B)의 흡수 코어(18)에 소변을 분산시키기 쉽게 된다.
탄성 부재(22)에 의한 수축력을 받는 상기 가랑이 영역(15B)의 얇은 두께부(23a) 및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의 얇은 두께부(23b)는 인접하는 얇은 두께부 사이의 간격(도 2(B)에 L로 도시하는 길이)이 통상 10 mm 이상이고 100 mm 이하 정도이며, 얇은 두께부(23a,23b)의 폭(도 2(B)에 l로 도시하는 길이)이 1 mm 이상이고 15 mm 이하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 수치의 범위내에서 얇은 두께부(23a,23b)를 형성하면, 기저귀(15)가 착용자의 체형을 따라서 변형되기 쉽고, 또한 소변이 분산되기 쉬운 기저귀가 된다.
이 기저귀(15)를 성인 남성이 착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변 수용 패드(8)를 병용한다.
소변 수용 패드(8)는 불투액성의 수지 시이트 등의 외측 시이트(9), 부직포 등의 내측 시이트(10) 및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11)로 이루어지는 시이트형 적층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적층체의 폭방향의 단부 및 길이방향 단부의 흡수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외측 시이트와 내측 시이트는 고온 용융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또한, 폭방향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고무 등의 탄성체(12)가 외측 시이트와 내측 시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신장된 상태로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 탄성체에 의해 개더(8a)가 형성된다.
도 6(A)에 도시된 시이트형의 상기 소변 수용 패드(8)는 외측 시이트(9)를 외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원추 형상으로 성형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루형으로 된다. 그리고, 겹치는 부분(8b)이 몸의 배쪽에 맞추어져서 착용된다. 그리고, 소변 수용 패드(8)를 착용한 상태로, 기저귀(15)의 후방 웨이스트 영역(15C)을 엉덩이쪽에, 가랑이 영역(15B)을 가랑이 사이에,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를 배쪽에 댄다. 그리고, 소변 수용 패드(8)의 점착부(14)를 기저귀(15)의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전면 시이트(17)에 점착·접합하고, 고정부(19,20)를 유지하여 기저귀(15)가 착용한다. 이 때, 기저귀(15)는 얇은 두께부(23a,23b,23c)에 의해 착용자의 체형을 따라서 변형하며, 또한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과 가랑이 영역(15B)의 경계 영역 α는 소변 수용 패드(8)의 형상에 맞추어 변형된다. 그리고 프런트 개더 G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닿고, 소변 수용 패드(8)의 외형에 맞추어 늘어나며, 탄성적으로 소변 수용 패드(8)에 꼭 맞게 된다. 이것에 의해, 소변 수용 패드(8)를 착용자의 몸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소변 수용 패드(8)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으며, 소변 수용 패드(8)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저귀(15)를 여성에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시이트형의 상기 소변 수용 패드(8)는 기저귀(15)의 가랑이 영역(15B)의 전면 시이트(17) 위에 겹쳐지고, 이 상태로 기저귀(15)를 착용하게 된다. 상기 프런트 개더 G는 이 소변 수용 패드(8)에 닿기 때문에 프런트 개더 G에 의해 소변 수용 패드(8)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성에게 소변 수용 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22)를 도 2(A) 보다 더욱 중심선 O측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소변 수용 패드(8)를 이용하면, 가랑이 사이 및 허리의 부분에서 착용된 기저귀가 팽창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기저귀에서는 다른 고정부(20,20)가 세로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향한 상태로 고정부(19,19)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기저귀가 팽창하여도, 기저귀의 웨이스트 부분을 가늘게 할 수 있으며, 고정부(19,20)에 의해 기저귀를 확실하게 착용자의 웨이스트에 조일 수 있다.
또한, 소변 수용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기저귀(15)만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프런트 개더 G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의 형태를 따라 변형되어, 가랑이 사이에 탄성적으로 꼭 맞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과 기저귀(15)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아, 소변이나 대변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변이나 대변을 기저귀(15)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얇은 두께부(26a,23b,23c)에 의해, 소변을 가랑이 영역으로만 집중시키지 않고 분산할 수 있으므로, 기저귀(15)의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에 형성된 얇은 두께부(23b)는 고정부(19)와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에 후방 플랩(15b,15b)이 겹쳐져 고정부(19,20)가 고정될 때,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의 표면이 변형하기 쉽다. 특히,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9)가 설치된 부분의 부근에 탄성 부재(22)에 의한 프런트 개더 G가 설치되어 있으면, 이 탄성 부재(22)의 수축력이 고정부(19)의 부분에 작용하여 고정부(19)가 가로방향으로의 수축력을 받기 쉬워진다.
이 수축력에 대하여, 고정부(19)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얇은 두께부(23b)의 폭이 수축되지만, 얇은 두께부(23b)와 얇은 두께부(23b) 사이의 흡수 코어가 존재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가로방향으로 약간 수축 하게 하며, 그 표면은 거의 평탄해진다. 따라서 고정부(19)에서는 얇은 두께부(23b)와 얇은 두께부(23b) 사이의 부분이 평탄한 상태가 되고, 또한 이 평탄한 부분의 면적이 비교적 넓기 때문에, 이 고정부(19)의 평탄한 부분에 고정부(20)을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9,20)와의 고정 강도를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랑이 영역(15B)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23a)와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23b)의 단부끼리 세로방향으로 약간 벗어나 있고, 이 얇은 두께부(23a,23b) 사이의 세로방향의 소정의 폭 Ha의 영역은 얇은 두께부가 설치되지 않은 두꺼운 부분(23d)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두꺼운 부분(23d)은 탄성 부재(22)가 설치되어 프런트 개더 G가 형성되어 있는 α의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부(23a) 또는 얇은 두께부(23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탄성 부재(22)에 의한 가로방향으로의 수축에 의해, 움푹 패인 곳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 시이트(17)에 움푹 팬인 곳이 형성되고, 전면 시이트(17)의 요철이 현저해진다. 그러나, 두꺼운 부분(23d)이 설치되어 있으면, 이 두꺼운 부분(23d)에서는 전면 시이트(17)의 요철이 약간 작아지고, 비교적 평탄한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소변 수용 패드(8)가 프런트 개더 G의 내측에 위치될 때, 점착부(14)를 상기 두꺼운 부분(23d)에 점착시키면, 얇은 두께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점착부(14)와 전면 시이트(17)가 대면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소변 수용 패드(8)의 기저귀에 대한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소변 수용 패드(8)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두꺼운 부분(23d)의 전후에는 얇은 두께부(23a,23b)가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두꺼운 부분(23d)이 존재함으로써, 기저귀(15)가 가로방향으로 수축하기 어려워지는 일은 없다.
또한, 두꺼운 부분(23d)은 소변이 부여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두꺼운 부분(23d)에는 많은 흡수 코어(18)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소변 흡수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저귀(15)를 전개하여 외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탄성 부재(22)가 기저귀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향함에 따라 기저귀(15)의 가랑이 영역(15B)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22)를 형성하면, 기저귀(15)는 소변 수용 패드(8) 및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의 형태에 보다 맞도록 변형하여, 더욱 몸에 꼭 맞게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도, 고정부(19)의 세로방향의 배치 피치 Pl 보다 다른 고정부(20)의 세로방향의 배치 피치 P2 가 크다. 또한, 고정부(19)의 단부 사이의 치수 Hl 보다 고정부(20)의 단부 사이의 치수 H2 가 크고, 또 고정부(19)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Bl이 다른 고정부(20)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B2 보다 아주 크다.
따라서, 신체에 착용되었을 때, 필연적으로 기저귀(15)의 몸통 부분(웨이스트의 부분)을 가늘게 할 수 있으며, 몸통 부분에서 기저귀(15)를 확실하게 조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도 전방 웨이스트 영역(15A)에서 얇은 두께부(23b)가 고정부(19)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오픈 타입의 기저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얇은 두께부(23a,23b,23c)를 설치한 것에 의한 효과 및 프런트 개더 G를 설치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는 팬츠형의 기저귀에 상기 얇은 두께부를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성인용 뿐만 아니라 유아용 기저귀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저귀에서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 또는 가랑이 영역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의 경계 영역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에 의해 개더가 형성된다. 이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를 탄성적으로 누를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와 가랑이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아, 기저귀가 가랑이 사이에 꼭 맞게 된다.
그리고, 기저귀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얇은 두께부에 의해 기저귀가 착용자의 몸의 외형을 따라서 변형하기 쉽다. 또한 흡수 코어가 가로방향으로 수축하여, 가랑이 사이가 자루형으로 팽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랑이 영역에 형성된 얇은 두께부가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얇은 두께부와 얇은 두께부 사이의 영역으로 연장되며,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의 경계 영역에 있어서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얇은 두께부와 가랑이 영역의 얇은 두께부가 엇갈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영역에 개더가 형성됨으로써, 기저귀가 가로방향으로 수축하여 전방으로 팽창되기 어려워지며,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의 형상에 맞은 형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더에 의해, 기저귀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꼭 맞게 된다.
따라서, 이 기저귀와 소변 수용 패드를 병용하는 경우, 소변 수용 패드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소변 수용 패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소변 수용 패드에 의해 효과적으로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소변 수용 패드를 병용하지 않고 이 기저귀만을 착용하는 경우에도 소변이나 대변 등의 배설물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옆으로 새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소변 수용 패드가 부착되는 부분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그 이외의 부분은 자연스러운 상태로 피부에 닿게 되어 신체 전체에 대한 착용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고정부와 다른 고정부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기저귀를 허리부에서 굵게, 몸통부에서 가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통 부분에 기저귀를 확실하게 조일 수 있어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가랑이 사이나 허리 부분에서 기저귀가 팽창되어도 착용자의 몸통부를 기저귀로 확실히 조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의 형상에 맞추어 꼭 맞기 쉽게 된다.

Claims (16)

  1. 불투액성의 이면 시이트, 투액성의 전면 시이트 및 상기 양 시이트에 개재된 흡수 코어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배 쪽에 접촉하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 엉덩이 쪽에 접촉하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 및 가랑이 사이에 접촉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가랑이 영역을 거쳐서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이르는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흡수 코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흡수 코어의 두께를 얇게 한 얇은 두께부가 세로방향에 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에는 이 흡수 코어에 대하여 상기 얇은 두께부를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수축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기저귀의 세로방향의 중심 부분 보다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의 위치에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 가랑이 영역의 쌍방의 영역에 걸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3. 제 1 항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얇은 두께부와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설치되는 얇은 두께부가 상기 가랑이 영역과 전방 웨이스트 영역과의 경계 부근에서 엇갈리게 교차하고 있고, 얇은 두께부가 엇갈리게 교차하는 부분에서 탄성 부재로부터 흡수 코어에 수축력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4.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표면에는 몸에 착용하는 경우 상기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일부가 겹쳐져 고정되는 고정부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얇은 두께부는 상기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흡수 코어와 이면 시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얇은 두께부에서 탄성 부재, 전면 시이트 및 이면 시이트가 서로 접착·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6. 제 1 항에 있어서, 기저귀를 평면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가랑이 영역의 세로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만곡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7. 제 1 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중심 보다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의 위치에서 전방 웨이스트 영역측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와 가랑이 영역측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부가 서로 분리·독립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얇은 두께부의 세로방향의 단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얇은 두께부가 존재하지 않는 두꺼운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8. 제 7 항에 있어서, 전면 시이트의 내측에 소변 수용 패드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기저귀의 상기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소변 수용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9. 불투액성의 이면 시이트, 투액성의 전면 시이트 및 상기 양 시이트에 개재된 흡수 코어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배 쪽에 접촉하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 엉덩이 쪽에 접촉하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 및 가랑이 사이에 접촉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으로부터 가랑이 영역을 거쳐서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이르는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표면에 고정부(one retaining members)가 설치되어 있고,
    몸에 착용하는 경우 상기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겹쳐지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양측,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에 겹쳐지는 전방 웨이스트 영역의 양측에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른 고정부(the other retaining members)가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서 전방 웨이스트 영역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는 고정가능한 영역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전체 길이 치수 Hl 보다 세로방향에 배열되는 상기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단부 사이의 간격 치수 H2 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10. 제 9 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배열 피치 Pl 보다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다른 고정부의 배열 피치 P2 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Bl이 다른 고정부의 세로방향의 폭치수 B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방향으로 하는 경우, 고정부는 긴변이 가로방향으로 향한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13. 제 9 항에 있어서, 전방 웨이스트 영역 또는 후방 웨이스트 영역의 양측에 플랩이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랩에 상기 다른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14. 제 9 항에 있어서, 몸에 착용되어 전방 웨이스트 영역에 후방 웨이스트 영역이 겹쳐진 상태로 몸의 웨이스트 둘레에 장착되는 부분의 내경이 허리 둘레에 장착되는 부분의 내경 보다 작아지도록 고정부와 다른 고정부가 서로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15. 제 9 항에 있어서, 고정부(one retaining members)는 유지 돌출체가 유지되는 직포 시이트 또는 부직포 시이트이고, 다른 고정부(the other retaining members)는 복수의 유지 돌출체를 갖는 수지제의 유지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16. 제 9 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수지 필름이고, 다른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에 점착하는 점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KR1019970039129A 1996-08-19 1997-08-18 일회용 기저귀 KR100509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17377 1996-08-19
JP21737796 1996-08-19
JP30810896A JP3558801B2 (ja) 1996-08-19 1996-11-19 おむつ
JP96-308108 1996-11-19
JP96-348465 1996-12-26
JP34846596A JP3589539B2 (ja) 1996-12-26 1996-12-26 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727A true KR19980018727A (ko) 1998-06-05
KR100509003B1 KR100509003B1 (ko) 2006-01-27

Family

ID=2733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129A KR100509003B1 (ko) 1996-08-19 1997-08-18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56732A (ko)
EP (2) EP1153585B1 (ko)
KR (1) KR100509003B1 (ko)
CN (2) CN1155355C (ko)
AU (1) AU717029B2 (ko)
ID (1) ID18096A (ko)
SG (2) SG104912A1 (ko)
TW (1) TW3423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31B1 (ko) * 2014-07-25 2015-05-2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3376B2 (ja) * 1998-04-28 2007-09-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BR9900001A (pt) * 1999-01-04 2000-08-29 Johnson & Johnson Ind Com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JP2000271170A (ja) * 1999-03-25 2000-10-03 Uni Charm Corp 表面構造体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7247152B2 (en) 1999-10-15 2007-07-24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containment structure
EP1244404A4 (en) 1999-10-15 2005-01-05 Drypers Corp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CONFINEMENT STRUCTURE
JP3699360B2 (ja) * 2000-09-01 2005-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S2239681T3 (es) * 2000-09-29 2005-10-01 Velcro Industries B.V. Envase que puede volverse a cerrar y tira de cierre.
WO2002062279A1 (fr) * 2001-02-02 2002-08-15 Daio Paper Corporation Article absorbant de liquide organ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7207979B2 (en) * 2001-07-05 2007-04-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astenable absorbent garment
JP3745984B2 (ja) * 2001-07-30 2006-0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03245304A (ja) * 2002-02-25 2003-09-02 Toray Ind Inc おむつ
DE10246365A1 (de) * 2002-09-30 2004-04-08 Paul Hartmann Ag Inkontinenzwindel für Erwachsene
JP3978390B2 (ja) * 2002-11-20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1982678B1 (en) 2003-02-12 2019-03-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ES2372979T3 (es) 2003-02-12 2012-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US20050059946A1 (en) * 2003-09-12 2005-03-17 Sca Hygiene Product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astening arrangement
US20050215972A1 (en) * 2004-03-29 2005-09-29 Roe Donald 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zones comprising elastomeric components
US7641641B2 (en) * 2005-04-20 2010-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product line
MX2007015833A (es) * 2005-07-13 2008-04-09 Sca Hygiene Prod Ab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ajuste mejorado.
JP4887217B2 (ja) 2007-05-30 2012-02-2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CN101513375A (zh) * 2008-02-22 2009-08-26 孙仲河 一种窗式一次性尿布
JP5486347B2 (ja) * 2010-02-2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339010B2 (ja) 2011-06-10 2018-06-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の吸収性構造体
PL3338750T5 (pl) 2011-06-10 2023-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RU2013156991A (ru) 2011-06-10 2015-07-20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Абсорбирующая сердцевин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абсорбирующих изделий
WO2012170781A1 (en) *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s
JP5912390B2 (ja) * 2011-10-07 2016-04-27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9993374B2 (en) * 2011-11-10 2018-06-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intermeshing flaps
JP6012271B2 (ja) * 2012-06-11 2016-10-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4078247A2 (en) 2012-11-13 2014-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PL2740449T3 (pl) 2012-12-10 2019-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ykuł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EP3254656B1 (en) 2013-06-14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US9138362B2 (en) 2013-07-29 2015-09-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absorbent article with a fastening system
US9480611B2 (en) 2013-07-29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20150032078A1 (en) 2013-07-29 2015-0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a visual cue
US9265673B2 (en) 2013-07-29 2016-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615980B2 (en) 2013-07-29 2017-04-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265674B2 (en) 2013-07-29 2016-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low stiffness
CN105473113B (zh) 2013-08-27 2019-03-08 宝洁公司 具有通道的吸收制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WO2015039062A1 (en) 2013-09-16 2015-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339425B2 (en) 2013-11-04 2016-05-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adapted to enhance gasketing
US9468569B2 (en) 2013-11-04 2016-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and waist elastic with low load loss properties
JP6243196B2 (ja) * 2013-11-09 2017-1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US9597237B2 (en) 2013-12-31 2017-03-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980859B2 (en) 2014-01-31 2018-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improved flexibility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299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WO2016069269A1 (en) 2014-10-31 2016-05-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otected fastening system
JP2018508291A (ja) 2015-03-16 2018-03-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強度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10322040B2 (en) 2015-03-16 2019-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CN107592805B (zh) 2015-05-12 2021-07-06 宝洁公司 具有改善的芯与底片粘合剂的吸收制品
EP3302387B1 (en) 2015-05-29 2020-11-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CN105326609A (zh) * 2015-10-21 2016-02-17 芜湖悠派护理用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成人纸尿裤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RU2711679C1 (ru) * 2016-11-23 2020-01-21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Комплект гендерно специфических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US11160696B2 (en) * 2017-02-21 2021-11-02 Clarence Wheeler Liquid and solid porous-absorbent article
MX2020011852A (es) * 2018-05-29 2021-01-20 Kimberly Clark Co Articulo absorbente con estructura que se adapta al cuerpo.
CN111150553A (zh) * 2020-01-14 2020-05-15 百润(中国)有限公司 一种设有适身弧形窄裆部的吸收制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114A (en) * 1976-05-12 1977-1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arment shield
US4351340A (en) * 1978-06-12 1982-09-28 Mcleod Syble A Panty liner construction
US4253461A (en) * 1979-10-11 1981-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brief
SE436466B (sv) * 1980-07-25 1984-12-17 Moelnlycke Ab Engangsbloja
US4820296A (en) * 1985-04-15 1989-04-11 Masliyah Carol A Post-operative garment
US4680030A (en) * 1985-11-13 1987-07-14 Coates Fredrica V Garment having improved, self closing, filamentary fasteners
BR8506247A (pt) * 1985-12-12 1987-06-30 Johnson & Johnson Sa Fralda descartavel de configuracao anatomica
BR8600823A (pt) * 1986-02-26 1987-09-08 Johnson & Johnson Sa Sistema de fixacao e vedacao para fraldas
US4850988A (en) * 1987-02-25 1989-07-25 Chicopee Double fastening system with a slit
US4826499A (en) * 1987-06-12 1989-05-02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bsorbent garment having laterally displaceable fastening means
US4911702A (en) * 1988-08-09 1990-03-27 Weyerhaeuser Company Attachment means and incontinent garment incorporating same
US4935021A (en) * 1988-10-27 1990-06-19 Mcneil-Ppc, Inc. Disposal diaper with center gathers
JP3125881B2 (ja) * 1989-07-06 2001-01-22 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SE501610C2 (sv) * 1989-12-21 1995-03-27 Moelnlycke Ab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absorberande artikel med krökt form varvid absorberande stycken anbringas på förspänt plant underlag samt absorberande engångsartikel
US5382246A (en) * 1990-09-18 1995-01-17 Koyo Disposable Goods Company Disposable diaper
US5275588A (en) * 1991-09-19 1994-01-04 Nitta Gelatin Inc. Article having target part for adhe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it
SE9103851L (sv) * 1991-12-30 1993-07-01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FR2709415B1 (fr) * 1993-08-31 1996-03-29 Kimberly Clark Co Culotte périodique jetable.
JPH07116191A (ja) * 1993-09-02 1995-05-09 Kao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5531731A (en) * 1994-09-07 1996-07-02 Kimberly-Clark Corporation Tape fastener for conveying inform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208289B2 (ja) * 1995-08-15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アンダーガーメ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31B1 (ko) * 2014-07-25 2015-05-2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3585A1 (en) 2001-11-14
SG85608A1 (en) 2002-01-15
EP0824906A2 (en) 1998-02-25
AU717029B2 (en) 2000-03-16
TW342331B (en) 1998-10-11
EP0824906A3 (en) 1998-04-22
US6056732A (en) 2000-05-02
CN1177471A (zh) 1998-04-01
EP1153585B1 (en) 2004-10-20
EP0824906B1 (en) 2004-02-25
ID18096A (id) 1998-02-26
AU3419797A (en) 1998-04-23
KR100509003B1 (ko) 2006-01-27
CN1155355C (zh) 2004-06-30
SG104912A1 (en) 2004-07-30
CN1223327C (zh) 2005-10-19
CN1480116A (zh)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9003B1 (ko) 일회용 기저귀
KR0138495Y1 (ko) 1회용 기저귀
KR970001175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784776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DK166853B1 (da) Engangsble med dobbelt linning
KR100636729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US5188626A (en) Disposable diapers
KR100706042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587859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633749B1 (ko) 표면 구조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
US20030050616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deployable gasket element
JPH10277091A (ja) 使いすておむつ
JPH01162807A (ja) フローティング内側カフス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880007021A (ko) 탄성외부 카버 및 일체식 흡수 삽입부를 갖는 일회용 흡수의류
KR20120121400A (ko) 흡수성 물품
JPH02174845A (ja) 紙おむつ
JP2007029609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988541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KR100706053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30269B2 (ja) 吸収パッド
KR100648154B1 (ko) 체결 수단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
JPH09187477A (ja) 使いすておむつ
JP2005218674A (ja) 使い捨ておむつ
JP3929987B2 (ja) おむつ
JP3558801B2 (ja) 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