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606A -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 Google Patents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606A
KR19980018606A KR1019970038351A KR19970038351A KR19980018606A KR 19980018606 A KR19980018606 A KR 19980018606A KR 1019970038351 A KR1019970038351 A KR 1019970038351A KR 19970038351 A KR19970038351 A KR 19970038351A KR 19980018606 A KR19980018606 A KR 1998001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key
valve member
way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르 게. 베싱게르
만웰 디. 로사
Original Assignee
그레그 지질레워스키
보그 워너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그 지질레워스키, 보그 워너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그레그 지질레워스키
Publication of KR1998001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606A/ko

Links

Abstract

가솔린 탱크용 벤트 밸브(10)는 탱크 벽을 통해 탱크로 삽입되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16)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가스탱크로의 최소한의 돌출부를 가진 커플링 스커트(38)와 가솔린 탱크에 초음파적으로 용접된 플랜지(32)를 가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캡부재(18)와 아세탈 수지의 밸브부재(16)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 스커트는 밸브부재의 상부에 끼워지고, 밸브 및 캡부재를 서로 결합하도록 밸브부재의 내향돌출 러그(42)를 수용하는 복수의 키-웨이(40)를 갖는다. 밸브와 캡부재는 커플링 스커트의 바닥에 노치(44)를 결합하는 밸브부재의 탄성 로크 핑거(46)에 의해 결합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탄성 로크 핑거는 밸브부재의 외부 원통형 벽의 방사방향 내향으로 이격된 앵커로부터 방사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비임이다. 상기 탄성 로크 핑거는 결합이 자유로운 구성을 제공하도록 원통형 벽의 외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변형예로, 노치(44′)는 키-웨이(40′)의 입구부와 일치한다. 제 2실시예의 캡부재(120)는 밸브부재의 벽을 벗어나 절단되는 탄성 로크 핑거(146)와 외향 돌출 러그(144)를 가진 밸브부재의 상부에 끼워지는 키-웨이를 가진 커플링 스커트를 갖는다. 제 2실시예의 변형예로, 외향 돌출 러그(144′)와 가진 커플링 스커트를 갖는다. 제 2실시예의 변형예로, 외향 돌출 러그(144′)와 로크 핑거(146′)는 커플링 스커트의 일부이고, 키-웨이(124′)는 밸브부재(140′)의 일부이다.

Description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본 발명은 하나의 부재를 다른 부지에 부착하기 위한 커플링 기구와, 하나의 하우징 부재를 다른 하우징 부재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 기구를 포함하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부재를 다른 부재에 부착하는 커플링 기구는 여러 가지 구조로서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카발리에리씨의 미국특허 제 1,812,583호, 영씨의 미국특허 제 2,027,803호, 레들씨의 미국특허 제 2,781,148호, 모리카와씨 등의 미국특허 제 4,313,649호, 모르간 2세의 미국특허 제 5,251,776호, 및 보이레트씨 등의 미국특허 제 5,397,196호가 있으며, 이들 특허에서는 여러 분야에서 소위 삽입 슬롯(bayonet slot) 방식의 커플링기구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도 공지되어 있지만, 바이요트네 슬롯 또는 신속한 해제방식의 커플링 기구를 사용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데이비드 알. 김비씨에게 1995년 5월 9일자로 허여된 미국특허 제 5,413,137호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연료증기 벤트조립체를 설명하고 있다. 이 하우징은 일체식 캡부재를 갖는 본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이 하우징은 인서트 및 스프링 시트를 포함한다.
인서트는 본체부재의 상단부에 억지끼움 맞춤이 되어서 연료 탱크로부터 빠져나가는 연료증기를 위한 오리피스를 제공하고 또한 오리피스를 통해 연료탱크에서 벤트되는 연료증기에 포함된 어떤 액체연료를 포획하기 위해 오리피스 위에 있는 액체트랩 베이신을 제공한다.
스프링 시트는 이를 유지시키기 위해 본체부재의 구멍 속에 스냅식으로 끼워지는 후크를 가진다.
연료탱크와 밸브부재는 고밀도의 폴리에틸렌(HDPE)과, 고강도, 용접성 및 가솔린 연료에 대하여 저항을 가진 것으로 공지된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인서트는 연료 침투에 대하여 높은 저항을 갖는 아세탈 공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므로, 가솔린에 침치될 때 성장하지 않게 된다.
1996년 6월 4일자로 가즈유키 도모아키(Kazuyuki Tomoika)와, 아츠시 다카하시(Atsushi Takahashi)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522,417호는 다중편의 밸브하우징을 가지는 차량 연료탱크용 안티-스필링(anti-spilling) 밸브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밸브실, 장착부재 및 밸브시트 링을 포함한다.
가술린에 침지되는 밸브실은 성장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폴리아세텔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한 반면에, 상기 장착부재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연료탱크에 용접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고밀도의 폴리에틸렌 수지(HDPE)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3개의 부분은 폴리아세탈 수지로 제조되고 미리 성형된 밸브실의 상단부위에 HDPE 수지의 장착부재를 성형함으로써 제조되어 조립된다.
그 다음, 밸브시트 링은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밸브 실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부재에 다른 하나부재를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고, 그 다음 수조작 없이 해제되지 않는 록크식 결합부에 상기부재를 함께 부착하기 위하여 다른 부재에 대한 한 부재를 비틀므로써 쉽게 결합될 수 있는 커플링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구비하고, 다른 밸브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하나의 밸브하우징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커플링 기구를 구비하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피스(multi-piece) 밸브하우징을 갖는 가솔린 연료 탱크에 삽입하기 위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은 다른 재료를 유리하게 사용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부재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이 부재들을 함께 쉽고 단단하게 결합하기 위한 커플링 기구와의 양호한 합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피스 조립체의 두 부재를 서로 부착하기 위한 스낵 방지(snag-proof) 커플링 기구를 합체한 멀티피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된 양호한 실시예의 하기 기술에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기구를 포함하는 멀티피스 하우징을 갖는 연료 증기 벤트 밸브의 전개 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에서 투시한 2-2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방향에서 투시한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에서 투시한 4-4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연료 증기 벤트 밸브의 변형 전개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 커플링 기구의 제 2양호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멀티피스 하우징을 갖는 다른 연료 증기 벤트 밸브의 투시도.
도 7은 도 6의 화살표 방향에서 도시한 7-7선에 따른 상세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연료 증기 배기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6의 밸브 커플링 기구의 확대 부분단편도.
도 10은 도 6 내지 9에 도시된 연료 증기 배기 밸브의 변형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밸브부재18:캡부재
31:밸브 시이트38:스커트
40:키-웨이42:러그
44:노치46:탄성 로크 핑거
도면 특히 도 1, 2, 3 및 4를 참조하면, 연료 증기 배기 조립체(10)는 도 2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탱크벽 개구를 통해서 연료 탱크(14)에 삽입하기 위한 성형 플라스틱 구조물의 멀티피스 밸브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통상 도면부호 20으로 표시한 커플링 기구에 의해 함께 부착되는 밸브부재(16)와 캡부재(18)로 이루어진다.
밸브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수지 및 공중합체와 같은, 가솔린 연료 투과에 매우 저항성이 놓고 가솔린에 침투될 때 전혀 팽창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만 팽창하는 물질로 성형된다.
한편, 캡부재(18)는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 ene)과 같은 가솔린 탱크에 용접이 용이한 물질로 성형된다.
구조적으로, 밸브부재(16)는 연료탱크(14)의 벽을 통과하는 개구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의 원통형 벽(22)을 갖기 때문에, 밸브부재(16)는 개구를 쉽게 통과해서 연료탱크(14)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밸브부재(16)는 상부 및 하부 얼러안드 칼라(26,28)와 상부를 통과하는 수직통로(30)를 규정하는 수직관(25)을 지지하는 모자모양의 상부벽(24)을 갖는다. 통로(30)는 상부 칼라(26)내에 상부 액체 캐치베이슨, 중앙 오리피스 및 하부 칼라(28)내 하부 밸브 시이트(31)를 포함한다.
캡부재(18)는 연료탱크(14)의 벽을 통과하는 개구의 직경보다 상당히 큰 외경의 플랜지(32)를 갖는다.
따라서, 플랜지(32)는 밸브부재(16)가 연료탱크로 삽입될 때 연료탱크(14)의 벽의 외부면에 부착되도록 적용된다.
캡부재(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4)의 상부에 용접된다.
캡부재(18)는 밸브부재(16)의 상부 칼라(26)용 시트를 규정하는 상하부 칼라(33,34)와, 상부 칼라(26)내의 액체 캐치 베이슨상의 증기 캐비티(35)와, 플랜지(32)상의 출구 파이프를 통하여 연장되는 횡방향 출구 통로(36)를 구비한다.
밸브부재(16)의 상부칼라(26)와 캡부재(18)의 하부 칼라(34)는 밸브부재(16)의 상부 칼라(26)가 밸브와 캡부재(16,18)를 함께 결합함으로써 캡부재(18)의 하부칼라(34)에 수용될 때 밸브 시이트(31)로부터 출구 파이프의 우측 단부까지 밀봉 통로를 형성한다.
캡부재(18)를 밸브부재(16)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은 원통형벽(22)의 상단부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 캡부재(18)의 스커트(38)를 구비한다.
스커트(38)의 외벽은 다수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키-웨이(40)를 구비한다.
키-웨이(40)는 L형이며 원주방향으로 폐쇄된 단부의 원주 러그로 인도되는 축방향 개방 단부 러그를 갖는다.
밸브부재(16)는 방사방향 내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벽(22)의 내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러그(42)에 대응하는 수를 갖는다. 러그(42)는 스커트(38)가 원통형벽(22)에 삽입될 개방 단부 축방향 러그의 입구를 거쳐서 키-웨이(40)에 들어가고 밸브부재(16)가 캡부재(18)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때 결합하기 위해 내부 원주방향 러그에 결합된다.
캡부재(18)와 밸브부재(16)는 탱크의 바닥에서 복수개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노치(44)와 러그(42)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두개의 노치(44)와 결합하는 밸브부재(16)의 두개의 탄성 로크 핑거(46)를 구비하는 커플링 위치에서 러그(42)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로크 핑거(46)는 일단의 해트-형상 최상벽(24)에 부착되며 외팔보 방식으로 방사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로크 핑거(46)는 촉진하는 몰딩부재(18)에 원통벽(22)의 내면에서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편 리디얼 로크 핑거(46)는 방해되는 문제 때문에 원통벽(22)의 외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원통벽(22)은 러그(42)의 몰딩을 촉진하도록 상부내에 4개의 주변으로 이격된 슬롯을 가지며 레디얼 로크 핑거(46)의 몰딩을 촉진하는 두개의 직경방향과 대향되는 직사각형 창을 가진다.
직사각형 창은 또한 노치(44)로부터 로크 핑거(46)를 해제하며 로크 핑거(46)의 단을 억압하기 위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로크 핑거(46)는 노치(44)내에 결합될 때 릴렉스되며 실질상으로 스트레스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로크 핑거는 양 로크 핑거(46)는 동시에 해제와 비커플링을 시작하도록 억압되야만 하므로 밸브 및 캡부재(16 및 18)의 부주의한 비커플링을 방지하는 안전하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영구적으로 부착되기 위한 몇 개의 로크 핑거는 각각 로크되는 핑거의 추가로 증가되는 초기 해제의 어려움일 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단일 로크되는 핑거는 빈번한 비커플링이 필요한 곳에서 우선될 수 있다.
플로트(48)는 시트(50)에 의해 유지되고 밸브부재(18)내부에 배치되며 외향돌출 후크(52)에 의해 벽의 하부에 부착되며 벽(22)의 하부내에 슬롯(54)내부로 끼워스냅 맞춤된다.
플로트(48)는 밸브(56)형상 중공스탬을 포함하며 밸브부재(16)의 하측 밸브시트(31)와 조합된다.
플로트(48)는 시트(50)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58)으로 유지된다.
벤트밸브(12)는 (도시안됨)차콜 캐니스터와 같이 증기저장 장치로서 연료탱크(14)내의 연료 증기를 환기시키도록 상시 열림이 된다. 그러나, 벤트밸브(12)는 연료탱크(14)가 기울거나, 거꾸로되거나 또는 가측채워졌을 때 통로(30)를 통해 액체연료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플로트(48)에 의해 폐쇄된다.
도 5는 원주방향으로 재위치된 밸브부재(16′)의 로크 핑거(46′)와 L형 슬롯(40′)의 입구부와 일치하는 스커트(38′)에 재위치된 캡부재(18′)의 노치(44′)가 구비된 멀티피스 밸브하우징(12′)을 갖는 개량된 벤트 밸브(10′)를 도시한다. 벤트 밸브(10′)는 벤트밸브(10)와 동일하며, 그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였다. 개량된 벤트 밸브(10′)에서, 각 탄성 로크 핑거(46′)는 각 러그(42)가 키-웨이의 폐쇄 단부에서 벽과 결합되는 로크 위치에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키-웨이(40′)의 개방 단부에서 벽부분과 결합한다.
도 6은 110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밸브 커플링 기구의 적합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다른 배출 밸브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캡 또는 적용되는 부재(120)의 스커트 외경은 밸브 원주 벽 또는 본체 부재(140)의 외경과 동일하다.
이 경우, 밸브부재(140)는 캡부재(120)의 스커트가 커플링에 적합하게 되는 상부 네크 부분(142)을 포함한다.
밸브 커플링 기구(110)를 밸브부재(140)에 관해 배치된 직사각형 형태의 방사방향 러그(144)를 갖는 유지 수단(114)과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 L형 또는 바이요네트슬롯 키-웨이(124)를 포함한다.
밸브 커플링 기구(110)는 또한 대응하는 키-웨이(124)와 협동적으로 맞물리는 탄성 로크 핑거(146)를 포함한다.
제 2실시예의 탄성 로크 핑거(146)는 방사방향 러그(144)가 있으며 밸브 부재(140)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탄성 로크 핑거(146)로 돌출된 핑거 형태로 되며 밸브부재(140)의 네크(142)위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부재(140)는 또한 캡부재(120)가 밸브부재(140)로부터 분리되어 확장되는 동안 탄성 로크 핑거(146)가 그 내부에서 압축되는 오목부(148)를 구비한다.
상기 오목부(148)는 바람직하게는 아치형이며 탄성 잠김 소자(146)와 형상에 있어서 유사함으로써, 밸브 부재(140)가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핑거 및 오목부(148)를 완비한다.
각각의 탄성 잠김 소자(146)는 결합 중에는 느슨해져 있으며, 뚜껑 부재(120)가 상부에 고정되어 밸브 부재(140)로부터 해제될 때는 긴장된다.
도 6,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밸브 부재(140)는 서로 정반대편에 위치하는 두개의 탄성 잠기 소자(146)를 포함한다.
부재를 결합상태에서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부재(120)가 접선 평면에서 최초로 가기고 이어서 축평면을 따라 깊숙히 들어갈 때 상기 탄성 잠김 소자(146)가 수동으로 동시에 인접한 오목부(148)로 가압되어야 한다(도 9참조).
상기 보유 수단(114)과 탄성 잠김 부재(146)는 방사방향, 접선방향 및 축방향으로 상기 밸브 부재(140)와 뚜껑 부재(120) 사이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합된다.
뚜껑과 밸브 부재(120과 140) 사이의 상대적인 방사방향 운동은 고정 부재(120)를 바디 부재(140)보다 원주방향으로 미소하게 더 크게 하므로써 방지되므로, 상기 바디 부재(140)가 고정 부재(120) 내부에 안락하게 위치된다.
결합중에 뚜껑과 밸브 부재(120과 140) 사이의 상대적인 접선운동은 탄성 잠김 부재(146)의 페이스(147)가 키-웨이(124)의 입구(125)와 접하므로서 방지되어, 시계반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방사방향의 러그(144)와 키-웨이(124)의 단부(126) 사이의 결합은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결합중에 뚜껑과 밸브 부재(120과 140) 사이의 상대적인 축운동은 키-웨이(124)와 조합되는 러그(144)가 뚜껑 부재(120)의 돌출 연장부에 샌드위치되므로써 방지된다.
대향 탄성 잠금 부재(146)는 안전 장치로서 작동하여 탄성 잠금 부재(146)의 부주의한 눌림을 방지한다.
응용에서 캡과 밸브 부재(120 및 140) 사이에서 고정 부착이 필요한 경우, 두개 이상의 탄성 잠금 부재(146)가 권장된다.
결합된 상태에서 캡과 밸브 부재(120 및 140)를 해제하기 곤란함은 각 잠금 부재(146)의 추가에 의해 증가한다.
응용에서 빈번한 해제가 필요하다면, 단일 탄성 잠금 부재(146)가 선호된다.
도 8은 밸브 부재(140) 상에 장착된 도 6의 캡부재(120)를 도시한다.
초기에, 캡부재(120)는 측면을 따라 밸브 부재(140)에 대해 위치되는 한편 방사상 돌출부(144)는 축홈(124)과 정렬된다.
방사상 돌출부(144)가 축홈(124) 내부로 미끄러 들어감에 따라, 탄성 잠금부재(146)는 본체 부재(140)의 대응하는 홈(148)을 향해 방사상 돌출부(144)가 각각의 대응하는 축홈(124) 내의 제 1정지점까지 내부로 눌려진다.
캡 및 밸브 부재(120 및 140)는 이후에 방사상 돌출부(144)가 각각의 대응하는 축홈(124)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탄성 잠금 부재(146)는 축홈(124)으로 들어가서 결합이 발생함에 따라 이완된다.
탄성 잠금 부재(146)는 결합도중에 이완된다.
도 9는 밸브 부재(140)에서 해제되는 도 6의 캡부재(120)를 도시한다.
밸브 부재(140)는 초기에 캡부재(120)에 대해 커플링 위치에 있다. 해제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모든 탄성 잠금 부재(146)는 도 9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면(147)이 축홈(124)의 입구 부분(125)을 청소하기까지 각 대응 홈(148)을 향해 동시에 눌려지고 방사상 돌출부(144)에서 멀어져야 한다.
캡부재(120)는 이후에 방사상 돌출부(144)가 축홈(124)에 대해 방사상 정지점과 만나기 전까지, 밸브 부재(140)에 대해 꼬이거나 회전된다.
다음에 상기 캡부재(120)는 밸브 부재(140)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방사상 돌출부(144)가 키-웨이(124)의 축상 입구부(125)를 통해 미끄럼운동 함에 따라, 밸브 부재(140)에 대해 축상으로 복귀된다.
도 10은 제 2실시예의 밸브 커플링 기구(110)를 유사하게 변경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변경된 밸브 커플링 기구(110′)에 있어서, 탄성 체결 소자(146′) 및 키홈(124′)은 캡부재(120′)에 접하여 배열되며, 상기 대응하는 키홈(124′)은 밸브 부재(140′)상에 배열된다.
그 외에 도 10의 출구 밸브는 도 6 내지 도 9의 출구 밸브의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커플링 기구가 다중 피스 하우징을 갖는 출구 밸브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다중 피스 하우징을 갖는 어떠한 밸브 및 2개의 부재를 함게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커플링 기구에 대하여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시키는 바이다.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은 상술된 설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심사청구의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상술된 실시예 이의외 범위까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내용 없슴.

Claims (12)

  1. 탱크벽 개구를 통해서 탱크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에 있어서,
    탱크벽 개구의 직경 보다 크지 않는 제 1외경을 갖는 원통형 벽(22)을 가지며 상부벽(24)을 통하여 밸브 시이트(31)로 연장하는 통로(30)를 갖고, 탱크벽 개구를 통해서 탱크에 삽입되는 밸브부재(16)와,
    탱크벽 개구의 직경 보다 더 큰 제 2외경을 갖고 탱크벽의 외부면에 부착된 플랜지(32)를 가지며 이 플랜지상의 출구로 연장하는 통로(35)를 갖는 캡부재(18)와,
    상기 부재중 하나에서 원주방향 키-웨이(40)를 갖는 밸브부재에 상기 캡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캡부재를 밸브부재에 대해 회전시키므로 써 상기 밸브부재의 키-웨이의 커플링 위치에 맞물리는 상기 캡부재상에 있는 방사방향 러그(42) 및,
    노치(44)를 상기 다른 부재에 결합하는 부재중 하나상에서 탄성 핑거(46)를 갖는 원주방향 키-웨이의 커플링 위치에 방사방향 러그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16)와 캡부재(18)는 상기 캡부재가 밸브부재에 결합될 때 밸브 시이트(31)로부터 출구(36)까지 밀봉 통로를 형성하도록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키-웨이(40)는 캡부재의 환형 스커트(38)내에 있고 방사방향 러그(42)는 밸브부재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탄성 핑거(46)는 밸브부재(16)의 일부이고 노치(44)는 캡부재의 환형 스커트(38)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방사방향 러그(42)는 밸브부재의 중심을 향해 내향으로 돌출하고 탄성 핑거(46)는 밸브부재의 원통형 벽의 방사방향 내향으로 이격된 앵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비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5.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캡부재의 환형 스커트(38)는 밸브 부재의 원통형 벽(22) 내측에 고정되고, 탄성 핑거(46)는 원통형벽의 외향으로 연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방사방향 러그(144)는 밸브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고 탄성 핑거(146)는 밸브부재의 원퉁형벽의 절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7. 제 1부재(16)를 제 2부재(18)에 연겨로하기 위한 스낵 방지 장치에 있어서,
    제 1 부재(16)는 제 1외경을 가진 원통형 벽(22)을 갖고,
    제 2부재(18)는 제 1부재의 제 1외경보다 큰 제 2외경을 가지는 플랜지와 제 1부재의 원통형 벽(22) 내측에 고정되는 환형 스커트(38)를 가지며,
    환형 스커트(38)는 원주방향 키-웨이(40)를 갖고,
    제 1부재의 원통형 벽(22)은 방사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방사방향 러그(42)를 가지며 제 2부재를 제 1부재에 대해 회전시키므로써 제 2부재의 키-웨이내에서 커플링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장치는 원주방향 키-웨이내에서 커플링 위치에 방사방향 러그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44,4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낵 방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 러그를 커플링 위치에 유지시키는 수단은 제 1부재의 원통형벽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앵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제 2부재의 환형 스커트에 있는 노치(44)외 결합하는 외팔보 비임인 탄성 핑거(46)를 포함하며, 상기 외팔보 비임은 제 1부재의 원통형벽의 외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낵 방지 장치.
  9. 두 부재(16′,18′) 상에서 방사방향, 축방향, 접선방향 평면으로 작용하는 커플링 기구에 있어서,
    제 1부재(16′)는 제 2부재(18′)상에 협력관계로 결합될 수 있고, 개방 단부와 폐쇄 단부를 갖는 키-웨이(40)를 구비하며,
    제 2부재(18′)는 상기 키-웨이(40)와 협력관계로 결합될 수 있는 유지 러그(42′)와 탄성 로그 핑거(46′)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러그는 키-웨이의 폐쇄 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탄성 로크 핑거의 단부중 적어도 일부분은 제 1부재를 제 2부재에 대해 방사방향, 축방향, 접선방향 평면을 따라 고정하고 제 1부재가 제 2부재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키-웨이의 개방 단부의 벽부분과 탄성적으로 선택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탄성 로크 핑거(46′)의 오목부는 제 2부재에 대해 제 1부재를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기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탄성 로크 핑거(46′)는 제 1 및 제 2부재가 함께 고정될 때 해제되고, 제 1부재가 제 2부재로부터 고정 또는 해제되는 동안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기구.
  12. 제 9항, 제 10항 또는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부재는 입구단부와 출구 단부를 갖는 복수개의 L형 키-웨이(40′,140′)를 갖고,
    제 2부재는 축방향으로 및 일 회전방향으로 제 2부재에 대해 제 1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키-웨이의 출구 단부와 결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러그(42′,142′)를 가지며,
    제 2부재는 대향 회전방향으로 제 2부재에 대해 제 1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키-웨이의 입구 단부의 벽부분과 탄성적으로 선택 결합할 수 있는 복수개의 탄성 핑거(46′.14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기구.
KR1019970038351A 1996-06-20 1997-08-07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KR19980018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019296A 1996-06-20 1996-06-20
US880,192 1996-06-20
US68497896A 1996-08-07 1996-08-07
US684,978 1996-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606A true KR19980018606A (ko) 1998-06-05

Family

ID=6599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351A KR19980018606A (ko) 1996-06-20 1997-08-07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6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30B1 (ko) * 2002-05-09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벤트 밸브 및 컷 밸브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
CN115155686A (zh) * 2015-05-01 2022-10-11 雅培制药有限公司 用于去除容器的液体内含物的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285A (en) * 1987-09-16 1989-04-11 E.R. Squibb & Sons, Inc. Bayonet coupling for ostomy device
US5259953A (en) * 1990-08-08 1993-11-09 Gilardini S.P.A. Fuel filter equipped with a quick fastening cov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97196A (en) * 1992-07-24 1995-03-14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Connector system
JPH07172193A (ja) * 1993-12-20 1995-07-11 Aisin Seiki Co Ltd 燃料洩れ防止弁
WO1996004089A2 (de) * 1994-08-01 1996-02-15 Stanislav Fiala Nachbearbeitungswerkzeug für die präzisionsbearbeitung von löchern
JPH09203479A (ja) * 1996-01-29 1997-08-05 Nifco Inc フロートバルブ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285A (en) * 1987-09-16 1989-04-11 E.R. Squibb & Sons, Inc. Bayonet coupling for ostomy device
US5259953A (en) * 1990-08-08 1993-11-09 Gilardini S.P.A. Fuel filter equipped with a quick fastening cov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97196A (en) * 1992-07-24 1995-03-14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Connector system
JPH07172193A (ja) * 1993-12-20 1995-07-11 Aisin Seiki Co Ltd 燃料洩れ防止弁
WO1996004089A2 (de) * 1994-08-01 1996-02-15 Stanislav Fiala Nachbearbeitungswerkzeug für die präzisionsbearbeitung von löchern
JPH09203479A (ja) * 1996-01-29 1997-08-05 Nifco Inc フロートバル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30B1 (ko) * 2002-05-09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벤트 밸브 및 컷 밸브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
CN115155686A (zh) * 2015-05-01 2022-10-11 雅培制药有限公司 用于去除容器的液体内含物的设备
US11899031B2 (en) 2015-05-01 2024-02-13 Abbott Laboratories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contents of a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116A (en) Valve having multi-piece valve housing
US5960819A (en) Valve having multi-part valve housing
US7458385B2 (en) Flapper type fill tube check valve
US4588102A (en) Cap with valve
EP1032784B1 (en) Weldable fuel tank valve apparatus
US4762247A (en) Orifice ring for a filling cap
KR101249222B1 (ko)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US20080237230A1 (en) Filler Neck to Fill Fuel Into a Vehicle Tank
US6470911B2 (en) Check valve and fuel tank with check valve attached thereto
KR20120100955A (ko) 무캡 급유 시스템
EP1040952A2 (en) Tank cap and fuel tank with the same
EP0823577B1 (en) Vent valve having multi-piece valve housing
JP2000266208A (ja) 燃料遮断弁
US4027910A (en) Terminal for the fuel filling pipe of a motor vehicle
KR19990087909A (ko) 충전제한벤트밸브조립체와그설치방법
KR20010022463A (ko) 자동차 연료 탱크 밸브용 지지 구조체와, 자동차 연료탱크 밸브 고정 방법
US6808209B2 (en) Attachment to be attached to fuel tank
KR19980018606A (ko) 멀티피스 밸브하우징을 갖는 밸브
JP2008531360A (ja) 燃料パイプ組立体の取付け装置と組立方法
KR100254141B1 (ko) 액체유출방지밸브장치
US7204279B2 (en) Filling-fixture for an intake tube of a fuel tank
JP4120160B2 (ja) 燃料遮断弁
JP7222774B2 (ja) 逆流防止装置の取付構造
JP2555793B2 (ja) フユーエルキヤツプ
JPH0427754A (ja) 燃料タンクのベントパイプ用の開閉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