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859A - 디지탈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탈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859A
KR19980017859A KR1019960037680A KR19960037680A KR19980017859A KR 19980017859 A KR19980017859 A KR 19980017859A KR 1019960037680 A KR1019960037680 A KR 1019960037680A KR 19960037680 A KR19960037680 A KR 19960037680A KR 19980017859 A KR19980017859 A KR 19980017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unit
digital
driv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3656B1 (ko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6003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65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한편 각종 피드백 신호 및 서보 제어를 위한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구동제어부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제어부에 위치제어를 위한 목표위치설정 명령을 내리는 주제어부와; 구동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구동장치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속도센서와; 서보 밸브 양단의 압력의 편차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차압센서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서보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의 제어를 디지탈 방식에 의해 수행하므로, 디지탈화된 목표위치값만 주어지면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가 디지탈화되어 있으므로 주변환경이나 사용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제어의 일관성 및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최적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값 조정이 용이하며, 시스템 개발단계에서 소정 기능을 용이하게 수정 및 보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유압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변환경의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디지탈(digital)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제어 시스템은 작은 전기 신호량을 입력시켜 모터 및 실린더 등으로 구성된 액츄에이터(actuator)를 매우 정밀하게 작동 및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유압 제어 시스템에는 통상 유압 서보 밸브가 사용되는데, 정밀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그 기능이 우수해야 함은 물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야 할 것 등의 조건이 요구되고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는 종래 유압 제어 시스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유압실린더(11)와, 유체의 흐름을 개폐 및 변경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서보밸브(12)와, 유압서보밸브(12)로 유입되는 유체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인-라인 필터(13)와,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14)와, 유압실린더(11)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스톱밸브(15)와, 예상되지 않은 높은 압력이 시스템에 발생되었을 시, 그 압력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 (16)와, 시스템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17)와, 유압실린더(11)의 후진에 따라 귀환되는 유체를 필터링하는 귀환필터(1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압실린더(11) 주변의 부호 LS1, LS2는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아날로그 방식에 의해 소정의 목표량을 제어하므로, 주변환경(온도,습도 등)이나 사용조건의 변화에 따른 시스템 내의 전자소자의 특성변화로 미소 변위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제어의 일관성 및 정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의 소정 기능에 대한 보완 및 수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최적제어를 위한 제어이득값의 조정이 어렵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제어의 일관성 및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고, 기능의 수정 및 보완이 용이하며, 제어이득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유압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유압 실린더 12,19...유압 서보 밸브
13...인-라인 필터 14...압력 게이지
15...스톱 밸브 16...릴리프 밸브
17...유압 펌프 18...귀환 펌프
21...주제어부 22...구동제어부
23...서보 액츄에이터 24...차압센서
25...속도센서 26...위치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한편, 각종 피드백(feedback)신호 및 서보 제어를 위한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구동제어부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제어부에 위치제어를 위한 목표위치설정 명령을 내리는 주제어부와; 구동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구동장치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속도센서와; 서보 밸브 양단의 압력의 편차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차압센서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서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한편 각종 피드백 신호 및 서보 제어를 위한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구동제어부(22)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제어부(22)에 위치제어를 위한 목표위치설정 명령을 내리는 주제어부(21)와, 구동장치(20)의 현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주제어부(21)로 전송하는 위치센서(26)와, 상기 구동장치(20)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22)로 전송하는 속도센서(25)와, 서보 밸브(미도시) 양단의 압력의 편차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22)로 전송하는 차압센서(24)와, 상기 구동제어부(22)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서보 액츄에이터(2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부(22)는 다시 각 전자소자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의 수행 및 각종 디지탈 정보의 관리를 위한 디지탈 처리부와,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의 결과를 실제적인 제어수행을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각종 센서신호를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각종 제어신호 및 센서신호를 안정화시키는 신호처리부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외부의 입력장치(미도시)를 통해 주제어부(21)로 소정의 목표위치값이 입력되면, 주제어부(21)는 위치센서(26)로부터 피드백받은 현재위치값과 상기 목표위치값과의 차이에 해당하는 위치오차량을 계산하여 구동제어부(22)로 전달한다. 그러면, 구동제어부(22)는 디지탈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비례,적분 및 미분)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위치오차량을 서보 제어량으로 변환한다. 이때, 시스템의 응답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구동속도 성분을 속도센서(25)에 의해 검출하여 상기 구동제어부(22)로 피드백시킨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감쇠성분을 크게 하여 안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압의 변동분인 차압(서보 밸브 양단 간의 압력 차이)성분을 차압센서(24)에 의해 검출하여 상기 구동제어부(22)로 피드백시킨다.
한편, 구동제어부(22)로부터 서보 액츄에이터(23)로 소정의 서보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그 전달된 서보 제어량에 따라 서보 밸브가 작동하고, 그에 따라 유압의 흐름방향 및 흐름량이 결정된다. 그리고, 그 제어된 유압에 따라 구동장치(20)가 작동한다.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구조체(미도시)는 예컨대, 회전운동이나 고저운동 등과 같은 운동을 하게 된다. 결국, 그와 같은 운동이 구조체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그와 같은 위치변화는 다시 위치센서(26)에 의해 감지되어 주제어부(21)로 전달되며, 주제어부(21)는 다시 그 신호를 분석하여 시스템에 반영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종래와는 달리 시스템의 제어를 디지탈 방식에 의해 수행하므로, 디지탈화된 목표위치값만 주어지면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가 디지탈화되어 있으므로 주변환경이나 사용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제어의 일관성 및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최적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값 조정이 용이하며, 시스템 개발단계에서 소정 기능을 용이하게 수정 및 보완할 수 있다.

Claims (2)

  1.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한편, 각종 피드백 신호 및 서보 제어를 위한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구동제어부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제어부에 위치제어를 위한 목표위치설정 명령을 내리는 주제어부와;
    구동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구동장치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속도센서와;
    서보 밸브 양단의 압력의 편차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차압센서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서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각 전자소자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의 수행 및 각종 디지탈 정보의 관리를 위한 디지탈 처리부와,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의 ]결과를 실제적인 제어수행을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각종 센서신호를 디지탈 제어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각종 제어신호 및 센서신호를 안정화시키는 신호처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19960037680A 1996-08-31 1996-08-31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018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680A KR0183656B1 (ko) 1996-08-31 1996-08-31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680A KR0183656B1 (ko) 1996-08-31 1996-08-31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59A true KR19980017859A (ko) 1998-06-05
KR0183656B1 KR0183656B1 (ko) 1999-04-15

Family

ID=1947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680A KR0183656B1 (ko) 1996-08-31 1996-08-31 디지탈 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82B1 (ko) * 2010-02-08 2012-01-05 김지홍 유압 서보밸브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82B1 (ko) * 2010-02-08 2012-01-05 김지홍 유압 서보밸브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3656B1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1182A (en) Smart valve positioner
EP1769159B1 (en) Feedback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pneumatic control systems
CN102080735B (zh) 一种压电开关式阀门定位器控制系统
US200902775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rate characteristics of a valve assembly
US65235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hrottle plate motor driving a throttle plate having opposing return springs
GB2280285A (en) Engine speed control
US580996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positioning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80017859A (ko) 디지탈방식의 유압 제어 시스템
US20030066514A1 (en) Electronic throttle servo hard stop detection system
US6573679B1 (en) Servomechanical control system and method
JP3213247B2 (ja) 弁開度制御装置
JP2790297B2 (ja) 油圧ポンプのトルク制御方法
JPH04351304A (ja) 油圧駆動装置
JPS63189914A (ja) 自己調整弁の圧力調整装置
JPH01273117A (ja) 2段弁用調整装置
JPS6267304A (ja) デイジタル弁クロ−ズドル−プ制御装置
RU1818568C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 числа Маха в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й трубе
JP2767376B2 (ja) 電磁比例弁の作動制御方法
JPS624703Y2 (ko)
JPH0515584Y2 (ko)
KR200256351Y1 (ko) 공작기계용 서보드라이브의 위치펄스 모니터링 시스템
EP1340307B1 (en) Closed loop clutch/brake control
SU941701A1 (ru) Электр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след щий привод
MXPA96004042A (en) Positioner of e efficient
JPH03282082A (ja) プログラマブル電磁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