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363U -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363U
KR19980017363U KR2019960030736U KR19960030736U KR19980017363U KR 19980017363 U KR19980017363 U KR 19980017363U KR 2019960030736 U KR2019960030736 U KR 2019960030736U KR 19960030736 U KR19960030736 U KR 19960030736U KR 19980017363 U KR19980017363 U KR 199800173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belt
safety device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학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30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363U/ko
Publication of KR19980017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36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81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mechanical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시트가 후진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탑승자가 윈드 실드나 스티어링 휠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ABS 컨트롤 유니트(4)의 시그널을 받아 폭발되는 인플레이터(5)와, 그 인플레이터의 폭발력에 의해 발사되는 플런저(6)와, 그 플런저와 시트(2)를 연결하는 견인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충돌시 시트를 후진시켜 충격을 완화시키므로서, 운전자의 머리 및 가슴이 프론트 윈드 실드나 스티어링 휠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돌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는 시트 쿠션, 시트 백 및 헤드 레스트의 기본 구조를 갖는 것으로, 승차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위치 조정구조와, 시트 쿠션의 높이 및 등받이 경사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시트의 위치 조정구조는 차체(1)의 플로어 패널에 고정된 채널에, 시트(2)의 하부에 고정된 레일이 안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시트(2)의 소정 위치에는 조정 레버(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전,후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시트는 차량의 충돌시에 대비한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통상, 자동차에는 충돌시에 대비한 안전장치로서, 에어백이나 안전밸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국내에서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안전밸트만 장착한 차량의 경우,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 및 가슴이 프론트 윈드 실드 혹은 스티어링 휠에 부딪쳐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차량의 충돌시 그 시트가 후진되도록 하므로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윈드 실드나 스티어링 휠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시트4-ABS 컨트롤 유니트
5-인플레이터6-플런저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안전밸트가 장착된 자동차의 시트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그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신호에 의해 시트가 후방향으로 이동되게 밀어 내는 푸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를 제안한다.
센싱부는 에어 백이 장착한 차량에서 ABS(air-bag system) 컨트롤 유니트으로 된다. 또한, 푸시수단은 ABS 컨트롤 유니트의 시그널에 의해 폭발되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해 발사되는 플런저와, 그 플런저와 시트를 연결하여 시트가 후진 이동되도록 하는 견인부재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를 보인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2)는 시트 쿠션, 시트 백 및 헤드레스트로 구성되는 시트를 지칭한다. 이 경우에, 시트(2)에는 안전밸트가 장착되어 있으나, 도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시트(2)의 바닥면에 고정된 레일(3)은 차체에 고정된 채널을 따라, 전,후(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시트(2)는 차량의 충돌시 후방으로 강력하게 밀려지므로서, 탑승자의 충격을 완화하고, 윈드 실드 및 스티어링 휠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충돌 안전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그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신호에 의해 시트가 후방향으로 이동되게 밀어 내는 푸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싱부는 에어 백이 장착된 차량에서 ABS 컨트롤 유니트(4)가 사용된다. 또한, 에어 백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차체에 별도의 충돌감지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푸시수단은 ABS 컨트롤 유니트(4)의 시그널을 받아 폭발되는 인플레이터(5)와, 그 인플레이터(5)의 폭발에 의해 발사되는 플런저(6)와, 그 플런저(6)와 시트의 사이에 연결되는 견인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플런저(6)는 실린더(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된다.
상기 견인부재는 플런저(6)에 일단이 연결되는 벨트(8)와, 그 벨트(8)의 타단이 권선되는 샤프트(9)로 구성된다. 또한, 샤프트(9)의 타단에 형성된 풀리(10)에 일단이 권선되고, 타단이 도르레(11)를 개재하여 시트(2)에 연결된 별도의 벨트(12)로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푸시수단은 상기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실린더나 액튜에이터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감지하는 ABS 컨트롤 유니트(4)의 시그널에 의해, 인플레이터(5)가 폭발된다.
인플레이터(5)의 폭발력을 받은 플런저(6)는 실린더(7)내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발사되면서, 견인부재를 순간적이고 강력한 힘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견인부재는 플런저(6)에 연결된 벨트(8)와, 그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9)와, 그 샤프트(9)에 의해 당겨지는 벨트(12)를 매개로 하여, 시트를 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의해 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시트의 탑승자는 안전밸트를 착용한 상태로 있어야 함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는 탑승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시트에 의한 후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푸시수단은 안전밸트를 착용하고 있는 탑승자를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프론트 윈드 실드나 스티어링 휠에 탑승자의 머리나 가슴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탑승자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차량의 추돌사고시에도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안전밸트가 장착된 자동차의 시트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충격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신호에 의해 시트가 후방향으로 이동되게 밀어 내는 푸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에어 백이 장착한 차량에서 ABS 컨트롤 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수단은 ABS 컨트롤 유니트의 시그널에 의해 폭발되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해 발사되는 플런저와, 그 플런저와 시트의 사이에 연결되는 견인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플런저에 일단이 연결되는 벨트와; 그 벨트의 타단이 권선되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의 풀리에 일단이 권선되고, 타단이 시트에 연결된 별도의 벨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KR2019960030736U 1996-09-23 1996-09-23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KR199800173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736U KR19980017363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736U KR19980017363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363U true KR19980017363U (ko) 1998-07-06

Family

ID=5397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736U KR19980017363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3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830B2 (en) Vehicle seat
US6758495B2 (en) Method and safety restraint device for restraining an occupant on a vehicle seat
CN1819938B (zh) 安全气囊装置
US6170874B1 (en) Variable energy-absorbing steering column
JP2856550B2 (ja) 自動車内の安全装置
US6142564A (en) Rearward moving seat with breakaway latch
EP1101660A1 (en) Airbag apparatus , installed on a vehicle seatbelt
JP2001058552A (ja) 車両衝突被害軽減システム
JP4056222B2 (ja) 自動車の安全ベルト配置
US6227597B1 (en) Vehicle seat with limited rearward movement
US88515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a vehicle occupant in a vehicle seat of a vehicle
US20200238855A1 (en) Vehicle with an occupant protection system with an enlarged free space available in the vehicle interior
EP3699035B1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18161974A (ja) 乗員保護装置
KR19980017363U (ko) 자동차의 충돌 안전장치
US8478488B2 (en) Impact event countermeasur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H11208337A (ja) 車輌の後部構造
KR200151151Y1 (ko)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JP2018161977A (ja) 乗員保護装置
KR100447317B1 (ko) 후방이동용 시트 구조
KR100496328B1 (ko) 차량 충돌시 시트를 후퇴시키기 위한 차량시트이동장치
CN114206669A (zh) 用于机动车辆的车辆乘员约束系统以及用于约束车辆乘员的方法
KR0142744B1 (ko) 자동차의 충격감지 시트이동장치
KR200152246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19980074971A (ko) 차량 충돌시 승객의 2차충돌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