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468A -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 Google Patents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468A
KR19980016468A KR1019960036060A KR19960036060A KR19980016468A KR 19980016468 A KR19980016468 A KR 19980016468A KR 1019960036060 A KR1019960036060 A KR 1019960036060A KR 19960036060 A KR19960036060 A KR 19960036060A KR 19980016468 A KR19980016468 A KR 19980016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gas
oil
separat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3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468A/ko
Publication of KR1998001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468A/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가 오일 팬의 오일이 증발하여 블로 바이 가스와 함께 인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가 없으므로 연소 성능이 저하되고 오일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분리기에 필터링을 통해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분리하여 오일 팬으로 리턴시키는 오일 제거 기구가 설치되어, 블로 바이 가스내에 함유된 오일을 오일 제거 기구를 통하여 필터링 함으로써 오일이 연소실로 유입되지 않아 연소 성능이 좋아지고 분리된 오일이 오일 팬으로 되돌아 가게 되어 오일 소모가 줄어드는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a)는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의 구성도,
(b)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오일 제거 기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분리기52 :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
53 : PCV 밸브60 : 오일 제거 기구
61 : 격벽 케이스62 : A 필터
63 : B 필터64 : 외부 파이프
65 : 공간부66 : 오일 리턴
71 : 실린더 헤드72 : 서지 탱크
본 발명은 연소실 및 실린더에서 크랭크 케이스로 누설된 블로 바이 가스를 환원하여 강제적으로 흡기 계통으로 재유도하는 블로 바이가스 환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로 바이 가스 내의 오일을 걸러 주어 흡기 계통으로 유입된 오일에 의한 연소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로 바이 가스는 압축 행정에서 크랭크 케이스로 누설되는 미연가스나, 폭발 행정에서 크랭크 케이스로 누설되는 연소 가스를 통칭하여 일컫는 말이다. 블로 바이 가스에는 일산화탄소나 탄화수소와 같은 미연소 가스와 증기화된 엔진 오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냥 배출할 경우 대기 오염의 우려가 있고 또한 연료와 오일의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블로 바이 가스를 흡기 계통으로 재유도하고 미연소 가스를 재차 연소시킴으로써 배기 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종래의 블로 바이 가스 한원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20)에 설치되어 블로 바이 가스를 분리하는 분리기(11)와, 상기 분리기(11)와 서지 탱크(22) 사이를 연결하는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12)와, 상기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12)와 서지 탱크(22) 연결부(24)에 설치되어 환원되는 블로 바이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PCV 밸브(13)와, 에어 클리너(21)와 크랭크 케이스(23) 사이를 연결하여 신기를 크랭크 케이스(23) 내로 공급하는 신기 파이프(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크랭크 케이스(23)내의 블로 바이 가스를 상기 분리기(11)에서 분리하고 실린더의 부압을 이용하여 서지 탱크(22)로 재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엔진의 작동에 따라 블로 바이 가스가 발생되면 상기 분리기(11)가 블로 바이 가스를 분리하게 되고, 분리된 블로 바이 가스는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12)를 통해 서지 탱크(22)로 재유도된다. 상기 PCV 밸브(23)는 흡기 부압에 따라 서지 탱크(22)로 재유도되는 블로 바이 가스의 양을 규제하여 엔진의 부조를 막게 된다.
경부하시, 즉 흡기 부압이 클 경우에는 상기 신기 파이프(14)를 통해 에어 클리너(21)의 신기가 크랭크 케이스(23) 내로 공급되어 블로 바이 가스와 함께 PCV 밸브(13)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된다.
중부하시에는 크랭크 케이스(23) 내에 발생되는 블로 바이 가스의 양이 많아지므로, 블로 바이 가스의 압력이 높아져 블로 바이 가스가 PCV 밸브(23)를 통해서 엔진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신기 파이프(14)를 역류하여 에어 클리너(21)를 통해서도 엔진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오일 팬(25)의 오일이 증발하여 블로 바이 가스와 함께 엔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가 없으므로 연소 성능이 저하되고 오일 소모가 많아 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링을 통해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분리하여 오일 팬으로 리턴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흡기 계통으로 유입된 오일에 의한 연소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오일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블로 바이 가스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와 서지 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에 필터링을 통해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분리하여 오일 팬으로 리턴시키는 오일 제거 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71)에 설치되어 블로 바이 가스를 분리하는 분리기(51)와, 상기 분리기(51)와 서지 탱크(72) 사이를 연결하는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52)와,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52)와 서지 탱크(72) 연결부(74)에 설치되어 블로 바이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PCV 밸브(53)와, 상기 분리기(51)와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52) 사이에 설치되어 필터링을 통해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제거 기구(60)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 제거 기구(60)는 분리기(51)에 연결되고 블로 바이 가스가 통과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격벽 케이스(61)와, 상기 격벽 케이스(61)의 외측에 위치되고 오일을 흡수하는 A 필터(62)와, 상기 A 필터(62)의 외측에 위치되어 증발 오일을 차단하고 블로 바이 가스만 통과시키는 B 필터(63)과, 상기 B 필터(63)의 외측에 위치되고 블로 바이가스 파이프(52)에 연결되는 외부 파이프(64)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A 필터(62)와 B 필터(63) 사이의 공간부(65)와 오일팬(75) 사이에는 분리된 오일이 되돌아 갈 수 있도록 오일 리턴(6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랭크 케이스(63) 내에 블로 바이 가스가 발생되면 상기 분리기(51)가 블로 바이 가스를 분리하여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52)를 통해 서지 탱크(72)로 재유도하게 된다. 이때, PCV 밸브(53)는 흡기 부압에 따라 서지 탱크(72)로 공급되는 블로 바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크랭크 케이스(73)내의 블로 바이 가스에는 기화된 오일이 함유되었으나 상기 오일 제거 기구(60)를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순수한 블로 바이 가스만이 서지 탱크(72)로 공급된다.
즉, 분리기(51)에서 분리된 블로 바이 가스는 상기 격벽 케이스(61)를 통해 A 필터(62)로 공급되고, A 필터(62)는 블로 바이 가스를 빠르게 흡수하여 B 필터(63)와의 공간부(65)로 유입시키게 된다. 오일은 B 필터(63)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순수한 블로 바이 가스만이 외부 파이프(64)를 통해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52)로 공급된다.
이때, 두 필터 사이의 공간부(65)에 잔류된 오일은 오일 리턴을 (66)통해 오일 팬(75)으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는 블로 바이 가스 내에 함유된 오일을 오일 제거 기구를 통하여 필터링 함으로써 오일이 연소실로 유입되지 않아 연소 성능이 좋아지고, 분리된 오일이 오일 팬으로 되돌아 가게 되어 오일 소모가 줄어드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블로 바이 가스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와 서지 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에 필터링을 통해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분리하여 오일 팬으로 리턴 시키는 오일 제거 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제거 기구는 분리기에 연결되고 블로 바이 가스가 통과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격벽 케이스와, 상기 격벽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고 오일을 흡수하는 A 필터와, 상기 A 필터의 외측에 위치되어 블로 바이 가스만 통과시키는 B 필터와, 상기 B 필터의 외측에 위치되고 블로 바이 가스 파이프에 연결되는 외부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KR1019960036060A 1996-08-28 1996-08-28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KR19980016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060A KR19980016468A (ko) 1996-08-28 1996-08-28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060A KR19980016468A (ko) 1996-08-28 1996-08-28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468A true KR19980016468A (ko) 1998-06-05

Family

ID=6632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060A KR19980016468A (ko) 1996-08-28 1996-08-28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4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6468A (ko) 블로 바이 가스 환원 장치
KR100820684B1 (ko) 실린더 헤드커버에 장착되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US20220056825A1 (en) Breather/check valve oil and air separator system and method
GB2262134A (en) I.c. engine crankcase gas treatment system
KR200181702Y1 (ko) 블로바이 가스의 과다흡입 방지장치
KR200153737Y1 (ko) 블로 바이 가스 환원 구조
KR0139655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여과장치
KR100410489B1 (ko) 블로우바이가스의 불순물 정화장치
KR100513461B1 (ko) 오일 분리기가 부설된 이지알 쿨러
KR100219206B1 (ko) 오일분리겸용 피이.씨.브이 밸브
KR101013747B1 (ko) 엔진 흡기계로의 블로바이가스 유출방지장치
KR0124053Y1 (ko) 자동차의 블로바이 가스 배출 튜브구조
KR200160391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200166942Y1 (ko)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950005822B1 (ko) 블로바이 가스와 오일의 유도분리구조를 갖는 캠샤프트 커버
KR100274021B1 (ko)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장치의 필터링 장치
KR100589177B1 (ko) 실린더 헤드 커버의 벤트 구조
KR100373247B1 (ko)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순환시스템
KR19980028047A (ko) 블로바이가스에 함유된 오일의 분리회수장치
KR19980020736U (ko) 자동차의 세퍼레이터 겸용 엔진 오일 공급 장치
KR200251761Y1 (ko) 탄화수소 포집기능을 구비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9980028583U (ko) 브로바이가스 제어용 세퍼레이터설치구조
KR19980055473A (ko)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오일 세퍼레이터
KR20030018525A (ko) 터보차저 엔진용 블로우 바이 가스의 오일분리장치
JP2002242645A (ja) オイルセパ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