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964A -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964A
KR19980015964A KR1019960035446A KR19960035446A KR19980015964A KR 19980015964 A KR19980015964 A KR 19980015964A KR 1019960035446 A KR1019960035446 A KR 1019960035446A KR 19960035446 A KR19960035446 A KR 19960035446A KR 19980015964 A KR19980015964 A KR 1998001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gas leakage
gas
cal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흥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964A/ko
Publication of KR1998001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964A/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또한 부재중 호출기능을 이용하여 가스 누출 경보를 알리는 전화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호출번호 데이타와 가스누출을 알리는 경보 데이타 저장하는 메모리와, 가스누출을 감지하여 가스누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가스누출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가스경보발생수단을 구비한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에 의해 호출할 수 있도록 호출번호 데이타를 저장하여 호출모드를 수행하는 호출모드 설정과정과,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가 정해진 시간동안 계속 입력되면 가스누출 신호로 판정하는 가스감지과정과, 상기 판정 결과가 가스누출 신호일 경우 가스누출 경보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상기 가스누출 경보발생 제어신호을 출력하는 경보발생과정과, 상기 판정 결과가 가스누출 신호일 경우 설정된 호출모드에 따라 호출하여 가스누출을 알리는 경보 데이타를 송출하는 가스누출 경보 호출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전화장치에서 가스누출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할 때 이용된다.

Description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부재중 호출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또한 부재중 호출기능을 이용하여 가스누출 경보를 알리는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호출 수신장치나 개인 휴대폰과 카폰등의 개인용 단말기들이 많이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부재중 호출기능을 가진 전화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부재중 호출기능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 먼저 호출번호를 저장하고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출번호에 따라 호출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화장치의 모드를 호출모드를 설정한 후 외출한다. 이때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전화장치는 안내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 안내메세지는 부재중 안내메시지로서, 예를들면 지금은 부재중입니다. 메시지를 남기면 곧 연락드리겠습니다와 같다. 이에 따라 전화를 건 사람이 음성메시지를 남기면 상기 전화장치는 이를 저장한다. 그런 다음 전화을 건 사람이 전화를 끊었을 때 발생하는 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장치는 설정된 호출모드에 따라 상기 호출번호를 리드(READ)하고 이를 인코딩하여 공중전화라인을 통해 교환기로 송출한다. 그래서 상기 교환기에 의해 상기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와 연결되어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전화장치는 상기 음성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송출한 후에 통화를 끊고 다시 설정된 모드로 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가정마다 가스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도시가스의 보급이 더욱 확대 되면서 가스의 사용은 더욱 증가될 것이다. 하지만 가스는 그 이용에 따라 장점이 많으나 누출시에는 아주 위험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가스누출 경보를 발생하는 장치에는 가스경보기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가스경보기는 집에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가스누출 경보음이 울려도 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화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 누출이 감지될 때 부재중 호출기능을 이용하여 가스 누출을 알리는 경보 메시지나 신호를 송출하는 전화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에서 부재중 호출모드 설정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에서 부재중 가스누출 경보 호출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의 구성도로서, 제어부(10)와, 메모리(20)와, 키입력부(30)와, 인코더/디코더(40)와,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Line Interface Unit;50 이하 LIU라 함.)와, 센서(60)와, 부저(70)로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30)는 다수의 기능키들과 전화번호 숫자키들을 구비하여 외부의 키조작에 따라 해당 키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20)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호출번호 데이타와, 각종 안내 메시지 데이타와, 전화가 걸려와서 음성메시지를 남길 경우의 음성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한다. 상기 센서(60)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가스누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부저(70)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가스누출 경보음를 발생한다. 상기 인코더/디코더(40)는 외부에서 걸려온 톤신호를 전송받아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상기 호출번호 데이타를 입력받아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상기 LIU(50)는 상기 인코더/디코더(40)와 공중 전화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톤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라인의 직류 전류 루우프를 형성하여 전화장치와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20)와 상기 부저(70)와 상기 인코더/디코더(40)와 상기 키입력부(30)와 상기 센서(6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키입력부(30)에서 키데이타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센서(60)에서 가스누출 감지신호을 입력받아 상기 카운터를 구동하여 카운트하여 일정시간이 되면 가스누출 신호로 판정한다. 상기 판정 결과가 가스누출 신호이면 상기 제업부(10)는 상기 부저(70)로 경보발생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판정 결과가 가스누출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호출번호 데이타를 리드하여 상기 인코더/디코더(40)로 보내고, 통화로를 형성되면 상기 가스누출 경보 데이타를 리드하여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종래의 호출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경보 전화장치에서 부재중 호출모드 설정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부재중 호출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호출모드를 설정해야 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먼저 호출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키입력부(30)에서 호출모드 설정 선택키를 조작할 것이다. 그러면 제10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키입력부(30)에서 호출모드 설정 선택키 데이타가 입력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제1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메모리(20)에서 제1안내 메시지 데이타를 독출하여 핸드 (도면에는 없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 메시지는 호출모드 설정에 필요한 안내메시지로서, 호출번호를 저장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1안내메시지에 따라 원하는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조작할 것이다. 그러면 제1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키입력부(30)에서 호출번호 키데이타가 입력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제1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호출번호 키데이타를 상기 메모리(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14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메모리(20)에 제2안내메시지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안내메시지는 가스누출 경보데이타로서 음성이나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그리고 제15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키입력부(30)에서 호출모드 설정키 데이타가 입력되면 호출모드를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에서 부재중 가스누출 경보 호출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의 구성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스가 누출되면 센서(60)는 이를 감지하여 가스누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2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를 입력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제2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에 따라 카운터를 구동하여 카운팅을 시작한다.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가 계속 입력되어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0)는 가스 누출 신호로 판정하여 다음 과정을 수행하고, 정해진 시간을 지나지 않으면 가스 누출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여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판정 결과가 가스 누출 신호이면 제24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가스누출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부저(7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부저(70)는 상기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한다. 그리고 제2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메모리(20)을 액세스하여 설정된 모드가 호출모드인지 판정한다. 상기 판정 결과가 호출모드이면 제2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메모리(20)에서 설정된 호출번호 데이타를 공중전화라인을 통해 교환기로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교환기는 상기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를 찾아 연결하고, 연결신호를 상기 LIU(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LIU(50)는 상기 신호를 받아 상기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10)에 연결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제25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LIU(50)를 통해 상기 연결신호를 받아 통화로가 형성되었음을 감지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제26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가스누출 경보 데이타를 송출한다. 여기서 무선단말기들은 무선의 특성상 완벽한 호달성율을 갖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스누출 경보 데이타를 송출하면 수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응답신호를 발생하여 수신하였음을 알리면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제270단계에서 수신응답신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응답신호는 사용자가 정의하며 예를들면 특수문자 다이얼톤인 *나 #의 톤신호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상기 수신응답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30단계로 돌아가 상기 수신응답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여 가스누출 경보 데이타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전달한다.
부재중 호출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에 가스 누출 경보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외출시에도 가스 누출을 확인할 수 있어서 가스누출로 인한 위험에 대처하기 쉽다. 또한 종래의 전화장치에 센서를 부가하여 구성함으로써 비용이 싸고 구현이 용이하며 전화장치의 기능을 확대하여 가스누출 경보기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Claims (3)

  1. 호출번호 데이타와 가스누출 경보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공중전화라인에 접속되어,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경보음를 발생시키는 전화장치에 있어서,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가스누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과,
    가스누출 경보발생 제어신호에 의해 가스누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발생수단과,
    상기 메모리와, 상기 감지수단과, 상기 경보발생수단과 접속하고,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스누출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호출번호 데이타를 송출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기 가스경보 데이타를 발송함으로써 부재중 가스경보를 알리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호출번호 데이타와 가스누출을 알리는 경보 데이타 저장하는 메모리와, 가스누출을 감지하여 가스누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가스누출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가스경보발생수단을 구비한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에 의해 호출할 수 있도록 호출번호 데이타를 저장하여 호출모드를 수행하는 호출모드 설정과정과,
    상기 가스누출 감지신호가 정해진 시간동안 계속 입력되면 가스누출 신호로 판정하는 가스감지과정과,
    상기 판정 결과가 가스누출 신호일 경우 가스누출 경보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상기 가스누출 경보발생 제어신호을 출력하는 경보발생과정과,
    상기 판정 결과가 가스누출 신호일 경우 설정된 호출모드에 따라 해당 호출번호로 호출하여 가스누출을 알리는 경보 데이타를 송출하는 가스누출 경보 호출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누출 경보 호출과정이 수행된 후에 상기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로부터 전송한 상기 가스누출 경보 데이타를 수신했음을 알리는 수신응답신호 입력하여 통화를 끊고, 만약 상기 수신응답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응답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가스누출 경보 호출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35446A 1996-08-24 1996-08-24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15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446A KR19980015964A (ko) 1996-08-24 1996-08-24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446A KR19980015964A (ko) 1996-08-24 1996-08-24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64A true KR19980015964A (ko) 1998-05-25

Family

ID=6625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446A KR19980015964A (ko) 1996-08-24 1996-08-24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9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168B1 (ko) * 2021-05-27 2022-04-11 (주)다온시앤디 지능형 건물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168B1 (ko) * 2021-05-27 2022-04-11 (주)다온시앤디 지능형 건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KR100194427B1 (ko) 전화단말기에서 호출시 발신자번호 음성메세지 발생장치 및 방법
KR19980015964A (ko) 가스누출 경보 기능을 가진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34152Y1 (ko) 원격 경보/인터폰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JPH10271205A (ja) 通信端末装置
KR0155634B1 (ko) 전화기의 호 대기 방법
KR100277060B1 (ko)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 안내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154128Y1 (ko) 전화기 송수화기의 미안착경보장치
KR100690757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호 착신알림모드 전환방법
KR970072912A (ko)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방범 방재 방법
JP2009130704A (ja) 通信装置
KR100460632B1 (ko) 무선 랜을 이용한 사설 교환기 상태 경보 및 가입자 호출표시 장치
KR20000041878A (ko) 경보/호출 전화기 및 이를 사용한 경보/호출 방법
KR0151428B1 (ko) 페이저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20303B1 (ko) 셀룰라폰의발신자메세지저장방법
KR100208372B1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방문자 검출 경보장치 및 방법
KR0122731B1 (ko) 전화기의 페이져 수신기 호출신호 통보장치
KR0157714B1 (ko) 긴급호출 방법 및 장치
KR960039805A (ko) 전화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장치
JP2000244633A (ja) 無線通信装置
KR200234153Y1 (ko) 원격 인터폰/경보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KR20010077636A (ko) 무선 전화기에서 침입 알림 장치 및 방법
AU2002300449B2 (en) A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KR100202139B1 (ko) 전화 단말장치의 통화로 자동절단방법
KR20010011362A (ko) 무선 전화기 고정장치의 침입자 감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