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946U - 누름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누름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946U
KR19980015946U KR2019960029225U KR19960029225U KR19980015946U KR 19980015946 U KR19980015946 U KR 19980015946U KR 2019960029225 U KR2019960029225 U KR 2019960029225U KR 19960029225 U KR19960029225 U KR 19960029225U KR 19980015946 U KR19980015946 U KR 199800159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upport member
pressing
pressing piece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29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946U/ko
Publication of KR19980015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94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름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 단자(170) 머리부를 수용할 수 있고 슬라이드판(113)이 구비되어 있으며 누름공(117, 119)이 천공되어져 있고 누름편(151, 153)을 안내하는 가이드(111)가 구비된 한 쌍의 상, 하 플러그 하우징(110, 130)과, 한쪽 끝단이 경사져 있으며 중간에 걸림턱이 구비된 상, 하의 누름편(151, 153)과, 삼각기둥 머리부와 그 직각 방향이 기둥으로 된 버팀부재(150), 그리고 버팀부재(150)와 상, 하 누름편(151, 153)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체(155)로 구성되어 지며, 탄성체(155)가 버팀부재(150) 기둥에 끼워진 상태로 버팀부재(150) 머리부가 플러그 하우징(110)의 슬라이드판(113)상에 위치되며, 누름편(151, 153)의 경사진 면이 버팀부재(150) 머리부의 한쪽 면과 접촉하게 하고 누름편(151, 153) 한쪽 끝은 누름공(117, 119)을 통하여 플러그 하우징(110, 130) 외부로 돌출 되어진 상태로 상, 하 플러그 하우징(110, 130)이 조립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누름형 플러그를 손으로 잡아당기는 힘에다가 버팀부재가 콘센트를 밀쳐 내는 힘이 더하여 져서 보다 쉽게 그리고 보다 작은 힘으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누름형 플러그
본 고안은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의 내부에 상, 하 누름편과 버팀부재를 설치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아 낼 때 버팀부재가 콘센트를 밀쳐 낼 수 있게 하여 플러그가 콘센트에서 보다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한 누름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제품에 반듯이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접속하여 전기, 전자제품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는 전선이 각각 연결된 두개의 플러그 단자가 상, 하의 플러그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각 플러그단자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쪽 끝이 콘센트 단자에 접속할 수 있을 정도로 플러그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상, 하 플러그 하우징을 체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110V용 플러그나 플러그 단자의 단면이 원형인 220V용 플러그나 플러그 단자의 단면만 다를 뿐 그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플러그를 전기, 전자제품에 사용할 경우에, 통상 제품을 사용할 때나 사용하지 아니할 때나 항상 콘센트에 꼽아 두고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제품의 전원 스위치만 꺼둔 상태로 사용한다. 이것은 전원을 공급하는 두개의 전선 중에서 한 선만 차단하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되어 차단되지 않은 나머지 한 전선을 통하여 미세한 전류가 전기, 전자제품의 내부에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하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전기, 전자제품에 항상 전원을 인가한 상태가 되어 전기, 전자제품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누구나가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항상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아 두도록 매스컴으로부터 권유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속은 어린아이들의 손길이나 기타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어떠한 방해에도 불구하고 전기, 전자 제품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양 접속단자는 콘센트 단자의 탄성에 의하여 강하게 결합되어 진다.
특히 콘센트를 처음 사용할 경우에는 콘센트 단자의 탄성력이 강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을 때에 플러그가 잘 뽑혀지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전선을 감아 잡고 플러그를 억지로 잡아 뽑는 다던가 양손으로 겨우 잡아 뽑는 다던가 하지만 이것은 감전사고 등 전기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의 기술 중에서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를 회전시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것(실용신안 공고번호 95-1464)이 있으나 상기의 고안은 근본적으로 플러그 자체를 콘센트에서 뽑는 것에 관한 것은 아니며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보다 쉽게 뽑을 수 있는 것에 관한 기술은 조사된바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보다 쉽게 뽑을 수 있게 하는 플러그 구조를 안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 상, 하 누름편과 이러한 상, 하 누름편에서의 외력을 콘센트에 전달할 수 있도록 버팀부재를 설치한 누름형 플러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누름형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제2도를 A-A 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누름형 플러그와 콘센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b)는 누름형 플러그와 콘센트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누름 플러그110 : 하부 플러그 하우징
111 : 가이드113 : 슬라이드 판
115 : 결합공117 : 누름공
130 : 상부 플러그 하우징150 : 버팀부재
151 : 상부 누름편153 : 하부 누름편
155 : 탄성체170 : 플러그 단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플러그 단자(170)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머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격벽이 있고 버팀부재(150)의 머리부가 미끄러질 수 있는 슬라이드판(113)과 그리고 누름편(151, 153)을 안내하는 가이드(111)가 설치되며 누름편(151, 153)이 왕복할 수 있도록 누름공(117, 119)이 천공되어져 있는 한 쌍의 상, 하 플러그 하우징(110, 130)과, 한쪽 끝단이 경사져 있고 그 중간에 누름편(151, 153)이 플러그 하우징(110, 130)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상, 하 누름편(151, 153)과, 머리부가 삼각기둥으로 되어 있고 그 직각 방향으로 원기둥이 결착된 버팀부재(150)와, 버팀부재(150)와 상, 하의 누름편(151, 153)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체(155)로 구성되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먼저 탄성체(155)를 버팀부재(150)의 원기둥부에 끼우고, 이렇게 탄성체(155)가 끼워진 버팀부재(150)의 머리부는 하부 플러그 하우징(110)의 슬라이드판상에 위치시키고 버팀부재(150)의 원기둥부는 하부 플러그 하우징(110) 끝단의 반원형 홈에 위치시킨다. 이때 탄성체(155)가 하부 플러그 하우징(110)의 턱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누름편(153)의 경사진 면이 버팀부재(150) 머리부의 아래쪽 면과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하부 누름편(153)의 경사지지 않은 쪽을 하부 누름공(117)에 삽입한다. 하부 누름편(153)을 하부 누름공(117)에 삽입할 때에는 누름공(117)에 안접하여 돌설된 누름편 가이드(111)의 안쪽으로 끼운다. 이러한 조립구조는 버팀부재(150)가 탄성체(155)에 의하여 탄성을 받고 있더라도 가이드(111) 때문에 누름편(151, 153) 자체가 외부로 밀려나지 않는다. 하부 플러그 하우징(110)은 통상의 플러그와 같이 전선이 나사못(173)으로 연결된 두개의 플러그 단자(170) 머리부(171)가 하부 플러그 하우징(110)의 격리된 격벽내에 삽입되어 조립 완성된다. 이렇게 조립된 하부 플러그 하우징(110)에 상부 누름편(151)의 머리부가 상부 누름공(119)에 삽입되어진 상부 플러그 하우징(130)을 위치시키고 두개의 결합공(115)에 두개의 나사못(131)을 이용하여 상, 하의 플러그 하우징(110, 130)을 결합시킨다. 이렇게 하므로써 두개의 플러그 단자(170)가 일부씩 노출된 누름형 플러그(100)의 조립이 완결된다.
본 고안에 의한 누름형 플러그의 작동과정을 제2도 및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누름형 플러그(100)를 통상의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서 플러그 단자(170)는 콘센트 단자(31)에 강하게 결합되어 있고 본 고안인 누름형 플러그(100)의 버팀부재(150) 머리부는 탄성체(155)의 탄력을 받아 콘센트(30)의 반대쪽 끝으로 밀려나 있다. 그리고 이때의 상, 하 누름편(151, 153)은 버팀부재(150)의 머리부에 의하여 플러그 하우징 밖으로 밀려나 있다. 이러한 상태의 단면도(제2도의 A-A 선으로 절단)를 제3도의 (a)에서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서 미설명 부호 10은 전선을 말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누름형 플러그(100)와 콘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이렇게 전원을 공급받던 전기, 전자제품을 그만 사용할 경우에는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아 두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플러그는 플러그 자체나 전선을 잡고 뽑아야 하지만 본 고안에 의한 누름형 플러그(100)는 상, 하의 누름편(151, 153)을 아래 위에서 눌러 주면서 동시에 본 고안에 의한 누름형 플러그(100)를 잡아 뽑으면 된다. 본 고안에 의한 누름형 플러그(100)에서 상, 하의 누름편(151, 153)을 아래 위에서 눌러 주면 상, 하의 누름편(151, 153)은 버팀부재(150) 머리부의 양쪽 경사면을 밀어주게 되고 머리부의 단면이 쐐기형인 버팀부재(150)는 콘센트 쪽으로 밀려나면서 누름편에 가해진 힘을 콘센트 벽면에 전달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누름형 콘센트(100)를 콘센트에서 뽑고 난 후 상, 하의 누름편(151, 153)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체(155)의 탄성을 받아 버팀부재(150)와 상, 하의 누름편(151, 153)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에 의한 누름형 플러그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할 때 통상적인 플러그를 잡아 뽑을 때 드는 힘보다도 누름형 플러그를 손으로 잡아당기는 힘과 버팀부재가 콘센트를 밀쳐내는 힘이 더하여져서 보다 쉽게 그리고 보다 작은 힘으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플러그 단자 머리부를 수용할 수 있고 슬라이드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누름공이 천공되어져 있고 누름편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된 한쌍의 상, 하 플러그 하우징;
    한쪽 끝단이 경사져 있으며 중간에 걸림턱이 구비된 상, 하의 누름편;
    삼각기둥 머리부와 그 직각 방향이 기둥으로 된 버팀부재;
    상기의 버팀부재와 상기의 상, 하 누름편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체;
    로 구성되어지며, 상기의 탄성체가 상기의 버팀부재 기둥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의 버팀부재 머리부가 상기의 플러그 하우징의 슬라이드판상에 위치되며, 상기 누름편의 경사진 면이 상기 버팀부재 머리부의 한쪽면과 접촉하게 하고 상기의 누름편 한쪽 끝은 상기의 누름공을 통하여 상기의 플러그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진 상태로 상기의 상, 하 플러그 하우징이 조립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형 플러그.
KR2019960029225U 1996-09-13 1996-09-13 누름형 플러그 KR199800159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225U KR19980015946U (ko) 1996-09-13 1996-09-13 누름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225U KR19980015946U (ko) 1996-09-13 1996-09-13 누름형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46U true KR19980015946U (ko) 1998-06-25

Family

ID=5397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225U KR19980015946U (ko) 1996-09-13 1996-09-13 누름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9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891B1 (ko) * 1999-06-11 2002-01-04 김수남 전원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891B1 (ko) * 1999-06-11 2002-01-04 김수남 전원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4205A (en) Protected connector plug
JPS55155479A (en) Electric receptacle connector
KR970004164A (ko) 스위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4013330A (en) Dual-standard electric plug
JP2003503823A5 (ko)
KR19980015946U (ko) 누름형 플러그
KR20070092568A (ko) 전원플러그
CN110265818B (zh) 一种大电流连接器
KR890016709A (ko) 도체핀으로부터의 도체부재 언록킹 커넥터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183936Y1 (ko) 전기기구용 콘센트
KR100340447B1 (ko) 안전 콘센트
KR200340351Y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KR200165498Y1 (ko) 플러그 분리구조
KR20000010029A (ko) 전원 스위치가 장착된 파워코드
CN213905668U (zh) 一种可快拆装电源插头
KR20010075993A (ko)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
GB2297205A (en) Electrical connectors
CN210224481U (zh) 一种防开路连接器
KR200417230Y1 (ko) 전원플러그
KR950001464Y1 (ko) 플러그
CN209993874U (zh) 用于电气开关柜的触头组件
KR100198820B1 (ko) 220/110 볼트 겸용 플러그
KR200189829Y1 (ko) 스위치를 형성한 콘센트
KR20040054334A (ko) 멀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