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456U -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456U
KR19980015456U KR2019960028684U KR19960028684U KR19980015456U KR 19980015456 U KR19980015456 U KR 19980015456U KR 2019960028684 U KR2019960028684 U KR 2019960028684U KR 19960028684 U KR19960028684 U KR 19960028684U KR 19980015456 U KR19980015456 U KR 199800154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aundry
washing tank
washing machin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의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8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456U/ko
Publication of KR19980015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456U/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구획수단과, 상기 세탁조의 각 구획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작용을 하는 복수의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들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여러 종류의 세탁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동시 세탁이 가능하여 여러번의 세탁작동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소량의 세탁물의 경제적인 세탁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본 고안은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작용을 하는 종래의 세탁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세탁기는 세탁기 전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싱(41)과, 아웃케이싱(4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아웃터브(43)와, 아웃터브(4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세탁조(45)를 가지고 있다. 아웃터브(41)는 하부가 다수의 현가장치(44)에 의해 아웃케이싱(41) 내에 지지되어 있고, 아웃터브(43)의 하부에는 구동모터(51) 및 샤프트조립체(5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51)의 동력은 벨트(57)를 통해 샤프트조립체(53)에 전달되고, 샤프트조립체(53)는 샤프트(59)를 통해 세탁조(45) 또는 세탁조(45) 내에 설치되어 있는 펄세이터(46)를 회전구동시킨다. 펄세이터(46)가 회전함으로써 세탁조(45) 내에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조(45)에 수용된 세탁물의 세탁작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여러 종류의 세탁물을 한 세탁조 내에 수용하여 세탁작동을 하므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함께 세탁하는 것이 부적합한 경우에는 여러번의 세탁작동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면종류의 세탁물과 나일론 이나 폴리에스테르 계통의 세탁물, 또는 세탁시 탈색이 되는 세탁물과 다른 세탁물의 탈색에 의해 변색될 수 있는 세탁물들이 혼재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여러번에 나누어 따로따로 세탁작동을 수행하거나 불가피하게 함께 세탁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기의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게 된다.
또한,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고자 할 경우에도 사용자는 세탁기 전체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전력의 소비와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의 소비가 불필요하게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세탁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동시 세탁이 가능하고, 소량의 세탁물의 경제적인 세탁이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 부분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조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세탁조의 상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블럭도,
도 5는 종래의 세탁기의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세탁조11, 12: 펄세이터
15:분리판16:패킹부재
18:그루브20:마이컴
21, 22: 구동모터23:드레인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구획수단과, 상기 세탁조의 각 구획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작용을 하는 복수의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들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세탁조 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분리판과,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에 부착되며 상기 분리판의 연부에 기밀적으로 형상맞춤하는 그루브가 형성된 패킹부재를 포함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펄세이터들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모터로 구성하여 상기 각 펄세이터들이 개별적인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조는 평단면이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펄세이터들은 상기 세탁조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도록 하여, 상기 세탁조의 각 구획공간의 형상을 세탁작동에 적합하도록 유지하고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 부분사시도로서, 세탁조와 펄세이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조의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세탁조의 상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도 5에서 설명한 종래의 세탁기와 같이, 아웃케이싱(미도시) 내에 수용되는 터브(미도시) 및 세탁조(10)를 가지고 있으며, 터브를 아웃케이싱 내에 지지하는 현가장치(미도시) 등을 가지고 있다.
세탁조(10)는 평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타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세탁조(10)의 내부에는 분리판(15)이 설치되어 있다. 분리판(15)은 세탁조(10) 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세탁조(10)의 내부를 타원상의 장축방향에 해당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분리판(10)은 각 연부가 세탁조(10)의 내벽면 및 저면에 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세탁조(10)의 내벽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패킹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패킹부재(16)는 세탁조(10)의 타원상의 단축방향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판(15)의 양측연부에 기밀적으로 형상맞춤하는 그루브(18)를 가지고 있다. 패킹부재(1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조(10)의 저면에도 연장되어 설치되며, 이에 따라 분리판(15)의 양측연부 및 하측연부는 패킹부재(16)의 그루브(18)에 삽입되어 세탁조(10)를 두 개의 공간으로 기밀적으로 구획한다. 또한, 분리판(15)은 상하방향으로 그루브(18)에의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여, 세탁조(10)의 내부 공간을 한 개로 만들 수도 있다.
구획된 세탁조(10)의 각 구획공간의 저면에는 펄세이터(11, 12)가 설치되어 있다. 각 펄세이터(11, 12)는 세탁조(10)를 수용하는 터브(미도시)의 저면에 설치된 두 개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구동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블럭도이다. 세탁기의 전체적인 제어는 마이컴(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원(31)은 마이컴(2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조작부(33)는 세탁기의 아웃케이싱의 상부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세탁 강도나 세탁물의 양, 세탁작동 시간 등을 설정하여 마이컴(20)에 입력하는 부위를 제공한다. 메모리부(34)는 마이컴(2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하고, 표시부(35)는 세탁기의 현재 상태를 외부에 표시한다.
마이컴(20)은 다수의 버퍼(24)를 통해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펄세이터(11) 및 제2펄세이터(12)를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21) 및 제2구동모터(22)와 세탁조(10)의 배수작동을 행하기 위한 드레인모터(23)를 제어한다. 각 버퍼(24)로부터의 출력은 대응하는 트라이악(26)을 기동시켜 모터구동전원(25)을 각 모터(21, 22, 23)에 인가시키며, 이에 따라 각 모터(21, 22, 23)의 구동에 의한 펄세이터(11, 12)의 구동 및 배수작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조작부(33)의 외부 조작에 의해 각 구동모터(21, 22)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 작동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세탁물을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분리판(15)에 의해 구획된 세탁조(10) 내의 각 구획공간내에 넣는다. 세탁물의 분리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며, 세탁시 탈색이나 염색이 이루어질 우려가 있는 세탁물에 따라 분류하거나 요구되는 세탁 강도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다. 이렇게 분리되어 수용된 각 세탁물은 각 구획공간 내의 각 펄세이터(11, 12)의 구동에 의해 따로따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각 구획공간마다 조작부를 통해 세탁강도, 세탁시간, 세탁수의 양 및, 세제의 양 등을 따로따로 설정하여 세탁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세탁물이 섞임에 따라 발생하는 염색이나 세탁물의 손상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세탁조(10)가 타원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구획 공간은 각 펄세이터(11, 12)를 중심으로 한 내벽면과의 거리가 비교적 균등하게 유지되어 세탁조(10)내의 각 구획공간에서의 수류 발생이 큰 부하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1, 22)가 큰 부하를 받지 않고도 원활한 세탁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과전력소비가 방지되게 된다.
이불 등의 대용량이 요구되는 세탁물을 세탁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리판(15)을 세탁조(10)내에서 제거하여 세탁조(10)의 내부 공간을 크게 만든 후 세탁작동을 수행할 수 있고, 내의나 양말 등 소량의 세탁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분리판(15)을 삽입하고 한 쪽 구획공간만을 구동시켜 세탁을 행함으로써 적은 전력 및 적은량의 세탁수로 경제적인 세탁이 가능하게 된다.
세탁 작동이 완료되면 마이컴(20)은 드레인모터(23)를 구동하여 세탁조(10)와 연결된 배수관(미도시)을 개폐하고, 이에 따라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배수관은 세탁조(10)의 각 구획공간마다 설치하여 개별적으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각 배수관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드레인모터(23)를 두 개 설치하거나, 각 배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드레인모터와 각 배수관의 개폐장치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별도의 클러칭장치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세탁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동시 세탁이 가능하여 여러번의 세탁작동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소량의 세탁물의 경제적인 세탁이 가능한 세탁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구획수단과,
    상기 세탁조의 각 구획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작용을 하는 복수의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들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세탁조 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분리판과,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에 부착되며 상기 분리판의 연부에 기밀적으로 형상맞춤하는 그루브가 형성된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펄세이터들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평단면이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펄세이터들은 상기 세탁조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9960028684U 1996-09-09 1996-09-09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99800154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684U KR19980015456U (ko) 1996-09-09 1996-09-09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684U KR19980015456U (ko) 1996-09-09 1996-09-09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456U true KR19980015456U (ko) 1998-06-25

Family

ID=5397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684U KR19980015456U (ko) 1996-09-09 1996-09-09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45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615B1 (ko) * 2004-05-2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KR20170122615A (ko) * 2016-04-27 201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615B1 (ko) * 2004-05-2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KR20170122615A (ko) * 2016-04-27 201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586B1 (ko)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JP200623095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9980015456U (ko)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0339006B1 (ko) 드럼세탁기
KR100263446B1 (ko) 2조식 세탁기
KR20100054335A (ko) 드럼세탁기
US3069887A (en) Clothes washing machine having a suds water saver
JP201505394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994376A (ja) 洗濯機
KR10113053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205433B1 (ko) 세탁기
JP619100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141020Y1 (ko) 세탁기의 밸런스웨이트장치
JPS62142587A (ja) 洗濯機
KR20000009638A (ko) 세탁기
JP4026364B2 (ja) 洗濯機
KR20040009399A (ko) 세탁기
KR100335086B1 (ko)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950003676Y1 (ko) 복합세탁기
JPH07171294A (ja) 洗濯機
JPH06277386A (ja) 洗濯機
KR20000009639A (ko) 세탁기
JP3043207B2 (ja) 洗濯機
JP2017121398A (ja) 衣類処理装置
KR200289289Y1 (ko) 탈수조 탈착이 가능한 소형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