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404U -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404U
KR19980014404U KR2019980003607U KR19980003607U KR19980014404U KR 19980014404 U KR19980014404 U KR 19980014404U KR 2019980003607 U KR2019980003607 U KR 2019980003607U KR 19980003607 U KR19980003607 U KR 19980003607U KR 19980014404 U KR19980014404 U KR 199800144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pressure
food
contain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순
Original Assignee
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순 filed Critical 정광순
Priority to KR2019980003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404U/ko
Publication of KR199800144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404U/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리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알맞은 압력으로 조절하여 맛있는 조리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물용기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조리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발열량에 의해 조리물용기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서 조리물용기가 열려 조리물이 조리물용기의 외부로 넘치면서 가열장치로 유입되어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리물의 상태와 종류에 따라 적정하게 유지하지 못하여 맛있는 조리상태를 이루지 못함은 물론 조리가 완료된 후 조리물용기를 열 때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해 화상 등을 입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는 조리물을 투입하기 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용이한 개폐를 이루도록 손잡이(40)가 구비된 덮개(20)로 이루어진 조리물용기(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접촉되는 덮개(20)의 일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돌기(21)에 지지되는 실링재(30)에 의하여 조리물용기(가)의 견고한 밀폐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40)에는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51)이 형성된 고무캡(50)을 설치하고, 상기 고무캡(5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4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41)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력조절추(60)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한 압력조절추(60)가 손잡이(40)의 일측으로 형성된 증기배출구(42)의 개폐를 이루면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조리물용기(가)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조리물을 조리시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리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맛있는 조리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모두 제거하기 전에는 조리물용기의 개폐를 이루지 못하도록 하여 고온, 고압으로 이루어진 조리물용기의 증기에 의한 화상 등을 예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한 조리물용기의 사용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본 고안은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리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알맞은 압력으로 조절하여 맛있는 조리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물용기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어진 조리물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조리물을 투입하기 위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용이한 개폐를 이루기 위한 손잡이(3)가 구비된 덮개(2)의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조리물을 조리시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조리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발열량에 의해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상승되는 내부 압력에 의하여 조리물용기의 덮개가 열리면서 조리물이 조리물용기의 외부로 넘치거나, 넘친 조리물이 가열장치로 유입되어 화재를 유발시키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조리중에 조리물이 조리물용기의 외부로 넘치면서 가열장치로 유입되어 조리가 끝난 후에는 가열장치의 주위를 깨끗이 청소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조리물용기의 내부압력 상승으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덮개가 열려 조리에 필요한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여 조리물의 맛있는 조리상태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조리가 완료된 후에 조리물을 꺼내기 위하여 덮개를 열 때 조리물용기의 내부에 남아 있는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물의 조리시 가열되는 조리물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에 의해 상승되는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리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적정한 압력으로 조절하여 조리물의 맛있는 조리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모두 제거하기 전에는 조리물용기의 개폐를 이루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물용기의 열 때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예방하므로써 편리하고 안전한 조리물용기의 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조리물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물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보 고안에 의한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작레버에 의하여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 압력조절추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추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가:조리물용기 10:본체
20:덮개 30:실링재
40:손잡이 41:안내홈
42:증기배출구 50:고무캡
51:배출공 60:압력조절추
61:패킹 70:조작레버
71:누름버튼 72:힌지축
73:돌출돌기 80:스프링
90:보조추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물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보 고안에 의한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작레버에 의하여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는, 조리물을 투입하기 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용이한 개폐를 이루도록 손잡이(40)가 구비된 덮개(20)로 이루어진 조리물용기(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접촉되는 덮개(20)의 일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돌기(21)에 지지되는 실링재(30)에 의하여 조리물용기(가)의 견고한 밀폐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40)에는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51)이 형성된 고무캡(50)을 설치하고, 상기 고무캡(5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4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41)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력조절추(60)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한 압력조절추(60)가 손잡이(40)의 일측으로 형성된 증기배출구(42)의 개폐를 이루면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리물용기(가)의 밀폐상태를 이루는 실링재(30)를 지지하는 덮개(20)의 돌기(21) 형상은 어느 한 가지의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실링재(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의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무캡(50)은 조리물용기(가) 내부의 압력이 누출됨이 없이 견고한 밀폐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덮개(2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면접촉되도록 일측단부가 절곡되어 삽입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압력조절추(60)의 외주면으로는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안내홈(51)과 압력조절추(60)가 이루는 틈새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한 기밀상태를 이루도록 패킹(6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40)의 소정위치로는 일측단부가 절곡되어 압력조절추(60)의 하단부에 면접촉되고 타일측단부로 손잡이(40)의 외측에 돌출되어 누름버튼(71)이 구비된 조작레버(70)를 설치하여 상기한 조작레버(70)가 힌지축(72)을 중심으로 돌출돌기(73)에 고정되는 스프링(80)에 지지되어 압력조절추(60)의 상, 하 운동을 이루면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토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71)은 탄성력이 강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수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누름버튼(71)의 조작시 조작레버(70)가 힌지축(72)을 중심으로 예각을 갖고 회전함에 있어 용이한 작용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활한 원상복귀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 압력조절추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추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로써,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압력조절추(60)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보조추(90)를 장착하여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압력조절추(60)의 중량이 증가됨에 따라 압력조절추(60)를 미는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므로써 조리물에 필요한 충분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물을 조리물용기(가)에 투입한 후, 가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조리물용기(가)를 가열하게 되면 일정시간이 경과후에 조리물용기(가)의 조리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발열량에 의해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계속 상승하게 되면 내부의 압력은 조리물용기(가)의 덮개(20)로 전달되어 덮개(20)를 상부로 밀게 되는데, 이때 덮개(20)가 조리물용기(가)의 본체(10)와 밀폐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실링재(30)에 의하여 견고한 기밀상태를 이루고 있어 덮개(20)는 열리지 않고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면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은 계속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압력조절추(60)의 중량 보다 상승하게 되면 상승된 압력은 고무캡(50)의 배출공(51)을 통하여 고무캡(50)의 상단부에 안착된 압력조절추(60)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증기배출구(42)가 열리면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또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증기배출구(42)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내부의 압력이 압력조절추(60)의 중량 보다 저하되면 자중에 의하여 압력조절추(60)가 하강하면서 증기배출구(42)를 막아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압력조절추(60)의 중량 보다 상승하게 되면 압력조절추(60)를 상승시키고 내부의 압력이 증기배출구(42)로 배출되면서 내부의 압력이 압력조절추(60)의 중량 보다 저하되면 압력조절추(60)의 자중에 의하여 증기배출구(42)를 차단하여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므로써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맛있는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이루도록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리물의 조리가 완료된 후에 조리물용기(가)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4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누름버튼(71)을 누르면, 누름버튼(71)이 하강하면서 압력조절추(60)의 하단부에 면접촉된 조작레버(70)의 절곡부가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압력조절추(50)를 상승시키면서 증기배출구(42)를 열어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강제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모두 배출된 후에는 누름버튼(71)을 놓으면 조작레버(70)의 돌출돌기(73)에 지지되는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작레버(70)가 원상 복귀되면서 누름버튼(71)을 상승시키고 이와 동시에 자중에 의하여 압력조절추(60)는 하강된다.
이때. 누름버튼(71)은 재질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작레버(70)의 원활한 상, 하 운동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한 밀폐상태를 이루어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조리가 완료된 후에도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조리물의 맛있는 조리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 고온, 고압으로 이루어진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모두 제거하지 않고는 조리물용기(가)의 개폐를 이루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조리물용기(가)의 사용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모두 제거한 후에는 압력조절추(60)가 하강하면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이루어 조리물을 장시간 동안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도록 하여 부패하거나 변질되는 것을 예방하므로써 사용자가 언제든지 신선한 상태의 조리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이 밥이나, 곡류, 또는 떡 등과 같이 고압을 요하는 경우에는 압력조절추(6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추(90)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조리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조리물을 맛있는 조리상태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조리물을 조리시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리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맛있는 조리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조리물용기의 내부 압력을 모두 제거하기 전에는 조리물용기의 개폐를 이루지 못하도록 하여 고온, 고압으로 이루어진 조리물용기의 증기에 의한 화상 등의 부상을 예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한 조리물용기의 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조리물을 투입하기 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용이한 개폐를 이루도록 손잡이(40)가 구비된 덮개(20)로 이루어진 조리물용기(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접촉되는 덮개(20)의 일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돌기(21)에 지지되는 실링재(30)에 의하여 조리물용기(가)의 견고한 밀폐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40)에는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51)이 형성된 고무캡(50)을 설치하고, 상기 고무캡(5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4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41)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력조절추(60)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한 압력조절추(60)가 손잡이(40)의 일측으로 형성된 증기배출구(42)의 개폐를 이루면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조리물용기(가)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0)의 소정위치로는 일측단부가 절곡되어 압력조절추(60)의 하단부에 면접촉되고 타일측단부로 손잡이(40)의 외측에 돌출되어 누름버튼(71)이 구비된 조작레버(70)를 설치하여 상기한 조작레버(70)가 힌지축(72)을 중심으로 돌출돌기(73)에 고정되는 스프링(80)에 지지되어 압력조절추(60)의 상, 하 운동을 이루면서 조리물용기(가)의 내부 압력을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추(60)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압력조절추(6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추(9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추(60)의 외주면으로는 손잡이(40)의 안내홈(51)과 압력조절추(60)의 견고한 기밀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패킹(6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KR2019980003607U 1998-03-12 1998-03-12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KR199800144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07U KR19980014404U (ko) 1998-03-12 1998-03-12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07U KR19980014404U (ko) 1998-03-12 1998-03-12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404U true KR19980014404U (ko) 1998-06-05

Family

ID=6971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07U KR19980014404U (ko) 1998-03-12 1998-03-12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40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125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US5515773A (en) Steam oven
HU212405B (en) Cooking pan
KR20080060271A (ko) 내부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조절기가 달린 냄비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JP2007068709A (ja) 炊飯器
KR19980014404U (ko) 조리물용기의 압력자동조절장치
KR200359497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CH638388A5 (it) Dispositivo automatico di bloccaggio del coperchio di una pentola a pressione.
KR200383124Y1 (ko)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JP5635537B2 (ja) 操作弁および圧力調理器
KR20000007813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개방장치
KR200336743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KR200383514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JP3828456B2 (ja) 炊飯器における蒸気逃がし構造
KR200368226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0143127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잠금장치
KR101738479B1 (ko)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KR200366310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200366300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102565062B1 (ko) 밥솥의 수증기 배출 조절장치
KR0144278B1 (ko)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448322Y1 (ko) 전기압력조리기
KR20010000534U (ko) 압력 및 진공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