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332U -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 Google Patents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332U
KR19980014332U KR2019980003240U KR19980003240U KR19980014332U KR 19980014332 U KR19980014332 U KR 19980014332U KR 2019980003240 U KR2019980003240 U KR 2019980003240U KR 19980003240 U KR19980003240 U KR 19980003240U KR 19980014332 U KR19980014332 U KR 19980014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polished
grinding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훈
Original Assignee
이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훈 filed Critical 이철훈
Priority to KR2019980003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332U/ko
Publication of KR19980014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332U/ko

Links

Landscapes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 절단부 연마에 관한 것이다. 판유리 및 거울등의 필요한 소형규격을 다이어 유리칼로 절단한 부를 연마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수동으로 유리를 손으로 잡고 연마반(硏磨盤)을 회전케 하여 물이 살표되는 상태에서 인력으로 마찰시켜 연마하는 것이며, 이런 방법을 시정한 반자동기계는 수입형 기계와 국내 조립기계가 있으나 이런 방법은 가공 될 유리평면을 좌, 우에 배설 이동케 설치한 벨트에 끼워 압축된 상태에 하면 종단부를 가공하는 방법으로 1면식 가공하여 최송형 100m/m×100m/m정방형 소형유리이하 되는 규격은 압축면부 상태가 부족하여 압축가공할 수 없다.
이런 방법을 개선 고안한 것으로 소형유리 각재를 8도의 가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부재를 형성하여 일정한 궤도에서 틀을 압축 수송하며 양면을 동시에 연마하게 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 생산하는 것이며 체결 부재 9도의 나로 실시한 방법으로 4면 고정체결하여 선체결한 부재틀을 분해, 해체하여 상기 연마방법으로 연마하여 정방형(正方形)이나 정삭사각형 유리를 일정한 규격으로 대량 가공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종래 유리 절단부 연마에 관한 것이다.
판유리 및 거울 등의 필요한 규격을 절단용 다이어 칼로 절단 절단된 편부를 연마함에 있어 가공기능자가 가공될 절단 유리편부를 좌, 우 양손으로 압축고정하여 동력 회전용 원형 연마석 판상부나 다이어 휠원형 회전판 부위에 충분한 물을 살포하여 가공될 유리 일면을 마찰 연마하는 것이다.
이런 작업을 시정한 반자동 기계는 콤바이어 벨트면부를 수직으로 동력을 사용 종해 이동시키며 좌우 2개의 콤베이어 벨트를 대향되게 밀접시켜 가공될 유리평면과 배면을 실린더를 이용 압축하며 천천히 수송한다.
상기 압축 수송되는 가공될 유리 각면부에 연마부 원형판 다이어 훨 회전부에 충분한 물을 살표하여 실린더를 이용 가공될 유리 일면부에 밀접 연마고정하여 수송되는 압축유리의 가공될 일면 부분이 통과하면 요구되는 면부가 일면 연속 연마되는 것이며 이를 4번 반복하면 1장의 연마가공이 완성된다.
상기 각면부의 가공은 기능인의 면밀한 검토가 실시되도 정확한 90도 사면각의 가공유리를 구하기 어려우나 특히 100m/m×100m/m이하 소형 정사각형 유리 가공은 콤베이어 벨트의 압축상태가 일부 편중되어 연마기 다이어 휠 회전부의 마찰력에 압축상태가 이탈되어 일면 가공부가 일정한 연마를 할 수 없으며 가공하여서 된 완성품은 정사각형 모양의 90도각을 이루지 못하여 일부 일그러진 모양으로 가공 형성된다.
본 고안은 다량의 소형 사각형 판유리 단면부위를 90도 각을 이루게 연마하여 다량의 소형 규격을 일괄 반자동으로 연마가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 소형 사각형 유리부재를 배접된 상태에서 연마하는 구성으로 연마될 부재 결합고정틀과 고정틀을 일절한 궤도에서 배양된 수송벨트의 압축을 받으며 좌, 우에 배향되게 설치한 연마작동 1부 2부 4부를 지나 동시에 좌, 우 연마가 되게하는 것이며 연마면을 기준으로 다른 부재틀로 고정틀을 구성하여 선재틀을 분해 해체하여 연마될 양면을 돌출시켜 상기 방법으로 연마작동부를 거처 사면규격을 정방형(正方形)유리로 연마 가공하는데 있다.
도1은 사시도
도2는 측면도
도3은 평면도
도4는 A-A 일부 단면도(부분 사시도)
도5는 B-B 일부 단면도
도6는 C-C 일부 단면도
도7은 B-B 작동 단면도
도8은 부재틀 조립도
도9는 부재틀 교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은 동력부 모-터
D은 연마부 다이어몬드 휠, 연마반(硏磨盤)
C는 연마될 유리부재
R은 탄성체(彈性體)
B는 볼트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연마될 부재는 8도 가의 구성과 로울러 구성을 설명하면 연마될 유리 부재를 구성은 8도와 9도에 실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13S) 기리재 양벽 평면 중앙부에 기리 상태로 안내 요홈(14)를 형성하며 기리재(13S) 단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탄성체(彈性體)(R) 길이로 돌출부를 끼워 접착케하여 탄성(彈性)(R)효과를 가질 수 있는 두터운 편면유지를 시키며 양쪽 종단에 나시공을 형성한다.
덛께 압축판(13C) 단부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탄성체(R)을 부착하며 대향하게 맞추며 받침종단(13S) 나사공에 맞추어 통공을 형성하고 받침(13S) 탄성(彈性)상부에 폭보다 10m/m∼15m/m상승된 규격의 연마될 사가재 유리(G.G.G)를 8도에 실시된 표현으로 배접(褙接)상태의 부재를 일열로 절단부가 평행하게 연접(連接) 시키어 하나의 사각기리재 모양을 형성하고 덛께의 탄성부(彈性部)를 접속(接續)케 하여 양편 종단의 통공으로 볼트(B)(B)를 삽입 받침 나사공에 끼워 죄임하여 압축 고정한 틀을 조성한 것이다.
구동롤러(驅動roller)(5a)(5b)의 구성은 4도 A-A 일부 단면도의 실시예 표현된 좌우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수평이동베드(11)(11)를 구성하고 수평이동 베드(11)(11) 상부에 몸틀(1)(1)을 설립(設立)하고 몸틀(1)(1) 중심부에 베어링을 지지 회전부 장축(10)(10) 세우며 장축(10)(10) 하단부에 오무기어(8a)(8b)를 삽입 고정하고 동력부(M)와 연결된 감속기어(8)을 접속 회전케하며 4도 실시에 조립도 스트라인(9)로 구성하여 오무나선(8a)(8b)을 서로 대향되게 조성하여 동력부(M) 한방향의 회전을 받아 (8a)(8b) 서로 대향된 회전을 함에 있고 회전 중심 장축 상부에 롤러(roller)의 구서은 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롤러 연변에 B형 V벨트(belt) 요홉 3∼4선을 조성하여 1도 사시도 예에 표시된 실시예와 같은 방법에 가공부재틀 양사이드 홈부에 끼워 일정한 궤도(軌度)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돌출부를 구성한 것이다.
종동롤러(鐘銅roller)(5)(5)의 구성은 구동 롤러와 같은 방법의 수평 조종베드(11)(11)를 고정하고 이동 벨트를 견인(牽引)할 수 있는 종행 방향 견인(牽引) 수평이동베드(11-1)(11-1)를 수평(11)(11)베드판 상부에 설치하고 6도 C-C의 실시도면 표시와 같이 견인(牽引)베드판(11-1)(11-1)상부에 몸틀(1)(1)을 설입(設立)하며 몸체(1)(1)의 중심부에 베어링을 지지한 회전부 장축을(10)(10) 세우며 장축(10)(10) 상부에 구동롤러(驅動roller)(5a)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된 뿌리형롤러(roller)를 끼워 맞추어 고정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리 사각기리재(G.G.G) 모양으로 체결(締結部材)(가) 8도 실시예에 표시된 부재틀과 좌, 우 구동롤러(左,右驅動roller)(5a)(5b)와 종동롤러(從動roller)(5a(5b)가 설치되며 구동롤러와(5a)(5b)와 종동롤러(5)(5) 중간(中間)에 작동판(2)(2)을 교량(橋梁)모양으로 설치(設置)하고 작동판(2)(2) 기리재 단부에 롤러의 B형 V벨트(7)(7) 요홈과 돌출부(6)(6)를 평행되게 가공 조성하여 좌측 작동판 단면측 가공 조성과 우측 작동판 단면측 가공 조성을 대향(대향)되게 설치하며 롤러 받침수평이 동베드판(11)(11) 상부몸틀과 접속된 부위에 작동판교각(작동판교각)(2)(2)를 고정설치하여 롤러(5)와 작동판을 받침판 수평이동베드(11)(11)의 하나로 간격을 조정시키며 교량판(교량판) 저변을 지지하여 연마부(연마부)(M.D)의 받침이동베드(11)(11) 대향되게 설치하고 받침 이동베드 판에 승가이동베드(11-1)(11-1) 받침 베드에 기대를 하부기준으로 고착시키며 하변 기대 후면에 격판을 보강하여 연마부(硏磨部)(M.D)의 흔들림이 적게하여 승하베드판에 동력부(M)를 장착시키고, 동력축 종단에 연마부 다이아몬드(Dianond)(D)(D)휠이나 연마반(硏磨盤)(D)(D)을 사비입고정하여 좌, 우 대향되게 설치하여 연마(硏磨)되도록 1부 2부 3부를 고정배치하고 기대에 콕2(Cock)(12)(12) 설치하여 유리 연마부에 물을(12)(12) 살포하여 연마됨의 마찰을 냉각시켜 돕는다.
본 고안은 연마될 유리(G.G.G) 부재틀(가)벽의 좌, 우 유도요홈(14)(14)과 구동롤러(驅動roller)(5a)(5b) 돌출부(6)(6) 사이에 끼워 롤러(roller)의 연변(緣邊)의 조성된 요홈을 지지 회전하는 벨트의 접속으로 압축이동하게 되어 대향된 교량형 작동판 단부에 조성된 요홈부와 돌출부에 접속 압축과 수송을 유지(維持) 일정한 퀘도(軌道)로에서 7도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연마 1부 2부 3부의 작동과정을 거처 종동롤러(慫動roller)(5)(5)를 벗어나면 연마된 유리부재(가)의 양면이 일정한 규격으로 연마되는 것이다.
연마된 부재틀(가)의 양쪽 평면된 연마부에 9도 나 실시예와 같은 다른 틀재(13S)(13C) 탄성부(彈性部)(R)(R)를 대향되게 맞추어 통공에 볼트(B)(B)를 삽입 죄임하여 고정틀로 구성하고 (가)의 구성틀을 분해(分解), 해체(解體)하고 연마될 부분이 좌, 우에 돌출한 상태의 부재틀을 상기방법으로 연마과정을 거쳐 완성되면 연마될 유리는 정방형(正方形)으로 일정한 구격을 대량 가공하는 구조이다.

Claims (1)

  1. 연마될 우리 부재틀 구성은 8도와 9도에 실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13S)기리재 양 평면 중앙부에 기리 상태로 안내 요홈(14)(14)를 형성하며 기리재(13S) 단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탄성체(彈性體)(R)기리돌출부를 끼워 접착케하여 탄성(彈性)(R)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두터운 편면유지를 시키며 양쪽 종단에 나시공을 형성한다.
    덛께 압축판(13C) 단부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탄성체(R)상부에 폭보다 10m/m∼15m/m 상승된 구격의 연마될 사각재 유리(G.G.G)를 8도에 실시된 표현으로 배접(褙接)상태의 일열로 절단부가 평행되게 연접(連接)시키여 하나의 사각 기리재 모양을 형성하고 덛께의 탄성부(彈性部)를 접속(接續)케 하여 양편 종단의 통공으로 볼트(B)(b)를 삽입 받침 나사공에 끼워 죄임하여 압축 고정한 틀을 조성한 것이며 부재틀 요홈과 동력부, 구동롤러와 교량형 작동판 측면 요홈을 지지한 이송벨트와 돌출부에 끼워 일정한 궤도에서 압축된 상태의 연마구조.
KR2019980003240U 1998-03-06 1998-03-06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KR199800143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240U KR19980014332U (ko) 1998-03-06 1998-03-06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240U KR19980014332U (ko) 1998-03-06 1998-03-06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332U true KR19980014332U (ko) 1998-06-05

Family

ID=6971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240U KR19980014332U (ko) 1998-03-06 1998-03-06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3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30B1 (ko) * 2001-06-14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용 측면 연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30B1 (ko) * 2001-06-14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용 측면 연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795B1 (ko) 타워형 3차원 곡면 연마기
KR20150118241A (ko) 곡면 유리기판용 폴리싱 장치
PL315026A1 (en) Edge grinding machine for rounding sharp edges of workpieces
CN113442191A (zh) 一种耐磨性塑胶地板生产裁切机械及裁切工艺
KR19980014332U (ko)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KR19980014331U (ko) 소형 사각제 절단부의 연마구조
KR19980019433A (ko) 소형사각판 연마구조
JPH09300196A (ja) ベルト研磨機
CA1322457C (en) Grinder for optical connector ferrule and method for grinding the ferrule
CN100584729C (zh) 自动扶梯线性皮带扶手驱动装置
JP3368497B2 (ja) 多軸式横型研磨機
KR100278542B1 (ko) 목재의 에지 가공을 위한 샌딩장치
US20010023169A1 (en) Device for dressing grinding wheels
KR200290188Y1 (ko) 프레임형 고정치구와 연마장치
JP3334751B2 (ja) フードスライサー
CN210732128U (zh) 一种玻璃双边磨边机的输送装置
KR20030066249A (ko) 프레임형 고정치구와 연마장치
CN220723009U (zh) 布料加工系统及其布料运输装置
KR200226887Y1 (ko) 헤어라인 형성장치
CN219444625U (zh) 一种板材平面打磨结构
CN113787400B (zh) 一种汽车定转子冲片去毛刺装置
CN215092742U (zh) 一种自动磨角装置
CN108297156A (zh) 一种卷纸切断装置
CN220765733U (zh) 一种输送装置
CN219032022U (zh) 定位装置以及玻璃板的制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