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597A - 금형틀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금형틀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597A
KR19980013597A KR1019960032128A KR19960032128A KR19980013597A KR 19980013597 A KR19980013597 A KR 19980013597A KR 1019960032128 A KR1019960032128 A KR 1019960032128A KR 19960032128 A KR19960032128 A KR 19960032128A KR 19980013597 A KR19980013597 A KR 1998001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mold
upper mold
tightening
mol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히로시 기타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기타무라 filed Critical 히로시 기타무라
Priority to KR101996003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3597A/ko
Publication of KR1998001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597A/ko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금형틀을 구성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과 같은 2개의 틀을 대향시킨 상태로 죄는 금형틀 조임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조임기구의 구조를 간결화하고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도 간결화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금형틀(1)의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 각각에 돌출설치된 플랜지부(4,5)를 누름장치(30)로 끼어서, 양자의 거리를 좁혀 놓고, 이 상태에서 선회장치(40)의 구동축(41)을 회전시켜 그 튕켜올림부재(44)를 선회시키고, 이 튕겨올림부재(44)로 하부금형 플랜지부(5)로부터 아래로 처진 볼트부재(6)를, 양 플랜지부(4,5)의 외측상방까지 튕겨올리고, 이어서 이동장치(50)의 구동축(51)을 회전시켜서, 그 아암부재(53)로부터 돌출하는 누름롤러(55)를 선회시키며, 이 누름롤러(55)가 볼트부재(6)에 맞닿으면, 그대로 누름롤러(55)로 볼트부재(6)를 이동시키고, 그 볼트부재(6)에 장착된 암측 구면워셔(12)를, 상부금형 플랜지부(4)에 장착되어 있는 숫측 구면워셔(10)상으로 미끄러뜨려 올리며, 이 상태에서 누름장치(30)에 의한 상기 누름을 해제하여, 그 복원력으로 양 플랜지부(4,5)를 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조임 기구가 간결하며, 종래의 기존 금형틀에 설치되어 있는 조임 기루를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고, 장치구성 및 조임 공정이 간결하므로, 조립이나 조정이 용이하여, 코스트도 저렴화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금형틀 조임장치
본 발명은, 콘크리이트파일, 폴, 흄관등의 단면 원형으로, 소정 길이의 제품이나 U자홈등의 단면이 비원형인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틀을 구성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과 같은 2개의 틀을 대향시킨 상태로 죄는 금형틀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분할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조합시킨 상태로 죄기 위하여, 가장 일반적인 수법으로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조합시킨 상태로 서로 대향하며 또한 근접하는 조임용의 플랜지부를 각 금형에 돌출 설치하고, 예를 들어 양 플랜지부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조합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금형의 플랜지부 관통구멍으로부터 다른쪽의 금형의 플랜지부의 관통 구멍에 볼트 따위의 조임부재를 관통시키고 그 돌출부에 너트를 나사맞춤하여 죄는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성형제품이 콘크리이트파일과 같은 길이가 긴 물건인 경우에는, 이 볼트너트의 나사 맞춤식 조임 장소가 많아지므로서, 예컨대 이들 볼트너트를 하나하나 손으로 죄어서는, 비록 그 조임의 토오크를 일정하게 한다하여도 플랜지부 그 자체에 변형이 생겨, 이것이 금형 및 금형틀에 까지도 미쳐, 성형제품의 치수 정밀도가 저하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예컨대,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국 특개평 4-363211호 공보에 기재된 금형틀 조임장치가 있다. 이 금형틀 조임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볼트너트등에 의한 플랜지부의 조임 부위근방에 누름장치를 배열 설치하고, 이 누름장치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과의 조합에 의해서 근접대향하고 있는, 상부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와의 상기 조임부위 근방에 보다 더 근접하는 방향으로 눌러 놓고 예를 들어 이 상태로 사이가 떨어져 있는 볼트의 머리부와 플랜지부와의 사이, 혹은 너트의 닿는 면과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그 조임부위 근방에 사전에 설치된 조임기구에 의해서 쐐기등의 로크편을 끼워 넣은 후, 상기 누름장치에 의한 양 플랜지부의 누름을 해제하면, 양 플랜지부 자신의 복원성 탄성변형에 의하여 양 플랜지부 사이가 떨어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로크편이 볼트의 머리부와 플랜지부와의 사이, 혹은 너트가 닿는 면과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단단하게 끼워져,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조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성형제품이 콘크리이트파일과 같은 길이가 긴 것이라 하여도, 금형틀의 조임부위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전에 상기 누름장치와 조임기구를 다수 배열설치하여 두고, 이들을 동기시켜서 앞서의 설명과 같은 조임공정으로 작동시키므로써, 각 플랜지부의 변형을 회피하여 성형제품의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참고로, 상기 공보에 기재되는 상기 누름장치는, 특히 상부금형이나 하부금형에 고정설치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조임기구에 대하여는, 최소한 어느 한 형에 로크편을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기구나 그 입력장치등을 사전에 설치하여 둘 필요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볼트너트는 반드시 볼트와 너트의 형상을 필요로 하지는 않으며, 요컨데, 상기 로크편이 끼워지는데 필요한 닿는면과, 걸리는 텐션에 저항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만 있다면, 기타의 형상의 것을 대응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금형틀 조임장치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변형을 회피하여 성형제품의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그러나, 실제의 금형틀 조임장치는 종래의 기존의 것, 즉 볼트너트를 손으로 죄기 위하여 금형틀을 지지하여 두는 그러한 것으로 개조하는 일도 많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조임기구의 부품 수가 많고, 또, 그 작동공정이 비교적 복잡하여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조립공정에도 시간을 요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를 참작하여 개발된 것이며, 우선 조임 기구의 구조를 간결화하고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도 간결화 하므로써, 실시가 용이한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금형틀 조임장치의 제1실시예에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 상세도,
제3도는 제1도의 금형틀에 설치된 조임기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금형틀 조임장치에 설치된 누름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누름장치의 동작 설명도,
제6도는 제1도의 금형틀 조임장치에 설치된 선회장치 및 이동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선회장치 및 이동장치의 동작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금형틀 조임장치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측면 상세도,
제10도는 제8도의 좌측 끝단부측 대차의 설명도,
제11도의 제8도의 중앙측 대차의 설명도,
제12도는 제8도의 우측 끝단부측 대차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형틀2 : 상부금형
3 : 하부금형4 : 상부금형 플랜지부
5 : 하부금형 플랜지부6 : 볼트부재
8 : 핀10 : 숫측 구면워셔
12 : 암측 구면워셔13 : 너트
21 : 지주22 : 빔
30 : 누름장치31 : C형프레임
33 : 세로로드36 : 실린더장치
40 : 선회장치41 : 구동축
44 : 튕겨올림부재50 : 이동장치
51 : 구동축53 : 아암부재(선회부재)
54 : 지지축(선회부재)55 : 누름롤러(선회부재)
60a∼60c : 대차61 : 안내레일
62 : 안내차63, 66, 68 : 실린더장치
65 : 샤시70a∼70d : 스프로킷
71 : 체인74 : 회전축
76 : 전동모터79 : 벨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관한 금형틀 조임장치는, 금형틀을 구성하는 분할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로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양 금형을 조립하였을 때에 상하로 근접하여 대향하는 상부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중, 하부금형 플랜지부에 최소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그 하부금형 플랜지부로부터 아래로 처진, 또는 대략 아래로 처진 위치를 초기위치로 하여 설치된 조임 부재를, 사이 양 플랜지부의 돌출설치방향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선회하여, 그 조임부재의 결합부를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에 걸어맞춤으로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과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는 금형틀 조임장치로서, 최소한 상기 조임부재가 상기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한 상부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장치와 상기 조임부재를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최소한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외측까지 선회시키는 선회장치와, 상기 선회장치에 의하여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외측까지 선회된 조임부재를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까지 선회시켜서, 그 조임부재의 걸어맞춤부를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소정 걸어맞춤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중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관한 금형틀 조임장치는, 상기 조임부재의 걸어 맞춤부와 상부금형 프랜지부의 상면측과의 서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면이, 최소한 상기 조임부재의 선회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중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관한 금형틀 조임장치는, 상기 선회장치가 최소한 상기 하부금형 플랜지부의 하면보다 하방이며, 또한 그 하부금형 플랜지부의 외측에 배열 설치된 축부재와 그 축부재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조임 부재보다 하방 위치를 초기위치로 하여, 그 축 부재의 회전에 따라 하방으로부터 상방의 소정위치까지 선회되는 선회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중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관한 금형틀 조임장치는, 상기 이동장치가 최소한 상기 플랜지부 상면보다 상방으로 배열 설치된 축부재와, 그 축부재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선회장치에 의하여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외측까지 선회된 조임부재의 외측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그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 외측으로 부터,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선회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금형틀 조임장치에서는, 예들 들어, 워셔가 용접고정된 너트를 볼트의 나사부에 나사맞춤하고, 상기 하부금형 플랜지부 하방에서, 또한 그 하부금형 플랜지부의 돌출설치방향으로 직교하며, 또한 수평방향으로 축선이 향하도록 배열 설치된 회전축에, 상기 볼트의 뿌리부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볼트 및 워셔가 달린 너트로 상기 조임부재를 구성하여 그 워셔부분에서 상기 걸어맞춤부를 구성한다. 이에 의하여 그 볼트로서 이루어지는 조임부재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되며, 또한, 하부금형 플랜지부로부터 아래로 처지거나 또는 대략 아래로 처진 위치를 초기위치로 하여, 조합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부금형 플랜지부 및 하부금형 플랜지부의 외측을 지나서 상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상기 볼트로서 이루어지는 조임 부재의 초기위치를, 하부금형 플랜지로부터 대략 아래로 처진 위치도 가능하다고 한 것은, 가령 그 볼트로서 이루어지는 조임부재가 중력가속도의 영향으로 완전히 수직방향으로 처져 있지 않아도 좋다는 것을 나타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력가속도에 의한 하향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그 조임부재가 상기 하부금형 플랜지부 근방의 구성부재에 맞닿아, 수직방향보다도 다소 경사면이 되고 있는 경우등이며, 요컨대 초기위치로부터 자유롭게 이동(이 경우, 그 이동방향은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방향으로 규제된다)이 가능하면 된다. 한편, 상기 일본국 특개평 4-363211 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여, 상기 상부를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장치를 구성한다. 또, 본 발명중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관한 금형틀 조임장치에 관하여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하부금형 플랜지부의 하방, 또한 외측에 축부재를 설치하고, 이 축부재에 선회부재를 장착하여 그 축부재의 회전으로 선회부재의 앞끝단부가 상기 초기위치에 있는 조임부재 하방으로부터, 상부금형플랜지의 상면측의 외측위치까지 선회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선회장치를 구성한다. 또, 본 발명중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관한 금형틀 조임장치에 관하여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 상방에 축부재를 설치하고, 이 축부재에 선회부재를 장착하여, 그 축부재의 회전으로 선회부재의 앞끝단부가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 외측의 위치로부터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선회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장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등으로 구성되는 조임부재가 상기 초기위치, 즉 하부금형 플랜지부로부터 아래로 처지거나 또는 대략 처진 위치에 있을때, 상기 누름장치에 의해서 상부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눌러서 양자의 거리를 짧게 하여 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상기 축부재를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선회 장치의 선회부재를 조임부재의 아래로부터 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선회부재의 앞끝단부가 조임부재의 하단부(볼트부재에서는 현재, 하부의 앞끝단부가 된다)에 맞닿고, 그대로 그 조임부재를 양 플랜지부의 돌출 설치방향 외측 상방으로 들어 올리도록 선회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임부재의 앞끝단부가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외측까지 선회되면, 상기 선회장치를 정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예컨대 상기 축부재를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이동장치의 선회부재를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외측으로부터 근접시키도록 선회시키면, 그 선회부재의 앞끝단부가 조임부재의 상단부(볼트부재에서는 현재, 상방의 상단부가 된다)에 맞닿고, 그대로 그 조임부재를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으로 밀어 넣도록 선회시킨다.
그리고, 상기 볼트등 조임부재에 고정된 워셔등 걸어맞춤부가,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소정의 걸어맞춤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누름 장치에 의한 상부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와의 누름을 해제하며, 이에 의하여 양 플랜지부 자신의 복원성 탄성변형에 의하여 양 플랜지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조임부재의 걸어맞춤부가 상부금형 플랜지의 상면측의 소정의 걸어맞춤부위에 단단하게 걸어맞추어지며, 동시에 조임부재에는 양 플랜지부 자신의 복원성 탄성력이 장력으로서 작용하므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과의 조임 상태가 유지된다. 물론, 이러한 조임장치를 양 플랜지부를 따라 다수 설치하고 이들의 동기를 취하여 앞서 설명과 같은 조임 동작을 하면, 죄어지는 플랜지부 사이에 왜곡이 생기는 일이 없고, 앞서 설명한 길이가 긴 물품을 성형하는 경우에도,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이때, 조임 부재의 걸어맞춤부와,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걸어맞춤부위와의 걸어맞춤면을 서로 평탄한 형상으로 하면, 그 조임부재의 걸어맞춤부는 회전운동밖에는 허용되어 있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부위와의 모서리 부분의 간섭을 회피하기 하여, 양 걸어맞춤면의 틈을 크게 하려면, 상기 누름장치에 의한 상부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와의 누름힘을 크게 하여 양자가 크게 탄성변형되지 않으면 안되지만, 그와 같은 큰 변형이 그대로, 혹은 그것을 반복하는 동안에 양 플랜지부 변형이 소성변형이 되어서, 탄성복원이 안되는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조임 부재에 의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과의 조임상태의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예를 들어 본 발명중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관한 금형틀 조임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는 바와 같이, 양 걸어맞춤면을 최소한 상기 조임부재의 선회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 보다 이상적으로는 그 선회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구면으로 하므로써,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부위와의 간섭을 용이하게 회피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누름장치에 의한 상부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와의 누름의 힘을 작게 하여두고, 양 플랜지부에 발생하는 혹은, 요구되는 변형량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는 볼트너트 외에 이른바, 갈고리 발톱형상의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정압(靜壓)기체 축받이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앞서의 설명과 동등 또는, 대략 동등한 구성에 의한 금형틀 조임장치, 특히 금형틀 조임기구를 구체화한 것이므로, 중복되는 기술을 생략하면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만 상술한다.
우선, 제1도는 본 실시예에 금형틀 조임장치의 주요부의 정체 구성을 도시하는데, 동 도면의 1은 콘크리이트제품의 원심 구조용의 금형틀이며, 단면이 원형인 길이가 긴 형상을 이루는 수지의 구조를 가지며, 대향하는 단면 반원형의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 단면 반원형의 상부금형(2) 및 하부금형(3)의 개구끝단 양가장자리부에는, 이른바 앵글재가 용접되어서, 각각 상부금형 플랜지부(4)와 하부금형 플랜지부(5)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금형 플랜지부(4)는 상부금형(2)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용접되고, 하부 금형 플랜지부(5)는 하부금형(3)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용접되어서 양 플랜지부(4,5)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합하여서 금형틀(1)을 구성하면,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4)와 하부금형 플랜지부(5)가 서로 근접해서 대향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금형틀(1)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제2도, 제3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조임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 조임부재는, 아랫부분 뒤에 설명하는샤시부와 동등 또는 대략 동등한 굵기의 아이볼트형상의 링부(즉, 링부의 두께가 나사부의 굵기와 등동 또는 대략 동등한)(6a)가 형성된 볼트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틀(1)의 길이방향으로 여러개가 설정된 소망되는 조임부위에서 그 볼트부재(6)의 링부(6a)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틈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하면측으로부터 하부금형(3)에 용접고정된 브래킷(7)에 관통된 관통구멍의 일방으로부터 머리부를 갖춘 핀(8)을 끼우고, 그 앞끝단부를 상기 링부(6a)의 내부구멍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브래킷(7)의 관통구멍에 끼우며, 다시 그 돌출부에 도시되지 않은 클랩링등의 고정고리를 걸어서, 그 핀(8)이 빠지지 않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볼트부재(6)로서 이루어지는 조임부재는, 상기 플랜지부(4,5)의 길이방향에 배열설치된 이 핀(8)의 축부(8a)를 회전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볼트부재(6)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금형틀(1)의 조임부위에 있어서는, 제3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금형 플랜지부(4)의 상면측에는 엷은 4각형의 워셔(9)가 용접고정되고, 다시 그 상면에는 마찬가지로 4각형으로 형성된 숫측 구면워셔(구면워셔의 구면부가 볼록형인 것)(10)가 용접고정되고, 이 숫측 구면워셔(10)의 상측 구좌면(球座面)(10a)으로부터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하면까지, 상기 볼트부재(6)를 상측 플랜지부(4) 및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외측을 지나 회전시키며, 또한 그 볼트재(6)를 수직으로 세울 수가 있도록, 그 장해가 되는 부위를 절결한 U자홈(1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볼트부재(6)로서 이루어지는 조임부재는 최소한, 중력가속도에 의해서 상기 핀의 축부로부터 자유롭게 아래로 처진 위치를 초기위치로 하여, 상부금형플랜지(4) 및 하부금형플랜지(5)의 돌출설치방향의 외측을 지나, 수직으로 세우는 위치까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특히 제3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부재(6)의 나사부(6b)에는, 암측 구면워셔(구면워셔의 구면부가 오목형인 것)(12)가 용접 고정된 너트(13)가, 이른바 더블너트(14)에 의해서 나사맞춤 고정되어 있다. 특히, 좌면에 의한 조임의 대상이 없는 너트(13)를 더블너트(14)로 고정한다는 것은 충분히 주지하는 바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이 너트(13), 보다 정확하게는 암측 구면워셔(12)의 구좌면(12a)위치는, 앞서 설명처럼 볼트부재(6)를 수직으로 세우고, 상기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과 암측 구면워셔(12)의 구좌면(12a)의 소정의 응력으로 접합할 때까지, 구체적으로 소정의 토오크로 너트(13)를 죄고, 이 상태에서 더블너트(14)를 나사맞춤하여 이들을 고정한 때의 것이다. 따라서,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볼트부재(6)의 암측 구면워셔(12)의 구좌면(12a)을 상기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에 맞닿게 할 수 가 있다면, 상부금형 플랜지부(4)와 하부금형 플랜지부(5)는 볼트부재(6)에 걸리는 장력으로 서로 조임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암측구면워셔(12a)의 곡률반경은, 상기 암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의 그것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양 플랜지부(4,5) 서로의 사이, 또는 금형(2,3) 사이에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소정의 시일이 이루어지나, 여기에서는 도시되지 않고 있다. 또, 금형틀(1)의 바깥둘레에는, 그 금형틀(1)을 회전시킬 때의 안내가 되는 링(15)이 설치되며, 또, 상, 하부의 금형(2,3)에는 금형틀(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보강부재가 용접고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금형틀 조임장치 그 자체는, 제1도,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틀(1)을 얹어놓기 가능한 충분한 크기의 베드(20)를 갖추고, 그 베드(20) 상에는, 상기 금형틀(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마다, 또한 그 금형틀(1)로부터 소정간격만큼 떨어져서 각주형상의 지주(21)가 세워서 설치되며, 이들 지주(21)에 중공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빔(22)이, 그 금형틀(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로 걸쳐져 있다. 이 빔(22)중, 상기 볼트부재(6)에 의한 각금형틀 조임 부이에 중간에 상당하는 위치 각각에 누름장치(30)가 갖추어져 있다. 이들 누름장치(30)는, 제4도, 제5도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4) 및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상하 양단부(31a,31b)가 개별적으로 대하는 C형프레임(31)중, 그 개구부와는 반대측의 배면부의 상하 각각에 용접고정되고, 또한, 그 C형 프레임(31)으로부터 상기 빔(22)의 상하에 개별적으로 대하는 브래킷(32a,32b)이, 이들과 그리고 상기 빔(22)을 관통하는 세로로드(33)를 통하여 그 빔(22)에 대해서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중, 세로로드(33)의 상하에는 개별적인 나사부(33a,3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의 브래킷(32a,32b)를 관통한 나사부(32a,33b)의 돌출부에 앞서의 설명과 동일한 더블너트(34)를 나사맞춤 고정하여, 상기 C형프레임 (31)의 승강량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세로로드(33)중, 상기 빔(22)과 상방 브래킷(32a)와의 사이에는 압축설치된 스프링(이하, 상방스프링이라고도 칭한다)(35a)이 밖으로 감겨 있으며, 한편의 하방 브래킷(32b)과 빔(22)과의 사이에는, 늘어지게 설치된 스프링(이하, 하방스프링이라고도 칭한다)(35b)이 밖으로 감겨져 있다.
상기 C형프레임(31)에는, 그 상단부에 실린더장치(36)의 외부통(36a)이 고정되고, 그 피스턴로드(36b)의 앞끝단부가, 그 C형프레임(31)의 하단부 상면을 향하여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5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C형프레임(31)의 상,하단부(31a,31b)가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4) 및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상하에 각각 독립적으로 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장치(36)의 피스턴로드(36b)를 뻗어서 그 앞끝단부가 동 도면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금형 플랜지부(4)의 상측면에 맞닿게 하고 다시 이를 누르면, 그 반력이 상기 하방 브래킷(32b)과 빔(22)과의 사이에서 뻗고 있는 하방스프링(35b)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C형프레임(31)을 양 브래킷(32a,32b)를 함께 상방으로 들어 올리고, 이에 따라 그 하방스프링(35b)은 수축하며, 동시에 상방브래킷(32a)과 빔(22)과의 사이의 상방스프링(35a)은 뻗게 되는데, 머지 않아, 동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C형프레임(31)의 하단부(31b)의 상면이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하면에 맞닿고, 다시 실린더장치(36)에 의해서 누름힘이 높아지면, 상부금형 플랜지부(4)와 하부금형 플랜지부(5)가 약간 탄성변형하여, 양자의 거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임부재인 볼트부재(6)를 회전가능하게 부착시키는 핀(8)의 축부(8a)와, 상기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과의 거리가 짧아진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장치(36)에 의한 누름힘과, 이들의 탄성변형량은, 서로 리니어한 관계에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기 실린더장치(36)에 의한 누름힘(즉, 실린더장치에 공급되는 일반적인 유체압)은, 이 누름힘이 부여되고 있는 시점에서, 상기 조임부재인 볼트부재(6)를 상방으로 선회시켰을 때에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4)에 용접고정된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에 상기 암측 구면워셔(12)의 구좌면(12a)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들어가는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방 스프링(35a)은, 이 누름장치(30)가 상기와 반대의 수준으로 동작될 때 등에, C형프레임의 움직임을 스므스하게 하기 위한 역할등을 담당한다.
다음에, 앞서의 설명과 같은 볼트부재(6)로서 이루어지는 조임부재의 선회장치(40) 및 이동장치(50)는, 상기 볼트부재(6)에 의한 각 금형틀 조임부재에 상당하는 위치의 각각 비치되어 있다. 이중, 선회장치(40)의 구동입력원인 구동축(41)은,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금형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세워서 설치된 지주(21) 사이를 더욱 연장할 수 있도록 일련의 가로로 걸쳐 있다.
이 구동축(41)은, 제2도, 제7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하방에, 또한, 그 돌출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6도에서와 같이, 상기 선회장치(40)를 설치할 각 금형틀 조임 부위에 상당하는 빔(22)으로부터 돌출설치되고, 또한, 서로 소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대향하는 브래킷(42)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은 축받이부재 등을 통하여 그 구동측(41)이 지지되고, 이브래킷(42) 사이에서, 그 구동축(41)에는 상기 선회부재가 되는 고정블록(43)과 튕겨올림부재(44)가 장착되어 있다. 이중, 고정블록(43)은, 제6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4각이며 중앙부에 상기 구동축(41)이 단단하게 끼워지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그 관통구멍에 구동축(41)을 관통시킨 후, 도시되지 않은 멈춤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튕겨올림부재(44)는 스프링판재를 4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한쪽의 짧은 변 측단부(44a)가 상기 아래로 처진 볼트부재(6)의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하고, 다른 한쪽의 짧은변측 끝단부가 상기 고정블록(43) 하면에, 도시되지 않은 비스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튕겨올림부재(44)의 한쪽의 짧은 변 측끝부(44a)에 비스듬히 상방으로 굽혀지고, 그 굽힘 끝부로부터 그 짧은 변 측끝부(44a)에 걸쳐 다수의 슬리트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튕겨올림부재(44)가 스프링판재로 구성되어 있거나, 굽힙 끝부에 슬리트가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이들이 작동할 때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것 등이지만, 그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선회장치(40)의 구동축(41)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서, 상기 튕겨올림부재(44)가 돌출하는 한쪽의 짧은변 끝부(44a)가 상기 볼트부재(6)의 하방에 위치하는 초기위치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의 소정위치까지 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동장치(50)의 구동입력원인 구동축(51)도, 제1도와 같이, 상기 금형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세워서 설치된 지주(21) 사이를 다시 연장하도록 일련으로 가로로 걸쳐 있다. 이 구동축(51)은, 제2도, 제7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4) 상방에서 또한 그 돌출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장치(50)를 설치할 각 금형틀 조임부위에 상당하는 빔(22), 즉, 상기 선회장치(30)의 장착부위에 상당하는 빔(22)으로부터 돌출설치되고, 또한 소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대향하는 브래킷 (52)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은 축받이 부재 등을 통해서 그 구동축(51)이 지지되며, 이 브래킷(52) 사이에서 그 구동축(51)에는 상기 선회부재가 되는 아암부재(53)이나 지지축(54), 누름눌러(55)등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아암부재(53)는 양단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아암부(53b)가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의 본체(53a)가 있으며, 이 본체(53a)의 안쪽 구멍내에 상기 구동축(51)을 관통하고, 그 본체(53a)가 뒤에 설명하는 꼬임코일스프링을 통해서 그 구동축(51)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아암부재(53)의 두개의 아암부간(53b)에는 원통형상의 누름롤러(55)가 끼워지고, 양 아암부(53b)에 관통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의 한쪽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축(54)을 끼워, 이것을 상기 누름롤러(55)의 내부구멍 속으로 관통시키고, 다시 다른 한쪽의 아암부(53b) 외측까지 관통시키며, 양 아암부(53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지지축(54)의 돌출부에 도시되지 않은 핀을 바꿔 그 지지축(54)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 지지축(54) 둘레에서 누름롤러(55)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아암부재(53)에 장착하고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51)중 상기 아암부재(53)의 본체(53a) 양축에는, 그 본체(53a)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링 형상의 지지부재(56)가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56)는 특히 제6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그 내부구멍 내에 상기 구동축(51)을 관통한 후, 볼트(57)로 구동축(51)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양단면을 관통하는 작은 지름의 관통공(5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부재(53)의 본체(53a)의 양단면도 작은 지름구멍(53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본체(53a)와 상기 지지부재(56)와의 사이의 구동축(51)에 양단부가 직선으로 세워진 꼬임코일스프링(58)이 밖으로 감기고, 그 한쪽의 끝단부가 그 아암부재(53)의 본체(53a)의 작은 지름 구멍(53c) 내에 끼워지며, 다른 한쪽의 끝단부가 상기 지지부재(56)의 관통공(56a) 내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아암부재(53)의 본체(53a)는 구동축(5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코일스프링(58)을 통해서 탄성지지되어 있을 뿐이며, 앞서 설명과 같이 상기 아암부재(53)의 아암부(53b) 및 누름롤러(5)는 상기 구동축(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4)의 상면측의 외측으로부터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4)의 상면측을 향해서 선회이동되고, 최종적으로는 상기 조임부재인 볼트부재(6)를 누르게 되는데, 이 때, 볼트부재(6)를 누르는 누름힘은, 구동축(51)에 걸리는 토오크를 구동축(51)과 볼투부재-누름롤러 접점과의 거리의 곱으로 된 우력(偶力)이 직접 미치는 것은 아니고, 실제로 꼬임코일스프링(58)에 발생하는 변위에 따른 탄성력을 해당 거리의 곱으로 된 우력이 되므로, 이 꼬임코일스프링(58)이 완충기능을 다하여 상기 볼트부재(6)로의 누름힘을 완화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선회장치(40) 및 이동장치(50)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앞서의 설명과 같이 조임부재인 볼트부재(6)가 상기 하부금형 플랜지부(5)로부터 아래로 처진 상태에서, 상기 누름장치(30)에 의하여 상부금형 플랜지부(4)와 하부금형 플랜지부(5)를 눌러서 그 볼트부재(6)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핀(8)의 축부(8a)와 상부금형 플랜지부(4)의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과의 거리를 단축하여 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선회장치(40)의 구동축(41)을, 제7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그 선회장치(40)의 선회부재를 구성하는 튕겨올림부재(44)의 돌출측 앞끝단부(44a)가 볼트부재(6)의 하방으로부터 양플랜지부(4,5)의 돌출설치방향 외측의 상방을 향해서 선회되며, 동 도면 2점 쇄선 a까지 선회하였을 때에, 그 튕겨올림부재(44)의 앞끝단부(44a)가 볼트부재(6)의 하방을 향하는 앞끝단부에 맞닿는다. 또한, 튕겨올림부재(44)의 선회를 계속하면, 동 그림의 2점쇄선 b,c등과 같은 튕겨올림부재(44) 상방으로의 선회를 따라, 볼트부재(6)와 너트(13) 및 암측 구면워셔(12)과 양 플랜지부(4,5)의 돌출설치 방향 외측을 향해서 상방으로 튕겨져 올라간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볼트부재(6)의 굵기보다 폭이 넓은 튕겨올림부재(44)는 제7도의 2점 쇄선 c까지 선회하기 전에, 그 앞끝단부(44a)가 해당 볼트부재(6)를 지지하고 있는 브래킷(7)에 간섭하게 된다. 그러나, 그 튕겨올림부재(44)가 스프링판재로 형성되고, 더욱이, 그 앞끝단부(44a)는 다수의 슬리트에 의하여 분할되어 있으므로, 슬리트로 분할되고, 또한 브래킷(7)에 간섭하고 있는 부위의 앞끝단부(44a)는, 충분한 탄성으로 탄성변형되고, 또한 튕겨올림부재(44)의 선회가 계속되어 브래킷(7)과의 간섭이 없어지면, 그 튕겨올림부재(44)는 완전히 복원되므로, 그 튕겨올림부재(44)와 볼트부재(6)등과의 걸림이 벗겨지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기 튕겨올림부재(44)가 제7도의 2점쇄선 d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즉, 볼트부재(6)의 앞끝단부가, 최소한 상기 숫측 구면워셔(10)의 상부 구좌면(10a)상방이며, 또한 그 외측이 되는 위치까지 선회되면, 선회장치(40)의 구동축(41)을 그 자리에서 정지시킨 후, 이번에는 상기 이동장치(50)의 구동축(51)를 제7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상기 아암부재(53)의 아암부(53b) 및 지지축(54)에 지지된 누름롤러(55)는, 제7도에서 실선 a로 도시하는 초기위치로부터, 일단, 상부금형 플랜지부(4) 및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외측이며, 또한 하방인 쪽으로 선회하며, 그 도중에, 동 도면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선회하였을 때, 그 누름롤러(55)가 상기 선회장치(40)의 튕겨올림부재(44)에 지지되어서 정지하고 있는 볼트부재(6)의, 위를 향한 앞끝단 부에 맞닿는다. 그대로 이동장치(50)의 구동축(51)을 같은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롤러(55)의 선회방향은 위를 향하도록 변화하며, 이에 의하여 그 누름롤러(55)에 맞닿는 볼트부재(6)와 너트(13) 및 암측 구면워셔(12)는, 들어 올려지면서 다시 상부금형 플랜지부(4) 및 숫측 구면워셔(10)측으로 근접되며, 동시에 선회장치(40)의 튕겨올림부재(44)로부터 사이가 떨어진다.
또한, 이동장치(50)의 구동축(51)을 같은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이 시점에서 여전히 상기 볼트부재(6)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 핀(8)의 축부(8a)와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과의 거리는 단축된 그대로이므로, 이보다도 곡율반경이 큰 암측 구면워셔(12)의 구좌면(12a)은, 그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상으로 원만하게 미끄러져 올라가고, 이어서 상기 아암부재(53) 및 지지축(54)에 지지된 누름롤러(55)가, 제7도에 실선 b로 도시되는 위치까지 선회하면, 볼트부재(6)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이에 따라서 암축 구면워셔(12)는 상기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상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완전히 올라 앉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누름장치(30)에 의한 상부금형 플랜지부(4)와 하부금형 플랜지부(5)와의 누름을 해제하며, 이에 의하여 양 플랜지부(4,5)자신의 복원성 탄성변형에 의하여 양 플랜지부(4,5)사이의 거리가 신장되므로, 상기 볼트부재(6)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는 핀(8)의 축부(8a)와 상기 숫측 구면워셔(10a)와의 거리가 신장 혹은 신장하려고 하며, 이에 따라서 그 숫측 구면워셔(10)의 구좌면(10a)과 암측 구면워셔(12)의 구좌면(12a)이, 단단하게 걸어 맞추어지고, 동시에 상기 볼트부재(6)에는 양 플랜지부(4,5) 자신의 복원성 탄성력이 장력으로서 작용하므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단단하게 죄어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일련의 금형틀 조임공정은, 금형틀(1)의 양 플랜지부(4,5)이 길이방향으로 정렬해서 설치된 상기 선회장치(40) 및 이동장치(50)가, 각각 상기 구동축(41,51)에 의해서 일련으로, 또한 동기로 실시되므로, 죄어지는 플랜지부(4,5)사이에 변형이 생기는 일이 없으며, 본 실시예의 콘크리이트파일과 같은 길이가 긴 물품을 성형하는 경우에도 치수정밀도를 확보할 수 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지름의 콘크리이트파일의 금형틀조임 공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장치(30), 선회장치(40) 및 이동장치(50)는, 상기 구동축(41,51) 및 빔(22)과 함께 도시되지 않은 이동장치에 의하여 승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지주(21)와 함께, 도시되지 않은 이동장치로 금형틀(1)에 근접시키거나, 사이를 떼는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금형틀 조임 장치의 제2실시예를 제8도∼제12도에 의거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누름장치(30), 선회장치(40) 및 이동장치(50)의 기본적이며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제1도∼제7도에 도시하는 제1실시예의 것과 동등 또는 대략 동등하며 이들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고, 또한, 이들 전체의 이동장치를 변경한 것이며, 기타의 구성에 대하여는, 그 제1실시예와 같거나 또는 대략 같으므로, 이들에게는 등등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거나 또는 대략 같은 구성의 누름장치(30), 선회장치(40) 및 이동장치(50)가 사용되는데, 이들의 설치위치는 그 제1실시예와 약간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회장치(40) 및 이동장치(50)의 설치위치, 즉, 상기 볼트부재(6)에 의한 금형틀 조임 부위에 대하여, 누름장치(30)의 설치위치가 다소 감소되고 있다. 물론, 누름장치(30)를 감소하므로써, 선회장치(40)나 이동장치(50)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선회장치(40)나 이동장치(50)의 각 구동축(41,51)은, 각각 대형의 축받이(45,59)를 통하여 빔(22)이나 뒤에 설명하는 대차상의 샤시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가장 틀리는 점은, 상기 빔(22)이나 각 구동축(41,51)이, 대차(60a∼60c)에 탑재되어 있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대차(60a∼60c)는, 금형틀(1)의 길이방향으로 3대가 설치되며, 그 각각이 금형틀(1)의 지름방향, 즉,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4) 및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돌출 설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대차(60a∼60c)는 제8도, 제9도에 대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틀(1)의 지름방향, 즉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4) 및 하부금형 플랜지부(5)의 돌출설치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61)상에, 안내차(62)를 통하여 설치되며, 따라서, 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각 대차(60a∼60c)에는 문형의 지주(21)가 세워서 설치되고, 그 중앙부의 금형틀(1)쪽으로 실린더장치(63)가 세워서 설치되며, 그 양측에 가이드장치(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각 가이드장치(64)는, 종래의 기존 원형단면을 가지는 것이며, 대차(60a∼60c)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가이드바(64a)의 상단부는, 문형의 지주(21)로부터 금형틀(1) 측면에 상기 빔(22)이나 각 구동축(41,51)이 장착되며, 한편, 그 샤시(65)측에 돌출설치된 장착부재(21a)에 고정되어 있고, 그 가이드바(64a)의 상하의 2개의 방향에 단단하게 끼워지며, 또한 가이드바(64a)를 따라서 미끄럼운동 승강하는 2개의 슬라이더(64b)에, ㄷ자형 샤시(65)이 상하 끝단부(65a,65b)가 연결되고, 이 샤시(65)의 금형틀(1)의 상단부(65a)의 중앙부에는 상기 실린더장치(63)의 피스턴로드(63a)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그 실린더장치(63a)의 피스턴로드(63a)를 신축시키면, 상기 샤시(65)와 일체로 빔(22)이나 각 구동축(41,51)이 승강된다. 물론 각 대차(60a∼60c)의 샤시(65)는, 빔(22)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대차(60a∼60c)의 샤시(65)를 승강시킬 때에는, 다른 대차의 샤시와 연동하도록 상기 실린더장치(63)이 동기를 취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3대의 대차(60a∼60c)중, 제8도의 좌우 양측의 대차(60a,60c)는, 금형틀(1)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떨어지기 위한 구동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 구동장치는, 제8도의 좌측 끝단부측의 대차(60a)에서는 그 우측에, 우측 끝단부측의 대차(60c)에서는 그 좌측에 각각 설치된 실린더장치(66)와, 좌측 끝단부측의 대차(60a)에서는 그 좌측에, 그리고, 우측 끝단측의 대차(60c)에서는 그 우측에 설치된 가이드장치(67)로서 이루어진다. 이 중, 실린더장치(66)는, 제12b도에 대표적으로 명시하는 바와 같이, 그 통체(66a)의 후단부가 베드(60)에 고정되며, 피스턴로드(66b)의 앞끝단부가 각 대차60c(60a)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장치(67)는, 제10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존의 원형단면을 가지는 것이며, 대차60a(60c)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바(67a)가 병설되고, 이 가이드바(67a)에 단단하게 끼워지며, 또한 가이드바(67a)를 따라서 미끄럼운동 이동하는 2개의 슬라이더(67b)가 각 대차 60a(60c)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실린더장치(66)의 피스턴로드(66b)를 동시시켜 신축시키면, 빔(22)을 통해서 연결된 모든 대차(60a∼60c)연동해서, 금형틀(1)에 근접하거나 떨어지거나 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제8도에 우측끝단부측의 대차(60c)에는, 상기 선회장치(40)의 구동축(41)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장치는, 제12a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그 우측 끝단부측의 대차(60c)에 통체(68a)가 세워서 설치된 실린더장치(68)를 갖추고, 그 피스턴로드(68b)의 앞끝단부가, 상기 선회장치(40)의 구동측(41)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아암(69)에, 그 아암(69)의 돌출설치방향으로 약간의 미럼운동을 허용하면서 연결견되어 있다. 따라서, 그 실린더장치(68)를 신축시키면, 그 신축 끝단 사이에서 이른바, 크랭크모션에 의해서 선회장치(40)의 구동축(41)은 소정각도만큼 회전되므로, 상기 튕겨올림부재(44)에 요구되는 선회각도에 따라, 그 실린더장치(68)의 신축끝단을 설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 이동장치(50)의 구동축(51)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기구 및 구동장치는, 앞서 설명의 것과 상당히 상이하다. 이 구동축은, 제10도∼제12도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각 대차(60a∼60c)에 설치된 체인레이아웃에 의해서 동기회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축(51)중의 각 대차(60a∼60c)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스프로킷(70a)과, 각 대차(60a∼60c)의 문형지주(21)의 배면측 상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70b)과, 각 대차(60a∼60c)의 문형지주(21)의 하방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아암부재(72)에 설치된 스프로킷(70c)과, 그 아암부재(72)에 설치된 스프로킷(70c)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스프로킷(70a)과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문형지주(21)에 설치된 스프로킷(70d)에 체인(71)이 걸쳐지고, 이중, 상기 문형지주(21)의 배면측 상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70b)은, 각 대차(60a∼60c)의 문형지주(21)에 장착되어 있는 축받이(73)로 지지된, 일련의 회전축(74)으로 연결되며, 그 회전축(74)이 뒤에 설명하는 구동장치로 회전되므로써, 각 대차(60a∼60c)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구동축(51)에 설치된 스프로킷(70a)이 동기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그 구동축(51)이 일련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부재(72)에는 체인레이아웃을 외측으로 당기는 스프링(75)이 걸쳐지고, 이 스프링(75)의 인장탄성력을 일정하게 하므로써, 이른바, 오토텐셔너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체인레이아웃의 회전구동장치는, 제8도에 도시하는 중앙측의 대차(60b)에 설치된, 제11도에 명시하는 전동모터(76)의 회전축(76a)에 풀리가 장착되며, 한편, 상기 회전축(74)중, 그 대차(60b)에 상당하는 위치에도 풀리(78)가 장착되고, 양 풀리(77,78)를 벨트(79)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76)를, 이른바, 쵸핑제어하므로서 상기 회전축(74) 및 이동장치(50)의 구동축(51)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누름롤러(55)에 요구되는 선회각도에 따라, 그 전동모터(76)의 회전각도를 설정하면 된다.
이상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금형틀 조임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기존 금형틀에 요하는 조임 기구가 간결하며, 혹은 종래의 기존 금형틀에 설치되어 있는 조임 기구를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고, 또, 장치구성 및 조임 공정이 간결하므로, 종래의 기존금형틀 조임장치를 개조할 때에도, 조립이나 조정이 용이하여, 코스트도 저렴화할 수가 있다.

Claims (4)

  1. 금형틀을 구성하는 분할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양 금형을 조합하였을 때에 상하로 근접하여 대향하는 상부 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중, 하부금형 플랜지부에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그 하부금형 플랜지부로부터 아래로 처지거나 또는 대략 아래로 처진 위치를 초기위 치로 하여 배열 설치된 조임부재를, 상기 양 플랜지부의 돌출설치방향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선회하여, 그 조임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에 걸어맞춤으로써 상부금형과 하부금형과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는 금형틀 조임장치로서, 적어도 상기 조임부재가 상기 초기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와 하부금형 플랜지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을 누르는 누름장치와, 상기 조임부재를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적어도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외측까지 선회시키는 선회장치와, 상기 선회장치에 의하여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외측까지 선회된 조임 부재를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까지 선회시켜서, 그 조임 부재의 걸어맞춤부를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소정 걸어맞춤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틀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의 걸어맞춤부와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이 서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면이, 적어도 상기 조임부재의 선회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틀 조임장치.
  3. 제1항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장치는, 적어도 상기 하부 금형 플랜지부의 하면보다 하방이며, 또한, 그 하부금형 플랜지부의 외측에 배열 설치된 축부재와, 그 축부재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조임부재보다 하방위치를 초기위치로하여 그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 하방으로 부터 상방의 소정위치까지 선회되는 선회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형틀 조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적어도 상기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보다 상방에 배열설치된 축부재와, 그 축부재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선회장치에 의하여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상면측의 외측까지 선회된 조임 부재의 외측위치를 초기위치로 하여, 그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의 외측으로부터 그 상부금형 플랜지부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선회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틀 조임장치.
KR1019960032128A 1996-08-01 1996-08-01 금형틀 조임장치 KR19980013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128A KR19980013597A (ko) 1996-08-01 1996-08-01 금형틀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128A KR19980013597A (ko) 1996-08-01 1996-08-01 금형틀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597A true KR19980013597A (ko) 1998-05-15

Family

ID=6624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128A KR19980013597A (ko) 1996-08-01 1996-08-01 금형틀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35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149B2 (en) 2007-02-09 2015-11-03 Exterran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non-fixed media fil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149B2 (en) 2007-02-09 2015-11-03 Exterran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non-fixed media filt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4453B1 (de) Tragarm für ein spann- und zentrierelement eines greifergerüstes zum halten von raumformbauteilen in der kfz.-industrie
KR100837928B1 (ko) 나사체결 작업용 지그 장치
US20150158222A1 (en) Nozzle touch mechanism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US5083355A (en) Hemming apparatus
US6209374B1 (en) Roll-forming machine with adjustable compression
JPH08508679A (ja) 車体修理台用牽引整列アーム
CN1549755A (zh) 用于在车门上装配密封条的装置
DE4313472C2 (de) Formschließeinheit für eine Kunststoff-Spritzgießmaschine
KR19980013597A (ko) 금형틀 조임장치
US65402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spension of a cab on a vehicle frame
CN219425317U (zh) 一种冷弯成型设备用三级调节组件
US4647273A (en) Hydraulic tire curing press
KR100291164B1 (ko) 압연된 형강, 특히 h-형강을 위한 교정기
JP2543309B2 (ja) 輪転印刷機、特に枚葉紙オフセット印刷機の版胴の緊張レ―ルに対して締付けレ―ルを操作するための装置
KR20180056435A (ko) 회전형 지그장치
JP3781822B2 (ja) ロボットによる溶接装置
JPH0924512A (ja) 型枠緊締装置
KR100295809B1 (ko) 타이어반제품인비드의저장및공급장치
CN111730887A (zh) 轮胎胎圈预置装置
JPH11342422A (ja) 圧延されたけた材のための矯正機
KR101530820B1 (ko) 호스밴드용 롤링기구
JP2930899B2 (ja) 歪み成形装置
CN212312831U (zh) 轮胎胎圈预置装置
JPH10277462A (ja) ダイヘッド調整装置
EP3397492A2 (de) Druckplattenspannschi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