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526U -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526U
KR19980011526U KR2019960025033U KR19960025033U KR19980011526U KR 19980011526 U KR19980011526 U KR 19980011526U KR 2019960025033 U KR2019960025033 U KR 2019960025033U KR 19960025033 U KR19960025033 U KR 19960025033U KR 19980011526 U KR19980011526 U KR 199800115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unit
guide groove
projection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5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1526U/ko
Publication of KR19980011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52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의 콘트롤부에 설치되는 도어(DOOR)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자체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수 있도록 고안된 전자제품의 콘트롤부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런트케이스의 콘트롤부에서 힌지축과 힌지편부를 구비하여 회전 가능하게 개폐되는 도어에 쎈타돌기를 구성하고, 상기 쎈타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홈과 만곡부를 가진 콘 트롤부의 구조를 구성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CONTROL PORTION FOR USE WITH ELECTRON PRODUCTS)
본 고안은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의 콘트롤부에 설치되는 도어(DO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자체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수 있도록 고안된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은 콘트롤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의 미려성을 도모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콘트롤부도어는 대개 앞쪽방향으로 열고 다시 닫을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도어 개폐를 위한 힌지구조와 더불어 푸쉬캐치와 스냅, 그리고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가 되도록하고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도어개폐구조는 도어를 열고 닫는데 그다지 지장이 초래되지 않으나, 도어 개폐를 위한 부품이 비교적 많이 소모되므로 원가상승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을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을 많게 하므로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게 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콘트롤부도어 자체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도어를 원만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른목적은 생산성 향상를 도모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제의 도어와, 상기 도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쎈타돌기, 그리고 상기 쎈타돌기가 회전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만곡부를 프런트케이스에 구비하는 개폐구조를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일측면을 보인 작용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프런트케이스2 : 콘트롤부
3 : 도어4 : 힌지축
5 : 힌지축편6 : 쎈타돌기
7 : 가이드홈8 : 만곡부
이하,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고안의 실시예가 모니터에 보여 주고있 으며, 상기 모니터는 프런트케이스(1)의 전면 하측에 콘트롤부(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콘트롤부(2)에는 도어(3)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것을 위해 콘트롤부(2) 양측에는 힌지축(4)을, 그리고 도어(3) 양측에는 힌지축편(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힌지축편(5)은 힌지축(4)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되고, 그로서 도어(3)가 열리고 닫히도록 된다.
또한, 도어(3)는 플라스틱제로 사출 성형되며, 도어(3)가 설치되는 프런트케이스(1) 역시 플라스틱제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3)의 제조시에 내면 중간 쎈타 하부쪽에 쎈타돌기(6)가 돌출되도록 형성시킨다.
또한, 콘트롤부(2) 하부쪽에는 상기 쎈타돌기(6)가 안내되어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7)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홈(7)의 내면은 만곡부(8)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만곡면코너부(8a)를 통과하는 쎈타돌기(6)는 타이트하게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을 도 3를 참조하여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실선상태의 도어(3) 상태는 닫힌 상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도어(3)는 손으로 외부방향으로 제끼게 되면 열리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는 힌지축(4)을 기점으로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3)가 구비하는 쎈타돌기(6)는 가이드홈(7)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그것이 제 3 도의 점선도시와같이 만곡면코너부(8a)에 이르게 되면 이때는 빡빡하게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상태가 되므로 그 부분의 도어(3)가 약간 외부방향으로 밀려나는 상태가 되면서 만곡면코너부(8a)를 통과하게 된다.
그에따라 쎈타돌기(6)가 만곡면코너부(8a)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이때는 쎈타돌기(8a)와 만곡부(8)가 헐거운상태의 접촉이 되는 상태가 되므로 도어(3)는 일점쇄선상태와 같이 완전히 제껴지는 열림상태가 된다.
즉, 쎈타돌기(6)가 만곡면코너부(8a)를 통과하는 시점에 외부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는 도어(3) 자체가 그 지점을 완전히 통과하는 시점이 되면 외부로 밀려난 도어 자체가 원래상태로 복귀되는 탄력에 의해 도어(3)가 제껴지는 힘을 받게 됨에따라 얼른 제껴지는 열림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3) 닫힘은 역시 손으로 닫게 되는데, 이것 또한 쎈타돌기(6)가 만곡면코너부(8a)를 지나가는 시점에 도어 열림상태와 마찬가지로 작용되기 때문에 쎈타돌기(6)가 만곡면코너부(8a)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얼른 닫혀지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유연성있는 도어자체와, 도어에 구비하는 쎈타돌기, 그리고 상기 쎈타돌기가 통과하는 가이드홈과 만곡부를 프런트케이스의 콘트롤부에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도 도어개폐를 원만히 수행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생산성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본고안에 있어 도어 개폐를 위한 힌지축과 힌지축편의 구조는 변형 가능한 것으로서, 도어 회전을 위한 다소의 구조변경이 따르더라도 관계없으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보호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Claims (2)

  1. 프런트케이스와, 프런트케이스에 구비되는 콘트롤부와,
    상기 콘트롤부의 힌지축을 기점으로 회전되는 힌지축편을 가진 도어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 중간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 내면에 형성되는 만곡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고 만곡부에 접촉되는 쎈타돌기를 가진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전자제품의 콘트롤부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만곡면코너부를 쎈타돌기가 타이트하게 접촉되면서 도어가 개폐되는 회전이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콘트롤부도어 개폐장치.
KR2019960025033U 1996-08-20 1996-08-20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KR199800115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033U KR19980011526U (ko) 1996-08-20 1996-08-20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033U KR19980011526U (ko) 1996-08-20 1996-08-20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526U true KR19980011526U (ko) 1998-05-25

Family

ID=5397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033U KR19980011526U (ko) 1996-08-20 1996-08-20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15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9466B2 (en) 2009-07-27 2018-04-10 Iii Holdings 3, Llc Non-contact current sen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9466B2 (en) 2009-07-27 2018-04-10 Iii Holdings 3, Llc Non-contact current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1526U (ko)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US20030184977A1 (en) Door mounting structure
KR940020402A (ko) 테이프 카세트(Tape Cassette)
KR100214968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개폐장치
KR10214182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950007506Y1 (ko) 도어 개폐장치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60252Y1 (ko) 가전제품의 도아 힌지장치
KR890002113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20000004220U (ko) 휴대폰의 이어폰 커버장치
KR0118300Y1 (ko)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KR960010728Y1 (ko) 커버도어 개폐장치
KR950008224Y1 (ko) 가전제품 도어 개폐 장치
KR0134619Y1 (ko)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9980014050U (ko) 모니터의 도어 잠금 구조
KR950008154Y1 (ko) 전자제품의 콘트롤 박스도어용 힌지구조
KR860000733Y1 (ko) 텔레비젼의 도어 개폐장치
KR950010228Y1 (ko) 세탁기의 뚜껑 힌지
KR0121588Y1 (ko) 2중 동작 노브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960003429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도어 개폐 장치
KR970004507Y1 (ko)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0111198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KR0119841Y1 (ko) 냉장고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
KR100420363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