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6983B1 - 누설동축 케이블 - Google Patents

누설동축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6983B1
KR102756983B1 KR1020190174398A KR20190174398A KR102756983B1 KR 102756983 B1 KR102756983 B1 KR 102756983B1 KR 1020190174398 A KR1020190174398 A KR 1020190174398A KR 20190174398 A KR20190174398 A KR 20190174398A KR 102756983 B1 KR102756983 B1 KR 10275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leaky coaxial
outer conductor
slot
condu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955A (ko
Inventor
이우경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69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69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3Leaky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78Special measures in order to improve the flexibility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을 구성하는 외부도체에 형성된 슬롯의 면적 및 슬롯의 간격 등을 최적화하여 최근 보급되고 있는 5G 무선통신의 사용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의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설동축 케이블{Leakage Coaxial Cable}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을 구성하는 외부도체에 형성된 슬롯의 면적 및 슬롯의 간격 등을 최적화하여 최근 보급되고 있는 5G 무선통신의 사용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의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누설동축케이블(Leaky CoaXial cable, LCX)은 일반적으로 전파 품질이 불안정한 터널이나 지하 시설(지하 상가, 주차장, 지하철 등) 또는 소방방재를 위한 통신용으로 설치되어 케이블을 따라서 전파를 발신하거나 중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누설동축케이블은 외부 도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슬롯을 통해 외부로 전자기파를 누설시킬 수 있으며, 슬롯의 형상과 크기, 간격에 의해 누설동축케이블의 성능이 좌우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상업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대역폭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예를 들어, 800~900MHz 대역의 CDMA/GSM850, 1.8~1.9GHz 대역의 4G/LTE, 2.1~2.7GHz 대역의 WCDMA/UMTS 및 2.3~2.4GHz 대역의 Wibro/WLAN 등이 있고 최근 보급되는 5G의 주파수대역은 현재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3.4~ 3.7GHz 까지의 주파수대역이 사용되고 유럽의 경우 최대 3.8GHz 까지의 주파수대역이 사용되고 있다.
동축 케이블은 서로 다른 전파상수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전파모드의 중첩으로 인하여 통신 성능이 발생되는 차단주파수(cut-off frequency)가 존재한다. 따라서, 누설 동출 케이블을 통한 통신에서는 사용 대상 주파수대역이 차단 주파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는 4G/LTE 통신의 주파수대역은 일반적인 누설동축케이블의 차단주파수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최근 보급이 확대되는 5G 통신의 경우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가 간섭되어 통신품질의 저하될 수 있다.
결국,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5G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누설동축케이블의 차단주파수가 5G 통신의 주파수대역보다 커지도록 누설동축케이블을 구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누설동축케이블의 차단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누설동축케이블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알려졌으나, 케이블의 직경이 감소되면 감쇠량이 증가되어 누설동축 케이블의 커버리지 구간이 긴 경우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기존 통신 및 5G 통신의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의 간섭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감쇠량 등이 크지 않아 충분한 커버리지 길이를 제공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을 구성하는 외부도체에 형성된 슬롯의 면적 및 슬롯의 간격 등을 최적화하여 최근 보급되고 있는 5G 무선통신의 사용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의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도체; 상기 내부 도체 외측을 감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복수 개의 개방된 슬롯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경이 50 밀리미터(㎜) 이하인 외부 도체; 상기 외부 도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도체에 형성된 슬롯의 면적은 8 ㎜2 이상 50 ㎜2 이하이며, 차단주파수가 3.8G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도체는 복수 개의 슬롯이 슬롯 그룹을 형성하며, 복수 개의 슬롯 그룹이 80 밀리미터(㎜) 내지 100 밀리미터(㎜) 피치를 주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슬롯 그룹은 2개 내지 4개의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도체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은 원주방향으로 길고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도체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은 원주방향 길이가 케이블 길이방향 폭보다 긴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 그룹을 구성하는 슬롯의 면적의 총합은 15 ㎜2 이상 200 ㎜2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의 내경은 22.8mm 내지 32.7mm이며, 3.8GHz 시험신호에 대한 100미터 길이당 감쇠량은 7dB 내지 11.5dB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에 의하면, 누설동축케이블을 구성하는 외부도체에 형성된 슬롯의 면적 및 슬롯의 간격 등을 최적화하여 최근 보급되고 있는 5G 무선통신의 사용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의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에 의하면, 외부도체에 형성된 슬롯의 면적 및 슬롯의 간격 등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적용하므로, 차단주파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경을 줄여서 감쇠량이 증가되는 크기의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5G 통신의 커버리지 거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에 형성되는 슬롯의 면적과 누설동축케이블의 차단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13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1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동축케이블은 내부 도체를 절연체로 감싸고 그 주위에 외부도체를 감싼 것으로, 고주파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의미하며, 외부도체에 슬롯을 형성한 누설동축케이블은 안테나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하공간 및 터널의 경우는 동축케이블 외부도체에 신호 누설용 Slot이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케이블 자체가 안테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100)은 내부도체(110), 절연체(120), 외부도체(130) 및 케이블자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도체(110)는 도전성이 있는 금속 소재의 도선이다. 상기 금속 소재로는 동선, 연동선, 동복 알루미늄 선 또는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관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누설동축케이블(100)에 송ㆍ수신된 전자기파 에너지의 전송로(Transmission Line)이다. 상기 절연체(120)는 상기 내부도체(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내부도체(110)와 외부도체(130) 사이를 절연하고, 상기 전자기파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는 유전 물질로 구성되어 유전층을 형성한다.
상기 유전 물질로는 발포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 절연물 등이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30)는 도전성이 있는 금속 소재의 전자기파 차폐층으로 상기 절연체(120) 외측에 장착되고 접지선에 의해 접지(Earth) 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30)를 구성하는 금속 소재로는 동관 또는 라미네이트형 알루미늄 테이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30)에는 다수의 방사용 슬롯(132)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절연체(12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고 전자기파 에너지가 방사 및 흡수될 수 있다.
상기 방사용 슬롯(132)은 직사각형 또는 트랙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편파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용 슬롯(132)은 외부도체(1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신호 전송용 동축케이블의 경우 사용주파수의 범위를 규정하는 차단주파수(fc)가 존재하며, 상기 차단주파수(fc)는 전파상수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전파모드의 중첩이 발생되는 주파수를 의미하며 아래의 제1식으로 계산된다.
아래의 제1식은 도 2에 도시된 누설동축케이블(100)의 외부도체(130)의 내경(2b), 내부도체(110)의 외경(2a), 절연체(120)의 유전율(εr) 및 차단 상수(c) 등의 관계식으로 구성된다.
- 제1식 -
fc : 차단주파수,
c : 차단상수
a : (내부도체의 외경) / 2,
b : (외부도체의 내경) / 2,
kc : 2 / (a+b)
εr : 절연체(120)의 유전율
상기 제1식으로 계산되는 것으로 알려진 동축케이블의 차단주파수(fc)는 내부도체의 외경(2a), 외부도체의 내경(2b) 및 유전율(εr)에 각각 반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신호의 사용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fc)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동축케이블의 차단주파수(fc)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식으로부터 동축케이블을 구성하는 내부도체의 외경(2a), 외부도체의 내경(2b) 또는 유전율(εr)이 감소되도록 동축케이블을 설계해야 한다.
이 경우, 절연체(120)의 재질이 동일한 경우 유전율(εr)은 동일하다는 전제로 결국 동축케이블의 차단주파수(fc)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크기, 즉 내부도체의 외경 및 외부도체의 내경을 함께 축소시키는 방법이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으나, 동축케이블의 크기 또는 직경이 감소되면, 시스템 손실을 결정하는 감쇠량이 증가되어 차단주파수(fc)는 증가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동축케이블의 특성은 누설동축케이블(100)에서도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5G 통신의 3.8GHz까지의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fc)가 간섭되지 않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누설동축케이블(100)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터널 등에 설치되는 누설동축케이블(100)의 직경은 50 밀리미터(㎜) 이내이며, 누설동축케이블(100)은 일반 동축케이블과 달리 외부도체(130)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슬롯(132)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32)이 형성되는 경우, 내부의 절연체(120)가 외부도체(130) 외측방향으로 노출되므로 누설동축케이블(100)의 유전율(εr)은 슬롯(132)이 없는 동축케이블보다 감소된다.
도 3은 누설동축케이블(100)에 형성되는 슬롯(132)의 면적과 누설동축케이블(100)의 차단주파수(fc)의 관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터널 등에 설치되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누설동축케이블(100)은 외부도체(130)의 직경이 50 밀리미터(㎜) 이하이며, 도 3에 도시된 시험 그래프 역시 누설동축케이블(100)의 직경이 50 밀리미터(㎜) 이하인 누설동축케이블(100)을 이용한 시험결과이다.
도 3에 도시된 시험 그래프는 동일한 크기의 내부도체(110)와 외부도체(130)를 구비하고 절연체(120)의 재질이 동일한 누설동축케이블(100)에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슬롯(132)의 면적만을 변화시키며 차단주파수(fc)를 측정(해석 Tool : HFSS (Ansys社))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결과를 통해 단위 슬롯(132)의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차단주파수(fc) 역시 완만하게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있다.
단위 슬롯(132) 면적이 약 8 ㎜2 이상이 되면 차단 주파수가 3.78GHz 이상이 되고, 단위 슬롯(132) 면적이 약 45 ㎜2 까지는 차단주파수(fc)가 완만하게 증가되나 단위 슬롯(132) 면적이 약 50 ㎜2이 되면 차단주파수(fc)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거나(saturation) 외부도체(130)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슬롯(132)을 형성할 수 없을 정도로 슬롯(132)의 면적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누설동축케이블(100)을 사용하여 5G 통신의 3.8GHz까지의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fc)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려면, 마진을 고려하여 단위 슬롯(132)의 면적은 8 ㎜2 이상 50 ㎜2 이하가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결과는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슬롯(132)의 면적만을 변화시킨 시험 결과이며, 이외에도 슬롯의 간격 또는 형상에 따라 차단주파수(fc)가 변경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100)의 외부도체(13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50 밀리미터(㎜) 이하인 누설동축케이블(100)에서 5G 통신의 3.8GHz까지의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fc)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각각의 슬롯(132)의 면적은 8 ㎜2 이상 50 ㎜2 이하가 되어야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슬롯(132)은 면적이 동일하여도 슬롯(132)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나, 다양한 형상의 슬롯(132)을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시험한 결과 슬롯(132)은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보다 2개 내지 4개의 슬롯(132)을 그룹화하여 형성하고 슬롯 그룹(G)의 반복 피치(P)가 일정한 범위가 되도록 구성하며, 슬롯(132)의 형상은 수평 편파가 우세하도록 외부도체(130)의 원주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3개의 슬롯(132)이 외부도체(130)의 길이방향으로 그룹화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그 개수는 내부도체(110)와 외부도체(130)의 직경 그리고 절연체(120)의 재질 등에 의하여 2개 내지 4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롯(132)의 폭과 길이는 단위 슬롯(132)의 면적이 8 ㎜2 이상 50 ㎜2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슬롯(132)의 길이(l)가 슬롯(132)의 폭(w)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슬롯(132)의 폭(w)은 2 밀리미터(㎜)이며, 길이(l)는 12 밀리미터(㎜)이고, 단위 슬롯(132)의 면적은 24 ㎜2 로 구성된 예이다.
그리고, 각각 2개 내지 4개의 슬롯(132)으로 구성되는 슬롯 그룹(G)의 반복 주기인 피치는 5G 무선통신의 사용 주파수대역 내 전압 정재파비 (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피크를 제거하기 위해 약 80 밀리미터(㎜) 내지 100 밀리미터(㎜)인 조건에서 각각의 슬롯 그룹(G)을 구성하는 슬롯(132) 면적의 합은 15 ㎜2 이상 200 ㎜2 이하가 되어야 하며, 이 경우에도 단위 슬롯(132)의 면적이 8 ㎜2 이상 50 ㎜2 이하인 조건은 함께 만족되어야 차단주파수가 더욱 증가되어 충분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에서 외부도체의 내경에 따른 감쇠량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외부도체의 내경은 23.3mm, 33.2mm, 35.9mm 및 46.4mm이며, 단위 길이당 슬롯의 개수와 개별 슬롯의 면적은 4개와 24 mm2로 동일하다. 개별 슬롯의 면적은 전술한 8 mm2 이상 50 mm2 이하 범위에서 선정되었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외부도체 내경 [mm] 23.3 33.2 35.9 46.4
단위 슬롯 면적 [mm2] 24 24 24 24
슬롯개수/그룹 [EA] 4 4 4 4
차단주파수 [GHz] 5.6 3.8 3.5 2.8
감쇠량 @3.8GHz [dB/100m] 11.1 7.2 7.2 5.0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도체의 내경이 증가됨에 따라 차단 주파수가 감소되고, 시험 신호에 대한 감쇠량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도체의 내경이 23.3mm, 33.2mm인 실시예 1과 실시예2는 차단 주파수가 각각 5.6GHz, 3.8Ghz 이므로, 외부도체의 내경 변화에 따라 5G 통신의 3.8GHz까지의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fc)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외부도체의 내경이 실시예 2의 33.2mm보다 큰 35.9mm, 46.4mm인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차단 주파수가 각각 3.4GHz, 2.8Ghz이므로 5G 통신의 3.8GHz까지의 주파수대역 내에서 차단주파수가 발생되어 차단주파수(fc)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외부 도체의 내경 설계가 바람직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누설동축케이블의 손실(시스템 손실)은 결합손실과 감쇠량(Attenuation)의 합으로 결정된다.
감쇠량(Attenuation)은 누설 동축 케이블에 인가된 신호 전압이 감쇠되는 양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신호 전압이 누설동축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진행될수록 감쇠량은 축적된다. 또한, 결합 손실(Coupling Loss)은 누설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전송 전력과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무지향성 또는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방사용 슬롯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결합 손실은 작을 수 있다. 결국 시스템 손실이 클수록 유효 서비스 거리는 줄어들고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기파는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누설동축케이블 설계시 시스템 손실을 결정하는 감쇠량이 크게 증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한 5G 통신에서의 바람직한 감쇠량은 약 11.5dB 정도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도체의 내경이 실시예 1와 같이 23.3mm 정도인 경우 5G 통신에서 3.8GHz까지의 주파수대역과 차단주파수(fc)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차단주파수가 충분히 커지고, 시험신호가 3.8GHz에서의 감쇠량이 11.5dB보다 작은 11.1dB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도체의 내경이 더 작아지는 경우 전술한 감쇠량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정리하면, 누설동축케이블을 구성하는 외부도체의 내경의 상한은 차단주파수로 결정되고, 하한은 감쇠량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5G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3.8GHz까지의 주파수대역과 간섭이 없도록 차단주파수가 3.8GHz이 되며, 감쇠량은 11.5dB 이하가 되도록 하기 위한 누설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의 내경은 23.3mm 및 33.2mm 정도라 판단되며, 마진 또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상기 설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의 내경은 22.8mm 내지 32.7mm 정도가 바람직하며, 그 때의 3.8GHz 시험신호에 대한 100미터 길이당 감쇠량은 7dB 내지 11.5dB 범위를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누설동축케이블
110 : 내부도체
120 : 절연체
130 : 외부도체
140 : 케이블자켓

Claims (7)

  1. 내부 도체;
    상기 내부 도체 외측을 감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며, 복수 개의 개방된 슬롯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경이 50㎜ 이하이고 내경이 22.8㎜ 내지 32.7㎜인 외부 도체;
    상기 외부 도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도체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 면적은 8 ㎜2 내지 50 ㎜2이며,
    상기 외부 도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롯은 그룹화되어 슬롯 그룹을 형성하며,
    복수 개의 슬롯 그룹은 80㎜ 내지 100㎜ 피치를 주기로 형성되고,
    5G 무선통신의 사용 주파수대역과 간섭되지 않도록 차단주파수가 3.8GHz 내지 6.0G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슬롯 그룹은 2개 내지 4개의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은 원주방향으로 길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은 원주방향 길이가 케이블 길이방향 폭보다 긴 사각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그룹을 구성하는 슬롯의 면적의 총합은 15 ㎜2 이상 200 ㎜2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의 내경은 22.8mm 내지 32.7mm이며, 3.8GHz 시험신호에 대한 100미터 길이당 감쇠량은 7dB 내지 11.5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KR1020190174398A 2019-12-24 2019-12-24 누설동축 케이블 Active KR10275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98A KR102756983B1 (ko) 2019-12-24 2019-12-24 누설동축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98A KR102756983B1 (ko) 2019-12-24 2019-12-24 누설동축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55A KR20210081955A (ko) 2021-07-02
KR102756983B1 true KR102756983B1 (ko) 2025-01-17

Family

ID=7689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398A Active KR102756983B1 (ko) 2019-12-24 2019-12-24 누설동축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6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90954A (zh) * 2023-02-17 2023-05-30 江苏亨鑫科技有限公司 双并线阻燃漏泄同轴电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582A (ko) * 2008-04-28 2009-11-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단일 방사 모드의 누설동축케이블
KR20140100359A (ko) * 2013-02-06 2014-08-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누설 동축 케이블
KR102600253B1 (ko) * 2016-02-25 2023-1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공공 안전망용 누설 동축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55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9769B1 (en) Radiating cable
Alibakhshikenari et al. Study on antenna mutual coupling suppression using integrated metasurface isolator for SAR and MIMO applications
KR100766182B1 (ko) 방사형 누설 동축 케이블
KR102756983B1 (ko) 누설동축 케이블
EP1739789B1 (en) Radiating coaxial cable
KR20140100359A (ko) 누설 동축 케이블
KR101074845B1 (ko) 실내매설용 세경 방사 동축케이블
KR102093204B1 (ko) 격리도 개선 구조를 갖는 광대역 mimo 안테나
KR100817981B1 (ko) 광대역 누설 동축 케이블
CN101140817A (zh) 一种漏泄同轴电缆
KR20110092689A (ko) 메타 물질 구조물을 이용한 중계기 안테나
KR100769398B1 (ko) 이동통신용 누설동축케이블
US6426685B2 (en) Radiating coaxial radio-frequency cable
KR100837006B1 (ko) 광대역 누설 동축 케이블
KR100761597B1 (ko) 광대역 누설 동축 케이블
KR100780147B1 (ko) 광대역 누설 동축 케이블
KR102524424B1 (ko) 누설 동축 케이블
JP6794537B2 (ja) 複合結合器及びそれを用いた漏洩同軸ケーブル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761599B1 (ko) 단일 빔 방사형 누설 동축 케이블
CN221708452U (zh) 一种轨道交通专网无线通信合用双极化漏缆
KR20090113582A (ko) 단일 방사 모드의 누설동축케이블
JP2007104631A (ja) アンテナ装置
JP5667860B2 (ja) 移動通信用nvisアンテナ
KR20100083409A (ko) 케이블형 광대역 안테나 시스템
KR20140100358A (ko) 누설 동축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