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6895B1 -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6895B1
KR102696895B1 KR1020230129675A KR20230129675A KR102696895B1 KR 102696895 B1 KR102696895 B1 KR 102696895B1 KR 1020230129675 A KR1020230129675 A KR 1020230129675A KR 20230129675 A KR20230129675 A KR 20230129675A KR 102696895 B1 KR102696895 B1 KR 10269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vehicle
terrace
device bas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44366A (ko
Inventor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Publication of KR2024004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38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expansible, e.g. extensible in a fan type m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테라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레일이 양측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베이스 및, 일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힌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상부에 비교적 작은 크기로 보관이 용이하고, 또한 차량의 상부에 손쉽게 테라스 및 텐트 공간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POP-UP ROOF AND TERRAC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테라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부에 비교적 작은 크기로 보관이 용이하고, 또한 차량의 상부에 손쉽게 테라스 및 텐트 공간을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테라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텐트는 해체·운반할 수 있는 조립·이동식 간이 생활공간일 수 있다. 오늘날 이러한 텐트는 일상적인 주거용 보다는 주로 임시 야영용으로 군사·탐험·등산·캠핑 등에 사용되고 있다.
텐트는 사용 목적·장소·인원·계절 등에 따라 모양·크기·재질 따위도 바뀌는데, 군사·학교 캠핑 때에 사용되는 것에서부터 야외 음악·연극·서커스 등에 사용되는 대규모의 천막 등 그 용도 및 규모 등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다.
특히, 등산·캠핑·여행 등 레져 활동에 사용되는 텐트는 2∼8인용 정도로 혼자서 운반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레저용 텐트에 있어서 형태 면에서 3각형·지붕형·가옥형·한쪽물매형·반달형·돔형 등 다양한 형태의 텐트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텐트는 그 크기가 다양하지만 대체로 부피가 커 이동이 불편하고, 조립설치 및 철거가 어려우며, 구조가 복잡하여 이음매 부분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레져용 텐트를 이용할 때는 주로 차량을 이용하여 캠핑지로 이동한 후, 준비한 텐트를 설치하여 이용하는데, 차량에 보관되는 텐트는 그 부피가 커서 많은 준비물들을 함께 보관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보관된 텐트를 차량으로부터 꺼내서 설치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텐트를 펼쳐서 설치하기 위한 최소한의 평평한 지면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텐트 설치를 위한 위치 선정에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텐트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21-0148577호와 같은 차량용 루프탑 텐트가 제안된다. 이러한 루프탑 텐트는 차량의 루프 위에 텐트를 설치하여 마치 이동식 주택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한, 흔히 카 펜션(car pension)이라 불리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루프탑 텐트는 레저와 자동차 문화를 조화시킨 것으로서, 대형 트레일러나 캠핑카와는 달리 간편하게 차량에 설치하여 운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탑 텐트는 차량의 상부 공간만을 확장하는 형태로서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상부 공간을 보다 확장하여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고, 더불어 차량의 측면까지 텐트 공간을 확보하여 야외 생활공간을 넓힐 수 있는 텐트 구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상부에 비교적 작은 크기로 보관이 용이하고, 또한 차량의 상부에 손쉽게 테라스 및 텐트 공간을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테라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테라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상부에 장착된 루프베이스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레일이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하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되는 장치베이스;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베이스가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차량의 상부에 테라스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수용부에서 회전하며 지면에 안착되며 상기 장치베이스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루프베이스와 상기 장치베이스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상에서 상기 장치베이스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루프베이스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잠금홈; 상기 장치베이스의 측부에 형성되는 잠금핸들; 및 상기 잠금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잠금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치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는 잠금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베이스의 하부를 개폐되는 해치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해치부재는, 상기 장치베이스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는 단턱부; 및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며 배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장치베이스에 경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되는 해치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는, 상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상부지지봉; 상기 상부지지봉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봉; 상기 하부지지봉의 하부에 연결되고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블록; 및 상기 상부지지봉과 상기 하부지지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지지봉과 상기 하부지지봉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신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축유닛은, 상기 상부지지봉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암스크류부; 및 상기 하부지지봉의 상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암스크류부에 맞물리는 수스크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베이스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텐트를 지지하는 텐트풀; 및 상기 장치베이스의 상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베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난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난간부재는, 상기 장치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접이식 정면난간; 및 상기 장치베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정면난간의 양측에 배치되는 접이식 측면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면난간은, 상기 장치베이스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빔; 상기 지지빔과 힌지로 연결되는 난간빔; 및 상기 지지빔과 상기 난간빔간에 연결되며 상기 난간빔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난간은, 상기 장치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지지빔; 상기 지지빔과 상기 텐트풀에 힌지로 연결되는 난간빔; 및 상기 텐트풀과 상기 난간빔간에 연결되며 상기 난간빔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난간빔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1 고정빔; 상기 제1 고정빔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형성되는 제1 링크홀; 상기 지지빔 또는 텐트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 고정빔; 상기 제2 고정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링크홀; 상기 제1 고정빔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링크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링크핀; 상기 제2 고정빔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링크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링크핀; 및 상기 제1 링크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 링크핀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 링크홀을 관통하며 상기 제2 링크핀에 나사산 방식으로 맞물려 체결되는 고정핸들;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피스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링크핀을 상기 제1 고정빔에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제1,2 고정빔의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지지봉과 상기 안착블록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장치베이스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수유닛은, 상기 하부지지봉과 상기 안착블록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장치베이스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전달되는 충격을 탄성력으로 흡수하는 탄성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흡수부는, 상기 안착블록의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바디홀이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바디홀의 둘레에 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하부지지봉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홀에 삽입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상단 둘레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되는 상단플랜지; 상기 상단플랜지와 상기 수용홈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하부지지봉의 내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되고 상기 상단플랜지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누름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지지봉에 하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되면, 상기 누름플랜지가 상기 상단플랜지를 하방향으로 누르고, 상기 탄성체가 탄성력으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흡수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안착블록의 상부가 끼워지는 끼움블록; 상기 안착블록의 상부 외측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끼움블록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흡수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바디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름돌기;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서 외측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이동홈; 상기 이동홈의 일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유동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홀과 연결되는 중앙유로; 내측면은 상기 이동홈에 접촉되며 배치되고, 외측면은 상기 안착블록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배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단부에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이동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트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이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유동홀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수유닛은, 상기 하부지지봉과 상기 안착블록 및 상기 탄성흡수부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장치베이스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을 공기압력으로 흡수하는 공압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압흡수부는, 상기 안착블록의 내부와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제2 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압공간; 상기 하부지지봉의 내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하부지지봉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실링이 장착되는 승강판; 및 상기 하부지지봉의 내부와 상기 승강판 및 상기 제2 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압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동홀을 개방하면, 상기 중앙유로에 의해 상기 제1 공압공간과 상기 제2 공압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압흡수부는, 상기 하부지지봉에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누름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보충홀; 및 상기 보충홀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는 보충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충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2 공압공간으로 공기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충밸브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충홀에 체결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밸브유로; 상기 밸브유로에 배치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와 상기 밸브유로간에 배치되는 도어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압흡수부는, 상기 하부지지봉에서 상기 스토퍼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공압공간; 상기 하부지지봉에서 상기 제3 공압공간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연통홀; 및 상기 연통홀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고, 내부에는 밸브홀이 형성되는 릴리즈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릴리즈밸브와 상기 연통홀의 나사산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밸브홀을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상부에 손쉽게 테라스 및 텐트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테라스 공간이 얇은 판 형태로 접을 수 있어 차량의 상부에 비교적 작은 크기로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에서 고정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개시된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7에 개시된 차량용 테라스 장치에 텐트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차량용 테라스 장치에 텐트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7에 개시된 H 부분에서 흡수유닛의 단면구조 및 작동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팝업루프 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팝업루프 장치의 우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팝업루프 장치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팝업루프 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팝업루프 장치의 차체 지붕면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물들의 상세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팝업루프 장치의 저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팝업루프 장치의 루프탑 패널이 개방된 사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팝업루프 장치의 루프탑 패널이 폐쇄된 사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실시예들은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100)는 슬라이드부재(110), 장치베이스(200), 지지대(340), 잠금부재(120), 해치부재(210), 신축유닛(350), 텐트풀(310), 난간부재(320) 및 고정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110)는 차량(V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상부에 루프탑 구조물(V2)이 설치되는 대체로 판 형상의 루프베이스(1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재(110)는 루프베이스(130)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부재(110)는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111)은 루프베이스(130)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레일(112)은 제1 레일(111)에 연결되며 제1 레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장치베이스(200)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양측부에는 슬라이드부재(110)에 연결되는 가이드레일(22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220)은 제2 레일(112)에 연결되며 제2 레일(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레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레일(112)이 신장되고, 또한 제2 레일(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20)이 한번 더 신장되면서 장치베이스(200)가 루프베이스(130)에서 차량(V1)의 측부로 확장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베이스(200)는 차량의 상부에서 테라스의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장치베이스(200)의 하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수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30)는 이하 검토할 지지대(340)가 보관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대(340)는 긴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대(340)의 상단부는 수용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342a)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340)를 수용부(230)에서 펼치기 위해서는 고정바(341)를 돌려 잠금을 해제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바(341)는 나사산 방식으로 장치베이스(200)의 수용부(230)에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장치베이스(200)를 슬라이드부재(110)를 이용하여 차량(V1)의 측부로 확장한 후, 장치베이스(20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수용부(230)에서 지지대(340)를 회전시켜 펼친다. 이때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대(34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대(340)를 각각 펼쳐 지지대(340)의 하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하며, 장치베이스(200)를 지지하게 된다.
잠금부재(120)는 루프베이스(130)와 장치베이스(200)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110)상에서 상기 장치베이스(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10)를 따라 장치베이스(200)를 이동시킨 후 장치베이스(200)를 테라스로 사용하기 위해 장치베이스(200)의 위치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고정하지 않으면, 장치베이스(200)가 다시 슬라이드부재(110)를 따라 루프베이스(13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어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잠금부재(120)는 잠금홀, 잠금핸들(121) 및 잠금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홈(125)은 루프베이스(13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잠금핸들(121)은 장치베이스(2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잠금돌기(123)는 잠금핸들(1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잠금핸들(121)을 잡고 돌리면 잠금돌기(123)가 장치베이스(200)의 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장치베이스(200)를 확장한 후에 잠금핸들(121)을 잡고 돌리면, 잠금돌기(123)가 잠금홈(125)에 삽입되며 장치베이스(200)의 위치가 고정된다.
해치부재(210)는 장치베이스(2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20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장치베이스(200)의 하부에서 장치베이스(200)의 상부로 이동할 때 유용할 수 있다.
가령, 장치베이스(200)의 상부에 텐트를 설치한 후, 밖에 비가 오는 경우, 사용자가 장치베이스(200)에 계단을 설치하고 밖을 통해 이동하면 비에 젖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치부재(210)를 개방하고 개구부(219)에 계단을 설치한 후, 장치베이스(20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치부재(210)는 개구부(219), 단턱부(217) 및 해치도어(21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19)는 장치베이스(20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단턱부(217)는 ㄷ 자 형태의 판 형상일 수 있으며, 개구부(219)의 내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해치도어(211)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개구부(219)에서 단턱부(217)에 의해 지지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해치도어(211)의 일단부는 장치베이스(200)에 경첩(215)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손잡이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홈(213)에 손을 넣은 후 해치도어(211)를 들어 올리면, 경첩(215)에 의해 회전하면서 해치도어(211)가 열리고, 이후 개구부(219)를 통해 장치베이스(200)의 상부와 하부를 이동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동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계단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대(340)는 상부지지봉(342), 하부지지봉(343), 안착블록(345) 및 신축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지봉(342)은 긴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상단부는 수용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342a)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지지봉(343)은 긴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지지봉(342)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안착블록(345)은 하부지지봉(343)의 하부에 연결되고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유닛(350)은 상부지지봉(342)과 하부지지봉(343)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지지봉(342)과 하부지지봉(343)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축유닛(350)은 암스크류부(351) 및 수스크류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암스크류부(351)는 상부지지봉(342)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스크류부(352)는 하부지지봉(343)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암스크류부(351)에 맞물릴 수 있다.
사용자는 하부지지봉(343)을 잡고 돌려 전체 지지대(3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장치베이스(200)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하부지지봉(343)을 잡고 돌려 신축유닛(350)을 신장시켜 장치베이스(200)가 수평하게 지지될 때까지 전체 지지대(3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텐트풀(310)은 장치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310a) 연결될 수 있으며, 텐트(T)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텐트풀(310)은 아치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난간부재(320)는 장치베이스(200)의 상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200)에 승강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난간부재(320)는 사용자가 장치베이스(2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난간부재(320)는 장치베이스(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접이식 정면난간(320a) 및 장치베이스(200)의 상부에서 정면난간(320a)의 양측에 배치되는 접이식 측면난간(3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정면난간(320a)은 지지빔(322a), 난간빔(321a) 및 고정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빔(322a)은 긴 빔 형상일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난간빔(321a)은 지지빔(322a)보다는 더 길이가 긴 빔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빔과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유닛(330)은 지지빔(322a)과 난간빔(321a)간에 연결되며 난간빔(321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난간(320b)은 지지빔(322b), 난간빔(321b) 및 고정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빔(322b)은 긴 빔 형상일 수 있으며, 장치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난간빔(321b)은 지지빔(322b)보다는 더 길이가 긴 빔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빔 및 텐트풀(310)과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유닛(330)은 텐트풀(310)과 난간빔(321b)간에 연결되며 난간빔(321b)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유닛(330)은 제1 고정빔(331), 제1 링크홀(332), 제2 고정빔(334), 제2 링크홀(335), 제1 링크핀(333), 제2 링크핀(336) 및 고정핸들(3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빔(331)은 얇은 긴 바 형상일 수 있으며, 난간빔(321a,321b)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홀(332)은 제1 고정빔(33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빔(334)은 얇은 긴 바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빔(321a) 또는 텐트풀(3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홀(335)은 제2 고정빔(334)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핀(333)은 제1 고정빔(33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제2 링크홀(335)에 연결되며 제2 링크홀(3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링크핀(336)은 제2 고정빔(334)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제1 링크홀(332)에 연결되며 제1 링크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핀(336)의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가공될 수 있다.
즉 제1,2 링크핀(333,336)에 의해 제1,2 고정빔(331,334)이 서로 연결된다.
고정핸들(337)은 제1 링크홀(332)을 기준으로 하여, 제2 링크핀(336)의 반대편에서 제1 링크홀(332)을 관통하며 제2 링크핀(336)에 나사산 방식으로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난간빔(321a,321b)을 세운 후, 고정핸들(337)을 잡고 돌리면, 고정핸들(337)이 나사산 방식으로 제2 링크핀(336)에 맞물려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빔(331)과 제2 고정빔(334)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사용자가 보다 더 강하게 고정핸들(337)을 돌리면 제1,2 고정빔(331,334)이 서로 가압되고 접촉면에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제1,2 고정빔(331,334)간의 상대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정면난간(320a)에서는 지지빔(322a)과 난간빔(321a)이 서로 고정되고, 측면난간(320b)에서는 텐트풀(310)과 난간빔(321b)이 서로 고정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100)를 차량(V1)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차량(V1)의 상부에 루프탑 구조물(V2)이 설치될 수 있다. 루프탑 구조물(V2)은 차량(V1)의 상부에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루프탑 텐트가 설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인 차량용 테라스 장치(100)가 루프탑 구조물과 항상 함께 설치되는 것은 아니고, 단독으로 차량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1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는 장치베이스(200)를 밀어, 제1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레일과 가이드레일(220)이 각각 신장되며 차량의 측부로 장치베이스(200)가 이동하게 된다.
이동 후에는 장치베이스(2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잠금핸들(121)을 돌려 잠금돌기(123)가 잠금홈(125)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로써 장치베이스(200)의 위치는 고정되고 장치베이스(200)가 다시 루프베이스(130)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고정바(341)를 돌려 수용부(230)에서 지지대(340)를 회전시켜 꺼낸다. 이때 도 2를 참고하면 한 쌍의 지지대(340)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수용부(23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아래의 지지대(340)를 펼칠 때 위의 지지대(340)가 한번에 떨어져 사용자가 다치는 문제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바(341)를 해제하고 아래의 지지대(340)를 우선 천천히 안전하게 회전시켜 펼친다. 그리고 위의 지지대(340)를 다시 잡고 천천히 회전시켜 펼친다.
도 8을 참고하면, 한 쌍의 지지대(340)가 수용부(230)에서 꺼내져 완전하게 펼치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장치베이스(200)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지 않다면, 사용자는 신축유닛(350)을 조절하여 장치베이스(200)의 수평을 맞춘다. 즉 사용자는 하부지지봉(343)을 잡고 돌려 상부지지봉(342)과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는 전체 지지대(340)의 길이가 장치베이스(200)를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위치할 때까지 진행한다.
장치베이스(200)의 수평이 맞춰지면, 사용자는 차량 내부를 통해 장치베이스(200)로 올라가거나 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계단을 장치베이스(200)에 걸어 장치베이스(200)에 올라간다.
그리고, 텐트풀(310)을 세운다. 텐트풀(310)을 세우면, 측면난간(320b)이 텐트풀(310)에 힌지로 연결(도 3 참고)되어 있으므로, 측면난간(320b)이 함께 세워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고정유닛(330)의 고정핸들(337)을 돌려 제1,2 고정빔(331,334)이 서로 가압되며 접촉되도록 하여 세워진 측면난간(320b)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정면난간(320a)의 난간빔(321a)을 잡고 들어올려 정면난간(320a)을 세운다. 그리고 동일하게 고정유닛(330)의 고정핸들(337)을 돌려 제1,2 고정빔(331,334)이 서로 가압되며 접촉되도록 하여 세워진 정면난간(320a)의 위치를 고정한다.
정면난간(320a)과 측면난간(320b)이 모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멸, 장치베이스(200)의 상부에서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는 낙상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차량용 테라스 장치(100)를 설치한 후에 텐트(T)를 설치한다. 텐트(T)는 연결부(T1)에 의해 텐트풀(3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텐트(T)를 장치베이스(200)의 상부에 펼칠 수 있다.
만약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 사용자는 해치도어(211)를 열고 별도의 계단을 개구부(219)에 걸치고, 텐트(T)가 설치된 장치베이스(200)의 상부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라스 장치(100)는 흡수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수유닛(400)은 하부지지봉(343)과 상기 안착블록(345)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상기 장치베이스(200)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대(34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가령 장치베이스(200)의 상부에서 여러 사람이 움직이거나 또는 물건을 놓을 때 발생될 수 있는 하중일 수 있다. 이러한 하중은 장치베이스(200)를 지지하는 지지대(340)에 충격으로 전달될 수 있다. 흡수유닛(400)은 이러한 충격을 흡수하여 지지대(3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유닛(400)은 탄성흡수부(410) 및 공압흡수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흡수부(410)는 하부지지봉(343)과 안착블록(345)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장치베이스(200)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지지대(340)에 전달되는 충격을 탄성력으로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흡수부(410)는 제1 바디(420), 수용홈(421), 제2 바디(430), 상단플랜지(431), 탄성체(450), 누름플랜지(432), 끼움블록(423), 고정홈(426) 및 고정돌기(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420)는 전반적으로 용기 형상일 수 있으며, 안착블록(345)의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바디홀(425)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안착블록(345)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제1 바디(420) 또한 전반적으로 원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홈(421)은 제1 바디(420)에서 상기 바디홀(425)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430)는 전반적으로 긴 봉 형상일 수 있으며, 하부지지봉(343)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홀(425)에 삽입될 수 있다. 만약 하부지지봉(343)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제1 바디(420) 또한 전반적으로 원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단플랜지(431)는 제2 바디(430)의 상단 둘레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450)는 상단플랜지(431)와 수용홈(4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체(450)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누름플랜지(432)는 하부지지봉(343)의 내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되고 상단플랜지(431)의 상단면에 접촉될 수 있다.
끼움블록(423)은 제1 바디(420)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블록(423)의 하부에는 상기 안착블록(345)의 상부가 끼워질 수 있다.
고정홈(426)은 안착블록(345)의 상부 외측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424)는 끼움블록(423)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426)에 끼워질 수 있다.
즉 끼움블록(423)에 의해 제1 바디(420)가 안착블록(345)의 상부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라 장치베이스(200)에서 상부지지봉(342)으로, 상부지지봉(342)에서 하부지지봉(343)으로, 각각 하중이 전달될 때, 누름플랜지(432)가 상단플랜지(431)를 하방향으로 누르는 충격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탄성체(450)가 탄성력에 의해 축소되면서 충격힘을 흡수 또는 완충하게 된다.
한편, 탄성흡수부(410)는 공압흡수부(460)와 연계되며 작동하기 위해, 누름돌기(422), 이동홈(433), 유동홀(434), 중앙유로(436), 피스톤(440) 및 리미트플랜지(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돌기(422)는 제1 바디(420)에서 상기 바디홀(425)의 외측 둘레를 따라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홈(433)은 제2 바디(430)의 하부에서 외측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동홀(434)이 이동홈(433)의 일부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중앙유로(436)는 제2 바디(4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홀(434)과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440)은 중앙부가 개방된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면은 상기 이동홈(433)에 접촉되며 배치되고, 외측면은 상기 안착블록(345)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440)은 이동홈(433)을 따라 이동하며 유동홀(434)을 개폐할 수 있다.
리미트플랜지(435)는 제2 바디(430)의 하단부에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피스톤(440)이 상기 이동홈(43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탄성흡수부(410)와 연계되어 작동하는 공압흡수부(460)는 하부지지봉(343)과 안착블록(345) 및 탄성흡수부(410)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장치베이스(200)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대(340)에 전달되는 충격을 공기압력으로 흡수 또는 완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압흡수부(460)는 제1 공압공간(461), 스토퍼(463), 승강판(464), 제2 공압공간(462), 보충홀(467), 보충밸브(466), 제3 공압공간(468), 연통홀 및 릴리즈밸브(46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압공간(461)은 안착블록(345)의 내부와 상기 피스톤(440) 및 상기 제2 바디(4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압공간(462)은 하부지지봉(343)의 내부와 상기 승강판(464) 및 상기 제2 바디(4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63)는 하부지지봉(343)의 내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판(464)은 스토퍼(463)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하부지지봉(343)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실링(465)이 장착될 수 있다. 스토퍼(463)는 승강판(464)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1a를 참고하면, 상술한 탄성흡수부(410)의 구조와 연계하여 공압흡수부(460)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 하부지지봉(343)이 하방향으로 하중을 받으면 누름플랜지(432)가 화살표와 같이 상단플랜지(431)를 하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상단플랜지(431)가 눌리면, 화살표와 같이 제2 바디(430)가 바디홀(425)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피스톤(440) 또한 이동홈(433)에 끼워진 상태에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440)은 제1 공압공간(461)의 공압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홈(433)의 상단에 접촉되고 유동홀(434)이 개방된다.
유동홀(434)이 개방되면, 제1 공압공간(461)의 공기가 점선으로 된 화살표와 같이 유동홀(434)을 통과하여 중앙유로(436)를 따라 상방향으로 흐르며 제2 공압공간(462)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판(464)을 상방향으로 밀고 승강판(464)은 스토퍼(463)에 접촉된다. 승강판(464)이 스토퍼(463)를 밀면서 하부지지봉(343)에 하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은 공압에 의해 흡수 또는 완화되게 된다. 이는 탄성흡수부(410)와 함께 작용하여 하중을 흡수 또는 완화하게 된다.
장치베이스(200)에 인가되는 하중이 사라지면, 지지대(340)에 전달되는 하중 또는 충격도 사라지게 되므로, 다시 도 11b에 개시된 것과 같이, 탄성체(450)에 의해 제2 바디(430)는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피스톤(440)은 이동홈(433)의 하단부에 접촉되며 유동홀(434)을 밀폐하게 된다. 이후 공기는 중앙유로(436)를 따라 제1,2 공압공간(461,462)을 흐르지 않는다.
이때 누름돌기(422)에 피스톤(440)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피스톤(440)은 이동홈(433)의 하단부로 이동하며 유동홀(434)을 밀폐하게 된다. 유동홀(434)이 완전히 밀폐되기 전에, 제2 공압공간(462)의 공기는 제2 바디(430)가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공압공간(461)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보충홀(467)은 하부지지봉(343)에서 스토퍼(463)와 누름플랜지(4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충밸브(466)는 보충홀(467)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보충밸브(466)를 개방하여 제2 공압공간(462)에 공기를 보충할 수 있다.
제1,2 공압공간(461,462)에 존재하는 공기가 완충작용을 효과적으로 하는 공압을 형성하기에 부족한 경우 화살표와 같이 공기를 보충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공기주입장치를 보충밸브(466)에 연결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공압이 너무 큰 경우 공기를 빼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충밸브(466)는 밸브바디(466a), 밸브유로(466d), 개폐도어(466b) 및 도어스프링(466c)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바디(466a)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충홀(467)에 체결될 수 있다. 밸브유로(466d)는 밸브바디(466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도어(466b)는 밸브유로(466d)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스프링(466c)은 개폐도어(466b)와 상기 밸브유로(466d)간에 배치되며, 개폐도어(466b)가 개방 후 다시 밀폐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3 공압공간(468)은 하부지지봉(343)에서 상기 스토퍼(46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469b)은 하부지지봉(343)에서 상기 제3 공압공간(468)과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릴리즈밸브(469)는 연통홀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고, 내부에는 밸브홀(469a)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공압공간(468)의 공기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도 11a에 개시된 것과 같이, 릴리즈밸브(469)를 풀어 밸브홀(469a)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반대로 릴리즈밸브(469)를 감아 밸브홀(469a)을 밀폐할 수 있다.
즉 릴리즈밸브(469)와 상기 연통홀의 나사산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밸브홀(469a)을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밸브홀(469a)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승강판(464)이 상승할 때, 제3 공압공간(468)의 공기가 화살표와 같이 밸브홀(469a)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빠져나가면 완충하게 된다. 승강판(464)이 하강할 때는 공기가 밸브홀(469a)을 통해 제3 공압공간으로 서서히 유입된다.
반대로 릴리즈밸브(469)를 완전히 체결하여 밸브홀(469a)을 밀폐하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고, 제3 공압공간(468)의 공압으로 승강판(464)의 상승을 보다 단단하게 막는 방식으로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흡수유닛(400)을 추가 구성하여, 장치베이스(200)의 상부에서 여러 사람이 움직이거나 또는 물건을 놓을 때 발생될 수 있는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지지대(3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V1)의 상부에 루프탑 구조물(V2)이 설치될 수 있으며, 루프탑 구조물(V2)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팝업 루프 타입의 구조물이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9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라스 장치와 팝업 루프가 차량 상부에 동시에 설치(단순히 차량에 얹어지거나 보조수단을 통해 고정된 것이 아닌 차량 개조나 튜닝을 통해 매립 내지 체결된 형태를 의미함)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차량 상부에 설치된 팝업 루프와 테라스 장치가 모두 전개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우측면도, 도 14는 정면도, 도 15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루프"는 차량 및 캠핑카 규제와 법규에 따를 때 "루프탑 텐트"와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후자는 차량용 악세서리로 구분되며 차체 내부에서 텐트 내부로 드나들 수 없으며 차량 외부로 나와 별도의 사다리 구조물이나 외부 입구를 통해 텐트 내부로 진입하여야 하는 반면, 전자는 캠핑카용 개조 차량으로 구분되어 차체 내부에서 루프탑, 즉 팝업 루프를 상승시켰을 때의 팝업 내부 공간으로 차체 지붕 절단면을 통해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 내지 15에서 붉은색 부분은 차체, 연두색 부분은 하부 패널, 연보라색 부분은 상부 패널이자 루프 구조물이다. 하부 패널은 강화 수지 재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재질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FRP 내부에 철재 구조물이 매립된 형태일 수 있다.
하부 패널은 차체 지붕 절단면 상에 덮어지도록 배치되며 차체 지붕면의 곡선을 하부 패널로 덮어 평면 구조를 만들며 테라스 구조와 팝업 루프 구조의 무게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부 패널은 차체 지붕 절단면과 대응되는 면이 개방되어 차체 내부와 연통된다(도 12에서 테라스가 전개된 이후 전개되기 전의 차체 상부 지붕면 연두색 영역을 의미함). 개방된 지붕면을 통해 차체 내부에서 팝업 루프탑 공간으로 진입 가능하다. 하부 패널은 좌우측 모두 차량의 B 필러 프레임 및 D 필러 프레임과 체결되는 방식으로 차체에 고정된다.
도 12를 참고할 때, 차체에 고정 설치된 하부 패널 상면의 개방된 영역 외곽부를 따라 금속 재질의 테라스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며 기계적 강성과 하중 지지를 위해 사각 틀 형태의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패널에 체결된 테라스 프레임에 고하중 레일인 슬라이드 부재가 결합되고 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테라스가 전개되는 형태이며. 테라스의 난간은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라스를 전개한 후 사주식 관절을 이용하여 전동 액츄에이터 방식으로 팝업 루프가 상향 리프팅되고, 차량 내부에는 테라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도면 미도시) 테라스 외부에도 지지대가 지면에 안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라스 말단에 구비되는 U자형 폴대인 텐트폴은 테라스 외부에 텐트를 추가로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이며, 테라스 바닥면인 장치베이스에는 테라스 전개 전에 차량 내부에서 2층, 즉 팝업 루프탑으로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 해치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에서도 테라스 진입이 추가로 가능하도록 외부 사다리를 걸 수 있게 설계될 수 있으며, 전면(테라스 전개 방향) 말단부에는 테라스 하부에도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도면 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측면에서 바라본 사주식 팝업 루프 및 테라스 구조물이며, 차체의 곡선을 하부 패널이 평면으로 만들어주면서 차체와 결합되며, 테라스의 무게 하중을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테라스 프레임이 하부 패널에 체결되고 이에 슬라이드 부재가 결합된다. 테라스 프레임의 외측으로 상부 절개형의 팝업 루프(상부 패널)를 상향으로 리프팅하는 사주식 액츄에이터가 구비된다.
도 16은 하부 패널에 체결된 테라스 프레임과, 이에 결합된 고하중 레일인 슬라이드 부재, 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레일, 이에 가이드 레일을 통해 결합된 장치 베이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테라스 프레임 외곽 전면부(차량 방향 기준으로) 소정 영역에는 하부 패널에 고정 결합된 하부 팝업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 팝업 레일에는 사주식 시스템 상 X자 형상으로 체결되어 있는 2개의 팝업 바가 결합되는데, 이 중 1개의 팝업 바는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1개는 하부 팝업 레일을 따라 유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액츄에이터에 의해 유동식 팝업 바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면서 팝업 루프가 상승 및 하강하는 구조이다. 하부 팝업 레일은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따른 팝업 루프 - 테라스 장치 구조물의 저면도이다. 루프 구조물(상부 패널) 내측에는 하부 패널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방식의 상부 팝업 레일이 전방 및 후방 말단 영역(차량 기준)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팝업 레일에는 마찬가지로 전방과 후방 각각에 2개의 팝업 바가 결합되며 이는 각각 고정식과 유동식의 팝업 바로, 액츄에이터 구동 방식에 따라 유동식 팝업 바가 움직이면서 상승 및 하강하는 구조이다.
슬라이딩 타입의 테라스 장치와 사주식 팝업 루프는 상호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작동될 수 있으며, 사주식 팝업 루프는 최외측에서 전동으로 작동되며 테라스 장치는 그 내측의 별도 프레임을 통해 차체와 결합되어 캐비넷 방식으로 전개되는 형태이다.
도 15는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테라스 장치는 차량의 좌(또는 우)측으로 확장 전개되며 사주식 리프트와는 별도로 작동되고 반드시 안전을 위해 팝업 루프가 전개된 후에 테라스 장치가 전개될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테라스 장치가 전개되기 전에는 별도에 고정 장치가 있어서 차량이 좌우측으로 흔들 때에도 상부 패널(루프 구조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하부 패널의 전면(차량 기준)에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어 스포일러가 구비되며 사주식 리프트 레일, 즉 상부와 하부 팝업 레일이 설치된 영역에는 하부 패널 상에 물빠짐 홀을 마련하여 물이 고이지 않고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여 레일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8과 19는 팝업 루프가 상승되었을 때 조성되는 루프타 공간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라스 장치가 전개되었을 경우 전개되기 전 테라스의 장치 베이스가 위치해 있던 차량 지붕면 영역은 차체도 개방된 절단면 상태이고 하부 패널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가 구비된 상태이기 때문에 차량 내부와 연통되어,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서 루프탑 영역으로 올라올 수 있다.
개방된 영역을 덮어 루프탑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영역을 덮기 위한 루프탑 패널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18과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pcs로 구성되며, 일측 모서리는 하부 패널 개구부 일단 경첩식으로 체결되고 하부 패널 개구부 내측과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로 연결되어, 2 pcs의 패널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루프탑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2개의 루프탑 패널을 닫게 되면 개구부를 통해 차체 내부와 연통되어 있던 루프탑 공간에 바닥면이 형성되어, 루프탑 공간에서 사용자가 생활하거나 해당 공간에 침구류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차량용 테라스 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차량용 테라스 장치
110:슬라이드부재 111:제1 레일
112:제2 레일 120:잠금부재
121:잠금핸들 123:잠금돌기
125:잠금홈 130:루프베이스
200:장치베이스 210:해치부재
211:해치도어 213:손잡이홈
215:경첩 217:단턱부
219:개구부 220:가이드레일
230:수용부
310:텐트폴 320:난간부재
320a:정면난간 320b:측면난간
330:고정유닛 331:제1 고정빔
332:제1 링크홀 333:제1 링크핀
334:제2 고정빔 335:제2 링크홀
336:제2 링크핀 337:고정핸들
340:지지대 341:고정바
342:상부지지봉 343:하부지지봉
345:안착블록 350:신축유닛
351:암스크류부 352:수스크류부
400:흡수유닛 410:탄성흡수부
420:제1 바디 421:수용홈
422:누름돌기 423:끼움블록
424:고정돌기 425:바디홀
430:제2 바디 431:상단플랜지
432:누름플랜지 433:이동홈
434:유동홀 436:중앙유로
440:피스톤 450:탄성체
460:공압흡수부 461:제1 공압공간
462:제2 공압공간 463:스토퍼
464:승강판 465:실링
466:보충밸브 467:보충홀
468:제3 공압공간 469:릴리즈밸브
469a:밸브홀 469b:연통홀
V1:차량 V2:루프탑 구조물

Claims (9)

  1. 차량 상부에 설치되어 테라스와 팝업 루프가 상호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작동되는 장치에 있어서,
    내측 소정 영역에 마련된 개구부가 상기 차량의 지붕 절단면과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차체와 체결되는 하부 패널;
    상기 하부 패널과 사주식 리프팅 형식으로 연결되어 상승 시 팝업 루프를 형성하는 상부 패널;
    상기 하부 패널의 개구부 외곽 영역에 고정 설치되며 차체 방향과 수직으로 나란한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가 결합된 테라스 프레임;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연장된 테라스 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베이스; 및
    상기 하부 패널의 개구부를 폐색하여 차량 상부 루프탑 공간의 지면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부 패널에 체결된 루프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베이스의 외부 방향 모서리의 양 말단 영역에 각각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혀있을 때 상기 장치베이스의 양측 및 내부 방향 모서리를 따라 상기 장치베이스 상면에 “ㄷ”자 형태로 배치되며, 세워지면 상기 장치베이스와 수직을 이루어 텐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텐트폴; 및
    일 측 말단은 상기 장치베이스 상면의 양측 모서리 영역에, 타 측 말단은 상기 텐트폴에 각각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혀있을 때 상기 장치베이스 상면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됨과 동시에 세웠을 때에도 나란히 배치되도록 승강되기 위한 중간 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텐트폴과 함께 접거나 세워지는 측면난간;을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난간은,
    상기 장치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지지빔;
    상기 지지빔과 상기 텐트폴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는 난간빔; 및
    상기 텐트폴과 상기 난간빔 간에 연결되며 상기 난간빔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 상면의 외부 방향 모서리 영역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거나 세웠을 때 모두 상기 장치베이스 상면의 외부 방향 모서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정면난간;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은 상기 차량 차체의 좌우측 B필러 및 D 필러 프레임과 체결되어 고정되고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라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 상기 전방과 후방은 차체 방향을 기준으로 함 - 의 상기 하부 패널 상면 상에, 차체 방향과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의 하부 팝업 레일;
    상기 상부 패널의 하면 상에 상기 하부 팝업 레일과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상부 팝업 레일;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팝업 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패널을 승강시키는 두 쌍의 팝업 바;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바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팝업 레일에 체결된 양 말단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팝업 바와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유동식 팝업 바가 X자 형상으로 결합된,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탑 패널은,
    상기 하부 패널 개구부와 일측 모서리가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 개구부 내측과 상기 한 쌍의 패널의 하면 간을 연결하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를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 하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장치베이스가 외부로 연장되면 상기 수용부에서 회전하여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장치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KR1020230129675A 2022-09-28 2023-09-26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KR102696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100 2022-09-28
KR1020220123100 2022-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366A KR20240044366A (ko) 2024-04-04
KR102696895B1 true KR102696895B1 (ko) 2024-08-26

Family

ID=906378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9675A KR102696895B1 (ko) 2022-09-28 2023-09-26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KR1020230158866A KR102696894B1 (ko) 2022-09-28 2023-11-16 차량용 테라스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8866A KR102696894B1 (ko) 2022-09-28 2023-11-16 차량용 테라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968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287A (ja) * 2006-10-13 2008-04-24 Shinichi Okamoto 車用テント兼用キャリア装置
KR101420589B1 (ko) * 2014-04-11 2014-07-17 박순규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507B1 (ko) * 2008-06-05 2011-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식공간 탑재한 차량
KR20150142480A (ko) * 2014-06-12 2015-12-22 고광기 원터치식 차량용 텐트의 바닥면 세팅장치
KR101898683B1 (ko) * 2016-12-29 2018-09-14 주식회사 화이트하우스코리아 캠핑카용 루프탑
KR20220069169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차량용 팝업 루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287A (ja) * 2006-10-13 2008-04-24 Shinichi Okamoto 車用テント兼用キャリア装置
KR101420589B1 (ko) * 2014-04-11 2014-07-17 박순규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366A (ko) 2024-04-04
KR20240044378A (ko) 2024-04-04
KR102696894B1 (ko) 202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4141A (en) Transportable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US3653165A (en) Expandable building with telescoping enclosures and hingedly connected barriers
US3475768A (en) Weatherproof cover for swimming pools and the like
KR100580187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빗물막이 차양
JP2011503393A (ja) 延長可能な高さのコンテナおよびシェルタ
US20070022678A1 (en) In-ground storm shelter
KR102172333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1329367B1 (ko)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US7886757B2 (en) Temporary shelter with adjustble door system
US20090308422A1 (en) Outdoor spa covering device
KR102696895B1 (ko) 차량용 팝업 루프 및 테라스 장치
GB2532368A (en) Emergency shelter
KR101244224B1 (ko) 조립식 캠핑 텐트
US9394709B2 (en) Swimming pool and spa co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498173A (en) Building structure
US20090307834A1 (en) Spa covering device
KR200480039Y1 (ko) 조립식 텐트
KR102278525B1 (ko) 수영장 구조체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KR102023364B1 (ko) 확장 가능한 이동형 캠핑 하우스
KR102395547B1 (ko)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KR101792688B1 (ko) 독립하중의 바닥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KR102209410B1 (ko) 그늘막
CN220414505U (zh) 折叠式组合房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