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5143B1 -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5143B1
KR102695143B1 KR1020240087734A KR20240087734A KR102695143B1 KR 102695143 B1 KR102695143 B1 KR 102695143B1 KR 1020240087734 A KR1020240087734 A KR 1020240087734A KR 20240087734 A KR20240087734 A KR 20240087734A KR 102695143 B1 KR102695143 B1 KR 102695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weight
packaging material
icing
constru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8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효성
이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인디자인
Priority to KR102024008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5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51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9Antislip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MA 수지 20~30 중량%; 골재 30~50 중량%; 탄산칼슘 20~4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가 포함된 결빙방지제 1~3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제시함으로써, 모래, 염화칼슘 등을 살포하지 않으면서도, 결빙의 효율적인 방지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을 유지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ANTI-SLIP PAVEMENT CONPOSITON FOR PREVENTING FREEZ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끄럼방지 포장이란 노면의 미끄럼 저항이 낮아진 곳, 도로의 평면 및 종단 선형이 불량한 곳 등에서 포장면의 미끄럼 저항력을 높여 주어 자동차의 제동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포장 시설물을 말한다.
동절기에 미끄럼방지 포장에 눈이 쌓이면, 미끄럼방지 성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모래, 염화칼슘 등을 뿌림으로써 미끄럼방지 성능을 회복하도록 한다.
그러나, 갑자기 폭설이 내리는 경우에는 신속한 융설 작업이 어렵다는 점, 염화칼슘의 살포 후 지속적으로 눈이 내리면 염화칼슘의 농도가 낮아져 결국에는 다시 결빙된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155570 한국등록특허 10-2389268 한국등록특허 10-2496186 한국등록특허 10-26178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모래, 염화칼슘 등을 살포하지 않으면서도, 결빙의 효율적인 방지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을 유지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MMA 수지 20~30 중량%; 골재 30~50 중량%; 탄산칼슘 20~4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가 포함된 결빙방지제 1~3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제시한다.
상기 MMA 수지는, MMA 모노머(methyl-methacrylate) 25~35 중량%; PMMA(poly methyl-methacrylate) 25~35 중량%; BA(buthyl acrylate) 10~20 중량%;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 15~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MA 수지는, [2-Hydroxy-4-(octyloxy)Phenyl] PhenylMethanone 0.1~1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MA 수지는, P-WAX(Paraffin Wax) 1~3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MA 수지는, 1-도데칸티올(Dodecyl Mercaptan) 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MA 수지는, DMPT (N,N-Dimethyl-p-toluidine) 0.1~1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A(buthyl acrylate)와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의 배합의 중량비는, 43~45 : 55~57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0.1~1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빙방지제는, 포타시움아세테이트,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과, 상기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의 혼합에 의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빙방지제는, 상기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 포타시움아세테이트,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에 의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빙방지제는, 상기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 35 ~ 90 중량%; 상기 포타시움아세테이트 5 ~ 50 중량%; 상기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1~ 10 중량%;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1 ~ 5 중량%;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빙방지제는, 입자의 크기가 140 mesh 이하가 되도록 분쇄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으로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포장면 전처리단계;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와 경화개시제를 혼합하는 경화개시제 혼합단계;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와 경화개시제의 혼합물을 3~4mm 두께로 도포하는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 대하여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포장면 전처리단계는, 포장의 표면의 먼지, 모래, 유분, 돌출부위, 손상부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 대하여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포장면 전처리단계는, 포장의 표면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포장의 표면에 MMA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개시제로서, BPO(Benzoyl peroxide) 1~3 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모래, 염화칼슘 등을 살포하지 않으면서도, 결빙의 효율적인 방지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을 유지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효과가 발현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내지 7은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험시공 과정을 촬영한 사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MMA 수지 20~30 중량%; 골재 30~50 중량%; 탄산칼슘 20~40 중량%; 실리카 0.1~1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가 포함된 결빙방지제 1~3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기초혼합물의 탄산칼슘, 실리카는 충전재로서, 증점 성능,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기초혼합물에서 MMA 수지는, MMA 모노머(methyl-methacrylate) 25~35 중량%; PMMA(poly methyl-methacrylate) 25~35 중량%; BA(buthyl acrylate) 10~20 중량%;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 15~25 중량%; [2-Hydroxy-4-(octyloxy)Phenyl] PhenylMethanone 0.1~1 중량%; P-WAX(Paraffin Wax) 1~3 중량%; 1-도데칸티올(Dodecyl Mercaptan) 1~5 중량%; DMPT (N,N-Dimethyl-p-toluidine) 0.1~1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MMA 모노머(methyl-methacrylate), PMMA(poly methyl-methacrylate)는 메인 구성물이고, BA(buthyl acrylate)는 연질 성능, 신율을 향상시키는 관능성 단량체이며,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는 강도 향상을 위한 관능성 단량체이다.
후술하는 결빙방지제는 강도가 약한 물질이므로, 결빙방지제가 혼압된 포장재는 저강도가 문제될 수 있다.
포장재의 저강도는 포장체의 내마모성, 압축강도, 접착강도의 저하를 야기하고, 포장재의 하자에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결빙방지제의 혼입에 불구하고, 포장재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강도 증진에 영향을 주는 단량체인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를 혼입한다.
그런데, 2-HEMA의 과다 사용은 포장재의 신율(신장률) 저하의 문제가 있으므로, 신율을 향상시키는 관능성 단량체인 BA(buthyl acrylate)를 함께 혼입한다.
후술하는 실험 결과, BA(buthyl acrylate)와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의 최적 배합의 중량비는, 43~45 : 55~57인 것으로 나타났다.
[2-Hydroxy-4-(octyloxy)Phenyl] PhenylMethanone은 자외선 방지제, 광안정제의 역할을 하고, P-WAX(Paraffin Wax)는 수지 코팅제이며, 1-도데칸티올(Dodecyl Mercaptan)은 분자량을 조절하고, 침투성을 향상시킨다.
DMPT (N,N-Dimethyl-p-toluidine)는 경화촉진제이다.
위 MMA 수지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MMA 모노머를 70~80℃까지 가열하고, PMMA, BA, 2-HEMA, [2-Hydroxy-4-(octyloxy)Phenyl] PhenylMethanone, P-WAX, 1-도데칸티올을 Dropping에 의해 혼합하여 12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후, 혼합물을 50~60℃로 냉각하고, DMPT를 혼합한다.
결빙방지제로는,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Magnesium Chloride Hexahydrate), 포타시움아세테이트,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수분과 반응하여 빙점을 강하시키는 역할(결빙방지성능), 조해성(潮解性)에 의해 대기 중의 습기를 빨아들여 녹으면서 발열하여 주위의 눈을 녹이는 역할(융빙성능)을 한다.
후술하는 실험 결과,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 35 ~ 90 중량%; 포타시움아세테이트 5 ~ 50 중량%;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1~ 1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1 ~ 5 중량%;가 혼합된 결빙방지제가 가장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빙방지제는, 입자의 크기가 140 mesh(106㎛) 이하가 되도록 분쇄 가공된 것을 사용한다.
염화마그네슘헥사하이드레이트, 포타시움아세테이트는 조해성이 강한 물질로서 융빙(융설) 효과가 뛰어나고, 과다 사용의 경우(염화마그네슘헥사하이드레이트 90% 이상, 포타시움아세테이트는 50% 이상) 표면의 수분발생(물방울) 현상이 심해진다.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는 빙점강하에 효과적이며, 부식 위험으로부터 보호(부식억제제)하는 역할을 하고, 과다 사용의 경우(10% 이상) 포장재의 경화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수소결합을 방해하는 물질로서 빙점 강하에 효과적이고, 과다 사용의 경우(5% 이상) 경화된 포장체 표면이 수분과 반응한 후 건조되면 하얀 분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를 기존 도로포장(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위에 포설하면 미끄럼방지층이 형성되는데, 결빙방지제 분말이 위 미끄럼방지층 내부에 고루 분포하게 된다.(도 1)
차량의 주행에 의해 미끄럼방지층의 표면이 마모되면서, 결빙방지제 분말이 표면에 노출되고, 노출된 결빙방지제는 위 물성에 의해 결빙을 방지하게 된다.
즉, 수분과 반응하여 빙점을 강하시키므로, 미끄럼방지층의 표면에 쌓인 눈이 어는 것을 방지한다(결빙방지성능).
또한, 조해성(潮解性)에 의해 대기 중의 습기를 빨아들여 녹으면서 발열하므로, 미끄럼방지층의 표면에 쌓인 눈을 녹이게 된다(융빙성능).
따라서 모래, 염화칼슘 등을 살포하지 않으면서도, 결빙의 효율적인 방지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을 유지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물성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항 목 비교예 1(품질 기준) 실시예 1
건조시간(고화) min 120 이하 35
내 충격성 추의 충격으로 갈라짐 및 벗겨짐 현상이 없어야 한다. 이상없음
접착강도
MPa
콘크리트 1.5 이상 1.9
아스팔트 1.0 이상 1.2
압축강도(재령 1일) MPa 20 이상 29
내마모시험
(50만회)
마모율 % 1 이하 0.1
미끄럼저항성 BPN 55 이상 77
표 1은 본 발명이 미끄럼방지 포장재로서 기본적인 성능(기계적 성능)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실험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MMA 수지 28.05 중량%; 골재 42.9 중량%; 탄산칼슘 28.8 중량%; 실리카 0.25 중량%;를 혼합하여 기초혼합물을 제조하고, 그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결빙방지제 2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여기서 MMA 수지는, MMA 모노머(methyl-methacrylate) 31 중량%; PMMA(poly methyl-methacrylate) 28 중량%; BA(buthyl acrylate) 15 중량%;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 19 중량%; [2-Hydroxy-4-(octyloxy)Phenyl] PhenylMethanone 1 중량%; P-WAX(Paraffin Wax) 2 중량%; 1-도데칸티올(Dodecyl Mercaptan) 3.5 중량%; DMPT (N,N-Dimethyl-p-toluidine) 0.5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결빙방지제는,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 80 중량%; 포타시움아세테이트 13 중량%;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2%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비교예 1은 한국도로교통안전기술협회의 SPS-F-KTS-1102-1890 규격(품질 기준)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포장재로서 기본적인 성능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24072344684-pat00001
표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빙방지제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배합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고, 결빙방지제의 종류와,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한 결빙방지제의 혼입률을 변화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1은 결빙방지제로서 액상의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이고, 실시예 2-2는 결빙방지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이고, 실시예 2-3은 결빙방지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분말을 사용한 경우이고, 실시예 2-4는 결빙방지제로서 포타시움아세테이트 분말을 사용한 경우이고, 실시예 2-5는 결빙방지제로서 액상의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이다.
실시예 2-6은 결빙방지제로서 염화나트륨 분말을 사용한 경우이고, 실시예 2-7은 결빙방지제로서 액상의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이다.
실시예 2-8은 실시예 1의 결빙방지제(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 80 중량%; 포타시움아세테이트 13 중량%;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2% 중량%;를 혼합한 것)를 사용한 경우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양생된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표면을 사포로 갈아서 결빙방지제를 노출시킨 시험편이다.
비교예 2는 일반적인 미끄럼방지 포장의 시험편(PLAIN)이다.
결빙방지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 시험편들의 표면에 증류수 100㎖를 도포하고, -10℃의 항온 항습 환경에서 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융빙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 결빙방지성능의 시험 후, 4℃의 항온 항습 환경에서, 결빙되었던 증류수 100㎖가 녹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2-6, 2-7은 경화 불량으로 인하여 시험이 불가능하였고, 실시예 2-1 내지 2-5는 비교적 우수한 결빙방지성능 및 융빙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2-8은 가장 우수한 결빙방지성능 및 융빙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24072344684-pat00002
표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빙방지제의 적정 혼입률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배합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배합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고, 결빙방지제의 종류와,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한 결빙방지제의 혼입률을 변화시킨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양생된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표면을 사포로 갈아서 결빙방지제를 노출시킨 시험편이다.
비교예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결빙방지제를 제외한 미끄럼방지 포장의 시험편(PLAIN)이다.
표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빙방지제의 적정 혼입률을 확인하기 위한 결빙방지성능 및 압축강도의 실험 결과로서, 결빙방지성능의 실험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실시예 3-4(결빙방지제 2% 혼입) 내지 실시예 3-10(결빙방지제 5% 혼입)에서 우수한 결빙방지효과가 나타났지만, 실시예 3-6(결빙방지제 3% 혼입) 이후 결빙방지제의 혼입률이 높아질수록 압축강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 3-4(결빙방지제 2% 혼입) 내지 실시예 3-6(결빙방지제 3% 혼입)의 범위에서, 결빙방지성능 및 압축강도가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빙방지제의 적정 혼입률을 확인하기 위한 융빙성능 및 압축강도의 실험 결과로서, 융빙성능의 실험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실시예 3-2(결빙방지제 1% 혼입) 내지 실시예 3-10(결빙방지제 5% 혼입)에서 우수한 융빙효과가 나타났지만, 실시예 3-6(결빙방지제 3% 혼입) 이후 결빙방지제의 혼입률이 높아질수록 압축강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2(결빙방지제 1% 혼입) 내지 실시예 3-6(결빙방지제 3% 혼입)의 범위에서, 융빙성능 및 압축강도가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4072344684-pat00005
표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MMA 수지에서, BA(buthyl acrylate)와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의 적절한 배합의 중량비를 확인하기 위한 강도, 신율(신장율)의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1과 유사하며, MMA 수지 28.05 중량%; 골재 42.9 중량%; 탄산칼슘 28.8 중량%; 실리카 0.25 중량%;를 혼합하여 기초혼합물을 제조하고, 그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결빙방지제 2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여기서 MMA 수지는, MMA 모노머(methyl-methacrylate) 31 중량%; PMMA(poly methyl-methacrylate) 28 중량%; BA(buthyl acrylate)와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의 혼합물 34 중량%; [2-Hydroxy-4-(octyloxy)Phenyl] PhenylMethanone 1 중량%; P-WAX(Paraffin Wax) 2 중량%; 1-도데칸티올(Dodecyl Mercaptan) 3.5 중량%; DMPT (N,N-Dimethyl-p-toluidine) 0.5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결빙방지제는,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 80 중량%; 포타시움아세테이트 13 중량%;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2%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4-1 내지 4-5는 위 BA(buthyl acrylate)와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의 혼합물 34 중량%에서, BA와 2-HEMA의 비율을 변화시킨 것이다.
실시예 4-1은 BA 34 중량%와 2-HEMA 0 중량%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4-2는 BA 0 중량%와 2-HEMA 34 중량%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4-3은 BA 17 중량%와 2-HEMA 17 중량%의 혼합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4-4는 BA 16 중량%와 2-HEMA 18 중량%의 혼합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4-5는 BA 15 중량%와 2-HEMA 19 중량%의 혼합에 관한 것이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1(BA만 혼입한 경우)는 신장률이 우수하지만 강도가 낮고, 실시예 4-2(2-HEMA만 혼입한 경우)는 반대로 강도가 우수하지만 신장률이 낮다.
실시예 4-3 내지 4-5(BA와 2-HEMA를 함께 혼입한 경우)는 강도 및 신장률이 적절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4-5(BA 15 중량%와 2-HEMA 19 중량%의 혼합)의 물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미끄럼방지 포장재가 포설될 도로포장(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을 전처리한다.(도 2,3)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 대하여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시공하는 경우, 포장의 표면의 먼지, 모래, 유분, 돌출부위, 손상부위를 제거하고, 청결한 표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 대하여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시공하는 경우, 먼지, 수분, 레이턴스 등을 제거하고, 포장의 표면을 건조시키며, 건조된 포장의 표면에 MMA 프라이머를 도포하거나, 블라스트(Blast) 처리를 한다.
현장에 운반된 미끄럼방지 포장재와 경화개시제(BPO(Benzoyl peroxide) 1~3 중량%)를 혼합한다.(도 4)
가사시간이 약 10분이므로, 이 시간 내에 시공 가능한 양만큼 혼합한다.
미끄럼방지 포장재와 경화개시제의 혼합물을 스퀴즈,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3~4mm 두께로 도포하고,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한다.(도 5,6)
도 7은 시험시공이 완료된 사진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MMA 수지 20~30 중량%;
    골재 30~50 중량%;
    탄산칼슘 20~4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가 포함된 결빙방지제 1~3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MMA 수지는,
    MMA 모노머(methyl-methacrylate) 25~35 중량%;
    PMMA(poly methyl-methacrylate) 25~35 중량%;
    BA(buthyl acrylate) 10~20 중량%;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 15~25 중량%;
    [2-Hydroxy-4-(octyloxy)Phenyl] PhenylMethanone 0.1~1 중량%;
    P-WAX(Paraffin Wax) 1~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MA 수지는,
    1-도데칸티올(Dodecyl Mercaptan) 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MA 수지는,
    DMPT (N,N-Dimethyl-p-toluidine) 0.1~1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A(buthyl acrylate)와 2-HEMA(2-hydroxy ethyl methacrylate)의 배합의 중량비는, 43~45 : 55~5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혼합물은,
    실리카 0.1~1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방지제는,
    포타시움아세테이트,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과, 상기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의 혼합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10. MMA 수지 20~30 중량%;
    골재 30~50 중량%;
    탄산칼슘 20~4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 포타시움아세테이트,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에 의해 구성된 결빙방지제 1~3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방지제는,
    상기 염화마그네슘 헥사하이드레이트 35 ~ 90 중량%;
    상기 포타시움아세테이트 5 ~ 50 중량%;
    상기 메타규산나트륨 펜타하이드레이트 1~ 10 중량%;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1 ~ 5 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방지제는, 입자의 크기가 140 mesh 이하가 되도록 분쇄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13. 제1항,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으로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포장면 전처리단계;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와 경화개시제를 혼합하는 경화개시제 혼합단계;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와 경화개시제의 혼합물을 3~4mm 두께로 도포하는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 대하여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포장면 전처리단계는,
    포장의 표면의 먼지, 모래, 유분, 돌출부위, 손상부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 대하여 상기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포장면 전처리단계는,
    포장의 표면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포장의 표면에 MMA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개시제로서, BPO(Benzoyl peroxide) 1~3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20240087734A 2024-07-03 2024-07-03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Active KR102695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87734A KR102695143B1 (ko) 2024-07-03 2024-07-03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87734A KR102695143B1 (ko) 2024-07-03 2024-07-03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5143B1 true KR102695143B1 (ko) 2024-08-16

Family

ID=9258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7734A Active KR102695143B1 (ko) 2024-07-03 2024-07-03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5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25052B1 (ko) * 2024-11-05 2025-06-26 주식회사 드림인디자인 폴리우레아 수지와 결빙방지제가 혼합된 미끄럼방지 포장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70B1 (ko) 2020-03-26 2020-09-14 한국도로공사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계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2267373B1 (ko) * 2021-03-10 2021-06-21 삼중씨엠텍(주) 제빙 제설 기능을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89268B1 (ko) 2021-09-08 2022-04-25 주식회사 씨엠에스 미끄럼방지 및 결빙방지를 위한 도로 포장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96186B1 (ko) 2021-06-03 2023-02-06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결빙방지 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617803B1 (ko) 2023-05-02 2023-12-28 해주건설주식회사 결빙방지 및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47215B1 (ko) * 2023-08-10 2024-03-13 김보석 상온 도포식과 도트방식이 적용되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도로 포장재 조성물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70B1 (ko) 2020-03-26 2020-09-14 한국도로공사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계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2267373B1 (ko) * 2021-03-10 2021-06-21 삼중씨엠텍(주) 제빙 제설 기능을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96186B1 (ko) 2021-06-03 2023-02-06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결빙방지 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389268B1 (ko) 2021-09-08 2022-04-25 주식회사 씨엠에스 미끄럼방지 및 결빙방지를 위한 도로 포장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17803B1 (ko) 2023-05-02 2023-12-28 해주건설주식회사 결빙방지 및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47215B1 (ko) * 2023-08-10 2024-03-13 김보석 상온 도포식과 도트방식이 적용되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도로 포장재 조성물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25052B1 (ko) * 2024-11-05 2025-06-26 주식회사 드림인디자인 폴리우레아 수지와 결빙방지제가 혼합된 미끄럼방지 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5143B1 (ko) 결빙방지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389268B1 (ko) 미끄럼방지 및 결빙방지를 위한 도로 포장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67373B1 (ko) 제빙 제설 기능을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4179107B (zh) 沥青路面用油性增强型雾封层材料及制备方法和施工方法
KR101449480B1 (ko) 대마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 및 보도 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703699B1 (ko) 친환경 제설제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9777B1 (ko) 교면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하는 교면 방수공법
KR102667546B1 (ko) 부착 내구성이 우수한 박층 덧씌우기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층 덧씌우기 포장 시공방법
CN109736167A (zh) Stp单组分湿固化无溶剂聚氨酯健身步道
KR101722390B1 (ko) 대마와 해조류를 이용한 교량 및 도로포장용 친환경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7573898B (zh) 一种应用于混凝土路面的可控缓释速率的抗冻材料及其制备方法
JP2981458B2 (ja) 凍結抑制材及び舗装面の凍結抑制方法
KR102798974B1 (ko) 콘크리트 파손이 억제된 친환경 액상 제설제
CN106495562A (zh) 一种适应南方湿热气候的冷涂型路桥面薄层铺装材料及其使用方法
KR101054308B1 (ko) 도로 포장 및 보수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WO2002038655A1 (ja) 表面改質ゴムの製造方法
KR101167279B1 (ko) 슬래그볼 및 우레탄 바인더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보도 및 자전거도로 포장시공방법
KR101370641B1 (ko) 아스팔트 도로용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하는 도로 보수방법
KR102806371B1 (ko) 도로포장용 결빙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624569B1 (ko) 포장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포장도로의 미끄럼방지층 시공방법
KR101964164B1 (ko) 탈취효과가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7100119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traction on ice and snow
CN106830759B (zh) 一种疏水防结冰抗滑薄层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825052B1 (ko) 폴리우레아 수지와 결빙방지제가 혼합된 미끄럼방지 포장재
US4086291A (en) Method of producing a paving mass and a paving mass produced by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