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9612B1 - Makgeolli container - Google Patents
Makgeolli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9612B1 KR102689612B1 KR1020220107142A KR20220107142A KR102689612B1 KR 102689612 B1 KR102689612 B1 KR 102689612B1 KR 1020220107142 A KR1020220107142 A KR 1020220107142A KR 20220107142 A KR20220107142 A KR 20220107142A KR 102689612 B1 KR102689612 B1 KR 1026896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kgeolli
- container
- separator
- container body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90 leftov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막걸리 용기에 있어서, 주출구(17)와 내부 저장공간(13)을 형성하여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 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내부 저장공간(13)의 일측 내면(12a)에서 타측 내면(12b)으로 용기본체(10)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상부와 하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분리막(11)과; 분리막(11)의 기단과 내면(12b)과 사이에 형성된 개구통로(14);및 외측으로 연통되는 얇은 간격(B)의 삽입공간(15)를 포함하여, 내용물 저장공간에 개구통로를 형성한 분리막만의 간단한 구조로 개선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분리막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방된 얇은 간격(A)의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내용물의 원산지 표시등의 광고지를 삽입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막걸리 용기를 제공한다.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 makgeolli container, a container body 10 forming a spout 17 and an internal storage space 13 to store the contents; A separation membrane 11 formed to block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internal storage space 13 of the container body 10 across the container body 10 from one inner surface 12a to the other inner surface 12b. ; An open passage 14 formed between the base of the separator 11 and the inner surface 12b; and an insertion space 15 with a thin gap B communicating to the outside, forming an open passage in the content storage space. An improvement is made with the simple structure of the separator, and at the same time, an insertion space with a thin gap (A) is formed so that the separator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a makgeolli container is provided that allows the insertion of advertisements indicating the origin of the contents. .
Description
본 발명은 막걸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가라앉은 농도가 짙은 내용물(앙금)을 남기고 상부의 맑은 내용물만을 분리하여 주출할 수 있는 막걸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kgeolli container that can separate and pour out only the clear contents at the top, leaving the thick contents (sediment) settled at the bottom.
종래 알려지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막걸리,주류등의 음료용 용기들은 일정 용적을 갖는 유리병 또는 페트병 등에 담긴 채로 유통과 소비등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막걸리 용기의 구조를 보면, 용기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병목 상단에는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이 조립 가능하게 형성된다.Conventionally known and commercially sold beverage containers such as makgeolli and alcoholic beverages are generally distributed and consumed in glass bottles or plastic bottles with a certain volume. Looking at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akgeolli container, an openable bottle cap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ottleneck form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it can be assembled.
이와 같이 완성된 막걸리 용기등은 주류의 생산 라인으로 공급이 된 후, 주입장치(filler)에 의해서 일정량씩의 내용물이 채워지고 병뚜껑이 닫힌 상태로 유통이 이루어진다.Makgeolli containers completed in this way are supplied to the liquor production line, then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content by a filler and distributed with the bottle cap closed.
특히, 막걸리는 다른 주류 제품에 비하여 유통기간이 짧기 때문에 가급적 냉장 유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막걸리는 그 고유의 특성상 병의 하부에 앙금이 가라앉게 됨에 따라서 대부분의 막걸리 음주자는 음주 전 막걸리 병을 흔들어 병의 하부에 가라앉아 있는 앙금이 적절하게 혼합되게 한다. 반면에, 일부의 음주자들은 병의 하부에 앙금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농도가 진한 부분을 제외한 맑게 보이는 부분만을 마시는 경우가 있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이와 같은 추세는 중장년층에 비하여 젊은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In particular, makgeolli has a shorter shelf life compared to other mainstream products, so it is distributed refrigerated whenever possible. Also,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ediment settles at the bottom of the bottle, so most makgeolli drinkers shake the makgeolli bottle before drinking to properly mix the sediment settling at the bottom of the bottle. On the other hand, some drinkers only drink the clear part of the bottle, excluding the relatively concentrated part due to sediment at the botto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is trend appears to be occurring relatively more often in the younger generation than in the middle-aged.
이와 같은 점을 이용한 막걸리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A makgeolli container using this point has been proposed.
즉, 등록특허 제10-1136131호의 막걸리 용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막걸리 용기는 용기 제조과정에서 매우 복잡하여 용기의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막걸리와 같은 주류의 경우 판매 단가가 2천원~4천원대에서 형성되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특허와 같은 구조의 막걸리 용기의 단가로 인한 용기에 담긴 막걸리의 단가는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the makgeolli container of Registration Patent No. 10-1136131 is known. However, these makgeolli containers have a problem in that the container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tainer is high. Considering that the selling price of alcoholic beverages such as makgeolli is in the range of 2,000 to 4,000 w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nit price of makgeolli contained in the container was bound to increase due to the unit price of makgeolli containers with the same structure as in the paten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용기들의 문제점을 감안함과 아울러 종래의 막걸리 용기들이 갖는 내용물의 분리 추출에 따른 구조적인 복잡함을 개선하여 필요에 따라 용기의 바닥에 가라앉은 농도가 짙은 내용물을 분리하여 상부의 맑은 내용물만을 주출함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막걸리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akes into account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ntainers described above and improves the structural complexity of the conventional makgeolli containers due to separation and extraction of the contents, so as to separate the highly concentrated contents that have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s needed and remove the contents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akgeolli container with a simple structure that allows only clear contents to be dispensed.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상부의 맑은 내용물과 하부의 농도가 짙은 앙금을 혼합함이 가능한 막걸리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o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to provide a makgeolli container that can mix the clear contents at the top and the thick sediment at the bottom when necessary.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막걸리의 음용시 용기내 약 4/5정도의 용기내 윗부분의 맑은 부분을 음용하고, 용기내 약 1/5가량 가라앉은 부분은 음용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o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sure that when drinking makgeolli, the clear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which is about 4/5 of the container, can be consumed, and the part that has settled about 1/5 of the container can not be consumed. That's the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막걸리 용기는,A makgeolli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주출구와 내부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 본체; A container body that forms a spout and an internal storage space to store the contents;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저장공간의 일측 내면에서 타측 내면으로 용기본체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상부와 하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분리막; 및 A separation membrane formed to block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internal storag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across the container body from one inner surface to the other inner surface; and
상기 분리막의 기단과 타측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개구통로;an opening passage formed between the proximal end of the separator and the other inner surface;
를 포함하는 막걸리 용기.A makgeolli container contain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막걸리 용기는, 상기 분리막은 용기본체의 일측 내면에서 타측 내면으로 경사각(A)을 이루는 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e makgeolli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or forms an inclination angle (A) from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막걸리 용기는, 상기 분리막이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얇은 간격(B)의 삽입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makgeolli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or forms an insertion space with a thin gap (B)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막걸리 용기는, 상기 분리막이 차단부을 형성함과 동시에 넘침부를 형성하고, 이 넘침부측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In a makgeolli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parator forms a blocking portion and simultaneously forms an overflow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an be formed on the overflow side.
상기 분리막의 경사도는 45˚~65˚ 정도의 경사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eparator is approximately 45˚ to 65˚.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막걸리 용기는,The makgeolli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첫째, 종래 알려진 등록특허 제10-1136131호의 막걸리 용기가 맑은 부분과 탁한 부분의 주출을 구분하는 효과를 달성하지만 용기 자체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고 더하여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사이에 목부를 형성하고, 더하여 이 목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구조가 필수적으로 제안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내용물 저장공간에 개구통로를 형성한 분리막만의 간단한 구조로 개선이 이루어진 효과를 갖는다. First,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viously known registered patent No. 10-1136131 achieves the effect of distinguishing the clear and cloudy portions, but the container itself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a neck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over structure must be proposed to cover the neck por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ement through a simple structure of only a separator that forms an open passage in the content storage space.
둘째, 이와 같은 분리막외에도 분리막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방된 얇은 간격(A)의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내용물의 원산지 표시등의 광고지를 삽입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거두기도 한다. Second, in addition to such a separator, an insertion space with a thin gap (A) open so that the separator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s formed,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insertion of advertisements such as an indication of the origin of the contents.
셋째, 막걸리를 응용함에 있어서 찌꺼기를 먹지 않음에 따라 막걸리 제조기업은 매출이 오를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Third, when using makgeolli, makgeolli manufacturers have a side effect of increasing sales as they do not eat leftovers.
넷째, 막걸리를 음용함에 있어서 맑은 부분이 아니라 탁한 부분을 혼합하기 위하여 반대로 기울이면 내용물 주출시 바닥의 탁한 내용물이 혼합되어 주출될 수 있기도 하여 기존 막걸리 음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겸용의 효과도 갖는다.Fourth, when drinking makgeolli, if you tilt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ix the cloudy part rather than the clear part, the cloudy content on the bottom can be mixed and poured out when pouring out the contents, so it has a dual effect of allowing the existing makgeolli drinking method to be applied as is. .
즉, 막걸리 용기의 개구통로를 기준으로 기울이면 맑은 막걸리(청주스타일)가 나오고 분리막의 반대쪽을 기울이면 막걸리 찌꺼기도 혼합되어 같이 흘러 나올 수 있게 하여 음용하는 사람의 기호에 맞게 음용할 수 있게 한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you tilt the makgeolli container based on the opening passage, clear makgeolli (Cheongju style) comes out, and if you tilt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the makgeolli residue will also mix and flow out together, allowing the drinker to drink it according to his or her preference. is to achieve.
도 1은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실시 예의 제1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실시 예의 제1방향 작용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실시 예의 제2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분리막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first direction of an embodiment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first direction of an embodiment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econd direction of an embodiment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parator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econd direction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막걸리 용기를 첨부 도면들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akgeolli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실시 예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실시 예의 횡방향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실시 예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second direction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막걸리 용기는 크게 용기본체(10)와, 분리막(11)로 구분할 수 있다.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container body 10 and a separator 11.
용기본체(10)는 일반적인 막걸리 용기의 통형을 이루고 내부공간(13)을 형성한다. The container body 10 has the cylindrical shape of a typical makgeolli container and forms an internal space 13.
분리막(11)은 이 용기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내부공간(13)을 가로질러 횡단면 방향의 하방에 용기본체(10)가 기울여 질 때 내용물의 주출이 차단되도록 가로질러 형성되며, 분리막(11)의 기단측과의 사이에 하부 침전된 내용물이 넘어가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개구통로(14)를 형성한다. The separator 11 is formed across the internal space 13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o the other side to block the pouring out of the contents when the container body 10 is tilted downward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An opening passage (14) is formed between the proximal side of (11)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ower settled contents pass.
즉, 내부공간(13)의 일측 내면(12a)에서 특정되지 않는 하측의 소정 위치에서 반대방향 내면(12b)을 향하여 수평 또는 소정의 경사도를 갖고 분리막(11)을 형성하고 이 분리막(11)의 기단측에서내면(12b) 사이에 개구통로(14)를 형성한다. That is, a separator 11 is formed horizontally or at a predetermined slope at an unspecified lower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12a of the internal space 13 toward the opposite inner surface 12b, and the separator 11 is formed at a certain angle. An open passage 14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2b at the proximal end 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막(11)은 용기본체(10)의 일측 내면(12a)에서 타측 내면(12b)사이를 향하여 소정의 경사각(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막(11)의 경사도는 약 45˚65˚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parator 11 form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 between the inner surface 12a on one side and the inner surface 12b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inclination of the separator 11 may be approximately 45˚65˚.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주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ouring process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의 주출을 위하여 개구통로(14)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6)를 돌출라인 혹은 포장재등의 표시로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 the display portion 16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opening passage 14 for dispens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formed as a mark such as a protruding line or packaging material.
막걸리등의 내용물의 주출시에는 용기본체(10)의 표시부(16)측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손으로 위치를 조절한 뒤 주출구(17)를 기울여 분리막(11) 상부의 맑은 내용물이 주출되도록 한다. 주출초기에는 분리막(11)의 상부 공간(13)측에 소위 맑은 내용물이 주출되지만 분리막(11) 하측에 남아있는 앙금은 초기 주출시 차단될 수 있다. When pouring out contents such as makgeolli,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with the user's hand so that the display part 16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is located at the top, then tilts the pouring port 17 so that the clear contents on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or 11 are poured out. Make it possible. At the beginning of pouring, so-called clear contents are poured into the upper space 13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but the sediment remai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may be blocked during the initial pouring.
분리막(11) 하부의 앙금의 주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분리막(11) 하부의 앙금을 상부 공간(13)측으로 섞이도록 용기본체(10)를 흔들고나 경사를 주어 기울여 약간 흔들어주면 개구통로(14)를 넘어 앙금이 오버훌로우(Over Flow)되어 분리막(11) 상부 공간(13)의 맑은 내용물과 섞여 주출 할 수 있다. 개구통로(14)의 개구정도는 이와 같은 앙금의 혼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When it is necessary to pour out the sediment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shake the container body (10) or tilt it slightly to mix the sediment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toward the upper space (13) to open the opening passage (14). The sediment overflows and can be mixed with the clear contents of the upper space 13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and poured out.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of the opening passage 14 has a predetermined gap to enable mixing of the sediment.
첨부 도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통로(14)의 개구정도(간격)는 내용물을 주출하는 용기본체(10)를 기울이는 경사각도에 따라 앙금의 넘침이 분리막(11)을 넘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거나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막걸리 용기는 개구통로(14)의 간격을 특정하지 않지만, 용기본체(10)를 흔들어 혼합함이 필요한 경우에는 앙금이 넘쳐 혼합될 수 있거나 용기본체(10)를 기울여 수평에 이르면 앙금이 넘치는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 3 of the attached drawing, the opening degree (spacing) of the opening passage 14 is sufficiently wide to allow the overflow of sediment to exceed the separation membrane 11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tainer body 10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pensed. Or it can be formed narrowly.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does not specify the spacing of the opening passages 14, but if it is necessary to shake the container body 10 to mix, the sediment may overflow or be mixed or the sediment may be mixed when the container body 10 is tilted and reaches horizontal level. It is desirable to form it to an overflowing level.
첨부 도면중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분리막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parator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막걸리 용기의 분리막(11)은 얇은 삽입공간(1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용기본체(10)의 일측 내면(12a)에서 개구통로(14)까지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막(11)은 용기본체(10)의 외부로 개방되는 얇은 간격(B)의 삽입공간(15)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실시 예의 분리막 (11)하부의 앙금의 엄침을 혼합하거나 차단함은 물론 광고지 혹은 막걸리의 음료에 필요한 기타 수단의 장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삽입공간(15)의 간격("B")의 조절은 삽입물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4, the separator 11 of the makgeolli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orms a thin insertion space 15. That is, the separation membrane 11 formed between one inner surface 12a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opening passage 14 is an insertion space 15 with a thin gap B open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By forming a , it is possible to mix or block the sedimentation of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well as to insert advertisements or other means necessary for makgeolli drinks. Therefore, the spacing (“B”) of the insertion space 15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insert.
첨부 도면중 도 5는 본 발명 막걸리 용기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는 본 발명 막걸리 용기는 도 5와 같이 횡방향 가로질르게 형성된 분리막(11)의 반 정도는 차단부(11a)를 형성하고, 반 정도의 넘침부(11b)에는 다수의 통공(18)들을 형성하여 개구통로(14)와 같은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통공(18)의 크기등은 실제작시에 내용물의 용량,용기의 사이즈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Figure 5 of the attached drawings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second direc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bout half of the separator 11 formed transversely as shown in FIG. 5 forms a blocking portion 11a, and half of the overflow portion 11b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 18) can be form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opening passage 14. The size of the hole 18 can be forme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contents and the size of the container during actual operation.
기타 본 발명의 개구통로(14)의 형성은 통공(18)을 포함하여 앙금의 넘침이 가능하지만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구조의 실시로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the open passage 14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sible by implementing various structures, including the through hole 18, that allow sediment to overflow but are temporarily blocked.
이와 같은 본 발명 막걸리 용기에 구현되는 분리막(11)의 형성에 따라 내용물 주출시 앙금을 혼합하여 주출을 원하는 경우에는 용기본체(10)를 기울여 분리막(11)상부의 맑은 내용물과 분리막(11) 하측의 앙금이 혼합되도록 하고, 분리막(11) 하측의 앙금의 주출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리막(11)하측의 가라앉은 앙금을 유지한 채 용기본체(10)를 기울여 주출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에 앙금은 개구통로(14)를 통하여 소량의 앙금 넘침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separator 11 implemented in the makgeolli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uring the contents by mixing the sediment, tilt the container body 10 to mix the clear contents on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or 11 and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or 11. If it is desired to mix the sediment and block the pouring of the sediment on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it can be done by tilting the container body 10 and pouring it out while maintaining the settled sediment on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At this time, a small amount of sediment may overflow through the open passage (14).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In other word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ttached drawings and claims,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equivalent to the same. All of these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용기본체, 11:분리막,
11a:차단부, 11b:개구부
12a,12b:내면, 13:공간,
14:개구통로, 15:삽입공간,
16:표시부, 17:주출구,
18:통공, 10: container body, 11: separator,
11a: blocking part, 11b: opening part
12a, 12b:inner, 13:space,
14: opening passage, 15: insertion space,
16: display unit, 17: main outlet,
18: Tonggong,
Claims (4)
주출구(17)와 내부 저장공간(13)을 형성하여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 본체(10);
용기본체(10)의 내부 저장공간(13)의 일측 내면(12a)에서 타측 내면(12b)으로 용기본체(10)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상부와 하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분리막(11); 및
분리막(11)의 기단과 내면(12b)과 사이에 형성된 개구통로(14);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얇은 간격(B)의 삽입공간(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용기.
In makgeolli containers,
A container body (10) forming a spout (17) and an internal storage space (13) to store the contents;
A separator 11 formed to block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nal storage space 13 of the container body 10 from one inner surface 12a to the other inner surface 12b. and
An opening passage 14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inner surface 12b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
Including,
The separator is,
A makgeolli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insertion space (15) with a thin gap (B)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분리막(11)은 차단부(11a)을 형성함과 동시에 넘침부(11b)측에 다수의 통공(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용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parator 11 is a makgeolli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blocking portion 11a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8 on the overflow portion 11b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7142A KR102689612B1 (en) | 2022-08-25 | 2022-08-25 | Makgeolli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7142A KR102689612B1 (en) | 2022-08-25 | 2022-08-25 | Makgeolli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8860A KR20240028860A (en) | 2024-03-05 |
KR102689612B1 true KR102689612B1 (en) | 2024-07-29 |
Family
ID=9029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7142A KR102689612B1 (en) | 2022-08-25 | 2022-08-25 | Makgeolli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9612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9708B1 (en) | 2000-11-28 | 2004-05-10 | 권경해 | Drinking water bottle having double division structure of the body and cup combined use structure of the stopper |
KR101136131B1 (en) * | 2010-06-17 | 2012-04-17 | 왕성전자 주식회사 | PET bottle |
KR20180080129A (en) * | 2017-01-03 | 2018-07-11 | 장은심 | Separating structure |
-
2022
- 2022-08-25 KR KR1020220107142A patent/KR102689612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8860A (en) | 2024-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600625B (en) | Package and use of such package | |
US7523840B2 (en) | Plural chamber drinking cup | |
US5427269A (en) | Large drink container to fit vehicle cup holders | |
US20050242102A1 (en) | Glass with the drinking plane not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ntainer | |
US20130048593A1 (en) | Discharging contents from a container while filling the same with gas | |
CN101238036B (en) | Liquid container | |
KR20210003861A (en) | Paper container with cap | |
JPH06270944A (en) | Container for liquid drink | |
WO2008020301A1 (en) | A drinking vessel | |
JP2006502923A (en) | Beverage bottle with two chambers | |
US20020166865A1 (en) | Drinking receptacle | |
KR200473800Y1 (en) | A cup | |
KR102689612B1 (en) | Makgeolli container | |
EP1447334A1 (en) | Food container | |
US11370580B2 (en) | Coffee and liquid container with concealed mini-cup compartment | |
US20130082025A1 (en) | Discharging contents from a container while filling the same with gas | |
EP2003427A1 (en) | Decanter for displaying and pouring bottled liquids | |
KR101136131B1 (en) | PET bottle | |
KR20190001581U (en) | Take-out A disposable receptacle | |
JP3110791U (en) | Shochu in a container | |
KR200386535Y1 (en) | retort pouch putting alcoholic liquors in | |
CN213975265U (en) | Bottle cap | |
WO2013061906A1 (en) | Shochu container cap, shochu container, and shochu in container | |
KR200376549Y1 (en) | a kettle | |
KR20100081199A (en) | Receptacl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