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5860B1 -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5860B1
KR102685860B1 KR1020190131468A KR20190131468A KR102685860B1 KR 102685860 B1 KR102685860 B1 KR 102685860B1 KR 1020190131468 A KR1020190131468 A KR 1020190131468A KR 20190131468 A KR20190131468 A KR 20190131468A KR 102685860 B1 KR102685860 B1 KR 10268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plate
frame
support devi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624A (ko
Inventor
강승묵
김영춘
장문섭
김연찬
노태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3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58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624A/ko
Priority to KR1020240089942A priority patent/KR20240110784A/ko
Priority to KR1020240089912A priority patent/KR20240110783A/ko
Priority to KR1020240089962A priority patent/KR20240110926A/ko
Priority to KR1020240090513A priority patent/KR20240110928A/ko
Priority to KR1020240090687A priority patent/KR20240110789A/ko
Priority to KR1020240090319A priority patent/KR20240110927A/ko
Priority to KR1020240091073A priority patent/KR20240113730A/ko
Priority to KR1020240091270A priority patent/KR20240113441A/ko
Priority to KR1020240091636A priority patent/KR2024011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5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06C1/08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 E06C1/12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extensible, e.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16B2/18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u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중 종단 접속함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는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기중 종단 접속함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의 고정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를 포함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기중 종단 접속함에 용이하게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PORTABLE SUPPORTING DEVICE FOR LIFTING TERMINATION BOX}
본 발명은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기중 종단 접속함에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작업 후에는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 부피가 작아지고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주변 활선부로부터 유도전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접지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은 지중 혹은 지상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으로서, 특고압 전력 케이블(154kV XLPE CABLE)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접속함이 사용된다.
접속함은 크게 종단 접속함(terminal box)과 중간 접속함(joint box)으로 구분된다. 또한, 종단 접속함은 기중 종단 접속함(End Box-Air, EBA), 가스중 종단 접속함(End Box-Gas, EBG) 및 유중 종단 접속함(End Box-Oil, EBO)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중간 접속함은 보통 접속함 (normal joint)과 절연 접속함(insulation joint)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단 접속함은 케이블 도체와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고 그 접속부를 절연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절연을 위해 자기, 유리, 합성수지 또는 고분자재질로 이루어진 중공 형상의 애관(인슐레이터, 애자 또는 절연통이라고도 함)과, 이 애관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밀봉시키기 위해 실링판을 각각 포함하는 상부 밀봉 조립체 및 하부 밀봉 조립체와, 상부 밀봉 조립체에 구비되어 외부 수분으로부터 종단 접속함을 보호하는 우복과, 그리고 하부 밀봉 조립체에 구비되며 종단 접속함으로 인입된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보호관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대한 일예가 한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9947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중 종단 접속함(EBA)의 고정 플레이트에 결착되는 결착부, 결착부에 의해 고정되어 기중 종단 접속함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사다리부, 사다리부의 기둥부로부터 고정 플레이트 측으로 펼쳐져 고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접이식 사다리부를 기반으로 결착부 및 지지부로 구성하였고, 내용은 본체 베이스의 플레이트를 나사형 체결부와 가로대 및 복수개의 지지대로 구성하여 결착하고 접이식 측면지지대를 클램핑하며 나사형 고정부가 형성된 접이식 사다리 장치와 EBA상부 안착용 경첩식 안착부와 부가 고정용 벨트로 구성하여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결착부와 지지부는 다양한 치수의 본체 베이스플레이트의 규격에 적용이 불가능하고, 접이식 사다리장치는 EBA본체와 평행형 형태로 조립되어 지표면과 수직을 이루어 불안정한 작업구조이며, 안착용 경첩식 안착부는 적용상 단자클램프 해체 작업개소에 안착되는 구조로써, 상기와 같은 고정방식은 발명품의 손괴나 결착불량, 조임볼트 파손 및 셋팅시간의 과다소요로 현장작업시 불안정적이고, 내구성 및 내후성 그리고 적용성 면에서 불안전 요소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개연성이 상존하여 운영상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측면지지대 및 나사형 고정부가 형성된 접이식 사다리장치는 작업현장에서 활용 시, 현장 작업자가 사다리에 승탑하고 유지보수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하면 무게중심의 인장하중에 의해 지속적인 작업시 경년변화에 의한 휘임현상의 개연성과 볼트 체결부의 손괴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동일한 작업 수행 시, 작업품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착작업에서 다수개의 나사형 볼트를 잠금작업 및 풀림작업을 수행하기위해서는 작업자의 악력(손아귀의 힘)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번거롭고 또한 반복적인 회전이 필요하므로 신속한 작업수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는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었으며,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여 종단 접속함의 점검, 관리 또는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994786호(2019.06.25 등록)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기중 종단 접속함에 사다리부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어 인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다리부의 하단이 고정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사다리부의 상단이 우복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하며,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변 활선부로부터 유도전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접지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동시에 내식성,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내구성을 확보하고 뿐만 아니라 경량화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다리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설치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작업 후에는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 부피가 작아지고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기중 종단 접속함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의 크기 및 두께가 달라져도 설치 가능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점검작업이 수월해지고 단시간에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중 종단 접속함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는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기중 종단 접속함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의 고정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는 서로 상하 연결되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접이 동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수납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디딤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수직프레임이 수납홈에 수납되는 사다리유닛; 디딤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 디딤프레임 마다 구비되며, 평상시 디딤프레임의 내부공간에서 수납홈측으로 관통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수납홈측으로 돌출되며, 수납된 수직프레임을 지지하여 접이 동작을 잠금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프레임은 하단에 개구홀을 통과한 잠금유닛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잠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잠금유닛은 디딤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블럭; 고정블럭과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가 수납홈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평상시 개구홀을 통해 돌출되어 수직프레임의 접이 동작을 잠금하며, 측면에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이 구비되는 종동블럭; 디딤프레임의 내부에서 삽입홈에 일부분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사다리유닛의 접이 동작시 삽입홈에 점차 삽입되면서 종동블럭을 수납홈측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블럭; 디딤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며 디딤프레임을 관통하여 가동블럭과 일체로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는 각각 고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 각각의 양단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고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하단체결부는 일측이 제1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며 타측이 제2지지프레임의 단부와 클램프레버를 매개로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결합프레임은 타측에 제1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클램프레버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장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클램프레버는 제2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되며 장홀에 삽입되어 이동하고, 결합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가압 고정시키거나,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는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에서 기중 종단 접속함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의 양측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이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은 각각 고정 플레이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은 각각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락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락킹유닛은 설치 브라켓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락킹레버; 락킹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회전부의 중심축과 편심되게 구비되며, 회전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면과 맞닿는 편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상단체결부는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에 우복부의 양측을 파지하는 집게부가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집게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우복부를 파지하는 원호면이 형성되고, 단부가 우복부를 감싸도록 벤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상단체결부는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여 한 쌍의 집게부 사이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상단체결부는 집게부가 오므려진 상태일 때 클램프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관통홀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클램프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안전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클램프 플레이트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안전핀의 단부에서 단차지며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핀이 이동하도록, 제1관통홀 또는 제2관통홀과 연통되며 클램프 플레이트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이동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상단체결부는 중앙에 이동핀이 관통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와셔; 이동핀이 관통되며, 이동핀의 단부의 외주면에서 단차지며 돌출되게 형성된 단턱부에 지지되어 와셔를 베이스 플레이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상단체결부는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 사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돌출부에 지지되다가 클램프 플레이트 사이가 벌어지면 우복부측인 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전방면에서 단차지며 돌출부 사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출된 단부가 우복부를 지지하는 우복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홀;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된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며, 타측이 슬라이드홀의 전방 단부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스프링지지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드홀의 양단에 고정되며, 스프링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이드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된 2개의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상단체결부는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가 접히도록,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돌출된 접힘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지지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상단체결부는 제2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받침 플레이트; 일측이 받침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타측이 클램프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안착 플레이트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우복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우복부를 파지하는 둥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상단체결부는 제2사다리부의 상측면과 받침 플레이트 사이가 접히도록, 제2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받침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돌출된 접힘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보조 플레이트; 받침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보조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램프 플레이트는 봉 형상으로 상측면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며, 안착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부재 관통홀을 통과한 후 회전하여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특히 기중 종단 접속함에 사다리부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구조를 제공하며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어 인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다리부의 하단이 고정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사다리부의 상단이 우복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즉, 사다리부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기중 종단 접속함에 고정되어 있어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활선부로부터 유도전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접지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동시에 내식성,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내구성을 확보하고 뿐만 아니라 경량화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다리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설치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작업 후에는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 부피가 작아지고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단체결부에 장홀이 형성된 결합프레임과, 락킹유닛이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기중 종단 접속함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의 크기 및 두께가 달라져도 설치 가능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점검작업이 수월해지고 단시간에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단체결부에 자동 체결되는 클램프구조를 적용하여 상단체결부를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장착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고정되지 않은 사다리부에 올라갈 필요가 없어져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설치가 훨씬 편리해지고 설치시간도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가 기중 종단 접속함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사다리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사다리부의 잠금유닛의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수직프레임에 잠금홀이 마련된 상태의 잠금유닛의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사다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하단체결부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하단체결부의 락킹유닛의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제1상단체결부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제1상단체결부의 클램프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제1상단체결부의 클램프 플레이트가 벌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배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제2상단체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가 기중 종단 접속함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제1사다리구조의 접힘상태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제1사다리구조의 접힘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가 기중 종단 접속함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사다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사다리부의 잠금유닛의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수직프레임에 잠금홀이 마련된 상태의 잠금유닛의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사다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하단체결부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하단체결부의 락킹유닛의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제1상단체결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제1상단체결부의 클램프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제1상단체결부의 클램프 플레이트가 벌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배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서 제2상단체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가 기중 종단 접속함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제1사다리구조의 접힘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제1사다리구조의 접힘상태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는,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는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기중 종단 접속함(30)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고정 플레이트(31)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200)와 제2하단체결부(500),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우복부(32)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상단체결부(300)와 제2상단체결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의 X-Y-Z좌표계를 참고하여 X축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Y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Z축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는 작업자가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상부로 올라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장치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가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하부인 고정 플레이트(31)와, 상부인 우복부(3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의 사다리부(100,400)는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되기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는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로 이루어지며,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는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고정된다.
제1사다리구조(10)는 제1사다리부(100), 제1하단체결부(200), 제1상단체결부(300)로 구성된다.
또한, 제2사다리구조(20)는 제2사다리부(400), 제2하단체결부(500), 제2상단체결부(600)로 구성된다.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는 작업자가 딛고 올라갈 수 있도록 사다리형태로 마련되어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측면에 설치되며,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기중 종단 접속함(30)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의 하단은 기중 종단 접속함(30)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의 상단이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양측에 지지되어 기울어져 설치된다.
제1하단체결부(200)와 제2하단체결부(500)는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고정 플레이트(31)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제1상단체결부(300)와 제2상단체결부(600)는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우복부(32)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에 대해 아래에 후술한다.
제1사다리부(100)는 상단에 제1상단체결부(300)가 고정되고 하단이 제1하단체결부(200)와 힌지결합되고 제2사다리부(400)는 상단에 제2상단체결부(600)가 고정되고 하단이 제2하단체결부(500)와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는 내식성,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내구성을 확보하고, 접지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휴대 및 이동시 편리하도록 경량화되도록, 알루미늄 합금금속인 듀랄루민 합금(60계열) 재질로 적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설치되는 작업용 지지장치로, 접지성능확보가 중요하다.
또한,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는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어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서로 대칭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2사다리부(400)에 관한 내용은 제1사다리부(100)에 관한 내용으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구조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사다리부(100)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제2사다리부(400)에 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사다리부(100)는 사다리유닛(110)과, 사다리유닛(110) 사이의 접이 동작을 잠금하는 잠금유닛(120)으로 구성된다.
사다리유닛(11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수직프레임(111)의 상단을 연결하는 디딤프레임(115)으로 구성된다.
수직프레임(111)은 서로 상하 연결되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접이 동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수납홈(112)이 형성되어 다른 사다리유닛(110)의 수직프레임(111)이 각각 삽입된다.
즉, 어느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각 수납홈(112)에는 다른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직프레임(111)이 삽입되어 수납되고, 하측의 수직프레임(111)의 수납홈(112)에 상측의 수직프레임(111)이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수직프레임(111)이 하측의 수직프레임(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다리유닛(110)의 수직프레임(111)이 수납홈(112)에 수납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전제 제1사다리부(1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서 다양한 규격의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설치가 가능하다.
디딤프레임(115)은 작업자가 딛고 올라가는 부분으로,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의 상단을 연결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후술할 잠금유닛(120)이 내장된다.
또한, 디딤프레임(115)은 작업자가 딛을 수 있도록, 상측면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다리유닛(110)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사다리유닛(11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수직프레임(111)의 상단, 중앙부분, 하단을 연결하는 3개의 디딤프레임(1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11)의 하단을 연결하는 디딤프레임(115)은 후술할 제1하단체결부(200)와 힌지 결합되기 위해, 하측면에서 돌출되는 힌지부와, 힌지부를 관통하여 제1하단체결부(200)의 이격프레임(211)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핀이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2사다리부(400)의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사다리유닛(110)의 하단을 연결하는 디딤프레임(115)은, 후술할 제2하단체결부(500)와 힌지 결합되기 위해, 하측면에서 돌출되는 힌지부와, 힌지부를 관통하여 제2하단체결부(500)의 이격프레임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핀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디딤프레임(115)으로 구성되는 사다리유닛(110)의 접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사다리부(100)는 다양한 규격의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설치될 수 있어야 하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제1사다리부(100)는 복수개의 사다리유닛(110)으로 구성되고 사다리유닛(110) 사이는 접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즉, 어느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납홈(112)에 다른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직프레임(111)의 대부분이 삽입되어 접힌 상태로 있다가, 사용시 어느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납홈(112)의 상측단에 다른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직프레임(111)의 하단부를 고정시켜 수납되어 있던 수직프레임(111)의 길이만큼의 높이를 확보한다.
그리고, 필요한 높이만큼 사다리유닛(110) 사이를 펼쳐 설치한다.
잠금유닛(120)은 이러한 사다리유닛(110) 사이의 접이 동작을 잠금시키기 위한 것으로, 어느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납홈(112)의 상측단에 다른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직프레임(111)의 하단부를 고정시킬 때 잠금유닛(120)을 이용한다.
잠금유닛(120)은 디딤프레임(115)의 양측 단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 디딤프레임(115) 마다 구비된다.
그리고, 잠금유닛(120)은 평상시 디딤프레임(115)의 내부공간에서 수납홈(112)측으로 관통 형성된 개구홀(113)을 통해 수납홈(112)측으로 돌출되어 수납된 수직프레임(111)을 지지하여 수직프레임(111)의 접이 동작을 잠금한다.
개구홀(113)은 수직프레임(111)의 수납홈(112)과 디딤프레임(115)의 내부공간을 연결하기위해, 수직프레임(111)의 디딤프레임(115)과 대응되는 내측면에서 디딤프레임(115)의 내부공간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홀(113)을 통해 돌출된 잠금유닛(120)이 수직프레임(111)의 측면을 가압하여 수직프레임(111)의 상하 이동을 잠금시킨다.
도 5의 (a)는 복수개의 사다리유닛(110)이 모두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복수개의 사다리유닛(110)이 모두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평상시 또는 휴대시에는 도 5의 (a)처럼 복수개의 사다리유닛(110)을 접은 상태로 보관하며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잠금유닛(120)이 개구홀(113)을 통해 돌출되어 수직프레임(111)의 측면을 가압하고 있어 복수개의 사다리유닛(110) 사이는 고정된다.
또한, 작업시 또는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설치시에는 잠금유닛(120)이 개구홀(113)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디딤프레임(115) 내부에만 위치되도록 조작한 상태로 수납홈(112)에서 수직프레임(111)을 펼친 후, 잠금유닛(120)이 개구홀(113)을 통해 돌출되게 조작하여 사다리유닛(11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즉, 도 5의 (b)처럼 복수개의 사다리유닛(110)을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높이에 따라 선태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고, 이때도, 잠금유닛(120)이 개구홀(113)을 통해 돌출되어 수직프레임(111)의 측면을 가압하고 있어 복수개의 사다리유닛(110) 사이는 고정된다.
잠금유닛(120)은 고정블럭(121), 종동블럭(123), 가동블럭(126), 누름부(128)로 구성된다.
고정블럭(121)은 디딤프레임(115)의 내부에 고정되어 후술할 탄성체(122)를 지지한다.
종동블럭(123)은 고정블럭(121)과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122)가 수납홈(112)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평상시 개구홀(113)을 통해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이 수직프레임(111)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접이 동작을 잠금한다.
이러한 종동블럭(123)은 수직프레임(111)의 외측면과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수직프레임(111)을 지지하는 단부면이 수직프레임(11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종동블럭(123)은 디딤프레임(115)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딤프레임(115)의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고, 일측면에 후술할 가동블럭(126)이 삽입되는 삽입홈(124)이 구비된다.
가동블럭(126)은 디딤프레임(115)의 내부에서 삽입홈(124)에 일부분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삽입홈(124)에 삽입될수록 종동블럭(123)을 수납홈(112)측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즉, 후퇴시키기 위한 경사면(127)이 형성된다.
이 경사면(127)은 가동블럭(126)이 삽입홈(124)에 삽입될 때 종동블럭(123)을 수납홈(112)측의 반대측으로 눌러, 종동블럭(123)을 개구홀(113)로부터 후퇴시킨다.
따라서 사다리유닛(110)을 접이 동작하기위해 수직프레임(111)의 측면을 가압하는 종동블럭(123)의 가압력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면, 가동블럭(126)을 삽입홈(124)측으로 눌러 종동블럭(123)을 수납홈(112)측의 반대측으로 후퇴시킨다.
그리고 종동블럭(123)에도 이러한 경사면(127)과 대응되는 경사가이드면(125)이 형성되어 가동블럭(126)이 삽입홈(124)에 걸림감 없이 삽입될 수 있고 경사면(127)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내구성이 개선된다.
누름부(128)는 디딤프레임(115)의 측면에 배치되며 디딤프레임(115)을 관통하여 가동블럭(126)과 일체로 형성되어, 가동블럭(126)을 삽입홈(124)측으로 누르기위한 보조장치로 마련된다.
작업자는 누름부(128)를 디딤프레임(115)측으로 누르는 조작으로, 가동블럭(126)을 삽입홈(124)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a)는 평상시에 누름부(128)와 가동블럭(126)을 누르지 않아, 탄성체(122)에 의해 종동블럭(123)이 개구홀(113)을 통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탄성체(122)는 종동블럭(123)에 수직프레임(111)을 지지하여 이동 고정시킬 수 있는 탄성 지지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가동블럭(126)의 경사면(127)의 일부분과 종동블럭(123)의 경사가이드면(125)의 일부분이 맞닿은 상태로 구비된다.
도 6의 (b)는 접이 동작을 위해 누름부(128)를 눌러 가동블럭(126)을 삽입홈(124)측으로 이동시키며, 가동블럭(126)에 의해 종동블럭(123)이 탄성체(122)를 압축시키며 수납홈(112)측의 반대측으로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작업자가 누름부(128)를 누른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누름부(128)가 눌린 상태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동블럭(123)이 후퇴하여 수직프레임(111)을 지지하는 가압력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수납홈(112)에서 수직프레임(111)을 이동시키는 접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잠금유닛(120)의 수직프레임(111)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확보하여 제1사다리부(100)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직프레임(111)의 하단에는 잠금유닛(120)이 삽입되는 잠금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홀(114)은 수직프레임(111)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사다리구조(10)를 설치하기 위해 사다리유닛(110)의 하단을 수납홈(112)의 상단에 위치시켜 제1사다리구조(10)를 펼칠 때, 잠금홀(114)에 개구홀(113)을 통과한 잠금유닛(120)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고정되도록 수직프레임(111)의 하단에 관통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편의를 위해 사다리유닛(110)을 접은 상태에서도 사다리유닛(110) 간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수직프레임(111)의 디딤프레임(115)이 구비되는 위치의 바로 밑에 잠금홀(미도시)이 하나 더 형성될 수 있다.
사다리유닛(110)을 사용하지 않거나 휴대시에는 디딤프레임(115)의 바로 밑에 구비되는 잠금홀(미도시)에 잠금유닛(120)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의 (a)는 종동블럭(123)이 개구홀(113)과 잠금홀(114)을 관통하여 수납홈(112)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평상시 또는 휴대시 또는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설치시에는 탄성체(122)가 종동블럭(123)을 탄성지지하여 개구홀(113)과 잠금홀(114)을 관통하여, 종동블럭(123)이 어느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직프레임(111)과 다른 하나의 사다리유닛(110)의 수직프레임(111) 양측에 삽입되어 있어 그 사이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종동블럭(123)이 수납홈(112)측으로 돌출되어 가동블럭(126)과 누름부(128)도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7의 (b)는 종동블럭(123)이 잠금홀(114)에서 분리되어 디딤프레임(115)의 내부공간으로 후퇴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사다리구조(10)를 접거나 펼치는 접이 동작시에는 누름부(128)를 눌러 가동블럭(126)을 삽입홈(124)측으로 이동시키며, 가동블럭(126)에 의해 종동블럭(123)이 탄성체(122)를 압축시키며 잠금홀(114)과 개구홀(113)에서 분리되어 수납홈(112)측의 반대측으로 후퇴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사다리유닛(110)과 다른 하나의 사다리유닛(110) 사이의 고정구조가 없어지므로 쉽게 이동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다리유닛(110)의 접이 동작이 끝나면 다시 누름부(128)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여 종동블럭(123)을 개구홀(113)에서 돌출시켜 수직프레임(111)을 지지하여 잠금하거나, 종동블럭(123)을 개구홀(113)과 잠금홀(114)에 삽입시켜 수직프레임(111)의 이동을 고정시켜 잠금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128)는 디딤프레임(115)의 양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양손으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디딤프레임(115) 중앙에 양측의 누름부(128)를 동시에 누름조작할 수 있는 원터치 버튼(130)이 구비될 수 있다.
원터치 버튼(130)은 디딤프레임(115)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누름부(128)와 연결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원터치 버튼(130)만 눌러도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누름부(128)를 누를 수 있어 작업자가 한손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아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를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고정 플레이트(31)에 고정시키는 제1하단체결부(200)와 제2하단체결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하단체결부(200)와 제2하단체결부(500)는 각각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고정 플레이트(31)에 고정되어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와 힌지 결합된다.
고정 플레이트(31)는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규격에 따라 크기가 다르지만, 일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31)에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200)는 제1결착프레임(210)과 제1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되고, 제2하단체결부(500)는 제2결착프레임(510)과 제2지지프레임(520)으로 구성된다.
제1결착프레임(210)과 제2결착프레임(510)은 각각 고정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고정된다.
제1지지프레임(220)과 제2지지프레임(520)은 제1결착프레임(210)과 제2결착프레임(510) 각각의 양단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고정 플레이트(31)를 지지한다.
즉 제1하단체결부(200)는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고정 플레이트(31)의 3면을 지지하고, 제2하단체결부(500)도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고정 플레이트(31)의 3면을 지지한다.
제1결착프레임(210)과 제2결착프레임(510)은 고정 플레이트(31)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1결착프레임(210)과 제2결착프레임(510)이 배치되지 않은 고정 플레이트(31)에서 제1지지프레임(220)과 제2지지프레임(520)이 각각 결합됨에 따라, 제1하단체결부(200)와 제2하단체결부(500)가 고정 플레이트(31)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 플레이트(3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제1하단체결부(200)와 제2하단체결부(500)는 후술할 락킹유닛(214), 결합프레임(230), 클램프레버(521)를 제외한 구성이 내식성,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내구성을 확보하고, 접지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휴대 및 이동시 편리하도록 경량화되도록, 알루미늄 합금금속인 듀랄루민 합금(60계열) 재질로 적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할 락킹유닛(214), 결합프레임(230), 클램프레버(521)는 기계적 강도, 내식성, 내구성을 확보하며 경량화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 등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상의 특징은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설치되는 작업용 지지장치이므로, 접지성능확보를 위해 중요한 기술적 특징이다.
제1지지프레임(220)과 제2지지프레임(520)이 각각 결합되기 위해, 결합프레임(230)과 클램프레버(521)가 구비된다.
결합프레임(230)은 제1지지프레임(220)의 길이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제1지지프레임(220)의 단부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며 타측이 제2지지프레임(520)의 단부와 클램프레버(521)를 매개로 결합된다.
또한, 결합프레임(230)은 타측에 제1지지프레임(2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클램프레버(52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장홀(231)이 마련된다.
클램프레버(521)는 제2지지프레임(520)의 단부에 고정되며, 결합프레임(230)을 선택적으로 가압 고정시키거나, 가압력을 해제시킨다.
클램프레버(521)는 결합프레임(230)의 장홀(231)에 삽입되어 이동하여 장홀(231) 상에서 클램프레버(521)가 위치하는 위치를 정할 수 있고,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고정 플레이트(31)의 크기에 맞춰 제1결착프레임(210)과 제2결착프레임(510) 사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홀(231) 상에서 클램프레버(521)의 위치가 정해지면 클램프레버(521)가 회전하여 결합프레임(230)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하단체결부(200,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결착프레임(210)과 제2결착프레임(510)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2결착프레임(510)에 관한 내용은 제1결착프레임(210)에 관한 내용으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구조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결착프레임(210)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제2결착프레임(510)에 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후술할 제1결착프레임(210)에 구비되는 이격프레임(211), 결착부(212), 설치 브라켓(213), 락킹유닛(214)은 제2결착프레임(510)에도 동일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하단체결부(200,500)에 구비되는 이격프레임(211)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결착프레임(210)에서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사다리부(100,400)의 하단의 양측과 각각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이격프레임(211)은 하단체결부(200,500)를 고정 플레이트(31)에서 이격시켜 사다리부(100,400)가 경사지게 설치되게 한다.
즉 사다리부(100,400)는 이격프레임(211)이 마련됨에 따라 하단이 기중 종단 접속함(30)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사다리부(100,400)의 상단으로 갈수록 기중 종단 접속함(30)과 가까워져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술할 사다리구조(10,20)의 접힘구조를 위해 사다리부(100,400)와 이격프레임(211)이 힌지 결합되는 것이며, 작업을 위해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설치시에는 힌지 결합되어 있어, 하단체결부(200,500)로부터 사다리부(100,400)가 90도 이내의 각도로 설치된다.
또한, 작업을 마친 후 사다리구조(10,20)는, 하단체결부(200,500)와 사다리부(100,400)가 힌지 회전하여 접힌 상태로 휴대 및 이동된다.
또한, 제1결착프레임(210)이 고정 플레이트(3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제1결착프레임(210)에는 결착부(212)와 락킹유닛(214)이 구비된다.
결착부(212)는 제1결착프레임(210)에서 고정 플레이트(3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31)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결착부(212)의 하측면은 고정 플레이트(31)의 상측면에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된다.
락킹유닛(214)은 제1결착프레임(210)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213)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고정 플레이트(31)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즉 제1결착프레임(210)에 결착부(212)와 락킹유닛(214)이 고정되고, 결착부(212)는 고정 플레이트(31)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락킹유닛(214)은 고정 플레이트(31)의 하측면을 지지하여 제1결착프레임(210)이 고정 플레이트(3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설치 브라켓(213)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으로, 일측 단부가 제1결착프레임(210)의 고정 플레이트(31)측의 반대측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 락킹유닛(214)이 고정된다.
단, 락킹유닛(214)은 설치 브라켓(213)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어 고정 플레이트(31)의 하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락킹유닛(214)은 락킹레버(215), 회전부(216), 편심부(217)로 구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31)의 두께에 맞춰 제1결착프레임(210)이 고정 플레이트(31)에 설치 가능하게 된다.
락킹레버(215)는 설치 브라켓(21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형태의 봉으로 마련되고 설치 브라켓(213)의 고정 플레이트(31)측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락킹레버(215)는 일측이 설치 브라켓(213)의 하단부에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부(216)는 락킹레버(215)와 함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 브라켓(213)의 고정 플레이트(31)측에 설치된다.
편심부(217)는 회전부(21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부(216)의 락킹레버(215)측의 반대측에 구비되되 회전부(216)의 중심축과 편심되게 구비되며, 외주면이 고정 플레이트(31)의 하측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또한, 편심부(217)는 락킹레버(215)와 회전부(216)와 함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락킹레버(215)와 회전부(216)의 회전축(O)은 편심부(217)의 중심축(O')과 일치하지 않으며 편심부(217)가 편심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편심부(217)는 회전부(216)의 회전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 플레이트(31)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즉, 고정 플레이트(31)의 두께는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결착부(212)에서 편심부(217)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편심부(217)는 회전축(O)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외주면 상의 어느 지점까지의 거리와, 회전축(O)에서 가장 먼 위치의 외주면 상의 어느 지점까지의 거리의 차이만큼의 고정 플레이트(31)의 두께에 맞춰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의 (a)는 제1결착프레임(210)의 결착부(212)가 고정 플레이트(31)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며 편심부(217)는 고정 플레이트(31)와 이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락킹레버(215)를 회전시키면, 회전부(216)와 함께 편심부(217)도 회전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11의 (b)처럼 고정 플레이트(31)의 하측면을 지지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하단체결부(200)와 제2하단체결부(500)는 결합프레임(230)과 클램프레버(521)로 고정 플레이트(31)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되고, 결착부(212)와 락킹유닛(214)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가 보다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아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를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우복부(32)에 고정시키는 제1상단체결부(300)와 제2상단체결부(6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상단체결부(300)와 제2상단체결부(600)는 각각 제1사다리부(100)와 제2사다리부(400)에 힌지 결합되며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우복부(32)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상단체결부(300)와 제2상단체결부(600)는 내식성,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내구성을 확보하고, 접지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휴대 및 이동시 편리하도록 경량화되도록, 알루미늄 합금금속인 듀랄루민 합금(60계열) 재질로 적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12 내지 도 14에는 제1상단체결부(3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1상단체결부(3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 클램프 플레이트(320)로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사다리부(100)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클램프 플레이트(320)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측면에 힌지대(321)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며 힌지대(321)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타측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집게부(323)가 구비된다.
집게부(323)는 힌지대(321)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벌어진 상태로 우복부(32)에 끼워지고, 힌지대(321)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시 오므려지며 우복부(32)의 양측을 파지하여 제1상단체결부(300)가 우복부(32)에 고정된다.
특히, 한 쌍의 집게부(323)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우복부(32)를 파지하는 원호면(324)이 형성되어 우복부(32)와의 사이가 흔들리지 않고 우복부(32)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한 쌍의 집게부(323)는 단부가 우복부(32)를 감싸도록 벤딩되게 형성되어 한 쌍의 집게부(323)로부터 우복부(3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 한 쌍의 집게부(323)의 단부는 그 사이로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우복부(32)가 용이하게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된다.
이러한 클램프 플레이트(320)는 우복부(32)를 파지할 때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여 우복부(3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 사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25)가 구비된다.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322)가 구비되고, 돌출부(322) 사이를 연결하여 한 쌍의 집게부(323) 사이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25)가 구비된다.
즉, 탄성부재(325)의 양단이 돌출부(322)에 고정되어 있어서 클램프 플레이트(320) 사이를 벌리기 위해서는 탄성부재(325)를 탄성 변형시키는 힘이 요구되며,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우복부(3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힘을 가해도 벌어지지 않도록, 오므려진 상태의 클램프 플레이트(320) 각각을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고정시키는 안전핀(326)이 구비된다.
안전핀(326)은 집게부(323)가 오므려진 상태일 때 각각의 클램프 플레이트(320)와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관통하여 클램프 플레이트(320)와 베이스 플레이트(310) 사이를 고정시킨다.
특히, 클램프 플레이트(320)는 각각에 안전핀(326)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329)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안전핀(326)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3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관통홀(329)과 제2관통홀(312)은 집게부(323)가 오므려진 상태일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관통홀(329), 제2관통홀(312), 안전핀(326)이 마련됨에 따라 클램프 플레이트(320)는 우복부(32)에 설치된 후 완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안전핀(326)에 이동핀(327)이 형성되고 클램프 플레이트(32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이동핀(327)이 이동하는 이동홀(313)이 형성되어 클램프 플레이트(320)를 벌릴 때 안전핀(326)을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클램프 플레이트(32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가이드한다.
이동핀(327)은 안전핀(326)의 단부에서 단차지며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동홀(313)은 클램프 플레이트(32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경우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제1관통홀(329)과 제2관통홀(312)은 안전핀(326)이 삽입되는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고, 이동홀(313)은 제2관통홀(312)과 연통되며 안전핀(326)의 직경보다 작고 이동핀(327)이 삽입되는 너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 이동홀(313)은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동홀(313)은 클램프 플레이트(320)에 형성되는 경우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제2관통홀(312)은 이동핀(327)이 삽입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1관통홀(329)은 안전핀(326)이 삽입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이동홀(313)은 제1관통홀(329)과 연통되며 안전핀(326)의 직경보다 작고 이동핀(327)이 삽입되는 너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 이동홀(313)은 클램프 플레이트(32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이동홀(313)이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안전핀(326)에는 와셔(301), 탄성지지체(302)가 구비되고 이동핀(327)의 단부에 단턱부(328)가 형성된다.
와셔(301)는 중앙에 이동핀(327)이 관통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탄성지지체(302)는 이동핀(327)이 관통되어 와셔(301)와 단턱부(328) 사이에 구비되며, 단턱부(328)에 지지되어 와셔(301)를 베이스 플레이트(310)측으로 탄성지지한다.
단턱부(328)는 이동핀(327)의 단부의 외주면에서 단차지며 돌출 형성되며, 이동핀(327)의 단부에 나사결합된 너트일 수 있다.
이러한 와셔(301), 탄성지지체(302), 단턱부(328)가 구비됨에 따라 안전핀(326)이 제1관통홀(329)과 제2관통홀(312)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며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클램프 플레이트(32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안전핀(326)의 끝단을 상측으로 누른면 제1관통홀(329)에서 안전핀(326)이 이탈되고 이 상태로 한 쌍의 집게부(323)를 벌리면 이동핀(327)이 이동홀(313)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집게부(323)를 오므리면 와셔(301)와 단턱부(328) 사이의 탄성지지체(302)의 복원력으로 제1관통홀(329)에 안전핀(326)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1사다리구조(10)의 제1하단체결부(200)만 고정된 상태로 제1사다리부(100)를 딛고 올라가면 안전상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제1상단체결부(300)는 작업자가 사다리부(100,400)를 타고 올라가서 조작하지 않더라도 우복부(32)에 지지되어 자동 체결될수 있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구비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는 제1상단체결부(300)는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 사이가 벌어졌을 때 이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돌출부(322) 사이로 삽입된다.
즉, 제1상단체결부(300)의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 사이를 벌리고 그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우복부(32)에 제1상단체결부(300)를 안착시키면 우복부(32)에 제1상단체결부(300)가 자동 체결된다.
벌어진 상태의 제1상단체결부(300)를 우복부(32)에 안착시킨 후 제1사다리부(100)를 기중 종단 접속함(30) 측으로 밀면, 우복부(32)가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를 밀어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탄성부재(325)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오므려지며, 탄성지지체(302)의 복원력으로 안전핀(326)이 제1관통홀(329)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관련된 작동 구조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의 구조를 설명한 후 다시 후술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는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벌어졌을 때 전방으로 이동하는 부재로, 정확히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클램프 플레이트(320)의 돌출부(322) 사이에 위치된다.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오므려진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의 전방면이 돌출부(322)의 후측면에 지지되어 후방에 위치하고,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벌어진 상태에서는 전방에 위치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의 양측면이 돌출부(322)의 끝단에 지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후방에 위치할 때 우복부(32)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에 우복부지지부(331)가 구비된다.
우복부지지부(331)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의 전방면에서 단차지며 돌출부(322) 사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출된 단부가 우복부(32)를 지지한다.
그리고, 돌출된 단부는 전방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우복부(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우복부지지부(331)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전방에 위치할 때 우복부(32)와 충돌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스프링지지부(311)가 구비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에는 슬라이드홀(332)과 스프링부재(333)가 구비된다.
슬라이드홀(332)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프링지지부(311)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드홀(332)의 중앙에 삽입된다.
스프링부재(333)는 스프링지지부(311)와 슬라이드홀(332)의 전방 단부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을 탄성 지지한다.
즉, 스프링부재(333)는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310)에서 돌출 형성된 스프링지지부(311)에 지지되며, 타측이 슬라이드홀(332)의 전방 단부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또한, 스프링부재(333)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는 스프링지지부(311)를 관통하여 슬라이드홀(332)의 양단에 고정되며, 스프링부재(33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334)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프링부재(333)는 스프링지지부(311)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홀의 전방 단부를 항상 탄성 지지하고 있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를 지지하는 돌출부(322) 사이가 벌어지면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돌출부(32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추가로,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고정되는 가이드핀(336)과,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에 구비되는 가이드홀(335)이 마련된다.
가이드홀(335)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슬라이드홀(332)과 좌우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가이드핀(336)은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고정되어 가이드홀(335)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핀(336)은 가이드홀(335)의 전방측에 위치해 있다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가이드홀(335)과 가이드핀(336)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에 복수개 구비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전후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2개의 가이드핀(336)이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2개의 가이드핀(336)이 가이드홀(335)에 삽입되어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되며, 본 발명에서는 2개의 가이드핀(336)으로 한정하였으나, 3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가이드핀(336)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홀(332)의 좌측과 우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고정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에 각 가이드핀(336)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335)이 2개 구비됨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의 슬라이드홀(332)의 좌측과 우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슬라이드홀(332)이 구비되고, 각 슬라이드홀(332)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 2개의 가이드핀(336)이 삽입되어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드홀(332)이 전후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도 13을 참고하여 제1상단체결부(300)의 작동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의 (a)는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벌어진 상태이며 도 13의 (b)는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오므려진 상태로, 제1사다리구조(10)를 기중 종단 접속함(30)에 설치할 때 도 13의 (a) 상태의 제1상단체결부(300)를 우복부(32)에 안착시켜 도 13의 (b)의 상태로 설치한다.
도 13의 (a)는, 안전핀(326)의 하측단을 눌러 제1관통홀(329)에서 안전핀(326)을 분리시킨 후, 탄성부재(325)를 탄성변형시키며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를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벌어지며, 동시에 가이드핀(336)이 이동홀(313)을 따라 이동홀(313)의 단부로 이동된 상태이다.
그리고 돌출부(322) 사이가 벌어져 슬라이드 플레이트(330)는 스프링부재(333)가 복원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우복부지지부(331)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때, 돌출부(322) 사이에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위치하여 클램프 플레이트(320)는 벌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제1상단체결부(300)를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우복부(32)에 설치하기 전에, 작업자가 도 13의 (a) 상태로 만든 후, 제1사다리부(100)를 기중 종단 접속함(30)측으로 밀면 제1사다리부(100)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1상단체결부(300)가 우복부(32)에 지지된다.
특히, 제1상단체결부(300)의 전방으로 이동한 슬라이드 플레이트(330)의 우복부지지부(331)가 우복부(32)에 접촉되고 눌러지면서 스프링부재(333)가 압축되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3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탄성부재(325)가 복원되면서 돌출부(322) 사이가 가까워지며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오므려지고, 이동핀(327)이 이동홀(313)을 따라 이동하여 제1관통홀(329)의 위치로 이동하며, 탄성지지체(302)가 복원되면서 안전핀(326)이 제1관통홀(329)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도 13의 (b)의 상태가 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320) 사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사다리부(100)를 기중 종단 접속함(30) 측으로 밀면 제1상단체결부(300)가 우복부(32)에 자동 체결되어, 제1사다리부(100)의 상단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지 않아도 되며, 제1사다리부(100)의 상단이 고정된 후 작업자가 사다리를 올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되고,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수월해지게 된다.
또한,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상단체결부(600)에 대해 설명한다.
단, 제2상단체결부(600)는 제1상단체결부(300)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아래에 후술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상단체결부(600)는 받침 플레이트(610),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620)로 구성된다.
받침 플레이트(6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사다리부(400)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안착 플레이트(6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측이 받침 플레이트(610)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이 클램프 플레이트(320)에 안착된다.
또한, 안착 플레이트(620)는 각각의 타측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우복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둥근홈(621)이 형성되어 우복부(32)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면서 클램프 플레이트(320)에 안착된다.
단, 안착 플레이트(620)가 클램프 플레이트(320)에 안착되기 위해, 안착 플레이트(620)와 받침 플레이트(610) 사이에는 한 쌍의 높이조절부재(640)가 구비된다.
높이조절부재(640)는 클램프 플레이트(320)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어 안착 플레이트(620)가 클램프 플레이트(320)에 수평으로 안착되게 한다.
그리고, 안착 플레이트(620)는 전방면의 중앙에서 우복부(32)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우복부장악부(612)가 구비되며, 우복부장악부(612)의 상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악부재(613)가 구비된다.
장악부재(613)는 전방면이 우복부(32)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우복부(32)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악부재(613)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우복부(32)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위치로 조정된다.
이처럼 우복부(32)는 제1상단체결부(300)의 우복부지지부(331)와 제2상단체결부(600)의 장악부재(613)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파지됨에 따라 우복부(32)에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상단체결부(300)와 제2상단체결부(600)는 우복부(32)에 안착된후 결합되어 한번 더 고정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상단체결부(300)와 제2상단체결부(600)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 18은 제1상단체결부(300)와 제2상단체결부(600) 간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였다.
클램프 플레이트(320)에는 봉 형상으로 상측면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결합부재(303)가 구비된다.
결합부재(303)는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304)가 형성되고, 안착 플레이트(620)에 형성된 걸림부재 관통홀(622)을 통과한 후 회전하여 안착 플레이트(620)의 상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도 18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부재 관통홀(622)은 걸림부재(304)가 형성된 결합부재(30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재(303)가 통과한 후 회전하면 도 18의 (b)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부재(304)가 안착 플레이트(620)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다시 걸림부재 관통홀(622)을 통과할수 없고 걸림부재(304)가 안착 플레이트(620)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다리구조(10,20)의 상단체결부(300,600)의 고정구조는, 제1사다리구조(10)의 제1상단체결부(300)를 기중 종단 접속함(30)의 우복부(32)에 체결 고정시킨 후, 작업자가 제1사다리부(100)에 오른 상태에서 제2사다리구조(20)의 제2상단체결부(600)의 장악부재(613)를 우복부(32)에 지지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620)를 회전시켜 각각 클램프 플레이트(320)의 상측면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결합부재(303)가 걸림부재 관통홀(622)을 통과하며, 그 다음 결합부재(303)를 회전시켜 클램프 플레이트(320)와 안착 플레이트(620) 사이를 고정시킨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의 접힘구조를 설명한다.
작업자는 작업을 마친 후 기중 종단 접속함(30)에서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를 분리하며, 분리한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를 휴대하거나 이동시키는데, 부피가 크면 휴대 및 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제1사다리구조(10)와 제2사다리구조(20)는 부분적으로 접을수 있는 접힘구조가 구비된다.
먼저, 제1사다리구조(10)는와 제2사다리구조(20)는 사다리부(100,400)와 하단체결부(200,500) 사이의 힌지 체결부분이 회전하며 접힐 수 있어 부피가 줄어든다.
그리고 사다리부(100,400)는 접이 동작에 따라 길이조정되어 부피가 줄어든다.
또한, 사다리부(100,400)와 상단체결부(300,600) 사이에 접힘 구조가 마련되어 후술할 접힘힌지부(321,611)와 힌지부재(341,631)사이가 회전함에 따라 후술할 지지 플레이트(340)와 베이스 플레이트(310) 사이가 접히고, 후술할 보조 플레이트(630)와 받침 플레이트(610) 사이가 접힌다.
이처럼 사다리부(100,400)와 상단체결부(300,600) 사이가 접힐 수 있어 부피가 줄어든다.
아래에서는 사다리부(100,400)와 상단체결부(300,600) 사이의 접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사다리부(100)와 제1상단체결부(300) 사이가 접히도록, 제1사다리부(100)의 상측면과 베이스 플레이트(310) 사이에 지지 플레이트(340)가 구비된다.
지지 플레이트(340)는 좌우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사다리부(100)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하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단부가 지지 플레이트(340)와 힌지 결합되는 제1접힘힌지부(3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접힘힌지부(314)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340)는 전방측 단부에 고정되어 제1접힘힌지부(314)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1힌지부재(341)가 복수개 구비된다.
제1힌지부재(341)는 제1접힘힌지부(314)의 돌출된 단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1접힘힌지부(314)의 돌출된 단부와 함께 힌지축이 관통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접힘힌지부(314)와 지지 플레이트(3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340)와 베이스 플레이트(310) 사이의 접힘 구조를 잠금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고정되어 지지 플레이트(3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조립부재(315)가 구비된다.
제1조립부재(315)는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으며 일예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지지 플레이트(340)에 고정되는 단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걸림부(3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340)에는 제1조립부재(315)가 통과하도록, 제1걸림부(316)가 형성된 제1조립부재(3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통과홀이 구비된다.
이때, 제1통과홀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걸림부재 관통홀(6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회전하여 지지 플레이트(340)에 안착되는 동시에 제1조립부재(315)가 제1통과홀을 통과하며, 이 상태에서 제1조립부재(315)를 회전하여 제1걸림부(316)가 지지 플레이트(340)의 하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지지 플레이트(340) 사이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설치시에는 제1사다리부(100)와 제1상단체결부(300) 사이가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 플레이트(340)에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시켜 사용한다.
또한 휴대 및 이동시에는 부피가 작아지도록 제1통과홀의 형상과 제1걸림부(316)가 형성된 제1조립부재(315)가 일치하도록 제1조립부재(315)를 회전시켜 지지 플레이트(340)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1통과홀에서 제1조립부재(315)가 통과하여 제1사다리부(100)와 제1상단체결부(300) 사이가 접히게 된다.
또한, 제2사다리부(400)와 제2상단체결부(600) 사이가 접히도록, 제2사다리부(400)의 상측면과 받침 플레이트(610) 사이에 보조 플레이트(630)가 구비된다.
보조 플레이트(630)는 좌우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사다리부(400)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 플레이트(610)는 하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단부가 보조 플레이트(630)와 힌지 결합되는 제2접힘힌지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접힘힌지부는 받침 플레이트(61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보조 플레이트(630)는 전방측 단부에 고정되어 제2접힘힌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부재가 복수개 구비된다.
이때, 제2힌지부재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힌지부재(34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접힘힌지부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접힘힌지부(31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힌지부재는 제2접힘힌지부의 돌출된 단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2접힘힌지부의 돌출된 단부와 함께 힌지축이 관통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2접힘힌지부와 받침 플레이트(6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630)와 받침 플레이트(610) 사이의 접힘 구조를 잠금하도록, 받침 플레이트(610)에 고정되어 보조 플레이트(6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조립부재(614)가 구비된다.
제2조립부재(614)는 제1조립부재(315)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예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61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보조 플레이트(630)에 고정되는 단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2걸림부(615)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플레이트(630)에는 제2조립부재(614)가 통과하도록, 제2걸림부(615)가 형성된 제2조립부재(6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통과홀이 구비된다.
이때, 제2통과홀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걸림부재 관통홀(6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610)가 회전하여 보조 플레이트(630)에 안착되는 동시에 제2조립부재(614)가 제2통과홀을 통과하며, 이 상태에서 제2조립부재(614)를 회전하여 제2걸림부(615)가 보조 플레이트(630)의 하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610)와 보조 플레이트(630) 사이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설치시에는 제2사다리부(400)와 제2상단체결부(600) 사이가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보조 플레이트(630)에 받침 플레이트(61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시켜 사용한다.
또한 휴대 및 이동시에는 부피가 작아지도록 제2통과홀의 형상과 제2걸림부(615)가 형성된 제2조립부재(614)가 일치하도록 제2조립부재(614)를 회전시켜 보조 플레이트(630)로부터 받침 플레이트(61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2통과홀에서 제2조립부재(614)가 통과하여 제2사다리부(400)와 제2상단체결부(600) 사이가 접히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특히 기중 종단 접속함에 사다리부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구조를 제공하며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어 인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다리부의 하단이 고정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사다리부의 상단이 우복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즉, 사다리부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기중 종단 접속함에 고정되어 있어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활선부로부터 유도전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접지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동시에 내식성,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내구성을 확보하고 뿐만 아니라 경량화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다리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설치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작업 후에는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 부피가 작아지고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단체결부에 장홀이 형성된 결합프레임과, 락킹유닛(214)이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기중 종단 접속함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의 크기 및 두께가 달라져도 설치 가능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점검작업이 수월해지고 단시간에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단체결부에 자동 체결되는 클램프구조를 적용하여 상단체결부를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장착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고정되지 않은 사다리부에 올라갈 필요가 없어져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설치가 훨씬 편리해지고 설치시간도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사다리구조 20: 제2사다리구조
100: 제1사다리부 110: 사다리유닛
111: 수직프레임 115: 디딤프레임
120: 잠금유닛 130: 원터치 버튼
200: 제1하단체결부 210: 제1결착프레임
211: 이격프레임 212: 결착부
213: 설치 브라켓 214: 락킹유닛
220: 제1지지프레임 230: 결합프레임
231: 장홀 300: 제1상단체결부
310: 베이스 플레이트 320: 클램프 플레이트
322: 돌출부 323: 집게부
325: 탄성부재 326: 안전핀
327: 이동핀 330: 슬라이드 플레이트
331: 우복부지지부 332: 슬라이드홀
335: 가이드홀 340: 지지 플레이트
400: 제2사다리부 500: 제2하단체결부
510: 제2결착프레임 520: 제2지지프레임
521: 클램프레버 600: 제2상단체결부
610: 받침 프렐이트 620: 안착 플레이트
630: 보조 플레이트 640: 높이조절부재

Claims (29)

  1. 기중 종단 접속함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는,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고정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 및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는,
    각각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 및
    상기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 각각의 양단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단체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단부와 클램프레버를 매개로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는,
    서로 상하 연결되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접이 동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수납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디딤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이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사다리유닛; 및
    상기 디딤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 상기 디딤프레임 마다 구비되며, 평상시 상기 디딤프레임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수납홈측으로 관통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상기 수납홈측으로 돌출되며, 수납된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지하여 접이 동작을 잠금하는 잠금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하단에 상기 개구홀을 통과한 상기 잠금유닛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잠금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디딤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과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가 상기 수납홈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평상시 상기 개구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접이 동작을 잠금하며, 측면에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이 구비되는 종동블럭;
    상기 디딤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홈에 일부분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사다리유닛의 접이 동작시 상기 삽입홈에 점차 삽입되면서 상기 종동블럭을 상기 수납홈측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블럭; 및
    상기 디딤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딤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블럭과 일체로 형성된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타측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레버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장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레버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장홀에 삽입되어 이동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가압 고정시키거나,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는,
    상기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에서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의 양측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이격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은,
    각각 상기 고정 플레이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결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프레임과 제2결착프레임은,
    각각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락킹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설치 브라켓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락킹레버;
    상기 락킹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회전부의 중심축과 편심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면과 맞닿는 편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단체결부는,
    상기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에 상기 우복부의 양측을 파지하는 집게부가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집게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우복부를 파지하는 원호면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우복부를 감싸도록 벤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단체결부는,
    한 쌍의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여 한 쌍의 상기 집게부 사이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6. 기중 종단 접속함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는,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고정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 및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단체결부는,
    상기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에 상기 우복부의 양측을 파지하는 집게부가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
    한 쌍의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여 한 쌍의 상기 집게부 사이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집게부가 오므려진 상태일 때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안전핀의 단부에서 단차지며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핀이 이동하도록,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상기 제2관통홀과 연통되며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이동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단체결부는,
    중앙에 상기 이동핀이 관통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와셔; 및
    상기 이동핀이 관통되며, 상기 이동핀의 단부의 외주면에서 단차지며 돌출되게 형성된 단턱부에 지지되어 상기 와셔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19. 기중 종단 접속함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는,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고정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 및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단체결부는,
    상기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에 상기 우복부의 양측을 파지하는 집게부가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
    한 쌍의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여 한 쌍의 상기 집게부 사이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한 쌍의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다가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 사이가 벌어지면 상기 우복부측인 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전방면에서 단차지며 상기 돌출부 사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출된 단부가 상기 우복부를 지지하는 우복부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된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홀의 전방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스프링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홀의 양단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된 2개의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5. 기중 종단 접속함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는,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고정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 및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단체결부는,
    상기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에 상기 우복부의 양측을 파지하는 집게부가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단체결부는,
    상기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가 접히도록, 상기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돌출된 접힘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립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6. 기중 종단 접속함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사다리구조와 제2사다리구조는,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하단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고정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하단체결부와 제2하단체결부; 및
    상기 제1사다리부와 제2사다리부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기중 종단 접속함의 우복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상단체결부와 제2상단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단체결부는,
    상기 제1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에 상기 우복부의 양측을 파지하는 집게부가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상단체결부는,
    상기 제2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받침 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타측이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우복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우복부를 파지하는 둥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단체결부는,
    상기 제2사다리부의 상측면과 상기 받침 플레이트 사이가 접히도록, 상기 제2사다리부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돌출된 접힘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보조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립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는,
    봉 형상으로 상측면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부재 관통홀을 통과한 후 회전하여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190131468A 2019-10-22 2019-10-22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68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68A KR102685860B1 (ko) 2019-10-22 2019-10-22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42A KR20240110784A (ko) 2019-10-22 2024-07-08 휴대가 용이한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12A KR20240110783A (ko) 2019-10-22 2024-07-08 설치가 용이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62A KR20240110926A (ko) 2019-10-22 2024-07-08 내구성이 높은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513A KR20240110928A (ko) 2019-10-22 2024-07-09 기중 종단 접속함에 고정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687A KR20240110789A (ko) 2019-10-22 2024-07-09 집게부를 구비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319A KR20240110927A (ko) 2019-10-22 2024-07-09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073A KR20240113730A (ko) 2019-10-22 2024-07-10 기중 종단 접속재에 체결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270A KR20240113441A (ko) 2019-10-22 2024-07-10 사다리구조를 구비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636A KR20240113883A (ko) 2019-10-22 2024-07-11 기중 종단 접속함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68A KR102685860B1 (ko) 2019-10-22 2019-10-22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9962A Division KR20240110926A (ko) 2019-10-22 2024-07-08 내구성이 높은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42A Division KR20240110784A (ko) 2019-10-22 2024-07-08 휴대가 용이한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12A Division KR20240110783A (ko) 2019-10-22 2024-07-08 설치가 용이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319A Division KR20240110927A (ko) 2019-10-22 2024-07-09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513A Division KR20240110928A (ko) 2019-10-22 2024-07-09 기중 종단 접속함에 고정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687A Division KR20240110789A (ko) 2019-10-22 2024-07-09 집게부를 구비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270A Division KR20240113441A (ko) 2019-10-22 2024-07-10 사다리구조를 구비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073A Division KR20240113730A (ko) 2019-10-22 2024-07-10 기중 종단 접속재에 체결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636A Division KR20240113883A (ko) 2019-10-22 2024-07-11 기중 종단 접속함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624A KR20210047624A (ko) 2021-04-30
KR102685860B1 true KR102685860B1 (ko) 2024-07-18

Family

ID=75740762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468A KR102685860B1 (ko) 2019-10-22 2019-10-22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42A KR20240110784A (ko) 2019-10-22 2024-07-08 휴대가 용이한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62A KR20240110926A (ko) 2019-10-22 2024-07-08 내구성이 높은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12A KR20240110783A (ko) 2019-10-22 2024-07-08 설치가 용이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319A KR20240110927A (ko) 2019-10-22 2024-07-09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687A KR20240110789A (ko) 2019-10-22 2024-07-09 집게부를 구비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513A KR20240110928A (ko) 2019-10-22 2024-07-09 기중 종단 접속함에 고정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270A KR20240113441A (ko) 2019-10-22 2024-07-10 사다리구조를 구비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073A KR20240113730A (ko) 2019-10-22 2024-07-10 기중 종단 접속재에 체결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636A KR20240113883A (ko) 2019-10-22 2024-07-11 기중 종단 접속함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9942A KR20240110784A (ko) 2019-10-22 2024-07-08 휴대가 용이한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62A KR20240110926A (ko) 2019-10-22 2024-07-08 내구성이 높은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89912A KR20240110783A (ko) 2019-10-22 2024-07-08 설치가 용이한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319A KR20240110927A (ko) 2019-10-22 2024-07-09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687A KR20240110789A (ko) 2019-10-22 2024-07-09 집게부를 구비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0513A KR20240110928A (ko) 2019-10-22 2024-07-09 기중 종단 접속함에 고정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270A KR20240113441A (ko) 2019-10-22 2024-07-10 사다리구조를 구비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073A KR20240113730A (ko) 2019-10-22 2024-07-10 기중 종단 접속재에 체결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20240091636A KR20240113883A (ko) 2019-10-22 2024-07-11 기중 종단 접속함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102685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96495B (zh) * 2024-03-22 2024-08-27 东莞市博超电业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接线端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2593A (ja) * 2005-06-01 2008-11-27 テレステップス アクティエボラーグ はしご用ロッキング装置
KR101848008B1 (ko) * 2017-04-28 2018-05-24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538Y1 (ko) * 1994-11-12 1999-02-18 최성용 조립 절첩식 다목적 사다리
KR101994786B1 (ko) 2017-10-23 2019-07-01 한국전력공사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2593A (ja) * 2005-06-01 2008-11-27 テレステップス アクティエボラーグ はしご用ロッキング装置
KR101848008B1 (ko) * 2017-04-28 2018-05-24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0789A (ko) 2024-07-16
KR20240113883A (ko) 2024-07-23
KR20240113441A (ko) 2024-07-22
KR20240110784A (ko) 2024-07-16
KR20240110926A (ko) 2024-07-16
KR20240113730A (ko) 2024-07-23
KR20240110783A (ko) 2024-07-16
KR20240110927A (ko) 2024-07-16
KR20210047624A (ko) 2021-04-30
KR20240110928A (ko) 202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110927A (ko)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CN105762745B (zh) 一种隔空支架街码
MXPA03011498A (es) Dispositivo para cambiar alambres dentro de postes electricos y metodo de distribucion de energia sin fallas de energia.
KR20200002212A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CN206330996U (zh) 一种避雷器高空带电测试接线钳
US20230129715A1 (en) Adjustable Cable Support Structure
US4579322A (en) Cable vise
US7497184B1 (en) Load relief mechanism for fishing boat tower
US8618414B2 (en) Holding device for an overhead line and overhead line configuration
US4814550A (en) Power line isolating apparatus and method
DE10134759C1 (de) Freiverstellbare Klemme für Rohrsammelschienen und dgl.
CN112444649A (zh) 绝缘支架
KR101994786B1 (ko)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CN205335798U (zh) 加固型街码
KR102289231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CN114069279B (zh) 一种防护型高压接地线检修装置
CN113628815A (zh) 导线自固定复合绝缘子
KR102173375B1 (ko) 배전선로용 전선이선장치 및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DE19619875C2 (de) Feldabstandhalter für Bündelleiter
US3196980A (en) Insulated personnel carrier
KR101199518B1 (ko)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2653812B1 (ko) 쐐기형 인류 클램프
CN215834333U (zh) 导线自固定复合绝缘子
KR102173378B1 (ko)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KR101901804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인류스트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