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107B1 -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9107B1
KR102679107B1 KR1020190002327A KR20190002327A KR102679107B1 KR 102679107 B1 KR102679107 B1 KR 102679107B1 KR 1020190002327 A KR1020190002327 A KR 1020190002327A KR 20190002327 A KR20190002327 A KR 20190002327A KR 102679107 B1 KR102679107 B1 KR 10267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aundry machine
voice
user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865A (ko
Inventor
차재훈
조수호
하종헌
김석배
박창현
이형진
김경환
김화성
오정일
유오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966,19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040668A1/en
Priority to CN201980014401.3A priority patent/CN111742091B/zh
Priority to EP19757165.6A priority patent/EP3712315A4/en
Priority to PCT/KR2019/001419 priority patent/WO2019164155A1/ko
Publication of KR2019010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0Starting machine operation, e.g. delayed start or re-start after power cu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2015/088Word spot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 기기가 개신된다. 본 세탁 기기는 음성 입력부 및 세탁 기기의 절전 모드에서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세탁 기기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대기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세탁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특정 단어를 웨이크업 워드로 설정한다. 사용자의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세탁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준비를 한다. 본 개시에서는 웨이크업 워드를 Bixby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웨이크업 워드를 발화한 이후에 세탁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발화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ixby, 세탁기 전원을 켜"라고 발화하면 Bixby라는 웨이크업 워드를 인식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이후 세탁기의 전원을 키라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세탁기의 전원이 켜지게 된다.
세탁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가 "Bixby, 표준 코스로 세탁 시작해"라고 발화하면 바로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세탁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가"Bixby, 표준 코스로 세탁 시작해"라고 발화하면 세탁기는 반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Bixby, 세탁기 전원을 켜"발화한 이후에 "Bixby, 표준 코스로 세탁 시작해"라고 2번 발화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세탁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거나 사용자가 세탁 기기의 전원을 OFF 상태로 하는 경우, 세탁 기기는 절전 모드에 들어가게 된다. 절전 모드에서는 세탁 기기의 대부분의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본 개시는 음성 인식 모듈이 추가되어 모든 구성요소가 절전 모드로 들어가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음성 인식 모듈은 절전 모드가 아닌 일반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일반적인 세탁 기기에 음성 인식 모듈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 기기가 절전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음성 인식 모듈 부분을 절전 모드에서 해제된 상태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세탁 기기에 음성 인식 모듈이 추가되면, 세탁 기기의 소비 전력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세탁 기기 중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하여 절전 모드를 사용하지 않아 소비 전력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구분하고, 각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세탁 기기의 절전 모드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상기 세탁 기기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워드가 상기 세탁 기기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 모드 및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세탁 기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세탁 공정과 관련된 워드 및 상기 세탁 공정의 세부 옵션과 관련된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세부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 및 제1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노멀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의 상태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세탁 기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제2 서브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를 상기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 통신 라인 및 제1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제2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제2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세탁 기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전원 제어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조작 입력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노멀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세탁 기기가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조작 입력 패널에 포함된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 기기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상부 세탁 기기 또는 상기 하부 세탁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 및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상부 세탁 기기 및 상기 하부 세탁 기기 각각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 및 상기 메인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 또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 기기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세탁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상기 상부 세탁 기기 또는 상기 하부 세탁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 기기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상부 세탁 기기 및 상기 하부 세탁 기기 모두를 상기 동작 모드(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거나, 상기 하부 세탁 기기를 상기 동작 모드(또는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 기기의 절전 모드에서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상기 세탁 기기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워드가 상기 세탁 기기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전 모드 및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세탁 기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세탁 공정과 관련된 워드 및 상기 세탁 공정의 세부 옵션과 관련된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세부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세탁 기기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세탁 기기의 절전 모드에서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상기 세탁 기기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신호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신호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의 (a)~(b)는 상부 세탁 기기와 하부 세탁 기기를 결합시킨 세탁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00)는 음성 입력부(101)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의류의 세탁을 하는 장치이며, 절전 모드,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01)는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입력부(101)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음성 입력을 받기 위한 구성이며, 마이크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증폭하는 앰프 회로, 증폭된 사용자 음성을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세탁 기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세탁 기기(100)는 음성 입력부(101) 및 세탁 기기(100)의 절전 모드에서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대기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절전 모드란, 세탁 기기(100)가 포함하는 버튼 중 전원 제어 버튼만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기기(100)의 절전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렀을 경우,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공급 될 수 있다. 세탁 기기(100)의 절전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전원 버튼 이외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란, 음성 입력부(101)만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절전 모드란 세탁 기기(100)의 전원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 가능하도록 전원 제어 버튼을 활성화 시키는 모드(버튼을 통한 전원 제어) 또는 사용자가 전원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 가능하도록 음성 입력부(101)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모드(음성인식을 통한 전원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 되어 있다는 의미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특정 하드웨어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특정 하드웨어가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대기 모드란, 전원 제어 버튼 또는 음성 입력부(101)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이며, 메인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다만, 대기 모드는 세탁 기기(100)의 세탁 공정(세탁, 행굼, 탈수, 건조 기능을 포함)을 바로 수행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기기(100)는 대기 모드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모터 구동과 같은 세탁, 행굼, 탈수, 건조 등의 기능을 바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기기(100)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모드란, 세탁 기기(100)의 모든 동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모드에서는 세탁 기기(100)의 모든 버튼이 활성화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 기기(100)의 세탁 공정을 수행하는 버튼을 누르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바로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대응되는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세탁 기기(1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세탁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소비 전력 측면에서 동작 모드는 3가지 모드(절전 모드, 대기 모드, 동작 모드) 중 가장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세탁 공정과 관련된 동작을 바로 수행하기 위해서, 프로세서(120)는 모터와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에 전력을 미리 공급해야 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가장 많이 소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모드에서는 세탁 기기(100)가 모터 구동을 위한 준비하는 단계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대기 모드는 메모리 접근 및 일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모드에서는 세탁 기기(100)가 전원 제어와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에서만 전력을 소비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 측면에서는 세탁 기기(100)는 동작 모드, 대기 모드, 절전 모드 순으로 소비 전력을 많이 소비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버튼)과 관련해서는 절전 모드 및 대기 모드에서는 전원 제어와 관련된 버튼만이 활성화 되어 있을 수 있고, 이외의 버튼은 모두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음성 인식부와 관련해서는 절전 모드, 대기 모드, 동작 모드 모두에서 음성 인식부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세탁 공정을 수행하는 모터 제어와 관련해서는 절전 모드 및 대기모드에서는 모터 제어와 관련된 하드웨어가 모두 비활성화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동작 모드에서는 모터 제어와 관련된 하드웨어가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에는 웨이크업 워드 및 제어 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웨이크업 워드는, 세탁 기기(100)를 호출하기 위한 워드일 수 있으며, 제어 워드는 세탁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워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워드는 "세탁 기기", "bixby" 등의 단어가 될 수 있으며, 제어 워드는 "세탁", "탈수", "건조" 등의 단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크업 워드는 세탁 기기(100)의 동작 상태 중 하나인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명령어일 수 있다.
웨이크업 워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Bixby"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Bixby"를 포함한 음성을 발화하면 프로세서(102)는 세탁 기기(100)의 상태를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포함되면, 세탁 기기(100)를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제어 워드가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제어 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대기 모드(또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는 세탁 기기(100)의 제어와 관련된 워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온수 40도", "쾌속" 과 같이 세탁 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세탁 기기(100)의 동작이 이루어 지려면 세탁 기기(100)의 모드를 판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있더라도 바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세탁 기기(100)는 적어도 대기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여야 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모든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일부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에서는 세탁 기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모드에서는 세탁 기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가 대기 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는지 먼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가 대기 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다면,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 바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동작 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대기 모드에서 바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대기 모드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것보다 소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가 대기 모드에서 수행할 수 없다면, 프로세서(120)는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제어 워드가 세탁 기기(100)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 기기(100)가 수행 가능한 제어 동작 중 일부 동작만이 수행 가능한 모드이다. 대기 모드에서는 모터 구동이 전제되는 제어 동작들은 바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구동이 전제되지 않는 제어 동작들은 대기 모드에서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불러오는 제어 동작은 대기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워드 또는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 바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세탁 기기의 현재 상태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세탁 기기의 현재 상태 정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세탁 공정에 대한 질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세탁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바로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절전 모드 및 대기 모드는 세탁 기기(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동작 모드는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입력부는 세탁 기기(100)의 전원을 on/off 하도록 제어하는 버튼, 세탁 공정을 선택하는 버튼, 예약 시간을 설정하는 버튼, 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버튼, 탈수의 강도를 설정하는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버튼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이며, 조작 입력부를 상술한 버튼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세탁 기기(100)의 절전 모드 및 대기 모드에서는 전원 제어 버튼만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세탁 기기(100)의 동작 모드에서는 전원 제어 버튼과 전원 제어 버튼 이외의 모든 버튼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동작 모드에서는 모든 제어 동작이 수행 가능한 상태일 수 있으며, 모든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되어 있다는 의미는 해당 하드웨어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바로 반응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공정과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의 세부 옵션과 관련된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기 모드를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세부 옵션에 기초하여 세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세탁 공정과 관련된 워드는 세탁, 행굼, 탈수, 건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세탁 공정의 세부 옵션과 관련된 워드는 세탁물의 종류, 세탁 코스 설정, 세탁 온도 설정, 탈수 강도, 건조 온도, 예약 시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술한 단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외의 다양한 단어가 설정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세탁 공정과 관련된 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나, 세탁 공정의 세부 옵션과 관련된 워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폴트(기 설정)된 기본 설정으로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가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bixby, 세탁 시작해줘" 라고 발화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프로세서(120)는 기본 세탁 코스, 온도 40도, 탈수 중간 세기 등을 수행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세부적인 사항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세탁 공정과 관련된 제어 동작은 모두 모터를 구동해야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세탁, 행굼, 탈수, 건조 등은 세탁 기기(100)에 포함된 모터 등을 이용해야 하는 제어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에서 바로 상술한 세탁 공정과 관련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 모터 구동에 관련된 하드웨어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 바로 세탁 공정과 관련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없다. 프로세서(120)는 세탁 공정과 관련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절전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세탁 기기(10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1 서브 프로세서(1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절전 모드에서 노멀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메인 프로세서(121)로 전송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로세서(121)는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프로세서(121)의 상태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여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동작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세탁 기기(100)의 프로세서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1), 제1 서브 프로세서(122)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절전 상태 또는 노멀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절전 상태는 전원 공급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며,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노멀 상태는 전원 공급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며,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1)는 절전 상태에서는 어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지만, 노멀 상태에서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각 프로세서가 절전 상태 또는 노멀 상태일 수 있다고 기재하였지만, 세탁 기기(100)를 구성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들도 절전 상태 또는 노멀 상태일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세탁 기기(100)의 절전 모드에서 노멀 상태로 동작하며,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절전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서도 항상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이더라도 노멀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성능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사용자의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식별하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세탁 기기(100)를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메인 프로세서(121)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의 상태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노멀 상태로 전환된 메인 프로세서(121)는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거나(read)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가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변경된 시점에서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모터를 구동하는 하드웨어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에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고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세탁 기기(100)의 구성 요소인 디스플레이(102)를 제어하며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서브 프로세서(123)가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것은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 상태에 있을 때,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성능이 제한 될 수 있으며, 절전 모드에서 제2 서브 프로세서(123)의 상태가 절전 상태일 수 있다.
하지만,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에 있을 때,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노멀 상태일 수 있다. 노멀 상태에 있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 의해 전송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프로세서(123)가 메인 프로세서(121)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1 데이터 통신 라인 및 제1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2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고,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제2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며,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제2 전원 제어 라인을 통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메인 프로세서(121)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라인 및 전원 제어 라인의 연결에 관련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조작 입력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2 제어 신호가 메인 프로세서(121)로부터 수신되면, 노멀 상태로 전환되며, 세탁 기기(100)가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조작 입력 패널에 포함된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져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포함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2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입력 패널을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조작 입력부를 의미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 또는 조작 입력 패널 중 일부는 버튼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디스플레이의 터치 패널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기능만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조작 입력 패널은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는 통해 특정 이미지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센싱하지 못할 수 있다. 결국,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전원 제어를 위한 조작 입력 버튼(패널)만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동작 모드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디스플레이의 조작 입력 패널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 기기(100)가 동작 모드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결국, 세탁 기기(100)가 동작 모드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전원 제어를 위한 조작 입력 버튼(패널) 이외의 모든 버튼들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또는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며,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각각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는 서로 상하 또는 좌우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적어도 하나의 세탁 기기에만 음성 입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 역시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적어도 하나의 세탁 기기에만 포함될 수 있다 (도 8 참조).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에 각각의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가 포함될 수 있지만,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음성 을 분석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 있는 상부 세탁 기기와 하부 세탁 기기에 별도로 구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에는 각각 별개의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가 포함되어 있지만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하나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구현 예에 따라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각각에 음성 입력부(또는 제1 프로세서(12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각각에 디스플레이가 표시되어 각각의 장치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기기에서 필요한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량 또는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력 또한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동작이 대기 모드(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각각에 포함된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각각에 포함된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에서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식별되는 경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상태를 바로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변경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1)가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를 분석하여 대기 모드에서 수행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동작 모드에서 수행 가능한 것인지 판단하는 동작을 서술하였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웨이크업 워드에 따라 바로 메인 프로세서(121)를 노멀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고,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고, 기존의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비교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 및 제어 워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식별하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 음성에 제어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사용자 음성에 제어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식별하면, 사용자의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수행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동작 모드에서 수행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제어 워드가 대기 모드에 대응되는 워드라고 판단한 경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변환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 중 적어도 하나를 노멀 상태로 변경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제어 워드가 대기 모드에 대응되는 워드가 아니라고 식별되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제어 워드가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워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제어 워드가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워드라고 식별하면,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제어 워드가 대기 모드 또는 동작 모드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워드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어떠한 제어 신호도 생성하지 않고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상부 세탁 기기(1105) 또는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1105)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과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세탁 기기(1105)에서 A, B, C 동작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 A, D, E 동작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를 식별하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상부 세탁 기기(1105) 또는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 수행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ixby, B 동작을 실행해줘"라고 발화하였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B)가 상부 세탁 기기(1105)에서만 수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bixby, A 동작을 실행해줘"라고 발화하였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A)가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모두에서 수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상부 세탁 기기(1105) 또는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서 수행 가능하다는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통한 스크린 제공 방식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 제공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모두를 동작 모드(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거나, 하부 세탁 기기(1110)를 동작 모드(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특정하여 제어 명령을 세탁 기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부 세탁 기기(1105)에서 A 동작을 수행해줘!" "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 D 동작을 수행해줘!"라고 발화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기기를 식별하여 해당 기기에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부 또는 하부라는 워드를 발화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예를 들어, "A동작을 수행해줘").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모두에서 A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상황에서 프로세서(120)는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만 A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세탁 기기를 특정하지 않았다는 것은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또는 하부 세탁 기기가 분리되어 있는 상황에서 프로세서(120)가 상부 또는 하부의 워드를 인식하지 않았다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세탁 기기를 제어하길 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세탁 기기(100)는 하부 세탁 기기(1110)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능이 많은 기기가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세탁 기기(1105) 또는 하부 세탁 기기(1110)를 지칭한 제어 워드는 세탁 기기(100)의 모터를 이용하는 제어 동작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상부 세탁 기기(1105) 또는 하부 세탁 기기(1110)가 인식되면, 바로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100)는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동작에 따라 특정 하드웨어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있다. 기존에는 모든 하드웨어에 전력이 공급되었다는 점에서 본원은 전체적인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원은 세탁 기기(100)의 모드를 절전 모드, 대기 모드, 동작 모드로 구분하고 각 모드에 따라 전력이 공급되는 하드웨어를 구분하였다. 또한, 본원은 대기 모드에서는 메모리 접근과 같이 간단한 동작만을 수행하고, 동작 모드에서는 모터 구동과 같이 전력 소모가 큰 동작을 수행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가 대기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제어 워드를 인식하면, 프로세서(120)는 모터 구동에 필요한 하드웨어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일부 하드웨어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원은 세탁 기기(100)의 모든 동작이 전원 on/off 로 구분되는 경우보다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절전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 기기(100)에 전달하는 제어 명령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은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또는 동작 모드)가 되어야 수행 가능한 명령일 수 있으며,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여도 수행 가능할 수 있는 명령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세탁 기기(100)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유지할지 아니면 온 상태로 전환 할지 식별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또는 동작 모드)가 되어야 수행 가능한 명령이란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도 수행 가능한 명령이란 현재 세탁기의 주위의 온도를 묻거나, 현재 세탁기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묻는 등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요구하는 명령에 해당할 수 있다.
상술한 명령들의 예는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이며, 다양한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온 상태란 동작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시할지 아니면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여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을 절약 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120)의 식별 동작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항상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어 워드가 세탁 기기(100)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는 현재 세탁 기기(100)의 상태를 묻는 질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가 영하로 내려가 물이 얼어버리면, 세탁기의 배수구가 막혀 정상적인 동작이 실행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 명령을 내리기 이전에 세탁 기기(100)의 상태를 물을 수 있다. 세탁 기기(100)의 현재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전원 온 상태일 필요가 없으므로, 프로세서(120)는 세탁 기기(100)의 상태를 묻는 워드가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되면,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 설정된 워드 일 수 있으며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는 사용자가 구체적인 세탁 명령을 내리기 이전에, 세탁물의 종류에 따른 세탁 모드를 추천하라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물의 종류를 이야기 하면, 프로세서(120)는 세탁물의 종류에 알맞은 세탁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공정 및 세탁 공정에 세부 옵션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세부 옵션에 기초하여 세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세부 옵션에 기초한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세부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세탁 모드 중 하나인 표준 세탁 모드는 세탁 1회, 헹굼 3회, 탈수 2회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표준 세탁 모드에서 헹굼 기능을 1회 추가 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공정은 표준 세탁 모드가 되고 세부 옵션은 헹굼 기능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Bixby, 표준세탁 모드에 헹굼 기능 1회 추가해줘"라고 발화하면, 프로세서(120)는 세탁 1회, 헹굼 4회, 탈수 2회로 세탁이 실행되도록 세탁 기기(100)를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따라 세탁 기기(100)가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면, 세탁 기기(100)가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세탁 기기(100)가 전원 온 상태로 전환이 되면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온 상태가 되었다는 화면을 출력하거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전원이 들어왔다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 설정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조작 입력 패널의 LED에 불을 들어오게 하여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는 세탁 기능을 수행하는 별개의 세탁 기기이며 공간이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세탁 기기와 하부 세탁 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도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세탁 기기는 전자동 형식으로 동작하고 소량의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세탁 기기는 드럼 형식으로 동작하고 대량의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와 하부 세탁 기기는 각각 별개의 프로세서, 조작 입력 패널,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음성 입력부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가 동일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는 동일한 공간에 있으므로, 별개의 음성 입력부를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각각의 동작을 위한 구성이 별개로 존재하여도 음성 입력부는 상부 세탁 기기 또는 하부 세탁 기기 한쪽에만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중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Bixby, 상부 세탁 기기에서 표준 세탁 시작해"라고 발화하면, 프로세서(120)는 상부 세탁 기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란 "상부 세탁 기기"라는 워드가 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상부 세탁 기기 또는 하부 세탁 기기를 나타내는 워드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추가 및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모두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ixby, 전원 켜줘"라는 음성을 발화한 경우,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지 않았으므로, 프로세서(120)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모두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Bixby, 표준 세탁을 시작해줘"라고 발화하는 경우, 상부 세탁 기기에서 실행하여야 하는지 하부 세탁 기기에서 실행하여야 하는지 혼란스러울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모두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세탁물이 들어 있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부 세탁 기기에 세탁물이 들어 있다고 식별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부 세탁 기기에서 표준 세탁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하부 세탁 기기에 세탁물이 들어 있다고 식별되는 경우, 자동으로 하부 세탁 기기에서 표준 세탁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하부 세탁 기기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하부 세탁 기기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ixby, 전원 켜줘"라는 음성을 발화한 경우,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지 않았으므로, 프로세서(120)는 하부 세탁 기기에 우선 순위를 두어 하부 세탁 기기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하부 세탁 기기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에서는 하부 세탁 기기에 우선순위를 두었지만, 실제 구현 시에는 상부 세탁 기기에 우선 순위를 두어 상부 세탁 기기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부 세탁 기기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세탁기를 우선순위로 두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달 동안 상부 세탁 기기를 3회 이용 하고, 하부 세탁 기기를 10회 이용한 경우, 우선 순위를 하부 세탁 기기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에 의한 동작에 의하여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따라 세탁 기기(100)의 전원을 반드시 온 상태로 전환해야 하지 않을 수 있다. 매번 세탁 기기(100)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경우보다 전력 소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의 동작 중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세탁 기기(100)는 절전 모드,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전 모드란, 세탁 기기(100)가 전원 플러그가 꽂혀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사용자가 전원 오프 버튼을 누른 상태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 기기(100)는 절전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입력 패널이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전력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세탁 기기(100)는 절전 모드에서 최소한의 전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의 성능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야 하므로, 음성 입력부(101)와 관련된 부분은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모드에서 세탁 기기(100)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제한할 수 있지만, 음성 입력부(101)의 성능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란, 세탁 기기(100)의 특정 기능을 바로 동작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는 절전 모드와 달리 프로세서의 성능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는 조작 입력 패널이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대기 모드에서 프로세서의 성능을 제한하지는 않지만 조작 입력 패널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 기기(100)는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특정 화면을 표시하는 것은 세탁 기기(10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세탁 명령을 내릴 경우 바로 실행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전원 온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모드에서는 세탁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입력 패널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절전 모드와 대기 모드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제한 하는지 여부 및 최소한의 전력 사용량을 유지하는지 여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에서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제한하고 최소한의 전력 사용량을 유지하기 위한 상태이지만, 대기 모드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제한하지 않고 일반적인 전력 사용량을 유지하기 위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는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온 되어 있는지 여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세탁 기기(100)에 전원 플러그가 연결 되어 있지만 전원은 오프 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동작 모드는 세탁 기기(100)에 전원 플러그가 연결 되어 있고 전원이 온 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모드에서는 조작 입력 패널 및 디스플레이가 활성화 되지 않지만, 동작 모드에서는 조작 입력 패널 및 디스플레이가 활성화 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조작 입력 패널이 활성화 되지 않는다고 설명하였지만, 전원 버튼만은 활성화 되어 있을 수 있다.
절전 모드와 대기 모드는 프로세서(102)의 성능을 제한 하는지 여부 및 최소한의 전력 사용량을 유지하는지 여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에서는 프로세서(102)의 성능을 제한하고 최소한의 전력 사용량을 유지하기 위한 상태이지만, 대기 모드는 프로세서(102)의 성능을 제한하지 않고 일반적인 전력 사용량을 유지하기 위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절전 모드 및 대기 모드는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전원 온 상태는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는 세탁 기기(100)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세탁 기기(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절전 상태 및 노멀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절전 상태는 하드 웨어의 성능을 제한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기기(100)가 절정 모드에 있는 경우, A 구성 요소는 성능이 제한되어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에 있다면 소비 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세탁 기기(100)의 구성 요소인 A는 절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노멀 상태는 일반적으로 하드웨어의 성능이 제한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기기(100)는 절전 상태에 있는 A 구성 요소를 노멀 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 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노멀 상태는 일반적으로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특정 구성 요소의 상태가 노멀 상태인 경우, 세탁 기기(100)의 전원은 온 상태일 수도 있고 오프 상태일 수도 있다.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 있어도 세탁 기기(100)의 구성 요소인 A는 노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따라서 특정 구성 요소가 노멀 상태라고 해도 세탁 기기(100)의 모드는 다양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라고 해도 특정 구성 요소는 노멀 상태일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라고 해도 모든 구성 요소가 절전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니다. 특정 구성 요소는 세탁 기기(100)의 상태 여부와 상관 없이 항상 일정한 성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 요소별로 다른 상태로 동작하도록 세탁 기기(100)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 대기 모드, 동작 모드 어느 상태에 있어도 특정 구성 요소는 노멀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0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에는 세탁 기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워드를 분석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2)는 조작 입력 패널을 포함하며,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2 제어 신호가 메인 프로세서(121)로부터 수신되면, 노멀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세탁 기기(100)가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면, 조작 입력 패널에 포함된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조작 입력 패널에는 세탁 기기(100)의 특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또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버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02)에서는 세탁 기기(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에 따라 세탁 기기(100)의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되는 내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웨이크업 워드에 의하여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세탁 기기(100)의 디스플레이(102)에 대기 모드로 전환되었다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02)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02)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102)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102)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디스플레이(102)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도, 사용자 단말장치가 펜 입력 기능도 지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02)는 사용자의 손가락 이외에도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이 내부에 코일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일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제스처뿐만 아니라 근접 제스처, 즉, 호버링(hovering)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102)가 표시 기능 및 터치 제스처의 감지 기능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표시 기능과 제스처 감지 기능은 서로 다른 구성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만 가능한 디스플레이(102) 장치와 터치 감지만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조합하여 디스플레이(102)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디스플레이(102)와 함께 조작 입력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조작 입력 패널이란, 터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버튼과 같은 형식으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세탁 기기(10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동작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세탁 기기(100)의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121), 제1 서브 프로세서(122)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세탁 기기(100)의 절전 모드에서 노멀 상태로 동작하며,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항상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이더라도 노멀 상태로 동작할 수 있고 성능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세탁 기기(100)의 구성 요소인 디스플레이(102)를 제어하며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서브 프로세서(123)가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것은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 상태에 있을 때,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성능이 제한 될 수 있으며, 제2 서브 프로세서(123)의 상태가 절전 상태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사용자의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메인 프로세서(121)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로 전송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일때, 메인 프로세서(121)는 절전 상태로 동작하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프로세서(121)는 절전 상태를 노멀 상태로 전환하고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가 노멀 상태로 전환되어야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메인 프로세서(121)의 상태 전환은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 전환 과정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메인 프로세서(121)는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되도록 세탁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의 전원 온 상태란 동작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1 데이터 통신 라인(405) 및 제1 전원 제어 라인(415)으로 연결되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2 데이터 통신 라인(410)으로 연결되고,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제2 전원 제어 라인(420)으로 연결되며,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제2 전원 제어 라인(420)을 통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메인 프로세서(121)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라인 및 전원 제어 라인의 연결에 관련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하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며,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각각에 포함된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 각각에 포함된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에서 후술한다.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에 각각의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가 포함될 수 있지만,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 있는 상부 세탁 기기와 하부 세탁 기기에 별도로 구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에는 각각 별개의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가 포함되어 있지만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하나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수행하는 것 위주로 설명할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실제 구현 시에는 음성 인식 및 음성 데이터 분석 기능은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원 세탁 기기(100)는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별개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세탁 기기(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02)를 별개로 제어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02)도 절전 상태에 놓여 있게 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디스플레이(102)의 상태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을 데이터 통신 라인이 아닌 별개의 전원 제어 라인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모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및 도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세탁 기기(100)는 본체(10), 터브(tub)(20), 드럼(drum)(30), 건조장치(60), 및 거품발생장치(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드럼 세탁 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0)는 전면 프레임(11), 후면 프레임(12), 좌측면 프레임, 우측면 프레임, 상면 프레임(13), 및 하면 프레임(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1)에는 본체(10)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고 꺼낼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15)가 마련된다. 세탁물 투입구(15)에는 도어(1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1)의 상부에는 세탁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패널(19)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 패널(19)은 세탁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19-1), 세탁 기기(100)와 세탁 과정에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19-2), 및 세탁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세탁 기기(100)의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면 프레임(11)의 세탁물 투입구(15)를 향하여 개구부가 마련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터브(20)는 세탁에 필요한 소정 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터브(20)는 본체(10)의 내면에 인장 스프링(21), 오일 댐퍼(22) 등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있다.
터브(20)와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1) 사이에는 다이어프램(25)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5)은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이어프램(25)의 일단은 개구부가 마련된 터브(20)의 일단에 고정되며, 다이어프램(25)의 타단은 본체 전면 프레임(11)의 세탁물 투입구(15)의 내주에 고정된다. 다이어프램(25)은 터브(20)에 수용된 물이 터브(2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세탁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다이어프램(25)은 드럼(30)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를 통해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30)의 전면에는 세탁기 본체(10)의 세탁물 투입구(15)와 대응하는 개구가 마련된다. 드럼(30)의 외주면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31)이 마련된다. 또한, 드럼(30)의 내면에는 세탁물(35)을 상승시킬 수 있는 복수의 리프트(33)가 마련된다. 드럼(30)은 후면에 설치된 구동 모터(35)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40)가 마련되며,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로 부터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50)가 배치된다.
급수장치(40)는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된 급수관(41)과 급수관(41)을 개폐하는 급수 밸브(43)를 포함한다. 급수관(41)의 일단은 후술하는 거품발생장치(70)에 연결된다. 급수관(41)에는 세제 흡입부(45)가 마련된다.
세제 흡입부(45)는 벤츄리 관(venturi pipe)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에는 세제 공급부(47)에 연결되는 세제 관(46)이 마련된다. 급수 밸브(43)가 개방되어 급수관(41)으로 물이 공급되면, 세제 흡입부(45)에서 벤츄리 효과에 의해 세제 공급부(47)의 세제가 물에 혼합되어 용해된다. 따라서, 세제가 혼합된 물이 급수관(41)을 통해 거품발생장치(70)로 공급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세제가 혼합된 물을 세액이라고 칭한다.
배수장치(50)는 펌프(51), 제1배수관(52), 및 제2배수관(53)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51)는 터브(20)의 물을 흡입한다. 제1배수관(52)의 일단은 터브(20)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펌프(51)에 연결되어 터브(20)의 물을 펌프(51)로 안내한다. 제2배수관(53)의 일단은 펌프(51)와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어 터브(2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펌프(51)가 동작하면, 터브(20)의 물은 제1배수관(52)과 제2배수관(53)을 통해 세탁 기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터브(20)의 상측에는 드럼(30)에 의해 세탁된 세탁물(35)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신호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세탁 기기(100)는 음성 입력부(101), 디스플레이(102), 제1 서브 프로세서(122),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메인 프로세서(121) 및 음성 출력부(106)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음성 입력부(101), 디스플레이(102), 제1 서브 프로세서(122),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메인 프로세서(121)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음성 출력부(106)는 스피커와 같이 소리를 출력하는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06)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메인 프로세서(121)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기기(100)는 각 프로세서들(121~123)을 연결하는 라인을 별개로 설정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는 세탁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세탁 기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및 내용을 제어 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음성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고, 대응되는 내용을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1)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의 제어 명령에 의해 음성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현재 세탁 기기(100)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절전 상태를 가정한다. 사용자가 "Bixby"를 발화하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웨이크업 워드인 "Bixby"를 인식하여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입력부가 "Bixby"를 소리 신호로 수신하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와 메인 프로세서(121)는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고,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와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전원 제어 라인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는 없지만 전압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제어 라인을 통해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기 설정된 전압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인가하면, 메인 프로세서(121)는 이를 식별하여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기 설정된 전압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인가하여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를 참고하면,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와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와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라인은 상호 쌍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위한 연결선일 수 있다.
전원 제어 라인을 통해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모두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된 이후,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를 통해 전환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로 전달되고, 이 경우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를 메인 프로세서(12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세탁기의 전원을 켭니다"라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로 결정하였다고 가정한다. 메인 프로세서(121)는 음성 데이터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전달하고,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서 음성 출력부를 이용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켭니다"라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별개의 프로세서로 기술하였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메인 프로세서에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할 수 있지만, 제1 서브 프로세서에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에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는 경우, 필요한 경우에만 메인 프로세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서브 프로세서 자체적으로 처리 가능한 동작은 메인 프로세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음성 출력부나 제2 서브 프로세서에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1 데이터 통신 라인(405) 및 제1 전원 제어 라인(415)으로 연결되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2 데이터 통신 라인(410)으로 연결되고,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제2 전원 제어 라인(420)으로 연결되며,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제2 전원 제어 라인(420)을 통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메인 프로세서(121)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현재 세탁 기기(100) 상태가 전원이 오프 되어 있으며 절전 모드라고 가정한다.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노멀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성능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이고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세탁 기기(100)가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 디스플레이(102)는 절전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성능이 제한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세탁 기기(100)를 사용하려 한다면, 웨이크업 워드와 제어 워드를 포함하여 발화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세탁 기기(100)는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 될 수 있다.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는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 기기(100)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성능을 제한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웨이크업 워드만으로 세탁 기기(100)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상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 통신 라인 및 전원 제어 라인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세탁 기기(100)는 절전 모드이며 구성 요소가 절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 라인을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항상 특정 프로세서를 절전 상태가 아닌 노멀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본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 통신 라인 이외에 전원 제어 라인을 추가적으로 배치하였다. 구체적으로, 본원은 디스플레이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서 메인 프로세서(121)로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메인 프로세서(121)는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고,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다시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노멀 상태로 전환된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웨이크업 워드를 발화하면, 절전 상태에 있던 메인 프로세서(121),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디스플레이(102)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전원 제어 라인만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기기(1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어 워드가 인식되는 과정은 제1 데이터 통신 라인(405) 및 제2 데이터 통신 라인(410)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수신하면,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제2 데이터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1 데이터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메인 프로세서(121)에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 워드의 포함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된다는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제1 데이터 통신 라인(405)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된다는 내용을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2)를 제어 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된다는 내용을 음성 출력부(106)를 통해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제1 데이터 통신 라인(405)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전송할 수 있고,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어 명령을 음성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전달 받은 제어 명령을 음성 출력부(106)를 통해 소리로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106)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디스플레이(102) 및 음성 출력부(106)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4에 도시된 이외의 구성에도 데이터 통신 라인과 전원 제어 라인을 별도로 연결하여 세탁 기기(10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전의 본 세탁 기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음성 인식 및 음성 데이터 분석 기능은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신호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메인 프로세서(121), 제2 서브 프로세서(123), 제1 서브 프로세서(122) 순서대로 배치되었다면, 도 5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메인 프로세서(121), 제1 서브 프로세서(122)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데이터 통신 라인을 이용한 데이터의 이동 순서만이 차이가 있을 뿐이며,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도 5에서 언급하는 실시 예에서도, 전원 제어 라인을 통해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기 설정된 전압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인가하면, 메인 프로세서(121)는 이를 식별하여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에 기 설정된 전압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인가하여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제어 라인을 통해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모두 절전 모두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메인 프로세서(121)에 전송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인 음성 데이터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로 전달하고, 이 경우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세탁기의 전원을 켭니다"라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로 결정하였다고 가정한다. 메인 프로세서(121)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서 음성 출력부를 이용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켭니다"라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별개의 프로세서로 기술하였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세탁 기기(100)의 동작에 관련된 제어 워드가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되면,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 60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표준 세탁"이라는 제어 워드가 포함된 음성을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표준 세탁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610를 참고하면, 세탁 공정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에 대하여도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의 온도를 60도로 설정해줘"라는 내용이 포함된 음성을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물의 온도를 6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세탁이 진행되는 도중인 경우, 현재 진행되는 세탁 모드의 물의 온도를 60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세탁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발화에 대해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현재 세탁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 세탁 기기(100)는 기 설정된 시간안에 입력되는 세탁 모드에 한해서 물의 온도를 6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 공정 및 세부 설정을 모두 포함하는 제어 워드를 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 620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표준 세탁에서 헹굼 기능을 1번 더 추가하라는 음성을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헹굼 횟수에 1번을 추가하여 표준 세탁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630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세탁 기기(100)의 특정 기능과 동작 시간을 함께 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건조 20분 설정해줘"라는 음성을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통건조 기능을 2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여기서, 통건조 기능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시간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통건조 기능을 수행해줘"라고 얘기하였다면 기 설정된 시간 값(예를 들어, 10분)만큼 통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 630과 같이 통건조 기능 및 20분이라는 제어 명령을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통건조 기능의 기 설정된 시간 값(예를 들어, 10분)에서 20분으로 시간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세탁 기기(100)의 세부 설정을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70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알림을 꺼줘"라는 내용으로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알림을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710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 입력 패널에 들어오는 라이트를 끄거나 킬 수 있다. 사용자가 "불을 켜줘"라고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라이트에 전원을 차단하여 라이트를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세탁 기기(100)에 특정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71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세탁 기기(100)의 현재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세탁 기기는 사용자의 음성에 "현재 상태"라는 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세탁 기기(10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음성 출력부를 이용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 720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세탁 기기(100)가 동작하고 있는 도중에도 특정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탁 과정에 대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남은 세탁 시간"을 알려달라는 내용을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탁 과정의 정보 중 남은 세탁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실시 예 80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세탁물 종류를 특정하여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해당 세탁물 종류에 대응하는 세탁 모드를 추천해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810 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특정 세탁 모드가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을 하면,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특정 세탁 모드에 대한 기 설정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세탁 기기(100)의 고장 여부 및 해결책을 물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815를 참고하면, 세탁 기기(100)의 이용 중에 동작이 멈추거나 알 수 없는 오류로 세탁 기기(100)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에 오류 정보가 뜰 수 있다. 사용자는 무슨 에러인지 물을 수 있고 세탁 기기(100)는 현재 식별된 오류 정보에 대한 내용 및 해결책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82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특정 동작에 대한 질문을 하면, 세탁 기기(100)는 해당 동작의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가 질문한 특정 동작이 실행 불가능한 이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 90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세탁 모드와 세탁 모드 진행 여부를 나타내는 내용을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준 세탁 코스로 시작해줘"라고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표준 세탁 코스를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 91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강력 세탁"만을 발화하고 진행 여부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세탁 코스를 강력 세탁으로 설정하되 세탁을 시작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 모드에 대한 세부 설정을 수정할 수 있다.
실시 예 91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표준 세탁 모드에서 물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세탁 모드에서 물의 온도가 40도로 기본 설정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표준 세탁 모드에서 물의 온도를 60도로 설정하라고 발화하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표준 세탁 모드에서 물의 온도를 기본값인 40도에서 60도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 920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강력 세탁 모드에서 헹굼 기능의 횟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력 세탁 모드에서 헹굼 횟수가 2회로 기본 설정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강력 세탁 모드에서 헹굼 횟수를 3회 추가해달라고 발화하는 경우, 세탁 기기(100)는 강력 세탁 모드에서 행굼 횟수를 2회에서 총 5회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세탁 기기(100)의 고장 여부를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다.
실시 예 100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현재 세탁 기기(100)의 오류 정보를 묻는 질문을 할 수 있고, 세탁 기기(100)는 이에 대한 문제점 및 해결책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 1010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특정 문제점을 물을 수 있고, 세탁 기기(100)는 이에 대하여 문제점의 원인 및 해결책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물을 특정하여 특정 세탁 모드를 추천 받을 수 있다.
실시 예 101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청바지 및 수건 등 세탁물을 의미하는 내용의 워드를 발화하면, 세탁 기기(100)는 해당 세탁물에 알맞은 세탁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기기(100)는 해당 세탁물에 기 저장된 주의 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 주의 사항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 102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언급한 두 가지 세탁물에 알맞은 세탁 모드가 각각 상이할 경우, 세탁 기기(100)는 각각 다른 세탁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상술한 도 6 내지 도 10의 실시 예에서는 세탁 기기(100)가 음성 출력부를 통해 소리로 출력하도록 도시되었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6 내지 도 10의 실시 예에서는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면, 바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불가능하면,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 예 705, 715, 720, 815, 820, 1005, 1010는 현재 세탁 기기(100)이 전원이 온 상태에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들에서, 세탁 기기(100)는 별도의 판단 과정 없이 바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 605, 610, 620, 630, 905, 910 915, 920은 세탁 기기(100)에 전원이 온 되어야 실행 가능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들에서,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세탁 기기(100)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유지할지 아니면 온 상태로 전환 할지 식별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 예 805, 810, 910, 1015, 1020은 세탁 기기(100)에 전원이 온 되지 않아도 실행 가능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들에서,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의 (a)~(b)는 상부 세탁 기기와 하부 세탁 기기를 결합시킨 세탁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는 세탁 기능을 수행하는 별개의 세탁 기기이며 공간이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세탁 기기(1105)와 하부 세탁 기기(1110)는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도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세탁 기기(1105)는 전자동 형식으로 동작하고 소량의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세탁 기기(1110)는 드럼 형식으로 동작하고 대량의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1105)와 하부 세탁 기기(1110)는 각각 별개의 프로세서, 조작 입력 패널,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음성 입력부(101)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가 동일할 수 있다.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는 동일한 공간에 있으므로, 별개의 음성 입력부를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각각의 동작을 위한 구성이 별개로 존재하여도 음성 입력부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또는 하부 세탁 기기(1110) 한쪽에만 포함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Bixby, 상부 세탁 기기(1105)에서 표준 세탁 시작해"라고 발화하면, 메인 프로세서(121)는 상부 세탁 기기(110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란 "상부 세탁 기기(1105)"라는 워드가 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또는 하부 세탁 기기(1110)를 나타내는 워드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추가 및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모두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ixby, 전원 켜줘"라는 음성을 발화한 경우,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지 않았으므로, 메인 프로세서(121)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모두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Bixby, 표준 세탁을 시작해줘"라고 발화하는 경우, 상부 세탁 기기(1105)에서 실행하여야 하는지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 실행하여야 하는지 혼란스러울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모두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세탁물이 들어 있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는 상부 세탁 기기(1105)에 세탁물이 들어 있다고 식별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부 세탁 기기(1105)에서 표준 세탁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1)는 하부 세탁 기기(1110)에 세탁물이 들어 있다고 식별되는 경우, 자동으로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 표준 세탁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하부 세탁 기기(111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ixby, 전원 켜줘"라는 음성을 발화한 경우,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지 않았으므로, 메인 프로세서(121)는 하부 세탁 기기(1110)에 우선 순위를 두어 하부 세탁 기기(111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하부 세탁 기기(1110)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에서는 하부 세탁 기기(1110)에 우선순위를 두었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상부 세탁 기기(1105)에 우선 순위를 두어 상부 세탁 기기(1105)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부 세탁 기기(1105)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21)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세탁기를 우선순위로 두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달 동안 상부 세탁 기기(1105)를 3회 이용 하고, 하부 세탁 기기(1110)를 10회 이용한 경우, 우선 순위를 하부 세탁 기기(1110)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b)를 참고하면, 세탁 기기(100)가 상부 세탁 기기(1105)와 하부 세탁 기기(1110)로 구분될 수 있다. 세탁 기기(100)는 각각 별개의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를 구성하더라도,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모듈이 같은 공간에 복수 개 있을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각각 별개의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 기능을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후술하는 또 다른 실시 예처럼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를 식별한다면, 상부 세탁 기기(1105)와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어느 하나에만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메인 프로세서(121,221)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면, 일단 별개의 상부 세탁 기기(1105)와 하부 세탁 기기(1110) 모두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메인 프로세서(121,221)에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신의 기기에 대응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부 세탁기 표준세탁 시작해"라고 발화하였다면, 음성 데이터는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상부 세탁 기기(1105)와 하부 세탁 기기(1110) 각각의 메인 프로세서(121,221)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메인 프로세서(121,221)는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신의 기기에 내려진 명령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부 세탁기 표준세탁 시작해"라고 발화하였으므로, 상부 세탁 기기(1105)의 메인 프로세서(121)만이 이에 대해 응답하여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하부 세탁 기기(1110)의 메인 프로세서(221)는 자신의 기기에 내려진 명령이 아니라고 식별하고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8 및 이전의 본 세탁 기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음성 인식 및 음성 데이터 분석 기능은 제1 서브 프로세서(122)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상부 세탁 기기(1105)만을 제어 하기 위해 제2 서브 프로세서(123) 및 메인 프로세서(121)에만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부 세탁 기기 표준 세탁 시작해"라는 명령을 내렸다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상부 세탁 기기(1105)에만 해당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하부 세탁 기기(1110)만을 제어하기 위해 제2 서브 프로세서(223) 및 메인 프로세서(221)에만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모두를 제어 하기 위해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세탁 기기(100)는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S1205). 그리고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1210).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없으면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 음성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웨이크업 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세탁 기기(100)는 현재 절전 모드 상태에서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S1215).
그리고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 음성에 제어 워드 포함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1220). 사용자 음성에 제어 워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음성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제어 워드가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225).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또는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못하면, 세탁 기기(100)는 전원 온상태(또는 동작 모드)로 전환 할 수 있다(S1230). 그리고 세탁 기기(100)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1235).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또는 동작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면, 세탁 기기(100)는 현재 상태(또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면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S1235).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00)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00)의 제어 방법은 세탁 기기(100)의 절전 모드에서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305).
또한,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310). 그리고 대기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1315).
여기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S1315)는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및 동작이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S1315)는 제어 워드가 세탁 기기(100)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 및 대기 모드는 세탁 기기(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동작 모드는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S1315)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공정과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의 세부 옵션과 관련된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기 모드를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세부 옵션에 기초하여 세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00)의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1405).
그리고 세탁 기기(10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한다(S1410).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는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한다(S1415).
S1410 단계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세탁 기기(100)는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S1410 단계는 제어 워드가 세탁 기기(100)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 및 대기 모드는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전원 온 상태는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S1415 단계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공정 및 세탁 공정에 세부 옵션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세부 옵션에 기초하여 세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세탁 기기(100)가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면, 세탁 기기(100)가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00) 및 하부 세탁 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고, S1415 단계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부 세탁 기기(100) 및 하부 세탁 기기(100) 중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00) 및 하부 세탁 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부 세탁 기기(100) 및 하부 세탁 기기(100) 모두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100) 및 하부 세탁 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고, S1415 단계는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하부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하부 세탁 기기(100)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0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세탁 기기(100)는 음성 입력부(101), 디스플레이(102), 메인 프로세서(121) 및 세탁 기기(100)의 절전 모드에서 노멀 상태로 동작하며,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1 서브 프로세서(122) 및 디스플레이(102)를 제어하며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며, 제어 방법은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메인 프로세서(121)로 전송하는 단계 (S1505) 및 메인 프로세서(121)가,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서브 프로세서(123)를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로 전송하는 단계(S15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프로세서(121)는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하며, 제어 방법은 메인 프로세서(121)가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절전 상태를 노멀 상태로 전환하여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대기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1 데이터 통신 라인 및 제1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고, 제1 서브 프로세서(122) 및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2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고, 메인 프로세서(121) 및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제2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며, 세탁 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제2 전원 제어 라인을 통해 제1 서브 프로세서(122)로부터 메인 프로세서(121)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절전 모드 및 대기 모드는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2)는 조작 입력 패널을 포함하며, 제2 서브 프로세서(123)는 제2 제어 신호가 메인 프로세서(121)로부터 수신되면, 노멀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세탁 기기(100)가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면, 조작 입력 패널에 포함된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세탁 기기(100)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1110)를 포함하며, 제1 서브 프로세서(122)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며,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는 상부 세탁 기기(1105) 및 하부 세탁 기기(1110)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세탁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제1 서브 프로세서(122)가, 세탁 기기(100)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2 서브 프로세서(123,223) 및 메인 프로세서(121,2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3내지 도 15와 같은 세탁 기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을 가지는 세탁 기기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세탁 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00)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세탁 기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세탁 기기(100)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세탁 기기(100) 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세탁 기기(100) 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세탁 기기(100)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세탁 기기(100)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00)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세탁 기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세탁 기기(100)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기기(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세탁 기기(100)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동작은 세탁 기기(100)의 절전 모드에서 음성 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세탁 기기(100)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세탁 기기(100)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대기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세탁 기기 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세탁 기기 101: 음성 입력부
102: 디스플레이 121: 메인 프로세서
122: 제1 서브 프로세서 123: 제2 서브 프로세서

Claims (20)

  1. 세탁 기기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세탁 기기의 절전 모드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상기 세탁 기기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제어하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세탁 기기의 모터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모터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모드인, 세탁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세탁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워드가 상기 세탁 기기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는, 세탁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 및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세탁 기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인, 세탁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세탁 공정과 관련된 워드 및 상기 세탁 공정의 세부 옵션과 관련된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세부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공정을 진행하는, 세탁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 및 제1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노멀 상태로 동작하며,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세탁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하며,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의 상기 절전 상태를 노멀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세탁 기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세탁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제2 서브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를 상기 절전 상태에서 노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세탁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 통신 라인 및 제1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제2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제2 전원 제어 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세탁 기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전원 제어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되는, 세탁 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조작 입력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노멀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세탁 기기가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조작 입력 패널에 포함된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세탁 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기기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상부 세탁 기기 또는 상기 하부 세탁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 및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상부 세탁 기기 및 상기 하부 세탁 기기 각각에 모두 포함되는, 세탁 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 및 상기 메인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 또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세탁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기기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세탁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상기 상부 세탁 기기 또는 상기 하부 세탁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기를 식별하는, 세탁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기기는,
    상부 세탁 기기 및 하부 세탁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세탁 기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상부 세탁 기기 및 상기 하부 세탁 기기 모두를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하거나, 상기 하부 세탁 기기를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세탁 기기.
  15. 세탁 기기의 절전 모드에서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상기 세탁 기기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세탁 기기의 모터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모터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모드인, 세탁 기기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세탁 기기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 기기 제어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워드가 상기 세탁 기기의 상태와 관련된 워드 및 세탁 공정 추천과 관련된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는, 세탁 기기 제어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 및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세탁 기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전원 버튼 만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전원 버튼 외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인, 세탁 기기 제어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세탁 공정과 관련된 워드 및 상기 세탁 공정의 세부 옵션과 관련된 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세부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공정을 진행하는, 세탁 기기 제어 방법.
  20. 세탁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세탁 기기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세탁 기기의 절전 모드에서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웨이크업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제어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기기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거나 상기 세탁 기기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세탁 기기의 모터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워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모터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모드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0002327A 2018-02-23 2019-01-08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7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66,190 US20210040668A1 (en) 2018-02-23 2019-02-01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980014401.3A CN111742091B (zh) 2018-02-23 2019-02-01 洗衣机及其控制方法
EP19757165.6A EP3712315A4 (en) 2018-02-23 2019-02-01 WASHING MACHINE AND ITS ORDERING PROCEDURE
PCT/KR2019/001419 WO2019164155A1 (ko) 2018-02-23 2019-02-01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45 2018-02-23
KR20180022245 2018-02-23
KR20180023182 2018-02-26
KR1020180023182 2018-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865A KR20190101865A (ko) 2019-09-02
KR102679107B1 true KR102679107B1 (ko) 2024-06-27

Family

ID=6795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27A KR102679107B1 (ko) 2018-02-23 2019-01-08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40668A1 (ko)
EP (1) EP3712315A4 (ko)
KR (1) KR102679107B1 (ko)
CN (1) CN1117420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769B (zh) * 2019-02-21 2020-1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KR20210067605A (ko) * 2019-11-29 202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한 상업용 세탁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369999B (zh) * 2020-03-12 2024-05-14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1986671B (zh) * 2020-08-28 2024-04-05 京东科技信息技术有限公司 服务机器人及其语音开关机方法和装置
CN112530427A (zh) * 2020-11-28 2021-03-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桶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及多桶衣物处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3795A2 (de) 1987-03-24 1988-09-28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Programmschalteinrichtung
US20150179176A1 (en) 2013-12-23 2015-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524193A (ja) * 2013-06-27 2016-08-12 ロウル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自己生成ウェイク表現の検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0763A1 (de) * 1989-04-04 1990-10-11 Licentia Gmbh Automatische waschmaschine
CN101649537B (zh) * 2008-08-12 2013-01-16 海尔集团公司 一种语音控制且获得语音帮助的洗衣方法及洗衣机
KR101599859B1 (ko) * 2009-04-28 2016-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483B1 (ko) * 2010-06-17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17841B1 (ko) * 2012-10-30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149118A1 (en) * 2012-11-28 2014-05-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ic device using speech recognition
KR102024086B1 (ko) * 2012-12-28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CN104007809B (zh) * 2013-02-27 2017-09-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15055239A1 (en) * 2013-10-16 2015-04-23 Saronikos Trading And Services, Unipessoal Ld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speech recogni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555757B1 (ko) * 2013-11-21 2015-09-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318107B1 (en) * 2014-10-09 2016-04-19 Google Inc. Hotword detection on multiple devices
CN105734890B (zh) * 2014-12-12 2019-06-2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控制方法
CN106032616B (zh) * 2015-03-10 2020-01-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智能衣物洗涤管理装置及方法
CN106032625B (zh) * 2015-03-11 2019-12-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KR20170090648A (ko) * 2016-01-29 201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642666B1 (ko) * 2016-02-05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음성인식시스템
KR20180083587A (ko) * 2017-01-13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3795A2 (de) 1987-03-24 1988-09-28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Programmschalteinrichtung
JP2016524193A (ja) * 2013-06-27 2016-08-12 ロウル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自己生成ウェイク表現の検出
US20150179176A1 (en) 2013-12-23 2015-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42091B (zh) 2023-07-18
EP3712315A4 (en) 2021-01-13
CN111742091A (zh) 2020-10-02
EP3712315A1 (en) 2020-09-23
KR20190101865A (ko) 2019-09-02
US20210040668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9107B1 (ko)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3792985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TWI279724B (en) Method for fast activating execution of computer multimedia playing from standby mode
US20230193545A1 (en) Washing machine
TWI278780B (en) Method of instantly activating multimedia playback during a hot-key standby mode
KR102389594B1 (ko)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14528619A (ja) 初期エンドユーザ相互作用応答性を向上させる推論型システム起動
TWI479303B (zh) 休眠狀態控制系統、電腦系統及其休眠狀態偵測之方法
US11339518B2 (en) Remote controllable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0003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rebooting action of a computer system and related computer system
US8745368B2 (en) Notebook computer for performing part of power-on self-test according to proximity sensor before displaying image after power switch is triggered
JP6985243B2 (ja) コンピュータ節電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復帰方法
KR20210009247A (ko)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 방법
US20140215247A1 (en) Power saving operating method for and electronic device
KR101019651B1 (ko) 외장형 스토리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245023B2 (en) Method and related computer system capable of executing programs for a computer system
KR101236393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5927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05134979A (ja) 支援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KR20240043577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2027479A5 (ko)
CN114250575A (zh) 进水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TW201719330A (zh) 快捷外設互聯標準連接介面、電子裝置及其周邊裝置關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