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8667B1 - 공기량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 및 고착 현상을 현장에서 체크 가능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량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 및 고착 현상을 현장에서 체크 가능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8667B1
KR102678667B1 KR1020230124663A KR20230124663A KR102678667B1 KR 102678667 B1 KR102678667 B1 KR 102678667B1 KR 1020230124663 A KR1020230124663 A KR 1020230124663A KR 20230124663 A KR20230124663 A KR 20230124663A KR 102678667 B1 KR102678667 B1 KR 102678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olume control
control device
signal
cylind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근
Original Assignee
이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근 filed Critical 이인근
Priority to KR102023012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667B1/ko
Priority to PCT/KR2024/007974 priority patent/WO20242581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6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conjoint operation of two or more valves or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3/00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L13/06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slidable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3/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before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10Fail safe for component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20War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화력 발전소용 보일러의 노(furnace)에 공기(예컨대, 보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착 여부를 운전실에서 모니터링하고, 현장에서 체크할 수 있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실에서 공기량 조절 장치의 정상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운전실에서 점검이 필요한 공기량 조절 장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신호공기가 공기량 조절 장치로 입력되도록 운전실에서 제어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고장이 의심되는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즉각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량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 및 고착 현상을 현장에서 체크 가능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석탄 화력 발전소용 보일러의 노(furnace)에 공기(예컨대, 보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착 여부를 운전실에서 모니터링하고, 현장에서 체크할 수 있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탄 화력 발전소의 노(Furance)에는 미분탄과 산화제가 공급된다. 산화제는 미분탄의 완전 연소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산화제는 공기 또는 순산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산화제와 공기를 통칭하여 공기라고 하며, 문맥에 따라 적절히 해석되어야 한다.
공기량 조절 장치는 공기가 적정량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공기량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가 공급되는 양을 제어한다.
공기량 조절 장치는 실린더, 포지셔너 등으로 구성된다. 실린더로드의 단부는 공기 조절판과 연결된다. 실린더와 연결된 포지셔너는 제어된 신호에 대응하여 실린더를 구동시킴으로써 실린더로드의 직선 이동 거리를 가변 조정한다. 실린더로드의 직선 이동 거리는 공기 조절판(미도시)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공기량 조절 장치는 노의 외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온, 회, 수분, 분진 등의 이물질에 노출되기 쉽다. 이는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기량 조절 장치에 운전실에서 입력신호를 입력하여, 실린더를 구동시킨다. 작업자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실런더 로드의 직선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은, 하나의 입력신호가 여러 개의 공기량 조절 장치를 제어하기 때문에 한 개의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공기량 조절 장치가 모두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되어야 하는 시스템이다.
상술한 이유로,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운전실에서 신호공기를 입력해야 하므로,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하나의 신호공기는 여러개의 공기량 조절 장치에 공급되므로,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고장이 의심되는 공기량 조절 장치뿐만 아니라, 연동된 다른 공기량 조절 장치에도 신호공기가 공급되어야 하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운전실에서는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판단할 수 없으므로, 주기적으로 작업자가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착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데, 100개소 이상의 공기량 조절 장치를 작업자가 모두 체크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량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장이 의심되는 하나의 공기량 조절 장치만을 대상으로 고장을 즉각 판단할 수 있는 공기량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개소에 설치된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운전실에서 모니터링하고 점검이 필요한 공기량 조절 장치를 즉각 판단할 수 있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실에서 점검을 위한 신호공기가 공기량 조절 장치로 입력되도록 제어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고장이 의심되는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즉각 판단할 수 있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드백스프링이 피복관에 의해 보호되어 분진 등의 이물질이 공기량 조절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량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은, 입력신호에 따라 신호공기공급원으로부터 신호공기를 입력받고, 압력공기공급원으로부터 압력공기를 공급받는 공기량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는 실린더와 포지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실린더실을 제1실린더실과 제2실린더실으로 구획하고, 상기 실린더실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결합된 실린더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너는, 제1값 내지 제2값 범위의 전기적 신호인 입력신호에 비례하여 상기 실린더로드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상기 공기 공급 시스템은, 상기 실린더로드의 변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피드백신호로서 출력되도록 설정된 변위 측정 장치;및 상기 변위 측정 장치의 상기 피드백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너는, 상기 제1실린더실과 연통하는 제1실린더실연통구; 및 상기 제2실린더실과 연통하는 제2실린더실연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는, 일측이 대기로 통하며, i)제1실린더실연통구와 상기 제1실린더실을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대기 측을 폐쇄하거나, ii)상기 제1실린더실과 상기 대기 측의 경로를 개방하고 제1실린더실연통구를 페쇄하는 제1삼방밸브; 및 일측이 대기로 통하며, i)제2실린더실연통구와 상기 제2실린더실을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대기 측을 폐쇄하거나, ii)상기 제2실린더실과 상기 대기 측의 경로를 개방하고 제2실린더실연통구를 페쇄하는 제2삼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와 상기 피드백신호는 4mA 내지 20mA 범위의 전류값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로 인가된 전기적 신호는 공기압인 신호공기로 변환되어 상기 포지셔너로 인가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운전실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시스템에는,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가 여러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는 여러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것으로, 복수개의 그룹으로 제공되며, 상기 하나의 그룹 마다 하나의 입력신호가 인가되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위 측정 장치는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 마다 제공되고,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하나의 그룹 마다 인가된 입력신호와,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 마다 제공된 상기 변위 측정 장치 각각에서 출력되는 피드백신호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와 상기 피드백신호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도록 상이한 경우 상기 표시부에는 알람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너는, 상기 입력신호로써 신호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인 신호공기 입력포트; 상기 신호공기 입력포트와 연결되며, 신호공기에 의해 변위하는 제1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신호압력실; 상기 제1다이아프램의 변위에 의해서 배압이 변하는 노즐; 압력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인 압력공기 공급포트; 상기 압력공기 공급포트와 연통하는 제1연통로, 제2연통로 및 오리피스가 형성된 제3연통로; 상기 제1실린더실연통구를 개폐하는 제1스풀, 및 상기 제2실린더실연통구를 개페하는 제2스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의 배압의 변화에 의해 상기 압력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상기 제1실린더실연통구 또는 상기 제2실린더실연통구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는 스풀밸브; 상기 제1연통로와 연통하며 상기 제1스풀 및 상기 제2스풀에 의해 폐색되는 공급실; 상기 제2연통로와 연통하며 상기 스풀밸브의 일단과 연결된 제3다이아프램이 위치하는 제1공급압력실; 상기 제3연통로와 연통하며, 상기 스풀밸브의 타단과 연결된 제4다이아프램이 위치하는 제2공급압력실; 및 일단이 상기 제1다이아프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로드와 연결된 피드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너는, 상기 피드백스프링을 감싸 상기 피드백스프링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피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고장이 의심되는 하나의 공기량 조절 장치만을 대상으로 고장 여부가 즉각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여러 개소에 설치된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운전실에서 모니터링하고 점검이 필요한 공기량 조절 장치를 즉각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공기량 조절 장치의 점검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어, 고장난 공기량 조절 장치가 방치되는 문제가 감소하므로, 보일러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실에서 점검을 위한 신호공기가 공기량 조절 장치로 입력되도록 제어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고장이 의심되는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즉각 판단할 수 있다.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력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노(20)에 윈드박스(50)가 설치된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제1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제2사용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현장 점검시 동작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고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거리변화측정장치(600)가 제공된 공기량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공급 시스템을 표현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810)의 화면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력 발전소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화력 발전 시스템을 설명한다.
화력 발전 시스템은 보일러(10)에서 생성된 증기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노(20)는 화염(F)이 형성되는 공간이다. 화염(F)을 형성하기 위해 노(20)에 연료과 산화제를 공급할 수 있다. 연료는 석탄일 수 있다. 석탄은 미분탄일 수 있다. 석탄의 연소를 돕기 위해 산화제를 더 공급할 수 있다. 산화제는 공기일 수 있다. 산화제는 순산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산화제와 공기를 통칭하여 공기라고 하며, 공기라는 단어는 문맥에 따라 적절히 해석되어야 한다.
연료공급부(30)는 노(20)로 연료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연료공급부(30)의 연료는 연료노즐(32)을 통해 노(20)로 공급된다. 연료공급부(30)와 연료노즐(32)은 연료공급관(31)에 의해 연결된다. 연료공급관(31)은 연료공급부(30)와 연료노즐(32)을 연결하는 관이다. 연료공급관(31)은 복수개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연료공급관(31)은 각각의 연료노즐(32)과 연결될 수 있다. 연료공급관(31)은 연료공급부(30)에서 연료노즐(32)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연료공급관(31a), 제2연료공급관(31b). 제3연료공급관(31c), 제4연료공급관(31d)을 표현한다. 연료공급관(31)은 필요 개소에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40)는 노(20)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공기는 공기노즐(42)을 통해 노(20)로 공급된다. 공기공급관(41)은 공기공급부(40)에서 공기노즐(42)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공기공급관(41)은 공기공급부(40)와 공기노즐(42)을 연결하는 관이다. 공기공급관(41)은 복수개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공기공급관(41)은 각각의 공기노즐(42)과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공기공급관(41a), 제2공기공급관(41b). 제3공기공급관(41c), 제4공기공급관(41d)을 표현한다. 공기공급관(41)은 필요 개소에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공기공급관(41)에는 공급량 조절 장치(100)가 설치된다.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공기공급관(41)의 개도량을 조정한다. 공급량 조절 장치(10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료노즐(32)과 공기노즐(42)은 윈드박스(windbox)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윈드박스(50)를 도시한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윈드박스(50)는 노(20)의 코너에 각각 제공된다. 각 코너의 윈드박스(50a, 50b, 50c, 50d)는 상단, 중단, 하단으로 분리된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연료노즐(32)과 복수개의 공기노즐(4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노(20) 내에 화염(F)은 과열기(51)의 물을 가열하여 포화증기를 생성한다. 과열기(51)의 증기는 고압터빈(61)으로 제공된다.
고압터빈(61)에서 사용된 증기는 회수되어 재열기(52)에서 재가열된다. 과열기(51)와 재열기(52)의 구성과 개수는 특정된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화력 발전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재열기(52)에서 공급된 증기는 사용하는 중압터빈(62)과 각각의 저압터빈(63)으로 전달된다. 발전기(70)는 이들을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저압터빈(63)에서 사용된 증기는 최종적으로 복수기(80)에서 응축된다. 응축수는 보일러(10)의 절탄기(53)로 공급된다. 절탄기(53)는 과열기(51)와 연결된다.
배가스 처리 장치(90)는 보일러(10)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연돌(95)은 유해 물질이 제거된 배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 공급 시스템을 설명한다.
공기 공급 시스템(1000)은 노(2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공기공급부(40)서 공기노즐(42)로 공기가 공급되기까지의 시스템이다. 공기공급관(41)에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가 설치된다.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각각의 공기노즐(42)의 공기 공급량을 조절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네 개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연동 개소는 설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나, 장비 효율을 위해 복수개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가 하나의 신호에 연동하여 구동한다.
도면에서 표현하는 실시 예에 있어서, 제1-1공기노즐(42aa), 제1-2공기노즐(42ab), 제1-3공기노즐(42ac), 제1-4공기노즐(42ad)과 연결되는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하나의 신호공기를 공유한다. 신호공기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의 실시 예이다. 하나의 신호공기공급원(210a)으로부터 분기된 제1-1신호공기관(211a), 제1-2신호공기관(212a), 제1-3신호공기관(213a), 제1-4신호공기관(214a)은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와 연결된다. 또한, 제1-1공기노즐(42aa), 제1-2공기노즐(42ab), 제1-3공기노즐(42ac), 제1-4공기노즐(42ad)과 연결되는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하나의 압력 공기를 공유한다. 하나의 압력공기공급원(220a)으로부터 분기된 제1압력공기관(221a), 제2압력공기관(222a), 제1-3압력공기관(223a), 제1-4압력공기관(224a)은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와 연결된다.
또한, 표현된 실시 예에 있어서, 제2-1공기노즐(42ba), 제2-2공기노즐(42bb), 제2-3공기노즐(42bc), 제2-4공기노즐(42bd)과 연결되는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하나의 신호공기를 공유한다. 하나의 신호공기공급원(210b)으로부터 분기된 제2-1신호공기관(211b), 제2-2신호공기관(212b), 제2-3신호공기관(213b), 제2-4신호공기관(214b)은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와 연결된다. 또한, 제2-1공기노즐(42ba), 제2-2공기노즐(42bb), 제2-3공기노즐(42bc), 제2-4공기노즐(42bd)과 연결되는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하나의 압력 공기(220b)를 공유한다. 하나의 압력공기공급원(220b)으로부터 분기된 제2-1압력공기관(221b), 제2-2압력공기관(222b), 제2-3압력공기관(223b), 제2-4압력공기관(224b)은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와 연결된다.
공기를 적절하게 공급하는 것은 노(20) 내 안정에 중요하다. 예컨대, 연료 점화시 및 저부하시 공기를 적절하게 배분하고 공급하는 것은 노(20) 내 안정에 중요하다. 또한, 공기를 적절하게 공급하는 것은 전부하에 걸쳐 최적 연소를 얻기 위해서 중요하다. 또한, l차 및 2차 공기의 배분은 질산화물 생성에 커다란 영향을 마친다. 일반적으로 연료 후단의 공기량을 줄이면 연료노즐 위쪽의 많은 공기량과 결합하여 질산화물의 생성량은 감소한다. 이러한 원리는 최고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수벽으로 그 열을 전달하지 못하도록 연소율올 억제하는 것이다. 최고 온도에 도달하면 제한하지 않을 때보다 NOx의 생성량은 줄어든다, 2차공기의 분배는 오염물질의 확산에도 영향을 미친다.
최적 공기 분배 비율은 기본적으로 연료의 연소 특성에 의해 정해지며 흔합도 연소 속도와 노내의 화염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 공기 공급 시스템(1000)은 설정된 윈드박스(50)와 노(20)의 차압을 위치하기 위하여 공기량 조절 장치(100)를 모듈레이션(moudlation)한다. 연료 공급 조절 장치(미도시) 및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기동 전에 닫혀있어야 하며, 기동 후 개방되어 연소율에 비례해서 모듈레이팅(Modulating)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외관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포지셔너(300) 및 실린더(400)를 포함한다. 공기량 조절 장치(100) 포지셔너(300)의 제어에 의해 실린더(400)가 구동하여 실린더로드(410)에 연결된 공기 조절판(미도시)의 개도량을 조정한다.
포지셔너(300)는 제1압력게이지(311), 제2압력게이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력게이지(311)는 신호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공기의 압력을 계측하기 위한 압력계이다. 제2압력게이지(321)는 압력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공기의 압력을 계측하기 위한 압력계이다.
포지셔너(300)는 피드백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부(390)는 피드백 연결부(391)를 통해 실린더로드(410)와 연결된다. 피드백 연결부(391)의 일단은 피드백부(390)와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로드(410)와 연결된다. 실린더(400) 구동시에 피드백부(390)의 내부에 설치된 피드백스프링(도 6 참조)의 당기는 힘과 신호공기에 의해서 발생한 힘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실린더로드(410)의 직선 이동을 정지시킨다.
피드백부(390)는 피드백부 피복관(39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피드백부 피복관(392)은 내열 고무 소재의 주름관이다. 피드백부 피복관(392)은 피드백부(390)를 감싼다. 여기서, 내열 고무소재는 불소 고무 소재 및 실리콘 고무 소재를 포함한다.
실린더로드(410)는 샤프트부 피복관(41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샤프트부 피복관(412)은 실린더로드(410)를 감싼다. 실린더로드 피복관(412)은 내열 고무 소재의 주름관이다.
피드백 조절부 피복관(392) 및 실린더로드 피복관(412)은 피드백부(390) 및 실린더로드(410)의 직선 이동 및 원상태로 복귀시에 이물질이 실린더(400) 내부 또는 포지셔너(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눈금자(395)는 실린더로드(410) 및 피드백부(390)의 직선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된 구성이다. 지시자(396) 눈금자(395)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지시자(396)는 피드백 연결부(391)에 연결된다. 지시자(396)는 피드백 연결부(391)의 이동에 따라 움직인다. 피드백 연결부(391)는 피드백부(390)와 실린더로드(410)를 연결하므로, 지시자(911)는 실린더로드(410)의 직선 이동에 따라 움직인다. 눈금자(395)에는 개도량이 %단위로 표기될 수 있다.
포지셔너(300)에는 신호공기 입력포트(312)가 제공된다. 신호공기 입력포트(312)는 신호공기공급관(도 3 참조)과 연결된다. 신호공기 입력포트(312)를 통해 포지셔너(300)의 내부에 신호공기가 들어온다. 포지셔너(300)는 신호공기 입력포트(312)를 통해 신호공기를 공급받는다.
포지셔너(300)에는 압력공기 공급포트(322)가 제공된다. 압력공기 공급포트(322)는 압력공기공급관(도 3 참조)과 연결된다. 압력공기 공급포트(322)를 통해 포지셔너(300)의 내부에 압력공기가 들어온다. 포지셔너(300)는 압력공기 공급포트(322)를 통해 압력공기를 공급받는다.
제1관(341)은 포지셔너(300)의 제1실린더실연통구(361, 도 6 참조)와 실린더(400)의 제1실린더실(421, 도 6 참조)을 연결한다. 제1관(341)에는 제1삼방밸브(510)가 설치된다.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것은 제1삼방밸브(510)를 이용하여 공기량 조절 장치(100)를 점검할 때, 작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위치이다.
제2관(342)은 포지셔너(300)의 제2실린더실연통구(362, 도 6 참조)와 실린더(400)의 제2실린더실(422, 도 6 참조)을 연결한다. 제2관(342)에는 제2삼방밸브(520)가 설치된다.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것은 제2삼방밸브(520)를 이용하여 공기량 조절 장치(100)를 점검할 때, 작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위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일 실시 예의 포지셔너(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포지셔너(300)의 내부에는 유로가 제공된다. 포지셔너(300)의 내부에는 스풀밸브(350)가 위치한다. 스풀밸브(350)는 유로를 제어한다. 스풀밸브(350)는 제1넥(neck)(355a)을 사이로 제1스풀(351)과 제2스풀(352)이 위치한다. 제1넥(355a)은 제1스풀(351)과 제2스풀(352)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다. 제1스풀(351)을 기준으로 제1넥(355a)의 반대편에는 제2넥(355b)이 위치한다. 제2스풀(352)을 기준으로 제1넥(355a)의 반대편에는 제3넥(355c)이 위치한다. 스풀밸브(35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3다이아프램(333) 및 제4다이아프램(334)이 고정된다. 제2넥(355b)의 단부에는 제3다이아프램(333)이 고정된다. 제3넥(355c)의 단부에는 제4다이아프램(334)이 고정된다.
포지셔너(300)에는 신호공기 입력포트(312)와 압력공기 공급포트(322)가 제공된다.
신호공기 입력포트(312)는 신호공기 공급원(210a)과 연결된다. 신호공기 입력포트(312)는 신호공기 공급원(210a)과 신호공기 공급관(211a)을 통해 연결된다. 신호공기 입력포트(312)를 통해 신호공기 공급원(210a)을 통해 전달된 신호공기가 포지셔너(300)의 내부로 공급된다.
신호공기 입력포트(312)를 통해 유입된 신호공기는 신호압력실(313)에 도입된다. 신호압력실(313)은 제1다이아프램(331) 및 제2다이아프램(332)에 의해 폐색된 공간이다. 실린더로드(410)는 신호압력실(313)에 입력된 신호공기의 공기압에 비례하여 움직임이 발생한다.
연결부재(393)는 피드백부(390)의 일단과 연결된다. 연결부재(393)는 제1다이아프램(331) 및 제2다이아프램(332)과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부(390)는 코일스프링이다. 이하에서는 피드백부(390)를 피드백스프링(320)이라고 칭한다. 연결부재(393)의 이동에 따른 힘은 피드백스프링(320)으로 전달된다. 피드백스프링(320)의 힘은 연결부재(393)로 전달된다.
신호공기의 압력에 따라 신호압력실(313)의 내부가 채워지면, 제1다이아프램(331) 및/또는 제2다이아프램(332)의 변위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393)에도 변위가 발생한다.
압력공기 공급포트(322)는 압력공기 공급원(220a)과 연결된다. 압력공기 공급포트(322)는 압력공기 공급원(220a)과 압력공기 공급관(221a)을 통해 연결된다. 압력공기 공급포트(322)를 통해 압력공기 공급원(220a)으부터 전달된 압력공기가 포지셔너(300)의 내부로 공급된다.
압력공기 공급포트(322)와 이어진 유로는 제1연통로(323a), 제2연통로(323b), 제3연통로(323c)로 분기된다. 즉, 압력공기 공급포트(322)를 통해 유입된 압력공기는 제1연통로(323a), 제2연통로(323b), 제3연통로(323c)로 분기되어 공급된다.
제1연통로(323a)는 제1스풀(351)과 제2스풀(352)에 의해 폐색된 공급실(324)과 연통한다.
제2연통로(323b)는 제3다이아프램(333)에 의해 폐색된 제3다이아프램실(325a)과 연통한다.
제3연통로(323c)는 제4다이아프램(334)에 의해 폐색된 제4다이아프램실(325b)과 연통한다. 제3연통로(323c)에는 오리피스(323ca)가 제공된다.
공급압력실(325)은 제3다이아프램실(325a) 및 제4다이아프램실(325b)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3다이아프램실(325a)은 제1공급압력실이라 칭할 수 있다. 제4다이아프램실(325b)은 제2공급압력실이라 칭할 수 있다.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는 제1스풀(351)에 의해 개폐된다. 스풀밸브(350)가 A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스풀(351)이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는 개방하면, 제1연통로(323a)와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는 연통한다.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는 제2스풀(352)에 의해 개폐된다. 스풀밸브(350)가 B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스풀(352)이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를 개방하면, 제1연통로(323a)와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는 연통한다.
노즐(370)은 제4다이아프램(334)과 연결된다. 노즐(370)은 스풀밸브(350)와 연결된다. 노즐(370)은 스풀밸브(350) 및/또는 제4다이아프램(334)에 결합된다. 이 결합은 직접 결합과 간접 결합을 모두 포함한다. 노즐(370)의 이동에 스풀밸브(350)가 종속하여 이동할 수 있다. 스풀밸브(350)의 이동에 노즐(370)이 종속하여 이동할 수 있다.
노즐(370)은 연결부재(393)와 마주 볼 수 있다. 노즐(370)은 제4다이아프램실(325b)을 형성하는 벽(325ba)을 관통한다. 벽(325ba)과 노즐(370)의 접면에는 실링이 제공될 수 있다. 노즐(370)은 벽(325ba)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1배기실(381)은 제1다이아프램(331)과 노즐(370) 사이 공간에 형성된다. 제1배기실(381)은 제1배기구(381a)와 연통한다. 제1배기실(381)은 제1배기구(381a)를 통해 대기와 연통한다. 제1배기실(381)과 제4다이아프램실(325b)은 노즐(370)을 통해 연통된다. 제4다이아프램실(325b)으로 공급된 압력 유체는 노즐(370)을 통해 제1배기실(381)으로 도입된다. 제1배기실(381)으로 도입된 압력 유체는 제1배기구(38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2배기실(382)은 제3다이아프램(333)과 제1스풀(35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제2배기실(382)은 제2배기구(382a)와 연통한다. 제2배기실(382)은 제2배기구(382a)를 통해 대기와 연통한다.
제3배기실(383)은 제4다이아프램(334)과 제2스풀(35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제3배기실(383)은 제3배기구(383a)와 연통한다. 제3배기실(383)은 제3배기구(383a)를 통해 대기와 연통한다.
실린더(400)는 실린더 하우징(401)의 내부에는 제1실린더실(421)과 제2실린더실(422)이 마련된다. 제1실린더실(421)과 제2실린더실(422)은 피스톤(430)에 의해 구획된다. 피스톤(430)의 움직임에 따라 제1실린더실(421)과 제2실린더실(422)의 용적은 달라진다.
피스톤(430)은 실린더로드(410)와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로드(410)는 제2실린더실(422) 측을 향하게 설치된다.
제1차측포트(421a)는 제1실린더실(421)과 연통한다. 제1차측포트(421a)는 제1관(341)을 통해 제1실린더실연통구(361)와 연통한다. 제1차측포트(421a)와 제1실린더실연통구(361)와 연통하는 경로에는 제1삼방밸브(510)가 제공된다. 제1삼방밸브(510)의 제1경로는 제1실린더실연통구(361)와 연결되고, 제2경로는 제1차측포트(421a)와 연결되고, 제3경로는 대기와 연통한다.
제2차측포트(422a)는 제2실린더실(422)과 연통한다. 제2차측포트(422a)는 제2관(342)을 통해 제2실린더실연통구(362)와 연통한다. 제2차측포트(422a)와 제2실린더실연통구(362)와 연통하는 경로에는 제2삼방밸브(520)가 제공된다. 제2삼방밸브(520)의 제1경로는 제2실린더실연통구(362)와 연결되고, 제2경로는 제2차측포트(422a)와 연결되고, 제3경로는 대기와 연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제1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제1사용상태에서, 신호공기로 1kgf/cm2(실시예에 따른 최대 신호공기압)의 공기압이 공급된다. 압력공기로 5kgf/cm2의 공기압이 공급된다. 제1삼방밸브(510)는 대기로 통하는 측이 폐쇄된 상태이다. 제2삼방밸브(520)는 대기로 통하는 측이 폐쇄된 상태이다.
신호공기는 신호압력실(313)을 채운다. 신호압력실(313)에 신호공기의 공기압이 채워지면 제1다이아프램(331)은 발생력으로 변위한다. 제1다이아프램(331)의 변위에 의해 노즐(370)과의 간격이 변한다. 제1다이아프램(331)과 노즐(370)간의 간격 변화에 의해 노즐(370) 배압이 변한다. 노즐(370) 배압에 의해 제4다이아프램(334)의 발생력이 제3다이아프램(333)의 발생력을 이긴다. 제4다이아프램(334)의 발생력에 의해 스풀밸브(350)는 A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풀밸브(350)가 이동하면, 제1스풀(351)은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는 개방한다. 공급실(324)의 유로는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로 경로가 형성된다. 공급실(324)의 유로는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로 경로가 폐쇄된다.
압력공기는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를 통해 제1실린더실(421)으로 유입된다. 제1실린더실(421)에는 압력공기의 공기압이 채워진다. 압력공기의 공기압은 피스톤(430)을 B방향으로 밀어낸다. 제2실린더실(422)의 공기는 배기된다. 제2실린더실(422)의 공기가 배기되고, 피스톤(430)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로드(410)가 B방향으로 움직인다.
실린더로드(410)의 움직임은 피드백 연결부(391)에 의해 피드백스프링(320)으로 전달되고, 제1다이아프램(331)의 발생력과 평행할 때까지 실린더로드(410)가 움직인다. 이로써, 입력한 신호공기에 비례한 실린더로드(410)의 변위가 발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제2사용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2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제2사용상태에서, 신호공기로 0.2kgf/cm2(실시 예에 따른 최소 신호공기압)의 공기압이 공급된다. 압력공기로 5kgf/cm2의 공기압이 공급된다. 제1삼방밸브(510)는 대기로 통하는 측이 폐쇄된 상태이다. 제2삼방밸브(520)는 대기로 통하는 측이 폐쇄된 상태이다.
신호공기는 신호압력실(313)을 채운다. 신호압력실(313)에 신호공기의 공기압이 채워지면 제1다이아프램(331)은 발생력으로 변위한다. 제1다이아프램(331)의 변위에 의해 노즐(370)과의 간격이 변한다. 또한, 압력공기의 공기압에 의한 제3다이아프램(333)의 발생력은 스풀밸브(350)를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풀밸브(350)가 이동하면, 제2스풀(352)은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를 개방한다. 공급실(324)의 유로는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로 경로가 형성된다. 공급실(324)의 유로는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로 경로가 폐쇄된다.
압력공기는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를 통해 제2실린더실(422)으로 유입된다. 제2실린더실(422)에는 압력공기의 공기압이 채워진다. 압력공기의 공기압은 피스톤(430)을 A방향으로 밀어낸다. 제1실린더실(421)의 공기는 배기된다. 제1실린더실(421)의 공기가 배기되고, 피스톤(430)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로드(410)가 A방향으로 움직인다.
실린더로드(410)의 움직임은 피드백 연결부(391)에 의해 피드백스프링(320)으로 전달되고, 제1다이아프램(331)의 발생력과 평행할 때까지 실린더로드(410)가 움직인다. 이로써, 입력한 신호공기에 비례한 실린더로드(410)의 변위가 발생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현장 점검시 동작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현장 점검시 공기 조절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작동 상태의 예시로 신호공기로 0.6kgf/cm2(실시 예에 따른 신호공기의 중간값)의 공기압이 공급된다. 압력공기로는 5kgf/cm2의 공기압이 공급된다. 이 경우, 제1실린더실(421)과 제2실린더실(422)의 공기압이 균등한 상태가 되도록, 제1실린더실연통구(361) 및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를 통해 압력공기가 공급된다. 즉, 제1실린더실(421)과 제2실린더실(422)의 공기압이 균등한 상태가 되도록, 압력공기는 제1실린더실연통구(361) 및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를 통해 배분하여 공급된다. 예컨대, 제1실린더실(421)의 공기압이 제2실린더실(422)의 공기압보다 낮다면, 제1다이아프램(331)의 발생력, 노즐(370)의 배압, 피드백스프링(320)의 힘 등의 균형에 의해, 제1실린더실(421)에 압력공기가 공급된다. 예컨대, 제2실린더실(422)의 공기압이 제1실린더실(421)의 공기압이 보다 낮다면, 제1다이아프램(331)의 발생력, 노즐(370)의 배압, 피드백스프링(320)의 힘 등의 균형에 의해, 제2실린더실(422)에 압력공기가 공급된다. 이로써, 제1실린더실(421)과 제2실린더실(422)의 공기압이 균등한 상태가 된다(도면 생략).
상술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고장이 의심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해 제1삼방밸브(510)와 제2삼방밸브(520)가 한번씩 전환될 수 있다. 이하, 도 9에서는 제1삼방밸브(510)를 조절하여 공기 조절 장치(100)를 점검할 때 동작을 설명하고, 도 10에서는 제2삼방밸브(520)를 조절하여 공기 조절 장치(100)를 점검할 때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제1삼방밸브(510)의 대기 측이 개방되고, 제1실린더실연통구(361)측이 폐쇄된 상태이다. 즉, 제1실린더실(421)이 대기와 연통한다. 제2삼방밸브(520)는 대기로 통하는 측이 폐쇄된 상태이다.
실시 예에 따른 신호공기로 0.6kgf/cm2(실시 예에 따른 신호공기의 중간값)의 공기압이 공급되고, 압력공기로는 5kgf/cm2의 공기압이 공급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실(421)과 제2실린더실(422)에는 각각 5kgf/cm2의 공기압이 균형을 이룬 상태이다. 이때, 제1실린더실(421)이 개방되면, 제1실린더실(421)의 내부 공기가 배기되면서, 내부 압력이 대기압으로 전환된다. 제1실린더실(421)이 배기됨에 따라, 제2실린더실(422)의 공기압이 우세하여 피스톤(430)이 A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종속하여, 스풀밸브(350)는 B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스풀(352)은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를 개방한다. 공급실(324)의 유로는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로 경로가 형성된다. 공급실(324)의 유로는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로 경로가 폐쇄된다. 압력공기는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를 통해 제2실린더실(422)으로 유입된다. 제2실린더실(422)에는 압력공기의 공기압이 채워진다. 압력공기의 공기압은 피스톤(430)을 A방향으로 더 밀어낼 수 있다.
실린더로드(410)는 신호공기와 관계 없이 제1삼방밸브(310)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실린더로드(410)가 A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삼방밸브(310)를 전환하는 속도에 따라서 A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제어될 수도 있다. 만약, 공기량 조절 장치(100)가 고온, 회, 수분, 분진 등 환경요건으로 인해 고장이 난 경우라면, 실린더로드(410)는 A방향으로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실린더로드(410)의 움직임을 보고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고장을 즉각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점검 후, 제1삼방밸브(510)의 대기 측을 폐쇄시키고, 제1실린더실연통구(361)측을 개방시키면. 실린더로드(410)는 신호공기에 비례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도 10은 도 7에서 설명되는 사용 상태처럼 제1삼방밸브(510)는 대기 측이 폐쇄되고, 제1실린더실연통구(361)측이 개방된 상태이다. 반면, 제2삼방밸브(520)의 대기 측이 개방되고, 제2실린더실연통구(362)측이 폐쇄된 상태이다.
실시 예에 따른 신호공기로 0.6kgf/cm2(실시 예에 따른 신호공기의 중간값)의 공기압이 공급되고, 압력공기로는 5kgf/cm2의 공기압이 공급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실(421)과 제2실린더실(422)에는 각각 5kgf/cm2의 공기압이 균형을 이룬 상태이다. 이때, 제2삼방밸브(520)의 대기 측이 개방되면, 제2실린더실(422)의 내부 공기가 배기되면서, 제2실린더실(422)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으로 전환된다. 제2실린더실(422)이 배기됨에 따라, 제1실린더실(421)의 공기압이 우세하여 피스톤(430)이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종속하여, 스풀밸브(350)는 A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스풀(351)은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를 개방한다. 공급실(324)의 유로는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로 경로가 형성된다. 공급실(324)의 유로는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로 경로가 폐쇄된다. 압력공기는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를 통해 제1실린더실(421)으로 유입된다. 제1실린더실(421)에는 압력공기의 공기압이 채워진다. 압력공기의 공기압은 피스톤(430)을 B방향으로 더 밀어낼 수 있다.
실린더로드(410)는 신호공기와 관계 없이 제2삼방밸브(520)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실린더로드(410)가 B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삼방밸브(520)를 전환하는 속도에 따라서 B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제어될 수도 있다. 만약, 공기량 조절 장치(100)가 고온, 회, 수분, 분진 등 환경요건으로 인해 고장이 난 경우라면, 실린더로드(410)는 B방향으로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실린더로드(410)의 움직임을 보고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고장을 즉각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점검 후, 제2삼방밸브(520)의 대기 측을 폐쇄시키고, 제2실린더실연통구(362)측을 개방시키면. 실린더로드(410)는 신호공기에 비례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상술하여, 제1삼방밸브(510)와 제2삼방밸브(520)를 이용하여 유로를 전환하는 것을 실시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 제1삼방밸브(510)는 하나의 밸브로 구성되는 것 뿐만 아니라, 제1실린더실(421)을 대기로 개방하고, 제1실린더실연통구(361)를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복수개의 구성을 묶어서 균등물로 해석되어야 한다. 물론, 제1삼방밸브(510)를 이용하여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 경로 전환이 편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별론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 제2삼방밸브(520)는 하나의 구성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2실린더실(422)을 대기로 개방하고, 제2실린더실연통구(362)를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복수개의 구성을 묶어서 균등물로 해석되어야 한다. 물론, 제2삼방밸브(520)를 이용하여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 경로 전환이 편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별론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공기량 조절 장치(100)를 설명한다. 계장공기는 미스트 세퍼레이터에 의해 수분 및/또는 오일이 제거되어 포지셔너로 공급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포지셔너(300)는 신호공기의 공기압이 0.2kgf/cm2일 때, 압력공기가 OUT2로 흐르고, 신호공기의 공기압이 1kgf/cm2일 때, 압력공기가 OUT1로 흐른다. 보일러(10)가 운전 중일 때는 보통 OUT1, OUT2에 배분하여 압력공기가 공급된다. 이때, 점검을 위해 경로3으로 전환하면 경로1은 차단되고, 압력이 낮은 쪽으로 실린더가 움직인다. 경로2, 4 또한 경로 1, 3과 동일한 원리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 장치(100)에 의하면,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장치의 고장이 의심되면, 제1삼방밸브(510)와 제2삼방밸브(520)를 이용하여 공기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고장 확인이 가능하다. 실시 예에 따른 제1삼방밸브(510)와 제2삼방밸브(520)는 볼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노(20)의 외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온, 회, 수분, 분진 등의 이물질에 노출되기 때문에 녹이 슬거나, 변형이 일어나 장치의 고장이 일어나지만, 종래에는 운전실에서 제어부(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개념)를 이용해, 신호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실린더로드(410)가 움직이도록 해야만 했다. 즉,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고장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현장에서 밸브 조작만으로 신호공기의 공기압을 최대치와 최소치로 조정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므로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고장을 현장에서 즉시 파악 가능하다.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만이 고장이 의심된다고 하더라도,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공기를 공유하는 모든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신호공기압이 변경되어야만 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의심되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만 간단한 조작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고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변위 측정 장치(600)가 제공된 공기량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변위 측정 장치(600)는 LVDT(Linear Variable Displacement Transducer)일 수 있다. 변위 측정 장치(600)는 실린더로드(410)의 전후진에 따른 거리 변화를 측정한다. 변위 측정 장치(600)는 거리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공기량 측정 장치(100)가 입력 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판단하는 피드백신호로 사용한다. 변위 측정 장치(600)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범위는 실린더로드(410)의 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신호와 같은 범위인 제1값 내지 제2값을 갖도록 설정된다. 입력 신호인 전기적 신호에 따라 실린더 로드에 정상 변위가 발생한 경우, 정상 변위에 따라 출력되는 변위 측정 장치의 정상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인 전기적 신호와 같은 값이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이상적인 정상 상태에서 피드백신호는 입력 신호와 같은 값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실린더 로드(410)의 변위가 적절하게 발생한 것인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변위 측정 장치(600)에는 변위 측정 장치(600)를 위한 전원이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표현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공급 시스템을 표현한 것이다. 운전실(800)에는 시스템 운전자가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 운전자는 운전실(800)에 설치된 입력부(81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20)를 통해 시스템의 운영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복수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제공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4개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a, 100b, 100d, 100d)가 하나의 그룹으로 제공되는 것을 표현한다. 공기량 조절 장치(100)는 노(20)의 코너에 설치될 수 있고, 하나의 층을 이루는 것이 하나의 그룹을 이룰 수 있다. 공기량 조절 장치의 그룹은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간결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그룹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a, 100b, 100d, 100d)에는 하나의 입력신호(S1)에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다. 입력신호(S1)는 운전실에서 입력부(81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입력신호(S1)는 전기적 신호이다. 입력신호(S1)의 최대값은 제1값으로, 최소값은 제2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입력신호(S1)는 4mA 내지 20mA 범위의 전류값일 수 있다. 입력신호(S1)는 신호공기(S2)로 변환되어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로 인가된다. 입력신호(S1)는 전공변환기(900)를 통해 신호공기(S2)로 변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입력신호(S1)로 최대값과 최소값의 중간값인 12mA가 인가되면, 신호공기(S2)로는 상술하여 설명한 신호공기의 중간값인 0.6kgf/cm2으로 변환되어 포지셔너(300)로 인가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변위 측정 장치(600)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실린더로드(410, 도 13 참조)의 위치에 따른 전류값을 피드백신호로 출력하여 운전실로 전송한다. 변위 측정 장치(600)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 마다 설치된다. 각각의 변위 측정 장치(600a, 600b, 600c, 600d)는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a, 100b, 100d, 100d)에서 측정된 피드백 신호(P1, P2, P3, P4)는 운전실(800)으로 전송된다. 피드백신호(P1, P2, P3, P4)는 표시부(820)에 표시된다.
운전실(800)에서는 변위 측정 장치(600)에서 출력된 피드백신호(P1, P2, P3, P4)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공기량 조절 장치(100)가 정상 가동되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만약, 변위 측정 장치(600a)의 전류값이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운전실(800)에서 공기량 조절 장치(100a)의 점검이 필요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운전실에서는 현장의 작업자에게 공기량 조절 장치(100a)의 점검이 필요성을 전달하고, 현장에서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810)의 화면 구성이다. 표시부(810)는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810)에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 마다 입력된 입력신호와, 피드백신호가 표시된다.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구성에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그룹을 제1그룹과 제2그룹 두개만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수십개의 그룹이 표시부(8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표시부(810)에는 제1그룹을 이루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a, 100b, 100c, 100d)에 제1입력신호(S1-1)가 입력됨이 표시된다. 또한, 제2그룹을 이루는 공기량 조절 장치(100e, 100f, 100g, 100h)에 제2입력신호(S1-2)가 입력되는 상태가 표시된다.
표시부(810)에는 각각의 공기량 조절 장치(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의 변위에 따른 피드백신호(P1 내지 P8)가 표시된다. 설명을 위한 실시 예로, 피드백신호의 오차범위를 +-5%로 설정한다. 오차범위를 고려하면, 피드백신호(P1)는 11.4mA 내지 12.6mA의 범위가 정상이다. 공기량 조절 장치(100a)의 피드백신호(P1)는 8.0mA로 출력된다. 이는 오차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점검이 필요한 상태이다. 운전실의 운전자는 피드백신호(P1)를 보고 공기량 조절 장치(100a)의 점검이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다.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피드백신호가 발생한 경우,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알림은 표시부(810)를 통해 표시되는 시각적 알림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알림은 정상 상태일 때와 다른 색깔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는, 피드백신호가 정상상태일 때는 푸른색으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붉은색으로 표시한다.
운전실(800)에서 점검을 위한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공기량 조절 장치(100)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운전실에서 점검을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하고, 현장에 근무 중인 작업자가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실런더 로드의 직선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실(800)에서 점검을 위한 입력신호를 인가하고, 피드백신호를 관찰하여 여러 개소에 설치된 공기량 조절 장치(100) 중 점검이 필요한 공기량 조절 장치(100)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력 발전 시스템은, 운전실에서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고장이 의심되어 점검이 필요한 개소를 파악할 수 있고, 고장이 의심되는 개소의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 여부를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공기량 조절 장치의 고장 여부를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고장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입력신호에 따라 신호공기공급원으로부터 신호공기를 입력받고, 압력공기공급원으로부터 압력공기를 공급받는 공기량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는 실린더와 포지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실린더실을 제1실린더실과 제2실린더실으로 구획하고, 상기 실린더실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결합된 실린더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너는,
    제1값 내지 제2값 범위의 전기적 신호인 입력신호에 비례하여 상기 실린더로드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상기 공기 공급 시스템은,
    상기 제1값 내지 상기 제2값 범위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실린더로드의 변위에 비례하여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피드백신호로서 출력되도록 설정된 변위 측정 장치; 및
    상기 변위 측정 장치의 상기 피드백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너는,
    상기 제1실린더실과 연통하는 제1실린더실연통구; 및
    상기 제2실린더실과 연통하는 제2실린더실연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는,
    일측이 대기로 통하며, i)제1실린더실연통구와 상기 제1실린더실을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대기 측을 폐쇄하거나, ii)상기 제1실린더실과 상기 대기 측의 경로를 개방하고 제1실린더실연통구를 페쇄하는 제1삼방밸브; 및
    일측이 대기로 통하며, i)제2실린더실연통구와 상기 제2실린더실을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대기 측을 폐쇄하거나, ii)상기 제2실린더실과 상기 대기 측의 경로를 개방하고 제2실린더실연통구를 페쇄하는 제2삼방밸브;
    를 포함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는 여러 개소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는 여러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것으로, 복수개의 그룹으로 제공되며, 상기 하나의 그룹 마다 하나의 입력신호가 인가되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위 측정 장치는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 마다 제공되고,
    운전실에는 표시부가 배치되며,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하나의 그룹 마다 인가된 입력신호와, 상기 공기량 조절 장치 마다 제공된 상기 변위 측정 장치 각각에서 출력되는 피드백신호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와 상기 피드백신호는 4mA 내지 20mA 범위의 전류값인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로 인가된 전기적 신호는 공기압인 신호공기로 변환되어 상기 포지셔너로 인가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와 상기 피드백신호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도록 상이한 경우 상기 표시부에는 알람이 표시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KR1020230124663A 2023-06-16 2023-09-19 공기량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 및 고착 현상을 현장에서 체크 가능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KR102678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4663A KR102678667B1 (ko) 2023-09-19 2023-09-19 공기량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 및 고착 현상을 현장에서 체크 가능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PCT/KR2024/007974 WO2024258150A1 (ko) 2023-06-16 2024-06-11 고착 현상 현장 체크 가능한 공기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4663A KR102678667B1 (ko) 2023-09-19 2023-09-19 공기량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 및 고착 현상을 현장에서 체크 가능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8667B1 true KR102678667B1 (ko) 2024-06-27

Family

ID=9171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4663A KR102678667B1 (ko) 2023-06-16 2023-09-19 공기량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 및 고착 현상을 현장에서 체크 가능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86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03Y1 (ko) * 2008-04-02 2009-08-0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보일러의 보조 공기 조절 장치
KR20190058548A (ko) * 2016-09-21 2019-05-29 메트소 플로우 컨트롤 오와이 액추에이터용 방법 및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03Y1 (ko) * 2008-04-02 2009-08-0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보일러의 보조 공기 조절 장치
KR20190058548A (ko) * 2016-09-21 2019-05-29 메트소 플로우 컨트롤 오와이 액추에이터용 방법 및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1814B2 (en) Valve signature diagnosis and leak test device
JP4740218B2 (ja) 圧力レギュレータの不感帯を決定する方法
JP5503606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圧力レギュレータ
KR102582000B1 (ko) 고착 현상 현장 체크 가능한 공기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CN100543628C (zh) 利用控制环路操作控制阀并对该控制环路执行诊断的方法和装置
KR20140034206A (ko) 자동 속도 검색 장치 및 제어 밸브의 부분 행정 테스트 방법
US20130312421A1 (en) Fuel control system for a gas turbine engine
US9354141B1 (en) Turbine liquid fuel simulator
KR102678667B1 (ko) 공기량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 및 고착 현상을 현장에서 체크 가능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US92610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luid separation and/or monitoring the health of a valve
CN212360771U (zh) 一种改进型气体密封装置
WO2024258150A1 (ko) 고착 현상 현장 체크 가능한 공기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공기 공급 시스템
JP2667609B2 (ja)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
CN102155302A (zh) 用于燃气涡轮发动机中的燃料控制组件的系统和设备
JP2007247903A (ja) フランジ結合部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パイプラインの異常検出装置
JP2013241873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異常検知方法
US5476071A (en) Pressurized fluidized bed boiler
US2016016111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ulti-burner system by means of combustion air pressure measurement and regulation
US2170350A (en) Control system
Gardner Completion and Initial Testing of a Pressurized Oxy-Coal Reactor
JPS63183230A (ja) ガスタ−ビン燃焼温度制御方法
JP7220063B2 (ja) バーナー冷却装置
JP4118260B2 (ja) ボイラ制御方法及びボイラ制御装置
JPS6318090B2 (ko)
KR102458799B1 (ko) 발전소용 터빈제어 액추에이터의 안전 제어를 위한 유압서보밸브의 이중화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