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176B1 -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 Google Patents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176B1
KR102675176B1 KR1020230133586A KR20230133586A KR102675176B1 KR 102675176 B1 KR102675176 B1 KR 102675176B1 KR 1020230133586 A KR1020230133586 A KR 1020230133586A KR 20230133586 A KR20230133586 A KR 20230133586A KR 102675176 B1 KR102675176 B1 KR 10267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discharge passage
responding
oil spill
expans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13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5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유체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유체가 에어벤트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유출될 가능성이 높을 경우,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를 에어벤트의 증기배출유로 내부에 삽입시킨 후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기배출유로의 밀봉으로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밀봉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의 일측에 연통되고, 격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공급되는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저장부를 포함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ONE-TOUCH AIR VENT SEALING DEVICE TO RESPOND TO OIL SPILL ACCIDENTS}
개시된 내용은 유체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유체가 에어벤트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유출될 가능성이 높을 경우,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를 에어벤트의 증기배출유로 내부에 삽입시킨 후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기배출유로의 밀봉으로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선박에는 유류(기름류), 워터, 빌지 등을 저장해 두는 저장탱크 및 해수를 채우는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저장 탱크에는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단에 에어벤트(AIR VENT)가 장착된다.
한편, 선박 좌초나 충돌과 같은 해상사고로 인해 유조선의 선체에 파공이 발생하거나 에어벤트를 통한 기름이나 액체 화학물질등의 역류를 통해 선박내에 수용되었던 유류나 각종 화학물질들이 해상으로 유출되어 심각한 해양 오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렇게 유출된 기름이나 액체 화학물질들은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기름이 유출된 경우에는 해상에서 기름을 신속하게 수거하는 작업이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류가 방제된 경우에는 원상복구를 위한 막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생활터전의 황폐화로 인해 천문학적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해상 사고가 발생한 후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액체를 수거하기 위한 기술이 다각도로 개발되고 있으나, 이미 유출된 유류를 해상에서 수거하기 전에 선박에서 각종 액체, 즉 유류가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우선해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유류가 유출되는 경우는 선체간의 충돌, 선체의 노후 및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선체의 파손으로 유류가 유출되는 경우와, 선박의 전복 또는 좌초로 인해 선박 유류탱크의 에어벤트에서 유류가 유출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선체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선체 외판 파손 부위에 나무 플러그등의 유류 봉쇄 장치를 선체 외부에서 박아 넣는 방식으로 유류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에어벤트에서 유류가 유출되는 경우에는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에 유류 봉쇄를 위한 비닐재질의 봉쇄 커버를 덮고 커버 입구를 밀봉하여 유류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벤트 밀봉 방법은 설치가 어려워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봉쇄 커버의 부피가 커서 이동에 제약을 많이 받을 뿐 아니라 설치 후 파손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밀 유지가 되지 않아 누유가 있고, 재활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철거 시 기름의 유출이 불가피하며, 유류 탱크로의 수분 유입이 발생하여 수용된 유류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유류 유출 봉쇄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68591호(2018.06.11. 등록)에는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 내부로 삽입되며,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를 밀봉하는 밀봉튜브 및 상기 밀봉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유체펌프모듈, 상기 유체펌프모듈과 상기 밀봉튜브를 서로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유체의 이송통로가 형성된 유로관을 포함하는 유로관모듈 및 상기 유로관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에어벤트 밀봉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14848호(2015.10.13. 공개)에는 고무패킹이 내장된 덮개판넬이 파공부위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로 구성되고, 덮개판넬을 관통하여 파공부에 삽입되는 유도파이프가 형성되며, 유도파이프의 안쪽 끝부분은 꺽쇠 형태로 구성되어 파공부위 내부로 들어가 선체벽체 내부에 걸리게 되고, 바깥쪽에 형성된 고정나사에서 고정너트를 조임으로 인해 덮개판넬이 선체벽체 외부에 밀착되면서 고무패킹을 압박하여 완전밀폐를 확보하는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유류 유출 봉쇄 장치의 경우에는 파공부위를 밀봉하거나 에어벤트를 막아 밀봉하는 단순기능만 제공됨에 따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에어벤트를 완전 봉쇄하거나 파공부위를 완벽하게 밀봉하는 데는 한계를 갖는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68591호(2018.06.11. 등록)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14848호(2015.10.13. 공개)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밀봉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의 일측에 연통되고, 격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공급되는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 및 상기 팽창튜브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를 유출하는 해압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증기배출유로의 밀봉으로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고, 기밀 유지가 되어 철거 시 기름의 유출이 없으며, 유류 탱크로의 수분 유입이 발생하지 않아 수용된 유류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밀봉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의 일측에 연통되고, 격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공급되는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저장부를 포함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플레이터부는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수단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배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트리거 작동 핀 및 상기 트리거 작동 핀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작동 핀에 외력을 전달하는 작동줄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팽창부는,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 및 상기 팽창튜브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튜브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를 유출하는 해압밸브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팽창튜브는, 팽창시 직경이 가변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팽창튜브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U'자형을 형성하여, 팽창시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와 인접한 증기배출유로의 외주면을 감싸는 밀봉면 및 상기 팽창튜브의 측면을 형성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팽창튜브의 외주면 형상을 유지시키는 링 형상의 고정면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팽창튜브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U'자형을 형성하고, 팽창시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와 인접한 증기배출유로의 외주면을 감싸는 밀봉면, 상기 밀봉면에 돌출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팽창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부튜브 및 상기 팽창튜브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팽창튜브의 외측면 형상을 유지시키는 링 형상의 고정면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체결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부를 상기 증기배출유로에 장착시키는 거치부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결합되고, 일정 면적의 결합면을 갖는 거치판, 저면이 상기 결합면 상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저면의 모서리에 직립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을 갖는 고정블록 및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면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블록과 나사 결합되어 전·후진하는 거치제어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체제어부재는 길이 방향의 제어봉, 상기 제어봉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판 및 상기 제어봉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봉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외력이 작용하는 작동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밀착판이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에 장착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체는 이산화탄소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에 의하면,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밀봉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팽창시 직경이 가변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기배출유로의 밀봉으로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고, 기밀 유지가 되어 철거 시 기름의 유출이 없으며, 유류 탱크로의 수분 유입이 발생하지 않아 수용된 유류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팽창부의 일측에 연통되고, 격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부를 포함하여, 해상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팽창튜브를 팽창시켜 에어벤트가 빠르게 밀봉되도록 구성되어, 해상 사고로 인한 유류 유출의 대응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줄을 당겨 트리거 작동 핀이 조작되는 인플레이터부를 구비함으로써, 해상 사고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작동하여 에어벤트를 밀봉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에 의하면,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부피가 작아 이동에 제약이 없을 뿐 아니라 설치 후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가 에어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가 거치부에 의해 에어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로 구성된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로 구성된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개시된 내용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c)는 개시된 내용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가 에어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1)는 유체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유체가 에어벤트(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유출될 가능성이 높을 경우,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110)를 에어벤트의 증기배출유로(10) 내부에 삽입시킨 후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기배출유로(10)의 밀봉으로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100), 인플레이터부(200), 기체저장부(300), 거치부(400) 및 케이스(500)를 포함한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팽창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10)를 밀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팽창부(100)는 일측에서 기체를 유입시키면 기압에 의해 팽창되는 구성으로, 에어벤트의 증기배출유로(10) 내에 삽입되어 팽창시 증기배출유로(10)를 밀봉시켜 선박의 좌초 또는 충돌시에도 에어벤트 내의 유류가 해상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팽창부(100)는 일측으로 상기 인플레이터부(200)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팽창부(100)는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 (110) 및 상기 팽창튜브(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튜브(110)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를 유출하는 해압밸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팽창튜브(11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벤트의 증기배출유로(10)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기체가 유입됨에 따라 부풀고, 유입되었던 기체가 배출되면 원상 회복되는 탄성 재질의 튜브로 제공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팽창튜브(110)는 도 2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시 직경이 가변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되어, 증기배출유로(10) 내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로 구성된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개시된 내용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110)는 도 6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U'자형을 형성하여, 팽창시 상기 증기배출유로(10)의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와 인접한 증기배출유로(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밀봉면(111) 및 상기 팽창튜브(110)의 측면을 형성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팽창튜브의 외주면 형상을 유지시키는 링 형상의 고정면(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팽창튜브(110)는 상면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U'자 형상을 갖는 튜브로 구성되고, 오목한 상면인 밀봉면(111) 외측으로 상기 증기배출유로(10)의 개방구를 밀착시켜 팽창튜브(110)를 팽창시킴으로써, 유입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증기배출유로(10)의 외주면 및 개방구에 상기 밀봉면(111)이 압착되어 에어벤트(10)를 밀봉하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U'자 형의 팽창튜브(110)의 외주면의 측면의 경우, 팽창튜브(110) 내부에 유입된 기체의 압력에도 늘어나거나 팽창되지 않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고정면(112)을 포함한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110)는 상면이 오목한 밀봉면(111)으로 구성되고, 측면이 형상 변화가 없는 고정면(112)으로 구성된 'U'자 형의 튜브로 구성되어, 인플레이터부(200)에 의해 팽창될 때 고정면(112)은 팽창되지 않아 외측면을 일정 형태로 유지한 상태로 밀봉면(111)이 팽창되어 증기배출유로(10)의 개방구 및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에어벤트(10)를 밀봉하게 된다.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로 구성된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c)는 개시된 내용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110)는 도 7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시 증기배출유로(10)의 내부 뿐 아니라 증기배출유로(10)의 개방구와 이에 인접한 외주면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밀봉면(111), 내부튜브(113) 및 고정면(112)을 포함한다.
상기 밀봉면(111)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U'자형을 형성하고, 팽창시 상기 증기배출유로(10)의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와 인접한 증기배출유로(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기 팽창튜브(110)의 상면에 해당한다.
상기 내부튜브(113)는 상기 밀봉면(111)에 돌출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증기배출유로(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팽창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면(112)은 상기 팽창튜브(110)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팽창튜브(110)의 외측면 형상을 유지시키는 링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110)는 상면이 오목한 밀봉면(111)으로 구성되고, 측면이 형상 변화가 없는 고정면(112)을 갖으며, 상기 밀봉면(111)의 중심측에 돌출형성된 내부튜브(1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인플레이터부(200)에 의해 팽창될 때 고정면(112)은 팽창되지 않고 외측면을 일정 형태로 유지한 상태로 밀봉면(111) 및 내부튜브(113)가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기배출유로(10)의 개방구 및 일정 높이의 외주면 뿐 아니라 증기배출유로(10)의 내부에도 팽창튜브가 밀착되어 에어벤트를 밀봉하게 된다.
즉, 제3실시예에 따른 팽창튜브(110)는 기체 유입시, 밀봉면(111) 및 내부튜브(113) 측이 팽창되어, 증기배출유로(10)의 내부 및 외부측이 강하게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부(200)는 상기 팽창부(100)의 일측에 연통되고, 격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팽창부(100)로 기체를 배출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부(200)는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수단이 구비된 하우징(210), 상기 배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트리거 작동 핀(220) 및 상기 트리거 작동 핀(220)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작동 핀(220)에 외력을 전달하는 작동줄(230)을 포함한다.
상기 트리거 작동 핀(220)은 배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으로, 펀칭 부위(미도시)의 일부를 파손시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 작동 핀(220)은 상기 작동줄(230)과 연결되어 작동줄(230)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기체저장부(300)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압축기체가 저장 가능한 다양한 용량을 가지는 압축 기체 보관을 위한 카트리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저장부(3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체저장부(300)의 앞쪽에 펀칭 부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펀칭 부위(미도시)의 앞쪽에 밀봉 면 또는 펀칭 면이 형성될 수 있다. 펀칭 면이 예를 들어 타정 핀과 같은 펀칭 수단에 의하여 펀칭이 되면서 배출 홀이 형성되어 압축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체저장부(300)에 압축 기체가 수용될 수 있고, 기체저장부(300)는 카트리지 또는 봄베(bombe)와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기체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가 거치부에 의해 에어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거치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부(200)를 상기 증기배출유로(10)에 장착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거치부(400)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1)가 에어벤트(10)에 안전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거치판(410), 고정블록(420) 및 거치제어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판(410)은 상기 인플레이터부(200)에 결합되고, 일정 면적의 결합면(411)을 갖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판(410)은 일정 면적의 결합면(411)이 상기 고정블록(420)의 저면과 나사 결합되며, 결합면(411)의 일측 모서리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인플레이터부(200)의 하우징(210)과 결합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고정블록(420)은 저면(421)이 상기 결합면(411) 상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저면(421)의 모서리에 직립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422)을 갖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420)은 일측면에 상기 거치제어부재(430)의 후술할 제어봉(431)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면이 에어벤트의 증기배출유로(10) 내에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거치제어부재(430)는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420)의 일측면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420)의 양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블록(420)과 나사 결합되어 전·후진 이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거치제어부재(430)는 길이 방향의 제어봉(431), 상기 제어봉(431)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배출유로(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판(432) 및 상기 제어봉(431)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봉(431)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외력이 작용하는 작동볼트(4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밀착판(432)이 상기 증기배출유로(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10)에 장착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작동볼트(433)를 회전시켜 밀착판(432)이 증기배출유로(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조작하여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1)가 에어벤트(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판(432)은 증기배출유로(10)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는 고무와 같은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에어벤트 봉쇄 장치의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케이스(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1)를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 봉쇄장치보관홈(510) 및 여분의 기체저장부(300)를 다수개로 보관할 수 있는 기체저장부보관홈(520)이 구비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에 의하면,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밀봉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팽창시 직경이 가변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기배출유로의 밀봉으로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고, 기밀 유지가 되어 철거 시 기름의 유출이 없으며, 유류 탱크로의 수분 유입이 발생하지 않아 수용된 유류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팽창부의 일측에 연통되고, 격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부를 포함하여, 해상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팽창튜브를 팽창시켜 에어벤트가 빠르게 밀봉되도록 구성되어, 해상 사고로 인한 유류 유출의 대응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줄을 당겨 트리거 작동 핀이 조작되는 인플레이터부를 구비함으로써, 해상 사고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작동하여 에어벤트를 밀봉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에 의하면,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부피가 작아 이동에 제약이 없을 뿐 아니라 설치 후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10 : 에어벤트, 증기배출유로 100 : 팽창부
110 : 팽창튜브 111 : 밀봉면
112 : 고정면 113 : 내부튜브
120 : 해압밸브 200 : 인플레이터부
210 : 하우징 220 : 트리거 작동 핀
230 : 작동줄 300 : 기체저장부
400 : 거치부 410 : 거치판
411 : 결합면 420 : 고정블록
421 : 저면 422 : 측면
430 : 거치제어부재 431 : 제어봉
432 : 밀착판 433 : 작동볼트
500 : 케이스 510 : 봉쇄장치보관홈
520 : 기체저장부보관홈

Claims (10)

  1.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벤트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밀봉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의 일측에 연통되고, 격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공급되는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플레이터부는,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수단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배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트리거 작동 핀; 및
    상기 트리거 작동 핀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작동 핀에 외력을 전달하는 작동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 및
    상기 팽창튜브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튜브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를 유출하는 해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튜브는,
    팽창시 직경이 가변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튜브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U'자형을 형성하여, 팽창시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와 인접한 증기배출유로의 외주면을 감싸는 밀봉면; 및
    상기 팽창튜브의 측면을 형성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팽창튜브의 외주면 형상을 유지시키는 링 형상의 고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튜브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U'자형을 형성하고, 팽창시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와 인접한 증기배출유로의 외주면을 감싸는 밀봉면;
    상기 밀봉면에 돌출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팽창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부튜브; 및
    상기 팽창튜브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팽창튜브의 외측면 형상을 유지시키는 링 형상의 고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체결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부를 상기 증기배출유로에 장착시키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결합되고, 일정 면적의 결합면을 갖는 거치판;
    저면이 상기 결합면 상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저면의 모서리에 직립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을 갖는 고정블록; 및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면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블록과 나사 결합되어 전·후진하는 거치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제어부재는,
    길이 방향의 제어봉;
    상기 제어봉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판; 및
    상기 제어봉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봉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외력이 작용하는 작동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밀착판이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증기배출유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KR1020230133586A 2023-10-06 2023-10-06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KR10267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3586A KR102675176B1 (ko) 2023-10-06 2023-10-06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3586A KR102675176B1 (ko) 2023-10-06 2023-10-06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5176B1 true KR102675176B1 (ko) 2024-06-18

Family

ID=9167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3586A KR102675176B1 (ko) 2023-10-06 2023-10-06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51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848A (ko) 2014-04-02 2015-10-13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101868591B1 (ko) 2017-08-31 2018-06-19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에어벤트 밀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848A (ko) 2014-04-02 2015-10-13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101868591B1 (ko) 2017-08-31 2018-06-19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에어벤트 밀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774A (ko) 오일 저장 및 수송 장치
WO2011046802A2 (en) Material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with degassing assembly
US5035729A (en) Liquid separation and recovery apparatus for fuel tank vent line
KR101845072B1 (ko)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US20080272116A1 (en) Fuel bladder apparatus and method
US9809109B2 (en) Ballooning self-sealing bladders
KR102675176B1 (ko) 유류 유출 사고 대응을 위한 원터치 에어벤트 봉쇄 장치
US6003540A (en) Device for confining gas leaks from a gas cylinder
DK1151914T3 (da) System til at holde en hvilken som helst skibstype flydende i tilfælde af en læk
KR101868591B1 (ko) 에어벤트 밀봉장치
KR100843978B1 (ko) 유해물질 누출방지장치
KR20100017595A (ko) 긴급 상황의 경우에 오염 유발 액체를 회수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부유 선박 및 이러한 오염 유발 액체의 회수 방법
KR101879573B1 (ko) 고속 보트용 연료누유 방지 및 연료 회수 장치
US6883675B2 (en) Drum vent
US10392185B2 (en) Cover for storage tanks
JP2009264529A (ja) 蓄圧装置
KR970026836A (ko) 그린 탱크
JP2562422B2 (ja) マリンホース
JP2006143291A (ja) 浮屋根式貯蔵タンク
KR960034065A (ko) 탱커선의 잔류오일 회수장치
JP2597830Y2 (ja) 水中貯槽
JP2001225787A (ja) オイルの流出拡散防止構造を施したオイルタンカー
KR20100016895A (ko) 선박 보수장치
CN117545684A (zh) 加注系统
KR20160008876A (ko) 선박의 연료 저장 탱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