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030B1 - 차량용 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5030B1 KR102675030B1 KR1020180161288A KR20180161288A KR102675030B1 KR 102675030 B1 KR102675030 B1 KR 102675030B1 KR 1020180161288 A KR1020180161288 A KR 1020180161288A KR 20180161288 A KR20180161288 A KR 20180161288A KR 102675030 B1 KR102675030 B1 KR 102675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unit
- area
- beam pattern
- control obje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31 signali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조사부, 상기 빔 패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광조사제어부, 자기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방 이미지를 통하여 전방 물체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전방 물체가 제어 대상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 판단부, 상기 빔 패턴 영역 중 상기 제어 대상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된 대상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를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들 중, 헤드 램프는 야간과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황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쉴드 부재의 구비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헤드 램프가 하나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기도 하고,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가 각각 별개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차량용 램프는, 전방 차량의 운전자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 유발을 예방하도록 평상시에는 주로 로우 빔 패턴을 유지하고, 고속 주행 시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곳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한 상태로 주행 중에, 전방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이 감지되면, 램프의 광 조명 각도, 밝기, 폭 및 길이 등을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전방 차량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 시키지 않도록 일정 영역에 암영대를 형성하는 ADB(Adaptive Driving Beam) 헤드 램프, 즉 적응형 헤드 램프가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기 차량과 전방에 위치한 제어 대상물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복수의 픽셀 빔 패턴과 제어 대상물이 포함된 전방 이미지를 비교하여 대상 영역을 검출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조사부, 상기 빔 패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광조사제어부, 자기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방 이미지를 통하여 전방 물체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전방 물체가 제어 대상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 판단부, 상기 빔 패턴 영역 중 상기 제어 대상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된 대상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빔 패턴과 전방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어 대상물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단일 카메라와 차량용 램프만으로도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조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광원부 및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이미지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스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광원부 및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주요면과 제2 주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광조사부 및 이미지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조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광원부 및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이미지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스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광원부 및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주요면과 제2 주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광조사부 및 이미지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광조사부(100), 광조사제어부(200), 이미지 검출부(300), 식별부(400), 대상 판단부(500), 영역 검출부(600), 연산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부(100)는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부(110)와 제1 광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참고해보면, 광원부(110)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광원(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학부(120)는 광 이동 경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12)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0)에서 발생된 광은 제1 광학부(120)에 입사 및 출사 되어 빔 패턴(BP)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112)에서 발생한 광은 제1 광학부(120)에 입사 및 출사 되면서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형성하고, 빔 패턴(BP)은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빔 패턴(BP)의 밝기는 빔 패턴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학부(120)의 복수의 광학 부재는 복수의 렌즈, 복수의 미러 및 복수의 프리즘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광학 부재로써, 복수의 렌즈를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광조사제어부(200)는 빔 패턴(BP)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광조사부(1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광원부(110)의 광량을 제어함에 따라 빔 패턴(BP)을 로우 빔 패턴과 하이 빔 패턴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광원(112)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제어함에 따라 빔 패턴에 암영대(SS)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광조사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2)을 제어함에 따라 빔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빔 패턴(BP)은 광원부(110)의 발광 이미지가 상하좌우 반전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소등된 이미지로 광원부의 발광면이 형성될 경우, 빔 패턴은 도 4(b)와 같이 암영대가 포함되고 상하좌우가 반전된 광원부의 발광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광원부의 발광 이미지와 빔 패턴이 상하좌우 반전되게 형성할 경우, 광학부에 포함되는 광학 부재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차량용 램프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이미지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지 검출부(300)는 자기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검출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이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검출부(300)는 센서부(310)와 제2 광학부(320)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 광학부(320)는 광이 입사되는 방향에 따라 나열된 복수의 광학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310)는 전방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제2 광학부(320)에서 입사된 광이 결상되는 복수의 픽셀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센서부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픽셀은 메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400)는 검출된 전방 이미지를 통하여 전방 물체를 식별하도록 형성되고, 대상 판단부(500)는 식별된 전방 물체가 제어 대상물(V)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방 물체가 제어 대상물(V)인 경우, 대상 판단부(500)는 제어 대상물에 별도의 식별자를 설정하거나 제어 대상물의 위치 각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400)와 대상 판단부(500)는 이미지 검출부(300)의 제어부로 형성되거나, 차량 내부에 있는 별도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제어 대상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빔 패턴의 영역에 암영대(SS)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량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방에 있는 모든 물체를 제어 대상으로 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400)에서 식별된 전방 물체가 사람 및 차량인 경우에만 제어 대상물(V)로 판단하도록 대상 판단부(500)를 설정할 수 있다.
영역 검출부(600)는 빔 패턴(BP) 영역 중 제어 대상물(V)의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영역(R)을 검출하는 역할로, 영역 검출부(600)는 빔 패턴(BP)과 제어 대상물(V)이 포함된 전방 이미지를 비교하여 대상 영역(R)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영역 검출부(600)는 광조사제어부(200)를 제어하여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순차적으로 스캔하도록 형성되며, 영역 검출부(600)의 순차적 스캔에 따라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의 광량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의 광량을 변화시키도록 한다.
즉, 영역 검출부(600)가 실행하는 스캔은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의 광량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량이 변화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과 전방 이미지 상의 제어 대상물(V)의 위치가 대응할 경우, 광량이 변화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은 대상 영역(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은 대상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광조사제어부(200)는 광량이 변화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의 광량을 계속적으로 제어하여 대상 영역(R)에 대응되는 픽셀 빔 패턴의 영역에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영역(R)은 검출된 전방 이미지에 포함된 제어 대상물(V)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산부(700)는 영역 검출부(600)에서 검출된 대상 영역(R)을 바탕으로 제어 대상물(V)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H)를 연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연산부(700)를 통하여 제어 대상물(V)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H)를 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 간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복수의 센서, 레이더 및 복수의 카메라 등이 구비되어 많은 비용과 많은 신호를 처리했지만,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와 단일 카메라만으로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V) 간의 거리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산된 거리(H)를 통하여 암영대(SS)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된 거리(H)가 소정의 거리보다 클 경우, 대상 영역(R)에 대응하는 픽셀 빔 패턴의 영역에 조사되는 광량을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조절할 수 있고, 소정의 거리보다 짧을 경우, 대상 영역(R)에 대응하는 픽셀 빔 패턴의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소등하여 전체적인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 및 눈부심 방지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대상 영역(R)이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복수의 대상 영역(R)과 자기 차량의 거리(H)를 모두 연산하여 짧은 거리 순으로 복수의 대상 영역(R)에 조사되는 광량을 제어하여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된 거리가 짧을수록 광량이 약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연산부(700)에 의하여 연산된 거리(H)는 제어 대상물(V)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 값이 필요한 운전자보조장치(ADAS) 및 자율운행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검출부(600)의 스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스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 검출부(600)는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포함하는 빔 패턴(BP)과 제어 대상물(V)이 포함된 전방 이미지를 비교 및 스캔하여 대상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 검출부(600)는 빔 패턴(BP)의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스캔 하도록 광조사제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역 검출부(600)는 광조사제어부(200)를 제어하여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의 광량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광량이 제어된 픽셀 빔 패턴(PBP)과 전방 이미지에 포함된 제어 대상물(V)의 위치가 대응할 경우, 광량이 제어된 픽셀 빔 패턴(PBP)은 대상 영역(R)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대상물(V) 위치와 픽셀 빔 패턴(PBP) 대응 여부는 전술한 식별자와 픽셀 빔 패턴 일치 또는 포함 여부를 영역 검출부에서 판단하거나, 제어 대상물의 컬러 엣지 위치 정보와 픽셀 빔 패턴(PBP)의 일치 또는 포함 여부 등을 검출하여 영역 검출부(600)에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위 방식과 같이 모든 픽셀 빔 패턴을 순차적으로 스캔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영역 검출부(600)는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 방식으로 스캔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이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으로 형성하고, 광조사제어부(200)를 제어하여 도 6의 1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의 광량을 동시에 제어하여 제어 대상물의 위치와 대응하는지 스캔하고, 이후 순차적으로 제2 내지 제4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의 광량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영역 중 한 영역에 제어 대상물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즉, 한 영역과 제어 대상물의 위치가 대응할 경우, 도 6의 2번 내지 5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재 스캔할 수 있다. 이때에도,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순차적으로 스캔하거나 다시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스캔하여 제어 대상물(V)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이 대응할 때까지 스캔이 진행될 수 있다. 결국, 영역 검출부(600)는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 중 제어 대상물(V)의 위치에 대응되는 픽셀 빔 패턴(PBP)을 최소 개수로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을 대상 영역(R)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은 매트리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 중 횡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한 영역으로 형성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빔 패턴 중 종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한 영역으로 형성하여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영역별로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6 및 도 7에는 복수 개로 형성된 영역을 한 영역씩 스캔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복수의 영역을 동시에 스캔 하도록 영역 검출부(600)는 광조사제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검출부(600)는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 중 미 스캔 된 픽셀 빔 패턴 영역을 대략 절반씩 분할하여 스캔 하는 분할 방식으로 스캔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할 방식 스캔은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 영역 중 미 스캔 된 영역 대략 절반을 먼저 스캔 후 스캔 된 절반 영역과 제어 대상물의 위치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되지 않다면 다시 미 스캔 된 영역의 대략 절반을 스캔 하여 제어 대상물 위치 대응 또는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1번 내지 3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제어부(200)는 영역 검출부(60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 중 대략 절반의 광량을 제어하고, 영역 검출부(600)는 광량이 제어된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과 제어 대상물(V) 위치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되지 않을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과 제어 대상물(V)의 위치가 대응될 때까지 다시 광조사제어부(200)는 광량이 제어되지 않은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의 대략 절반의 광량을 제어하고, 영역 검출부(600)는 새롭게 제어된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과 제어 대상물 위치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4번 내지 6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방식으로 스캔 된 영역 중 한 영역이 제어 대상물(V)의 위치와 대응된다고 판단될 경우, 분할 방식으로 스캔 된 영역의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분할 방식으로 재 스캔하여,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 중 제어 대상물(V)의 위치와 대응되는 픽셀 빔 패턴(PBP)을 최소 개수로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을 대상 영역(R)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는 모든 제어 대상물이 한 픽셀 빔 패턴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V) 간의 거리(H)에 따라 전방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대상물(V)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어 대상물(V)의 위치에 대응 되는 픽셀 빔 패턴(PBP)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영역(R)은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영역(R)을 검출하기 위하여 스캔 영역 된 즉, 광량이 제어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과 제어 대상물 위치 미 대응 시, 광량이 변화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의 광량을 제어 이전 광량으로 형성되도록 영역 검출부(600)는 광조사제어부(200)를 제어하여, 스캔 중에도 운전자가 효율적으로 시야확보를 할 수 있다.
또한, 재 스캔의 경우에도 제어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의 광량을 제어 이전 광량으로 형성하고, 다시 제어되도록 영역 검출부(600)가 광조사제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연산부(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V) 간의 거리(H)를 연산할 수 있다.
이 때 방식은 이미지 검출부(300)의 사양을 알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거리 연산 방식에 차이점이 있다. 즉, 거리(H)를 연산하는 방식은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구체적 사양이 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광원부(110) 및 센서부(3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는 제1 주요면과 제2 주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지 검출부(300)의 구체적 사양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대상물 위치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2)의 길이 및 센서부(310)의 픽셀 길이를 바탕으로 제어 대상물(V)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H)를 연산부(700)에서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112)의 길이는 제1 광학부(120)의 제1 광축(Ax1)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길이는 제2 광학부(320)의 제2 광축(Ax2)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대상물(V)의 길이와 제어 대상물(V)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을 포함하는 대상 영역(R)의 길이는 상대적 크기라 구체적으로 연산하기 어렵지만, 대상 영역(R)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2)의 크기와 센서부(310)의 복수의 픽셀 중 대상 영역(R)에서 반사된 광이 결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크기는 광원(112)의 사양과 카메라의 사양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를 참고해보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x와 y는 대상 영역(R)의 길이이고, x' 는 대상 영역(R)에서 반사되는 광이 결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길이이고, y'는 대상 영역(R)에 조사되는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2) 길이이고, l'는 y'에서 광조사부(100)의 제1 주요면(122)까지의 거리이고, L'는 x'에서 이미지 검출부(300)의 제1 주요면(322)까지의 거리이고, l은 광조사부(100)의 제2 주요면(124)에서 대상 영역(R)이 형성된 면까지의 거리이고, L은 이미지 검출부(300)의 제2 주요면(324)에서 대상 영역(R)이 형성된 면까지 거리이다. 제1 주요면 및 제2 주요면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결국 x=y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위 두 식은 다음과 같이 연립 될 수 있다.
또한, 광조사부(100)의 제2 주요면(124)에서 대상 영역(R)의 면까지 형성된 거리(l)와 이미지 검출부(300)의 제2 주요면(324)에서 대상 영역(R)의 면까지 형성된 거리(L)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H는 자기 차량과 대상 영역까지의 거리이다. 즉,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 간의 거리이다. 이 두 식을 앞서 구한 연립식에 대입을 하면 다음과 같이 수학식 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d는 제1 광축(Ax1) 상에 형성된 제2 주요면(124)에서 제1 광학부(120)의 마지막 광학 부재의 출사면까지의 거리이고, D는 제2 광축(Ax2) 상에 형성된 제2 주요면(324)에서 제2 광학부(320)의 마지막 광학 부재의 출사면까지의 거리이다.
[수학식 1]
카메라의 사양과 램프의 사양을 알면, 위식에서 H를 제외한 나머지를 알 수 있고, H는 위 수학식 1을 연산할 경우 알 수 있으므로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해보면, 앞서 기술한 제1 주요면과 제2 주요면은 복수의 렌즈와 초점에서 입사되는 광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부의 광축 상에 위치한 제1 초점(P1)에서 발생한 광이 광학부의 마지막 광학 부재에 입사되어 첫 번째 광학 부재에서 평행광으로 출사될 경우, 첫 번째 광학 부재에 입사되는 광선을 연장한 선과 평행광을 연장한 선이 교차하는 지점(C1)들을 연결하여 제1 주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부의 광축 상에 위치한 제2 초점(P2)에서 발생한 광이 광학부의 첫 번째 광학 부재에 입사되어 마지막 광학 부재에서 평행광으로 출사될 경우, 마지막 광학 부재에 입사된 광선을 연장한 선과 평행광을 연장한 선이 교차하는 지점(C2)들을 연결하여 제2 주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도 2 및 도 5를 다시 참고해보면, 제1 광학부(120)에는 제1 주요면(122)과 제2 주요면(124)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광학부(320)에서도 제1 주요면(322)과 제2 주요면(324)이 형성됨에 따라 제어 대상물(V)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H)를 연산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광조사부 및 이미지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사양을 모를 경우, 대상 영역(R)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2)의 광조사각도(O)와 전방 이미지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대상 영역(R)의 위치 각도(S)를 통하여 제어 대상물(V)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H)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영역(R)과 차량의 인보드 영역 대응 여부에 따라 연산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역 검출부(600)는 대상 영역(R)이 차량 인보드 위치와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축(Ax1)을 기준으로 대상 영역(R)에 광을 발생시키는 광조사부(100)의 광조사각도(O)가 차량 내측으로 형성될 경우 대상 영역(R)이 인보드에 영역에 대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방 이미지 상에 일정한 각도 범위를 설정하여 각도 범위 내에 대상 영역(R) 또는 제어 대상물(V)이 위치할 경우, 대상 영역(R) 또는 제어 대상물(V)이 차량 인보드 영역에 대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 방법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하, 제1 광축(Ax1) 방향으로 형성된 대상 영역(R)에서 연장된 선과 광조사부(100)에서 제1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이 만나는 지점을 제1 지점(PP)이라고 하고, 광조사부(100)의 중심점을 제1 중심점(CP1), 이미지 검출부(300)의 중심점을 제2 중심점(CP2)이라고 한다. 또한, 제1 광축(Ax1)을 기준으로 형성된 광조사각도(O)가 설정될 수 있으며, 대상 영역(R) 또는 제어 대상물(V)의 위치 각도(S)가 제2 광축(Ax2)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영역(R)과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에 대응할 경우, 제1 중심점(CP1)에서 제2 중심점(CP2)까지의 길이(L)는 제1 중심점(CP1)에서 제1 지점(PP)까지의 길이()와 제1 지점(PP)에서 제2 중심점(CP2)까지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므로 다음과 같이 관계식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산하고자 하는 자기 차량에서 제어 대상물까지 거리(H)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00)의 광조사각도(O)와 제1 중심점(CP1)에서 제1 지점(PP)까지의 길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관계식이 설정될 수 있다.
A는 90도에서 제1 광축(Ax1)을 기준으로 형성된 광조사각도(O)를 뺀 값이다.
또한, 연산하고자 하는 자기 차량에서 대상 영역까지 거리(H)는 대상 영역(R)의 위치각도(S)와 제2 중심점(CP2)에서 제1 지점(PP)까지의 길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관계식이 설정될 수 있다.
B는 90도에서 제2 광축(Ax2)을 기준으로 형성된 대상 영역(R)의 위치 각도(S)를 뺀 값이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위는 다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삼각함수 공식에 다시 다음과 같이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즉, 연산부(700)는 대상 영역(R)의 위치가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과 대응할 경우, 광조사각도(O) 및 대상 영역의 위치각도(S)를 통하여 제어 대상물(V)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H)를 연산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영역(R)의 위치가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과 미 대응할 경우, 제1 광축(Ax1) 방향을 기준으로 자기 차량에서 대상 영역까지 거리(H)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00)의 광조사각도(O)와 제1 중심점(CP1)에서 제1 지점(PP)까지의 길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관계식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90도에서 제1 광축(Ax1)을 기준으로 형성된 광조사각도(O)를 뺀 값이다.
또한, 연산하고자 하는 자기 차량에서 대상 영역까지 거리(H)는 제어 대상물(R)의 위치 각도(S)와 제1 중심점(CP1)에서 제2 중심점(CP2)까지의 길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관계식이 설정될 수 있다.
B는 90도에서 제2 광축(Ax2)을 기준으로 형성된 대상 영역(R)의 위치 각도(S)를 뺀 값이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삼각함수 공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대상물(V)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H)는 다음과 같이 수학식 3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수학식 3]
즉, 연산부(700)는 대상 영역(R)이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과 미 대응할 경우, 대상 영역(R)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00)의 광조사각도(O)와 90도에서 전방 이미지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대상 영역(R)의 위치 각도(S)를 뺀 값을 통하여 상기 제어 대상물(R)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H)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대상물(V)의 크기에 따라 대상 영역(R)의 크기 또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 영역(R)은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112)은 복수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산부(700)는 각 픽셀 빔 패턴(PBP) 마다 형성되는 광원(112)의 광조사각도 및 위치 각도를 통하여 자기차량과 대상 영역 간의 거리 값이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거리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 간의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V) 간의 거리(H)를 연산할 수 있으므로, 광량을 정밀하게 제어하거나 제어 대상물(V)와 자기 차량 간의 거리 값이 필요한 운전자보조장치(ADAS) 및 자율운행 장치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거리 값 연산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 연산 방법은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S100), 전방 물체를 식별하는 단계(S110), 제어 대상물 판단하는 단계(S120),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스캔하는 단계(S130), 픽셀 빔 패턴과 제어 대상물 위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이미지 검출부 사양 정보 기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 수학식 1로 연산하는 단계(S160), 제어 대상물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170), 수학식 2로 연산하는 단계(S180) 및 수학식 3으로 연산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S100)는 이미지 검출부(300)가 자기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이고, 전방 물체를 식별하는 단계(S110)는 식별부(400)에서 전방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물체를 식별하는 단계이고, 제어 대상물 판단 단계(S120)는 식별된 물체가 사람, 차량 등과 같이 운전에 있어서 차량 램프의 제어가 필요한 물체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스캔하는 단계(S130)는 검출된 제어 대상물(V)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 대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복수의 픽셀 빔 패턴(PBP)을 스캔하는 단계이다. 스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조사제어부를 제어하여 빔 패턴의 전체 픽셀 빔 패턴을 한 개씩 순차적으로 스캔하거나 소정의 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로 스캔하거나, 분할 방식 등으로 스캔할 수 있다.
픽셀 빔 패턴(PBP)과 제어 대상물(V) 위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는 스캔에 따라 광량이 제어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과 제어 대상물(V)의 위치를 비교하여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과 제어 대상물(V)의 위치가 대응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PBP)를 대상 영역(R)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미지 검출부 사양 정보 기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는 전방을 촬영하는 이미지 검출부(300)의 광학 부재, 센서부(310)의 픽셀 크기 등을 알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이미지 검출부(300)의 별도의 저장 장치 또는 차량 내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 검출부(300)의 사양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학식 1로 연산하는 단계(S160)에서 전술한 수학식 1을 통해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V) 간의 거리(H)를 연산할 수 있다
이미지 검출부(300)의 사양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제어 대상물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대상물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170)는 제어 대상물(V) 또는 대상 영역(R)이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대상 영역(R)이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에 대응하는지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축(Ax1)을 기준으로 대상 영역(R)에 광을 발생시키는 광조사부(100)의 광조사각도(O)가 차량 내측으로 형성될 경우 대상 영역(R)이 인보드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방 이미지 상에 일정한 각도 범위를 설정하여 각도 범위 내에 대상 영역(R) 또는 제어 대상물(V)이 위치할 경우, 대상 영역(R) 또는 제어 대상물(V)이 차량 인보드 영역에 대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 방법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 대상물(V)이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에 대응할 경우, 수학식 2로 연산하는 단계(S180)에서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V) 간의 거리(H)를 전술한 수학식 2로 연산하여 도출할 수 있고, 제어 대상물(V)이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에 미 대응할 경우, 수학식 3으로 연산하는 단계(S190)에서 자기 차량과 제어 대상물(V) 간의 거리(H)를 전술한 수학식 3으로 연산하여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조사부 110: 광원부
120: 제1 광학부 200: 광조사제어부
300: 이미지 검출부 310: 센서부
320: 제2 광학부 400: 식별부
500: 대상 판단부 600: 영역 검출부
700: 연산부
120: 제1 광학부 200: 광조사제어부
300: 이미지 검출부 310: 센서부
320: 제2 광학부 400: 식별부
500: 대상 판단부 600: 영역 검출부
700: 연산부
Claims (18)
-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조사부;
상기 빔 패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광조사제어부;
자기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방 이미지를 통하여 전방 물체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전방 물체가 제어 대상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 판단부;
상기 빔 패턴 영역 중 상기 제어 대상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대상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을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이 입사 및 출사되는 복수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빔 패턴은, 상기 복수의 광원의 광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된 빔 패턴과 상기 제어 대상물이 포함된 전방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 검출부는,
광이 입사되는 제2 광학부; 및
상기 전방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광학부에서 입사된 광을 결상하는 복수의 픽셀로 형성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대상 영역에서 반사된 광이 결상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광학부의 제1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상기 대상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길이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광학부의 제2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픽셀 중 상기 대상 영역에 해당하는 광이 입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길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광원의 길이와 상기 검출된 픽셀의 길이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광조사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순차적으로 스캔하고,
상기 광조사제어부는 상기 순차적 스캔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의 광량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의 광량을 변화시키고,
상기 광량이 변화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이 상기 전방 이미지 상의 제어 대상물이 위치에 대응할 경우, 상기 광량이 변화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은 상기 대상 영역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빔 패턴의 일측부터 타측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스캔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로 스캔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인 제1 영역에 상기 제어 대상물 대응할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픽셀 빔 패턴을 재 스캔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 중 횡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 중 종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 중 미 스캔 된 픽셀 빔 패턴 영역을 절반씩 분할하는 분할 방식으로 스캔하고,
상기 분할 방식으로 스캔 된 영역인 제2 영역과 상기 제어 대상물 위치가 대응될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픽셀 빔 패턴을 상기 분할 방식으로 재 스캔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광량이 변화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과 상기 제어 대상물의 위치가 미 대응할 경우, 상기 광량이 변화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빔 패턴의 광량을 제어 이전 광량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광조사제어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검출부는 단일 카메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대상 영역이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과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대상 영역이 상기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에 대응할 경우, 상기 제1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상기 광조사부의 조사각도와 상기 제2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 이미지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상기 대상 영역의 위치각도를 통하여 상기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대상 영역이 상기 자기 차량의 인보드 영역에 미 대응할 경우, 상기 제1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상기 광조사부의 조사각도와 상기 제2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 이미지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상기 대상 영역의 위치각도를 90도에서 뺀 값을 통하여 상기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조사부;
상기 빔 패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광조사제어부;
자기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방 이미지를 통하여 전방 물체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전방 물체가 제어 대상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 판단부;
상기 빔 패턴 영역 중 상기 제어 대상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대상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을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이 입사 및 출사되는 복수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빔 패턴은, 상기 복수의 광원의 광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된 빔 패턴과 상기 제어 대상물이 포함된 전방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로 스캔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인 제1 영역에 상기 제어 대상물 대응할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픽셀 빔 패턴을 재스캔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조사부;
상기 빔 패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광조사제어부;
자기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방 이미지를 통하여 전방 물체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전방 물체가 제어 대상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 판단부;
상기 빔 패턴 영역 중 상기 제어 대상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대상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대상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 대상물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을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이 입사 및 출사되는 복수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빔 패턴은, 상기 복수의 광원의 광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으로 형성된 빔 패턴과 상기 제어 대상물이 포함된 전방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 빔 패턴 중 미스캔된 픽셀 빔 패턴 영역을 절반씩 분할하는 분할 방식으로 스캔하며, 상기 분할 방식으로 스캔된 영역인 제2 영역과 상기 제어 대상물 위치가 대응될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픽셀 빔 패턴을 상기 분할 방식으로 재스캔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288A KR102675030B1 (ko) | 2018-12-13 | 2018-12-13 | 차량용 램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288A KR102675030B1 (ko) | 2018-12-13 | 2018-12-13 | 차량용 램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3038A KR20200073038A (ko) | 2020-06-23 |
KR102675030B1 true KR102675030B1 (ko) | 2024-06-13 |
Family
ID=7113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1288A KR102675030B1 (ko) | 2018-12-13 | 2018-12-13 | 차량용 램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503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8454B1 (ko) | 2014-04-14 | 2016-06-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헤드램프용 레이저 광학계 |
KR101642848B1 (ko) * | 2014-12-17 | 2016-07-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물체 감지 장치 및 물체 감지 방법 |
KR101768500B1 (ko) * | 2016-01-04 | 2017-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운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18
- 2018-12-13 KR KR1020180161288A patent/KR10267503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3038A (ko) | 2020-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19841B2 (en) | Attached matter detector and vehicle equipment control apparatus | |
JP7048331B2 (ja) | 点灯制御装置 | |
US11040649B2 (en) | Vehicular sensor and vehicle provided with same | |
US8979336B2 (en) | Vehicle headlamp apparatus | |
EP2103867A2 (en) | Vehicle headlamp apparatus | |
KR20130047214A (ko) | 스팟 램프유닛, 상기 스팟 램프유닛이 구비된 헤드라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방 조명방법 | |
WO2018110389A1 (ja) | 車両用照明システムおよび車両 | |
KR20180134072A (ko) |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2019077204A (ja) | 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 | |
WO2019159765A1 (ja) | 車両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システム | |
US20220338327A1 (en) | Vehicle infrared lamp system, vehicle infrared sensor system, vehicle infrared-sensor-equipped lamp, and optical-sensor-equipped lamp | |
US20200039420A1 (en) | Vehicle lamp | |
JP5819153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EP4108523A1 (en) | Vehicle light | |
KR20230117231A (ko) |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프로젝션 장치, 조명 장치, 및차량 | |
EP3067826B1 (en) |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arallax image generation method | |
JP7312913B2 (ja) | 自動車両の照明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 |
CN110834580A (zh) | 前照灯的配光控制系统,配光控制装置,配光控制方法 | |
CN114867639A (zh) | 用于控制机动车辆照明系统的方法 | |
KR102675030B1 (ko) | 차량용 램프 시스템 | |
WO2022196296A1 (ja) | 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車両用灯具システム | |
WO2021193645A1 (ja) | ゲーティングカメラ、センシングシステム、車両用灯具 | |
JP6082446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7096701B2 (ja) | 撮像装置 | |
JP2015136066A (ja) | 物体検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