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479B1 -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 Google Patents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3479B1 KR102673479B1 KR1020230072632A KR20230072632A KR102673479B1 KR 102673479 B1 KR102673479 B1 KR 102673479B1 KR 1020230072632 A KR1020230072632 A KR 1020230072632A KR 20230072632 A KR20230072632 A KR 20230072632A KR 102673479 B1 KR102673479 B1 KR 1026734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unit
- connection
- lightweight concrete
- concrete sleepe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669679 Eleotr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으로서, 상기 레일이 연결되는 한쌍의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블럭유닛; 및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연결블럭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레일이 연결된 한쌍의 지지블럭을 연결블럭유닛으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침목을 형성시킴으로써, 지지블럭 또는 연결블럭유닛이 손상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연결블럭유닛의 길이에 따라 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되는 차량의 궤간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시공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레일이 연결된 한쌍의 지지블럭을 연결블럭유닛으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침목을 형성시킴으로써, 지지블럭 또는 연결블럭유닛이 손상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연결블럭유닛의 길이에 따라 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되는 차량의 궤간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시공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이 연결된 한쌍의 지지블럭을 연결블럭유닛으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침목을 형성시킴으로써, 지지블럭 또는 연결블럭유닛이 손상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연결블럭유닛의 길이에 따라 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되는 차량의 궤간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시공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경량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용 침목은, 열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과 노반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로부터 전달된 열차 하중을 노반에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 설치되는 지지부재로서, 초기에는 규격화된 크기의 목재를 소재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목재 침목은 열에 의한 신축이 거의 없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가공이나 취급이 용이하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력이 탁월한 장점이 있지만, 풍수와 큰 온도차에 의한 부식과 목재에 자생하는 여러 해충에 취약하여 적절하고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없는한 내구연한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목재 부식과 해충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침목의 표면에 오일 등을 지속적으로 도포하는 유지관리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인적인 자원의 계속적 투입과 오일 등의 화학적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이 필연적으로 수반되고, 침목용 목재로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당한 수령의 원목을 벌채해야 하므로 물적인 산림자원의 낭비와 자연훼손도 수반된다는 점에서 근래에는 목재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콘크리트 침목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침목은 단일화된 침목의 상부에 한쌍의 레일이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레일간 간격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레일간격에 따라 적정길이를 갖는 콘크리트 침목을 적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침목이 손상시 전체를 교체하게 되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광지나 위락 시설에 놀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레일 바이크나 놀이용 기차 등의 위락용 놀이기구는 제품마다, 제작사 또는 제작국가마다 바퀴 간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레일도 한번 설치된 후 바퀴 간격이 다른 놀이기구가 적용될 경우에는 전체 침목을 바꾸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전체 침목을 변경해야 한다면 침목을 새로이 제작해야 하고 기존 침목을 철거해야 하며, 새로이 제작된 침목을 시공해야 하는 등 비용과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이 연결된 한쌍의 지지블럭을 연결블럭유닛으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침목을 형성시킴으로써, 지지블럭 또는 연결블럭유닛이 손상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연결블럭유닛의 길이에 따라 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되는 차량의 궤간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시공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경량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으로서,
상기 레일이 연결되는 한쌍의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블럭유닛; 및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연결블럭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지지블럭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볼트축과,
상기 연결블럭유닛의 일면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블럭유닛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볼트축의 타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연결블럭유닛은 베이스패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양측면에는 나사공들이 형성된 가이드바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바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가압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블럭 및 상기 연결블럭유닛이 가압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가이드바는 안착캡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에는 상면에 상기 연결블럭유닛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안내면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레일을 지지하도록 한쌍의 지지블럭을 형성시키는 지지블럭 형성단계;
상기 지지블럭에 연결볼트축의 일단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블럭 연결볼트축 연결단계;
상기 지지블럭들 사이에 배치되며, 일면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게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블럭유닛을 형성시키는 연결블럭유닛 형성단계; 및
상기 연결볼트축을 상기 연결블럭유닛에 체결하여, 상기 연결블럭유닛에 상기 지지블럭들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들럭 연결들럭유닛 체결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블럭유닛 또는 상기 지지블럭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레일이 연결된 한쌍의 지지블럭을 연결블럭유닛으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침목을 형성시킴으로써, 지지블럭 또는 연결블럭유닛이 손상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연결블럭유닛의 길이에 따라 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되는 차량의 궤간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시공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폐쇄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폐쇄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폐쇄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경량 콘크리트 침목'이라 명명함)는 레일(100)을 지지하기 위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10)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침목(10)은 지지블럭(20)들과 연결블럭유닛(30)과 연결고정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블럭(20)들은 상기 레일(100)이 연결된다.
상기 지지블럭(20)은 콘크리트 및 석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경량 콘크리트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블럭(20)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100)이 상기 지지블럭(20)의 상면에 볼트체결되는 통상의 결속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지지블럭(20)은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을 유지히며 배치된다.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은 상기 지지블럭(20)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은 콘크리트 및 석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경량 콘크리트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은 지지블럭(20)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들럭들 사이의 간격을 줄이거나 넓힐 수 있게 되고, 상기 연결블럭유닛(30) 또는 상기 지지블럭(20)이 손상이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고정부(40)는 상기 지지블럭(20)과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고정부(40)는 상기 지지블럭(20)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볼트축(41)과,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의 일면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홈(42)과, 상기 체결홈(42)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43)과, 상기 관통홀(43)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42)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볼트축(41)의 타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4)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의 양단부에 상기 지지블럭(2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볼트축(41)은 상기 지지블럭(20)을 양생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블럭유닛(30)과 맞닿는 일면에 일단을 인서트시켜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지지들럭의 일면을 타공하고 앵커를 삽입한 후 상기 앵커에 상기 연결볼트축(41)의 일단이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의 단부와 상기 체결홈(42) 사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격벽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지지블럭(20)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블럭(20)과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은 베이스패널(5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50)의 양측면에는 나사공(61)들이 형성된 가이드바(60)가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바(60)에 형성된 나사공(61)에는 가압나사(62)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블럭(20) 및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을 상기 나사공(61)에 체결된 상기 가압나사(62)의 단부가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베이스패널(50)과 상기 가이드바(60)는 안착캡(70)에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바(60)는 상기 베이스패널(50)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바(60)는 상기 안전캡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배이스패널, 가이드바(60) 및 상기 안착캡(70)에 의해 상기 지지들럭과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외력에 의해 분리되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배이스패널, 가이드바(60) 및 상기 안착캡(7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배이스패널 및 상기 가이드바(60)는 상기 안착캡(70)에 억지끼움되며, 끼운된 후 나사체결 또는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안착캡(70)은 상부와 양측부가 개방된 케이스 또는 캡구조로 형성되며, 바닥패널의 상면 양측에 고정패널의 하단부를 용접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블럭(20)에는 상면에 상기 연결블럭유닛(30)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안내면(21)에 더 형성된다.
상기 경사안내면(21)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침목(10)을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빗물이 상기 경사안내면(21)을 따라 이동하여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레일(100)을 지지하도록 된 경량 콘크리트 침목(10)의 제조방법은 상기 레일(100)을 지지하도록 한쌍의 지지블럭(20)을 형성시키는 지지블럭 형성단계(S1)와, 상기 지지블럭(20)에 연결볼트축(41)의 일단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블럭 연결볼트축 연결단계(S2)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블럭(20)들 사이에 배치되며, 일면에 체결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42)과 연통되게 측면에 관통홀(43)이 형성된 연결블럭유닛(30)을 형성시키는 연결블럭유닛 형성단계(S3)와, 상기 연결볼트축(41)을 상기 연결블럭유닛(30)에 체결하여, 상기 연결블럭유닛(30)에 상기 지지블럭(20)들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들럭 연결들럭유닛 체결단계(S4)를 거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블럭유닛(30) 또는 상기 지지블럭(20)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블럭유닛(30)의 관통홀(43)이 형성된 양단부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블럭(20)을 지지하여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60) 내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압착패널을 더 부착하여, 상기 탄성압착패드가 상기 지지블럭(20) 및 상기 연결블럭유닛(30)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캡(70)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베이스패널(50), 가이드바(60), 지지블럭(20) 및 연결블럭유닛(30)에 전달되어, 상기 안착캡(70)에 상기 베이스패널(50), 가이드바(60), 지지블럭(20) 및 연결블럭유닛(30)이 끼움되거나 손상시 분리하는 과정에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홈(42)의 내면에 탄성코일스프링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볼트축(41)의 타단이 끼움되도록 중공의 축홀이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가압탄성패널을 나사체결하여, 상기 탄성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압탄성패널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볼트축(41)에 체결된 상기 고정너트(44)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볼트축(41)에 체결된 고정너트(4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42)에는 폐쇄마개(421)를 끼워 상기 체결홈(42)으로 이물질이나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상기 폐쇄마개(421)를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고, 상기 체결홈(42)에 억지끼움시켜 밀폐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콘크리트 침목 20 : 지지블럭
21 : 경사안내면 30 : 연결블럭유닛
40 : 연결고정부 41 : 연결볼트축
42 : 체결홈 421 : 폐쇄마개
43 : 관통홀 44 : 고정너트
50 : 베이스패널 60 : 가이드바
61 : 나사공 62 : 가압나사
70 : 안착캡
21 : 경사안내면 30 : 연결블럭유닛
40 : 연결고정부 41 : 연결볼트축
42 : 체결홈 421 : 폐쇄마개
43 : 관통홀 44 : 고정너트
50 : 베이스패널 60 : 가이드바
61 : 나사공 62 : 가압나사
70 : 안착캡
Claims (5)
-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으로서,
상기 레일이 연결되는 한쌍의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블럭유닛; 및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연결블럭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고정부로 이루어진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지지블럭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볼트축과,
상기 연결블럭유닛의 일면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블럭유닛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볼트축의 타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블럭유닛의 관통홀이 형성된 양단부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블럭을 지지하여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고,
상기 체결홈의 내면에 탄성코일스프링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볼트축이 끼움되도록 축홀이 형성된 가압탄성패널을 나사체결하여, 상기 탄성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압탄성패널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볼트축에 체결된 상기 고정너트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볼트축에 체결된 고정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연결블럭유닛은 베이스패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양측면에는 나사공들이 형성된 가이드바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바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가압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블럭 및 상기 연결블럭유닛이 가압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가이드바는 안착캡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에는 상면에 상기 연결블럭유닛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안내면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2632A KR102673479B1 (ko) | 2023-06-07 | 2023-06-07 |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2632A KR102673479B1 (ko) | 2023-06-07 | 2023-06-07 |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3479B1 true KR102673479B1 (ko) | 2024-06-10 |
Family
ID=9148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2632A KR102673479B1 (ko) | 2023-06-07 | 2023-06-07 |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3479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457Y1 (ko) * | 2003-05-23 | 2003-08-09 | (주)알.티.코리아 | 침목시스템 |
KR20100067512A (ko) * | 2008-12-11 | 2010-06-2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용 침목 |
JP2012052294A (ja) * | 2010-08-31 | 2012-03-15 | Hayashi Soji Kk | 鉄まくらぎの絶縁接続装置 |
KR101673957B1 (ko) | 2014-11-07 | 2016-11-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강콘크리트 합성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자갈궤도 |
JP6097554B2 (ja) * | 2012-12-25 | 2017-03-15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まくら木 |
-
2023
- 2023-06-07 KR KR1020230072632A patent/KR1026734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457Y1 (ko) * | 2003-05-23 | 2003-08-09 | (주)알.티.코리아 | 침목시스템 |
KR20100067512A (ko) * | 2008-12-11 | 2010-06-2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용 침목 |
JP2012052294A (ja) * | 2010-08-31 | 2012-03-15 | Hayashi Soji Kk | 鉄まくらぎの絶縁接続装置 |
JP6097554B2 (ja) * | 2012-12-25 | 2017-03-15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まくら木 |
KR101673957B1 (ko) | 2014-11-07 | 2016-11-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강콘크리트 합성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자갈궤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738195U (zh) | 用于轨道交通浮置板轨道的复合阻尼弹簧隔振器 | |
CN205134109U (zh) | 一种上锁扣型减震扣件系统 | |
KR102478557B1 (ko) | 콘크리트 침목 제조용 거푸집 구조 | |
KR101678589B1 (ko) |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 |
CN203625771U (zh) | 模数式梳齿板伸缩装置 | |
CN105421165A (zh) | 一种无砟轨道钢轨固定结构及其钢轨支撑装置 | |
KR102673479B1 (ko) |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 | |
KR101150786B1 (ko) | 철도용 침목 | |
CN209873465U (zh) | 一种跨座式城市单轨梁桥行车振动控制装置 | |
CN104088945A (zh) | 波纹结构阻尼减振器 | |
CN213740356U (zh) | 轨道用阻尼减震器 | |
KR101272472B1 (ko) | 탄성수지 고정방식의 저진동 철도교 | |
KR100397870B1 (ko) | 철도레일 방진체결장치 | |
KR100621485B1 (ko) | 고속철도용 프리스트레스 침목의 구조 | |
JP2006299740A (ja) | 振動減衰締結装置および軌道 | |
DE956687C (de) | Elastische Polsterauflagerung des Eisenbahngleises auf Bruecken, insbesondere auf staehlernen Eisenbahnbruecken | |
CN114517425A (zh) | 一种高阻尼钢轨稳定器及稳定方法 | |
KR100844965B1 (ko) | 레일 지지 구조 | |
CN206367954U (zh) | 一种具有减振功能的导轨模块 | |
CN221276198U (zh) | 一种具有自调整功能的轨道扣件 | |
CN213358168U (zh) | 减震防松动轨道 | |
KR102673485B1 (ko) | 매트리스 부재를 이용한 레일 궤간 조절이 가능한 경량 콘크리트 침목의 제조 방법 | |
CN215800701U (zh) | 一种减震型钢轨扣件装置 | |
CN205636373U (zh) | 一种pu轨下垫板 | |
CN108999101B (zh) | 一种基于缺陷型声子晶体的箱梁吸振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