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377B1 - 자동화를 위한 전자 담배용 실리카윅 코일의 정렬 배치를 구현한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를 위한 전자 담배용 실리카윅 코일의 정렬 배치를 구현한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377B1
KR102673377B1 KR1020230018036A KR20230018036A KR102673377B1 KR 102673377 B1 KR102673377 B1 KR 102673377B1 KR 1020230018036 A KR1020230018036 A KR 1020230018036A KR 20230018036 A KR20230018036 A KR 20230018036A KR 102673377 B1 KR102673377 B1 KR 10267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electrical component
electric component
external forc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2553A (ko
Inventor
유현
선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웰
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웰, 유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웰
Publication of KR2023012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화를 위한 전자 담배용 실리카윅 코일의 정렬 배치를 구현한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 {A ELECTRICAL COMPONENT SUPPLY DEVICE IMPLEMENTING ALIGNMENT OF THE SILICA WICK COIL FOR E-CIGARETTES FOR AUTOMATION AND A ELECTRICAL COMPONENT INSTALL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담배의 교환 가능한 필터에 인입되는 실리카윅 코일을 공급하고 정렬 배치할 수 있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담배는 오랜 옛날부터 사람들 사이에서 애용되는 기호 식품 중 하나이다. 기존에는 담배잎 자체를 태우는 형태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산업이 발전됨에 따라 필터와 일체로 된 연초 형태의 담배가 생산되고 이용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연초의 경우 직접 담배잎을 태워서 이용되기에 건강이 쉽게 악화되고, 냄새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자 담배가 개발되고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자 담배는 니코틴 혹은 향이 첨가된 액상을 열 혹은 초음파 진동을 통해 기화시켜 연기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 때, 전자 담배에서 연기를 발생시키는 것은 카트리지이며, 카트리지에는 실리카윅 코일이 설치되어 있다. 실리카윅 코일은 액상이 적셔지는 심재와 심재에 열을 인가하는 코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코일에 전기에너지가 인입되면, 열을 발생시켜 심재에 적셔진 액상을 기화시키는 원리이다. 이러한 기화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실리카윅 코일은 수명이 다하여, 기화 과정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전자 담배의 카트리지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한다.
기존에는 전자 담배용 카트리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사출된 케이스에 실리카윅 코일을 수작업으로 삽입하여 조립하여야 했다. 이러한 과정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담배용 전자 부품을 자동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은, 실리카윅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승강부는, 승강동력부 및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며 상기 승강동력부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본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측의 일 위치인 상승 예비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상기 전기 부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본체부의 상면이 경사지게 함입되어 상기 전기 부품이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승강부의 상승에 맞춰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상승 예비위치를 거쳐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인출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와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사이에 배치되며, 일면이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어 상기 전기 부품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접촉되는 면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 및 상기 제1 가이드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승강부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인출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이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가이드부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이탈방지면 및 상기 제1 이탈방지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이탈방지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상기 전기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전기부품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시스템은,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공급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배치된 상기 전기 부품을 임의의 케이스에 인입하는 전기 부품 인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상기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 및 상의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 및 상의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은, 실리카윅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승강부는, 상기 전기 부품의 양단부가 걸쳐지도록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함입부가 형성된 승강본체부 및 상기 승강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본체부를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동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은, 심재, 상기 심재가 인입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코일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면에 상기 심재와 상기 코일부가 지지되고 측 방향에 상기 코일연장부가 위치되는 인출거치부 및 상기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본체부는, 상기 인출거치부의 측 방향에 위치된 후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심재가 상기 승강본체부의 함입부에 거치되어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서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인출승강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는 위치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렬부는, 상기 인출보관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보관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정렬본체부 및 상기 정렬본체부에 연결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정렬본체부에 결합되는 접촉본체부, 상기 접촉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제1 접촉연장부 및 상기 제1 접촉 연장부와 이격되어 상기 접촉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제2 접촉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 위치된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을 제한하는 센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링부는, 센터링본체부,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센터링본체부에 연결되는 센테링좌암부 및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센터링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터링좌암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센터링우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링좌암부와 상기 센터링우암부는, 사이에 상기 전기 부품에 위치시켜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은,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로 공급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전기 부품을 임의의 케이스에 인입하는 전기 부품 인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상기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 및 상의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는, 전기 부품이 끼워지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에 끼워진 상기 전기 부품이 보관케이스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그립이동부; 및 미리 설정된 경로로 상기 그립이동부가 이동되어 상기 그립부에 끼워진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보관케이스에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하는 인입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은, 실리카윅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이동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절을 가진 로봇 팔이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이동부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부는,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부는,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에 상기 전기 부품이 인입된 채로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부는,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인입가이드부 및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인입가이드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2 인입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입가이드부와 상기 제2 인입가이드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되어 서로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가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기 전에, 상기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펴지도록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고, 상기 인입가이드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외력날부, 상기 제1 외력날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외력날부 및 상기 제1 외력날부와 상기 제2 외력날부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외력수평동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수평동력부는, 상기 제1 외력날부와 상기 제2 외력날부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외력날부와 상기 제2 외력날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수평동력부는, 상기 제1 외력날부와 상기 제2 외력날부가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어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외력날부와 상기 제2 외력날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력날부는, 상기 외력수평동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외력날부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함입되어 제1 외력함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외력함입부는, 상기 제1 외력날부의 일측면으로부터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외력날부와 상기 제2 외력날부가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력날부와 상기 제2 외력날부가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외력날부와 상기 제2 외력날부의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 이동을 구현하는 외력상하동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이동부에 의해 상기 그립부와 함께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력날부는, 상기 제2 외력날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1-1 외력날부 및 상기 제1 외력날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1-2 외력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력날부는, 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외력날부는, 상기 제1 외력날부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함입되어 제2 외력함입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인입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입가이드부의 동작에 연계되어 함께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은,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로 공급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전기 부품을 임의의 케이스에 인입하는 전기 부품 인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품 인입 장치는, 상기 전기 부품이 끼워지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에 끼워진 상기 전기 부품이 보관케이스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그립이동부; 및 미리 설정된 경로로 상기 그립이동부가 이동되어 상기 그립부에 끼워진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보관케이스에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하는 인입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를 위한 전자 담배용 실리카윅 코일의 정렬 배치를 구현한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은 작업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이 구비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가 구비하는 인출보관부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가 구비하는 인출승강부와 위치정렬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의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그립부, 그립이동부 및 외력인가부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그립부와 인입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인입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인입 가이드부의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에 의해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에 의해 전기 부품이 보관케이스에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외력인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동작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동작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은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로 공급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100)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전기 부품을 임의의 케이스인 보관케이스에 인입하는 전기 부품 인입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부품은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 모든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 부품은 전자 담배 필터에 설치되는 실리카윅 코일일 수 있다.
이하, 전기 부품이 실리카윅 코일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기 부품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전기 부품(X10, 도 9 참조)은 전자 담배 액이 적셔지는 심재(X11), 상기 심재가 인입되는 코일부(X12) 및 상기 코일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코일연장부(X1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심재는 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심재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코일부는 코일 형상으로서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부 내측에 상기 심재가 인입될 수 있다.
코일연장부는 코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자로 연장되는 제1 코일연장부와 코일부의 타단으로부터 일자로 연장되는 제2 코일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코일부와 코일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코일부와 코일연장부는 납땜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코일연장부에 전기가 인입되면 코일연장부와 코일부에서 열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심재에 수용된 전자 담배 액이 기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화된 전자 담배 액을 흡입할 수 있다.
보관케이스(C10, 도 9 참조)는 전기 부품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일례로, 보관케이스는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보관케이스는 전자 담배용 필터의 일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보관케이스는 상측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관케이스의 하면에는 두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케이스의 내부에 전기 부품이 배치되면, 제1 코일연장부와 제2 코일연장부는 보관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홀에 인입되어 상기 보관케이스의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보관케이스 하측으로 인출된 제1 코일연장부와 제2 코일연장부는 컷팅, 벤딩 등을 처리를 거쳐러 보관케이스에 밀착될 수 있다. 추후에 담배 필터가 전자 담배에 설치될 때, 전기 단자가 제1 코일연장부와 제2 코일연장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보관 케이스에 전기 부품이 인입되고, 보관 케이스의 홀에 코일연장부가 삽입될 때의 전기 부품 위치가 미리 정해진 설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이 구비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가 구비하는 인출보관부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가 구비하는 인출승강부와 위치정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110) 및 상의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100)는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서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인출승강부(12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는 위치정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100)는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 위치된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을 제한하는 센터링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100)의 인출보관부(110) 및 인출승강부(120)가 지지되는 공급베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급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 제어부(미도시)는 컴퓨팅 장치로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각 구성들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인출보관부(110)는 상면에 상기 심재와 상기 코일부가 지지되고 측 방향에 상기 코일연장부가 위치되는 인출거치부(111) 및 상기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거치부(111)는 상기 공급베이스부(150)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인출거치부(111)는 하부인출거치부(111a) 및 상기 하부인출거치부(111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인출거치부(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출거치부(111)는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거치돌출부(11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하부인출거치부(111a)의 폭은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b)보다 더 클 수 있다.
전기 부품의 심재와 코일부는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제1 코일연장부는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일측면에 이웃되고, 제2 코일연장부는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타측면에 이웃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전기 부품들이 인출거치부(111)에 줄지어 배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인출이동부(미도시)는 하나의 전기 부품이 인출 거치부로부터 이탈되면, 전기 부품들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시 하나의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보관 위치에 존재하도록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례로, 인출이동부(미도시)는 가압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 부품을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인출이동부(미도시)의 구현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보관 위치란 거치돌출부(111c)와 이웃된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상측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위치정렬부(130)는 상기 인출보관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보관부(1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정렬본체부(131) 및 상기 정렬본체부(131)에 연결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접촉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정렬본체부(131)는 상기 하측인출거치부(11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상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정렬본체부(131)는 상기 하부인출거치부(111a)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정렬본체부(131a), 상기 제1 정렬본체부(131a)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인출거치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정렬본체부(131b) 및 상기 제2 정렬본체부(131b)이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정렬본체부(131b)와 함께 위치 이동되며 평면 형상인 제3 정렬본체부(131c)를 구비할 수 있다.
정렬본체부(131)는 상기 하부인출거치부(111a)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b)의 상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3 정렬본체부(131c)의 하부면은 전기 부품의 상측에 접촉, 가압하여, 전기 부품이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b)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정렬본체부(131a), 제2 정렬본체부(132b) 및 제3 정렬본체부(131c)는 적절하게 위치들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2)는 상기 정렬본체부(13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2)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2)는 전기 부품의 코일부 및 심재가 접촉되어, 코일부와 심재가 직립되도록 코일부와 심재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2)는 상기 정렬본체부(131)에 결합되는 접촉본체부(132a), 상기 접촉본체부(132a)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제1 접촉연장부(132b) 및 상기 제1 접촉 연장부와 이격되어 상기 접촉본체부(132a)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제2 접촉연장부(132c)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접촉연장부(132b)는 제2 접촉연장부(132c)와 이격되기 때문에, 적절한 외력을 전기 부품에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접촉부(132)가 없다면, 전기 부품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좌우로 진자 운동될 수 있다. 접촉부(132)는 이를 방지하고, 전기 부품의 코일연장부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전기 부품이 직립되도록 도울 수 있다.
상기 인출승강부(120)는 상기 전기 부품의 양단부가 걸쳐지도록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함입부가 형성된 승강본체부(121a, 121b, 121c) 및 상기 승강본체부(121a, 121b, 121c)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본체부(121a, 121b, 121c)를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동력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동력부(122)는 공급베이스부(150)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승강동력부(122)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형되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승강동력부(122)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승강본체부(121a, 121b, 121c)는 상기 승강동력부(122)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본체부(121a, 121b, 121c)는 상기 승강동력부(122)에 결합되는 주요승강본체부(121a), 상기 주요승강본체부(121a)의 측면에서 인출보관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승강돌출부(121b) 및 상기 주요승강본체부(121a)의 측면에서 인출보관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승강돌출부(121b)와 이격되는 제2 승강돌출부(121c)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승강돌출부(121b)와 제2 승강돌출부(121c) 사이에 상부인출거치부(111b)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승강돌출부(121b)와 제2 승강돌출부(121c)는 상면에 오목한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심재의 양단은 제1 승강돌출부(121b)와 제2 승강돌출부(121c)에 걸쳐져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강돌출부는 심재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센터링부(140)는 센터링본체부(141),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센터링본체부(141)에 연결되는 센터링좌암부(142) 및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센터링본체부(141)에 연결되고 상기 센터링좌암부(142)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센터링우암부(14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터링좌암부(142)와 상기 센터링우암부(143)는 사이에 상기 전기 부품에 위치시켜 상기 전기 부품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센터링본체부(141)는 승강동력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센터링본체부(141)는 주요승강본체부(121a)를 기준으로 승강돌출부와 마주보게 승강동력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센터링좌암부(142)는 상기 센터링본체부(141)의 상단부 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센터링본체부(141)에 결합될 수 있다.
센터링우암부(143)는 상기 센터링본체부(141)의 상단부 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센터링본체부(141)에 결합될 수 있다.
센터링좌암부(142)는 센터링본체부(141)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제1 센터링좌암부(142a) 및 상기 제1 센터링좌암부(142a)의 내측면으로부터 제2 센터링좌암부(142b)를 향해서 돌출되는 제2 센터링좌암부(142b)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센터링좌암부(142a)는 ‘ㄱ’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터링좌암부(142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 센터링좌암부(142b)는 후술하는 제2 센터링우암부(143b)와 함께 심재 양단부에 접촉되어 후술하는 그립부(210)에 전기 부품이 억지끼움되는 과정에서 전기 부품이 이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센터링우암부(143)는 센터링본체부(141)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제1 센터링우암부(143a) 및 상기 제1 센터링우암부(143a)의 내측면으로부터 제2 센터링우암부(143b)를 향해서 돌출되는 제2 센터링우암부(143b)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센터링우암부(143a)는 ‘ㄱ’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터링우암부(143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 센터링우암부(143b)는 후술하는 제2 센터링좌암부(142b)와 함께 심재 양단부에 접촉되어 후술하는 그립부(210)에 전기 부품이 억지끼움되는 과정에서 전기 부품이 이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의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그립부, 그립이동부 및 외력인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그립부와 인입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인입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인입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200)는, 전기 부품이 끼워지는 그립부(210), 상기 그립부(210)에 끼워진 상기 전기 부품이 보관케이스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립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210)를 위치 이동시키는 그립이동부(220) 및 미리 설정된 경로로 상기 그립이동부(220)가 이동되어 상기 그립부(210)에 끼워진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보관케이스에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하는 인입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인입 장치(200)는, 상기 인입가이드가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기 전에, 상기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인입 장치는 상기 전기 부품 인입 장치의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는 인입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입 제어부(미도시)는 컴퓨팅 장치로서, 상기 전기 부품 인입 장치의 각 구성들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립이동부(2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절을 가진 로봇 팔일 수 있다.
일례로, 그립이동부(220)는 6절 링크의 로봇 팔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그립이동부(220)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그립부(210)는 그립이동부(22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립부(210)는 그립이동부(220)의 단부에 결합되며 외력인가부(240)가 결합되는 그립본체부(211), 상기 그립본체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집개부(212), 상기 그립본체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집개부(212)와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2 집개부(213) 및 상기 제1 집개부(212)와 상기 제2 집개부(213)에 억지 끼움된 전기 부품을 상기 제1 집개부(212)와 상기 제2 집개부(213)로부터 인출하는 그립인출부(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집개부(212)는 상기 제2 집개부(213)와 동일할 형상으로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집개부(212)와 제2 집개부(213)의 단부에 전기 부품이 인입될 수 있다.
그립인출부(214)는 상기 제1 집개부(212)와 상기 제2 집개부(2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는 집개인출부(214a), 상기 집개인출부(214a)의 상하 이동을 구현하는 인출동력부(214b) 및 상기 집개인출부(214a)와 상기 인출동력부(214b)를 서로 매개하는 인출매개부(214c)를 구비할 수 있다.
집개인출부(214a)는 상기 제1 집개부(212)와 상기 제2 집개부(213)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집개인출부(214a-1) 및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 집개인출부(214a-1)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집개인출부(214a-1)와 상기 인출매개부(214c)를 매개하는 제2 집개인출부(214a-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집개인출부(214a-1)와 제2 집개인출부(214a-2)는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집개인출부(214a-1)와 상기 제2 집개인출부(214a-2)가 이루는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인출동력부(214b)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형되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인출동력부(214b)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인출동력부(214b)에 의해 상기 집개인출부(214a)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집개부에 억지 끼움된 전기 부품을 집개부로부터 밀어내어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인입가이드부(230)는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인입가이드부(230)는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홀(h23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인입가이드부(230)는 상기 가이드홀(h230)에 상기 전기 부품이 인입된 채로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인입가이드부(230)는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인입가이드부(231) 및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인입가이드부(231)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2 인입가이드부(232) 및 상기 제1 인입가이드부(231)와 상기 제2 인입가이드부(232)가 지지되고 보관케이스를 위치 이동시키는 이동라인이 설치되고 지지되는 인입베이스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인입가이드부(231)는 제1 가이드본체부(231a), 상기 제1 가이드본체부(231a)의 선형적인 이동을 구현하는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 및 상기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 또는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본체부(231a)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가이드수직동력부(231c)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수직동력부(231c)는 상기 인입베이스부(2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수직동력부(231c)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형되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가이드수직동력부(231c)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가이드수직동력부(231c)는 상기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와 상기 제1 가이드본체부(231a)를 모두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가이드수직동력부(231c)는 상기 제1 가이드본체부(231a)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형되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는 제1 가이드본체부(231a)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본체부(231a)는 전기 부품의 코일연장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인입가이드부(232)를 향하는 제1 가이드본체부(231a)의 측면의 일부분이 함입되어 제1 가이드함입부(P2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함입부(P231a)는 하측 방향 ?? 제1 가이드본체부(231a)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측면을 형성하는 제1-1 가이드함입부(P231a-1), 상기 제1-1 가이드함입부(P231a-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경사없는 측면을 형성하는 제1-2 가이드함입부(P231a-2), 상기 제1-2 가이드함입부(P231a-2)로부터 하측 방향 ?? 제1 가이드본체부(231a)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측면을 형성하는 제1-3 가이드함입부(P231a-3) 및 상기 제1-3 가이드함입부(P231a-3)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경사없는 측면을 형성하는 제1-4 가이드함입부(P231a-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함입부(P231a)의 형상은 가이드홀(h230)로 코일연장부가 인입되면서 코일연장부가 가이드되게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1 가이드본체부(231a)에는 코일연장부의 개수에 대응되어서 제1 가이드함입부(P231a)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코일연장부가 2개일 경우, 제1 가이드본체부(231a)에는 두 개의 제1 가이드함입부(P2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본체부(231a)는 상기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에 연결되며, 판 형상의 제1-1 가이드본체부(231a-1) 및 상기 제1-1 가이드본체부(231a-1)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2 가이드본체부(231a-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함입부(P231a)는 상기 제1-1 가이드본체부(231a-1)의 단부와 제1-2 가이드본체부(231a-2)의 단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인입가이드부(232)는 제2 가이드본체부(232a), 상기 제2 가이드본체부(232a)의 선형적인 이동을 구현하는 제2 가이드수평동력부(232b) 및 상기 제2 가이드수평동력부(232b) 또는 제2 가이드본체부(232a)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이드본체부(232a)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가이드수직동력부(232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본체부(232a)의 측면에는 제2 가이드함입부(P23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본체부(232a)는 상기 제2 가이드수평동력부(232b)에 연결되며, 판 형상의 제2-1 가이드본체부(232a-1) 및 상기 제2-1 가이드본체부(232a-1)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2 가이드본체부(232a-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가이드함입부(P232a)는 상기 제2-1 가이드본체부(232a-1)의 단부와 제2-2 가이드본체부(232a-2)의 단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입가이드부(232)는 제1 인입가이드부(231)와 대칭적인 구조로서 상세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가이드본체부(232a)는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대응될수 있다.
일례로, 제2 가이드수평동력부(232b)는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와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가이드수직동력부(232c)는 제1 가이드수직동력부(231c)와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가이드함입부(P232a)는 제1 가이드함입부(P231a)와 대응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1 가이드함입부, 제2-2 가이드함입부, 제2-3 가이드함입부 및 제2-4 가이드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입가이드부(231)와 상기 제2 인입가이드부(232)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되어 서로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홀(h23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함입부(P231a)와 제2 가이드함입부(P232a)가 함께 가이드홀(h230)을 형성할 수 있다.
외력인가부(240)는 상기 그립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이동부(220)에 의해 상기 그립부(210)와 함께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외력인가부(240)는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외력날부(241),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외력날부(242),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상기 제2 외력날부(242)의 좌우 방향으로의 선형적인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외력수평동력부(243), 상기 외력수평동력부(243)와 결합되어 상기 외력수평동력부(243), 제1 외력날부(241), 제2 외력날부(242)의 전후 방향으로의 선형적인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외력전후동력부(244), 상기 외력전후동력부(244)에 결합되며 그립본체부(211)에 결합되고 상기 외력전후동력부(244)의 상하 이동을 구현하는 외력상하동력부(24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외력날부(241) 상기 제2 외력날부(242)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함입되어 제1 외력함입부(P241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외력날부(241)는 상기 외력수평동력부(243)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외력날부(242)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함입되어 제1 외력함입부(P241a)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날부본체부(241a), 상기 제1 날부본체부(241a)의 측면으로부터 제2 외력날부(24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외력함입부(P241a) 내측에 위치되는 제1 날부돌출부(24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력함입부(P241a)는 상기 제1 외력날부(241)의 일측면으로부터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외력함입부(P241a)는 후방 방향을 향한 경사면인 제1-1 외력측면(P241a-1), 상기 제1-1 외력측면(P241a-1)과 연결되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면인 제1-2 외력측면(P241a-2), 상기 제1-2 외력측면(P241a-2)과 제1 날부돌출부(241b)에 연결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3 외력측면(P241a-3), 전방 방향을 향한 경사면인 제1-4 외력측면(P241a-4), 상기 제1-4 외력측면(P241a-4)과 연결되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면인 제1-5 외력측면(P241a-5) 및 상기 제1-5 외력측면(P241a-5)과 제1 날부돌출부(241b)에 연결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6 외력측면(P241a-6)을 가질 수 있다.
경사로 이루어진 면으로 인해 코일연장부가 효과적으로 가이드되고 펴질 수 있다.
제1-3 외력측면(P241a-3)과 제1-6 외력측면(P241a-6) 사이에 제1 날부돌출부(241b)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날부돌출부(241b)는 제1-2 외력측면(P241a-2)과 마주보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1 날부측면(241b-1), 상기 제1-1 날부측면(241b-1)과 연결되며 전방 방향을 향해서 경사진 제1-2 날부측면(241b-2), 제1-4 외력측면(P241a-4)봐 마주보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3 날부측면(241b-3) 및 상기 제1-3 날부측면(241b-3)과 연결되며 후방 방향을 향해서 경사진 제1-4 날부측면(241b-4)을 가질 수 있다.
제1-2 날부측면(241b-2)이 제1-4 날부측면(241b-4)보다 더 길 수 있다.
제2 외력날부(242)는 제1 외력날부(24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외력날부(241)와 대칭적인 형상 및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상세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제2 외력날부(242)는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함입되어 제2 외력함입부(P242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외력날부(242)는 상기 외력수평동력부(24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함입되어 제2 외력함입부(P242a)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날부본체부(242a), 상기 제2 날부본체부(242a)의 측면으로부터 제1 외력날부(24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외력함입부(P242a) 내측에 위치되는 제2 날부돌출부(24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력함입부(P242a)는 상기 제2 외력날부(242)의 일측면으로부터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외력함입부(P242a)는 후방 방향을 향한 경사면인 제2-1 외력측면(P242a-1), 상기 제2-1 외력측면(P242a-1)과 연결되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면인 제2-2 외력측면(P242a-2), 상기 제2-2 외력측면(P242a-2)과 제2 날부돌출부(242b)에 연결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3 외력측면(P242a-3), 전방 방향을 향한 경사면인 제2-4 외력측면(P242a-4), 상기 제2-4 외력측면(P242a-4)과 연결되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면인 제2-5 외력측면(P242a-5) 및 상기 제2-5 외력측면(P242a-5)과 제1 날부돌출부(241b)에 연결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6 외력측면(P242a-6)을 가질 수 있다.
제2-3 외력측면(P242a-3)과 제2-6 외력측면(P242a-6) 사이에 제2 날부돌출부(242b)가 위치될 수 있다.
제2 날부돌출부(242b)는 제2-2 외력측면(P242a-2)과 마주보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1 날부측면(242b-1), 상기 제2-1 날부측면(242b-1)과 연결되며 전방 방향을 향해서 경사진 제2-2 날부측면(242b-2), 제2-4 외력측면(P242a-4)봐 마주보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3 날부측면(242b-3) 및 상기 제2-3 날부측면(242b-3)과 연결되며 후방 방향을 향해서 경사진 제2-4 날부측면(242b-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력수평동력부(243)는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상기 제2 외력날부(242)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상기 제2 외력날부(24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수평동력부(243)는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상기 제2 외력날부(242)가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어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상기 제2 외력날부(24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외력상하동력부(245)는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상기 제2 외력날부(242)가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상기 제2 외력날부(242)가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외력날부(241)와 상기 제2 외력날부(242)의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외력수평동력부(243), 외력전후동력부(244) 및 외력상하동력부(245)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형되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력수평동력부(243), 외력전후동력부(244) 및 외력상하동력부(245)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외력수평동력부(243), 외력전후동력부(244) 및 외력상하동력부(245)의 존재로 인해 외력날부는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에 따라 외력수평동력부(243), 외력전후동력부(244) 및 외력상하동력부(245) 간의 결합 관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동력부들의 결합 관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외력수평동력부(243)에 외력상하동력부(245)가 결합되고 외력전후동력부(244)는 외력상하동력부(245)와 그립본체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에 의해서 구형되는 전기 부품을 보관케이스에 삽입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에 의해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인출보관부(110)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전기 부품들이 인출거치부(111)에 줄지어 배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전기 부품(X10)은 기울어진 배치로 줄지어 상부인출거치부(111b)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인출승강부(120)가 심재 및/또는 코일부만을 지지하면서 상승시키기 용이하기 위함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보관 위치에 위치되는 하나의 전기 부품의 심재 일측 단부가 제1 승강돌출부(121b)의 함입부에 안착되고, 심재 타측 단부가 제2 승강돌출부(121c)의 함입부에 안착될 수 있다.
승강동력부(122)에 의해 주요승강본체부(121a)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전기 부품도 함께 상측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승되는 전기 부품의 심재 및/또는 코일부는 제1 접촉연장부(132b)와 제2 접촉연장부(132c)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승강돌출부(121b)와 제2 승강돌출부(121c)가 계속해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전기 부품도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접촉연장부(132b)와 제2 접촉연장부(132c)는 전기 부품과 접촉된 채로 상측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1 승강돌출부(121b)와 제2 승강돌출부(121c)가 계속해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전기 부품은 제1 접촉연장부(132b)와 제2 접촉연장부(132c)에 접촉된 채로 회전되면서 직립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전기 부품이 상승되는 경우, 전기 부품이 승강돌출부 상에서 진자 운동되면서 흔들릴 수 있다.
접촉연장부는 전기 부품이 직립된 상태로 상승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 부품은 인출 승강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서 상기 전기 부품은 제2 센터링좌암부(142b)와 제2 센터링우암부(14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터링좌암부(142b)와 제2 센터링우암부(143b)는 전후 방향으로 전기 부품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터링좌암부(142a)와 제1 센터링우암부(143a)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 전기 부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그립부)의 제1 집개부와 제2 집개부)가 상기 전기 부품의 코일부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기 부품은 제1 집개부의 단부와 제2 집개부의 단부 사이로 끼워질 수 있다.
이하,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의 위치변화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가 제1 위치일 경우,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이 때, 제1-3 외력측면(P241a-3)과 제2-3 외력측면(P242a-3)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로 하나의 코일연장부가 인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6 외력측면(P241a-6)과 제2-6 외력측면(P242a-6)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로 다른 하나의 코일연장부가 인입될 수 있다.
외력수평동력부(243)에 의해 제1 위치의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는 서로 멀어져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외력전후동력부(244)에 의해 제2 위치의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외력상하동력부(245)에 의해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는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 혹은 제2 높이에서 제1 높이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높이와 제2 높이는 제1 집개부(212)와 제2 집개부(213)와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높이가 제2 높이보다 제1 집개부(212)와 제2 집개부(213)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이하, 제1 가이드본체부(231a)의 위치변화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제1 가이드본체부(231a)의 일 위치인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1 가이드본체부(231a)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본체부(231a)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제1 가이드본체부(231a)는 제2 가이드본체부(232a) 쪽으로 가까워질 수 있다.
제2 위치인 제1 가이드본체부(231a)는 제1 가이드수직동력부(231c)가 수축되는 것에 의해 하강되어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본체부(232a)의 위치변화도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대응되며,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본체부(232a)도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로 위치 이동이될 수 있다.
이하, 그립인출부(214)의 위치변화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제1 집개인출부(214a-1)의 일 위치인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인출동력부(214b)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1 집개인출부(214a-1)는 하강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에 의해 전기 부품이 보관케이스에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관케이스는 별도의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인입가이드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립이동부(22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서 전기 부품을 인입한 그립부(210)가 인입가이드부(230)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집개부(212)와 제2 집개부(213)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정렬되도록, 그립이동부(220)가 그립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기 부품은 보관 케이스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상승 위치에서 그립부(210)에 의해 전기 부분이 보관 케이스의 상측으로 이동될 때, 제1 높이에서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는 제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가 중첩되면서 형성되는 두 개의 홀 각각에 하나의 코일연장부가 인입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외력상하동력부(245)에 의해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가 제1 위치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제1-3 외력측면(P241a-3)과 제2-3 외력측면(P242a-3) 및 , 제1-6 외력측면(P241a-6)과 제2-6 외력측면(P242a-6)에 의해 코일연장부는 펴질 수 있다.
또한,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가 제2 높이 일 경우, 코일연장부는 외력날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제2 가이드본체부(232a)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서, 단부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제2 가이드본체부(232a)가 서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홀(h230, 도 8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2 위치인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제2 가이드본체부(232a)는 하강되어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상기 제2 가이드본체부(232a)의 하면에 돌출된 부분이 보관케이스 내측에 인입될 수 있다. 가이드홀과 보관케이스 하면에 형성된 홀이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제2 가이드본체부(232a)가 제3 위치일 경우, 제1-2 가이드본체부(231a-2, 도 9참조)와 제 2-2 가이드본체부(232a-2)가 보관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보관 케이스 내측에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미리 점검하고 제거하는 과정일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가 제2 높이의 제1 위치인 상태에서 그립이동부(220)의 이동으로 그립본체부(21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의 하면이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제1 가이드본체부(231a)의 상면과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그립이동부(220)의 동작 및 외력상하동력부(245)의 수축으로 제2 높이의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가 제1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의 높이 이동으로 인해, 코일연장부가 다시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가 형성한 홀에 인입되면서, 다시 한번 코일연장부가 펴질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1 높이, 제1 위치인 제1 외력날부(241)와 제2 외력날부(242)는 제1 높이 상에서 제2 위치 및 제3 위치로 차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제3 위치인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제2 가이드본체부(232a)는 제2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코일연장부는 가이드홀(h230, 도 8 참조)로 인입되면서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펴지도록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고, 상기 인입가이드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제2 위치인 제1 가이드본체부(231a)와 제2 가이드본체부(232a)는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그립이동부(220)에 의해 전기 부품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관 케이스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코일부는 보관 케이스의 하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코일연장부는 보관 케이스 하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전기 부품이 보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집개인출부(214a-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집개인출부(214a-1)가 위치 이동되면서, 제1 집개인출부(214a-1)는 코일부를 밀게되며, 코일부는 보관 케이스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위치인 제1 집개인출부(214a-1)는 다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인입 장치가 구비하는 외력인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외력인가부(1240)는 제1 외력날부(1241), 상기 제1 외력날부(1241)의 전후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외력전후동력부(1244), 상기 제1 외력날부(1241)의 좌우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외력수평동력부(1242), 상기 제2 외력날부(1242)의 좌우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외력수평동력부(1243) 및 제2 외력날부(12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력날부(1241)는 상기 제2 외력날부(1242)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1-1 외력날부(1241a) 및 상기 제1 외력날부(1241)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1-2 외력날부(124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력날부(1241)의 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1 외력날부(1241a)와 제1-2 외력날부(1241b)는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력날부(1242)는 제2 외력함입부(P242a)가 형성된 제2 날부본체부(1242a)와 제2 날부돌출부(124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외력날부(1242)는 상기 제1 외력날부(1241)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함입되어 제2 외력함입부(P242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외력날부(1241)와 제2 외력날부(1242)가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 제1 외력날부(1241)의 측단은 코일연장부를 가압하고 제2 외력날부(1242)의 외력측면도 코일연장부을 가압하여 펴짐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제1 외력수평동력부(1242)는 제1 가이드수평동력부(231b)와 결합될 수 있다.
외력전후동력부(1244)는 제1 외력수평동력부(12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외력수평동력부(1243)는 제2 가이드수평동력부(232b)에 결합될 수 있다.
외력인가부(1240)는 인입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인입가이드부와 연동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1110)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인출승강부(1120)의 상승에 맞춰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상승 예비위치를 거쳐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인출가이드부(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인출승강부(1120)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인출가이드부(1160)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이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1170)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상기 전기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전기부품 감지 모듈(1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인출보관부(1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인출보관부(1110)에 안착된 전기 부품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정렬부(1130) 및 인출보관부(1110)와 인출승강부(1120)를 지지하는 공급베이스부(1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인출보관부(1110)는 상면에 상기 심재와 상기 코일부가 지지되고 측 방향에 상기 코일연장부가 위치되는 인출거치부(1111) 및 상기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거치부(1111)는 상기 공급베이스부(1150)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인출거치부(1111)는 하부인출거치부(1111a) 및 상기 하부인출거치부(1111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인출거치부(1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인출거치부(1111a)의 폭은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1b)보다 클 수 있다.
전기 부품의 심재와 코일부는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제1 코일연장부는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일측면에 이웃되고, 제2 코일연장부는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타측면에 이웃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전기 부품들이 인출거치부(1111)에 줄지어 배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인출이동부(미도시)는 하나의 전기 부품이 인출 거치부로부터 이탈되면, 전기 부품들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시 하나의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존재하도록 전기 부품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례로, 인출이동부(미도시)는 가압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 부품을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인출이동부(미도시)의 구현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란 인출가이드부(1160)에 이웃한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측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위치정렬부(1130)는 상기 인출보관부(1110)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보관부(11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정렬본체부(1131)를 구비할 수 있다.
정렬본체부(1131)는 상기 하부인출거치부(1111a)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정렬본체부(1131a), 상기 제1 정렬본체부(1131a)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인출거치부(1111)의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정렬본체부(1131b) 및 상기 제2 정렬본체부(1131b)이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거치부(111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평면 형상인 제3 정렬본체부(1131c)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정렬본체부(1131c)는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정렬본체부(1131)는 상기 하부인출거치부(1111a)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3 정렬본체부(1131c)의 하부면은 전기 부품의 상측에 접촉, 가압하여, 전기 부품이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1b)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정렬본체부(1131a), 제2 정렬본체부(132b) 및 제3 정렬본체부(1131c)는 적절하게 위치들이 조정될 수 있다.
인출승강부(1120)는 승강동력부(1122) 및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며 상기 승강동력부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된 상기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승강부(1120)는 상기 전기 부품의 양단부가 걸쳐지도록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함입부가 형성된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 및 상기 승강본체부(121a, 121b)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를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동력부(1122)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동력부(1122)는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승강동력부(1122a) 및 상기 제1 승강동력부(1122a)에 결합되며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의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승강동력부(1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은 인출거치부의 일측에서 타측과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승강동력부(1122a)와 제2 승강동력부(1122b)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승강동력부(1122a)와 제2 승강동력부(1122b)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는 승강동력부(1122)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는 상기 승강동력부(1122)에 결합되는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 상기 승강동력부(1122)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와 이격되는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 상기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의 측면에서 인출보관부(1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승강돌출부(1121c) 및 상기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의 측면에서 인출보관부(1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승강돌출부(1121d)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는 'ㄷ'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는 승강동력부(1122)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보관부(1110)를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는 'ㄷ'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는 승강동력부(1122)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보관부(1110)를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과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는, 그립부가 전기 부품을 효과적으로 파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와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는 제2 승강동력부(1122b)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은 인출거치부의 일측에서 타측과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승강동력부(1122b)는 큰 범위에서 승강본체부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와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 각각을 제2 승강동력부(1122b) 상에서 위치 조정하여, 승강본체부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 승강돌출부(1121c)는 로드 형상으로서 상기 제1 주요승강본체부(1121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승강돌출부(1121d)는 로드 형상으로서 상기 제2 주요승강본체부(1121b)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승강돌출부(1121c)와 제2 승강돌출부(1121d) 사이에 상부인출거치부(1111b) 및/또는 인출가이드부(1160)가 위치될 수 있다.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측의 일 위치인 상승 예비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상기 전기 부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의 상면이 경사지게 함입되어 상기 전기 부품이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1 승강돌출부(1121c)와 제2 승강돌출부(1121d)의 단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함입되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제1 함입부(K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함입부(K11)의 하면은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승강돌출부(1121c)와 제2 승강돌출부(1121d)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함입되어 제2 함입부(K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함임부(K12)는 제1 승강돌출부(1121c)와 제2 승강돌출부(1121d)의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함입부(K12)는 그립부가 전기 부품을 효과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심재의 양단은 제1 승강돌출부(1121c)와 제2 승강돌출부(1121d)에 걸쳐져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강돌출부는 심재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1160)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와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사이에 배치되며, 일면이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어 상기 전기 부품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1160)는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1160)는 제1 승강돌출부(1121c)와 제2 승강돌출부(1121d)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승 예비위치 및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1160)는 상기 전기 부품이 접촉되는 면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P1160-1) 및 상기 제1 가이드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면(P1160-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가이드면(P1160-1)은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가이드면(P1160-1)과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면은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제1 가이드면(P1160-1)과 제2 가이드면(P1160-2)은 상기 인출보관부(1110)를 향하는 상기 인출가이드부(1160)의 측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1160)는 하부인출거치부(1111a) 및/또는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인출가이드부(1160)가 결합되는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인출가이드부(1160)는 공급베이스부(115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탈방지부(1170)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가이드부(1160)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이탈방지면(P1170-1) 및 상기 제1 이탈방지면(P1170-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이탈방지면(P1170-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탈방지부(1170)는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승되는 전기 부품이 인출가이드부(1160)의 제1 가이드면(P1160-1) 및/또는 제2 가이드면(P1160-2)에 밀착되도록 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탈방지부(1170)는 상기 인출가이드부(1160)와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이탈방지면(P1170-2)과 제2 가이드면(P1160-2)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 거리는 전기 부품의 심재의 직경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일례로, 제1 이탈방지면(P1170-1)과 제1 가이드면(P1160-1)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 거리는 전기 부품의 심재의 직경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일례로, 이탈방지부(1170)는 제3 정렬본체부(1131c)의 단부로부터 인출가이드부(116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탈방지부(1170)가 연결/결합되는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이탈방지부(1170)는 공급베이스부(115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기부품 감지 모듈(1180)은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전기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기부품 감지 모듈(1180)이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전기 부품이 존재한다고 감지하는 경우, 해당 감지 신호를 전기 부품 인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기 부품 인입 장치는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존재하는 전기 부품을 파지하여, 다음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동작도이다.
구체체적으로, 도 21(a)는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될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b)는 전기 부품이 상승 예비위치에 위치될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b)는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위치될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1(a)를 참조하면,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된 경우, 전기 부품(X10)은 제1 승강돌출부(1121c)의 제1 함입부(K11)와 제2 승강돌출부(1121d)의 제1 함입부(K11)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부품은 제1 함입부(K11)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승강동력부(1122, 도 20 참조)에 의해 승강본체부는 상승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 부품(X10)은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승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전기 부품(X10)이 상승될 때, 전기 부품은 제1 가이드면(P1160-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면(P1160-1)에 의해 전기 부품은 제1 함입부(K11)를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기 부품(X10)은 제1 이탈방지면(P1170-1)과 접촉되어, 전기 부품(X10)은 제1 함입부(K11)를 벗어나서 인출보관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1(b) 및 도 22(a)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를 기준으로 상측의 일 위치는 상승 예비위치에 전기 부품이 위치될 수 있다.
상승 예비위치에 있는 전기 부품이 더욱 상승될 경우, 전기 부품은 제2 가이드면(P1160-2)과 제2 이탈방지면(P1170-2)에 따라 상승 예비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제1 함입부(K11)의 경사면에 의해 중력으로 인해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승강본체부가 계속해서 상승됨에 따라 전기 부품의 심재는 제1 함입부(K11)의 최하 위치까지 도달될 수 있으며, 승강본체부가 상승을 멈춤으로써, 전기 부품은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전기 부품이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일 때 전기 부품의 심재는 제1 함입부(K11)의 최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170)와 인출가이드부(1160)에 의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의 코일연장부가 정렬된 방향 또는 하측 방향을 유지하면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도달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확대 사시도 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2110)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인출승강부(2120)의 상승에 맞춰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인출가이드부(2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인출보관부(2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인출보관부(2110)에 안착된 전기 부품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정렬부(2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보관부(2110)는 상면에 상기 심재와 상기 코일부가 지지되고 측 방향에 상기 코일연장부가 위치되는 인출거치부(2111) 및 상기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거치부(2111)는 하부인출거치부(2111a) 및 상기 하부인출거치부(2111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인출거치부(2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출승강부(2120)와 이웃되는 상부인출거치부(2111b)의 단부에는 함입되어 인출함입부(R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함입부(R11)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위치정렬부(2130)는 상기 인출보관부(2110)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보관부(21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정렬본체부(2131) 및 상기 정렬본체부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정렬이동부(2133)를 구비할 수 있다.
정렬본체부(2131)는 상기 하부인출거치부(2111a)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정렬본체부(2131a), 상기 제1 정렬본체부(2131a)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인출거치부(2111)의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정렬본체부(2131b) 및 상기 제2 정렬본체부(2131b)이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거치부(211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평면 형상인 제3 정렬본체부(2131c)를 구비할 수 있다.
정렬이동부(2133)는 상기 제3 정렬본체부(2131c)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정렬본체부(2131c)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정렬이동부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정렬이동부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전기 부품을 가압하는 정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인출승강부(2120)는 승강동력부(2122) 및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며 상기 승강동력부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된 상기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승강부(2120)는 상기 전기 부품의 양단부가 걸쳐지도록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함입부가 형성된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 및 상기 승강본체부(121a, 121b)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를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동력부(21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승강부(2120)는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와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 사이에 배치되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전기 부품에 이웃되게 후방에 위치되는 전기 부품을 가압하는 푸쉬부(2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승강동력부(2122)는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승강동력부(2122a) 및 상기 제1 승강동력부(2122a)에 결합되며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의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승강동력부(2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은 인출거치부의 일측에서 타측과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승강동력부(2122a)와 제2 승강동력부(2122b)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승강동력부(2122a)와 제2 승강동력부(2122b)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는 승강동력부(2122)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는 상기 승강동력부(2122)에 결합되는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 상기 승강동력부(2122)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와 이격되는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 상기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의 측면에서 인출보관부(2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승강돌출부(2121c) 및 상기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의 측면에서 인출보관부(2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승강돌출부(2121d)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는 'ㄷ'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는 승강동력부(2122)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보관부(2110)를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는 'ㄷ'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는 승강동력부(2122)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보관부(2110)를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과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는, 그립부가 전기 부품을 효과적으로 파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와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는 제2 승강동력부(2122b)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은 인출거치부의 일측에서 타측과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승강동력부(2122b)는 큰 범위에서 승강본체부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와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 각각을 제2 승강동력부(2122b) 상에서 위치 조정하여, 승강본체부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 승강돌출부(2121c)는 로드 형상으로서 상기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승강돌출부(2121d)는 로드 형상으로서 상기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승강돌출부(2121c)와 제2 승강돌출부(2121d) 사이에 상부인출거치부(2111b) 및/또는 인출가이드부(2160)가 위치될 수 있다.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측의 일 위치인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상기 전기 부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본체부(2121a, 2121b, 2121c, 2121d)의 상면이 경사지게 함입되어 상기 전기 부품이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1 승강돌출부(2121c)와 제2 승강돌출부(2121d)의 단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함입되어 승강함입부(K11)가 형성될 수 있다.
심재의 양단은 제1 승강돌출부(2121c)와 제2 승강돌출부(2121d)에 걸쳐져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강돌출부는 심재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푸쉬부(2124)는 제1 주요승강본체부(2121a)와 제2 주요승강본체부(2121b) 사이 및 제1 승강돌출부(2121c)와 제2 승강돌출부(2121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푸쉬부(121)의 길이는 신장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전기 부품이 위치될 경우, 푸쉬부(121)는 신장되어 전기 부품에 이웃되는 후방의 전기 부품을 후방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여기서, 후방 방향은 인출승강부(2120)에서 인출보관부(211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푸쉬부(2124)는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오직 하나의 전기 부품만이 존재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푸쉬부(2124)는 리니어 실린더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푸쉬부(2124)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인출가이드부(2160)는 일면이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어 상기 전기 부품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2160)는 인출거치부의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2160)는 상부인출거치부(2111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2160)의 인출보관부(2110)와 승강본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홀(h21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인출가이드부(2160)에 형성된 홀에 푸쉬부(2124)의 신장되는 부분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동작도이다 .
도 26을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일 때 전기 부품(X11)은 승강함입부(K11)와 인출함입부(R11)에 삽입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보관 위치에 전기 부품이 위치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푸쉬부(2124)는 신장되어 후방의 전기 부품(X12)을 후방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푸쉬부(2124)가 수축된 후, 승강동력부에 의해 승강본체부는 상승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 부품은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를 제1 실시예라고 정의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를 제2 실시예라고 정의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를 제3 실시예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제2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하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가 포함하는 위치정렬부(3130)는 상기 인출보관부(3110)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보관부(31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정렬본체부(3131)를 구비할 수 있다.
정렬본체부(3131)는 상기 하부인출거치부(1111a)에 직립하여 결합되는 제1 정렬본체부(3131a), 상기 제1 정렬본체부(3131a)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정렬본체부(3131a)를 기준으로 인출승강부를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정렬본체부(3131b) 및 상기 제2 정렬본체부(3131b)이 단부에 결합되는 평면 형상인 제3 정렬본체부(3131c)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정렬본체부(3131c)는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정렬본체부(3131)는 상기 하부인출거치부(1111a)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1b)의 상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3 정렬본체부(3131c)의 하부면은 전기 부품의 상측에 접촉, 가압하여, 전기 부품이 상기 상부인출거치부(1111b)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정렬본체부(3131a), 제2 정렬본체부(3131b) 및 제3 정렬본체부(3131c)는 적절하게 위치들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 공급 장치가 포함하는 승강동력부(3122)는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승강동력부(3122a) 및 상기 제1 승강동력부(3122a)에 결합되며 승강본체부(1121a, 1121b, 1121c, 1121d)의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승강동력부(3122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승강동력부(3122)는 제1 승강동력부(3122a)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3 승강동력부(3122c), 상기 제3 승강동력부(3122c)가 배치되어 상기 제3 승강동력부(3122c)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위치조절부(3122d) 및 상기 수평위치조절부(3122d)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평위치조절부(3122d)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승강거치부(3122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은 인출거치부의 일측에서 타측과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인출보관부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승강동력부(3122a), 제2 승강동력부(3122b), 제3 승강동력부(3122c)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승강동력부(3122a), 제2 승강동력부(3122b) 및/또는 제3 승강동력부(3122c)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전기 부품 공급 장치 200 : 전기 부품 인입 장치
110 : 인출보관부 120 : 인출승강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하고,
    상기 인출승강부는,
    승강동력부 및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며 상기 승강동력부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은,
    전기 부품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실리카윅 코일인,
    전기 부품 공급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본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측의 일 위치인 상승 예비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상기 전기 부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본체부의 상면이 경사지게 함입되어 상기 전기 부품이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승강부의 상승에 맞춰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상승 예비위치를 거쳐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인출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와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사이에 배치되며, 일면이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어 상기 전기 부품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접촉되는 면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 및 상기 제1 가이드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승강부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전기 부품이 상기 인출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이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가이드부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이탈방지면 및 상기 제1 이탈방지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이탈방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9.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상기 전기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전기부품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10.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공급하는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에 배치된 상기 전기 부품을 임의의 케이스에 인입하는 전기 부품 인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품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상기 전기 부품이 보관되며,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하나의 상기 전기 부품만이 위치되도록 전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인출보관부; 및 상의 미리 정해진 보관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부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보관부는,
    상기 전기 부품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이동되도록, 상기 전기 부품을 가이드하고,
    상기 인출승강부는,
    승강동력부 및 상기 전기 부품과 접촉되며 상기 승강동력부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전기 부품을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승강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상승위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보관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은,
    전기 부품 공급 시스템.
KR1020230018036A 2022-02-14 2023-02-10 자동화를 위한 전자 담배용 실리카윅 코일의 정렬 배치를 구현한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 KR102673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8657 2022-02-14
KR1020220018657 2022-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553A KR20230122553A (ko) 2023-08-22
KR102673377B1 true KR102673377B1 (ko) 2024-06-11

Family

ID=8779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036A KR102673377B1 (ko) 2022-02-14 2023-02-10 자동화를 위한 전자 담배용 실리카윅 코일의 정렬 배치를 구현한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3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7471A1 (en) 2013-07-24 2015-01-29 Sis Resources, Ltd. Cartomizer structure for automated assembly
US20170224021A1 (en) 2014-10-27 2017-08-10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Forming method for heating element of electronic cigarett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tomization assembly
JP2018524971A (ja) 2015-05-19 2018-09-06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喫煙物品用のカートリッジ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装置
US20190247912A1 (en) 2018-02-15 2019-08-15 Jamar Rambally Heating Coil Production System
WO2020152584A1 (en) 2019-01-21 2020-07-30 G.D Societa' Per Azioni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JP2020532470A (ja) 2017-09-04 2020-11-12 ジー.デー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G.D Societa Per Azioni 電子タバコ用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の生産のための製造機
US20210294314A1 (en) 2018-07-19 2021-09-23 Sluis Cigar Machinery B.V. System for processing device parts of simulated smok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216Y1 (ko) * 1991-01-31 1994-08-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부품 이송 장치
KR20090008630A (ko) * 2007-07-18 2009-01-22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기판 인입출장치
KR101194189B1 (ko) * 2010-04-06 2012-10-25 (주)제이브이엠 약품보관 및 약품 인출입 자동화 관리시스템
KR101511963B1 (ko) * 2013-09-16 2015-04-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카세트 공급시스템
ITUB20153811A1 (it) * 2015-09-22 2017-03-22 Gd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artucce per sigarette elettroniche e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confezioni contenenti dette cartucce per sigarette elettroniche.
US10405579B2 (en) * 2016-04-29 2019-09-10 Rai Strategic Holdings, Inc. Methods for assembling a cartridg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apparatus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7471A1 (en) 2013-07-24 2015-01-29 Sis Resources, Ltd. Cartomizer structure for automated assembly
US20170224021A1 (en) 2014-10-27 2017-08-10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Forming method for heating element of electronic cigarett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tomization assembly
JP2018524971A (ja) 2015-05-19 2018-09-06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喫煙物品用のカートリッジ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装置
JP2020532470A (ja) 2017-09-04 2020-11-12 ジー.デー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G.D Societa Per Azioni 電子タバコ用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の生産のための製造機
US20190247912A1 (en) 2018-02-15 2019-08-15 Jamar Rambally Heating Coil Production System
US20210294314A1 (en) 2018-07-19 2021-09-23 Sluis Cigar Machinery B.V. System for processing device parts of simulated smoking devices
WO2020152584A1 (en) 2019-01-21 2020-07-30 G.D Societa' Per Azioni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553A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910261U (zh) 雾化器电阻测试装置
KR101313275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탈착장치
CN203234036U (zh) 电子烟
CN203597403U (zh) 雾化组件和电子烟
CN202496404U (zh) 固态烟油电子烟
KR102673377B1 (ko) 자동화를 위한 전자 담배용 실리카윅 코일의 정렬 배치를 구현한 전기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
CN204167665U (zh) 电源线插头插片组装机
KR102639677B1 (ko) 전자 담배용 카트리지에 실리카윅 코일 자동 조립을 구현한 전기 부품 인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설치 시스템
CN208797339U (zh) 一种高效的自动插针机
CN111509470A (zh) 一种可定位防脱落的多排二头插座
CN114176269B (zh) 雾化芯组件及其装配方法
CN202877753U (zh) 一种低压引线焊接平台
CN211102341U (zh) 全自动的锅炉烟管焊接装置
CN214663004U (zh) 一种可调式抗震支架
CN216493524U (zh) 一种电子烟五头立式注油机
CN218886257U (zh) 一种便于安装的余缆架
CN210740744U (zh) 一种火排组装装置
CN220233366U (zh) 电池盒及用电设备
CN218457289U (zh) 一种方便组装的电子烟充电连接器组件
CN114990809B (zh) 一种小方头式三合一绷缝机
CN113958407B (zh) 一种简洁高效的快插支撑
CN212674182U (zh) 一种管材的检验装置
CN220068864U (zh) 一种便于组装的雾化管
CN211954875U (zh) 一种用于直线型吸烟机抽吸加热不燃烧卷烟的辅助装置
CN207677233U (zh) 一种用于线材的打端子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