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596B1 - 패턴이 형성된 repe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패턴이 형성된 repe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596B1
KR102672596B1 KR1020210145890A KR20210145890A KR102672596B1 KR 102672596 B1 KR102672596 B1 KR 102672596B1 KR 1020210145890 A KR1020210145890 A KR 1020210145890A KR 20210145890 A KR20210145890 A KR 20210145890A KR 102672596 B1 KR102672596 B1 KR 102672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layer
polyethylene
composite shee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1045A (ko
Inventor
황보미
Original Assignee
황보미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미 filed Critical 황보미
Priority to KR102021014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5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비닐이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되어 형성된 비닐층을 포함하고, 작위 또는 무작위 패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닐층은 제1 비닐층 및 제2 비닐층을 포함하며, 제1 비닐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고 제2 비닐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비닐에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고 층 분리, 들뜸이 일어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를 제공하며 또한 비닐봉투, 제품포장봉투,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었던 폐비닐을 재가공하여 산업폐기물을 산업적으로 자원재순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턴이 형성된 REPE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REPEPolyethylene composite sheet with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방, 지갑, 식탁보, 벽지 등의 원단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닐은 땅 속에서 분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100년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그대로 자연에 방치하게 되면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된다. 그런데 2018년전세계의 플라스틱, 비닐 등의 폐기물을 수입하던 중국이 이를 금지하면서 각종 재활용 폐기물이 국내에 쌓이자 폐비닐의 가격이 폭락했고 국내 재활용업체들은 수거를 포기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현명한 폐비닐의 재활용 및 업사이클 방법의 절실함이 대두되고있는 실정에 따라 폐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왔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119581호에서는 폐비닐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고밀도의 비닐칩으로 제조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단지 폐비닐을수거 및 세척하여 다시 고순도의 사용가능한 비닐로 만들기 때문에 원료 활용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995-0008113호에서는 폐비닐을 폐합성 섬유와 압착시켜 새로운 원단으로 재가공하여 단순한 재활용을 넘어서 새로이 원료로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폐합성섬유와 폐비닐을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발라 합지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의 건강에도 좋지않을 뿐만 아니라 합지된 부분의 말단이 조금씩 벗겨지면서 접지층 사이의 공간이 점점 벌어지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가공된 원단이 미용상 보기 좋지않아 상업적으로 이용되기에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비닐봉투, 제품포장봉투,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었던 폐비닐을 재가공하여 산업폐기물을 산업적으로 재순환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 지갑, 식탁보, 벽지 등의 원단이 되는 폴리에틸렌 소재에 패턴이 형성되어 심미감을 부여하는, 0.01mm 크기의 섬세한 패턴이 디자인된 폴리에틸렌 소재 원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소재 원단에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방식만으로 자연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비닐을 소재로 하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복합시트에서 층분리가 일어나거나 들뜸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비닐을 소재로 하는 비닐층이 직조의 섬유, 플라스틱 등 기재와 합지 후 시간이 지나도 분리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소재 복합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합시트는 제1 비닐층 및 제2 비닐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비닐이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되어 형성된 비닐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닐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닐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비닐층에 작위 또는 무작위 패턴을 형성하며, 작위 패턴은 미리 패턴이 정해진 프레임을 이용하며, 무작위 패턴은 물 분사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비닐층과 제2 비닐층은 1 : 0.2 내지 1 : 0.8 의 부피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기재층은 직조의 섬유, 부직포, 울, 합성수지,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비닐을 이용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비닐을 열 압착하여 제1 비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비닐을 열 압착하여 제2 비닐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비닐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비닐은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하여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봉투, 위생봉투,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었던 폐비닐을 재가공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PET 병 등에 사용되었던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재가공한 재생비닐을 이용함으로써, 산업폐기물을 산업적으로 자원재순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비닐 표면에 다양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여 심미적 요소를 가하여 적용분야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이용하여 패턴 형성이 가능하며 특히 복제 불가능한 자연스런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비닐을 직조의 섬유, 플라스틱 소재 등 기재와 합지 후 시간이 지나도 분리되거나 탈리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시트의 사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시트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시트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에 관한 것으로, 간략하게 ‘복합시트’로 호칭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복합시트는 가방, 지갑, 식탁보, 벽지 등의 원단, 무늬 시트지 등으로 제공되는 폴리에틸렌 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는 폴리에틸렌 비닐이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되어 형성된 비닐층이다. 비닐층은 제1 비닐층 및 제2 비닐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비닐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고 제2 비닐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한다. 도 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시트의 구조도이다. 먼저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는 제1 비닐층(10) 및 제2 비닐층(20)을 포함하고, 제1 비닐층(10)의 일면은 제2 비닐층(20)이 배치되고 제1 비닐층(10)의 타면은 표면으로 노출된다. 제1 비닐층(10) 및 제2 비닐층(20)은 폴리에틸렌 비닐이 각각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되어 배치된 후 열 압착하여 형성되므로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으며 하나의 비닐층(10, 20)으로 보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 비닐층은 외부에 보이는 층으로 가방, 지갑, 식탁보, 벽지 등을 제작 할 때 이들의 겉면, 겉감에 해당한다. 제1 비닐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비닐을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하여 배치하고 열압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비닐층의 일면에는 제2 비닐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비닐층은 제1 비닐층의 일면에 배치되어 면, 부직포, 울,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 다른 기재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 역할을 한다. 제2 비닐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비닐을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하여 배치하고 열 압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 비닐층은 작위 또는 무작위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시트는 제1 비닐층에 형성된 작위 또는 무작위 패턴에 의해 심미감을 부여하고 제조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작위 패턴은 원하는 패턴이 미리 형성된 프레임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미리 패턴이 정해진 프레임은 양각 또는 음각되어 있고 200 ℃에서 내외, 내열성을 가진 소재이면 가능한 것으로 메쉬 망, 레이스 천, 종이 등이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하지 않는다. 미리 정해진 패턴은 꽃 무늬, 기하학적 도형, 반복적인 형태, 규칙적인 형태 등이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3 및 4는 꽃 무늬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조된 복합시트다. 패턴이 작위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작위 패턴은 본 발명의 복합시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물을 분사하고 열 압착을 통해 물을 증발시키면서 형성될 수 있다. 물 분사는 작업대의 위, 비닐의 위, 아래, 비닐 사이에 수행할 수 있다. 무작위 패턴은 물이 증발된 흔적이기 때문에 패턴을 인위적으로 디자인할 수 없으며 다만 분사 위치, 분사량, 분사 노즐 크기, 열 압착 온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의 크기를 크게 하고 싶다면 물 분사량과 노즐의 입경을 늘리고 온도를 높이는 반면, 패턴의 크기를 작게 하고 싶다면 물 분사량과 분사 노즐의 입경을 줄이고 온도를 낮추어 패턴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물 분사 방식으로 제조된 복합시트다. 패턴이 무작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비닐층과 제2 비닐층은 1 : 0.2 내지 1 : 0.8 의 부피비일 수 있다. 제1 비닐층 대비 제2 비닐층의 부피가 1 : 0.2 미만이면 제2 비닐층이 바인더 역할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없게 되어 복합시트가 다른 기재와 부착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부착하여도 시간이 지나면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제1 비닐층 대비 제2 비닐층의 부피가 1 : 0.8 초과이면, 제2 비닐층 또는 다른 기재의 색 발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전체적으로 복합시트의 색을 조절하기 어렵고 굳음 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유연성이 떨어지고 제품을 취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 비닐은 폐비닐일 수 있다. 폐비닐은 가게에서 흔히 사용하는 비닐봉투, 제품포장봉투, 비닐하우스 비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폐비닐은 새 비닐과 다르게 불순물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고 형태가 불규칙하여 원료로 사용할 경우 제조 공정이 획일화되지 못하고, 최종 생성물인 시트 역시 층 분리가 일어나거나 들뜸 현상 등으로 인해 불량률이 높고 내구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일 예로 비닐봉투(일명 플라스틱 백)의 손잡이 부분처럼 비닐 겹 사이에 공기가 남아있을 수 있고 불량률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폐비닐을 세척 및 절단, 건조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비닐 조각으로 만들고, 비닐 조각들을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하여 배치 후 열 압착함으로써 비닐 조각들이 반고체 상태에서 섞이면서 뜬 공간이 없는 비닐층을 형성하고 복합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비닐 조각들에 열 압착이 가해지면 유리전이 온도에서 반고체 상태가 되면서 각 비닐 조각이 가진 고유 색들이 혼합되기 때문에 같은 계열 색이지만 고유 색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복합시트는 거의 균일한 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닐 조각들의 겹침 양에 따라, 같은 계열 색 내 다른 명도의 색들을 조절하여 생산할 수 있다. 일 예로 파란 색의 복합시트를 제작할 경우, 수거 된 파란 색 계열의 폐비닐들을 전처리 하여 조각화 한 후, 비닐 조각들을 한 겹으로 열 압착하면 옅은 파란색을 띄지만 복수 겹으로 혼재하여 열 압착을 하면 같은 파란 색 계열이라도 더 짙은 파란색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비닐봉지가 가진 고유 색 이외에도 다른 첨가물을 쓰지 않고 삼원색의 조합을 응용해 다른 색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파란 계열을 비닐 조각과 노란 계열의 비닐 조각을 배치 후 열 압착으로 겹쳐지면 녹색이 균일하게 발현되는 비닐층을 형성하고 복합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의 (b)는 파란 색 비닐 조각, 노란 색 비닐 조각들을 사용하여 녹색의 비닐층을 형성한 복합시트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 비닐은 재생비닐일 수 있다. 재생비닐은 폐플라스틱을 재가공하여 얻는 펠릿, 재생수지로부터 제조된 비닐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폐비닐 또는 재생비닐로 제조된 복합시트를 REPE (Re-Poly Ethylene) 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는 패턴층과 바인더층을 포함한다. 패턴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는 층으로 작위 또는 무작위 패턴이 형성된 제1 비닐층에 해당한다. 바인더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OE)을 포함하는 층으로 패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제2 비닐층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복합시트는 기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는 그 자체로서 원단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기재층과 결합하여 내구성 향상, 형태 유지, 흡습성 등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기재층을 부착한 경우 간단한 재단 공정을 통해 가방, 지갑, 식탁보, 각종 플라스틱 제품 등에 응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재층은 면, 부직포, 울, 나일론, 폴리에스터 원단,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 비닐층과 합지 가능한 어떤 소재든 가능하다.
도 1의 (b) 내지 (d)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1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는 기재층(30) 위에 제2 비닐층(20), 제2 비닐층 위에 제1 비닐층(10)으로 형성된다. 이 때에 제2 비닐층(20)은 바인더층 역할을 하여 제1 비닐층(10)과 기재층(30)을 부착한다. 도 1의 (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는 기재층(30) 위에 제2 비닐층(20), 제2 비닐층 위에 제1 비닐층(10)이 형성되고 제1 비닐층(10) 위에 제2 비닐층(40)이 다시 배치된다. 이 때에 제2 비닐층(40)은 코팅층 역할을 하여 제1 비닐층(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도 1의 (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는 기재층의 양 면에 비닐층(10, 20) 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기재층(30)은 보강재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복합시트에서 비닐층은 폴리에틸렌 비닐을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배치하여 열 압착함으로써 형성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비닐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비닐을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배치하여 열 압착함으로써 형성하고, 제2 비닐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비닐을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배치하여 열 압착함으로써 형성한다. 제1 비닐층 형성 후 제1 비닐층 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비닐을 배치하고 열 압착하여 제2 비닐층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제1 비닐층 및 제2 비닐층을 각각 제조 후 서로 합지할 수 있다. 기재층을 추가할 경우 기재층 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비닐을 배치하고 열 압착하여 제2 비닐층을 형성 한 후 제1 비닐층과 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물 분사 방식의 복합시트의 제조
폐비닐을 세척 및 재단하여 건조한 후 HDPE 비닐과 LDPE 비닐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작업대 위에 HDPE 비닐 조각들을 두 겹에서 세 겹 정도 겹치게 올리면서 작업대가 보이지 않도록 덮었다. HDPE 비닐 조각들 위에 물을 가볍게 분사하였으며 비닐 조각과 비닐 조각 사이에도 물을 분사하였다. 작업대 위에 HDPE 비닐 조각들을 올린 후 열 압착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30초 이내 150 ~ 165 ℃ 온도에서 열 압착 시켜 시트를 제조하였다. 완성된 시트는 무작위 패턴이 형성된 제1 비닐층에 해당한다.
면 소재의 기재 위에 폐비닐 중 LDPE 비닐 조각들을 한 겹 또는 두 겹 정도 겹치게 덮은 후 앞서 준비한 무작위 패턴이 형성된 HDPE 비닐층을 배치하고 60초 동안 150~165 ℃ 온도에서 열 압착 시켜 합지하여 최종적으로 복합시트를 완성하였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시트의 사진이다.
실시예 2. 프레임을 이용한 양각 패턴 복합시트의 제조
폐비닐을 세척 및 재단하여 건조한 후 HDPE 비닐과 LDPE 비닐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꽃 무늬 패턴의 프레임을 작업대 위에 올려두고 그 위에 폐비닐 중 HDPE 비닐 조각들을 두 겹에서 세 겹 정도 겹치게 올리면서 프레임이 보이지 않도록 덮었다. 프레임 위에 HDPE 비닐 조각들을 덮은 후 열 압착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150 ~ 165 ℃ 온도에서 열 압착 시켰다. 작위 패턴이 형성된 제1 비닐층에 해당한다.
그 위에 다시 폐비닐 중 LDPE 비닐 조각들을 한 겹 또는 두 겹 정도 겹치게 덮은 후 열 압착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3초 동안 150 ~ 165 ℃ 온도에서 열 압착 시켰다. LDPE 비닐 조각들로 형성된 층은 제2 비닐층에 해당한다.
면 소재의 기재 위에 제2 비닐층 중 LDPE 비닐층의 면이 닿도록 배치하여 60초 동안 150~165 ℃ 온도에서 열 압착 시켜 합지하여 최종적으로 복합 시트를 완성하였으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 시트의 사진이다.
실시예 3. 프레임을 이용한 음각 패턴 복합시트의 제조
폐비닐을 세척 및 재단하여 건조한 후 HDPE 비닐과 LDPE 비닐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면 소재의 기재 위에 LDPE 비닐조각들을 한 겹에서 두 겹 정도 겹치게 올리면서 면 기재가 보이지 않도록 덮었다. 그 위에 HDPE 비닐 조각들을 한 겹 또는 두 겹 정도 겹치게 올리면서 LDPE비닐 조각들이 보이지 않도록 덮었다. 마지막으로 꽃 무늬 패턴의 프레임을 올리고 열 압착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60초 동안 150 ~ 165 ℃ 온도에서 열 압착 시켰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시트의 사진이다.
실시예 4. 양면 복합시트의 제조
폐비닐을 세척 및 재단하여 건조한 후 HDPE 비닐과 LDPE 비닐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꽃 무늬 패턴의 프레임을 작업대 위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폐비닐 중 HDPE 비닐 조각들을 두 겹에서 세 겹 정도 겹치게 올리면서 프레임이 보이지 않도록 덮었다. 프레임 위에 HDPE 비닐 조각들을 덮은 후 열 압착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30초 이내 150 ~ 165 ℃ 온도에서 열 압착 시켰다. 작위 패턴이 형성된 제1 비닐층에 해당한다.
그 위에 다시 폐비닐 중 LDPE 비닐 조각들을 한 겹 또는 두 겹 정도 겹치게 덮은 후 열 압착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3초 이내 150 ~ 165 ℃ 온도에서 열 압착 시키고 꽃 무늬의 패턴 프레임과 분리한다. 분리된 HDPE+LDPE 비닐 시트들은 제1 비닐층과 제2 비닐층이 각각 일면에 해당하여 양면의 층이다.
면 소재의 기재 위에앞서 제작된 HDPE+LDPE 비닐 시트 중 LDPE 비닐층의 면이 닿도록 배치하여 60초 동안 150~165 온도에서 열 압착 시켜 합지하여 최종적으로 복합 시트 원단을 완성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1 비닐층
20 : 제2 비닐층
30 : 기재층

Claims (14)

  1. 폴리에틸렌 복합시트에 있어서,
    고유 색을 갖는 폴리에틸렌 비닐 조각들이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되어 형성된 비닐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닐층은 제1 비닐층 및 제2 비닐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닐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닐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닐층은 작위 또 무작위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닐층의 일면에는 상기 제2 비닐층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위 또는 무작위 패턴 중 작위 패턴은 미리 패턴이 정해진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닐층과 상기 제2 비닐층은 1 : 0.2 내지 1 : 0.8 의 부피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비닐은 폐비닐 또는 재생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복합시트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7. 제6항에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직조의 섬유, 부직포, 울, 합성수지, 플라스틱 소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8. 폴리에틸렌 비닐을 이용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비닐을 열 압착하여 제1 비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비닐을 열 압착하여 제2 비닐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비닐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비닐은 고유 색을 갖는 폴리에틸렌 비닐 조각들이고 한 겹 또는 복수 겹으로 혼재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1 비닐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패턴이 형성된 프레임 위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비닐을 배치하여 열 압착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하거나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비닐에 물을 분사하여 열 압착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비닐을 이용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형성된 프레임은 양각 또는 음각되어 있고, 메쉬 망, 레이스 천,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비닐을 이용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닐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기재층 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비닐을 배치하여 열 압착하고, 상기 기재층은 직조의 섬유, 부직포, 울, 합성수지, 플라스틱 소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비닐을 이용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210145890A 2021-10-28 패턴이 형성된 repe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72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90A KR102672596B1 (ko) 2021-10-28 패턴이 형성된 repe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90A KR102672596B1 (ko) 2021-10-28 패턴이 형성된 repe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45A KR20230061045A (ko) 2023-05-08
KR102672596B1 true KR102672596B1 (ko) 2024-06-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5109A1 (en) Synthetic-textile hybrid fabric and mea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10274915A1 (en) Recycled plastic chip panel construction
WO2011149370A1 (en) Cork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3730691A1 (en) Flexible material, its production method and uses
KR102672596B1 (ko) 패턴이 형성된 repe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005579A2 (en) Material manufactured from recycled plastics
CN113799409B (zh) 表面装饰木塑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7153058B2 (ja) 再生プラスチック複合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202399662U (zh) 压花无纺布
KR20230061045A (ko) 패턴이 형성된 repe 폴리에틸렌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68767B (zh) 徽章粘合剂移除组件及相关方法
CN102649311A (zh) 一种牛仔织物制备环保复合材料的成型方法
EP2027320B1 (en) N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net
CN106976249A (zh) 一种玻璃纤维网盖的制备方法
KR101695083B1 (ko) 원단 조각을 이용한 새로운 원단 및 그 제조방법
WO2020035787A1 (en) Method for fabricating recycled plastic composite material
CN204801136U (zh) 一种复合无纺布
CN206446197U (zh) 一种新型抛焦效果合成革
CN104589763A (zh) 复合型海绵粘合衬布及制造方法
WO2021016835A1 (zh) 一种用回收垃圾袋制备的环保布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36295B1 (ko) 마섬유를 포함하는 친환경 벽지 및 인테리어용 필름 제조방법
CN201800292U (zh) 一种包装、装饰用复合纸板
CN1857910A (zh) 一种纤维材料粘合成型的方法
CN112776430A (zh) 一种热压epe珍珠棉网套材料回收及其制备方法
KR20020060413A (ko) 폐섬유를 이용한 건축용 합판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