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410B1 - 배수구용 보조 덮개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보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410B1
KR102672410B1 KR1020230089594A KR20230089594A KR102672410B1 KR 102672410 B1 KR102672410 B1 KR 102672410B1 KR 1020230089594 A KR1020230089594 A KR 1020230089594A KR 20230089594 A KR20230089594 A KR 20230089594A KR 102672410 B1 KR102672410 B1 KR 102672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auxiliary cover
cover
fram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경
최진혁
최진규
Original Assignee
최진혁
최진규
최중경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혁, 최진규, 최중경 filed Critical 최진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보조 덮개는, 배수로의 배수구 주(main) 덮개 프레임 위에 거치되는 보조 덮개 프레임; 및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 하부 면에 고정되는 그물망구조물을 포함하여 낙엽 등 이물질이 배수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배수구용 보조 덮개를 제공하여, 낙엽 등에 의하여 배수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고, 배수구에 낙엽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배수시설의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Description

배수구용 보조 덮개{Auxiliary cover for drainage}
본 발명은 배수구용 보조 덮개(이하 "보조 덮개"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배수구용 주 덮개(이하 "주 덮개"라 함)에 거치 되어 낙엽이나 이물질이 배수구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의 측면에는 빗물의 집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로가 구비된다. 배수로의 상방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배수로에는 보행자나 차량 등의 안전을 위해 덮개가 구비된다. 배수로 덮개 중에는 도로의 빗물이 상기 배수로로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구가 구비된 그레이팅 커버(배수구 주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그레이팅 구조의 배수구 주 덮개는 빗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큰 배수구멍이 구비됨으로써 낙엽과 같은 이물질이 배수구멍을 통과하여 배수로로 유입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배수로에 낙엽과 같은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배수로가 쉽게 넘칠 뿐 아니라 도로의 빗물이 배수구를 통해 배수로로 유입될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단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집중 호우시 도로가 침수되는 사고를 초래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 배수 시설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은 배수 시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수 시설의 구조는 배수로(A), 배수구 덮개(C), 콘크리트 구조물(D)로 구성된다. 배수로(A)는 콘크리트 구조물(D)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배수로(A)의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배수구(B)를 설치하여 빗물 등이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배수구(B)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배수구 덮개(C)로 덮는다.
도 2는 배수구 콘크리트 구조물(D)과 배수구 덮개(C)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구 덮개(C) 중앙에 도 4에 도시된 그레이팅(격자형 덮개) 구조의 주 덮개(2)로 덮을 수 있도록 배수구 입구(1)를 성형한 배수구 덮개(C)로 배수구(B)를 덮어놓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배수구 그레이팅(격자형 덮개) 철재 프레임(E)과 주 덮개(2)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배수구 덮개(C)의 다른 예로서 홈부(8)와 주 덮개(2)의 리브 구조(13) 구비된 주 덮개(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주 덮개(2)의 한 예에 의한 그레이팅(격자형 덮개)을 도시한 것으로, 배수 구멍 형상의 홈부(8)와 주 덮개(2)의 리브 구조(13)를 구비한 현재 배수시설의 주 덮개(2) 구조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배수구 덮개(C)의 홈부(8)를 통해 많은 양의 낙엽과 이물질이 배수로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최근 이상 기후의 영향으로 집중 호우 발생시 배수로(A)가 막혀 도로의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아 도로가 침수되고 인명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고려할 때, 종래 구조의 배수구 덮개(C)의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된다. 현재의 배수구를 덮는 주 덮개(2)는 ①그레이팅 구조의 상부에 철망을 철사 등으로 고정한 구조나, ②두꺼운주물로 배수구가 형성되도록 제작된 맨홀 구조, ③두꺼운 주물로 제작된 맨홀 구조의 하부에 일정 공간을 구비하고 철망을 결합하여 맨홀 구조와 철망 사이에 낙엽 등 이물질 유입을 막는 구조, ④두꺼운 철판을 레이저 가공 기계로 절단 가공하여 여러 형태의 문양이나 구멍을 형성한 구조 등, 대부분 단순히 홈부(8)를 임시로 덮는 정도의 개선안들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일부의 경우 배수로(A)에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수해를 예방하기 위해 개인이 스스로 철망을 구입하여 철사 등 수 작업으로 임시 고정한 개선책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배수구를 덮는 배수구 덮개(C)는 낙엽 등의 이물질 유입을 전혀 막지 못하여, 배수로(A) 내부에 낙엽 등의 수북이 쌓여 있어, 배수로(A)의 기능을 못하고 있다.
한편, 기존의 배수로 덮개 등은 디자인과 미감을 중요시하는 현대 사회의 도시적 이미지와 전혀 어울리지 않게 미완성 공사 현장 같아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배수시설들은 장마, 집중호우가 발생할 때,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되어 수해를 예방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그러나 배수로(A) 현장을 확인한 결과 지금 사용되는 기술은, 낙엽 등의 이물질들이 배수구(B)로 유입되는 것을 막지 못하고 있다.
특히 장마철에 폭우가 내릴 경우 지금까지 겪고 있는 수해사고를 반복하여 겪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적으로 충분히 예상된다. 일부 이물질 유입을 예방할 수 있는 제품은 잘못된 설계 구조로 설치 후 낙엽 등 이물질들을 일일이 추가 제거를 해야하는 번거로운 관리 방법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한편, 기존 보조 덮개는 지면보다 약 10mm정도의 높은 턱이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보행자가 턱(10)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발생 시킬 수 있고 청소차량 및 미화원들이 청소를 할 때 청소용 장치나 장비가 턱(10)에 걸리는 등이 불편하고 나뭇잎 등의 쓰레기들이 턱에 걸려 청소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001 KR 10-2434171 B1 (2022.08.1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9093호 (2001.10.17.) 등록특허공보 제10-1208906호(2012.12.0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5132호(2022.03.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4572호(2011.05.25.)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낙엽 등의 이물질 유입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 하도록 하고 청소차량 등 미화원들이 청소할 때 불편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주 덮개에 거치될 수 있는 보조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보조 덮개는, 배수로의 주 덮개에 거치되는 보조 덮개 프레임 및
이물질이 배수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에 고정되는 그물망 구조물을 포함하며
보조 덮개 프레임 테두리에 연장 형성된 보행자들이 프레임의 테두리 턱에 걸려 넘어 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를 포함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 테두리에 연장 형성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 하방에 고정부를 설치하는 구조를 포함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에 연장 형성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가 4면에 구비하며,
배수구 주 덮개에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포함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에 연장 형성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에 있어,
배수구용 주 덮개가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연장 설치된 배수시설 현장 배수구용 주 덮개를 덮는 것을 목적으로 보조 덮개 프레임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를 3면 2면 구비하고,
배수구용 주 덮개를 덮는 보조 덮개 설치공사의 시작과 끝마무리 부분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3면이 구비된 보조 덮개를,
배수구용 주 덮개의 중간 연결부분을 덮는 보조 덮개는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2면이 구비된 보조 덮개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유기적으로 설치 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구조로 설계 제작된 보조 덮개를,
설치 계획에 따라 구성하고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연장 설치된 배수구용 주 덮개에 보조 덮개를 덮는 것을 목적으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를 구비한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가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고정부일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는, 주 덮개의 측면 홈부에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서 지면에 대해 하향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가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자유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은, 요철 구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 구조물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오목부(골), 볼록부(마루)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의 하단 테두리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배수구 주 덮개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덮개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덮개는 배수로의 기존 배수구 주 덮개에 거치됨으로써, 낙엽 등의 이물질이 배수로에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배수로의 물 흐름이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덮개는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를 구비하여 보행자가 보조 덮개 턱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와 청소차 및 미화원들이 청소하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개선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덮개는 배수로의 기존 배수구 주 덮개에 거치됨으로써, 낙엽 등의 이물질이 배수구에 쌓이지 않도록 하여, 배수시설의 유지보수를 편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수시설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배수구의 콘크리트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기존의 배수구 그레이팅 철재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기존의 배수구 주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4면 구비한 보조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3면, 2면으로 서로 다른 구조로 설계하여 유기적으로 설치 계획에 따라 복합적으로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가 구비된 본 발명이 배수로 주 덮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기존의 배수로 주 덮개에 결합된 보조 덮개의 턱에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고정부의 위치에 따른 주 덮개에 설치한 모습을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4면에 구비한 본 발명이 주 덮개에 단독으로 설치하는 현장을 도시한 참고도 이다.
도 11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3면, 2면으로 서로 다른 구조로 설계 제작하여 유기적으로 설치 계획에 따라 복합적으로 설치하는 현장의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덮개를 배수구 주 덮개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프레임구조가 요철구조(리브)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그물망 구조가 오목부(골)와 볼록부(마루)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그물망 구조에 또 다른 오목부(골)와 볼록부(마루)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 배수 시설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은 배수 시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수 시설의 구조는 배수로(A), 배수구 덮개(C), 콘크리트 구조물(D)로 구성된다. 배수로(A)는 콘크리트 구조물(D)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배수로(A)의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배수구(B)를 설치하여 빗물 등이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배수구(B)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배수구 덮개(C)로 덮는다.
도 2는 배수구 콘크리트 구조물(D)과 배수구 덮개(C)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구 덮개(C) 중앙에 도 4에 도시된 그레이팅(격자형 덮개) 구조의 주 덮개(2)로 덮을 수 있도록 배수구 입구(1)를 성형한 배수구 덮개(C)로 배수구(B)를 덮어놓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배수구 그레이팅(격자형 덮개) 철재 프레임(E)과 주 덮개(2)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배수구 덮개(C)의 다른 예로서 홈부(8)와 주 덮개(2)의 리브 구조(13) 구비된 주 덮개(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주 덮개(2)의 한 예에 의한 그레이팅(격자형 덮개)을 도시한 것으로, 배수 구멍 형상의 홈부(8)와 주 덮개(2)의 리브 구조(13)를 구비한 현재 배수시설의 주 덮개(2) 구조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 덮개 프레임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6)를 4면 구비한 사시도이며 대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배수구용 주 덮개가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연장 설치된 배수시설 현장 배수구용 주 덮개를 덮는 것을 목적으로 보조 덮개 프레임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를 3면 2면 구비하고,
배수구용 주 덮개를 덮는 보조 덮개 설치공사의 시작과 끝마무리 부분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3면이 구비된 보조 덮개를 ,
배수구용 주 덮개의 중간 연결부분을 덮는 보조 덮개는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2면이 구비된 보조 덮개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유기적으로 설치 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구조로 설계된 보조 덮개를,
설치 계획에 따라 구성하고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연장 설치된 배수구용 주 덮개에 보조 덮개를 덮는 것을 목적으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를 구비한 것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으로 a와c는 보조 덮개 프레임의 테두리 3면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를 구비하고,
배수구용 주 덮개를 덮는 보조 덮개 설치공사의 시작과 끝마무리 용도로 설계된 것으로 도 11의 a 와 c 경우와 같이 시작과 끝마무리 부분에 적용된다.
b는 보조 덮개 프레임의 테두리 2면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를 구비하고,
배수구용 주 덮개가 연속적으로 연결 배수구용 주 덮개의 중간 연결부분을 덮는 용도로 설계된 것으로 도 11의 b가 적용의 예이다.
상기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는 보조 덮개(3)의 테두리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는 보조 덮개 프레임(5)의 테두리에 구비하여 보조 덮개 프레임(5)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구조적인 기능이 있다.
보조 덮개 프레임(5)과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는 일체형으로 가공할 수 있고,
철판 및 주물가공 등 다양한 방법과,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할 경우는 사출가공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보조 덮개(3)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가 구비된 본 발명과 주 덮개(2)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기존의 보조 덮개의 턱(10)에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보조 덮개 프레임(5)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를 구비하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소차 및 미화원이 청소할 때 턱(10)으로 인한 장치 및 장비가 걸려는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덮개(3)가 주 덮개(2)에 결합되는 다양한 고정부(7)의 구조 및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a는 고정부(7)가 보조 덮개 프레임(5)에 구비하고 있는 구조이고, b는 고정부(7)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 테두리에 구비하고 있는 구조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보조 덮개(3)가 주 덮개(2)의 상부 및 내 측면에 고정 설치 되도록 발명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 이유로는 도2의 실제 배수 시설이 설치된 현장은 배수구 덮개(C)와 주 덮개(2)사이에는 본 발명 보조 덮개(3)를 설치할 여유의 공간이 없다, 보조 덮개(3)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9의 도면 설명과 같이 주 덮개(2)의 내 측면에 설치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이 주 덮개(2)에 독립적으로 적용을 목적으로 발명한 것으로 보조 덮개 프레임(5) 4면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가 구비되어 적용한 예이다.
도 11은 도 1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3에서 와 같이 주 덮개(2)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배수시설 현장의 주 덮개(2)를 덮는 목적으로 발명하여 적용한 또 다른 예이다.
즉, 상세히 설명하면, a와 c는 도 6의 a와 c의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가 3면에 구비한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 주 덮개(2)가 연속으로 설치 되어있는 배수 시설의 보조 덮개(3) 설치 작업에 있어 시작과 끝마무리 부분에 적용한 예이고, b는 도 6의 b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가 2면에 구비한 구조를 a와c 사이의 연결하는 기능으로 설계하여 적용한 예이다.
도 11에서 본 발명의 설치를 도시한 바와 같이 a c와 b의 구조가 서로 다르게 설계하여 주 덮개(2)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시작 과 중간연결 끝마무리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덮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구조는 서로 다른 구조를 기능에 따라 복합적으로 구성하고 유기적으로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된 주 덮개(2)를 덮는 것을 목적으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구조를 구비한 특징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덮개(3)를 주 덮개(2)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같이 보조 덮개(3)에 고정부(7)를 고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를 주 덮개(2) 상부의 홈부(8)에 올려놓고 누름 화살표(11) 방향으로 가볍게 누르면 고정부(7)가 고정부 작동 화살표(12)의 ①방향과 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설치가 완성된다.
한편, 고정부(7)의 위치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보조 덮개 프레임(5)의 하방과 b에서와 같이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의 테두리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보조 덮개(3)를 주 덮개(2)의 상부 및 내부에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7)는 예컨대 도 4의 주 덮개(2)의 홈부(8) 위치에 올려놓고 하방으로 가압하면 보조 덮개(3)가 주 덮개(2)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의 또 다른 예로 도 12와 같이 보조 덮개(3)에 고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보조 덮개 프레임(5)과 일체로 하면에 하향 연장 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의 테두리에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하향 연장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외팔보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의 하단은 자유단부를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7)는 탄성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7)의 하단부는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7)는 걸림부와 탄성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는 주 덮개(2)의 측면 홈부(8)에 걸리도록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 가이드는 상기 걸림부에서 지면에 대해 하향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탄성 가이드는 보조 덮개 프레임(5)이 주 덮개(2)와 결합 될 때 주 덮개(2)에 밀려 수평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고정부(7)가 예기치 않게 파손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7)는 판 형상으로 통상 설계될 수 있으나, 원형, 블록형(벽돌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7)의 수는 보조 덮개(3)설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7)의 재료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 할 수 있다.
그밖에 보조 덮개(3)를 주 덮개(2)에 거치하는 방법은 고정부(7) 외에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너트, 리벳구조, 용접 등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물망 구조물(4)은 보조 덮개 프레임(5)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 구조물(4)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 구조물(4)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과 상기 그물망 구조물(4)이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 구조물(4)은 주 덮개(2)의 홈부(8)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구멍을 가진다.
그물망 구조물(4)의 고정방법은 용접, 접착제, 리벳, 볼트/너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덮개(3)는 보조 덮개 프레임(5)과, 그물망 구조물(4)과, 고정부(7)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와, 유동 방지 홈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은 주 덮개(2)에 결합 되는 부재이다.
보조 덮개 프레임(5)은 예컨대 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의 중앙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 구조물(4)은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에 결합 된다.
상기 그물망 구조물(4)은 이물질이 배수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에 유동 방지 홈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홈부(14)는 상기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의 하단 테두리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 홈부(14)는 보조 덮개(3)가 주 덮개(2)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5)의 규격은 배수구 주 덮개(2)의 구조의 규격과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유동 방지 홈부(14)의 위치는 주 덮개(2)의 리브 구조(13)에 맞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홈부(14)의 수는 보조 덮개(3)의 주 덮개(2)에 설치환경 및 내구성을 감안하여 필요한 수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 방지 홈부(14)를 구비한 구조는 배수구 주 덮개 리브 구조(13)에 거치할 수 있다.
도 13은 보조 덮개 프레임(5)에 요철 구조(리브)(9)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요철 구조(리브)(9)는 보조 덮개(3)의 강한 내구성과, 보조 덮개(3)의 하부 면을 덮어 낙엽 등의 유입을 막는 그물망 구조물(4)을 보호하는 기능도 있다.
요철 구조(리브)(9)의 재료는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그물망 구조물(4)을 오목부(골)와 볼록부(마루)(15)가 구비한 것이다.
상기 오목부(골)와 볼록부(마루)(15)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골)와 볼록부(마루)(15)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그물망 구조물(4)에 쌓일 경우에도 상하 방향으로 편차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그물망 구조물(4)은 오목부(골)와 볼록부(마루)(15)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높낮이를 줌으로써, 낮은 곳(골)과 높은 곳(마루)이 형성되도록 하고, 높은 곳에 낙엽 등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골 형상으로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5는 그물망 구조물(4)의 또 다른 적용의 예로 도면으로 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도 14의 오목부(골)와 볼록부(마루)(15)의 형상과 상기 그물망 요철 구조(리브)가 혼합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보조 덮개는, 배수로의 기존 배수구 주 덮개에 거치됨으로써, 낙엽 등의 이물질이 배수로에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배수로의 물 흐름이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보조 덮개는 배수로의 기존 배수구 주 덮개에 거치됨으로써, 낙엽 등의 이물질이 배수구에 쌓이지 않도록 하여, 배수시설의 유지보수를 편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덮개 프레임에 적용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6) 구조는 보행자가 보조 덮개 프레임턱(10)에 걸려 넘어 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와 미화원들이 청소할 때 불편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A : 배수로
B : 배수구
C : 배수구 덮개
D : 배수구 콘크리트 구조물
E : 배수구 그레이팅(격자형 덮개) 철재 프레임
1 : 배수구 입구
2 : 배수구 주 덮개
3 : 배수구용 보조 덮개
4 : 그물망 구조물
5 : 보조 덮개 프레임
6 :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7 : 고정부
8 : 홈부
9 : 요철 구조
10 : 턱
11 : 누름 화살표
12 : 고정부 작동 화살표
13 : 배수구 주 덮개의 리브구조
14 : 유동 방지 홈부
15 : 오목부(골)와 볼록부(마루)

Claims (11)

  1. 배수로의 배수구 주 덮개에 거치되는 보조 덮개에 있어 보조 덮개 프레임 및
    이물질이 배수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에 고정되는 그물망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의 테두리에 연장 형성된 보행자들이 프레임의 테두리 턱에 걸려 넘어 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 및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는 상기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 가이드 구조가 상기 고정부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에 연장 형성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가 4면에 구비하며,
    배수구 주 덮개에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에 연장 형성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에 있어,
    배수구용 주 덮개가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연장 설치된 배수시설 현장 배수구용 주 덮개를 덮는 것을 목적으로 보조 덮개 프레임에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를 3면 2면 구비하고,
    배수구용 주 덮개를 덮는 보조 덮개 설치공사의 시작과 끝마무리 부분은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3면이 구비된 보조 덮개를,
    배수구용 주 덮개의 중간 연결부분을 덮는 보조 덮개는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가 2면이 구비된 보조 덮개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유기적으로 설치 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구조로 설계 제작된 보조 덮개를,
    설치 계획에 따라 구성하고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연장 설치된 배수구용 주 덮개에 보조 덮개를 덮는 것을 목적으로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가 상기 보조 덮개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고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부는, 배수구 주 덮개의 측면 홈부에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서 지면에 대해 하향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가이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가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자유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요철 구조(리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구조물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오목부(골)볼록부(마루)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경사면 가이드의 하단 테두리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배수구 주 덮개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덮개 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 홈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보조 덮개.
KR1020230089594A 2023-07-11 배수구용 보조 덮개 KR102672410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410B1 true KR102672410B1 (ko) 2024-06-04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093Y1 (ko) * 2001-06-22 2001-10-17 박덕수 배수구용 그릴에 장착하는 그물망커버
KR100866289B1 (ko) * 2007-05-30 2008-10-31 유순애 도로배수시설용 협잡물 여과구
KR101208906B1 (ko) * 2012-06-22 2012-12-06 임규옥 빗물받이 집수정용 악취 오물 방지용 덮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KR102553614B1 (ko) * 2023-02-28 2023-07-10 (주)범씨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수로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093Y1 (ko) * 2001-06-22 2001-10-17 박덕수 배수구용 그릴에 장착하는 그물망커버
KR100866289B1 (ko) * 2007-05-30 2008-10-31 유순애 도로배수시설용 협잡물 여과구
KR101208906B1 (ko) * 2012-06-22 2012-12-06 임규옥 빗물받이 집수정용 악취 오물 방지용 덮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KR102553614B1 (ko) * 2023-02-28 2023-07-10 (주)범씨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수로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5791A (ko) 슬렌팅 보호덮개
KR102262405B1 (ko) 우수 배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2672410B1 (ko) 배수구용 보조 덮개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101810874B1 (ko) 수로관용 에프알피 그레이팅
KR102578893B1 (ko) 배수구용 보조 덮개 및 주 덮개
CN208649833U (zh) 一种新型公路工程筒镶嵌式排水路肩
CN205329832U (zh) 带过滤框的雨水口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2590712B1 (ko)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KR200249093Y1 (ko) 배수구용 그릴에 장착하는 그물망커버
KR20190094613A (ko) 오물걸림이 방지되는 그레이팅
KR100951061B1 (ko)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KR101381773B1 (ko)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KR200449230Y1 (ko) 빗물 고임 방지용 안전 맨홀 뚜껑
KR102609204B1 (ko) 교량 선배수장치
JP3152392U (ja) 法面保護ブロック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101178211B1 (ko) 경계석 측면 설치용 배수구
KR102100834B1 (ko) 스틸 트렌치용 쓰레기 유입 방지 마개 장치
JP2005336747A (ja) 樋用ゴミ除けカバーとその取付構造
JPH0324705Y2 (ko)
KR101606836B1 (ko) 안전망 결합구조와 뚜껑의 잠금장치로 이루어진 맨홀
KR200492849Y1 (ko) 배수용 그레이팅
JPS6137705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