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071B1 -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071B1
KR102672071B1 KR1020170000798A KR20170000798A KR102672071B1 KR 102672071 B1 KR102672071 B1 KR 102672071B1 KR 1020170000798 A KR1020170000798 A KR 1020170000798A KR 20170000798 A KR20170000798 A KR 20170000798A KR 102672071 B1 KR102672071 B1 KR 10267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optical
photoelectric conversion
conversion unit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982A (ko
Inventor
손성기
배창훈
최정화
고영기
곽병주
김선우
방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071B1/ko
Priority to EP17202617.1A priority patent/EP3343257B1/en
Priority to US15/831,862 priority patent/US10545303B2/en
Priority to JP2019531402A priority patent/JP6959985B2/ja
Priority to PCT/KR2017/015473 priority patent/WO2018128313A1/en
Priority to CN201810003444.9A priority patent/CN108267818B/zh
Publication of KR20180079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7Optical cables with internal fluted support memb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Abstract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 케이블은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클래드와, 상기 클래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광섬유; 내부에 상기 광섬유가 복수로 배치되고, 광이 투과되는 피복; 및 상기 피복과 상기 복수의 광섬유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광이 투과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OPTICAL CABLE AND OPTICAL CABLE ASSA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invisible)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통신 시장에서는 기존의 메가(Mega) 급에서 기가(Giga) 급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통신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인터넷 선로에는 기존의 구리 케이블을 대체하여 광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광 케이블은 광 케이블 모드에 따라서 싱글 모드(Single-Mode)와 다중 모드(Multi-Mode)로 구분될 수 있다. 싱글 모드는 광 케이블 안에 도파되는 빛의 모드가 하나인 것으로 긴 거리까지 전송이 가능하다. 멀티 모드는 광 케이블 안에 도파되는 빛의 모드가 여러 개인 것으로 단거리 전송에 용이하다.
많은 양의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서 다중 모드의 광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중 모드의 광 케이블은 다수의 광섬유를 실장한 내부 피복을 외부 피복 내에 실장하는 이중 피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광 케이블의 부피가 실장되는 광섬유의 수에 비하여 매우 커지는 문제가 있고, 광 케이블이 이중 피복 구조를 가짐에 따라 광 케이블의 제작 공정이 복잡하며,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광 케이블 중 빌딩이나 사무실 내에 설치하는 옥내용 광케이블은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되므로 주변 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거나 인테리어 효과를 저감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외경이 최소화 되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도록 형성되는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클래드와, 상기 클래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광섬유; 내부에 상기 광섬유가 복수로 배치되고, 광이 투과되는 피복; 및 상기 피복과 상기 복수의 광섬유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광이 투과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충진재 내에 삽입되는 인장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선은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 및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를 상호 연결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광 케이블은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클래드와, 상기 클래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광섬유와, 내부에 상기 광섬유가 복수로 배치되고 광이 투과되는 피복과, 상기 피복과 상기 복수의 광섬유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광이 투과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는 각각, 회로 보드; 상기 회로 보드를 둘러싸는 쉴드 캔; 및 내부에 상기 쉴드 캔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플러그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타단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나팔 형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회로 보드에는, 상기 광 케이블과 상기 회로 보드를 연결하는 렌즈 유닛; 광을 방출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광소자 유닛; 및 광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광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상기 제2 광전 변환부에 삽입된 상기 광 케이블의 양단에서 상기 복수의 광섬유들이 각각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섬유 각각은 상기 렌즈 유닛의 각 렌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광 케이블과 상기 광소자 유닛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는 각각, 상기 쉴드 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 보드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쉴드 캔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 케이블을 상기 쉴드 캔 내부로 안내하는 제2 지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좌측 지지편 및 우측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 캔 내의 상기 좌측 지지편 및 우측 지지편은 서로 마주하는 면이 상기 광 케이블이 상기 렌즈 유닛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 구동 집적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벤트 홀(vent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외측면에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클래드를 감싸는 투명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어셈블리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광전 변환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 케이블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광 케이블(1) 에 대해 설명한 후, 광 케이블(1)을 포함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도록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케이블(1)은 그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더욱 식별이 어렵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 케이블(1)은 투명한 복수의 광섬유들(10)과, 복수의 광섬유들(10)이 내부에 배치되고 광이 투과되는 피복(20)과, 피복(20)과 복수의 광섬유들(10)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광이 투과되는 투명한 충진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광이 투과되는 피복(20)과 충진재(30)를 투명하다고 할 수 있다. 투명한 피복(20) 및 투명한 충진재(30)는 광의 일부만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해서만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광섬유(10)는 광신호의 전송 매체가 되는 것으로, 투명한 코어(11) 및 투명한 클래드(13)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11)는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으로, 광섬유(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광신호가 코어(11)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반사 진행한다.
클래드(13)는 광신호를 코어(11) 내에 가두기 위한 것으로, 코어(11)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클래드(13)는 코어(11)의 외주를 따라 코어(11)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광섬유들(10) 각각은 그 횡단면(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대체로 원형(타원형, 요철을 갖는 원형을 포함)의 외곽을 갖는다. 코어(11)는 원형 봉의 형태를 갖고, 클래드(13)는 원형 튜브의 형태를 가지며, 코어(11) 및 클래드(13)는 동심 구조로 배치된다.
피복(20)은 광 케이블(1)의 최외곽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광섬유들(1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압출 공정을 통해 단일 재질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피복(20)은 높은 인장 강도 및 높은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20)은 투명하게 형성된다. 즉, 피복(20)은 피복(20)으로 입사하는 광이 피복(20)을 투과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피복(20)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광섬유(10) 및 충진재(30) 또한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광 케이블(1)로 입사되는 광이 투과된다.
사용자는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는 시각에 따라서 피복(20)을 투과하는 광을 인식하게 되어 광 케이블(1)을 광 케이블(1)이 배치된 바닥면 또는 주변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케이블(1) 자체는 육안으로 인식되기 어렵다.
피복(20)은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복(20)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형성될 수 있다.
피복(20)은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광섬유들(10)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소정의 보호막을 형성한다. 외부 피복(20)이 원형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광섬유들(10)을 원형으로 둘러싸기 때문에 광섬유(10)가 받는 외부 압력을 반감시킨다.
광 케이블(1)은 단일한 피복(20) 내부에 복수의 광섬유(10)가 일정 정도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은 여러 개의 광섬유(10) 심선들을 수용하는 별도의 튜브, 슬롯 또는 리본을 포함하지 않아, 복수의 광섬유(10)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수용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단일한 외부 피복(20)에 수용된다. 따라서, 광섬유(10)들은 특정 고정된 방향성을 가지지 않도록 서로에 대하여 느슨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광섬유들(10)은 도 1과 같이 일정한 배열을 갖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피복(20)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은 종래 광 케이블에 따른 루즈 튜브나 리본 광섬유 번들을 이용한 다심 광 케이블에 비해 동일한 외경에서 심선수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개수의 광섬유가 내장된 종래의 다심 광 케이블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의 경우 외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은 하나의 외부 피복(20)에 복수의 광섬유들(10)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광 케이블(1)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충진재(30)는 복수의 광섬유(1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피복(20) 내로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다. 또한, 충진재(30)는 광 케이블(1)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매개체이다.
충진재(30)는 피복(20) 내의 빈 공간에 각 광섬유(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충진재(3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피복(20)과 복수의 광섬유(10)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충진재(30)는 방수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아라미드 섬유, 유리 섬유 등과 같은 방적사(yarn) 형태일 수 있다. 충진재(30)는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충진재(30) 및 이를 둘러싸는 피복(20)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케이블(1) 자체가 투명해져 광 케이블(1)의 시인성(visibility)을 낮출 수 있다.
충진재(30)는 피복(20)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항장력을 제공한다.
광 케이블(1)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섬유들(10)과, 피복(20)과, 충진재(30)는 모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섬유(10)를 구성하는 코어(11) 및 클래드(13) 또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복수의 광섬유(10), 충진재(30) 및 피복(20) 모두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때, 광 케이블(1)의 최외곽에 배치된 피복(20)의 광 투과율은 피복(20)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광섬유(10) 및 충진재(30)의 광 투과율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충진재(30) 및 피복(20)의 광 투과율을 높게 형성할수록 광 케이블(1)의 시인성은 더욱 떨어진다.
실내 또는 건물의 외벽, 복도 등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광 케이블(1)을 설치하는 경우, 투명한 광 케이블(1)은 광 케이블(1)이 배선된 주변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고 옥내 및 옥외의 인테리어 효과를 저감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1)은 복수의 광섬유들(10)을 하나의 피복(20)이 감싸도록 형성되고, 피복(20)은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심 광 케이블(1)의 외경을 최소화하고, 투명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인비저블(invisible) 광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a)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도록 외광을 반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광 케이블(1a)은 복수의 광섬유(10)와, 내부에 광섬유(10)가 복수로 배치되고 외광을 반사하는 피복(20)과, 피복(20)과 복수의 광섬유(10)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충진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복(20)은 무색(Colorless)이고,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무색'의 의미는 투명한 것과 불투명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피복(20)은 소정의 반사율을 갖도록 형성되어 피복(20)으로 입사하는 광을 반사한다. 이에 따라, 피복(20)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광섬유(10)들과 충진재(30)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잘 인식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피복(20)은 광 케이블(1)이 배치된 바닥면 또는 주변으로부터 반사되어 피복(20)으로 입사되는 광을 다시 피복(20)이 반사시킨다. 피복(20)이 외광을 반사하도록 형성됨으로 인해 광 케이블(1)은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게 된다. 사용자는 보는 시각에 따라서 광 케이블(1)의 피복(20)이 반사하는 광을 인식하게 되기 때문에 광 케이블(1) 자체는 육안으로 인식되기 어렵다.
이 경우 충진재(30)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진재(30)는 유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흰색의 방적사 형태일 수 있다. 충진재(30)가 불투명한 재질일 때, 피복(20)만 외광을 반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복(20)이 외광을 반사하기 때문에 피복(20)의 내부가 외부에서 인식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피복(20)으로 둘러싸인 광 케이블(1) 자체가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내 또는 건물의 외벽, 복도 등에 외광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된 광 케이블(1)을 설치하는 경우 광 케이블(1)은 피복(20)으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고 옥내 및 옥외의 인테리어 효과를 저감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1)은 복수의 광섬유들(10)을 하나의 피복(20)이 감싸도록 형성되고, 피복(20)이 외광을 반사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심 광 케이블(1)의 외경을 최소화하고, 외광을 반사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인비저블(invisible) 광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클래드를 감싸는 투명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b)은 복수의 광섬유들(10)을 각각 감싸는 코팅층(1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충진재(30) 내에 삽입되는 인장선(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섬유(10)는 각각 코어(11), 클래드(13) 및 코팅층(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11)는 제1 광 굴절률을 가지며, 클래드(13)는 코어(11)의 굴절률 보다 낮은 광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코팅층(15)은 클래드(13)를 둘러싸는 투명한 수지층으로, 클래드(13)와 상이한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코팅층(15)은 클래드(13)의 굴절률 보다 낮은 광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코팅층(15)이 강체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충진재(30)와 함께 광 케이블(1)의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팅층(15)의 재질로는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Hytrel)),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나일론(nylon)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인장선(40)은 항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광 케이블(1)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인장선(40)의 재질로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를 사용할 수 있으며, 광 케이블(1b)의 나머지 구성들과 마찬가지로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인장선(40)은 광 케이블(1b)의 인장력 및 압축 강도를 향상시키며, 외부 피복(20)의 탈피(즉, 벗겨 내는 것, 제거 내지 분리)를 도울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광 케이블(1b)의 외부 피복(20)을 일부 탈피한 후 인장선(40)을 잡아당김으로써 외부 피복(20)을 광 케이블(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b)은 복수의 광섬유(10)들이 외부 피복(20) 내에서 느슨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선(40) 또는 코팅층(15)을 더 포함하더라도 동일한 강도를 갖는 종래의 광 케이블보다 본 발명의 광 케이블(1)이 더 슬림(Slim)하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어셈블리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광전 변환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제1 광전 변환부(110), 제2 광전 변환부(150) 및 광 케이블(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 케이블(1)은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를 상호 연결한다. 이를 위해, 광 케이블(1)의 양단에는 각각 제1 광전 변환부(110)와 제2 광전 변환부(150)가 결합한다.
광 케이블은 상기 설명한 광이 투과되는 광 케이블(1) 또는 외광을 반사하는 광 케이블(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케이블은 광이 투과되는 피복(20)을 포함하는 광 케이블(1) 또는 외광을 반사하는 피복(20)을 포함하는 광 케이블(1a)일 수 있다. 또한 광 케이블은 도 3의 광 케이블(1b)과 같이 인장선(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광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광이 투과되는 광 케이블(1)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광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광을 반사하는 광 케이블(1a)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양방향 광 송신 및 수신 장치에 해당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광전 변환부(110)는 외부 장치(미도시)의 송신부와 연결되고, 제2 광전 변환부(150)는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의 수신부로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광전 변환부(110)는 광 케이블(1)과 회로 보드(120)를 연결하는 렌즈 유닛(126), 광을 방출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광소자 유닛(125), 및 광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광 구동 집적회로(123)가 실장된 회로 보드(120)를 구비한다.
렌즈 유닛(126)은 복수의 점퍼(127) 및 복수의 렌즈(128)로 구성된다. 복수의 점퍼(127)는 복수의 광섬유(10)들과 각각 연결되어 광섬유(10)를 회로 보드(16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렌즈(128)는 복수의 점퍼(127)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회로 보드(120)로부터 광 케이블(1)로 광 신호를 전달한다.
광소자 유닛(125)은 전기 신호를 받아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칩(125a)과, VCSEL 칩(125a)으로부터 발생한 광 신호를 받아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PD(Photo diode) 칩(125b)으로 구성된다.
제2 광전 변환부(150)는 제1 광전 변환부(110)와 마찬가지로, 광 케이블(1)과 회로 보드(160)를 연결하는 렌즈 유닛(166), 광을 방출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광소자 유닛(165), 및 광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광 구동 집적회로(163)가 실장된 회로 보드(160)를 구비한다.
렌즈 유닛(166)은 복수의 점퍼(167) 및 복수의 렌즈(168)로 구성된다. 복수의 점퍼(167)는 복수의 광섬유(10)들과 각각 연결되어 광섬유(10)를 회로 보드(16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렌즈(168)는 복수의 점퍼(167)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광 케이블(1)로부터 회로 보드(160)로 광 신호를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광소자 유닛(165)은 전기 신호를 받아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칩(165a)과, VCSEL 칩(165a)으로부터 발생한 광 신호를 받아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PD(Photo diode) 칩(165b)으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광 케이블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광전 변환부(110)와 연결된 송신부의 전기신호(즉 영상 데이터)는 제1 광전 변환부(110)의 회로 보드(120) 상에 배치된 광 구동 집적회로(123)의 제어를 통해 광소자 유닛(125)의 VCSEL 칩(125a)에서 광 신호로 변환되며, 변환된 광 신호는 렌즈 유닛(126)의 렌즈(128)에 반사되어 VCSEL 칩(125a)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수직 출사되어 점퍼(127)를 통해 복수의 광섬유(10) 각각으로 전송된다.
제1 광전 변환부(110)로부터 전송된 광 신호는 광 케이블(1)을 통해 제2 광전 변환부(150)로 전송된다. 제1 광전 변환부(110)와 제2 광전 변환부(150)를 연결하는 광 케이블(1)은 복수의 광섬유들(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광섬유들(10)은 8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4개의 광섬유(10a)는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광섬유들(10a)은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 하나의 광섬유(10a)가 12.5G에 해당하는 양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나머지 4개의 광섬유(10b, 10c) 중 2개의 광섬유(10b)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며, 2개의 광섬유(10c)는 신호검출기(Signal Detector)의 신호를 전송한다.
제2 광전 변환부(150)는 광 케이블(1)로부터 광 신호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광 신호는 점퍼(167)에 의해 각각의 렌즈(168)로 전달되고, 렌즈(168)를 통해 광 신호가 아랫 방향으로 수직 반사되어 회로 보드(160) 상의 PD 칩(165b)으로 입사된다.
입사된 광 신호는 회로 보드 상의 TIA(Transimpedance Amflifier)(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PD 칩(165b)의 출력전류를 증폭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신호는 제2 광전 변환부(150)와 연결된 수신부(즉, 디스플레이부)로 입력된다.
제1 광전 변환부(110) 및 제2 광전 변환부(150) 내부 구성의 배치를 신호 전달 방향에 따라 설명한다.
에서, 제1 광전 변환부(110)는 광 구동 집적회로(123), 광소자 유닛(125) 및 렌즈 유닛(126)이 송신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 받는 플러그(121)로부터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케이블(1)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2 광전 변환부(150)는 렌즈 유닛(166), 광소자 유닛(165), 광 구동 집적회로(163)가 광 케이블(1)에서 수신부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 광전 변환부(110)는 송신부와 연결되는 플러그(121)를 구비하고, 제2 광전 변환부(150)는 수신부로 연결되는 플러그(16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제1 및 제2 광전 변환부(110, 150)를 구비하여 최종적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플러그(121, 161)가 구비된다. 광 케이블(1)의 광 신호를 플러그(121, 161)를 송신부 및 수신부에 전기 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21, 161)를 통해 외부 전원이 들어와 광 구동 집적회로(123, 16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광전 변환부(110)와 제2 광전 변환부(150)의 구성 및 구조는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 제1 광전 변환부(1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광전 변환부(110) 및 제2 광전 변환부(150)는 각각 회로 보드(120, 160), 회로 보드를 둘러싸는 쉴드 캔(130) 및 내부에 쉴드 캔이 배치되는 하우징(140)을 포함한다.
회로 보드(120)에는 광 케이블(1)과 회로 보드(120)를 연결하는 렌즈 유닛(126), 광을 방출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광소자 유닛(125), 및 광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광 구동 집적회로(123)가 실장된다. 이 경우, 렌즈 유닛(126), 광소자 유닛(125), 광 구동 집적회로(123)는 광 케이블(1)에서부터 플러그(121)까지 이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광섬유들(10)은 제1 광전 변환부(110) 및 제2 광전 변환부(150)에 삽입된 광 케이블(1)의 양단에서 각각 분기된다. 각각 분기된 광 케이블(1)은 제1 광전 변환부(110) 및 제2 광전 변환부(150) 내에서 피복(20) 없이 광섬유(10)들만 배치된다.
피복(20)으로 둘러 싸인 광섬유들(10)이 광 케이블(1)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광섬유들(10) 상호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렌즈 유닛(126)에 결합된다.
복수의 광섬유(1) 각각은 렌즈 유닛(126)의 각 렌즈(128)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광 섬유(1)는 각각 점퍼(127)를 통해 회로 보드(120)에 배치된 복수의 렌즈(128) 각각과 연결된다. 복수의 렌즈(128)는 복수의 광섬유(10)가 복수의 점퍼(127)와 각각 결합되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광소자 유닛(125)은 복수의 광섬유(10)가 렌즈 유닛(126)에 결합하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즉, 광소자 유닛(125)은 광 케이블(1)을 기준으로 렌즈 유닛(126)의 후단에 배치된다.
광소자 유닛(125) 중 광을 방출하는 VCSEL 칩(125a)은 송신부와 연결된 제1 광전 변환부(11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VCSEL 칩(125a)으로부터 전송받은 광을 수신하는 PD 칩(165b)은 수신부와 연결된 제2 광전 변환부(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광전 변환부(110)의 광소자 유닛(125) 중 일부는 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 받고 신호검출기(Signal Detector)의 신호를 전달 받기 위해PD 칩(125b)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광전 변환부(150)의 광소자 유닛(125) 중 일부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검출기(Signal Detector)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VCSEL 칩(125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양방향 광 송신 수신 장치이므로, 제1 광전 변환부(110) 및 제2 광전 변환부(150)의 광소자 유닛(125)은 VCSEL 칩(125a)과 PD 칩(125b)이 동일한 개수로 포함할 수도 있다.
광 구동 집적회로(123)는 광 케이블(1)을 기준으로 광소자 유닛(125)의 후단에 배치된다. 광 구동 집적회로(123)는 제1 광전 변환부(110)에서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 출력에 필요한 전류로 변환하고, 제2 광전 변환부(150)에서는 광 신호로 출력된 전류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집적회로다.
쉴드 캔(130)의 내부에 회로 보드(120)와 분기된 복수의 광섬유(1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쉴드 캔(130)은 회로 보드(120) 또는 회로 보드(120) 상에 장착되는 각종 소자들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 장애(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방지할 수 있다.
쉴드 캔(130)의 일단(130a)에는 송신부 또는 수신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121)가 연장 형성된다. 플러그(121)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쉴드 캔(130)의 타단(130b)은 광 케이블(1)과 연결된다. 광 케이블(1)과 연결되는 쉴드 캔(130)의 타단(130b)을 기준으로, 쉴드 캔(130) 내부에는 회로 보드(12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31)가 배치되고, 쉴드 캔(130) 외부에는 광 케이블(1)을 쉴드 캔(1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제 2 지지부(133)가 배치된다.
제1 지지부(131)는 회로 보드(120)를 고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부(131)의 일단은 회로 보드(120)와 접촉되고, 제1 지지부(131)의 타단은 쉴드 캔(130)의 타단(130b)과 접촉한다.
제1 지지부(131)는 좌측 지지편(131b) 및 우측 지지편(131b)을 포함한다. 제1 지지부(131)는 광 케이블(1)이 렌즈 유닛(126)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쉴드 캔(130) 내의 좌측 지지편(131b) 및 우측 지지편(131b)의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31)의 좌측 지지편(131b)은 서로 마주하는 면이 쉴드 캔(130)의 타단(130b)으로부터 회로 보드(120)까지 쉴드 캔(130)의 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우측 지지편(131b)도 마찬가지로 쉴드 캔(130)의 타단(130b)으로부터 회로 보드(120)까지 쉴드 캔(130)의 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지지부(131)는 분기된 광섬유(10)와 이격된 채로 광섬유(10)들이 분기된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지지부(131)는 분기된 복수의 광섬유(10)를 간섭하지 않으면서 회로 보드(120)를 지지한다.
제2 지지부(133)는 쉴드 캔(130)으로 삽입되는 광 케이블(1)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133)의 일단은 쉴드 캔(130)과 접촉하고, 타단은 하우징(140)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제2 지지부(133)에는 광 케이블(1)이 쉴드 캔(13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홀(132)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지지부(131, 133)는 별개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부(131, 133)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40)도 함께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육안에 잘 띄지 않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쉴드 캔(130)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일단은 전술한 송신부 또는 수신부와 연결되고, 하우징(140)의 타단은 광 케이블(1)과 연결된다. 하우징(140)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되는 하우징(140)의 일단에는 쉴드 캔(13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플러그(121)가 하우징(14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플러그 홀(141)이 형성된다. 플러그(121)는 송신부와 연결된 경우 신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부와 연결된 경우 수신부에 전기 신호를 전송한다.
하우징(140)의 타단에는 광 케이블(1)을 하우징(140)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43)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43)에는 제1 삽입홀(142)이 형성된다. 제1 삽입홀(142)을 통해 광 케이블(1)은 제1 광전 변환부(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가이드부(143)는 하우징(140)의 내부를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나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43)의 내주면(143a)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43)의 내주면(143a)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광 케이블(1) 유동 시 광 케이블(1)이 가이드부(143)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훼손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 케이블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40)은 쉴드 캔(1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고, 하우징(140)의 일단에는 플러그(12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플러그 홀(14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광 케이블(1)이 형성된다.
하우징(140)의 외측면에는 광 구동 집적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벤트 홀(vent hole, 14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벤트 홀(145)이 하우징(140)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벤트 홀(145)은 하우징(140)뿐만 아니라 쉴드 캔(13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외측면에 미끄럼방지 돌기(147a)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측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 돌기(147a)뿐만 아니라 전면 또는 후면에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 돌기(147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제1 또는 제2 광전 변환부(110, 150)를 송신부 또는 수신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1a, 1b : 광 케이블 10 : 광섬유
20: 피복 30 : 충진재
40 : 인장선 100 : 광 케이블 어셈블리
110 : 제1 광전 변환부 150 : 제2 광전 변환부

Claims (18)

  1.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 케이블에 있어서,
    각각이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클래드와, 상기 클래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섬유들;
    내부에 상기 복수의 광섬유들이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피복; 및
    상기 피복과 상기 복수의 광섬유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래드의 굴절률은 상기 코어의 굴절률보다 낮고,
    상기 코팅층의 굴절률은 상기 클래드의 굴절률보다 낮으며,
    상기 복수의 광섬유들, 상기 피복, 및 상기 충진재는 투명한, 광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 내에 삽입되는 인장선을 더 포함하는, 광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은 광이 투과되는, 광 케이블.
  4. 광 케이블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 및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를 상호 연결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광 케이블은,
    각각이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클래드와, 상기 클래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섬유들;
    내부에 상기 복수의 광섬유들이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피복; 및
    상기 피복과 상기 복수의 광섬유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충진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래드의 굴절률은 상기 코어의 굴절률보다 낮고,
    상기 코팅층의 굴절률은 상기 클래드의 굴절률보다 낮으며,
    상기 복수의 광섬유들, 상기 피복, 및 상기 충진재는 투명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는 각각,
    회로 보드;
    상기 회로 보드를 둘러싸는 쉴드 캔; 및
    내부에 상기 쉴드 캔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광이 투과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플러그가 연장 형성된, 광 케이블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타단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나팔 형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이 곡면을 이루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보드에는,
    상기 광 케이블과 상기 회로 보드를 연결하는 렌즈 유닛;
    광을 방출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광소자 유닛; 및
    광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광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상기 제2 광전 변환부에 삽입된 상기 광 케이블의 양단에서 상기 복수의 광섬유들이 각각 분기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섬유 각각은 상기 렌즈 유닛의 각 렌즈에 고정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광 케이블과 상기 광소자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는 각각,
    상기 쉴드 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 보드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쉴드 캔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 케이블을 상기 쉴드 캔 내부로 안내하는 제2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좌측 지지편 및 우측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 캔 내의 상기 좌측 지지편 및 우측 지지편은 서로 마주하는 면이 상기 광 케이블이 상기 렌즈 유닛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는, 광 케이블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광 케이블 어셈블리.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 구동 집적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벤트 홀(vent hole)이 형성된, 광 케이블 어셈블리.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측면에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된, 광케이블 어셈블리.
KR1020170000798A 2017-01-03 2017-01-03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 KR10267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98A KR102672071B1 (ko) 2017-01-03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
EP17202617.1A EP3343257B1 (en) 2017-01-03 2017-11-20 Optical cable and optical cable assembly having the same
US15/831,862 US10545303B2 (en) 2017-01-03 2017-12-05 Optical cable and optical cable assembly having the same
JP2019531402A JP6959985B2 (ja) 2017-01-03 2017-12-26 光ケーブル及びそれを含む光ケーブルアセンブリ
PCT/KR2017/015473 WO2018128313A1 (en) 2017-01-03 2017-12-26 Optical cable and optical cable assembly having the same
CN201810003444.9A CN108267818B (zh) 2017-01-03 2018-01-02 光缆和具有光缆的光缆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98A KR102672071B1 (ko) 2017-01-03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82A KR20180079982A (ko) 2018-07-11
KR102672071B1 true KR102672071B1 (ko)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014Y1 (ko) * 2001-04-23 2001-10-12 (주)비토넷 투명 광케이블
KR100320389B1 (ko) * 1998-12-31 2005-09-30 주식회사 머큐리 광케이블 분기장치
JP2012027079A (ja) * 2010-07-20 2012-02-09 Hitachi Cable Ltd 光電変換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389B1 (ko) * 1998-12-31 2005-09-30 주식회사 머큐리 광케이블 분기장치
KR200240014Y1 (ko) * 2001-04-23 2001-10-12 (주)비토넷 투명 광케이블
JP2012027079A (ja) * 2010-07-20 2012-02-09 Hitachi Cable Ltd 光電変換モジュ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9985B2 (ja) 光ケーブル及びそれを含む光ケーブルアセンブリ
JP5050209B2 (ja)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150309274A1 (en) Fiber optic ribbon cable
US9746628B2 (en) Active optical cable assembly including optical fiber movement control
JP4750983B2 (ja) 双方向光伝送デバイス
US10976506B2 (en) Optical transceiver
US9733438B2 (en) Optical connector for data transceiver modules and lens block for optical connectors
US20190170949A1 (en) Bend induced light scattering fiber and cable assemblies and method of making
US8989543B2 (en) Optical cable
US11658747B2 (en)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2012088571A (ja) 光電気複合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KR102672071B1 (ko) 광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한 광 케이블 어셈블리
JP2013024738A (ja) 活線検出装置
JP5460554B2 (ja) 光電気複合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CN112904494A (zh) 一种光模块
US8783970B2 (en) Optical fiber module
JP3879521B2 (ja) 光学素子及び当該光学素子を用いた光トランシーバその他の光学装置
US11409060B2 (en) Optical module
CN112904493A (zh) 一种光模块
US11487066B2 (en) Optical transceivers with protective layers
CN216819842U (zh) 连接线组件
CN211669406U (zh) 一种光模块
JP7471937B2 (ja) 光ケーブルの敷設施工方法および光ケーブル敷設施工セット
CN207937652U (zh) 一种网络设备光纤收发器用光缆线
CN207636814U (zh) 一种通信光纤专用连接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