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766B1 -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766B1
KR102671766B1 KR1020230037587A KR20230037587A KR102671766B1 KR 102671766 B1 KR102671766 B1 KR 102671766B1 KR 1020230037587 A KR1020230037587 A KR 1020230037587A KR 20230037587 A KR20230037587 A KR 20230037587A KR 102671766 B1 KR102671766 B1 KR 10267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adhesion
frame
wire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완규
Original Assignee
수전기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전기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적인 전기 공사 시설물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선을 천장을 따라 거치할 수 있도록 건물 실내 공간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트레이부; 및 전선을 벽면을 따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트레이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건물 실내의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 트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Integrated electrical construction facility install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합적인 전기 공사 시설물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 정돈 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각종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여 주는 종래의 케이블트레이는 전반적으로 크게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행거(막대형, 판형)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게 되므로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케이블트레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지진 등으로 인해 연결부재로 체결되어진 케이블트레이와 또 다른 케이블트레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되는 경우 결합력이 약해지고, 나아가 충격이 완충 되지 않으며, 온도변화에 대해서도 변형가능성 있고, 설치시 미세한 설치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6585호 (2013.05.22.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전선의 안정적이고 안전한 시공, 전기공사 실시 장소의 트레이 설치 후 안정적인 배선을 할 수 있는 배선 지지 구조에 더하여서 전선 안전 매입을 위한 전선 박스 등의 부가 구조물도 함께 설치하여 종합적인 전기 공사 시설물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은, 전선을 천장을 따라 거치할 수 있도록 건물 실내 공간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트레이부; 및 전선을 벽면을 따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트레이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건물 실내의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 트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은, 상기 수평 트레이부 또는 상기 수직 트레이부에 거치되어 있는 전선의 분배를 위해 건물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전선 배관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은, 상기 수평 트레이부 또는 상기 수직 트레이부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평 트레이부 또는 상기 수직 트레이부에 거치되어 있는 전선을 상기 수평 트레이부 또는 상기 수직 트레이부에 밀착시켜 주는 전선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트레이부는, "┎" 형상으로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이격되어 "┒" 형상으로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따라 전선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각 하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전선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 밀착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상기 전선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전선의 상측을 따라 밀착되어 이동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거치대에 밀착시켜 주는 밀착 롤러부; 상기 밀착 롤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단 수평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 롤러부를 전선과 밀착시켜 지지하는 제1 밀착 유도부; 상기 밀착 롤러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측벽의 상단 수평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 롤러부를 전선과 밀착시켜 지지하는 제2 밀착 유도부; 및 상기 제1 밀착 유도부와 상기 제2 밀착 유도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롤러부는, 상기 제1 밀착 유도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밀착 유도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각 전단 사이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선의 상측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거치대에 밀착시켜 주는 제1 밀착 롤러; 및 상기 제1 밀착 롤러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각 후단 사이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선의 상측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거치대에 밀착시켜 주는 제2 밀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밀착 유도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단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 하단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단 수평면의 하측에 안착되는 지지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마름모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내측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X" 형상으로 형성되되, 4 개의 각 단부가 상기 지지 블록의 4 개의 각 경사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X"형 챔버; 및 상기 "X"형 챔버의 4 개의 각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X"형 챔버의 4 개의 각 단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는 각 단부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안착되어 지지 블록을 지지며, 상기 "X"형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에 의해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X"형 챔버로부터 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X"형 챔버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주는 4 개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X"형 챔버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삽입 프레임; 상기 삽입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기 지지 블록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삽입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회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X"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4 개의 각 단부가 상기 삽입 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되는 지지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는 "X"형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X"형 지지대의 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4 개의 완충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선의 안정적이고 안전한 시공, 전기공사 실시 장소의 트레이 설치 후 안정적인 배선을 할 수 있는 배선 지지 구조에 더하여서 전선 안전 매입을 위한 전선 박스 등의 부가 구조물도 함께 설치하여 종합적인 전기 공사 시설물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평 트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전선 밀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밀착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10)은, 수평 트레이부(100) 및 수직 트레이부(200)를 포함한다.
수평 트레이부(100)는, 전선을 천장을 따라 거치할 수 있도록 건물 실내 공간의 천장을 따라 설치된다.
수직 트레이부(200)는, 전선을 벽면을 따라 거치할 수 있도록 수평 트레이부(100)의 단부에 설치되어 건물 실내의 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수평 트레이부(100)와 수직 트레이부(200)의 연결 부위(R)를 둥글게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어 전선의 파손을 최소화시켜 줌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10)은, 전선 배관 박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 배관 박스(300)는, 수평 트레이부(100) 또는 수직 트레이부(200)에 거치되어 있는 전선의 분배를 위해 건물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매입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10)은, 전선의 안정적이고 안전한 시공, 전기공사 실시 장소의 트레이 설치 후 안정적인 배선을 할 수 있는 배선 지지 구조에 더하여서 전선 안전 매입을 위한 전선 박스 등의 부가 구조물도 함께 설치하여 종합적인 전기 공사 시설물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수평 트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평 트레이부(100)는, 제1 측벽(110), 제2 측벽(120) 및 전선 거치대(130)를 포함한다.
제1 측벽(110)은, 제2 측벽(120)과 이격되어 "┎" 형상으로 상단(111)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2 측벽(120)은, 제1 측벽(110)과 이격되어 "┒" 형상으로 상단(121)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전선 거치대(130)는,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 사이를 따라 전선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의 각 하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여기서, 수직 트레이부(200)는, 상술한 수평 트레이부(100)와 설치 각도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으로서, 수평 트레이부(100)의 제1 측벽(110), 제2 측벽(120) 및 전선 거치대(1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20)은, 수평 트레이부(100), 수직 트레이부(200) 및 전선 밀착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 트레이부(100) 및 수직 트레이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선 밀착부(400)는, 수평 트레이부(100) 또는 수직 트레이부(20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평 트레이부(100) 또는 수직 트레이부(200)에 거치되어 있는 전선(C)을 수평 트레이부(100) 또는 수직 트레이부(200)에 밀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20)은, 전선(C)의 장기간 거치에 따른 전선(C)의 변형 또는 실내 온도 변화에 따라 전선(C)이 거치 도중에 늘어나거나 수축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된 경우 전선 밀착부(400)를 이용하여 수평 트레이부(100) 또는 수직 트레이부(200)에 밀착시켜 줌으로써, 전선(C)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장치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전선 밀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선 밀착부(400)는, 밀착 롤러부(410), 제1 밀착 유도부(420), 제2 밀착 유도부(430) 및 압축 공기 공급부(440)를 포함한다.
밀착 롤러부(410)는, 제1 밀착 유도부(420)와 제2 밀착 유도부(430)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 사이에서 전선 거치대(130)에 안착되어 있는 전선(C)의 상측을 따라 밀착되어 이동하면서 전선(C)을 전선 거치대(130)에 밀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밀착 롤러부(410)는, 제1 지지 프레임(411), 제2 지지 프레임(412), 제1 밀착 롤러(413) 및 제2 밀착 롤러(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411)은, 제2 지지 프레임(412)와 대향하면서 제1 밀착 유도부(420)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2 지지 프레임(412)은, 제1 지지 프레임(411)과 대향하면서 제2 밀착 유도부(430)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1 밀착 롤러(413)는, 제1 지지 프레임(411)과 제2 지지 프레임(412)의 각 전단 사이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선(C)의 상측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 사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전선(C)을 전선 거치대(130)에 밀착시켜 준다.
제2 밀착 롤러(414)는, 제1 밀착 롤러(413)와 대향하면서 제1 지지 프레임(411)과 제2 지지 프레임(412)의 각 후단 사이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선(C)의 상측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 사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전선(C)을 전선 거치대(130)에 밀착시켜 준다.
여기서, 제1 밀착 롤러(413)와 제2 밀착 롤러(414)는, 일측 및 타측이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의 하단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단턱(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안착됨으로써,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밀착 유도부(420)는, 밀착 롤러부(4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측벽(110)의 상단 수평면(111)의 하측에 안착되며, 밀착 롤러부(410)를 전선(C)과 밀착시켜 지지한다.
제2 밀착 유도부(430)는, 밀착 롤러부(4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측벽(120)의 상단 수평면의 하측(121)에 안착되며, 밀착 롤러부(410)를 전선(C)과 밀착시켜 지지한다.
압축 공기 공급부(440)는, 제1 밀착 유도부(420)와 제2 밀착 유도부(430)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선 밀착부(400)는,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 사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전선(C)의 장기간 거치에 따른 전선(C)의 변형 또는 실내 온도 변화에 따라 전선(C)이 거치 도중에 늘어나거나 수축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된 경우 전선(C)을 수평 트레이부(100)(즉, 전선 거치대(130)에 밀착) 또는 수직 트레이부(200)에 밀착시켜 줌으로써, 전선(C)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장치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밀착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밀착 유도부(420)는, 제1 수직 프레임(421), 제2 수직 프레임(422), 완충 지지부(500) 및 지지휠(4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밀착 유도부(430)는, 후술하는 제1 밀착 유도부(42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밀착 유도부(420)의 제1 수직 프레임(421), 제2 수직 프레임(422), 완충 지지부(500) 및 지지휠(423)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수직 프레임(421)은, 제1 지지 프레임(411)의 중단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된다.41
제2 수직 프레임(422)은, 하단(4221)이 제1 수직 프레임(421)의 상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4211)에 삽입되어 완충 지지부(500)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수직 프레임(421)의 상측에 연결 설치된다.
완충 지지부(500)는, 프레임 안착홈(4211)의 내측에 설치되어 프레임 안착홈(4211)에 안착되는 제2 수직 프레임(422)의 하단(4221)을 지지한다.
지지휠(423)은, 제2 수직 프레임(422)의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측벽(110)의 상단 수평면(111)의 하측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밀착 유도부(420)는, 밀착 롤러부(410)의 일측 및 타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밀착 롤러부(410)의 이동 과정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밀착 롤러부(410)의 이동 과정에서 전선(C)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완충 지지부(500)는, 지지 블록(510), "X"형 챔버(520), 압축 공기 공급부(440) 및 4 개의 지지 프레임(540)을 포함한다.
지지 블록(510)은, 마름모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안착홈(421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X"형 챔버(520), 압축 공기 공급부(440) 및 4 개의 지지 프레임(540) 등의 구성들이 연결 설치된다.
"X"형 챔버(520)는, 압축 공기 공급부(44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지지 블록(510)의 내측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X" 형상으로 형성되되, 4 개의 각 단부가 지지 블록(510)의 4 개의 각 경사면(511)으로 개구부(521)를 형성한다.
압축 공기 공급부(440)는, "X"형 챔버(520)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4 개의 지지 프레임(540)은, "X"형 챔버(520)의 4 개의 각 개구부(521)를 밀폐시키면서 "X"형 챔버(520)의 4 개의 각 단부에 삽입 설치되며, 지지 블록(510)으로부터 노출되는 각 단부가 제2 수직 프레임(422)의 하단(4221) 일측 및 타측 그리고 프레임 안착홈(4211)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안착되어 지지 블록(510)을 지지며, "X"형 챔버(520)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 공급부(440)에 의해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X"형 챔버(520)로부터 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X"형 챔버(52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X"형 챔버(5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준다.
즉, 지지 프레임(540)은, "X"형 챔버(520)에 수용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거치 블록(5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X"형 챔버(520)에 수용되는 공기를 압축시켜 주면서 감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540)은, 삽입 프레임(541), 슬라이딩 프레임(542) 및 회동 프레임(543)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프레임(541)은, "X"형 챔버(520)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노출이 가능하도록 "X"형 챔버(520)의 개구부(521)를 통해 "X"형 챔버(52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다.
슬라이딩 프레임(542)은, 삽입 프레임(541)이 설치되는 지지 블록(510)의 경사면(511)과 평행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 블록(510)으로부터 노출되는 삽입 프레임(541)의 전단에 연결 설치된다.
회동 프레임(543)은, 슬라이딩 프레임(542)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수직 프레임(422)의 하단(4221) 일측 및 타측 그리고 프레임 안착홈(4211)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부(500)는, "X"형 지지대(550) 및 4 개의 완충 스프링(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X"형 지지대(550)는, "X"형상으로 형성되어 "X"형 챔버(52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4 개의 각 단부가 삽입 프레임(541)의 후단에 형성되는 지지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된다.
4 개의 완충 스프링(560)은, 지지대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되는 "X"형 지지대(550)의 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삽입 프레임(54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부(500)는, 공기를 이용하여 외력을 완충시켜 줌은 물론, 전체 부피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1 수직 프레임(421)과 제2 수직 프레임(422)에 의해 지지도 높이를 조절하여 제1 밀착 유도부(420)에 의한 밀착 세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
100: 수평 트레이부
200: 수직 트레이부
300: 전선 배관 박스
400: 전선 밀착부

Claims (3)

  1. 전선을 천장을 따라 거치할 수 있도록 건물 실내 공간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트레이부; 및
    전선을 벽면을 따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트레이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건물 실내의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 트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트레이부 또는 상기 수직 트레이부에 거치되어 있는 전선의 분배를 위해 건물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전선 배관 박스; 및
    상기 수평 트레이부 또는 상기 수직 트레이부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평 트레이부 또는 상기 수직 트레이부에 거치되어 있는 전선을 상기 수평 트레이부 또는 상기 수직 트레이부에 밀착시켜 주는 전선 밀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 트레이부는,
    "┎" 형상으로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이격되어 "┒" 형상으로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따라 전선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각 하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전선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밀착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상기 전선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전선의 상측을 따라 밀착되어 이동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거치대에 밀착시켜 주는 밀착 롤러부;
    상기 밀착 롤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단 수평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 롤러부를 전선과 밀착시켜 지지하는 제1 밀착 유도부;
    상기 밀착 롤러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측벽의 상단 수평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 롤러부를 전선과 밀착시켜 지지하는 제2 밀착 유도부; 및
    상기 제1 밀착 유도부와 상기 제2 밀착 유도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 롤러부는,
    상기 제1 밀착 유도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밀착 유도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각 전단 사이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선의 상측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거치대에 밀착시켜 주는 제1 밀착 롤러; 및
    상기 제1 밀착 롤러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각 후단 사이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선의 상측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거치대에 밀착시켜 주는 제2 밀착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밀착 유도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단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
    하단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단 수평면의 하측에 안착되는 지지휠;을 포함하는,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037587A 2023-03-22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 KR102671766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1766B1 true KR102671766B1 (ko) 2024-06-24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841B1 (ko) 2011-08-26 2013-02-27 신종은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841B1 (ko) 2011-08-26 2013-02-27 신종은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056B1 (ko) 내진형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1973574B1 (ko) 내진기능을 갖춘 케이블 트레이용 행거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1825808B1 (ko) 상하 흡수용 전기트레이 내진 챤넬시스템
CN112821306B (zh) 一种抗震型电缆桥架
KR102671766B1 (ko) 통합 전기공사 시설물 설치 시스템
KR20190075265A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KR20210155494A (ko) 다중 충격 완충형 케이블 트레이 장치
CN105202323B (zh) Led显示屏背架及大屏幕led显示屏
KR101967166B1 (ko) 공동주택용 천장형 케이블트레이
AU2961700A (en) Wall mounted display fixture system
KR102554352B1 (ko)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US9127455B2 (en) Interstitial seismic resistant support for an acoustic ceiling grid
KR20210155493A (ko)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KR102419227B1 (ko) 다중 내진형 통신장비함체
US6332295B1 (en) Office partition wall arrangement
CN113659504A (zh) 一种槽式防火电缆桥架及其组装方法
CN211309373U (zh) 一种管道运输用托运设备
KR102439026B1 (ko) Vpn 방화벽용 네트워크 장비 설치 구조
KR102626110B1 (ko) Cctv 설치 구조
JP4467562B2 (ja) 引張り装置を備えたカーテンレール
KR102086527B1 (ko) 배관 구조물
KR20220168352A (ko) 통신 배선 공사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JP3438547B2 (ja) ローラ用の軸支持体
KR102287278B1 (ko) 다중 내진 구조를 구비한 방수 이중 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