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458B1 -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458B1
KR102671458B1 KR1020210178158A KR20210178158A KR102671458B1 KR 102671458 B1 KR102671458 B1 KR 102671458B1 KR 1020210178158 A KR1020210178158 A KR 1020210178158A KR 20210178158 A KR20210178158 A KR 20210178158A KR 102671458 B1 KR102671458 B1 KR 102671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control
control command
strollers
wheelch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9488A (en
Inventor
김종운
이에녹
김성일
이석진
김상윤
강성현
김다은
이효정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458B1/en
Publication of KR2023008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4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4Escalators line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7/00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의 탑승구획이 휠체어 및 유모차가 적재될 수 있는 충분한 넓이로 형성되며 역무원 호출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escalator's boarding section is wide enough to accommodate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is equipped with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calling station staff. It relates to escalators and how to use them.

Description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의 탑승구획이 휠체어 및 유모차가 적재될 수 있는 충분한 넓이로 형성되며, 역무원 호출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baby stroller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boarding section of the escalator is formed to be wide enough to accommodate wheelchairs and baby strollers, and is equipped with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calling station staff. This relates to escalators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how to use them.

에스컬레이터는 이용객들을 건물의 층간 사이 또는 긴 복도에서 상하이동 또는 수평이동을 위해 설치된다. 특히, 지하철이나 전철 등 역사 내의 환승통로와 같이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기 위한 이동구간이나 지하철 역사의 입출구 구간에서 주로 일반이용객을 위한 이동수단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다.Escalators are installed to move users up and down or horizontally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or in long hallways. In particular, it is mainly installed and operat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general users in transfer sections for transferring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transfer passageways within stations such as subways or subways, or at entrance and exit sections of subway stations.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건물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트러스와 트러스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트러스의 양쪽 단부에는 랜딩부가 구성되고, 트러스의 내부에 구동모터와 스텝체인 및 스텝체인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기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텝체인에는 다수의 스텝이 연결된다.Such an escalator consists of a trus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a pair of side support fram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truss. Landing par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russ, and a drive motor and step chain are installed inside the truss. And a pair of gears that support the step chain so that it can travel are installed. In this step chain, multiple steps are connected.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 프레임의 각 상부에는 핸드레일이 스텝의 주행 속도와 같은 주행속도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핸드레일은 스텝체인을 주행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주행된다.In addition, handrails are installed on each upper part of a pair of side support frames to move at a traveling speed equal to that of the steps, and these handrails are driven by a drive motor that drives the step chain.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는 경사부분에서는 계단식의 스텝이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계단식의 스텝에 탑재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휠체어나 유모차와 같은 이동보조수단 또는 유아를 위한 이동수단을 이용한 장애인 또는 유아보호자의 경우에는 휠체어나 유모차를 에스컬레이터에 탑재시킬 수 있는 구조에 어려움이 있어 별도의 이동수단을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실정이다.Since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with stepped steps in the inclined portion, there is no problem for the general public to install it on the stepped steps, but disabled people using mobility aids such as wheelchairs or strollers or transportation devices for infants Also, in the case of infant guardians, it is difficult to place a wheelchair or stroller on an escalator, so they are encouraged to use a separate means of transporta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0284910호로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를 운반하는 휠체어 운반기로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세로가 두개 이상의 계단상으로 뻗어있는 운반기 본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계단의 저부면과 접촉하도록 조절되는 한 쌍의 앞바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계단의 저부면과 접촉하도록 조절되는 한 쌍의 뒷바퀴, 휠체어를 장착하며, 회전축에 의해 운반기 본체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장착 구조물, 장착 구조물의 일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장착 구조물을 회전시키는 신장/수축장치를 구비하는 형태였다. 여기에서, 앞바퀴 및 뒷바퀴는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리도록 실행하도록 조절되며, 운반기가 경사위치에서 에스컬레이터 상에 장착될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으로부터 분리되는 장치였다.A conventional technology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w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284910.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is a wheelchair transporter that transports a wheelchair on an escalator, with a transporter body extending vertically in two or more steps on the escalator, a pair of front wheels adjusted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irs on the escalator,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tairs on the escalator. Equipped with a pair of rear wheels that are adjus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heelchair, a mounting structure supported to rotate on the transporter body by a rotating shaft, and an extension/contraction devic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structure to rotate the mounting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was in the form of Here,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adjusted to enable the transporter to go up and down the escalator, and when the transporter is mounted on the escalator in an inclined position, it is a device that is separated from the stairs of the escalator.

종래의 기술은 에스컬레이터 외에 별도로 구비되는 장치로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사람 이상의 인력이 필요했으며, 일반 에스컬레이터 스텝에 걸쳐 고정되는 형태로서 에스컬레이터 이용 동안 흔들림과 같은 원인으로 고정이 해제될 경우, 이용자 및 이용을 도와주던 사람이 크게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a device tha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scalator, and requires more than two people to use it. It is fixed across the steps of a general escalator, and if the fixation is released due to causes such as shaking while using the escalator, it can harm the user and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son helping can get seriously injured.

한국등록특허 제10-0284910호(2000.12.26.)Korean Patent No. 10-0284910 (December 26, 2000)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의 탑승구획이 휠체어 및 유모차가 적재될 수 있는 충분한 넓이로 형성되며 역무원 호출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relates to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escalator's boarding section is formed to be wide enough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to be loaded, and station staff are called. This relates to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how to use i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는,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이용자가 올라타는 디딤판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스텝(111)으로 구성되는 스텝부(110),A step unit 1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eps 111 consisting of stepping stones for the user to climb on,

구동모터(121) 및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121)의 동력으로 상기 스텝(111)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전달수단(122)으로 구성되는 구동부(120),A driving unit 120 consisting of a driving motor 121 and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122 that is combined with the step 111 and moves the step 111 with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21,

상기 스텝(111)의 배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상기 구동모터(121)를 제어하여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A control unit 130 that controls the arrangement of the steps 111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driving spe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121, and

상기 제어부(130)와 장치 외부에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송수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130 and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utside the device.

상기 스텝(111)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3개 이상이 수평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ps 111 may be configured horizontally in three or more step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이때,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스텝(111) 위의 물체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센서(151)와,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스텝(11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152)와, 상기 무게센서(151) 및 상기 충격센서(152)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관리자가 미리 지정한 조건에 충족할 경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에 송신하는 제어명령송신수단(153)으로 구성되는 센서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 sensor 151 that is combined with the step 111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object on the step 111, and a weight sensor 151 that is combined with the step 111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object on the step 111. If the data received from the shock sensor 152, which detects the impact applied to (111), the weight sensor 151, and the shock sensor 152 satisfies the conditions preset by the administrator, a control command is sent to the control unit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150 consisting of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means 153 that transmits to 130).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스텝(111)의 배치가 변경될 경우 소리, 빛 및 문자 중 선택되는 2가지 이상으로 에스컬레이터 사용자에게 제어상황을 전달하는 제어알림수단(13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a control notification that conveys the control situation to the escalator user in two or more ways selected from sound, light, and text when the arrangement of the steps 111 is changed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means 131.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이용방법은, The method of using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사용자단말의 통신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건전성을 확인하는 사용자단말확인단계(S01),User terminal confirmation step (S01) to check the health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단말확인단계(S01)에서 사용자단말의 건전성이 확인된 경우 근거리에 위치한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데이터송수신부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달하는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S02),If the soundness of the user terminal is confirmed in the user terminal confirmation step (S01), an escalator information reception step (S02) for transmit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formation of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located nearby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S02)에서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사용확인단계(S03),A usage confirmation step (S03) in which the user confirms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escalator information receiving step (S02),

상기 사용확인단계(S03)에서 사용을 선택할 경우 사용요청을 해당 에스컬레이터의 관리자단말에 전달하는 사용요청단계(S04) 및If use is selected in the use confirmation step (S03), a use request step (S04) in which the use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of the escalator, and

상기 사용요청단계(S04)에서 전달받은 사용요청을 관리자가 관리자단말에서 확인하여 승인하는 요청승인단계(S05)로 구성될 수 있다.It may consist of a request approval step (S05) in which the manager confirms and approves the use request received in the use request step (S04) on the manager terminal.

이때, 상기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S02)는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QR코드를 촬영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이 주변의 전자태그를 인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escalator information receiving step (S02), the user may photograph a QR code to receive escalato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may recognize surrounding electronic tags.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 형태에서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탑승자가 올라서는 발판인 스텝이 적어도 3개가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어 별다른 추가 장치 없이도 휠체어 및 유모차가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장애인이 일반인과 다르지 않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The escala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form of a general escalator, where at least three steps, which are footrests for passengers to climb on, are positioned horizontally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wheelchairs and strollers can be mounted on the escalator without any additional devices. Being able to board the escalator can maximize the usability of the escalator, and can create awareness that disabled people are no different from the general public.

또한 무게센서 및 충격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탑승한 휠체어, 유모차뿐만 아니라 탑승객의 넘어짐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긴급 정지하여, 에스컬레이터에서 발생되는 넘어진 사고에서 에스컬레이터가 계속 작동하여 발생되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a sensor unit that includes a weight sensor and an impact sensor to detect falls of passengers as well as wheelchairs and strollers on board and automatically makes an emergency stop, minimizing injuries caused by the escalator continuing to operate in case of a fall accident that occurs on the escalator. You can.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도 2는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부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이용방법의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이용방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일실시예
1 shows a typical conventional escalator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using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are omitted.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dditionally,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like symbols wherever possible.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일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부의 일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이용방법의 일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용방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일실시예이다.Figure 1 is a typical conventional escalator,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an escalator for a wheelchair and a baby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a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wheelchair and a baby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n escalator, and Figure 5 is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As shown in Figure 2, the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용자가 올라타는 디딤판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스텝(111)으로 구성되는 스텝부(110),A step unit 1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eps 111 consisting of stepping stones for the user to climb on,

구동모터(121) 및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121)의 동력으로 상기 스텝(111)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전달수단(122)으로 구성되는 구동부(120),A driving unit 120 consisting of a driving motor 121 and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122 that is combined with the step 111 and moves the step 111 with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21,

상기 스텝(111)의 배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상기 구동모터(121)를 제어하여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A control unit 130 that controls the arrangement of the steps 111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driving spe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121, and

상기 제어부(130)와 장치 외부에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송수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130 and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utside the device.

상기 스텝(111)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3개 이상이 수평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ps 111 may be configured horizontally in three or more step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상기 스텝(111)에 탑승자가 올라타고 상기 구동모터(121)의 동력을 동력원으로 상기 구동력전달수단(122)을 구동하여 상기 스텝(111)을 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ssenger gets on the step 111 and drives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122 us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121 as a power source to move the step 111.

이러한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구조와 유사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스텝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에스컬레이터를 멈추고 몇 시간의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This structure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scalator shown in Figure 1.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order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steps, workers had to stop the escalator and perform several hours of work.

그러나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상기 구동모터(121)의 구동속도를 낮추고, 상기 스텝(111)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can lower the driving speed of the driving motor 121 and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steps 111.

따라서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 형태에서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하여 탑승자가 올라서는 발판인 상기 스텝(111)이 적어도 3개가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어, 별다른 추가 장치 없이도 휠체어 및 유모차가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장애인이 일반인과 다르지 않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Therefore, in a general escalator form, at least three steps 111, which are footrests for passengers to climb, are positioned horizontally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so that wheelchairs and strollers can board the escalator without any additional devices. It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and create awareness that disabled people are no different from the general public.

이때,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기 스텝(111) 중 가장 전면의 스텝(111)의 앞쪽 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most step 111 among the horizontally arranged steps 111 protrudes upward to prevent the wheelchair or stroller from being pushed.

또한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기 스텝(111) 중 가장 후면의 스텝(111)의 뒤쪽 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horizontally arranged steps 111, the rear portion of the rearmost step 111 protrudes upward to prevent the wheelchair or stroller from being pushed.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스텝(111) 위의 물체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센서(151)와,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스텝(11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152)와, 상기 무게센서(151) 및 상기 충격센서(152)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관리자가 미리 지정한 조건에 충족할 경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에 송신하는 제어명령송신수단(153)으로 구성되는 센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 sensor 151 that is combined with the step 111 to measure the weight of an object on the step 111, and the step 111. The shock sensor 152, which is combined with 111 to detect the impact applied to the step 111, and the data received from the weight sensor 151 and the shock sensor 152 meet the conditions preset by the administrator. In this case,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150 consisting of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means 153 tha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30.

상기 스텝(111)에 일반적인 탑승자보다 무게가 더 나가는 휠체어탑승자 또는 유모차를 이용하고 있는 유아와 부모가 탑승할 경우, 상기 무게센서(151)가 무게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은 관리자가 미리 정해 놓은 속도로 상기 구동모터(121)를 제어하라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 When a wheelchair rider who weighs more than a normal rider or an infant or parent using a stroller rides in the step 111, the weight sensor 151 detects the weigh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the driving motor 121 at a speed predetermined by the manager to the control unit 130.

또한 상기 무게센서(151)는 휠체어탑승자 또는 유모차를 이용하고 있는 유아와 부모가 에스컬레이터에서 내릴 때 발생되는 무게변동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은 보통 속도로 상기 구동모터(121)를 제어하라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sensor 151 detects the weight change that occurs when a wheelchair rider or an infant and parent using a stroller get off the escalato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3, and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 153)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the driving motor 121 at normal speed to the control unit 130.

상기 제어부(130)는 이렇게 송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21)를 제어하여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driving motor 121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command to adjust the driving speed.

따라서 상기 스텝(111)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고, 주의를 요하는 탑승자의 탑승 시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속도가 저속으로 조절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arrangement of the steps 111 can be changed,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escalator is adjusted to a low speed when a passenger requiring caution gets on,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또한 상기 충격센서(152)는 상기 스텝(111)에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에 충격 발생을 송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은 긴급정지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로 송신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sensor 152 transmits the occurrence of shock to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when a certain amount of shock or more is applied to the step 111, and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transmits the emergency stop control command. The escalator can be stopped in an emergency manner by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130.

즉, 탑승자의 낙상, 휠체어의 넘어짐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충격센서(152)가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에 송신하게 되며,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에서 긴급정지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130)에서 상기 구동모터(121)를 정지시킨다.In other words, the shock sensor 152 detects the shock generated in situations such as a fall of a passenger or a fall of a wheelchai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3, and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3 detects an emergency signal. A stop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to stop the driving motor 121.

이를 통하여 종래에 에스컬레이터에서 발생되던 넘어짐 사고에서도 에스컬레이터가 계속 작동하여 넘어진 탑승자가 계속 하방으로 구르면서 부상이 심화되던 것에서 벗어나, 넘어짐이 감지되면 에스컬레이터가 긴급 정지하여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n the case of a fall accident that occurred in an escalator in the past, the escalator continues to operate and the injured rider continues to roll downward, aggravating the injury. When a fall is detected, the escalator comes to an emergency stop, thereby minimizing injuries.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스텝(111)의 배치가 변경될 경우 소리, 빛 및 문자 중 선택되는 2가지 이상으로 에스컬레이터 사용자에게 제어상황을 전달하는 제어알림수단(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is a control notification means that conveys the control situation to the escalator user in two or more ways selected from sound, light, and text when the arrangement of the steps 111 is changed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131) may be further included.

이를 통하여 상기 스텝(111)의 배치가 변경될 때, 이를 탑승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인지하지 못하고 에스컬레이터에 탑승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arrangement of the step 111 is changed, this can be effectively communicated to the passengers, thereby preventing safety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boarding the escalator without being aware of it.

본 발명의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이용방법은,The method of using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사용자단말의 통신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건전성을 확인하는 사용자단말확인단계(S01),User terminal confirmation step (S01) to check the health of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단말확인단계(S01)에서 사용자단말의 건전성이 확인된 경우 근거리에 위치한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데이터송수신부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달하는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S02),If the soundness of the user terminal is confirmed in the user terminal confirmation step (S01), an escalator information reception step (S02) for transmit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formation of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located nearby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S02)에서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사용확인단계(S03),A usage confirmation step (S03) in which the user confirms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escalator information receiving step (S02),

상기 사용확인단계(S03)에서 사용을 선택할 경우 사용요청을 해당 에스컬레이터의 관리자단말에 전달하는 사용요청단계(S04) 및If use is selected in the use confirmation step (S03), a use request step (S04) in which the use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of the escalator, and

상기 사용요청단계(S04)에서 전달받은 사용요청을 관리자가 관리자단말에서 확인하여 승인하는 요청승인단계(S05)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request approval step (S05) in which the manager confirms and approves the use request received in the use request step (S04) on the manager terminal.

에스컬레이터에 휠체어 또는 유모차를 사용하고자 하는 탑승자는 사용자단말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예시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A passenger who wants to use a wheelchair or stroller on an escalator starts an application such as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at is pre-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단말확인단계(S01)에서 현재 사용자단말의 통신모듈의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 불가능 상태일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의 구성요소에 대한 건전성을 테스트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checks the statu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in the user terminal confirmation step (S01) and informs the user if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 application tests the health of its components and notifies the user if there are any abnormalities.

이를 통하여 사용자단말의 이상 유무 및 어플리케이션의 이상 또는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는 고장 또는 해킹과 같은 전염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are any abnormalities in the user terminal and whether the application is abnormal or tampered with, thereby preventing problems that can be transmitted, such as malfunctions or hacking, in advance.

상기 사용자단말확인단계(S01)에서 통신모듈에 문제가 없으며, 어플리케이션 건전성이 확인되었을 경우, 상기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S02)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데이터송수신부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달하게 된다.If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user terminal confirmation step (S01) and the health of the application is confirmed, the application is started in the escalator information reception step (S02), and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t the nearest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이때, 상기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S02)는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QR코드를 촬영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이 주변의 전자태그를 인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escalator information receiving step (S02), the user may photograph a QR code to receive escalato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may recognize surrounding electronic tags.

상기 사용확인단계(S03)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S02)를 통해 수신된 에스컬레이터의 정보를 제공받으며, 사용자는 제공된 에스컬레이터가 자신이 사용할 에스컬레이터인지 확인하게 된다.Through the use confirmation step (S03), the user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escalator received through the escalator information reception step (S02), and the user confirms whether the provided escalator is the escalator that he or she will use.

상기 사용확인단계(S03)를 통해 사용자는 제공된 에스컬레이터의 정보와 자신이 사용하려는 에스컬레이터가 일치할 경우 상기 사용요청단계(S04)를 통해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단말에 사용요청을 전달하여 관리자가 관리자단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e use confirmation step (S03), if the information on the provided escalator matches the escalator that the user wants to use, the user transmits the use reques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held by the manager through the use request step (S04), and the manager It can be checked through the terminal.

이후, 상기 요청승인단계(S05)를 통하여 관리자가 사용요청을 승인하여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배치를 변경하게 된다. 이때, 관리자와 사용자는 제어알림수단이나 사용자단말, 관리자단말을 이용한 대화를 수행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Thereafter, through the request approval step (S05), the manager approves the use request and changes the arrangement of the escalator steps.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and the user can request help by conducting a conversation using the control notification means, user terminal, or administrator terminal.

110: 스텝부
111: 스텝
120: 구동부
121: 구동모터 122: 구동력전달수단
130: 제어부
131: 제어알림수단
140: 데이터송수신부
150: 센서부
151: 무게센서 152: 충격센서
153: 제어명령송수신수단
S01: 사용자단말확인단계
S02: 에스컬레이터정보수신단계
S03: 사용확인단계
S04: 사용요청단계
S05: 요청승인단계
110: step part
111: step
120: driving unit
121: driving motor 122: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130: control unit
131: Control notification means
140: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50: sensor unit
151: Weight sensor 152: Impact sensor
153: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S01: User terminal confirmation step
S02: Escalator information reception stage
S03: Usage confirmation step
S04: Use request step
S05: Request approval step

Claims (6)

이용자가 올라타는 디딤판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스텝(111)으로 구성되는 스텝부(110),
구동모터(121) 및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121)의 동력으로 상기 스텝(111)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전달수단(122)으로 구성되는 구동부(120),
상기 스텝(111)의 배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상기 구동모터(121)를 제어하여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제어부(130)와 장치 외부에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송수신부(140)를 포함하는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일부 스텝(111)들이 휠체어 및 유모차가 탑승되는 배치로 변경가능하고,
휠체어 및 유모차가 탑승한 상기 스텝(111) 중 가장 전면의 스텝(111)의 앞쪽 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의 밀림을 방지하고,
휠체어 및 유모차가 탑승한 상기 스텝(111) 중 가장 후면의 스텝(111)의 뒤쪽 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의 밀림을 방지하며,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스텝(111) 위의 물체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센서(151)와,
상기 스텝(111)과 결합하여 상기 스텝(11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152)와,
상기 무게센서(151) 및 상기 충격센서(152)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관리자가 미리 지정한 조건에 충족할 경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에 송신하는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으로 구성되는 센서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텝(111)에 휠체어 및 유모차가 탑승할 경우, 상기 무게센서(151)는 무게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은 관리자가 미리 정해 놓은 속도로 상기 구동모터(121)를 제어하라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로 송신하고,
상기 무게센서(151)는 휠체어 및 유모차가 에스컬레이터에서 내릴 때 발생되는 무게변동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은 보통 속도로 상기 구동모터(121)를 제어하라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로 송신하며,
상기 충격센서(152)는 상기 스텝(111)에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에 충격 발생을 송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송수신수단(153)은 긴급정지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30)로 송신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긴급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A step unit 1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eps 111 consisting of stepping stones for the user to climb on,
A driving unit 120 consisting of a driving motor 121 and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122 that is combined with the step 111 and moves the step 111 with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21,
A control unit 130 that controls the arrangement of the steps 111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driving spe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121, and
In the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including the control unit 130 and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Some staff (111) can be changed to accommodate wheelchairs and strollers,
Among the steps 111 on which wheelchairs and strollers ride,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most step 111 protrudes upward to prevent the wheelchair or stroller from being pushed,
Among the steps 111 on which wheelchairs and strollers ride, the rear portion of the rearmost step 111 protrudes upward to prevent the wheelchair or stroller from being pushed,
A weight sensor 151 coupled to the step 111 to measure the weight of an object on the step 111,
An impact sensor 152 that is coupled to the step 111 and detects an impact applied to the step 111,
A sensor unit consisting of a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tha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data received from the weight sensor 151 and the impact sensor 152 meet conditions predetermined by the manager. It further includes (150),
When a wheelchair or stroller rides on the step 111, the weight sensor 151 detects the weigh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and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is configured by the manager in advance.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the driving motor 121 at a predetermined speed to the control unit 130,
The weight sensor 151 detects the weight change that occurs when the wheelchair or stroller gets off the escalato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3, and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3 operates the drive motor at a normal speed.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121) is sent to the control unit 130,
When a certain amount of impact or more is applied to the step 111, the impact sensor 152 transmits the occurrence of an impact to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and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53 sends an emergency stop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A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characterized by emergency stopping of the escalator by transmitting to (13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스텝(111)의 배치가 변경될 경우 소리, 빛 및 문자 중 선택되는 2가지 이상으로 에스컬레이터 사용자에게 제어상황을 전달하는 제어알림수단(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130 is
When the arrangement of the steps 111 is changed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it includes a control notification means 131 that transmits the control situation to the escalator user through two or more types selected from sound, light, and text. Featuring escalators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78158A 2021-12-13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1026714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158A KR102671458B1 (en) 2021-12-13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158A KR102671458B1 (en) 2021-12-13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488A KR20230089488A (en) 2023-06-20
KR102671458B1 true KR102671458B1 (en) 2024-05-30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180A (en) * 2002-01-30 2003-08-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Escalator system adapted to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nd its operation control device
JP2009527936A (en) * 2006-02-13 2009-07-30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Communications system
JP2014009057A (en) * 2012-06-28 2014-01-20 Toshiba Elevator Co Ltd Passenger conveyor
JP2018062402A (en) * 2016-10-12 2018-04-1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Step with object falling prevention function and escalator system with object falling preven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180A (en) * 2002-01-30 2003-08-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Escalator system adapted to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nd its operation control device
JP2009527936A (en) * 2006-02-13 2009-07-30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Communications system
JP2014009057A (en) * 2012-06-28 2014-01-20 Toshiba Elevator Co Ltd Passenger conveyor
JP2018062402A (en) * 2016-10-12 2018-04-1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Step with object falling prevention function and escalator system with object falling preven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9981B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WO2010027239A2 (en) Safety foothold for subway platform
KR101622825B1 (en) The safe operating system of escalator using transmission and weight sensor
KR102671458B1 (e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JP2000026064A (en) Chair type staircase escalating apparatus
KR20230089488A (en) Escalator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JP4771703B2 (en) Passenger conveyor
CN108190706B (en) Vehicle-mounted elevator for boarding and working method thereof
JP2007210710A (en) Passenger conveyor
JP2010058898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scalator
JP3240642B2 (en) Passenger conveyor
KR102037880B1 (en) a transfer device for a transportation vulnerable
KR100789485B1 (en) Escalator for safety
WO2024089733A1 (en) Passenger conveyor operation control system
CN211393517U (en) Safety protection device for escalator
KR102461967B1 (en) Stair lift apparatus for the old and weak
CN214298846U (en) Protective switch capable of preventing handrail chain from breaking
KR102403782B1 (en) Context-aware smart escalator
JP7309970B1 (en) Passenger conveyor system and passenger conveyor
CN211110588U (en) Energy-saving safe intelligent handrail elevator assembly
KR200489413Y1 (en) Safety platform of subway platform
CN207932879U (en) A kind of luggage synchronization conveying device for vehicle-mounted staircase
KR200186823Y1 (en) A wheelchair lift having noncontact electronic safety device in a rail end-portion
JP6797973B1 (en) Passenger conveyor
JP6874180B1 (en) Passenger convey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