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788B1 - 스캔가능 특징부를 갖는 치유 캡 - Google Patents

스캔가능 특징부를 갖는 치유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788B1
KR102666788B1 KR1020187016629A KR20187016629A KR102666788B1 KR 102666788 B1 KR102666788 B1 KR 102666788B1 KR 1020187016629 A KR1020187016629 A KR 1020187016629A KR 20187016629 A KR20187016629 A KR 20187016629A KR 102666788 B1 KR102666788 B1 KR 102666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ing cap
healing
base portion
cap
dental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890A (ko
Inventor
피에르스 크리스티안센
토마스 비저
마르코 브루너
Original Assignee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filed Critical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6/07819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85288A1/en
Publication of KR2018008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Abstract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은 치유 지대주 시스템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지대주 시스템은, 지대주 나사를 통해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되도록 적응된 베이스부 및 추가 나사에 의해 베이스부에 결합될 수 있는 치유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치유 캡은, 베이스부의 위치와 배향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강내 스캔 시스템에 의해 스캔될 수 있거나 물리적 인상에 전달될 수 있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캔가능 특징부를 갖는 치유 캡
본 출원은, 치과 보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캔가능 특징부를 갖는 치유 지대주(abutment)에 관한 것이다.
치아 보철 시스템은 결손되거나 오정렬된 치아와 같이 환자의 턱에 있는 결함을 재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치과 보철 시스템은, 치아용 임플란트, 지대주와 같은 중간 구조, 및 환자의 결손된 치아 또는 치아들을 복제할 수 크라운, 브리지, 또는 의치와 같은 최종 보철물 또는 수복물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아용 임플란트의 배치는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단계에서, 치과 의사는 방사선 사진과 치과 모델을 검토하여 치아용 임플란트의 적절한 배치와 축 정렬을 결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 치과 의사는 점막 조직을 통해 뼈에 접근할 수 있다. 의사는, 조립식 스틴트(prefabricated stint)를 사용하여 상악골 또는 하악골을 드릴링(drill)하거나 뚫을 수 있다. 이어서, 치아용 임플란트를 뼈 안으로 가압하거나 나사로 조일 수도 있다. 적어도 치은 조직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치유 지대주는, 치유 기간 동안 치은 조직의 성장을 유도하도록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시술에서는, 치아용 임플란트가 이식된 후에 인상(impression)을 취할 수 있다. 인상은, 치아용 임플란트의 상부면의 위치와 배향을 기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치아용 임플란트의 상부면의 위치와 배향은 환자 입의 석고 또는 회반죽 유사체에서 재현될 수 있다. 인상의 주 목적은, 영구적으로 배치되는 치아용 임플란트의 상부면에 관하여 인접하는 치아들의 크기와 형상을 치과 기공사에게 적절히 전달하는 것이다. 회반죽 유사체는, 주변 치아들에 대한 치아용 임플란트의 상부면의 위치와 배향을 포함하는 환자 입의 정밀 모델을 실험실 기공사에게 제공한다. 이 모델에 기초하여, 기술사는, 환자의 입에 위치결정되는 치아용 임플란트와 정확하게 정합할 최종 수복물을 구성할 수 있다. 인상 과정을 보조하도록, 인상 코핑(coping) 또는 장치가 치아용 임플란트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인상 코핑은, 인상재에 인상을 남길 수 있고 또는 인상재에서 픽업되어 유지될 수 있다. 수복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치유 지대주를 최종 수복물로 교체할 수 있다.
더 최근에는, 물리적 인상을 취하고 및/또는 환자 입의 석고 또는 회반죽 유사체를 생성하는 것의 대안으로서 구강내 스캔(intra-oral scanning: IOS)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시술에서는, 핸드헬드 구강내 스캐너가 사용하여 치아용 임플란트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스캔 본체의 사용을 통해 영구적으로 배치되는 임플란트에 관하여 인접하는 치아들의 형상의 3차원 데이터 및/또는 화상 및/또는 치아용 임플란트의 구성과 배향을 캡처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최종 수복물을 설계 및/또는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물리적 또는 디지털 모델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사용중인 한 시스템은 Biomet 3i의 BellaTek Encode® Impression System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BellaTek Encode® Healing Abutment가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된다. BellaTek Encode® Healing Abutment는 지대주 설계 및 밀링 정보를 중계하는 노치를 포함할 수 있어서, 인상 코핑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BellaTek Encode® Healing Abutment는 구강내 스캔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치아 보철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양태는, 현재 IOS 시스템에 단점이 일부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BellaTek Encode® Healing Abutment는 티타늄으로 제조되며, 지대주 상에 제공된 코드는 형성하기가 복잡하고 추가 제조 단계를 필요로 한다. 또한, BellaTek Encode® Healing Abutment는 최종 수복물이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치유 지대주의 제거는 환자의 잇몸 조직을 방해 및/또는 자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실시형태는, 치아 구성요소에 결합하기 위한 치유 캡(healing cap) 또는 스캔 본체(scan body)를 포함한다(이하의 설명에서, 치유는 또한 "치유 캡 또는 스캔 본체"를 의미할 수 있다). 치유 캡은 측면과 상부면을 포함하는 관상 단부 및 끝 단부(apical en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면은 비대칭 형상을 형성하는 에지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의 끝 단부는 원통형 포스트 둘레에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인덱스 부분(index portion)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덱스 부분은 원통형 포스트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된 6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치유 캡은, 치유 캡 끝 단부로부터 관상 단부로 연장되는 내부 보어(internal bore)를 포함할 수 있다. 비대칭 형상은 초승달 형상을 갖는 제1 부분 및 원 형상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대칭 형상은, 제1 편심률을 갖는 타원형의 제1 부분 및 제2 편심률을 갖는 타원형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대칭 형상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만을 가질 수 있다. 비대칭 형상은 두 개의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비대칭 형상은, 1보 다 크거나 작은 종횡비(L1/L2)를 형성하는, x 방향으로의 길이 L1과 y 방향으로의 길이 L2를 가질 수 있다. 치유 캡의 상부면은, 평면형일 수 있고, 치유 캡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놓일 수 있다. 측면은, 치유 캡의 관상 단부에서의 작은 상부 직경 Dt로부터 큰 베이스 직경으로 치유 캡 또는 스캔 본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끝측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고 이어서 대략 원통 형상으로 끝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선행하는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치유 캡을 사용하여 최종 수복물을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 구강내 스캐너를 사용하여 선행하는 단락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 또는 스캔 본체를 스캔하거나 선행하는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유 캡 또는 스캔 본체의 인상을 취하는 단계; 및
- 구강내 스캐너를 사용하여 치유 캡 또는 스캔 본체를 스캔하거나 치유 캡 또는 스캔 본체의 인상을 취한 정보를 이용하여 치아 수복물(dental restoration)을 설계하여 설계된 치아 수복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지대주 시스템은 베이스부 및 치유 캡을 포함한다. 베이스부는 치아용 임플란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최종 수복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설치된 치아용 임플란트에 인접한 연조직의 높이에 대응하는 외부면을 가질 수 있다. 치유 캡은 베이스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치유 캡은, 구강내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도록 또는 베이스부의 배향과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물리적 인상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지대주 시스템은 지대주 나사를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지대주 나사에 의해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지대주 시스템은, 또한, 치유 캡을 베이스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추가 나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나사는 지대주 나사의 헤드 내에 보유지지(retain)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단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의 관상 단부는 인덱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치유 캡은 대응하는 인덱스 부분을 갖는 끝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의 인덱스 부분은 원형 둘레에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 돌출부를 포함하고, 치유 캡의 인덱스 부분은 원통형 포스트 둘레에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의 인덱스 부분은 원형 둘레에 이격된 6개의 오목 로브를 포함하고, 치유 캡의 인덱스 부분은 원통형 포스트 둘레에 이격된 6개의 대응하는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치유 캡의 관상 단부는 측면과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면은 비대칭 형상을 형성하는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은, 초승달 형상의 제1 부분과 원 형상의 제2 부분을 갖는 상부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비대칭 형상은, 1보다 크거나 작은 종횡비(L1/L2)를 형성하는, x 방향으로의 길이 L1 및 y 방향으로의 길이 L2를 가질 수 있다. 치유 캡의 상부면은, 평면형일 수 있고, 치유 캡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놓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선행 단락에서 설명된 치유 지대주 시스템을 사용하여 최종 수복물을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선행 단락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치유 지대주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는데, 베이스 부분은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 및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보철 구성요소 모두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아용 방법은, 환자의 턱뼈에 설치된 치아용 임플란트에 베이스부를 부착하는 단계, 베이스부에 치유 캡을 결합하는 단계, 구강내 스캐너로 치유 캡을 스캔하거나 치유의 인상을 취하는 단계, 구강내 스캐너에 의한 치유 캡을 스캔하거나 인상을 취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수복물을 설계하는 단계, 치유 캡을 베이스부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최종 수복물을 베이스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하기 위한 스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본체는 측면과 상부면을 포함하는 관상 단부와 끝 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면은 비대칭 형상을 형성하는 에지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캔 본체의 끝 단부는 원통형 포스트 둘레에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인덱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덱스 부분은 원통형 포스트 둘레에 동일하게 이격된 6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본체는 치유 캡의 끝 단부로부터 관상 단부로 연장되는 내부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비대칭 형상은 초승달 형상의 제1 부분과 원 형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비대칭 형상은, 1보다 크거나 작은 종횡비(L1/L2)를 형성하는, x 방향으로의 길이 L1 및 y 방향으로의 길이 L2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선행 단락에서 설명된 스캔 본체를 사용하여 최종 수복물을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지대주 시스템은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는, 최종 수복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설치된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에 인접한 연조직의 높이에 대응하는 외부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인덱스 부분을 포함하는 관상 단부를 가질 수 있고, 베이스부의 인덱스 부분은 원형 둘레에 이격된 6개의 오목 로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선행 단락에 따른 지대주 시스템의 용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는,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 및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보철 구성요소 모두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는 선행 단락에 따른 지대주 시스템의 용도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부는 치유 캡을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 및 종래 기술에 비해 달성된 이점을 요약하도록, 본 발명의 일부 목적 및 이점을 본 명세서에 설명하였다. 이러한 목적 또는 이점 모두가 본 발명의 임의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반드시 달성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 또는 제시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목적 또는 이점을 반드시 달성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교시되는 바와 같은 한 이점 또 는 이점들의 그룹을 달성하거나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이 구체화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 모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은 개시된 임의의 특정 실시형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특징부 및 다른 특징부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에 따르는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형태만을 예시한 것이며 그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이해하면서, 본 개시내용을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추가 특이성 및 세부 사항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대주 시스템의 베이스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베이스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c의 베이스부의 측면도이다.
도 1e는 도 1c의 베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1f는 도 1d의 A-A 라인을 통해 절취한 도 1d의 베이스부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치아용 임플란트에 부착된 도 1a의 베이스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과 함께 결합된 도 2a의 치아용 임플란트와 베이스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d는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을 지지할 수 있는 최종 지대주와 함께 결합된 도 2a의 치아용 임플란트와 베이스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e는 일 실시형태에 따라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 또는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과 함께 도 2a의 베이스부를 사용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유 캡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A 라인을 통해 절취한 도 3a의 치유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치유 캡의 평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의 치유 캡의 측면도이다.
도 3e는 도 3a의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치유 캡과 함께 도 2a의 치아용 임플란트와 도 1c의 베이스부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4B-4B 라인을 통해 절취한 도 4A의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구성의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C 및 도 5D는 제2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E 및 도 5F는 제3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G 및 도 5H는 제4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유 캡의 저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치유 캡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치유 캡의 평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의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E는 도 6B의 6E-6E 라인을 통해 절취한 도 6A의 치유 캡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구성의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C 및 도 7D는 제2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E 및 도 7F는 제3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G 및 도 7H는 제4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유 캡의 저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치유 캡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치유 캡의 평면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8E는 도 8B의 A-A 라인을 통해 절취한 도 8A의 치유 캡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유 캡의 저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치유 캡의 측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치유 캡의 평면도이다.
도 9D는 도 9A의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E는 도 9B의 9E-9E 라인을 통해 절취한 도 9A의 치유 캡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유 캡의 저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A-A 라인을 통해 절취한 도 3a의 치유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의 치유 캡의 평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의 치유 캡의 측면도이다.
도 13E는 도 13A의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제1 구성의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C 및 도 14D는 제2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E 및 도 14F는 제3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G 및 도 14H는 제4 구성의 치유 캡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5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치유 캡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5B는 스케일이 다른 도 15A의 치유 캡의 측면도이다.
보철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유사한 번호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여러 실시형태, 예, 및 예시가 이하에 개시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들이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형태, 예, 및 예시를 넘어 연장되며, 본 발명의 다른 용도 및 명백한 수정, 본 발명의 조합 및 부조합 및/또는 균등물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특정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어떠한 한정적인 방식 또는 제한적인 방식으로도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몇 개의 신규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떠한 단일 특징부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속성을 단독으로 담당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도 아니다.
일부 용어는, 다음에 따르는 설명에서 단지 참조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 "아래"와 같은 용어들은 참조되는 도면에서의 방향을 가리킨다. "근위", "원위", "끝"(apical), "전방", "후방", "관상", "후면", 및 "측면"과 같은 용어들은, 논의되는 구성요소 또는 요소를 설명하는 텍스트 및 연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지는 임의의 일관된 프레임 내의 참조 구성요소들 또는 요소들의 일부의 배향 및/또는 로케이션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위에서 언급된 단어,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는 상악 안면 보철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는 치아용 임플란트(3)에 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부(2)에 결합될 수 있는 치유 캡(1)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치아용 임플란트(1)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일 수 있다. 수정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치유 캡(1)은, 치아용 임플란트(3)에 또는 치아용 임플란트(3)와 치유 캡(1)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치유 캡(1)을 베이스부(2)에 결합하는 것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치유 캡(1)과 베이스부(2)는, 함께 결합되는 경우, 치유 지대주 시스템(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치유 지대주 시스템은 2-피스 치유 지대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여기서 2-피스는 베이스부(2)와 치유 캡(1)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베이스부는 연조직 성장을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는 치유 기간 후에 제거될 필요가 없으며 최종 수복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치유 지대주 시스템(6)의 베이스부(2)는 제거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연조직에 대한 방해를 감소시킨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열 지대주(1)는 상부면(5)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치유 캡(1)이 스캔 시스템에 의해 스캔되는 경우, 베이스부(2) 및/또는 임플란트(3)의 위치 및 배향에 관한 정보가, 치유 캡(1)의 상부면(5)의 형상 및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상부면(5)의 위치와 배향에 기초하여 추론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 있어서, 상부면(5)은, 또한, 치유 캡(1), 베이스부(2), 및/또는 치아용 임플란트(3)의 물리적 특성, 예를 들어, 구성요소의 크기, 직경, 높이, 제조사, 또는 플랫폼 유형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과 베이스부(2)는, 치아용 임플란트(3)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기간 동안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일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제1 기간은, 잇몸 조직이 베이스부(2)에 의해 성형(shape)될 수 있는 치유 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서, 베이스부(2)와 치유 캡(1)은 2-피스 치유 지대주로서 간주될 수 있는 치유 지대주 시스템(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2-피스는 베이스부(2) 및 치유 캡(1)이다. 제1 기간 후에, 치유 캡(1)은 베이스부(2)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최종 수복물(4) 또는 최종 수복물의 일부가 베이스부(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베이스부(2)는 설치된 후에 치아용 임플란트(3)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없다. 베이스부(2)는 환자의 연조직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치유 캡(1)이 제거되고 최종 수복물이 베이스부(2)에 결합될 때 베이스부(2)에 의해 접촉되는 연조직의 부분의 방해가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1)은 상부면(5)을 가질 수 있고, 상부면의 형상은, 치유 캡(1), 베이스부(2), 및/또는 치아용 임플란트(3)의 위치, 배향, 및/또는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부면(5)은, 구강내 스캐너의 사용 및/또는 물리적 인상의 사용을 통해 기록 및/또는 측정될 수 있다. 치유 캡(1)의 많은 실시형태가 베이스부(2)의 사용과 함께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2) 없이 또는 베이스부(2)와 치아용 임플란트(3) 및/또는 치유 캡(1)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요소와 함께 치유 캡(1)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은, 베이스부(2) 또는 치아용 임플란트(3)의 배향과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스캔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제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치유 캡의 일부 실시형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지대주 시스템(12)(도 2b 참조)의 베이스부(1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베이스부(10)는, 2013년 6월 29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출원공개번호 제2014/0011160호(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3/931,118호)에 개시되어 있듯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10)가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 및/또는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보철 구성요소와 함께 또는 이러한 최종 수복물 및/또는 보철 구성요소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이라고 기술되며, 이러한 문헌의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10)는,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될 수 있고 치유 캡이 베이스부(10)에 결합되는 치유 기간 동안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치유 캡을 제거하고 최종 지대주, 최종 수복물, 또는 최종 수복물의 일부로 대체할 수 있는 동안, 베이스부(10)가 치아용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부(10)는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잇몸 조직에 대한 외상을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제조되며, 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세라믹 물질(예를 들어, 지르코니아)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는 관상 단부(14) 및 끝 단부(16)를 가질 수 있다. 관상 단부(14)에서, 베이스부(10)는 베이스부(10)의 외주에서 평평한 원주형 상부면(18)을 가질 수 있다. 평평한 원주형 상부면(18)은, 대응하는 평평한 면을 갖는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임의의 시멘트 등 없이 효과적인 밀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평평한 원주형 상부면(18)은 원형일 수도 있는 내주(20)를 가질 수 있다. 원형 내주(20)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원형 내주(20)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 하나 이상의 오목 로브(22a 내지 22c)의 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인덱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베이스부(10)의 내측벽(24)에서 원형 내주(20)로부터 끝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3개의 오목 로브(22a 내지 22c)를 포함한다. 인덱싱 요소와 내주는, 베이스부(10)에 부착되는 대응하는 인덱싱 요소를 갖는 구성요소의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 축(26)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인덱스 부분(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단일 수복물(크라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치유 캡과 같은 치유 캡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대응하는 인덱스 부분(25)이 없는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내주(20)에 대응하는 원형 계면만을 가질 수도 있다. 인덱스 부분(25)의 다른 구성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오목 로브(22a 내지 22c) 대신 볼록 로브(도시되지 않음)가 일부 실시형태 및/또는 상호결합 돌출부와 오목부의 다른 구성과 조합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덱싱 요소의 개수는 다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c 내지 도 1f는, 인덱싱 부(25')가 내주(20)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 6개의 오목 로브(22'a 내지 22'f)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최종 수복물을 설계할 때,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상부면(18, 18')의 위치와 배향 및/또는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인덱스 부분(25, 25')의 배향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면(18) 및/또는 인덱스 부분(25, 25')의 위치와 배향은 최종 수복물 또는 최종 수복물의 일부를 설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 수복물은, 최종 수복물이 설치될 때 원하는 로케이션에 위치결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상부면(18, 18') 및/또는 인덱스 부분(25, 25')과 정확하게 정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를 다시 참조하면, 평평한 원주형 상부면(18)으로부터 끝측으로 연장될 때, 베이스부(10)는 연조직 또는 잇몸에 노출되도록 고려된 외면(28)을 가질 수 있다. 외면(28)은, 연조직 접촉 길이를 증가시키고, 연조직 건강을 개선하고, 및/또는 연조직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베이스부의 높이 H(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측정됨)보다 큰길이 L(곡선형 외면(28)을 따라 측정된 거리)을 가질 수도 있다. 길이 L은, 예를 들어, 약 2.5㎜일 수 있는 한편, 높이는 약 1.0㎜ 내지 5.0㎜일 수 있다.
베이스부(10)의 제한된 높이 또는 낮은 프로파일도, 치아용 임플란트의 불필요한 하중 없이 치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외면(28)은, 예를 들어, 외면의 관상 단부와 끝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될 수도 있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만곡된 외면(28)은, 큰 관상 직경 D1로부터 작은 관상 직경 D2까지, 먼저 볼록 형상(30a)으로 이어서 오목 형상(30b)으로 연장된다. 수정된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면(28)은 서로에 대해 경사진 직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 부분(25')이 6개의 오목 로브(22'a 내지 22'f)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c 내지 도 1f의 실시형태를 다시 참조하면, 외면(28')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만곡된 외면(28')은, 큰 관상 직경 D1'으로부터 작은 관상 직경 D2'까지 먼저 볼록 형상(30a')으로 이어서 오목 형상(30b')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도 1a와 도 1b의 실시형태에 비해 더욱 점진적으로 테이퍼링되는 것이다.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외면(28, 28')에는 하나 이상의 원주 또는 링 형상의 홈(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연조직의 충분한 길이 및 기하학적 추가 잠금이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외면(28, 28')의 하측(끝) 부분은 개선된 안정화를 위해 거칠게 될 수도 있다.
외면(28)은 베이스부(10)의 외면(32)으로 끝측으로 천이될 수 있다. 외면(32)은, 일반적으로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와 같은 치아용 임플란트의 내부 연결면에 접하도록 적응된다. 외면(32)은, 직선형일 수도 있지만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 축(26)에 대하여 경사질 수도 있는데, 이때 직경이 베이스부(10)의 끝 단부(14)를 향하여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원추형 또는 테이퍼링된 부분이 베이스부(10) 상에 형성된다. 대체 실시형태(도시되지 않음)에서, 외면은, 베이스부(10)가 부착되어야 하는 임플란트에 따라,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 축(26)에 평행할 수도 있다.
끝 단부(14)에서, 도 1a와 도 1b 및 도 1c와 도 1d의 베이스부(10, 10')는 상호결합 부분(3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호결합 부분(34)은, 치아용 임플란트의 상호결합 오목부 내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외부의 대략 육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와 도 1d에 예시된 실시형태의 외면(32)과 상호결합 부분(34)은, 베이스부(10, 10')가 치아용 임플란트의 내부 연결부, 특히 Nobel Biocare®에 의해 판매되는 NobelActive® 치아용 임플란트의 육각형 상호연결부가 있는 내부 원추형 연결부와 정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10, 10')의 끝 단부(14)는, 예를 들어, 외부 육각형 연결부인, 3개의 상호결합 채널이 있는 NobelReplace® 임플란트(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제8,721,335호 참조) 등의 다른 유형의 연결 특징부 및/또는 다른 치아용 임플란트와 정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관상 단부(14)로부터 끝 단부(16)로 연장되고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 축(26)과 일치하는 내부 보어(36)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보어(36)는 내부 나사(후술됨)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c 내지 도 1f는, 인덱스 부분(25')이 내주(20)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 6개의 오목 로브(22a' 내지 22f')를 포함하고 외면(28')이 도 1a와 도 1b의 실시형태와는 다른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는 베이스부(1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그 외에, 도 1c 내지 도 1f의 실시형태는 도 1a와 도 1b의 실시형태와 유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사한 특징부와 구성요소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도록 추가 '가 참조 번호에 부가된 동일한 참조 번호(예를 들어, 16', 18', 34', 36', 38' 등)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 특정하게 기술되지 않는 이러한 특징부와 구성요소에 대한 추가 상세 및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치아용 임플란트(40)에 부착된 도 1a와 도 1b의 베이스부(10)를 도시한다. 치아용 임플란트(40)는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일 수 있는데, 치아용 임플란트(40)가 턱뼈(46)에 설치될 때 치아용 임플란트의 관상 단부(42)를 환자의 턱뼈(46)의 에지 또는 크레스트(44)와 대략 평평하게 배치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치아용 임플란트(40)는, 예를 들어, 국제특허 WO 2008/128757 A2에 개시된 유형일 수도 있으며, 이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치아용 임플란트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뼈 레벨 임플란트가 아닌 치아용 임플란트가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치아용 임플란트가 다른 유형의 연결 특징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c 내지 도 1f의 베이스부(1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치아용 임플란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치아용 임플란트(40)는 치아용 임플란트(40)의 관상(또는 근위) 단부(42)에 개방된 내부 연결 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연결 계면은 원추형 챔버(48), 육각형 상호결합 오목부(50), 및 내부 나사산 부분(52)을 포함한다. 원추형 챔버(48)는, 조직 레벨 지대주부(10)의 외면(32)과 매칭되는 경사진 내부 연결면(54)을 갖는다.
사용시, 베이스부(10, 10')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 나사(56)를 통해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40)에 부착될 수 있다. 지대주 나사(56)는 지대주 시스템(12)에 포함될 수 있다. 지대주 나사(56)는 치아용 임플란트(40)의 내부 나사산 부분(52)과 결합하기 위한 끝 외부 나사산 부분(58)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대주 나사(56)는 베이스부(10)의 시트(38)에 대해 안착될 수 있는 헤드(60)를 갖는다. 헤드(60)는 관상 내부 나사산 부분(62)을 가질 수도 있다. 지대주 나사(56)를 조이면, 베이스부(10)가 치아용 임플란트(40) 및 매칭 면(32, 54)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효과적이고 밀폐된 밀봉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a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외면(28)의 높이 H는 설치된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38)에 인접하는 연조직(64)의 높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지대주 시스템(12)은, 최종 수복물(예를 들어,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되는 미국 특허출원공개번호 제2014/0011160호에 개시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6)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8)) 및 도 3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치유 캡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베이스부(10, 10')를 사용하여 최종 수복물(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6) 또는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8)) 또는 치유 캡 중 임의의 것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대주 시스템(12)은, 커버 나사, 바 등의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인공 보철 구성요소, 및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다른 보철 구성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지대주 시스템(12)은, 또한, 2-피스 연조직 수준 치아용 임플란트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여기서, 2-피스는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40) 및 (연조직 수준) 지대주부(10, 10')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나사로 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8)은, 지대주 나사(56)의 내부 나사산 부분(62)과 결합하기 위한 끝 외부 나사산 부분(67)을 갖는 나사(69)에 의해 베이스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된 구성에서, 나사(69)는,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8)을 베이스부(10)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8)의 내부 보어 내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헤드를 가질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6)은, 지대주 나사(56)의 내부 나사산 부분(62)과 결합하기 위한 끝 외부 나사산 부분(67)을 갖는 나사(69)에 의해 베이스부에 또한 결합될 수 있는 최종 지대주(6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최종 지대주(65)는, 최종 수복물(66)을 최종 접합부(65)에 고정하기 위해 시멘트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홈 및/또는 리지(ridge)(도 2d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해 볼 때, 용도의 일 실시형태에서,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40)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환자의 턱뼈(46)에 외과 의사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a). 치아용 임플란트(40)는, 치아용 임플란트(40)의 관상 단부(42)가 턱뼈(46)의 상측 에지(4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설치 후, 베이스부(10)는 지대주 나사(56)에 의해 외과 의사에 의해 치아용 임플란트(40)에 부착된다(b). 이러한 베이스부(10)는 통상적으로 임플란트(40)에 부착된 후에는 제거되지 않는다. 외면(28)은 여기서 연조직(64)에 노출된다. 베이스부(10)는, 치아용 임플란트(40)가 설치된 직후에 치아용 임플란트(40)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용도의 일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은, 베이스부(10)에 결합될 수 있고, 치유 기간 동안 베이스부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외과 의사와 동일한 사람이 아닌 보철 전문의는, 베이스부로부터 치유 캡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6)과 나사로 보유지지되는 최종 수복물(68)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다(c).
도 3a 내지 도 3e에서는, 전술한 지대주 시스템(12)과 함께, 특히, 6개의 돌출부를 갖는 인덱스 부분(25')을 포함하는 도 1c 내지 도 1e의 베이스부(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치유 캡(72)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치유 캡(72)은, 추가 나사(74)(도 4A와 도 4B 참조)를 통해 베이스부(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나사(74)는 또한 지대주 시스템(12)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e의 치유 캡은 도 1c 내지 도 1e에 관하여 전술한 베이스부(10')와 정합하도록 구성되지만,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72)은, 다른 구성(예를 들어, 외면 및/또는 도 1a와 도 1b의 베이스부(10) 등의 다르게 성형된 인덱싱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10')와 정합하도록 또는 치아용 임플란트에 직접 정합하도록 또는 다른 중간 구성요소에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치유 캡(72)의 일부 특징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와 치유 캡의 조합이 소정의 이점을 갖지만 베이스부(10')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0')는, 치유 단계 동안 환자에게 남아있을 수도 있고, 최종 수복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설치 후에 제거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베이스부(10')를 둘러싸고 있는 연조직의 방해가 감소된다는 것이다.
치유 캡(72)은, 베이스부(10')와 치유 캡(72) 간의 효과적 밀봉이 달성될 수 있도록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관상 단부(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합하는 끝 단부(76)를 가질 수 있다. 치유 캡부(72)는, 관상 단부(80)와 끝 단부(76)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보어(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보어(78)에는, 시트(82)가 있다. 따라서, 끝 단부(76)는 베이스부(10')의 인덱스 부분(25')에 대응하는 인덱스 부분(77)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된 구성에서, 인덱스 부분(77)은, 6개의 오목 로브(22'a 내지 22'f)에 대응하는 6개의 돌출부(79a, 79b, 79c, 79d, 79e, 79f)를 포함할 수 있다. 6개의 돌출부(79a 내지 79f)는, 베이스부(10, 10')의 원형 내주(20)와 정합하는 원통형 포스트(63)를 중심으로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끝 단부(76)는, 2개의 구성요소 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인 경우 베이스부(10, 10')의 인덱스 부분(25, 25')의 구성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끝 단부(76)는, 두 개의 부 간의 회전 방지 및/또는 인덱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실시형태에서 인덱스 부분(77)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시, 치유 캡부(72)는 추가 나사(74)(도 4A와 도 4B 참조)에 의해 베이스부(10)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 나사(74)는 지대주 나사(56)의 내부 나사산 부분(62)과 결합하기 위한 끝 외부 나사산 부분(88)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추가 나사(74)는 치유 캡(72)의 시트(82)에 대항하는 헤드(90)를 가질 수 있다. 헤드(90)는 관상 공구 소켓(92)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 나사(74)를 조이면, 치유 캡(72)이 베이스부(1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서, 베이스부(10') 및 치유 캡(72)은 2-피스 치유 지대주로서 간주될 수 있는 치유 지대주 시스템(75)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2-피스는 베이스부(10')와 치유 캡(75)이다.
도 3d를 참조해 볼 때, 치유 캡(72)의 관상 단부는, 치유 기간 동안 연조직 성장을 유도하고 및/또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잇몸 조직 위로 연장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외부 측면(86)을 갖는다. 이에 따라, 일부 구성에 있어서, 외부면(86)은 교체될 자연 치아의 잇몸 부분과 유사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측면은 치유 지대주(7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측정되는 높이 H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베이스부(10, 10') 상에 배치되고 관상 단부(80)의 하면(71)이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과 접촉하는 경우 치유 지대주(72)의 높이 H에 대응한다. 외부면은, 치유 캡(72)의 관상 단부(80)에서의 작은 상부 직경 Dt로부터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의 관상 직경 D1, D1'에 대략 대응하는 끝 부분(76)의 위이면서 관상 단부(80)의 하측 단부에서의 작은 베이스 직경 Db로 테이퍼링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치유 캡(72)의 관상 단부(80)는, 또한, 치유 캡(72), 베이스부(10), 및/또는 치아용 임플란트(40)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도 3c와 도 3e를 참조하면, 관상 단부는 치유 캡(72)의 상부면(98)을 형성한다. 상부면(98)은 비대칭 형상을 형성하는 에지(96)를 가질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에지(96)에 의해 형성되는 비대칭 형상은, 더욱 둥근 제2 부분(106)에 결합된 초승달 형상을 갖는 제1 부분(1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에지(96)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1보다 작은 종횡비(L1/L2)를 형성하는 제1 또는 x 방향으로의 길이(L1) 및 제2 또는 y 방향으로의 길이(L2)를 갖는 형상을 정의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종횡비 (L1/L2)는 1보다 클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비대칭 형상은 대체로 타원형 또는 둥근 형상이지만,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상부면(98)은 사다리꼴 등의 상이한 비대칭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부면(98)은 치유 캡(72)의 길이방향 축에 평평하고 수직일 수 있다. 수정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면(98)은, 치유 캡(7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곡선형 면 및/또는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면의 에지(96)는, 예를 들어, 길이방향 단면에서 볼 때 경사진 또는 둥근 에지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면(98)과 외부 측면을 결합 또는 연결하는 표면(96)은 경사지거나 둥근형일 수 있고 또는 날카로운 에지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둥근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은, 날카로운 에지를 피하며, 연조직의 잠재적 상해를 피하므로 환자의 편의에 유용하다. 이 형상은, 또한, 임상의가 임의의 날카로운 에지를 수작업으로 매끄럽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임상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는 데 일조한다.
또한, 예리한 각을 갖는 종래 기술의 치유 캡은, 날카로운 모서리가 환자의 입안에 남아서는 안 되므로 치유 캡의 배치시 수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날카로운 에지는 배치시 수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날카로운 에지가 제거되기 전에 배치 시간에 스캔이 수행된다. 그러나 치유 과정 전에 실현되는 이러한 스캔은, 몇 달이 걸릴 수 있는 치유 과정 후의 환자의 구강 상태를 반영하지 못하며, 따라서 정확하지 않다. 전술한 경사진 또는 둥근 에지를 갖는 본 발명의 치유 캡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경사진 또는 둥근 에지는, 상이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치유 캡(72)의 상부면(98)의 비대칭 형상은 환자 내의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6, 16') 및/또는 인덱스 부분(25, 25')의 배향과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구강내 스캔 시스템(350)(도 11 참조)은, 치유 캡(72)의 상부면(98)의 화상 및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주변 구조(예를 들어, 인접하는 치아, 잇몸 조직, 및/또는 임플란트 또는 지대주)를 캡처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분석 시스템(3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분석 시스템(310)은 형상 매칭을 이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치유 캡(72)의 배향과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부면(98)은, 치유 캡(72)의 길이방향 중심 축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치유 캡(72)이 장착되는 베이스부(10, 10')의 길이방향 중심 축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면(98)은 치유 캡(72)의 공간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치유 캡(72)의 크기 및 형상이 알려져 있다면, 상부면(16, 16') 및/또는 인덱스 부분(25, 25')의 위치와 배향에 대한 벡터가, 치유 캡(72)의 상부면(98)의 위치와 배향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72)의 유형은 입력 장치(330)(예를 들어, 컴퓨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해 사용자(340)에 의해 분석 시스템(310)에 입력될 수 있고, 이러한 입력 장치는 물리적 구조(예를 들어, 치유 캡의 높이와 직경)에 관한 정보를 분석 시스템(31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72)의 알려져 있는 물리적 구조는, 인덱싱 영역의 배향을 포함한 베이스부(10)의 상부면(16, 16')의 배향과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부면(98)의 위치 및 배향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 시스템(310)의 사용자(340)는 베이스부(10)와 정확하게 정합될 수 있는 최종 수복물(370)을 설계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340)는, 컴퓨터 스크린(320) 또는 유사한 장치 상에서 최종 수복물을 볼 수 있고 및/또는 컴퓨터 스크린(330)을 사용하여 최종 수복물을 계획 및 설계할 수 있다. 최종 수복물의 형상 및 구조에 관한 생산 데이터(355)는 생산 설비(360)로 전송될 수 있다. 생산 설비(360)는 생산 데이터에 따라 최종 수복물(370)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부면(98)의 형상은, 또한, 치유 캡(72)의 높이 또는 치유 캡(72)의 직경과 같은 치유 캡(72)의 물리적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부 구성에 있어서, 분석 시스템(310)은 상부면(98)의 형상을 치유 캡의 상부면의 형상의 저장된 라이브러리에 매칭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 시스템(310)은 스캔 시스템(300)에 의해 스캔된 치유 캡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분석 시스템(310)은 치유 캡의 물리적 특성(예를 들어, 치유 캡의 높이, 직경, 및/또는 유형)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물리적 특성은,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의 배향과 위치 및 인덱스 부분(25, 25')의 배향을 결정하도록 치유 캡(72)의 상부면의 배향 및 위치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분석 시스템(310)은, 상부면(98)의 표면을 치유 캡의 저장된 라이브러리와 매칭하는 것 대신에 또는 이러한 매칭에 더하여, 스캔된 치유 캡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 및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종횡비의 라이브러리 리스트에 비교될 수 있는 상부면(98)의 종횡비(L1/L2) 및/또는 상부면(98)의 다른 특성(예를 들어, 면적, 폭 길이, 형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부면(98)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부(10, 10')의 인덱스 부분(25, 25') 등의 베이스부(10)의 특성, 베이스부(10, 10')의 높이, 베이스부(10, 10')의 직경, 및/또는 베이스부(10, 10')의 유형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형상은, 또한, 치아용 임플란트(40)의 유형, 치아용 임플란트(40)의 직경, 및 환자의 치아용 임플란트(40)의 각도 배향 및/또는 위치를 포함하는 치아용 임플란트(40)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치유 캡(72)의 이점은, 치유 캡이 치유 캡(72)의 위치와 배향 및/또는 치유 캡(72)에 대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 마커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즉, 치유 캡(72)에 부가된 정보 마커 대신, 치유 캡(72)의 위치와 배향 및/또는 치유 캡(72)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가, 형상을 표면 매칭하고 및/또는 형상의 종횡비(또는 형상의 도출된 다른 특성)를 사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상부면(82)의 형상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H는, 상이한 높이 및 직경을 갖는 도 3a 내지 도 3e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4개의 상이한 치유 캡(72a, 72b, 72c, 72e)의 세트를 도시한다. 도 5A와 도 5B 및 도 5C와 도 5D는, 상이한 관상 직경 D1, D1을 갖지만 동일한 치유 캡 높이 H를 갖는 베이스부(10, 10')와 정합하기 위한 상이한 베이스 직경 Db를 갖는 치유 캡 (72, 72b)을 도시한다. 도 5E와 도 5F 및 도 5G와 도 5H는, 상이한 관상 직경 D1, D1을 갖지만 동일한 치유 지대주 높이 H를 갖는 베이스부(10, 10')와 정합하기 위한 상이한 베이스 직경을 갖는 치유 캡 (72c, 72d)을 도시한다. 도 5E와 도 5F 및 도 5G와 도 5H의 치유 캡(72c, 72d)은, 도 5A와 도 5B 및 도 5C와 도 5D의 치유 캡(72a, 27b)에 비해 큰 높이 H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도 5A와 도 5B의 치유 캡(72a)은 도 5E와 도 5F의 치유 캡(72c)과 동일한 베이스 직경 Db를 가질 수 있고, 도 5C와 도 5D의 치유 캡(72b)은 도 5G와 도 5H의 치유 캡(72d)과 동일한 베이스 직경 Db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치과 의사는 상이한 베이스 직경 Db 및 상이한 높이 H를 갖는 치유 캡들의 세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이한 베이스 직경 Db의 치유 캡들은 상이한 관상 직경 D1, D1의 베이스부(10, 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이한 높이 H의 치유 캡들은 서로 다른 환자 계획의 상황에서 및/또는 치과 의사에 의해 필요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예시된 치유 캡(72a 내지 72d)의 크기에 걸친 상부면(98)의 에지(96)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 시스템(310)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치유 캡(72)의 배향과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형상 매칭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대주(72)의 유형은 (예를 들어, 시스템(310)의 사용자(340)에 의해) 분석 시스템에 입력될 수 있으며, 이것은 물리적 특성(예를 들어, 치유 캡의 높이와 직경)에 관한 정보를 분석 시스템(310)에 제공한다. 치유 캡(72)의 알려져 있는 특성은, 인덱스 부분(25, 25')의 배향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의 배향과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부면(98)의 측정된 위치 및 배향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 시스템(310)의 사용자는 베이스부(10)와 정확하게 정합할 수 있는 최종 수복물(370)을 설계할 수 있다. 최종 수복물(3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로 보유지지되거나 시멘트로 보유지지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부면(98)의 형상은, 또한, 치유 캡(72)의 높이 H 및/또는 베이스 직경 Db와 같은 치유 캡(72)의 물리적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도 5A 내지 도 5H의 치유 캡(72a 내지 72d)은, 상이한 형상 및/또는 상이한 종횡비의 상부면(98)을 가질 수 있다. 분석 시스템(310)은 형상 및/또는 종횡비를 결정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스캔된 치유 캡(72a 내지 72d)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72)의 상부면(98)은 평평하며 치유 캡(7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상부면(298)이 치유 캡(272)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지 않는 영역(281)을 포함하는 치유 캡(272)의 수정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의 치유 캡은 도 3a와 도 3b의 실시형태와 유사한 일부 특징부를 갖고, 따라서, 유사한 특징부와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지만 숫자 "2"가 참조 번호에 부가되며(예를 들어, 276, 278, 282)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상기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유 캡(272)은, 베이스부(10, 10')와 치유 캡(272) 간의 효과적인 밀봉이 달성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10, 10')의 관상 단부(14, 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끝 단부(276)를 가질 수 있다. 치유 캡(272)은, 또한, 베이스부(10, 10')의 인덱스 부분(25, 25')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인덱스 부분(277)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 포스트(263) 둘레에 균등하게 배열된 6개의 돌출부(279a 내지 279f)를 포함한다. 치유 캡(272)은 자신의 관상 단부(280)와 끝 단부(726)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보어(2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보어(278)에는, 시트(282)가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272)은, 상부 직경 Dt가 베이스 직경 Db와 동일하도록 대략 원통형 측면(285)을 가질 수 있다. 측면(285)은 치유 캡(27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정의되는 높이 H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치유 캡이 베이스부(10, 10') 상에 놓이고 하측면(271)이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과 접촉할 때의 치유 캡(272)의 높이에 대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272)의 상부면(298)의 형상은, 하부 배향을 결정하고 환자 내부의 베이스부(10)의 상부면(18)을 위치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부면(298)의 형상은, 또한, 치유 캡의 높이 또는 치유 캡(272)의 직경과 같은 치유 캡(272)의 물리적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h는 도 6A 내지 도 6E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었지만 높이 H 및 베이스부 직경 Db가 다른 4개의 상이한 치유 캡(272a, 272b, 272c, 272e)의 세트를 도시한다. 도 7A와 도 7B 및 도 7C와 도 7D는 상이한 높이 H(치유 캡(272b)이 치유 캡(272a)보다 높음)를 갖지만 베이스 직경 Db가 동일한 치유 캡(272a, 272b)을 도시한다. 도 7E와 도 7F 및 도 7G와 도 7H는 높이가 상이하지만 베이스 직경 Db가 동일한 치유 캡(272c, 272d)을 도시한다(치유 캡(272d)이 치유 캡(272c)보다 높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도 7E 내지 도 7H의 치유 캡은 도 7A 내지 도 7D의 치유 캡보다 큰 베이스 직경 Db를 갖는다. 치유 캡(272a 및 272c)의 높이 H는 동일할 수 있고 치유 캡(272b 및 272d)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서, 치과 의사는 상이한 베이스부 직경 Db 및 상이한 높이 H를 갖는 치유 캡들의 세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이한 베이스 직경 Db의 치유 캡은 상이한 직경의 상이한 베이스부(10, 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이한 높이 H의 치유 캡은 상이한 해부학적 구조의 상황에서 또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하여 치과 의사가 원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예시된 치유 캡의 크기를 가로지르는 상부면의 에지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석 시스템(310)은 형상 매칭을 이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치유 캡의 배향 및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지대주의 유형은, 분석 시스템에 물리적 구조(예를 들어, 치유 캡의 높이 및 직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들어, 분석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분석 시스템에 입력될 수 있다. 치유 캡의 알려져 있는 물리적 구조는, 인덱싱 영역의 배향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의 상부면의 배향 및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부면의 측정된 위치 및 배향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 시스템의 사용자는 베이스부와 정확하게 정합할 수 있는 최종 수복물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부면의 비대칭 형상은, 또한, 치유 캡의 높이 또는 치유 캡의 직경과 같은 치유 캡의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도 7A 내지 도 7H의 치유 캡은 상이한 형상 및/또는 상이한 종횡비의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분석 시스템은 형상 및/또는 종횡비를 결정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스캔된 치유 캡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치유 캡(372)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E의 치유 캡(372)은 도 3a와 도 3b의 실시형태와 유사한 일부 특징부를 갖고, 따라서, 유사한 특징부와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지만 숫자 "3"이 참조 번호에 부가되며(예를 들어, 376, 378, 232)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상기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유 캡(372)은, 베이스부(10, 10')와 치유 캡(372) 간의 효과적인 밀봉이 달성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10, 10')의 관상 단부(14, 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끝 단부(376)를 가질 수 있다. 치유 캡(372)은, 또한, 베이스부(10, 10')의 인덱스 부분(25, 25')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인덱스 부분(377)을 가질 수 있고,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 포스트(363) 둘레에 중심으로 배열된 6개의 돌출부(379a 내지 379f)를 포함한다. 치유 캡(372)은, 치유 캡의 관상 단부(380)와 끝 단부(376)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보어(3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보어(378)에는, 시트(282)가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272)은 연조직의 성형을 돕도록 측면(385)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측면(385)은 도 8B와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Dt와 길이 He를 갖는 대략 원통형의 관상 부분(385a)을 가질 수 있다. 대략 원통형의 관상 부분(385a)으로부터, 외부면(385)은, 큰 관상 직경 Dt로부터 작은 관상 직경 Db까지, 먼저 볼록 형상(385b)으로 그리고 오목 형상(385c)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정된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면(385)은 서로에 대해 경사진 직선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볼록 형상(385b)과 오목 형상(385c)에서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유 캡(37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정의된 높이 Hd를 가질 수 있다. 원통형 부분(385a)의 높이 Hc와 조합된 이 높이 Hd는, 베이스부(10, 10') 상에 배치되고 하측면(371)이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과 접촉할 때의 치유 캡(372)의 높이 H에 대응한다. 치유 캡(372)의 하측 직경 Db는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의 상부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372)의 상부면(398)의 형상은, 하부의 배향을 결정하고 환자 내의 베이스부(10)의 상부면(18)을 위치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부면(398)의 형상은, 또한, 치유 캡의 높이 또는 치유 캡(372)의 직경과 같은 치유 캡(372)의 물리적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의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상부면(398)은, 치유 캡(372)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지 않는 영역(381)을 포함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위에서 볼 때 상부면(398)의 에지의 에지(396)는 한 쌍의 평평한 측면(399a, 399b)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381)과 함께 평평한 측면(399a, 399b)은, 치유 캡(372)의 배향 및 위치를 식별하도록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형상 매칭을 통해) 사용될 수 있는 비대칭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C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에지(396)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1보다 작은 종횡비(L1/L2)를 형성하는, 제1 또는 x 방향으로의 길이(L1)와 제2 또는 y 방향으로의 길이(L2)를 갖는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종횡비(L1/L2)는 1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분석 시스템(310)은, 상부면(398)의 면을 치유 캡의 저장된 라이브러리와 매칭하는 것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상부면(398)의 종횡비(L1/L2) 및/또는 스캔된 치유 캡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 또는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종횡비의 라이브러리 리스트에 비교될 수 있는 상부면(398)의 다른 특성 (예를 들어, 면적, 폭 길이, 형상)을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치유 캡(372)은, 치유 캡(372)이 상이한 베이스 직경 Db 및/또는 높이 H를 가질 수 있는 세트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E는 치유 캡(472)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E의 치유 캡(472)은 도 8A 내지 도 8E의 실시형태와 유사한 일부 특징부를 갖고, 따라서, 유사한 특징부와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지만 숫자 "4"가 참조 번호에 부가되며(예를 들어, 476, 478, 432) 상기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472)의 원통형 부분(485a)은 도 8A 내지 도 8E의 실시형태의 높이 Hc보다 큰 높이 He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의 직경 Db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베이스부(10, 10')와 정합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환자의 구강 상황이나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높이 H는 3㎜ 내지 6.5㎜로 가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유 캡(1372)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의 치유 캡(1372)은 도 3a 내지 도 3e의 실시형태와 유사한 일부 특징부를 갖고, 따라서, 유사한 특징부와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지만 숫자 "13"이 참조 번호에 부가되며(예를 들어, 1376, 1378, 1332) 상기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유 캡(1372)은, 베이스부(10, 10')와 치유 캡(1372) 간의 효과적인 밀봉이 달성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10, 10')의 관상 단부(14, 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끝 단부(1376)를 가질 수 있다. 치유 캡(1372)은, 또한, 베이스부(10, 10')의 인덱스 부분(25, 25')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인덱스 부분(1377)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 포스트(1363) 둘레에 균등하게 배열된 6개의 돌출부(1379a 내지 1379f)를 포함한다. 치유 캡(1372)은, 치유 캡의 관상 단부(1380)와 끝 단부(1326)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보어(13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보어 (1378)에는, 시트(1382)가 있다.
도 3의 실시형태와 도 13의 실시형태 간의 주요 차이점은, 치유 캡(1372)이 치유 캡(137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정의된 각각의 높이 Ha 및 Hb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1386a/1386b)을 포함하는 외부 측면(1386)을 갖는다는 점이다. 제1 외부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외부면(86)과 유사한 대략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통 형상을 갖는 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끝 단부("Ae")로부터 끝측으로 하측면(1371)까지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외부면은, 치유 캡(72)의 관상 단부(1380)에서 작은 상부 직경 Dt로부터 큰 베이스 직경 Db까지 치유 캡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끝측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고, 이어서 하측면(1371)까지 동일한 직경 Db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끝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연조직 관리 및 성형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것은, 치유 캡의 제거 및 교체를 돕고, 최종 수복물이 배치될 때 연조직이 베이스부(10, 10')와 보철 수복물 사이에 걸리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측면(1386)은, 베이스부(10, 10') 상에 배치되고 하측면(1371)이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과 접촉할 때의 치유 캡(1372)의 높이에 대응하는, 치유 캡(137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정의되는 높이 H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1372)의 상부면(1398)의 형상은, 하부 배향을 결정하고 환자 내에 베이스부(10)의 상부면(18)을 위치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부면(1398)의 형상은, 또한, 치유 캡의 높이 또는 치유 캡(1372)의 직경과 같은 치유 캡(1372)의 물리적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유 캡(1372')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372')은, 치유 캡(137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정의되는 각각의 높이 Ha', Hb', 및 He'를 갖는 적어도 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외부면(86)과 유사한 대략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통 형상을 갖는 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끝 단부("Ae")로부터 제2 부분의 끝 단부("Ae1")까지 끝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의 직경 Db'은, 협동하고자 하는 베이스부(10, 10')의 상측 부분의 직경 D1, D1'보다 클 수 있다. 제3부분은 제2 부분의 끝 단부(Ae1)로부터 하측면(137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3부분은, 베이스부(10 또는 10')의 직경 D1 또는 D1'까지 동일한 직경 Db'을 갖는 제2 부분의 상기 끝 단부(Ae1)로부터 아래로 테이퍼링될 수 있다. 제3부분은 절두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연조직 관리 및 성형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것은, 치유 캡의 제거 및 교체를 돕고, 최종 수복물을 배치할 때 연조직이 베이스부(10, 10')와 보철 수복물 사이에 걸리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14A 내지 도 14H는, 상이한 높이 H, Ha, Hb 및 베이스 직경 Db를 갖고 도 3a 내지 도 3e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4개의 상이한 치유 캡(1372a, 1372b, 1372c, 1372e)의 세트를 도시한다. 도 14A와 도 14B 및 도 14G와 도 14H는, 상이한 높이 H(치유 캡(1372a)이 치유 캡(1372d)보다 높음)를 갖지만 베이스 직경 Db가 동일한 치유 캡(1372a, 1372b)을 도시한다. 도 14C와 도 14D 및 도 14E와 도 14F는, 동일한 베이스 직경 Db를 갖지만 높이가 상이한 치유 캡(1372b, 1372c)을 도시한다(치유 캡(1472c)이 치유 캡(1472b)보다 높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도 14C 내지 도 14F의 치유 캡은, 도 14A와 도 14B 및 도 14G와 도 14H의 치유 캡보다 큰 베이스 직경을 갖는다. 치유 캡(1372a 및 1372c)의 높이 H는 동일할 수 있고 치유 캡(272b 및 272d)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서, 치과 의사에게는, 상이한 베이스 직경 Db 및 상이한 높이 H, Ha, Hb를 갖는 치유 캡들의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베이스 직경 Db의 치유 캡은 상이한 직경의 상이한 베이스부(10, 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이한 높이 H, Ha, Hb의 치유 캡은, 상이한 해부학적 구조의 상황에서 또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하여 치과 의사가 원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예시된 치유 캡의 크기를 가로지르는 상부면의 에지의 형상은 대략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석 시스템(310)은 형상 매칭을 이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치유 캡의 배향 및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대주의 유형은, 분석 시스템에 물리적 구조(예를 들어, 치유 캡의 높이 및 직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들어, 분석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분석 시스템에 입력될 수 있다. 치유 캡의 알려져 있는 물리적 구조는, 인덱싱 영역의 배향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의 상부면의 배향 및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부면의 측정된 위치 및 배향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 시스템의 사용자는 베이스부와 정확하게 정합할 수 있는 최종 수복물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부면의 비대칭 형상은, 또한, 치유 캡의 높이 또는 치유 캡의 직경과 같은 치유 캡의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도 14A 내지 도 14H의 치유 캡은 상이한 형상 및/또는 상이한 종횡비의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분석 시스템은 형상 및/또는 종횡비를 결정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스캔된 치유 캡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분석 시스템(310)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320),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330), 및 구강내 스캐너와 같은 하나 이상의 스캐너(350)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 의사, 치과 기공사, 또는 다른 사람일 수도 있는 사용자 또는 조작자(340)는,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일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330)를 조작함으로써 치아 보철 분석 시스템용 데이터를 계획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최종 수복물을 위한 설계를 작업하는 동안, 조작자(340)는 디스플레이(320) 상의 최종 수복물을 위한 계획을 볼 수 있다.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스캐너는, 치유 캡(72, 272)의 물리적 인상을 취하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인상 또는 석고 회반죽 유사체를 스캔하도록 구성된 스캐너(예를 들어, 탁상용 스캐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분석 시스템(31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또는 하나 이상의 통신 메커니즘을 갖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하나보다 많은 컴퓨터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모듈, 방법, 및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모듈 및 프로세스 각각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또는 본 명세서의 모듈들은 전용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입력 장치(330)는, 하나 이상의 키보드(한손 또는 양손), 마우스, 터치 스크린, 음성 커맨드 및 연관된 하드웨어, 제스처 인식, 또는 조작자(340)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다른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320)는, 2D 또는 3D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LCD, CRT, 플라즈마, 프로젝션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에 기초할 수도 있다. 스캐너(350)는 2D 또는 3D 스캐너일 수도 있다. 스캐너(350)는 구강내 스캐너 또는 다른 유형의 스캐너(예를 들어, 구강내 스캔을 취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스캐너)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캐너(350)에서의 3D 스캔은, 비행시간 계산, 삼각 측량, 코노스코픽 홀로그래피, 구조화된 광, 변조된 광, 컴퓨터 단층 촬영, 마이크로토모그래피, 자기 공명 촬상, 또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 또는 기법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3D 스캐너는 엑스레이, 가시광, 레이저 광, 초음파 방사,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방사선 또는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3D 스캐너는 입체 검사, 측광, 윤곽 치리, 터치 프로브,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스캐너(350)는 구강내 스캐너이다.
도 11의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USB, VGA 케이블, 동축 케이블, 파이어 와이어, 직렬 케이블, 병렬 케이블, SCSI 케이블, IDE 케이블, SATA 케이블, 802.11 또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 또는 다른 임의의 유선 또는 무선을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결합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시스템에 있는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또한, 하나의 단위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시스템의 모든 전자 구성요소는 단일 물리적 단위에 포함된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용도의 일 실시형태에서, 초기 지점(500)에서, 임플란트(3, 40)가 제공되고 환자의 뼈 조직에 이식된다. 다음 단계(510)에서, 베이스부(2, 10, 10')는 치아용 임플란트(3, 4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유 캡(1, 72, 272)은 단계(520)에서 베이스부(2, 10, 10')에 결합될 수 있다. 치유 캡(1, 72, 272)이 베이스부(2, 10, 10')에 결합된 후, 단계(530)에서 구강내 스캐너 또는 다른 스캔 기구를 사용하여 치유 캡(1, 72, 272)의 상부면을 스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1, 72, 272)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 및/또는 인덱스 부분(25, 25')의 위치 및 배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베이스부(10, 10')의 상부면(18, 18') 및/또는 인덱스 부분(25, 25')의 위치 및 배향은 최종 수복물(4, 66, 68)의 설계 및/또는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일정 기간(예를 들어, 치유 및 골유착 기간) 후에, 단계(540)에서는, 치유 캡(1, 72, 272)이 베이스부(2, 10, 1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단일 치아, 브리지, 또는 다른 프레임워크와 같은 치아 수복물(예를 들어, 최종 수복물(4, 66, 68) 등의 구성요소가 베이스부(2, 10, 10')에 이들의 연결 계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수복물은, 치유 캡(1, 72, 272)으로부터 수집된 정보(위치 및 배향)에 기초하여 설계 및/또는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베이스부(2, 10, 10')가 제거될 필요가 없으므로 환자의 잇몸 조직에 대한 외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수복물(4, 66, 68)은, 치유 캡(1, 72, 272)의 스캔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2, 10, 10')의 정확한 위치 및 배향에 대한 지식 및 이로부터 도출되는 정보로부터 설계될 수 있다. 치유 캡(1, 72, 272)의 스캔은 일정 기간(예를 들어, 치유 및 골유착 기간)의 전에, 도중, 또는 후에 취해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 72, 272)의 구강내 주사를 취하는 것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치유 캡(1, 72, 272)의 물리적 인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하드웨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 또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 및 정보를 처리하도록 버스와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버스에 결합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다른 동적 저장 장치와 같은 메인 메모리를 가질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는 명령어 및 임시 변수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또한, 정적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해 버스에 결합된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다른 정적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또한, CRT 또는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입력 장치(330)도 컴퓨터 시스템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들 입력 장치(330)는 마우스, 트랙볼, 또는 커서 방향 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310), 디스플레이(320), 스캐너(350), 및/또는 입력 장치(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컴퓨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컴퓨터 또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판독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CD, DVD, 광학 또는 자기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반송파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임의의 매체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선 회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 대신에 또는 이러한 명령어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치유 캡(1, 72, 272, 372, 472)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 같은 폴리머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 72, 272, 372, 472)은 금속(예를 들어, 티타늄)과 같은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치유 캡(1, 72, 272, 372, 472)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 72, 272, 372, 472)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된) 모놀리식 단일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 72, 272)은 상이한 물질들의 다수의 편 또는 편들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유 캡(1, 72, 272, 372, 472)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10, 10')와 접촉하는 치유 캡(1, 1, 72, 272, 372, 472)의 끝 부분(76, 276)은 금속 및/또는 세라믹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스캔되도록 구성된 치유 캡(1, 72, 272, 372, 472) 의 상측 부분은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 72, 272, 372, 472)에는 RFID 및/또는 컬러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부면의 형상에 더하여 또는 그 대안으로, RFID 및/또는 컬러 구성은, 치유 캡(1, 72, 272, 372, 472) 또는 베이스부(2, 10, 10') 및/또는 임플란트(3, 40)의 물리적 특성 및/또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위치 및 배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들(1, 72, 272, 372, 472)의 세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치유 캡들(1, 72, 272, 372, 472)의 컬러는 치유 캡(1, 72, 272, 372, 472)의 베이스 직경 및/또는 높이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 72, 272, 372, 472)의 측면(85, 285, 385, 485)은, 치유 캡(1, 72, 272, 372, 472) 또는 베이스부(2, 10, 10') 및/또는 임플란트(3, 40)의 물리적 특성 및/또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위치와 배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85, 285, 385, 485)은, 치유 캡(1, 72, 272, 372, 472) 또는 베이스부(2, 10, 10') 및/또는 임플란트(3, 40)의 물리적 특성 및/또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위치와 배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매칭될 수 있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캡은, 또한, 커버 나사가 사용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치아용 임플란트의 끝 단부에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치유를 위한 치아용 임플란트와 접촉하는 치유 캡(72, 272, 376, 476)의 끝 부분(76, 276, 376, 476)은 금속 및/또는 세라믹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스캔되도록 구성된 치유 캡(72, 272, 372, 472)의 상측 부분은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 72, 272, 372, 472) 의 끝 부분(76, 276, 376, 476)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욱 양호하게 맞도록 및/또는 임시 수복물 및/또는 최종 수복물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스캔된 후에 수정(예를 들어, 밀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부면의 형상은 기존의 치유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밀링될 수 있다.
치유 캡(1, 72, 272, 372, 472)의 수정된 실시형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측면(86, 286)은, 치유 캡이 시멘트로 보유지지되는 임시 수복물을 지지하도록 시멘트를 수용할 수 있는 홈 또는 리지 등의 보유지지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수정된 실시형태에서의 치유 캡(1, 72, 272, 372, 472)은, 임시 수복물이 치유 캡(1, 72, 272, 372, 472) 상으로 스냅핑되고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보유지지 홈 또는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후술하는 치유 캡(1, 72, 272, 372, 472)은 치유 캡(1, 72, 272, 372, 472)의 상부면(98, 298)의 물리적 인상을 취하는 방법 및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술에서, 인상은, 치유 캡(1, 72, 272, 372, 472)의 상부면(98, 298, 498)의 위치와 배향을 기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스캐너를 사용하여 물리적 인상을 스캔할 수 있다.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치유 캡(1, 72, 272, 372, 472)의 상부면(98, 298, 398, 498)은 이어서 환자의 입의 석고 또는 회반죽 유사체에서 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환자의 입의 석고 또는 회반죽 유사체는 스캔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공사는 최종 수복물 석고 또는 회반죽 유사체를 만들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최종 수복물은 스캔된 물리적 인상이나 석고 또는 회반죽 유사체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흐름도의 임의의 공정 설명, 요소, 또는 블록은, 해당 공정에서의 특정 논리 함수 또는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코드의 모듈, 세그먼트, 또는 일부를 잠재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해해야 한다. 대체 구현예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듯이, 관련된 기능에 따라 요소 또는 함수가 삭제될 수도 있고 대략 동시 또는 역순을 비롯하여 도시되거나 기술된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형태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방법 및 공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코드 모듈을 통해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완전히 자동화될 수도 있다. 코드 모듈들은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다른 컴퓨터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대안으로 전용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많은 변형 및 수정이 가해질 수도 있으며, 그 요소는 다른 허용가능한 예들 중 하나로서 이해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러한 모든 변형 및 수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다음에 따르는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본 명세서에서 순서화된 단계와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의 특징부와 속성은 다른 실시형태를 형성하도록 상이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특히 "수 있다"(can), "수 있다"(could), "수도 있다", "도 된다" 등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조건부 용어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또는 사용된 문맥 내에서 다르게 이해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일부 특징부, 요소, 및/또는 상태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일부 특징부, 요소, 및/또는 상태를 포함하지 않음을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부 용어는, 일반적으로 특징부, 요소, 및/또는 상태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필요함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가 저자 입력 또는 촉구에 의해 또는 필자의 입력이나 유도 없이 이러한 특징부, 요소, 및/또는 상태가 임의의 특정 실시형태에 포함되는지 또는 임의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을 필수적으로 포함함을 암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6)

  1. 치과용 구성요소에 결합하기 위한 치유 캡(healing)으로서,
    끝 단부(apical end); 및
    측면과 상부면을 포함하는 관상 단부(coronal end)로서, 상기 상부면이 비대칭 형상을 형성하는 에지를 갖는, 상기 관상 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대칭 형상은, 제1 편심률의 타원 형상을 갖는 제1 부분 및 제2 편심률의 타원 형상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치유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 단부는 원통형 포스트 주위에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있는 인덱스 부분(index portion)을 포함하는, 치유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 단부는 원통형 포스트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된 6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인덱스 부분을 포함하는, 치유 캡.
  4. 제1항에 있어서서, 상기 끝 단부로부터 상기 치유 캡의 관상 단부로 연장되는 내부 보어(internal bore)를 포함하는, 치유 캡.
  5. 제1항에 있어서서, 상기 에지는 둥글거나 비스듬한, 치유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형상은 초승달 형상의 제1 부분 및 원 형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치유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형상은 2개의 평평한 측면을 포함하는, 치유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형상은 x 방향으로의 길이 L1 및 y 방향으로의 길이 L2를 갖고, 1보다 크거나 작은 종횡비 L1/L2를 형성하는, 치유 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평면이고 상기 치유 캡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치유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치유 캡의 관상 단부에서의 작은 상부 직경 Dt로부터 큰 베이스 직경으로 상기 치유 캡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끝측으로 테이퍼링된 후 원통 형상으로 끝측으로 더 연장되는, 치유 캡.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치유 캡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는, 치유 캡.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치유 캡을 사용하여 치아 수복물(dental restoration)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구강내 스캐너를 사용하여 상기 치유 캡을 스캔하거나 상기 치유 캡의 인상(impression)을 취하는 단계; 및
    구강내 스캐너에 의해 상기 치유 캡을 스캔하거나 상기 치유 캡의 인상을 취한 정보를 이용하여 치아용 수복물을 설계하여 설계된 상기 치아용 수복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수복물을 생성하는 방법.
  13. 치유 지대주 시스템(healing abutment system)으로서,
    치아용 임플란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base part)로서, 최종 수복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설치된 치아용 임플란트에 인접하는 연조직의 높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갖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치유 캡을 포함하되,
    상기 치유 캡은, 상기 베이스부의 배향과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강내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도록 또는 물리적 인상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를 갖는, 치유 지대주 시스템.
  14. 제13항의 치유 지대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종 수복물을 생성하는 방법.
  15. 지대주 시스템으로서,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bone level dental implant)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최종 수복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설치된 상기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에 인접하는 연조직의 높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인덱스 부분을 포함하는 관상 단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의 인덱스 부분은 원형 둘레 주위로 이격된 6개의 오목 로브(lobe)를 포함하는, 지대주 시스템.
  16. 지대주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지대주 시스템은,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bone level dental implant)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최종 수복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설치된 상기 뼈 레벨 치아용 임플란트에 인접하는 연조직의 높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인덱스 부분을 포함하는 관상 단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의 인덱스 부분은 원형 둘레 주위로 이격된 6개의 오목 로브(lobe)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유 캡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지대주 시스템의 사용 방법.
KR1020187016629A 2015-11-20 2016-11-18 스캔가능 특징부를 갖는 치유 캡 KR102666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5634.9 2015-11-20
EP15195634 2015-11-20
PCT/EP2016/078192 WO2017085288A1 (en) 2015-11-20 2016-11-18 Healing cap with scannable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890A KR20180084890A (ko) 2018-07-25
KR102666788B1 true KR102666788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012A (ja) 1995-12-04 2000-02-02 インスティトゥート・シュトラウマ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人工歯根用治療キャップ
US20130177872A1 (en) 2012-01-10 2013-07-11 Mark H. Blaisdell Customizable sculptable anatomical healing cap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40205969A1 (en) 2012-11-20 2014-07-24 Gerald M. Marlin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012A (ja) 1995-12-04 2000-02-02 インスティトゥート・シュトラウマ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人工歯根用治療キャップ
US20130177872A1 (en) 2012-01-10 2013-07-11 Mark H. Blaisdell Customizable sculptable anatomical healing cap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40205969A1 (en) 2012-11-20 2014-07-24 Gerald M. Marlin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5676B (zh) 具有可扫描特征的愈合帽
US11389275B2 (en)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US20240122683A1 (en)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US10327869B2 (en) Attachment members with internally located radiopaque information markers for CT scan
JP4694453B2 (ja) 治癒支台柱
TWI634874B (zh) 用於植體之掃描體以及包含其之植體組件
JP2002520085A (ja) 万能印象用コーピングシステム
US20070281279A1 (en) Custom impression transfer coping
US20210236248A1 (en) Dental restoration, method of producing it, computer program and method of restoring a tooth
KR102666788B1 (ko) 스캔가능 특징부를 갖는 치유 캡
EP3376992B1 (en) Healing cap with scannable features
US20190247154A1 (en) Gingival Tissue Former
US20190274792A1 (en)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A Dental Implant
WO2019209808A1 (en) Gingival tissue for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