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607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607B1
KR102666607B1 KR1020200047442A KR20200047442A KR102666607B1 KR 102666607 B1 KR102666607 B1 KR 102666607B1 KR 1020200047442 A KR1020200047442 A KR 1020200047442A KR 20200047442 A KR20200047442 A KR 20200047442A KR 102666607 B1 KR102666607 B1 KR 10266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smetic container
protrusion
cov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436A (ko
Inventor
유병욱
전경원
Original Assignee
(주) 이니스프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니스프리 filed Critical (주) 이니스프리
Priority to KR102020004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6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걸려 상기 본체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종이 소재로 형성되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본체의 목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용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화장품 제조사에서도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한 화장품 용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료를 저장하는 화장품 용기의 소재로서 플라스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의 화장품 용기는 사용 후 버려지는 경우, 썩는데 수백 년이 걸리고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료를 저장하는 화장품 용기로서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화장료를 보관하는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플라스틱 소재를 완벽하게 대체하기 위한 소재를 개발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의 비중을 줄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한국 공개공보 KR 10-2020-0027679 A (2020.03.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료를 저장하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본체의 비중을 줄임과 동시에 본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걸려 상기 본체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종이 소재로 형성되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본체의 목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내부 커버; 및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한 쌍의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하나의 외부 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제1 내부 커버; 및 상기 제1 내부 커버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다른 하나의 외부 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는 제1 외부 커버와 제2 외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커버와 상기 제2 외부커버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커버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고 일 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홀 형상의 제1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고 일 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홀 형상의 제2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각각에 제공된 제2 끼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를 감쌀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용기가 바닥에 안착 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에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제공되고, 상기 내부 커버의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1 공간이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본체의 직경의 1/4 내지 3/4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십자가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부 커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한 쌍의 외부 조립체 중 하나는 일체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측면 보강부와, 상기 커버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보강부와 상기 하부 보강부는 종이 재질의 스티커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목부를 제외한 상기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목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유리 소재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 및 상기 저장 바디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배출 수단이 결합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본체의 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 외부 힘에 의해 눌려져 상기 펌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누름부; 및 상기 펌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흡입할 수 있는 딥튜브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화장료를 저장하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본체의 비중을 줄임과 동시에 본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하나의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하나의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가 결합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E-E'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D-D'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하나의 외부커버를 제외한 화장품 용기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돌출부가 제공되는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xy 평면 기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돌출부가 제공되는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xy 평면 기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3은 도 2의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하나의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하나의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가 결합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5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E-E'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6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D-D'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 조립체(20)와, 본체(10)에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배출 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 z축 방향을 상부, -z축 방향을 하부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 조립체(20)는 종이 소재를 포함한 친환경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조립체(20)가 본체(10)를 보강할 수 있는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본체(10)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커버 조립체(20)는 재활용이 가능한바, 화장품 용기(1)의 폐기 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종이 소재를 이용하는 화장품 용기(1)는 친환경 용기로 이해될 수 있다.
본체(10)는 화장료가 저장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110)와, 저장 바디(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배출 수단(30)이 결합되는 목부(120)와, 저장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이란 본체(10)로부터 커버 조립체(20)가 형성된 측으로 향하는 모든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체(10)의 저장 바디(110)의 두께는 0.3mm 내지 0.4mm 로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의 두께는 0.8mm 내지 1.0mm로 제공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의 본체(10)는 종래의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는바, 플라스틱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저장 바디(110)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 저장 바디(110)가 파손 위험이 증가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커버 조립체(20)가 저장 바디(110)를 감싸도록 하여 저장 바디(110)의 파손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튜브 형태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의 패리손(parison)을 압출블로우성형(Extrusion blow molding) 방식으로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가열 용융하여 압출기에서 패리손(parison)을 형성하고, 튜브상으로 압축한 패리손(parison)을 금형(mold)에 넣고, 패리손(parison)에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시킴으로써 본체(10)가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저장 바디(110) 하부에 제공되는 돌출부(130)는 저장 바디(110)와 함께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장 바디(110)와 돌출부(130)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그 제조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일반 압출블로우성형(Extrusion blow molding) 공정에서 발생되는 하부 트림(trim)을 저장 바디(110)와 함께 성형하는 방식으로 상기 돌출부(130)를 성형할 수 있다.
본체(10)를 형성하는 저장 바디(110)와 목부(120)와 돌출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소재는 플라스틱, 유리 등 화장품 용기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목부(120)의 외측 둘레에는 배출 수단(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목부(120)의 내측에는 배출 수단(30)의 적어도 일부가 출입하거나, 화장료가 배출될 수 있는 개구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저장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30)가 저장 바디(110)의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 바디(110)의 측면에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0)는 후술하는 커버 조립체(20)를 고정함과 동시에, 화장품 용기(1)가 바닥에 안착 시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30)는 저장 바디(110)의 하부면으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30)는 본체(10)에 대해 먼 측에 제공되는 돌출부의 하부면(132)과, 본체(10)와 돌출부의 하부면(132)을 연결하는 4개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의 둘레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여기서, 돌출부의 하부면(132)은 본체(10)가 외부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돌출부(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 형상이 서로 교차하는 십자가 형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돌출부(130)는 후술하는 커버 조립체(20)의 끼움부(216, 226)에 삽입될 수 있으며, 돌출부(130)와 끼움부(216, 226)의 결합에 의해 본체(10)와 커버 조립체(20)가 상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커버 조립체(20)는 본체(10)를 둘러싸는 종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조립체(20)는 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내부 커버(210)와, 내부 커버(210)와 상기 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는 내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는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20)는 개구부가 형성된 목부(120)를 제외한 본체(10)를 둘러쌀 수 있다.
내부 커버(210)는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 중 하나의 외부 커버인 제1 외부 커버(220A)에 의해 감싸지는 제1 내부 커버(212)와, 제1 내부 커버(212)로부터 연장되되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 중 다른 하나의 외부 커버인 제2 외부커버(220B)에 의해 감싸지는 가이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14)는 내부 커버(210)와 제1 외부 커버(220A)가 포개어질 때, 제1 외부 커버(220A)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이 때 제1 외부 커버(220A)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214)는 제2 외부 커버(220B)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부 커버(212)와 가이드부(21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214)가 제1 외부 커버(220A)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 외부 커버(220A)와 제2 외부 커버(220B)의 단면이 맞닿기 전에 가이드부(214)가 제2 외부 커버(220B)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바, 가이드부(214)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14)에 의해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가 어긋남없이 서로 맞닿을 수 있는바, 결합된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은 매끈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커버(210)는 본체(10)의 대략 절반 정도를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커버(210)는 본체(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오목홈(218)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오목홈(218)에는 목부(120)를 제외한 본체(10)의 대략 절반 정도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커버(210)의 제1 내부 커버(212)는 저장 바디(110)의 절반을 감싸고, 내부 커버(210)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214)는 저장 바디(110)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214)는 내부 커버(210)로부터 0.2cm 내지 2cm 돌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cm내지 1.0cm 돌출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214)가 돌출된 정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전체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내부 커버(210)에는 돌출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끼움부(216)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끼움부(216)는 돌출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끼움부(216)는 바닥면(219)에서 일 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끼움부(216)의 위치는 가이드부(214)를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끼움부(216)의 개구된 측에 의해 가이드부(214)가 절단되어 이등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1 외부 커버(220A)와 제2 외부커버(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커버(220A)에는 내부 커버(2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오목홈(228)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오목홈(228)은 본체(10)의 저장 바디(110)를 수직(xz 평면 또는 yx 평면)으로 이등분한 부피에서 내부 커버(210)의 두께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크게 제공되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결합 시, 제1 외부 커버(220A)의 내부 표면은 내부 커버(210)의 외부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외부커버(220B)와 본체(10)의 저장 바디(110) 사이에는 제3 공간(290)이 형성될 수 있다(도 6참조).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외부커버(220B)는 제3 공간(290)의 공간을 메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외부커버(220B)는 제1 외부 커버(220A)와 비교하여, 제3 공간(290) 만큼 두껍게 형성되거나, 또는 제3 공간(290)을 채울 수 있는 별도의 제2 내부 커버(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외부 커버(220A)에는 돌출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끼움부(226)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끼움부(226)는 돌출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외부 커버(220A)의 바닥면(229)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끼움부(226)는 바닥면(229)에서 일 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를 결합하였을 때, 제1 외부 커버(220A)의 제2 끼움부(226)와 제2 외부커버(220B)의 제2 끼움부(226)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하나의 직사각형 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외부 커버(220A)의 제2 끼움부(226)와 제2 외부커버(220B)의 제2 끼움부(226)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홀 형상에 돌출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끼움부(226)의 개구된 측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가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2 끼움부(226)는 제1 끼움부(216)의 하측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30)는 제1 끼움부(216)와 제2 끼움부(226)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끼움부(226)가 돌출부(13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 외부 커버(220A)의 하부면(229)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제2 끼움부(226)가 형성되는 위치는 돌출부(130)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기만 하면 그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출부(130)가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1 끼움부(216)와 제2 끼움부(226)도 커버 조립체(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 커버(220A)는 원기둥이 이등분된 형상을 갖는 중간 영역(B)과, 중간 영역(B)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영역(A)과, 중간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영역(C)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영역(A)과 중간 영역(B)과 상부 영역(C)은 제1 외부 커버(220A)를 구분하는 가상의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 외부 커버(220A)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하부 영역(A)에 위치한 제1 외부 커버(220A)의 바닥면(229)은 화장품 용기(1)가 바닥에 놓여졌을 때, 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중간 영역(B)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부 영역(C)은 본체(10)의 목부(12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외부 커버(220A)는 내부 커버(210) 보다 상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도 4 참조). 즉, 화장품 용기(1)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 커버(210)는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바, 내부 커버(21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외부 커버(220A)와 내부 커버(210)가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된 후 서로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 외부 커버(220A)와 내부 커버(210)가 결합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커버(220A)와 제2 외부커버(220B)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바, 제2 외부커버(220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출 수단(30)은 본체(10)에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310)와, 본체(10)의 목부(120)에 결합하는 결합부(320)와, 외부 힘에 의해 눌려서 펌프(3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누름부(330)와, 펌프(3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는 딥튜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결합부(320)의 내측에는 목부(120)의 나사산(122)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322)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수단(30)을 펌프(310), 누름부(330), 딥튜브(34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 수단(30)은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1)는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가 결합된 후 제1 끼움부(216)와 제2 끼움부(226) 및 돌출부(1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하부 보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보강부(500)는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29)에 부착될 수 있는 스티커일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1)는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가 결합된 후,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 사이의 결합 부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측면 보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보강부(400)는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스티커일 수 있다.
또한, 측면 보강부(400)와 하부 보강부(500)는 종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보강부(400)의 표면에는 화장품 용기(1)에 심미감을 더할 수 있는 문양 등이 세겨질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화장품 용기(1)에서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 중 하나의 외부커버를 제외한 화장품 용기(1)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화장품 용기(1)가 외부 바닥에 놓여졌을 때, 본체(10)가 지지되는 경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는 본체(10)의 하측에 제공되는 돌출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30)는 본체(1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를 관통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의 하부면(132)이 외부 바닥과 접촉하여 화장품 용기(1)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0)의 높이(z 축 방향)는 내부 커버(210)의 두께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과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29) 사이에는 제1 공간(280)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하부면과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29) 사이에는 제2 공간(27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0)의 길이(돌출부의 장축)는 본체(10)의 직경의 1/4 내지 3/4로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130)의 길이가 길게 제공되는 경우, 본체(10)가 외부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30)에 의해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19, 229)이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만약, 돌출부(130)가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 화장품 용기(1)의 대부분의 하중은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19, 229)에 집중될 수 있는바,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19, 229)의 파손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만약 돌출부(130)가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 화장품 용기(1)를 바닥에 놓았을 때 본체(10)의 하중이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에 가해짐으로써 바닥면(219)이 제1 공간(280)이 형성된 하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의 하중이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이 파손될 수 있다.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이 파손되는 경우, 본체(10)의 대부분의 하중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29)에 가해질 수 있는바, 화장품 용기(1)의 반복적 사용하는 경우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29)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30)가 본체(1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를 관통하게 형성됨으로써, 화장품 용기(1)의 대부분의 하중은 돌출부(130)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19,0229)의 파손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용기(1)를 바닥에 놓았을 때 본체(10)의 하중은 돌출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바,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이 파손되는 위험이 줄어들 수 있으며, 내부 커버(210)의 바닥면(219)이 파손되지 않는 경우,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와 내부 커버(210)가 함께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바,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19, 229)의 파손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1)는 커버 조립체(20)를 제외하고 본체(10)만을 외부 바닥에 놓았을 경우를 가정하는 경우, 돌출부의 하부면(132)이 외부 바닥과 접촉되어 본체(10)가 세워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돌출부의 하부면(132)은 본체(10)가 z축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의 대부분의 하중은 돌출부(130)에 가해지는바,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19,229)에 가해지는 하중은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화장품 용기(1)에서 돌출부(130)가 제공되는 단면을 xy 평면으로 절단한 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화장품 용기(1)가 조립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체(10)의 내부에는 화장료가 채워질 수 있다. 그 후, 내부 커버(210)는 본체(10)와 결합한다. 이 때, 본체(10)의 돌출부(130)는 내부 커버(210)의 제1 끼움부(216)에 끼워질 수 있는바, 돌출부(130)와 제1 끼움부(216)는 본체(10)가 내부 커버(210)에 삽입되는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그 후, 본체(10)와 조립된 내부 커버(210)를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 중 제1 외부 커버(220A)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30)는 제1 외부 커버(220A)의 제2 끼움부(226)에 끼워질 수 있는바, 돌출부(130)와 제2 끼움부(226)는 본체(10)와 조립된 내부 커버(210)가 제1 외부 커버(220A)에 삽입되는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그 후, 제1 외부 커버(220A)와 제2 외부커버(220B)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내부 커버(210)의 가이드부(214)는 제2 외부커버(220B)와 제1 외부 커버(220A)가 마주보며 맞춰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8에서 접촉면(225)은 제1 외부 커버(220A)와 제2 외부커버(220B)가 마주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내부 커버(210)의 가이드부(214)에 의해 접촉면(225)이 어긋나지 않게 일치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커버(210), 제1 외부 커버(220A), 제2 외부커버(220B) 순으로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내부 커버(210)와 제1 외부 커버(220A)를 미리 조립한 후, 본체(10)에 결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측면 보강부(400)를 커버 조립체(2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하부 보강부(500)를 커버 조립체(20)의 하부에 붙일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를 잡고 배출 수단(30)을 본체(10)의 목부(120)에 대해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30)에 의해 본체(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가 상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배출 수단(30)을 본체(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화장품 용기(1)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 조립체(20)는 종이 소재를 포함한 친환경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조립체(20)가 본체(10)를 보강할 수 있는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본체(10)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커버 조립체(20)는 재활용이 가능한바, 화장품 용기(1)의 폐기 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종이 소재를 이용하는 화장품 용기(1)는 친환경 용기로 이해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커버 조립체(20)의 끼움부(216, 226)에 삽입될 수 있으며, 돌출부(130)와 끼움부(216, 226)의 결합에 의해 본체(10)와 커버 조립체(20)가 상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0)는 본체(10), 내부 커버(210) 및 외부 커버(220A, 220 B)의 조립 시 그 조립 위치를 안내하므로 생산 과정에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14)는 제1 외부 커버(220A)와 제2 외부 커버(220 B)와의 조립 시 제1 외부 커버(220A)와 제2 외부 커버(220 B)가 맞닿기 이전에 제1 외부 커버(220A) 및 제2 외부 커버(220 B)의 조립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조립체(20)가 펄프 몰딩 방식으로 제작될 경우 그 형태 및 크기에 있어 오차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커버(210)는 외부 커버(220A, 220 B)와 본체(10)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공간)을 채우는 기능을 함에 따라 본체가 외부 커버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30)에 의해 내부 커버(210)와 한 쌍의 외부 커버(220A, 220B)의 바닥면(219, 229)이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본체(10)가 외부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돌출부가 제공되는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xy 평면 기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30')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술한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돌출부의 형상 및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끼움부의 형상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30')는 십자가 형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30')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136)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138)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부(136)와 제2 돌출부(138) 각각은 본체(10)의 직경의 1/2 내지 3/4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130')에 의해 본체(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바, 본체(10)에 의해 커버 조립체(20)의 하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은 없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이하는 상술한 화장품 용기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걸려 상기 본체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종이 소재로 형성되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본체의 목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2는,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내부 커버; 및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한 쌍의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항목 1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3은,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하나의 외부 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제1 내부 커버; 및 상기 제1 내부 커버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다른 하나의 외부 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항목 1 및 항목 2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4는,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는 제1 외부 커버와 제2 외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커버와 상기 제2 외부커버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5는, 상기 내부 커버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고 일 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홀 형상의 제1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고 일 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홀 형상의 제2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각각에 제공된 제2 끼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를 감쌀 수 있는 항목 1 내지 항목 4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6은, 상기 화장품 용기가 바닥에 안착 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에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5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7은,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제공되고, 상기 내부 커버의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1 공간이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6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8은,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본체의 직경의 1/4 내지 3/4로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7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9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항목 1 내지 항목 8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0은,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십자가 형상을 갖는 항목 1 내지 항목 9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1은,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부 커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항목 1 내지 항목 10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2는,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한 쌍의 외부 조립체 중 하나는 일체로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1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3은,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측면 보강부와, 상기 커버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2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4는, 상기 측면 보강부와 상기 하부 보강부는 종이 재질의 스티커로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3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5는, 상기 커버 조립체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목부를 제외한 상기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목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4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6은,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유리 소재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 및 상기 저장 바디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배출 수단이 결합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5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7은,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본체의 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 외부 힘에 의해 눌려져 상기 펌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누름부; 및 상기 펌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흡입할 수 있는 딥튜브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6의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화장품 용기 10: 본체
20: 커버 조립체 220A: 제1 외부 커버
220B: 제2 외부커버 130, 130': 돌출부

Claims (17)

  1.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걸려 상기 본체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종이 소재로 형성되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본체의 목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내부 커버; 및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한 쌍의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하나의 외부 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제1 내부 커버; 및
    상기 제1 내부 커버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중 다른 하나의 외부 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는 제1 외부 커버와 제2 외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커버와 상기 제2 외부커버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고 일 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홀 형상의 제1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고 일 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홀 형상의 제2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각각에 제공된 제2 끼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를 감쌀 수 있는 화장품 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가 바닥에 안착 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에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제공되고,
    상기 내부 커버의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1 공간이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본체의 직경의 1/4 내지 3/4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십자가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부 커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한 쌍의 외부 조립체 중 하나는 일체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측면 보강부와,
    상기 커버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보강부와 상기 하부 보강부는 종이 재질의 스티커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목부를 제외한 상기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목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유리 소재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 및
    상기 저장 바디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배출 수단이 결합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본체의 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
    외부 힘에 의해 눌려져 상기 펌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누름부; 및
    상기 펌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흡입할 수 있는 딥튜브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00047442A 2020-04-20 화장품 용기 KR102666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442A KR102666607B1 (ko) 2020-04-20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442A KR102666607B1 (ko) 2020-04-20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436A KR20210129436A (ko) 2021-10-28
KR102666607B1 true KR102666607B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1930A (ja) 2008-09-12 2012-01-26 エコ. ロジック ブラ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材料を保持するためのコンテナ
US20120145710A1 (en) 2010-12-08 2012-06-14 Julie Corbett Containers for holding materials
JP2015105111A (ja)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複合容器およ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JP2019513644A (ja) 2016-04-15 2019-05-30 エコ. ロジック ブラ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パーツコンテナのための相互接続手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1930A (ja) 2008-09-12 2012-01-26 エコ. ロジック ブラ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材料を保持するためのコンテナ
US20120145710A1 (en) 2010-12-08 2012-06-14 Julie Corbett Containers for holding materials
JP2015105111A (ja)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複合容器およ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JP2019513644A (ja) 2016-04-15 2019-05-30 エコ. ロジック ブラ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パーツコンテナのための相互接続手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8041A1 (en) Carrying Case
CA2403067C (en) Container for welding wire
US5524787A (en) Lightweight, composite container
CA2807367C (en) Receptacle for attaching to a product having a curved wall
US4256231A (en) Container with a synthetic lining impermeable to liquids and method of making
JP7068930B2 (ja) 合成樹脂製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KR102666607B1 (ko) 화장품 용기
AU2003266624B2 (en) Synthetic resin bottle with grip
EP1099641A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bearing label
KR20210129436A (ko) 화장품 용기
CN106742722B (zh) 缓冲包材及缓冲包装盒
US20040079769A1 (en) Receptacle
EP0609644A1 (en) Lightweight,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GB2107284A (en) Impact resistant container
CN213006256U (zh) 一种内模具以及一种在塑料制品的注塑过程中使用的模具
US6571950B2 (en) Two-piece cosmetic applicator
US11001410B2 (en) Pulp-molded paper container
CN213975321U (zh) 一种用于放置化妆品的塑料盒
US20070214750A1 (en) Articulating dunnage and method of use
KR101188763B1 (ko) 패키지
KR20180000990U (ko) 저비용으로 디자인 변형이 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수납박스
JP2707421B2 (ja) 合成樹脂製二重構造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343247B1 (ja) 搬送容器の製造方法
CN218143333U (zh) 一种柜体家具纸浆模塑包装
CN211365412U (zh) 一种镜片包装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