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570B1 - 스마트 신발장 - Google Patents

스마트 신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570B1
KR102666570B1 KR1020220013036A KR20220013036A KR102666570B1 KR 102666570 B1 KR102666570 B1 KR 102666570B1 KR 1020220013036 A KR1020220013036 A KR 1020220013036A KR 20220013036 A KR20220013036 A KR 20220013036A KR 102666570 B1 KR102666570 B1 KR 10266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hoes
rack
shoe rack
smar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6286A (ko
Inventor
박훈진
박성희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570B1/ko
Publication of KR20230116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8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with motoris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스마트 신발장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신발장은, 신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신발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부재; 수납부재들을 승강시키는 감기전동장치; 및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개구에 인접하도록 감기전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쇠 등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신발의 수납위치를 기억하지 않아도 신발의 쉬운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신발장{SMART SHOES RACK}
본 발명은 스마트 신발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편리한 수납, 보관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에 관한 것이다.
신발장(shoes rack)은 신발을 수납하는 가구로서, 일반적으로 출입구 한쪽에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87262호(이하 '선행문헌')는 위생 신발장을 개시한다.
선행문헌의 위생 신발장은 신발장의 내부에 막음판들이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된 구획실들의 전면에는 도어들이 각각 힌지 결합된 신발장으로서, 신발장 하부 일측에는 방진장치를 구비한 송풍기가 장착되고 송풍기의 입구와 출구에는 필터와 발열 히터가 각각 구비된 송풍실이 구비된다.
송풍기의 출구에는 송풍주덕트와 송풍지덕트가 연결되고, 송풍기의 입구에는 환풍주덕트와 환풍지덕트가 연결된 덕트부가 구비된다. 구획실들의 내부로 각각 인입되는 송풍지덕트와 환풍지덕트에는 두 갈래로 갈라진 분지관과 흡입구가 각각 접속되고, 그 내부에 댐퍼가 장착된 분지관들에는 분사관들이 각각 접속되어 그 출구가 신발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선행문헌의 위생 신발장은 신발의 건조가 신발장의 내부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신발의 내외부가 고르게 건조되어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신발장에서 다단으로 구획된 구획실에 많은 신발을 한꺼번에 보관시켜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위생 신발장은 신발장의 내부에 막음판들이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다단의 구획실을 형성하고, 구획실들의 전면에는 도어들이 각각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다단의 구획실마다 열쇠로 도어들을 잠그고 여는 자물쇠를 장착해야 함에 따라, 방문자의 열쇠의 분실시 열쇠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에 있었다.
또한, 열쇠를 분실한 방문자가 신발이 수납된 구획실의 번호를 기억해내기 쉽지 않으므로, 신발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선행문헌의 위생 신발장은 구획실들의 내부마다 분지관과 분사관을 배치해야 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단가가 높아, 일반 업소나 기숙사, 군내무반과 같이 원활한 자금조달이 쉽지 않은 단체들은 사실상 선행문헌의 위생 신발장을 구매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발장 주변은 신발을 넣고 빼는 과정에서 신발에 묻은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장소이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위생 신발장은 구획실에 보관된 신발의 먼지만 제거할 뿐이므로, 관리자가 신발장 주변을 자주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87262호 (등록일: 2000.04.17)
본 발명의 목적은, 열쇠 등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신발의 수납위치를 기억하지 않아도 신발의 쉬운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관된 신발의 살균 및 먼지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장 주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신발이 신발장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신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신발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들을 승강시키는 감기전동장치; 및 상기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감기전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장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감기전동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벨트가 감긴 한 쌍의 제1 풀리;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벨트가 감긴 한 쌍의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 벨트와 상기 제2 벨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재가 매달리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의 상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제1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덕트에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상기 수납부재 및 상기 신발의 정보를 입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기 감기전동장치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신발이 안착되는 상면을 형성하는 안착패널; 및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고, 상기 안착패널이 상기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패널의 저면에 제2 래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인출기어를 회전시키는 인출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제2 래크가 상기 인출기어의 상부에 맞물리고, 상기 안착패널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출모터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래크가 형성된 도어; 및 상기 제1 래크에 맞물린 개폐기어를 회전시키는 개폐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개폐모터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이 신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개구를 형성하고, 신발이 수납되는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개구에 인접하도록 제어부가 감기전동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열쇠 등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신발의 수납위치를 기억하지 않아도 신발의 쉬운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램프가 수납부재의 상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덕트가 제1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덕트에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구가 형성됨으로써, 보관된 신발의 살균 및 먼지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장 주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에 수납부재 및 신발의 정보를 입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감기전동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신발이 신발장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제2 래크가 인출기어의 상부에 맞물리고, 안착패널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어부가 인출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신발이 신발장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신발장의 사시도로서, 안착패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신발장의 사시도로서, 커버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신발장의 정면도로서, 커버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 신발장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어 및 개폐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 신발장의 투시도로서, 덕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스마트 신발장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장의 하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커버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신발장은, 열쇠 등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신발의 수납위치를 기억하지 않아도 신발의 쉬운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신발장은, 보관된 신발의 살균 및 먼지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장 주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 신발장은, 신발이 신발장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장(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신발장(10)의 사시도로서, 안착패널(310)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신발장(10)의 사시도로서, 커버(120)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신발장(10)의 정면도로서, 커버(120)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장(10)은 신발(1)의 편리한 수납, 보관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하우징(100), 도어(200), 수납부재(300), 감기전동장치(400), 제어부(500), 살균램프(600), 덕트(700) 및 디스플레이 패널(800)을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감기전동장치(400)의 모터(4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살균램프(6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팬(F)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디스플레이 패널(80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개폐모터(M1)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800)이 구비된 면을 커버(120)의 전면으로 지칭하고, 전면의 법선방향을 스마트 신발장(10)의 앞쪽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신발(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1)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프레임(110) 및 커버(12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하우징(100)의 뼈대를 형성한다. 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11), 상부프레임(112) 및 복수의 세로프레임(113)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11) 및 상부프레임(112)은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형성한다. 하부프레임(111)과 상부프레임(112)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다. 복수의 세로프레임(113)은 하부프레임(111)과 상부프레임(112)을 연결한다.
커버(120)는 수용공간(101)을 외부로부터 격리하는 벽면을 형성한다. 커버(120)는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커버(120)는 투과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투과부(12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제조된다. 사용자는 투과부(121)를 통해 수용공간(101)에 수용된 신발(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의 전면에 개구(102)가 형성된다. 개구(102)는 신발(1)이 수용공간(101)으로 인입되는 입구(701)를 형성한다. 개구(102)는 수용공간(101)의 신발(1)이 외부로 인출되는 출구(702)를 형성한다. 개구(102)는 사각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102)는 커버(12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재(300)는 수용공간(101)에 구비된다. 신발(1)은 수납부재(300)에 수납된다. 수납부재(300)는 안착패널(310) 및 레일부재(320)를 포함한다.
안착패널(310)은 신발(1)이 안착되는 상면을 형성한다. 안착패널(310)은 평판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일부재(320)는 연결부재(480)에 의해 슬리브(470)에 연결된다. 레일부재(320)는 제1 레일부(321), 제2 레일부(322) 및 연결부(323)를 포함한다.
제1 레일부(321) 및 제2 레일부(322)는 전후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한다. 제1 레일부(321) 및 제2 레일부(322)는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격된다. 연결부(323)는 좌우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한다. 연결부(323)는 뒤쪽에서 제1 레일부(321)와 제2 레일부(322)를 연결한다.
안착패널(310)은 레일부재(32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착패널(310)은 서랍레일(R)에 의해 제1 레일부(321) 및 제2 레일부(32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기전동장치(400)는 수납부재(300)들을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감기전동장치(400;wrapping transmission)는 벨트, 로프, 체인 등과 같은 인장력에만 저항할 수 있는 것을 두 축 사이에 감아서 회전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감기전동장치(400)는 축에 장치된 풀리(pulley)에 벨트, 로프 또는 체인을 감아 건다. 거는 것의 종류에 따라 벨트전동, 로프전동, 체인전동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기전동장치(400)는 벨트전동장치로 도시되었으나, 로프전동장치 또는 체인전동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기전동장치(400)는 한 쌍의 제1 풀리(410), 제1 벨트(420), 한 쌍의 제2 풀리(430), 제2 벨트(440), 모터(450), 연결바(460), 슬리브(470) 및 연결부재(48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풀리(410)는 하우징(100)의 앞쪽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풀리(410)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제1 풀리(410)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 벨트(420)는 한 쌍의 제1 풀리(410)에 감긴다.
제1 벨트(420)는 타이밍 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풀리(410)에 기어처럼 등간격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벨트(420)의 내측에 제1 풀리(410)의 홈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같은 간격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풀리(430)는 하우징(100)의 앞쪽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2 풀리(430)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제2 풀리(430)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다. 제2 벨트(440)는 한 쌍의 제2 풀리(430)에 감긴다.
제2 벨트(440)는 타이밍 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풀리(430)에 기어처럼 등간격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벨트(440)의 내측에 제2 풀리(430)의 홈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같은 간격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위쪽 제1 풀리(410) 및 위쪽 제2 풀리(430)의 회전축은 동일선상(이하 '제1 동일선상')에 구비된다. 제1 동일선상은 전후방향과 평행하다.
아래쪽 제1 풀리(410) 및 아래쪽 제2 풀리(430)의 회전축은 동일선상(이하 '제2 동일선상')에 구비된다. 제2 동일선상은 전후방향과 평행하다. 따라서 제1 벨트(420)와 제2 벨트(440)는 동일한 길이를 형성한다.
모터(450)는 제1 풀리(410) 및 제2 풀리(430)를 회전시킨다. 모터(450)는 제1 모터(451) 및 제2 모터(452)를 포함한다.
제1 모터(451)는 제1 풀리(41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모터(451)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제1 풀리(4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모터(452)는 제2 풀리(43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모터(452)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제2 풀리(43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모터(451)와 제2 모터(452)를 동기화(synchronization)하여 제어한다. 따라서 모터(450) 작동시 제1 벨트(420)와 제2 벨트(440)는 동일 속도로 이동한다.
제1 모터(451) 및 제2 모터(452)는 타이밍 모터(timing 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모터(451) 및 제2 모터(452)의 회전수를 정밀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460)는 제1 벨트(420)와 제2 벨트(440)를 연결한다. 따라서 모터(450)가 회전하면, 연결바(460)는 연결바(460)는 제1 벨트(420) 및 제2 벨트(440)에 의해 순환 가능하게 이동한다.
연결바(460)는 길이방향이 전후방향과 나란하다. 따라서 제1 벨트(420) 및 제2 벨트(440)가 순환하더라도, 연결바(460)는 길이방향이 전후방향과 나란한 형태를 유지한다.
연결바(460)는 복수로 구비된다. 복수의 연결바(460)는 제1 벨트(420) 및 제2 벨트(44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연결바(460)는 원통형 바(bar) 형태를 형성한다.
슬리브(470)는 원형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슬리브(470)는 연결바(460)마다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재(480)는 레일부재(320)를 슬리브(470)에 연결한다. 수납부재(300)는 연결부재(480)에 의해 슬리브(470)에 매달린다.
수납부재(300) 및 연결부재(480)의 무게중심은 슬리브(470)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수납부재(300)는 자체 중량에 의해 슬리브(470)의 아래에 위치한다. 수납부재(300)가 슬리브(470)에 매달린 상태에서 안착패널(310)의 상면은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재(300)는 아래쪽 제1 풀리(410)의 아래에 위치할 때 개구(102)의 바로 뒤에 위치한다. 즉, 연결바(460)가 제1 벨트(420)의 최하단에 위치할 때, 수납부재(300)는 개구(102)에 가장 인접한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 개구(102)에 가장 인접한 상태가 된 수납부재(300)를 최하단 수납부재(300)로 지칭하고자 한다. 또한, 이하에서 최하단 수납부재(300)의 안착패널(310)을 최하단 안착패널(310)로 지칭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800)에서 수납부재(30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500)는 선택된 수납부재(300)가 개구(102)에 인접하도록 즉, 선택된 수납부재(300)가 개구(102)의 바로 뒤에 위치하도록 감기전동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 안착패널(310)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구(10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안착패널(310)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구(102)를 통해 최하단 안착패널(310)을 잡고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하단 안착패널(310)에 신발(1)을 올려놓고 나서, 최하단 안착패널(310)을 뒤쪽(개구(102)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최하단 안착패널(310)로부터 신발(1)을 인출하고 나서, 최하단 안착패널(310)을 뒤쪽(개구(102)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램프(600)는 하우징(100)의 좌우측면에 설치된다. 살균램프(600)는 복수로 구비된다. 살균램프(600)는 수납부재(30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살균램프(600)들은 수납부재(300)들의 상면을 향해 자외선(UV)을 조사한다. 살균램프(600)는 파장 260㎚ 부근의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재(300)에 수납된 신발(1)들은 자외선 살균(ultraviolet sterilization)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가 개구(10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200)는 개구(102)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 신발장(10)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어(200) 및 개폐기어(G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에 제1 래크(210)가 형성된다. 제1 래크(210)는 도어(2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수납공간에 개폐모터(M1)가 구비된다. 개폐모터(M1)는 제1 래크(210)에 맞물린 개폐기어(G1)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800)에서 수납부재(30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500)는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개폐모터(M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하단 안착패널(310)을 뒤쪽(개구(102)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나서 디스플레이 패널(800)을 터치하면, 제어부(500)는 도어(200)가 폐쇄되도록 개폐모터(M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 신발장(10)의 투시도로서, 덕트(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700)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덕트(700)는 절곡된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덕트(700)는 길이방향 양단에 입구(701)와 출구(702)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제1 흡입구(103) 및 배출구(104)가 형성된다.
제1 흡입구(103)는 커버(120) 전면의 하부에 형성된다. 배출구(104)는 커버(120) 상면에 형성된다. 덕트(700)의 입구(701)는 제1 흡입구(103)에 위치한다. 턱트의 출구(702)는 배출구(104)에 위치한다. 덕트(700)는 제1 흡입구(103)와 배출구(104) 사이에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덕트(700)의 출구(702)에 배기관(P)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배기관(P)의 타단은 스마트 신발장(10)이 설치된 건물의 외부에 배치된다.
덕트(700) 내부에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팬(F)이 구비된다. 팬(F)이 회전하면, 입구(701) 측 공기가 출구(702)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마트 신발장(10) 앞쪽 바닥의 먼지가 건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700)에 수용공간(101)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구(703)가 형성된다. 제2 흡입구(703)는 덕트(70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다. 제2 흡입구(703)는 개구(102)에 인접한 수납부재(300) 즉, 최하단 수납부재(300)의 안착패널(310) 바로 옆에 위치한다.
팬(F)이 회전하면, 제2 흡입구(703) 측 공기가 출구(702)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최하단 수납부재(300)의 안착패널(31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발생한 먼지가 건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주기적으로 일정시간 팬(F)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0)는 도어(200)가 개폐될 때마다 일정시간 팬(F)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스마트 신발장(10)의 디스플레이 패널(800) 및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800)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물리적인 버튼이 없이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패널(800)을 터치해 조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수납부재(300) 및 신발(1)의 정보를 입출력한다.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수납부재(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수납부재(300)에 수납된 신발(1)의 위치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발(1)을 수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800)에서 수납부재(30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800)에 신발(1) 종류 및/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디스플레이 패널(800)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감기전동장치(400)를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모터(450)의 회전수 제어를 통해 수납부재(300)의 위치를 정밀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발(1)을 인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800)에 신발(1) 위치, 신발(1) 종류 및/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신발(1) 위치, 신발(1) 종류 및/또는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수납부재(300)가 개구(102)의 바로 뒤에 위치하도록 감기전동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에 제어부(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2)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근거리 무선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을 통해 제어부(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2) 화면에 디스플레이 패널(800)과 동일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2)는 수납부재(300) 및 신발(1)의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2) 화면에 촬영, 입력, 제거, 투입, 인출, 설정 등의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수용공간(101)에 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버튼을 누르면, 카메라가 최하단 수납부재(300)에 수납된 신발(1)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패널(800)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버튼을 누르고, 최하단 수납부재(300)에 수납된 신발(1)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거버튼을 누르고, 수납부재(300) 및 신발(1)의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투입버튼을 누르면, 제어부(500)는 신발(1)을 수납하지 않은 수납부재(300)가 개구(102)의 바로 뒤에 위치하도록 감기전동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출버튼을 누르면, 제어부(500)는 비밀번호 입력창을 출력할수 있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되는 신발(1)을 수납하는 수납부재(300)가 개구(102)의 바로 뒤에 위치하도록 감기전동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버튼을 누르고, 그래픽, 음량, 무선통신 등 각종 설정을 수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장(10)의 하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커버(120)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패널(310)의 저면에 제2 래크(311)가 형성된다. 제2 래크(311)는 안착패널(3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수납공간에 인출모터(M2)가 구비된다. 인출모터(M2)는 개구(102)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인출모터(M2)는 인출기어(G2)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수납부재(300)들 중 어느 하나가 개구(102)에 인접함에 따라 제2 래크(311)가 인출기어(G2)의 상부에 맞물리게 된다. 인출기어(G2)는 서로 맞물린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선택된 수납부재(300)가 매달린 슬리브(470)가 제1 벨트(420)의 이동경로 최하단에 위치할 때, 최하단 안착패널(310)의 제2 래크(311)가 인출기어(G2)의 상부에 맞물리게 된다. 제어부(500)는 최하단 안착패널(310)이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인출모터(M2)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800)에서 수납부재(30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500)는 최하단 안착패널(310)이 개구(102)를 통해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인출모터(M2)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800)을 조작하면, 제어부(500)는 최하단 안착패널(310)이 뒤쪽(개구(102)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인출모터(M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100)이 신발(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1), 및 개구(102)를 형성하고, 신발(1)이 수납되는 수납부재(300)들 중 어느 하나가 개구(102)에 인접하도록 제어부(500)가 감기전동장치(400)를 제어함으로써, 열쇠 등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1)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신발(1)의 수납위치를 기억하지 않아도 신발(1)의 쉬운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램프(600)가 수납부재(300)의 상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덕트(700)가 제1 흡입구(103)와 배출구(104) 사이에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덕트(700)에 수용공간(101)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구(703)가 형성됨으로써, 보관된 신발(1)의 살균 및 먼지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장(10) 주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에 수납부재(300) 및 신발(1)의 정보를 입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800)이 구비되고, 제어부(500)는 디스플레이 패널(800)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감기전동장치(400)를 제어함으로써, 신발(1)이 신발장(10)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납부재(300)들 중 어느 하나가 개구(102)에 인접함에 따라 제2 래크(311)가 인출기어(G2)의 상부에 맞물리고, 안착패널(310)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어부(500)가 인출모터(M2)를 제어함으로써, 신발(1)이 신발장(10)에 자동으로 수납되고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신발장(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신발장
100 : 하우징 200 : 도어
101 : 수용공간 210 : 제1 래크
102 : 개구 M1 : 개폐모터
103 : 제1 흡입구 G1 : 개폐기어
104 : 배출구 400 : 감기전동장치
110 : 프레임 410 : 제1 풀리
111 : 하부프레임 420 : 제1 벨트
112 : 상부프레임 430 : 제2 풀리
113 : 세로프레임 440 : 제2 벨트
120 : 커버 450 : 모터
300 : 수납부재 451 : 제1 모터
310 : 안착패널 452 : 제2 모터
311 : 제2 래크 460 : 연결바
320 : 레일부재 470 : 슬리브
321 : 제1 레일부 480 : 연결부재
322 : 제2 레일부 500 : 제어부
323 : 연결부 600 : 살균램프
R : 서랍레일 700 : 덕트
M2 : 인출모터 701 : 입구
G2 : 인출기어 702 : 출구
800 : 디스플레이 패널 703 : 제2 흡입구
1 : 신발 F : 팬
2 : 단말기 P : 배기관

Claims (9)

  1. 신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신발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가 매달리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들을 승강시키는 감기전동장치; 및
    상기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감기전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신발이 안착되는 상면을 형성하는 안착패널; 및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고, 상기 안착패널이 상기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패널의 저면에 제2 래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인출기어를 회전시키는 인출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제2 래크가 상기 인출기어의 상부에 맞물리고, 상기 안착패널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출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전동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벨트가 감긴 한 쌍의 제1 풀리;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벨트가 감긴 한 쌍의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제1 벨트와 상기 제2 벨트를 연결하고, 상기 슬리브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상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제1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수납부재 및 상기 신발의 정보를 입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기 감기전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장.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래크가 형성된 도어; 및
    상기 제1 래크에 맞물린 개폐기어를 회전시키는 개폐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개폐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장.
KR1020220013036A 2022-01-28 2022-01-28 스마트 신발장 KR10266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36A KR102666570B1 (ko) 2022-01-28 2022-01-28 스마트 신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36A KR102666570B1 (ko) 2022-01-28 2022-01-28 스마트 신발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286A KR20230116286A (ko) 2023-08-04
KR102666570B1 true KR102666570B1 (ko) 2024-05-14

Family

ID=8756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036A KR102666570B1 (ko) 2022-01-28 2022-01-28 스마트 신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5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945A (ja) * 2000-02-07 2001-08-07 Akiji Matoba スリッパ循環殺菌装置
KR200388257Y1 (ko) * 2005-04-04 2005-06-29 신동조 위생 관리 보관 장치
CN109984471A (zh) * 2019-03-12 2019-07-09 广东天瞳友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鞋柜
CN111493538A (zh) * 2020-04-20 2020-08-07 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鞋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62B1 (ko) 1996-05-22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0143A (ko) * 2013-11-26 2015-06-03 이종연 신발보관장치
KR101799898B1 (ko) * 2015-12-29 2017-11-21 최환희 슬라이드 개폐식 음식물쓰레기 투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945A (ja) * 2000-02-07 2001-08-07 Akiji Matoba スリッパ循環殺菌装置
KR200388257Y1 (ko) * 2005-04-04 2005-06-29 신동조 위생 관리 보관 장치
CN109984471A (zh) * 2019-03-12 2019-07-09 广东天瞳友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鞋柜
CN111493538A (zh) * 2020-04-20 2020-08-07 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鞋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286A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2232B2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267351B1 (ko) 욕실관리기
CN111685496A (zh) 具有自动存取功能的智能鞋柜
CN109893253A (zh) 麻醉工具箱
KR102666570B1 (ko) 스마트 신발장
KR20200066875A (ko) 냉장고
JP2013248391A (ja) 冷蔵薬品キャビネット
CN211431636U (zh) 一种具有智能除湿的家用衣柜
CN112867902B (zh) 冰箱
KR102389874B1 (ko) 욕실관리기
CN110237288B (zh) 一种消毒柜
KR102623634B1 (ko) 스마트 신발장
KR200472201Y1 (ko) 사용이 편리한 데크오븐기
CN112641241A (zh) 一种智能鞋柜及其控制方法
JP2016022126A (ja) ショーケース
JP5282579B2 (ja) 自動販売機
CN208972935U (zh) 多功能方形橱柜侧架
CN110269406A (zh) 一种酒店用牙刷存储柜
CN113491388A (zh) 一种除异味衣柜
KR20200025396A (ko) 냉장고
US11865223B2 (en) Transactional currency sanitizer
CN114304909A (zh) 一种具备保护功能的防倾倒衣柜
ITRM940611A1 (it) Complesso di cassette di sicurezza
WO2008108685A1 (ru) Антресоль
GB2513335A (en) A laundry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