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276B1 - 혈관 확장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혈관 확장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276B1
KR102665276B1 KR1020220109910A KR20220109910A KR102665276B1 KR 102665276 B1 KR102665276 B1 KR 102665276B1 KR 1020220109910 A KR1020220109910 A KR 1020220109910A KR 20220109910 A KR20220109910 A KR 20220109910A KR 102665276 B1 KR102665276 B1 KR 10266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stent
crown
extens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30621A (ko
Inventor
박찬희
이정호
이현지
최은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0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276B1/ko
Publication of KR2024003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0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eander having a difference in amplitude along the b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혈관 내에 삽입되어 혈관을 확장시키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는, 중공 원통형상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링 형상을 이루어지고,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이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트럿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을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텐트에는 다수개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곡선형상의 크라운부와;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의 타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라운부를 기준으로 상기 크라운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크라운부에 연결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제2연장부의 일단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크라운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혈관 확장용 스텐트 { STENT }
본 발명은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혈관 내에 삽입되어 혈관을 확장시키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스텐트는 질병이나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하여 협착된 인체 혈관, 내강 등의 환부를 원래의 상태로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스텐트는 다양한 구조의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특정한 방법으로 감아서 둘레를 따라 피크부와 밸리부를 갖도록 형성한 원통 형상의 와이어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혈관 확장용 스텐트는 카테터에 의해 직경이 작게 압축된 상태에서 혈관에 삽입된 후, 카테터를 제거하면 원상태로 복원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는 카테터에 의해 직경이 작게 압축되는 비율이 다소 작고, 카테터의 제거시 신속하게 원상태로 복원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 10-2172976 등록특허 10-170885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은 방사력에 의해 압축 및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는, 중공 원통형상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링 형상을 이루어지고,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이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트럿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을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텐트에는 다수개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곡선형상의 크라운부와;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의 타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라운부를 기준으로 상기 크라운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크라운부에 연결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제2연장부의 일단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크라운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개의 상기 굴곡부는 상기 스트럿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럿에 반복하여 형성되어, 상기 크라운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는 상기 스트럿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스트럿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되되, 상기 크라운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제1크라운부와,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상기 제1크라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제2크라운부 및 제3크라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크라운부와 제2크라운부를 연결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크라운부와 제3크라운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은 미리 설정된 위상차에 의해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스트럿에 형성된 크라운부와 상기 제2스트럿에 형성된 크라운부를 서로 연결한다.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의 위상차는 10~15도이다.
상기 브릿지는 경사진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브릿지는 경사진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스트럿은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반복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피크부를 형성하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은 미리 설정된 위상차에 의해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스트럿의 제1피크부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타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스트럿의 제2피크부는 상기 브릿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브릿지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릿지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기 제1스트럿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스트럿의 제2지지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스트럿의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스트럿의 제1지지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크라운부는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브릿지와 상기 제1스트럿의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스트럿의 제1지지부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스트럿의 제2지지부에 연결된 제1스트럿의 제1지지부이며,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2스트럿의 제1지지부에 연결된 제2스트럿의 제2지지부이다.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의 위상차는 10~15도이고, 상기 브릿지의 곡률은 R0.3mm~R0.7mm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오메가 형상의 굴곡부에 의해 높은 방사력 즉 원주방향으로의 높은 압축력 및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스텐트는 스트럿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충분한 방사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압축시킬 때 스텐트를 최대한 압축시켜 혈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카테터의 분리시 압축되어 있던 스텐트가 신속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스트럿과 브릿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스트럿과 브릿지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시험결과치를 도시한 것.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스트럿과 브릿지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시험결과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10)과 브릿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럿(10)은 링 형상을 이루어져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스트럿(110)과 제2스트럿(120)이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반복하여 이격 배치된다.
상기 브릿지(2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1스트럿(110)과 제2스트럿(120)을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한다.
상기 스텐트에는 다수개의 굴곡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굴곡부(30)는 상기 스트럿(10)에 형성되어 있다.
다수개의 상기 굴곡부(30)는 상기 스트럿(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럿(10)에 반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트럿(10)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굴곡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부(31)와,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굴곡부(30)를 구성하는 상기 크라운부(31), 제1연장부(32) 및 제2연장부(33)는 상기 스트럿(10)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크라운부(31)는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연장부(32)는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31)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연장부(33)는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31)의 타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크라운부(31)를 기준으로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라운부(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크라운부(31a)와, 제2크라운부(31b)와, 제3크라운부(3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크라운부(31a)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크라운부(31b)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상기 제1크라운부(31a)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3크라운부(31c)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상기 제1크라운부(31a)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크라운부(31b)와 제3크라운부(31c)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크라운부(31a)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크라운부(31b)와 제3크라운부(31c)는 상기 제1크라운부(31a)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크라운부(31a), 제2크라운부(31b) 및 제3크라운부(31c)는 그 돌출되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 그 형상은 동일하다.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연장부(32)는 상기 제1크라운부(31a)와 제2크라운부(31b)를 연결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2연장부(33)는 상기 제1크라운부(31a)와 제3크라운부(31c)를 연결한다.
상기 크라운부(31)를 기준으로 상기 크라운부(31)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제1연장부(32)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33)의 타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크라운부(31)에 연결된 상기 제1연장부(32)의 일단과 제2연장부(33)의 일단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부(31)는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굴곡부(30)는 대략 오메가 형상(Ω)을 이루게 된다.
위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굴곡부(30)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럿(10)에 반복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110)과 제2스트럿(120)은 미리 설정된 위상차에 의해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이때,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110)과 제2스트럿(120)의 위상차는 10~15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위상차라 함은, 상기 제1스트럿(110)과 제2스트럿(120)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트럿(110)에 대하여 상기 제2스트럿(120)이 회전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브릿지(20)는 상기 제1스트럿(110)에 형성된 크라운부(31)와 상기 제2스트럿(120)에 형성된 크라운부(31)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브릿지(20)는 경사진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스텐트는, 높은 방사력 즉 원주방향으로의 높은 압축력 및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스텐트는 스트럿(10)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충분한 방사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압축시킬 때 스텐트를 최대한 압축시켜 혈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카테터의 분리시 압축되어 있던 스텐트가 신속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생분해성 스텐트 뿐만 아니라 분해되지 않는 재질의 스텐트에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아래 [표 1]과 같은 조건에 의해 디자인하여 제조하였다.

- 스텐트의 직경 : 2.75㎜
- 스텐트의 좌우방향 길이 : 23.1597㎜
- 스텐트의 전개시 총 면적 : 55.9291㎟
- 스텐트의 전개시 상하방향의 길이(높이) : 8.6394mm
- 스트럿(10)의 두께 : 110㎛
- 스트럿(10)의 너비 : 160㎛
- 브릿지(20)의 너비 : 130㎛
- 브릿지(20)의 각도 : 20도
- 이웃한 스트럿(10)의 위상차 : 12.5도
- 1개의 스트럿(10)에서 한쪽 방향에 형성되는 크라운부(31)의 수 : 6개
- 1개의 스트럿(10)에 형성되는 크라운부(31)의 총 수 : 12개
- 스트럿(10)의 총 수 : 18개
제1실시예에서는 타원형의 오메가(Ω) 구조를 좌우방향으로 각각 90°회전시킨 형상으로 곡률 반영을 하였고, 타원형 구조를 적용하여 기존 스텐트 대비 높은 방사력을 갖도록 디자인하였다.
압축 및 확장시 스트럿(10)과 스트럿(10) 또는 스트럿(10)과 브릿지(20)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응력집중으로 스텐트가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웃한 스트럿(10)마다 12.5°의 위상차를 두었다.
압축 또는 팽창으로 인한 스텐트의 구조 변형시, 스텐트의 구조 변형이 쉽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브릿지(20)의 너비는 130㎛로 하였고, 브릿지(20) 각도는 20°으로 디자인하였다.
위와 같은 형상에 의한 제1실시예의 스텐트는, 도 8의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유상태의 직경이 2.75mm에서 최대 압축되었을때 직경이 1.84mm로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스텐트의 압축시 하나의 스트럿(10)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30) 상호간의 접촉이 발생하는 직경(자가 접촉 발생 직경)은 1.91mm이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시험결과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20)가 경사진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브릿지(20)는 R0.1mm~R0.3mm의 곡률을 갖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아래 [표 2]와 같은 조건에 의해 디자인하여 제조하였다.

- 스텐트의 직경 : 2.75㎜
- 스텐트의 좌우방향 길이 : 23.1597㎜
- 스텐트의 전개시 총 면적 : 55.9291㎟
- 스텐트의 전개시 상하방향의 길이(높이) : 8.6394mm
- 스트럿(10)의 두께 : 110㎛
- 스트럿(10)의 너비 : 160㎛
- 브릿지(20)의 너비 : 130㎛
- 브릿지(20)의 각도 : 20도
- 이웃한 스트럿(10)의 위상차 : 12.5도
- 1개의 스트럿(10)에서 한쪽 방향에 형성되는 크라운부(31)의 수 : 6개
- 1개의 스트럿(10)에 형성되는 크라운부(31)의 총 수 : 12개
- 스트럿(10)의 총 수 : 18개
- 브릿지(20)의 곡률 : R0.2mm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브릿지(20)의 곡률이 R0.2mm라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조건은 모두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위와 같은 형상에 의한 제2실시예의 스텐트는, 도 8의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유상태의 직경이 2.75mm에서 최대 압축되었을때 직경이 1.87mm로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스텐트의 압축시 하나의 스트럿(10)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30) 상호간의 접촉이 발생하는 직경(자가 접촉 발생 직경)은 1.95mm이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전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스트럿과 브릿지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혈관 확장용 스텐트의 시험결과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럿(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반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스트럿(10)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피크부를 형성된다.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110)과 제2스트럿(120)은 미리 설정된 위상차에 의해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이때,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110)과 제2스트럿(120)의 위상차는 10~15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스트럿(110)의 제1피크부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타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스트럿(120)의 제2피크부는 상기 브릿지(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스트럿(110)의 제1피크부와 상기 제2스트럿(120)의 제2피크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면서 상기 브릿지(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브릿지(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릿지(20)의 곡률은 R0.3mm~R0.7mm임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20)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기 제1스트럿(110)의 제1지지부(111)와 상기 제2스트럿(120)의 제2지지부(1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스트럿(110)의 제2지지부(112)와 상기 제2스트럿(120)의 제1지지부(1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110)과 제2스트럿(120)이 미리 설정된 위상차에 의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라운부(31)는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브릿지(20)와 상기 제1스트럿(110)의 제2지지부(112)와 상기 제2스트럿(120)의 제1지지부(121)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32)는 상기 제1스트럿(110)의 제2지지부(112)에 연결된 제1스트럿(110)의 제1지지부(111)가 된다.
상기 제2연장부(33)는 상기 제2스트럿(120)의 제1지지부(121)에 연결된 제2스트럿(120)의 제2지지부(122)가 된다.
위와 같은 형상에 의해 제3실시예에서는 스텐트를 전개한 상태에서, 오메가 형상의 상기 굴곡부(30)가 좌우방향이 아닌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상기 굴곡부(30)를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색깔을 넣어 표시하였다.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아래 [표 3]과 같은 조건에 의해 디자인하여 제조하였다.

- 스텐트의 직경 : 2.75㎜
- 스텐트의 좌우방향 길이 : 18.0185㎜
- 스텐트의 전개시 총 면적 : 39.0412㎟
- 스텐트의 전개시 상하방향의 길이(높이) : 8.6249mm
- 스트럿(10)의 두께 : 110㎛
- 스트럿(10)의 너비 : 160㎛
- 브릿지(20)의 너비 : 130㎛
- 브릿지(20)의 각도 : 25도
- 이웃한 스트럿(10)의 위상차 : 12.5도
- 1개의 스트럿(10)에서 한쪽 방향에 형성되는 피크부 수 : 6개
- 1개의 스트럿(10)에 형성되는 피크부의 총 수 : 12개
- 스트럿(10)의 총 수 : 18개
- 브릿지(20)의 곡률 : R0.5mm
제3실시예에서는 타원형의 오메가(Ω) 구조를 좌우방향으로 각각 90°회전시킨 형상으로 곡률 반영을 하였고, 타원형 구조를 적용하여 기존 스텐트 대비 높은 방사력을 갖도록 디자인하였다.
압축 및 확장시 스트럿(10)과 스트럿(10) 또는 스트럿(10)과 브릿지(20)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응력집중으로 스텐트가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웃한 스트럿(10)마다 12.5°의 위상차를 두었다.
제3실시예의 스텐트는 타원형 구조를 곡률에 적용하여, 스트럿(10)-브릿지(20)-스트럿이 오메가(Ω)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존 스텐트 대비 높은 방사력을 갖도록 디자인하였다.
압축 및 확장시 스트럿(10)과 스트럿(10) 또는 스트럿(10)과 브릿지(20)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응력집중으로 스텐트가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스트럿(10)마다 12.5°의 위상차를 두었다.
압축 또는 팽창으로 인한 스텐트의 구조 변형시, 스텐트의 구조 변형이 쉽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브릿지(20)의 너비는 130㎛로 하였고, 브릿지(20) 각도는 25°, 브릿지(20)의 곡률은 R0.5mm로 디자인하였다.
위와 같은 형상에 의한 제3실시예의 스텐트는, 도 8의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유상태의 직경이 2.75mm에서 최대 압축되었을때 직경이 1.53mm로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스텐트의 압축시 하나의 스트럿(10)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30) 상호간의 접촉이 발생하는 직경(자가 접촉 발생 직경)은 1.55mm이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혈관 확장용 스텐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스트럿, 11 : 제1지지부, 12 : 제2지지부
110 : 제1스트럿, 111 : 제1지지부, 112 : 제2지지부,
120 : 제2스트럿, 121 : 제1지지부, 122 : 제2지지부,
20 : 브릿지,
30 : 굴곡부, 31 : 크라운부, 31a : 제1크라운부, 31b : 제2크라운부,
31c : 제3크라운부, 32 : 제1연장부, 33 : 제2연장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중공 원통형상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링 형상을 이루어지고,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이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트럿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을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텐트에는 다수개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곡선형상의 크라운부와;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의 일측에서 굴곡됨이 없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의 타측에서 굴곡됨이 없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라운부를 기준으로 상기 크라운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크라운부에 연결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제2연장부의 일단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크라운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은 그 형상이 동일하고, 다수개의 상기 크라운부는 그 형상 및 크기가 모두 동일하며,
    다수개의 상기 굴곡부는 상기 스트럿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럿에 반복하여 형성되어, 상기 크라운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는 상기 스트럿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스트럿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크라운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제1크라운부와,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상기 제1크라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상기 제1크라운부와 그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제2크라운부 및 제3크라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는 굴곡됨이 없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연장부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기 제1크라운부와 제2크라운부를 연결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2연장부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기 제1크라운부와 제3크라운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은 미리 설정된 위상차에 의해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스트럿에 형성된 크라운부와 상기 제2스트럿에 형성된 크라운부를 서로 연결하며,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의 위상차는 10~1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
  4. 삭제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경사진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
  6.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경사진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
  7. 중공 원통형상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링 형상을 이루어지고,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이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트럿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을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텐트에는 다수개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곡선형상의 크라운부와;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의 일측에서 굴곡됨이 없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크라운부의 타측에서 굴곡됨이 없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라운부를 기준으로 상기 크라운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크라운부에 연결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제2연장부의 일단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크라운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은 그 형상이 동일하고, 다수개의 상기 크라운부는 그 형상 및 크기가 모두 동일하며,
    상기 스트럿은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반복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피크부를 형성하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은 미리 설정된 위상차에 의해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스트럿의 제1피크부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중 타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스트럿의 제2피크부는 상기 브릿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브릿지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원주 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호형상의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브릿지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기 제1스트럿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스트럿의 제2지지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스트럿의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스트럿의 제1지지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크라운부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브릿지와 경사진 직선형상의 상기 제1스트럿의 제2지지부와 경사진 직선형상의 상기 제2스트럿의 제1지지부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스트럿의 제2지지부에 연결된 경사진 직선형상의 제1스트럿의 제1지지부이며,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2스트럿의 제1지지부에 연결된 경사진 직선형상의 제2스트럿의 제2지지부이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스트럿과 제2스트럿의 위상차는 10~15도이고,
    상기 브릿지의 곡률은 R0.3mm~R0.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
  8. 삭제
KR1020220109910A 2022-08-31 2022-08-31 혈관 확장용 스텐트 KR10266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910A KR102665276B1 (ko) 2022-08-31 2022-08-31 혈관 확장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910A KR102665276B1 (ko) 2022-08-31 2022-08-31 혈관 확장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621A KR20240030621A (ko) 2024-03-07
KR102665276B1 true KR102665276B1 (ko) 2024-05-13

Family

ID=9027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910A KR102665276B1 (ko) 2022-08-31 2022-08-31 혈관 확장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2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3300A (ja) 2005-10-31 2009-04-0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ステント構成
US20100331961A1 (en) 2009-06-25 2010-12-30 Nils Goetzen Stent with improved stent design
US20120078346A1 (en) * 1995-03-01 2012-03-29 Brown Brian J Longitudinally flexible expandable stent
KR101708859B1 (ko) 2015-03-25 2017-02-22 주식회사 제노스 스텐트
KR102172976B1 (ko) 2018-11-09 2020-11-03 주식회사 제노스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8346A1 (en) * 1995-03-01 2012-03-29 Brown Brian J Longitudinally flexible expandable stent
JP2009513300A (ja) 2005-10-31 2009-04-0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ステント構成
US20100331961A1 (en) 2009-06-25 2010-12-30 Nils Goetzen Stent with improved stent design
KR101708859B1 (ko) 2015-03-25 2017-02-22 주식회사 제노스 스텐트
KR102172976B1 (ko) 2018-11-09 2020-11-03 주식회사 제노스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621A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7527B2 (en) Stent with dual support structure
JP4190729B2 (ja) 水平方向拡張支柱および交差装着式対角コネクタから構成した管状ステント
US6358274B1 (en) Stent
JP5005542B2 (ja) 拡張型ステント用に最適化されたフレックスリンク
KR100325267B1 (ko) 관절성 스텐트
EP1621226B1 (en) Extendable soft stent with excellent follow-up capability to blood vessel
CA2881760A1 (en) Balloon-expandable, self-expanding, vascular prosthesis connecting stent
US20110230954A1 (en) Stent device having focal elevating elements for minimal surface area contact with lumen walls
US20040054400A1 (en) Conformable vascular stent
CN104540477A (zh) 节段式支架设计
WO2011153110A2 (en) Stent device having focal elevating elements for minimal surface area contact with lumen walls
JP2009528112A (ja) 支持を最適化する可変形体を有するステント及び該ステントの作成方法
US7323007B2 (en) Soft stent with excellent follow-up capability to blood vessel
JP5042417B2 (ja) 長さ方向の可撓性と半径方向の剛性を増強した低プロフィール放射線不透過性ステント
KR102665276B1 (ko) 혈관 확장용 스텐트
CN114870213A (zh) 球囊约束支架及球囊导管
CN111789705A (zh) 支架
WO2017124375A1 (zh) 一种医用自膨胀支架
CN213156740U (zh) 支架
CN218220800U (zh) 球囊约束支架及球囊导管
CN109925104B (zh) 新型桁架式人体管道支架
WO2006035669A1 (ja) 血管追従性・拡張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RU2342104C2 (ru) Расширяющийся гибкий стент,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введения в кровеносные сосуды
KR100542628B1 (ko) 혈관용 스텐트
CN111789704A (zh) 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