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122B1 -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122B1
KR102665122B1 KR1020210099374A KR20210099374A KR102665122B1 KR 102665122 B1 KR102665122 B1 KR 102665122B1 KR 1020210099374 A KR1020210099374 A KR 1020210099374A KR 20210099374 A KR20210099374 A KR 20210099374A KR 102665122 B1 KR102665122 B1 KR 10266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mesh
excavator
hoo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965A (ko
Inventor
소장순
조선덕
Original Assignee
장형산업개발(주)
조선덕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산업개발(주), 조선덕 filed Critical 장형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21009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1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에 과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착기용 통상의 버킷에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그물망을 갖는 그물망 버킷과, 상기 그물망 버킷에 선택적으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진동자 및, 상기 그물망 버킷이 굴착기의 암 단부에 연결되되 그물망 버킷으로 토사를 포함하는 골재나 건설폐기물 등을 파 올린 상태에서만 진동자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그물망 버킷에만 전달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유닛으로 마련함으로써 굴착기용 그물망 버킷으로 토사나 골재 등을 퍼 올린 상태에서 그물망 버킷을 진동시켜 소정사이즈 이하의 골재만을 분리 선별하고자 하는 굴착기분야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Bucket screen device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착기용 그물망 버킷으로 토사나 골재 등을 퍼 올린 상태에서 그물망 버킷에만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소정사이즈 이하의 골재만을 통과시켜 분리 선별할 수 있는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착기는 포클레인(Poclain), 백호(backhoe)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땅을 파내는 굴착작업은 물론 건물을 해체하거나 암반을 쪼개는 파쇄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이다. 이러한 굴착기는 붐과 연결된 암의 단부에 버킷을 장착한 경우 땅을 파냄은 물론 건축폐기물이나 골재 등을 퍼 올리기도 하고 지반을 다지기도 한다.
이러한 굴착기의 버킷에 토사나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7883호(이하, '문헌1'이라 약칭함)에 제시되어 있다. 문헌1은 포클레인의 암에 그물망으로 된 통형의 본체가 마련되되 상기 통형의 본체가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되게 마련된 것인바, 포클레인의 버킷에 해당하는 통형의 본체로 건설폐기물이나 토사 등을 퍼 올린 상태에서 본체를 구동수단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소정사이즈 이하의 골재나 토사를 분리 선별해 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문헌1에 있어서는, 포클레인의 버킷이 통형의 본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구조적인 특성상 건설폐기물이나 토사 등을 퍼 올림이 원활하지 못하고, 통형의 본체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폐단을 포함하고 있다.
(문헌1) KR 10-0807883 B1 (2008.02.20.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기존의 버킷을 그물망이 구비된 그물망 버킷으로 마련하고 그물망 버킷에 진동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굴착기용 그물망 버킷으로 토사나 골재 등을 퍼 올린 상태에서 그물망 버킷만을 집중적으로 진동시켜 소정사이즈 이하의 골재만을 분리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는 굴착기용 통상의 버킷에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그물망을 갖는 그물망 버킷과, 상기 그물망 버킷에 선택적으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진동자 및, 상기 그물망 버킷이 굴착기의 암 단부에 연결되되 그물망 버킷으로 토사를 포함하는 골재나 건설폐기물 등을 파 올린 상태에서만 진동자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집중적으로 그물망 버킷에만 전달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유닛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유닛은 그물망 버킷의 상단전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되 상단에 수평플랜지를 갖고 중간이 후크 핀으로 연결된 2개의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플랜지에 각각 방진고무를 통해 대칭되게 연결되는 2개의 앵글타입 부재; 2개의 앵글타입 부재 상단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며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평행하게 제2 및 제3브래킷이 마련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제3브래킷에 힌지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작후크 및; 상기 동작후크의 회동으로 인하여 후크 핀에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연결부재의 판재에서 동작후크의 상단과 연결된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진고무의 유동범위 내에서 연결부재와 제1브래킷이 밀착 내지 이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의 판재 하면엔 선단과 후단에 블록받침이 마련되고 블록받침 하부위치의 제1브래킷의 수평플랜지에 각각의 블록받침을 수용하는 받침홀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물망 버킷은 입구가 개방된 뼈대형상의 버킷몸체에서 그물망을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물망은 하나의 단일그물망으로 마련하거나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그물망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분할그물망의 경우는 버킷몸체의 바닥에 마련되는 바닥그물망과, 상기 버킷몸체의 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2개의 측면그물망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버킷을 그물망이 구비된 그물망 버킷으로 마련하고 그물망 버킷에 진동자와 연결유닛을 마련함으로써 굴착기에 그물망 버킷을 장착하여 토사나 골재 등을 퍼 올린 후 그물망 버킷이 연결유닛의 방진고무에 매달린 상태에서 집중적으로 그물망 버킷만을 진동시켜 소정사이즈 이하의 골재만을 분리 선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를 굴착기의 암에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를 그물망 버킷과 연결유닛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에서 그물망 버킷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에서 연결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에서 연결유닛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잘라 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에서 그물망 버킷의 진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그물망(120)을 갖는 그물망 버킷(100)과, 상기 그물망 버킷(100)에 선택적으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진동자(200) 및, 굴착기의 암(300) 단부에 4절 링크방식으로 그물망 버킷(100)을 탈착할 수 있도록 그물망 버킷(100)에 장착되는 연결유닛(400)을 포함하여 마련된다.
상기 굴착기의 암(300) 단부에는 연결유닛(400)과 함께 4절 링크방식을 이루되도록 2개의 링크(320, 340)가 마련되고 상기 링크(320, 340)를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암(300)의 상측과 링크(320)의 한쪽끝단에 이르기까지 유압실린더(31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그물망 버킷(100)은 그물망 없이 입구가 개방된 버킷몸체(110)에 다수의 통공을 천공한 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으나, 입구가 개방된 뼈대형상의 버킷몸체(110)에서 그물망(120)을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물망 버킷(100)의 그물망(120)은 하나의 단일그물망으로 마련하거나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그물망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그물망(120)은 다양한 통공사이즈로 마련함에 따른 그물망(120)의 제작은 물론이고 버킷몸체(110)와의 교체를 감안하여 분할그물망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할그물망으로 마련하는 경우, 버킷몸체(110)의 바닥에 마련되는 바닥그물망(122)과, 상기 버킷몸체(110)의 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2개의 측면그물망(124)으로 마련된다.
상기 진동자(200)는 굴착기의 암(300) 단부에 이르기까지 연결된 유압라인의 유압유체에 의해 구동되는 통상의 유압모터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에 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됨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편심추가 마련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자(200)는 연결유닛(400) 전방의 버킷몸체(110)에 마련된 것으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버킷몸체(110)의 양쪽측면에 각각 마련하여 진동 기능을 최대화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유닛(400)은 그물망 버킷(100)으로 토사를 포함하는 골재나 건설폐기물 등을 파 올린 상태에서만 진동자(2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그물망 버킷(100)에만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유닛(400)은 제1브래킷(410), 앵글타입 부재(420), 연결부재(430), 동작후크(440) 및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상기 연결유닛(400)의 제1브래킷(410)은 그물망 버킷(100)의 상단전면에 2개가 한 쌍을 이루고 평행하게 마련되되, 후크 핀(414)이 제1브래킷(410)의 중간을 횡단하여 마련되고 상단에 외측으로 구부러진 수평플랜지(412)가 마련된다.
상기 앵글타입 부재(420)는 상기 제1브래킷(410)의 수평플랜지(412)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게 각각 설치되되 수평플랜지(412)의 하면에 설치되는 방진고무(422)를 통해 대칭되게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재(430)는 2개의 앵글타입 부재(420) 상단에 복수의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는 것으로, 판재(431)의 상면과 하면에 평행하게 제2 및 제3브래킷(432,433)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판재(431)는 양단에 앵글타입 부재(420)와의 체결을 위한 직립플랜지(431a)가 마련되고, 상기 판재(431)의 하면후방부에는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의 한쪽을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브래킷(434)이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브래킷(434)의 전방엔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의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실린더 수용홀(431b)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431) 상면의 제2브래킷(432)에는 굴착기의 암(300) 단부와 연결함과 동시에 암(300)에서 유압실린더(310)를 통해 연결된 링크(320) 단부와 링크핀(330)으로 연결하기 위한 2개의 링크핀홀(435)이 천공된다. 상기 판재(431) 하면의 제3브래킷(433)에는 그 중간선단부의 힌지핀(442)에서 동작후크(44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442)의 하부선단에 제1브래킷(410)의 후크 핀(414)을 수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전면파지 홈(43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동작후크(440)는 연결부재(430)의 제3브래킷(433)에 힌지핀(442)을 통해 회동되도록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의 피스톤로드와 동작후크(440)의 상단이 연결 설치되며, 하단후면에 제1브래킷(410)의 후크 핀(414)을 수용하여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의 후면파지 홈(444)이 마련된다.
상기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는 동작후크(440)를 전후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재(431)하면의 실린더브래킷(434)과 동작후크(440)의 상단에 이르기까지 연결 설치되며, 이는 실린더의 한쪽에서 피스톤로드가 출몰되는 통상의 유압실린더이다.
상기 진동자(200)와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제어되도록 굴착기의 유압라인과 연결되되 상기 진동자(200)는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에 의해 동작후크(440)가 제1브래킷(410)의 후크 핀(414)에서 해제된 상태에서만 작동되게 제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30)를 이루는 판재(431) 하면의 선단과 후단에 블록받침(438)이 마련되고 상기 블록받침(438) 하부위치의 제1브래킷(410)의 수평플랜지(412)에 각각의 블록받침(438)을 수용하는 받침홀더(416)가 마련된다.
상기 블록받침(438)과 받침홀더(416)는 제1브래킷(410)의 후크 핀(414)을 제3브래킷(433)의 전면파지 홈(437)과 동작후크(440)의 후면파지 홈(444)이 감싸도록 파지하였을 때 방진고무(422)의 유동범위 내에서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기존 굴착기의 버킷과 같이 골재 등을 퍼 올리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3브래킷(433)의 전면파지 홈(437)과 동작후크(440)의 후면파지 홈(444)이 제1브래킷(410)의 후크 핀(414)을 파지하지 아니하고 해제되었을 때 그물망 버킷(100)의 자중에 의해 방진고무(422)의 유동범위 내에서 늘어지므로 블록받침(438)과 받침홀더(416)가 이격되게 된다. 다시 말해, 그물망 버킷(100)이 연결유닛(400)의 방진고무(422)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매달려있는 상태이다.
이때, 그물망 버킷(100)의 진동자(200)가 구동되면 방진고무(422) 상부의 연결부재(430)측으론 진동이 전달되지 아니하고 방진고무(422) 하부인 제1브래킷(410)과 그물망 버킷(100)만이 집중적으로 진동되게 되므로 그물망 버킷(100)내의 골재 또한 진동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그물망 버킷(100)내의 골재 중에서 그물망의 통공사이즈보다 작은 소정사이즈 이하의 골재만이 통과되므로 굴착기의 버킷으로도 골재를 분리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를 굴착기의 암에 연결 설치하고 본 발명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를 이용하여 골재의 파냄은 물론 분리 선별하는 과정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먼저, 그물망 버킷(100)의 연결유닛(400)에다가 굴착기를 이루는 암(300)의 단부와, 상기 암(300)에 유압실린더(310)를 통해 4절 링크방식으로 연결된 링크(320)의 한쪽끝단을 각각의 링크핀(330)으로 연결 설치한다.
이와 같이 연결유닛(400)을 통해 굴착기의 암(300) 단부에 그물망 버킷(100)을 연결 설치한 다음, 상기 그물망 버킷(100)과 연결유닛(400)에 마련된 진동자(200)와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를 굴착기의 유압라인과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연결한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는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로 유압이 공급되어 동작후크(440)와 제3브래킷(433)이 후크 핀(414)을 파지하게 되면 진동자(200)로는 유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이와 반대로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로 유압이 공급되지 아니하여 동작후크(440)와 제3브래킷(433)이 후크 핀(414)으로부터 해제되었을 때에만 진동자(200)로 유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위와 같이 굴착기를 이루는 암(300)의 단부에 연결유닛(400)을 통해 그물망 버킷(100)을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연결유닛(400)상의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를 작동시켜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의 피스톤로드가 돌출시킨다.
이렇게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의 피스톤로드가 돌출 신장되면 동작후크(440)가 힌지핀(442)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동작후크(440)의 후면파지 홈(444)이 제1브래킷(410)의 후크 핀(414)을 감싸 파지함과 동시에 연결부재(430)가 당겨짐으로 인하여 제3브래킷(433)의 전면파지 홈(437)이 제1브래킷(410)의 후크 핀(414)을 감싸 파지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30) 하면의 블록받침(438)이 제1브래킷(410)상의 받침홀더(416)에 안착되면서 밀착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그물망 버킷(100)과 연결유닛(400)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여서 굴착기를 이루는 암(30) 및 상기 암(300)의 유압실린더(310)를 조작함으로써 그물망 버킷(100)으로 골재를 포함하는 골재나 건설폐기물 등을 퍼 올릴 수 있다.
위와 같이 그물망 버킷(100)으로 골재를 포함하는 골재나 건설폐기물 등을 퍼 올린 상태에서 연결유닛(400)상의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를 다시 작동시켜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의 피스톤로드가 함몰되게 한다.
이렇게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450)의 피스톤로드가 함몰되어 들어가면 동작후크(440)가 당겨지면서 힌지핀(442)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제1브래킷(410)의 후크 핀(414)을 감싸 파지하였던 동작후크(440)의 후면파지 홈(444)과 제3브래킷(433)의 전면파지 홈(437)이 벌어지면서 해제되게 된다.
이때, 제1브래킷(410)상의 받침홀더(416)가 그물망 버킷(100)의 자중과 그 내부의 골재중량으로 인하여 연결부재(430) 하면의 블록받침(438)로부터 하강되어 이격되게 된다. 상기 받침홀더(416)와 블록받침(438)의 이격은 방진고무(422)의 유동범위 내에서 이격된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그물망 버킷(100)은 연결유닛(400)을 이루는 제1브래킷(410)과 앵글타입 주재(420 사이의 방진고무(422)들을 통해서만 매달린 상태이다.
이와 같이 받침홀더(416)와 블록받침(438)가 이격된 상태에서 그물망 버킷(100)상의 진동자(200)를 구동시키면 진동자(2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방진고무(422) 상부의 연결부재(430)측으론 진동이 전달되지 아니하고 방진고무(422) 하부인 제1브래킷(410)과 그물망 버킷(100)만이 집중적으로 진동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그물망 버킷(100)이 연결유닛(400)의 방진고무(422)들을 통해서만 자유롭게 매달려 있으므로 진동자(200)의 진동이 그물망 버킷(100)에만 집중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그물망 버킷(100)과 그 내부에 담긴 골재에만 집중적으로 진동되기 때문에 그물망 버킷(100)내의 골재 중에서 그물망의 통공사이즈보다 작은 소정사이즈 이하의 골재만이 통과되므로 굴착기의 버킷으로도 골재를 분리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건설폐기물로부터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기존의 재생골재 생산라인은 재생골재 생산라인의 1차 파쇄 및 선별라인에 일반적으로 토사를 포함하는 소정사이즈 이하의 잔골재가 무려 40~60%를 차지하고 있어 1차 파쇄 및 선별라인에 과부하의 주된 이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를 이용하여 토사를 포함하는 소정사이즈 이하의 잔골재를 1차적으로 분리 선별하는데 활용하면, 소정사이즈보다 굵은 골재만을 선별한 후 1차 파쇄 및 선별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1차 파쇄 및 선별라인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그물망 버킷(100)의 그물망(120)은 버킷몸체(110)에 장착된 기존의 떼어낸 후 분리 선별하고자 하는 작업 목적에 알맞은 통공사이즈를 갖는 바닥그물망(122)과 측면그물망(124)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애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100: 그물망 버킷 110: 버킷몸체
120: 그물망 200: 진동자
300: 암 310: 유압실린더
320: 링크 400: 연결유닛
410: 제1브래킷 412: 수평플랜지
414: 후크 핀 416: 받침홀더
420: 앵글타입 부재 422: 방진고무
430: 연결부재 431: 판재
432: 제2브래킷 433: 제3브래킷
437: 전면파지 홈 438: 블록받침
440: 동작후크 442: 힌지핀
444: 후면파지 홈 450: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

Claims (5)

  1. 굴착기용 통상의 버킷에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그물망을 갖는 그물망 버킷과, 상기 그물망 버킷에 선택적으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진동자 및, 상기 그물망 버킷이 굴착기의 암 단부에 연결되되 그물망 버킷으로 토사를 포함하는 골재나 건설폐기물 등을 파 올린 상태에서만 진동자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그물망 버킷에만 전달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유닛으로 마련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그물망 버킷의 상단전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되 상단에 수평플랜지를 갖고 중간이 후크 핀으로 연결된 2개의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플랜지에 각각 방진고무를 통해 대칭되게 연결되는 2개의 앵글타입 부재; 2개의 앵글타입 부재 상단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며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평행하게 제2 및 제3브래킷이 마련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제3브래킷에 힌지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작후크 및; 상기 동작후크의 회동으로 인하여 후크 핀에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연결부재의 판재에서 동작후크의 상단과 연결된 후크작동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고무의 유동범위 내에서 연결부재와 제1브래킷이 밀착 내지 이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의 판재 하면엔 선단과 후단에 블록받침이 마련되고 블록받침 하부위치의 제1브래킷의 수평플랜지에 각각의 블록받침을 수용하는 받침홀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버킷은 입구가 개방된 뼈대형상의 버킷몸체에서 그물망을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하나의 단일그물망이나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그물망으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KR1020210099374A 2021-07-28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KR10266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374A KR102665122B1 (ko) 2021-07-28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374A KR102665122B1 (ko) 2021-07-28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965A KR20230017965A (ko) 2023-02-07
KR102665122B1 true KR102665122B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7197A (ja) * 2006-06-06 2007-12-20 Masayuki Suzuki 油圧ショベル、油圧ショベル用バケット及び土砂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7197A (ja) * 2006-06-06 2007-12-20 Masayuki Suzuki 油圧ショベル、油圧ショベル用バケット及び土砂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8430A (en) Earth moving and compacting rig
US9644342B1 (en) Screening bucket system
JP2660664B2 (ja) 作業用自走車の掘削篩い選別装置
KR101030675B1 (ko) 굴삭기 버킷의 진동장치
JP5373041B2 (ja) 振動リッパー
CN205975755U (zh) 多功能挖掘机
CN106049592B (zh) 一种液压挖掘机机具偏转快换装置及液压挖掘机
KR100851430B1 (ko)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KR102665122B1 (ko)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US6237257B1 (en) Clam bucket for use in pipeline padding
CN201344034Y (zh) 一种多功能井下卧底机
KR20230017965A (ko) 굴착기용 버킷 스크린장치
CN211340943U (zh) 全回转式多用途挖掘机铲斗
JPH09177464A (ja) オールケーシング工法用竪孔掘削装置及び掘削物切断方法
JP2019094612A (ja) 油圧式掘削作業機械
CN108457314A (zh) 一种挖掘机挖掘斗
US3027027A (en) Combination pick and bucket attachment for excavating machines and the like
CN214692857U (zh) 装载机吊装辅助装置
JPS62268431A (ja) 浚渫作業機
CN207863027U (zh) 一种挖机
JPH0735881Y2 (ja) 掘削装置
GB2275628A (en) Materials breaking apparatus
FR2609296A3 (fr) Appareil de terrassement, remblaiement, compactage, battage, arrachage, decoupe d'enrobes a monter sur pelle hydraulique
KR101568678B1 (ko) 준설장치
KR20080072127A (ko)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