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833B1 -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 - Google Patents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833B1
KR102664833B1 KR1020210123627A KR20210123627A KR102664833B1 KR 102664833 B1 KR102664833 B1 KR 102664833B1 KR 1020210123627 A KR1020210123627 A KR 1020210123627A KR 20210123627 A KR20210123627 A KR 20210123627A KR 102664833 B1 KR102664833 B1 KR 10266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alation
nafamostat
formulation
salt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744A (ko
Inventor
박일영
박천웅
강지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1/0129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65860A1/ko
Publication of KR2022004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61K31/24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having an amino or nitr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흡입용 제제는 코를 통해 흡입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에 의한 비강 내의 일차 감염을 우수하게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고, 환자가 스스로 어렵지 않게 투여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이며 중증환자에게는 인공호흡기로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코로나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기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용 제제는 종래의 경구 주사투여 방법과 달리 흡입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고 또한, 에스터 분해 효소에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기질과 용출을 지연시키는 염을 더 포함함으로써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의 체내 분해를 우수하게 억제하여 작용부위에서 우수한 잔존량이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Formulation for nasal or oral inhalation product containing nafamostat or camostat}
나파모스타트(nafamostat) 또는 카모스타트(camostat)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흡입용 제제는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나파모스타트(nafamostat)는 1990년대 합성된 물질로써 (Nakayama et al. Synthesis and Structure-Activity Study of Protease Inhibitors. V. Chemical Modification of 6-Amidino-2-naphthyl 4-Guanidinobenzoate. Chem. Pharm. Bull. (1993) 41(1):117) 세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serine protease) 억제제이며, 급성 췌장염의 증상 완화와 투석 환자의 체외 투석기 및 체외막 산소보충기(ECMO, Extra 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를 사용할 때의, 혈액응고 방지 목적의 주사제로 한국과 일본에서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입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의 돌기 단백질(spike)이 인체 세포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는 ACE2(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에 먼저 결합되어야 하며, 이렇게 결합된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인체 세포의 외면에 존재하는 세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인 TMPRSS2(transmembrane protease serine subtype 2)가 작동하여 ACE2에 결합된 돌기단백질의 일부를 절단해주어야만 한다(M. Hoffmann et al. SARS-CoV-2 Cell Entry Depends on ACE2 and TMPRSS2 and Is Blocked by a Clinically Proven Protease Inhibitor. (2020) Cell 181:271).
나파모스타트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입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TMPRSS2의 단백 절단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메르스 바이러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세포 감염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2016년에 이미 보고되어 있으며(M. Yamamoto et al. Identification of Nafamostat as a Potent Inhibitor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S Protein-Mediated Membrane Fusion Using the Split-Protein-Based Cell-Cell Fusion Assay.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6) 60(11):6532), 2020년 5월에는 항바이러스 효과가 기대되는 24종의 약물 중, 코로나 바이러스의 폐세포 감염 억제 효과에 나파모스타트가 가장 우수하다는 한국의 파스퇴르 연구소의 연구결과가 보고되었고(M. Ko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antiviral efficacy of FDA-approved drugs against SARS-CoV-2 in human lung cells: Nafamostat is the most potent antiviral drug candidate. BioRxiv. (2020) https://doi.org/10.1101/2020.05.12.090035), 이를 뒷받침하는 나파모스타트의 효과가 독일의 연구진에 의하여 발표되었고(M. Hoffmann et al. Nafamostat Mesylate Blocks Activation of SARS-CoV-2: New Treatment Option for COVID-19.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20) 64(6):1), 2020년 6월 나파모스타트의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포 침입 억제 효과가 유사 약물인 카모스타트(camostat)에 비하여 10배 가량 우수하다는 연구결과가 일본의 연구진에 의해 연이어 발표되었다(M. Yamamoto et al. The Anticoagulant Nafamostat Potently Inhibits SARS-CoV-2 S Protein-Mediated Fusion in a Cell Fusion Assay System and Viral Infection In Vitro in a Cell-Type-Dependent Manner. Viruses (2020) 12(6):629). 현재까지 보고된 나파모스타트의 코로나-19 세포침입억제 IC50의 기하평균값은 2.26 nM (=1.22 ng/mL)에 이른다.
세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인 TMPRSS2는 코로나-19의 원인 바이러스인 SARS-CoV-2 뿐 아니라, 2003년 유행했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원인바이러스인 SRAS-CoV, 2015년 한국에서 문제가 되었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MERS-CoV 등의 여러 코로나 바이러스들과, 2009년 유행했던 신종플루의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를 침입할 때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는 코로나-19 뿐 아니라, 앞으로 다시 발생할지 모르는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과 언제 다시 유행할지 모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에도 유용한 대비책이 될 수 있다. 또한 나파모스타트의 타겟인 TMPRSS2는 바이러스가 아닌 인체의 효소이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나 백신에 비하여, 변이가 빠른 특성을 지닌 RNA 바이러스의 돌연변이에 의한 약효 상실의 가능성이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국내외에서 나타모스타트 “주사제”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치료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임상시험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나파모스타트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분자 구조의 가운데 에스터(ester) 결합이 있기 때문에, 여러 인체 조직에 다량 분포되어 있는 에스터 분해효소(carboxylesterase)에 매우 쉽게 분해되기 때문에, 정맥 주사로 투여할 경우 혈액 중의 반감기가 5분 내외로 대단히 짧고, 분해 산물은 TMPRSS2 억제효과가 없다(H. Nakae et al. Pharmacokinetics of Nafamostat Mesilate During Continuous Hemodiafiltration with a Polyacrylonitrile Membrane. Ther. Apher. Dial. (2003) 7(5):483, Y. Cao et al. A method for quantifying the unstable and highly polar drug nafamostat mesilate in human plasma with optimized solid-phase extraction and ESI-MS detection: more accurate evaluation for pharmacokinetic study. Anal. Bioanal. Chem. (2008) 391:1063). 또한, 분자의 양쪽에 존재하는 구아니딘 그룹 (pKa: 약 13)과 아미단 그룹 (pKa: 약 12)은 모두 체액 (pH 7.4)에서 수소화(protonation)되어 양전하는 띠는 이온성 물질이므로 생체막(membrane)을 통과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화학식 1]
나파모스타트의 짧은 반감기와 생체막 통과가 어려운 특성은 투석 환자의 체외 투석기 내에서의 혈액응고 방지 목적의 주사제로는 오히려 장점이지만, 코로나-19 치료제로서는 심각한 단점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질환 진행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일차 침입으로 증식되어 세포를 파괴하고 배출된 바이러스가 다시 다른 세포들에 재침입하는 위치, 즉 구강, 비강, 기관, 폐강의 세포들의 세포 외면(외부 공기와 맞닿는 쪽, 나파모스타트의 작용점인 TMPRSS2 가 존재하는 세포 외면)에 나파모스타트가 도달해야 되는데, 지금 시도되고 있는 정맥 내 점적주사로는 폐나 기도에 도달할 수 있는 약물량이 충분치 못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에 도달한다 해도 폐 조직에 존재하는 에스터 분해효소(D. Wang et al. Human carboxylesterases: a comprehensive review. Acta Pharm. Sin. B (2018) 8(5):699)를 효과적으로 피하고 다시 세포막을 통과하여 폐포 세포의 외면(폐강)까지 도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양액에 약액을 섞는 세포실험에서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였지만, 인체의 정맥을 통한 주사요법으로는 작용 부위(폐강)에 도달하기 어려워 원하는 만큼의 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
코로나-19에 감염되는 경우 20~30%의 환자는 무증상으로 지나가며, 유증상인 경우에도 대부분은 발열, 기침, 가래 등의 가벼운 경증에 그치지만, 일부의 환자들은 중증 폐렴으로 이행하고, 치명률은 대략 수%에 이른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포의 침입에 이용되는 ACE2와 TMPRSS2는 바이러스의 단백질이 아닌, 인체의 효소이며 호흡기 상피 세포의 외면에 다량 발현되고 있어서 바이러스의 타겟이 되고 있다(H. Xu et al. High expression of ACE2 receptor of 2019-nCoV on the epithelial cells of oral mucosa. Int. J. Oral Sci. (2020) 12(8):1, W. Sungnak et al. SARS-CoV-2 entry factors are highly expressed in nasal epithelial cells together with innate immune genes. Nat. Med. (2020) 26:681).
인체의 비강과 기관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침입수단으로 이용되는 ACE2와 TMPRSS2가 동시 발현되고 있는 섬모 세포(ciliated cell)와 분비 세포(secretory cell)가 다량 배열되어 있다. 폐포에는 제2형 폐포상피세포(alveoar epithelial type II)에 ACE2와 TMPRSS2가 동시 발현되고 있다(W. Sungnak et al. SARS-CoV-2 entry factors are highly expressed in nasal epithelial cells together with innate immune genes. Nat. Med. (2020) 26:681). 따라서 비말 등을 타고 침입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먼저 쉽게 접촉되는 비강 내의 세포를 일차 감염시키고, 감염된 세포 내에서 증식한 바이러스 입자들이 세포를 파괴하고 나와 분산되면서 다른 세포들을 계대 감염시켜가며 질환이 진행된다. 바이러스의 수가 너무 많거나 계대 감염이 기도를 따라 진행해가는 과정에서 환자의 면역이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밀리는 경우, 환자의 폐포까지 감염이 진행되게 되어 중증 질환으로 이행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1) 유증상의 경우 기침, 가래, 발열 등의 일반적인 상기도 감염증의 유사 증상이 먼저 나타난다는 사실과, 2) 유증상뿐 아니라 무증상인 경우에도 비인도도말물(콧물)과 구인도도말물(가래)에 바이러스 유전물질이 출현한다는 사실, 3) 그리고 시간이 지나며 중증으로 진행하는 경우 급격하게 혈중 산소포화도 저하로 이어지는 사실로 보아, 바이러스는 폐보다는 비강 등 상기도에 먼저 감염을 일으키고, 기관을 거쳐 하기도를 따라 감염이 계대하며 번져 내려가는 것으로 보이며, 폐포에 이르는 경우 급격히 중증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도 감염이 발생하여 감기 유사 증상이 나타나는 경증 환자의 비강을 포함, 하기도 및 폐포 외면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포 재감염을 차단하는 나파모스타트를 효과적으로 도달시키고, 도달한 나파모스타트를 에스터 분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로부터 일부 보호할 수 있으면, 코로나-19 질환의 진행을 유효하게 차단할 수 있으리라고 판단된다.
한편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는 순수한 물, 또는 0.5% 만니톨, 덱스트로즈 용액 등 이온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용액에는 약 25 mg/mL까지 용해된다. 하지만 0.9% 염화나트륨 등장액에는 반고형의 가역적 미세 분산물이 형성되어 용해도가 낮아지며, 황산이온, 인산이온 등의 2가, 3가 음이온이 포함된 용액에서는 침전이 형성되면서 용해도가 더욱 낮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음이온이 포함된 건조분말 흡입제는 주위의 음이온의 영향으로 용해 즉시 부분 침전이 생성됨으로서 용해도가 낮아지며, 용해도가 낮을수록 비강, 폐강 등 체액에서의 실제 농도가 낮아 독성의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아울러 용출이 지연됨으로 인해 항바이러스 효력의 지속성을 기대할 수 있다. 단, 음이온이 포함된 용액에서 침전된 침전의, 체액에의 용해도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유효농도보다 높아야 한다.
본 발명자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나파모스타트의 가수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무독성 물질과, 나파모스타트의 용출을 지연시켜 독성을 낮추고 지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염을 포함한 나파모스타트” 흡입을 통해서 비강과 기관, 폐강에 직접 투여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나파모스타트를 정맥주사하는 경우 체내에 존재하는 에스터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혈액 중 반감기가 5분 내외로 대단히 짧은데, 호흡기에도 에스터 분해효소가 존재하기 때문에(Gabriele et al. Presence and inter-individual variability of carboxylesterases (CES1 and CES2) in human lung. Biochemical pharmacol. (2018) 150:64) 나모스타트와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에스터 분해 효소에 의한 나파모스타트의 가수분해를 저해하는 물질과 용출지연제가 첨가된 건조 분말 형태의 나파모스타트를 흡입하여 비강과 기관, 폐강에 직접 투여하는 경우, 코로나-19의 치료에 훨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나파모스타트(nafamostat), 카모스타트(Camostat) 또는 이의 염을 전달하기 위한 흡입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흡입용 제제를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 제제가 충진된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파모스타트(nafamostat), 카모스타트(Camostat)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용 제제를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용 제제 또는 제제가 충진된 흡입기를 제공한다.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는 코를 통해 흡입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에 의한 비강 내의 일차 감염을 우수하게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고, 환자가 스스로 어렵지 않게 투여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이며 중증환자에게는 인공호흡기로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코로나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용 제제는 종래의 경구 주사 투여 방법과 달리 흡입을 통해 약물을 작용부위에 직접 전달하고 또한, 에스터 분해 효소에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기질과 약물의 용출을 지연시키는 용출지연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의 체내 분해를 우수하게 억제하여 독성 발현 위험을 낮추는 동시에 지속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작용 부위 내에서 우수한 잔존량을 보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투여 방법(정맥 주사, 기관내 주입)과 에스터 분해 저해제 유무에 따른 기관지 폐포 세척액 중 나파모스타트의 존재량 추이를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투여 방법(정맥 주사, 기관내 주입)과 에스터 분해 저해제 유무에 따른 폐 조직 중 나파모스타트의 존재량 추이를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투여 방법(정맥 주사, 기관내 주입)과 에스터 분해 저해제 유무에 따른 혈액 중 존재하는 나파모스타트의 농도 추이를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에스터 저해제인 레시틴의 비율에 따른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중에서의 나파모스타트의 안정성을 시간에 따라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조한 흡입용 건조 분말 제형들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조한 흡입용 건조 분말 제형을 캡슐에 담아 RS01 흡입기와 Anderson cascade impactor로서 호흡기 강 각 단계에서 분말의 도달 정도를 평가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에스터 저해제인 레시틴의 유무에 따른 건조 분말의 나파모스타트 용출 패턴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나파모스타트 용액과 레시틴이 포함되지 않은 건조 분말과 레시틴이 포함된 건조 분말을 기관내 주입(instillation), 또는 기관내 분말분사(insufflation)의 방법으로 흰쥐의 기관에 투여하고, 흰쥐의 기관지세척액과 폐조직에서의 시간에 따른 잔존량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나파모스타트(nafamostat), 카모스타트(Camostat)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염은 나파모스타트 메실산염(nafamostat mesylate) 또는 카모스타트 메실산염(camostat mesylate)일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스터 분해 효소의 기질을 더 포함함으로써, 에스터 분해 효소에 의한 나파모스타트(nafamostat), 카모스타트(Camostat) 또는 이의 염에 대한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체내 비강, 기관, 폐강, 폐 조직에서의 나파모스타트(nafamostat), 카모스타트(Camostat) 또는 이의 염의 잔존량을 우수하게 높일 수 있다. 상기 에스터 분해 효소의 기질은 상기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또는 이의 염과 경쟁적으로 에스터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나모스타트 등과 경쟁적으로 에스터 분해 효소와 결합하여 에스터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에스터 분해 효소의 기질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에스터 분해 저해제라는 용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스터 분해 효소 기질은 구조 내에 에스터 결합을 1개 이상 포함함으로써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또는 이들의 염과 체내 에스터 분해 효소(carboxyesterase)에 대해 서로 경쟁적으로 기질로서 반응하여 분해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이라면 제한이 없으나, 레시틴(lecithin),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C), 다이팔미토일포스파티콜린(dipalmitoylphosphatidylcholin, DPPC), 1,2-다이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글리세롤(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glycerol, DPPG),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glycerin fatty acid ester),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poly glycerin fatty acid),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터(polyoxyethylene glycol fatty acid),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터(sucrose fatty acid) 또는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sorbitan fatty acid)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또는 이들의 염과, 에스터 분해 효소 기질의 중량비는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0.05:10 내지 10:0.05, 0.05:5.0 내지 5.0:0.05, 0.05:1.0 내지 1.0:0.05, 0.1:1.0 내지 1.0:0.1, 또는 0.5:1.0 내지 1.0:0.5일 수도 있다.
상기 흡입용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로서 1가, 2가, 또는 3가의 음이온을 가지고 있는 염을 포함하며, 이 음이온들에 의하여 약물의 용출이 지연됨으로서 체내 비강, 기관, 폐강, 폐 조직 등에서의 순간 농도를 낮추어 독성의 발현 가능성을 낮추고 약효의 지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염들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출지연제의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출지연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염이라면 제한이 없으나,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륨(KCl), 질산나트륨(NaNO3), 질산칼륨(KNO3),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륨(K2SO4), 인산일수소나트륨(Na2HPO4), 인산일수소칼륨(K2HPO4), 인산나트륨(NaH2PO4), 또는 인산칼륨(KH2PO4)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또는 이들의 염과 용출지연제의 중량비는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0.1:10 내지 10:0.1, 0.1:1.0 내지 1.0:0.1 또는 0.5:1.0 내지 1.0:0.5일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carri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필러(filler))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만니톨(mannit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트레할로스(trehalose), 글리신(glycine), 솔비톨(sorbitol),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트리에틸시트레이트(triethyl citrate), 락토오즈(lactose), 말토오스(maltose), 자일리톨(xylitol), 락티톨(lactitol), 류신(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전분(starch) 또는 디에틸프탈레이트(diethyl phthalat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 1 내지 5 μm의 입도의 폐포에 도달 가능한 크기의 초미세분말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20 내지 200 μm의 입도의, 폐포에는 도달하지는 않으나 초미세분말의 흐름성과 분산성을 키우기 위한 목적의 미세분말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또는 이들의 염과, 담체의 중량비는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0.05:10 내지 10:0.05, 0.05:5.0 내지 5.0:0.05, 0.05:1.0 내지 1.0:0.05, 0.1:1.0 내지 1.0:0.1, 또는 0.5:1.0 내지 1.0:0.5일 수도 있다.
상기 흡입용 제제는 코 또는 입으로 흡입이 가능하도록 미세화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로 흡입이 가능하도록 미세화될 수 있는 고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 에어로졸, 또는 흡입용 분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용 제제가 고상일 때는, 그 입자의 크기가 0.5 내지 10 μ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 μm일 수 있다. 상기 고상의 흡입용 제제는 이미 공지된 방법으로 제한없이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어제트밀(air jet mill), 분무건조(spray dryer) 또는 냉동건조(freeze dry)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는 예를 들면, 희석제 또는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황산 라우릴 나트륨, 스테아르산, 또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제제는 흡입(inhalation)을 통해 비강, 기관 및 폐강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흡입은 코(비강) 또는 구강을 통한 흡입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비강)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비강을 통한 흡입 (또는 '경비'라는 용어로 사용)은 액체 또는 건조 분말을 에어로졸 입자화하여 분무함으로써 비강에 침착시키고 이어서 기관과 폐강까지 도달하게 하고자 하는 약제를 지칭한다. 한편, 구강을 통한 흡입은 액체 또는 건조 분말을 코가 아닌 입을 통하여(orally) 흡입 형태로 투여하는 제제로, 그 목적 부위는 기관, 기관지와 폐강이며, 입을 통하여 흡입하기 때문에 비강에의 전달이 부족하거나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흡입용 제제는 바람직하게 코를 통하여 흡입함으로서 비강과 기도 및 폐강 모두에 약제가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환자의 경우, 코를 통하여 비강을 포함한 기관, 기관지, 폐강에 약물을 모두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비강을 포함하여 약제가 적용되어야 비강에서의 바이러스 증폭을 막고, 하기도로 연결되는 계대 감염을 차단하여 중증으로의 이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자 스스로 어렵지 않게 투여할 수 있는 간단한 건조 분말 형태의 코를 통한 흡입제가 상용화되면 전 세계를 재난으로 몰아넣고 있는 코로나-19를 완전히 물리치거나, 최소한 보통의 감기 정도의 수준으로 질병의 위력을 급격하게 약화시킬 수 있다. 한편 자가 호흡이 어려운 중증환자에게는 인공호흡기에 적용 가능한 에어로졸 제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제제는 비강을 통해 흡입하는 경우, 비강에 20~60%, 기관에 10~40%, 폐강에 10~60% 의 비율로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용 제제를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은, 예를 들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2019, COVID-19)일 수 있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은, 예를 들면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돼지 인플루엔자(swine influenza), 신종플루(novel flu),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용 제제 또는,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가 충진된 흡입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하기에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부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용액 형태의 흡입용 나파모스타트 제제의 제조-1
흡입용 나파모스타트를 포함하는 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 25 mg/mL, 0.5% 만니톨(mannitol)을 포함하는 용액 상태의 무균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용액 형태의 흡입용 나파모스타트 제제의 제조-2
흡입용 나파모스타트를 포함하는 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 25 mg/mL, 레시틴(lecithin) 25 mg/mL, 0.5% 만니톨(mannitol)을 포함하는 친유성을 띠는 용액 상태의 무균 제제를 제조하였다. 만니톨은 삼투압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레시틴은 호흡기 내강에 존재하는 에스터 분해 효소에 경쟁적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나파모스타트의 가수분해를 저해하는 역할을 한다.
<비교예 1> 정맥 주사용 나파모스타트 제제의 제조
정맥 주사를 위한 나파모스타트를 포함하는 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 25 mg/mL, 0.5% 만니톨(mannitol)을 포함하는 용액 상태의 무균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목적 부위에서의 나파모스타트 존재량 추이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른 나파모스타트를 포함하는 제제의 폐에서의 소실 추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관지폐포 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과 폐조직(lung)에서의 나파모스타트 존재량 추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1-1. 기관지폐포 세척액(BALF)에의 나파모스타트 존재량 추이 분석
9주령 흰쥐(male SD-rat) 45 마리를 15 마리씩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제1군에는 흰쥐의 꼬리정맥으로 100 μL의 비교예 1에 따른 제제를 투여하고 (2.5 mg nafamostat/rat, IV), 제2군에는 실시예 1에 따른 제제를, 제3군에는 레시틴이 첨가된 실시예 2에 따른 제제를 100 μL씩 기관내 주입(intratracheal instillation, 2.5mg nafamostat/rat)의 방법으로 호흡기에 직접 투여한 다음, 약물 투여 10분, 30분, 60분 후에 5 마리씩 안락사시키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증류수 5 mL을 기관을 통해 폐강에 주입과 회수를 5회 반복하여 기관지폐포 세척액(BAL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을 얻은 다음, 원심분리하여 잔존 세포를 침전시키고, 상징액 100 μL에 아세토나이트릴 100 μL을 넣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상징액 중의 나파모스타트를 분석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1-2. 폐조직에의 나파모스타트 존재량 추이 분석
한편, 생리식염수에 접촉되는 경우에도 가역적인 미세 반고형 분산물이 생성되는 나파모스타트의 특성으로 볼 때, 증류수 세척으로 폐강 내의 나파모스타트가 완전히 추출될 것으로 생각되지 않으며, 일부분은 기관지 폐포 세척 후의 폐 조직에 흡착되어 잔존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관지 폐포 세척 후의 폐조직은 증류수 10 mL을 첨가하여 즉시 분쇄균질화(homogenization)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침전시키고 상징액 100 μL에 아세토나이트릴 100 μL을 넣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상징액 중의 나파모스타트를 분석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제제를 기관 내에 주입한 후, 폐강(기관지폐포 세척액)과 폐조직에 존재하는 약물량은 투여 후 모든 시간대에서 상기 비교예 1에 따른 제제를 정맥 주사한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큰 것을 볼 수 있다. 정맥주사의 경우, 투여 30분 이 폐강과 폐에 존재하는 나파모스타트의 양이 HPLC 자외선 검출기의 정량 한계 미만으로 낮아졌으나, 기관 내 주입의 경우에는 많은 나파모스타트가 계속 잔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에스터 분해 저해제가 포함된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제제를 기관 내 주입하는 경우, 투여 60분 시점에도 기관지폐포 세척액에는 약 26 μg/rat, 폐조직에는 약 36 μg/rat의 나파모스타트가 잔존하므로, 동 시간대에 잔존량이 검출되지 않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제제의 기관 내 주입과 정맥주사에 비하여, 폐강 내 약물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호흡기 세포 계대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에스터 분해 저해제를 첨가한 나파모스타트 흡입 투여가 여타의 방법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나파모스타트의 혈중 농도 추이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른 나파모스타트를 포함하는 제제의 혈중 농도 추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9주령 흰쥐(male SD-rat) 15 마리를 5 마리씩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제4-1군에는 흰쥐의 꼬리정맥으로 100 μL의 비교예 1에 따른 제제를 투여하고 (2.5 mg nafamostat/rat, IV), 제4-2군에는 실시예 1에 따른 제제를, 제4-3군에는 레시틴이 첨가된 실시예 2에 따른 제제를 100 μL씩 기관 내 주입 (2.5 mg nafamostat/rat, intratracheal instillation)의 방법으로 호흡기에 직접 투여한 다음, 각각 제제 투여 1분, 5분, 10분, 30분, 60분 후에 안와 채혈의 방법으로 채혈하고 원심분리하여 혈구를 침전시킨 다음, 상징액 100 μL에 아세토나이트릴 100 μL을 넣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상징액 중의 나파모스타트를 HPLC로 분석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비교예 1에 따른 제제는 정맥 주사 후 나파모스타트의 혈중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α상의 반감기 약 5~6분).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관 내 주입한 경우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는 혈중 농도가 호흡기 조직에서 혈액으로 흡수됨에 따라 상승하여 투여 5분 후에는 정맥주사 후의 혈중 농도와 거의 같아지고 있다. 이후 60분에 이르기까지 모두 정맥주사 후의 혈중 농도보다 높게 유지됨으로써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이 423±31 μgㆍmin/mL인 정맥주사에 비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제제를 기관 내 주입한 경우에는 641±91 μgㆍmin/mL, 실시예 2에 따른 제제를 기관 내 주입한 경우에는 656±68 μgㆍmin/mL로, 투여 총량이 서로 같음에도 불구하고 기관 내 주입에 의한 혈중 농도 AUC가 정맥주사에 비하여 약 1.5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스터 분해 저해제가 포함된 실시예 2에 따른 제제는, 에스터 분해 저해제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1에 따른 제제에 비하여 초기 혈중 농도는 조금 낮지만 30분 이후의 농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스터 분해 저해제인 레시틴의 나파모스타트 분해 억제 효과로 인하여 나파모스타트의 타겟 부위인 폐강 내에서의 나파모스타트의 유효 잔존량이 실시예 1에 따른 제제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현재 나파모스타트의 경구투여제와 흡입제는 보고된 바가 없으며, 급성췌장염의 완화와 체외 투석기, 체외막 산소보충기(ECMO)을 사용할 때의 혈액응고방지를 위한 점적용 주사제가 허가되어 있을 뿐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의 약효 재배치(repositioning)를 위한 시도에도 주사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승인 받은 임상시험의 방법으로는 나파모스타트를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하여 0.1~0.2 mg/kg/hr의 용량을 점적 투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CRIS 등록번호 KCT0005003). 이는 60 kg의 환자인 경우, 2시간 동안 12~24 mg을 투여함에 해당하는데, 나파모스타트의 사람에서의 약물동태학을 연구한 Cao의 보고(Y. Cao et al. A method for quantifying the unstable and highly polar drug nafamostat mesilate in human plasma with optimized solid-phase extraction and ESI-MS detection: more accurate evaluation for pharmacokinetic study. Anal. Bioanal. Chem. (2008) 391:1063)에 따르면, 나파모스타트 10~20 mg을 2시간에 걸쳐 사람에게 점적 주사한 경우의 정류상태(steady state) 혈중 농도는 약 10~35 ng/mL로 측정되었다. 그런데 도 3의 정맥주사 후 30분과 60분 시점의 혈중 농도는 Cao의 보고에서의 점적 주사의 정류상태 혈중농도보다 수십~수백배 높은 2.48 μg/mL과 1.52 μg/mL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도 1 및 도 2에 보이고 있는 것처럼, 30분과 60분 시점의 기관지폐포 세척액과 폐조직, 즉 나파모스타트의 표적부위에서는 약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예 3> 레시틴 비율에 따른 기관지폐포 세척액 중에서의 나파모스타트의 Ex vivo 안정성
에스터 분해 저해제(레시틴) 함량에 따른 기관과 폐강에서의 나파모스타트의 안정성 및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흰쥐(male SD, 8주령)를 희생시켜 채취한 기관지폐포 세척액(bronchoaveolar lavage fluid, BALF)에, 나파모스타트 단독 또는 나파모스타트:레시틴 2:1, 1:1, 1:2 비율의 혼합액을 혼합하여 섭씨 37도에서 항온보관하면서 3일간에 걸쳐 나파모스타트의 잔존량을 분석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레시틴이 없는 경우 나파모스타트는 기관지폐포 세척액 중에서 대단히 빨리 소실되지만 레시틴의 비율이 높을수록 잔존량이 높았는데, 레시틴이 포함된 시료는 처리 후 3일까지 수 μg/mL의 농도가 검출됨으로서, 기관지액과 폐포액에서 나파모스타트가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IC50 값인 2.26 nM (=1.22 ng/mL) 에 비하여 수천배 높은 농도로 잔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생리식염수에의 용해도에 대한 용출 지연제의 효과
생체의 체액과 대등한 용매로서 생리식염수 (0.9% 염화나트륨 등장액)를 선택하고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 및 용출 지연제에 의하여 생성된 침전의 생리식염수에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는 순수한 물, 또는 0.5% 만니톨, 덱스트로즈 용액 등 이온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용액에는 약 25 mg/mL까지 용해되지만, 0.9% 염화나트륨 등장엑에는 반고형의 가역적 침전이 형성되어 용해도가 낮아진다.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를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키면 5 mg/mL의 농도까지는 안정적으로 용해된다. 그러나 6~10 mg/mL의 농도가 되도록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를 용해시키면 진탕 초기에는 완전히 용해되나 방치하는 경우 반고형의 미세 분산물이 형성되며, 이를 다시 진탕하면 다시 용해되었다가 이를 방치하면 다시 미세 분산물이 가역적으로 생성되는 성질을 보인다. 이 과정을 반복한 후 용해된 상태에서의 용액을 HPLC로 분석한 바, 반고형 침전물 역시 나파모스타트이며 분해되거나 변화된 산물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인산염 접촉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X-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1.0 mL 에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를 5.0 mg을 넣고 진탕하였더니 섬유성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이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징액과 분리한 후, 잔류 PBS를 완전히 제거하고 이 침전물의 생리식염수에 대한 용해도를 보기 위하여, 상징액이 제거된 침전물에 1.0 mL의 생리식염수를 넣고 30분 진탕 후 30분 방치한 다음 다시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제거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한 다음 6회, 7회, 및 8회째의 상징액에 존재하는 나파모스타트의 농도를 HPLC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황산염 접촉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 mM 황산나트륨(Na2SO4) 용액 1.0 mL에 나파모스타트 메실에이트 5 mg을 넣고 진탕하였더니 결정성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이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징액과 분리한 후, 잔류 PBS를 완전히 제거하고 이 침전물의 생리식염수에 대한 용해도를 보기 위하여, 상징액이 제거된 침전물에 1.0 mL의 생리식염수를 넣고 30분 진탕 후 30분 방치한 다음 다시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제거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한 다음 6회, 7회, 및 8회째의 상징액에 존재하는 나파모스타트의 농도를 HPLC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처리방법 생리식염수에의 용해도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 3.22 mg/mL (9.3 mM)
PBS 접촉으로 생선된 침전 188 ± 38 μg/mL (541 ± 37 μM)
황산나트륨 접촉으로 생성된 침전 87 ± 13 μg/mL (251 ± 37 μM)
나파모스타트의 생리식염수에의 용해도에 비하여 인산염 접촉으로 생성된 침전의 용해도는 약 1/20, 황산염 접촉으로 생성된 침전의 용해도는 약 1/40로 줄어들었으나, 이들의 용해도는 보고된 나파모스타트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유효농도(ED50)인 2.2 nM에 비하여 40,000배 이상 높은 농도임을 확인하였고,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가 인산염이나 황산염에 접촉될 경우 가역적 침전이 생성됨으로서 용출이 지연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건조 분말 형태의 흡입용 제제 제조
실시예 2에 따라 나파모스타트와 에스터 분해저해제(레시틴) 및 담체(만니톨)를 혼합한 용액을 제조하고 분무 건조기를 이용하여 나파모스타트:만니톨(1:100), 나파모스타트:레시틴:만니톨(1:1:100), 나파모스타트:레시틴:만니톨(1:1:50), 나파모스타트:레시틴:만니톨(1:1:10)의 비율의 흡입용 미세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괄호 안의 비율은 중량 기준이다. 제조된 시료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나파모스타트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이 충진된 캡슐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4종의 건조 분말을 캡슐에 충진하여 나파모스타트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이 충진된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5> 흡입용 제제의 공기역학적 평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한 시료 분말을 캡슐에 충진하여 RS01 흡입기와 Anderson cascade impactor(ACI)를 이용하여 공기역학적 흡입 거동을 평가하고 ACI의 각 스테이지에 포집된 비율을 도 6에 제시하였다.
ACI에 의하여 측정된 각 시료의 캡슐에서의 토출율(emitted dose, ED), 토출된 미세분말 중 초미세분말 분율(fine particle fraction, FPF), 질량 중앙값 공기역학적 직경(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 MMAD), 기하표준편차(geometric standard deviation, GSD)는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나파모스타트
:만니톨
(1:100)
건조 분말
나파모스타트
:레시틴:만니톨
(1:1:100)
건조 분말
나파모스타트
:레시틴:만니톨
(1:1:50)
건조 분말
나파모스타트
:레시틴:만니톨
(1:1:10)
건조 분말
토출율 (ED, %) 93.7±2.0 98.6±0.8 99.7±0.4 100.0±0.0
초미세분말 분율 (FPF, %) 75.1±5.3 50.8±3.5 24.4±1.9 19.9±0.6
질량 중앙값 공기역학적 직경
(MMAD, μm)
2.1±0.6 3.5±0.3 6.8±0.8 6.4±0.7
기하표준편차
(GSD)
2.6±0.3 3.0±0.2 4.2±0.3 3.9±0.3
담체인 만니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MMAD)이 작아지고, 초미세분말(FPF)의 비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ACI로 평가한 하위 스테이지의 분포율이 높아짐으로서 하기도와 폐강에의 전달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 5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도 만니톨의 비율이 높을수록 깨끗한 구형의 입자를 형성함을 보여주고 있다. 레시틴이 포함된 경우, 나파모스타트:레시틴:만니톨(1:1:100)의 조성이 본 흡입제에 요구되는 토출율과 공기역학적 거동에 적합하고 우수한 조성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흡입용 제제의 in vitro 용출 평가, in vivo 호흡기 잔존량 평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시료들 중 우수한 외형을 갖고 실험예 5에서 우수한 공기역학적 거동을 보인 나파모스타트:레시틴:만니톨(1:1:100)을 선택하여 레시틴이 없는 나파모스타트:만니톨(1:100) 건조 분말과의 in vitro 용출 속도를 비교하여 도 7에 제시하였다.
용출시험은 프란쯔 확산셀 시스템을 이용하였는데, 37 ±1 °C 의 sink condition을 유지하는 12 mL의 증류수가 들어있는 수용기(receiver) 위에 셀룰로즈 멤브레인 필터 (0.45 μm)를 밀착시키고 시료 1 mg 씩 멤브레인 위에 고루 편 다음, 수용기 내의 용액을 시간별로 200 μL 씩 취하여 HPLC로 나파모스타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도 7을 보면, 레시틴과 같은 에스터 분해 효소에 대한 기질이 추가로 포함된 제제가 기질을 포함하지 않는 제제보다 용출되는 속도가 느려, 약효 지속성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흡입용 제제의 in vitro 용출 평가, in vivo 호흡기 잔존량 평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건조 분말 시료의 흰쥐의 기관 등에서의 거동을 비교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나파모스타트 용액은 기관내 주입(intratracheal instillation, 2.5mg nafamostat/rat)의 방법으로, 나파모스타트:만니톨(1:100) 건조 분말과 나파모스타트:레시틴:만니톨(1:1:100) 건조 분말은 기관내 분말분사(intratracheal insufflation, 2.5mg nafamostat/rat)의 방법으로 흰쥐에 투여한 후, 순차적으로 안락사 시킨 흰쥐의 기관지세척액(BALF)과 폐조직(lung tissue)을 채취하여 60분까지의 나파모스타트 잔존량을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따르면, 레시틴과 같은 에스터 분해 효소에 대한 기질이 추가로 포함된 건조 분말이, 기질을 포함하지 않는 제제보다 시간 경과에 따른 유효 잔존량이 많아 약효 지속성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성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나파모스타트(nafamostat) 또는 이의 염 및 에스터 분해 효소의 기질로서 레시틴(lecith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로서,
    상기 흡입용 제제는 흡입을 통해 비강, 기도 또는 폐강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 분해 효소의 기질은 상기 나파모스타트 또는 이의 염과 경쟁적으로 에스터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용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출 지연제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용출 지연제는 1가, 2가, 또는 3가의 음이온을 가지는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지연제는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륨(KCl), 질산나트륨(NaNO3), 질산칼륨(KNO3),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륨(K2SO4), 인산일수소나트륨(Na2HPO4), 인산일수소칼륨(K2HPO4), 인산나트륨(NaH2PO4), 및 인산칼륨(KH2PO4)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7. 제5항에 있어서,
    나파모스타트 또는 이의 염과, 용출 지연제의 중량비가 0.1:10 내지 1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용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만니톨(mannit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트레할로스(trehalose), 글리신(glycine), 솔비톨(sorbitol),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트리에틸시트레이트(triethyl citrate), 락토오즈(lactose), 말토오스(maltose), 자일리톨(xylitol), 락티톨(lactitol), 류신(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전분(starch), 및 디에틸프탈레이트(diethyl phthal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용 제제는 흡입 가능하도록 미세화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의 흡입용 제제는 입자 크기가 0.5 내지 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의 흡입용 제제는 에어제트밀(air jet mill), 분무 건조(spray dryer) 또는 냉동 건조(freeze dry)를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용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흡입용 제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나파모스타트 메실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16. 제8항에 있어서,
    나파모스타트 또는 이의 염과, 담체의 중량비가 0.05:10 내지 10: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17. 제1항에 있어서,
    나파모스타트 또는 이의 염과, 에스터 분해 효소의 기질의 중량비가 0.05:10 내지 10: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용 제제.
  18. 제1항의 흡입용 제제를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로서,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및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eisease 2019, COVID-19)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19. 삭제
  20. 제1항의 흡입용 제제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로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돼지 인플루엔자(swine influenza), 신종플루(novel flu),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21. 제1항, 제 3항, 제5항 내지 제13항, 제 15항 내지 제 18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제가 충진된 흡입기.
KR1020210123627A 2020-09-24 2021-09-16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 KR10266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2923 WO2022065860A1 (ko) 2020-09-24 2021-09-23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178 2020-09-24
KR20200124178 2020-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744A KR20220041744A (ko) 2022-04-01
KR102664833B1 true KR102664833B1 (ko) 2024-05-14

Family

ID=8118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627A KR102664833B1 (ko) 2020-09-24 2021-09-16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8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7577D0 (en) * 2005-04-14 2005-05-18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744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0929B2 (ja) 肺臓内領域における活性成分のキャリヤーとしての半フッ素化アルカンの吸入及び点滴注入による使用
JP6397984B2 (ja) 乾燥粉末ペプチド医薬
MX2014001345A (es) Metodo y formulacion para inhalacion.
KR20170054406A (ko) Rpl554를 포함하는 액상 흡입제
WO2013059702A1 (en) Cerivastatin to treat pulmonary disorders
JP2014525471A (ja) 咳および咳発作の治療
JP2774379B2 (ja) 医薬エアロゾール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のウイルス疾患の治療および予防用途
Chellappan et al. Protein and peptide delivery to lungs by using advanced targeted drug delivery
CA2714286A1 (en) The use of an acetylsalicylic acid salt for treating viral infections
WO2022009081A1 (en) Drug for use against the novel coronavirus disease, covid-19
EP4210677A1 (en) Niclosamide particles and uses thereof
US1103361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dministration of an enzyme to a subject&#39;s airway
CA3024521C (en) Beta-hairpin peptidomimetic with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and aerosol dosage forms thereof
KR102664833B1 (ko)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
KR101654959B1 (ko) 만성 폐색성 폐질환 개선제
WO2022065860A1 (ko) 나파모스타트 또는 카모스타트를 포함하는 흡입용 제제
JP2005298347A (ja) 吸入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14054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dministration of an enzyme to a subject&#39;s airway
KR20180030399A (ko) 네뷸라이저용 조성물
Williams III et al. Enhanced delivery of drug compositions to treat life threatening infections
WO2015027847A2 (zh) 含有奥司他韦羧酸胍基类似体和/或其乙酯制剂的给药方法
CN114129545A (zh) 一种吸入用药物组合物的制备方法及其产品
Viljoen The role of surfactant in, and a comparison of, the permeability of porcine and human epithelia to various chemical compounds
Abdalaziz et al. Formulation strategy for hydroxychloroquine as inhaler dosage from as a potential for COVID-19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