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588B1 -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588B1
KR102664588B1 KR1020180079103A KR20180079103A KR102664588B1 KR 102664588 B1 KR102664588 B1 KR 102664588B1 KR 1020180079103 A KR1020180079103 A KR 1020180079103A KR 20180079103 A KR20180079103 A KR 20180079103A KR 102664588 B1 KR102664588 B1 KR 10266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ing
encryption key
type devic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758A (ko
Inventor
박민구
라형규
정재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588B1/ko
Priority to US16/174,199 priority patent/US20200010048A1/en
Priority to CN201811464531.0A priority patent/CN110696772A/zh
Publication of KR2020000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 E05B81/88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using inductive energy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7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without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04W12/0471Ke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8Encry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전도성을 갖는 코일, 및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하여 원격 조작 장치에 암호키를 요청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되, 코일에는 자성체가 접근하면 유도 전류가 생성되고, 인증부는 유도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 시스템 {VEHICLE, RING TYPE APPARATUS, AND VEHICLE SYSTEM}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과 링타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원격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원격 조작 장치가 사용된다.
최근 포브 외에도 차량의 제어를 위해 헨드헬드 기반의 다양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웨어러블 장치의 경우, 차량과의 무선 신호 송수신을 위해 배터리가 장착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휴대성과 편리성을 갖는 링타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링타입 장치에 의해 기상하는 차량 및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링타입 장치와 사용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차량 및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전도성을 갖는 코일, 및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하여 원격 조작 장치에 암호키를 요청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되, 코일에는 자성체가 접근하면 유도 전류가 생성되고, 인증부는 유도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할 수 있다.
차량은 도어를 개폐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코일은 손잡이 또는 손잡이 근방에 마련될 수 있다.
인증부는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암호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키와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를 승인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자성체를 포함하는 링 타입 장치, 전도성을 갖는 코일,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하여 원격 조작 장치에 암호키를 요청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차량, 및 암호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차량에 송신하는 원격 조작 장치를 포함하되, 차량의 코일에는 자성체가 접근하면 유도 전류가 생성되고, 차량의 인증부는 유도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할 수 있다.
자성체는 자철과 전자석과 영구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인증부는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암호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키와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를 승인할 수 있다.
링타입 장치는 반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전도성을 갖는 코일,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기상부, 암호키를 수신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되, 코일은 전류가 공급되면 자화될 수 있다.
기상부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인증부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인증부는 전류가 공급되면 턴온될 수 있다.
인증부는 전류가 공급되면 암호키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은 도어를 개폐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코일은 손잡이 또는 손잡이 근방에 마련될 수 있다.
인증부는 수신된 암호키와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조작 장치를 승인할 수 있다.
기상부는 가압 가능한 버튼 형태의 입력부를 포함하고, 입력부는 가압되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차량은 도어를 개폐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입력부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당겨 도어를 열고자 하는 때,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가압하기 용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기상부는 터치 패드 형태의 입력부를 포함하고, 입력부는 터치되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차량.
차량은 도어를 개폐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입력부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당겨 도어를 열고자 하는 때, 사용자의 두번째 내지 다섯번째 손가락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터치하기 용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링타입 장치는 자성체의 접근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 및 코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면,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전송하는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링타입 장치는 반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부는 코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면 턴온되고, 암호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링타입 장치가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아도 차량을 기상시키거나 차량과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어서, 링타입 장치의 배터리로 인한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배터리로 인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차량이 원격 조작 장치를 탐색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차량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링타입 장치와 원격 조작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가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링타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링타입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가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L),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L,14R)를 포함한다.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5L,15R(도 2 참조))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L,15R(도 2 참조))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L, 17R)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00)과 암호키를 공유하고 있는 원격 조작 장치(300; 도 3 참조) 또는 링타입 장치(200; 도 8 참조)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과 원격 조작 장치(300) 또는 다른 실시에에 따라 차량(100)과 링타입 장치(200)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차량 제어에 의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L)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링타입 장치(200)를 소지한 자를 의미한다.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4L,14R)는 차량(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4L)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4R)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카메라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9)의 중앙 영역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71)와 AVN 입력부(61)가 마련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71)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7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AVN 입력부(61)는 AVN 디스플레이(7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AVN 디스플레이(7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AVN 디스플레이(71)의 전면에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석(18L)와 조수석(18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6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62)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부(80)가 마련될 수 있고, 음향 출력부(80)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8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운전석(18L) 쪽의 대시보드(29)에는 스티어링 휠(27)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27)과 인접한 영역에 포브(FOB; 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9a)이 형성될 수 있다. 키 홈(29a)에 포브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포브 또는 휴대용 단말(200)과 차량(100)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포브 또는 휴대용 단말(200)과 차량(1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9)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31)이 마련될 수 있고, 키 홈(29a)에 포브가 삽입되거나, 시동 버튼(31) 근방에 마련된 차량 근거리 통신 모듈과 차량(100)에 등록된 휴대용 단말(200)의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이 인증 데이터(이하, "토큰"이라 함)를 송수신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시동 버튼(31) 가압에 의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차량(100), 링타입 장치(200), 및 원격 조작 장치(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과 원격 조작 장치(3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링타입 장치(200)는 반지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링타입 장치(200)의 사용자와 원격 조작 장치(300)의 사용자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코일(110) 및 인증부(120)를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는 자성체(210)를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300)는 인증부(310)를 포함한다.
차량(100)의 코일(110)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자성체(210)가 접근 시 전자기유도 법칙에 따라 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어, 링타입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차량(100)의 코일(110)에 링타입 장치(200)를 접근시키면 차량(100)의 코일(110)에는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고, 코일(110)은 생성된 전류를 차량(100)의 인증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하고, 기상된 인증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300)에 암호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300)로부터 암호키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암호키와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원격 조작 장치(300)를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3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거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의 자성체(210)는 자성을 지닌 물체로서 자철과 전자석과 영구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경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210)는 차량(100)의 코일(110)에 접근하면 전자기유도 법칙에 따라 코일(110)에 유도 전류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3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 또는 포브(FOB)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인증부(310)는 차량(100)으로부터 암호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암호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원격 조작 장치(300)에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인증부(310)는 차량(100)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31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거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인증부(310)는 암호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암호키를 송신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인증부(31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차량(100)이 원격 조작 장치(300)를 승인하면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차량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링타입 장치와 원격 조작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가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차량(100)의 코일(110)과 인증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차량(100)의 도어(15L, 15R)에 마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손잡이(17L, 17R) 또는 손잡이(17L, 17R)의 근방에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접촉에 의해 링타입 장치(200)가 차량(100)의 코일(110)에 접근하여 코일(110)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면, 유도 전류는 차량(100)의 인증부(120)에 공급되고, 인증부(120)는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하여 원격 조작 장치(300)에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한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인증부(310)는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차량(100)에 전송하고, 암호키를 수신한 차량(100)은 수신된 암호키와 미리 저장된 암호키가 일치하는 경우, 원격 조작 장치(300)를 승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키는 차량(100)에 미리 등록된 원격 조작 장치(300)의 고유 아이디일 수 있고, 차량(100)과 원격 조작 장치(300)가 상호 공유하는 패스워드일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경우, 차량(100)의 코일(110)이 도어(15L, 15R)의 손잡이(17L, 17R)에 마련된 것으로서 도시되었으나, 코일(11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 7은 링타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10)은 차량(100)의 스티어링 휠(27) 또는 트렁크 손잡이(20) 등 링타입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손이 접근할 수 있는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00)의 인증부(120) 또한 차량(100)의 스티어링 휠(27) 또는 트렁크 손잡이(20) 내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차량(100) 내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경우, 원격 조작 장치(300) 없이도 링조작 장치(200)와 차량(100)이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차량(100)과 링타입 장치(20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과 마찬가지로 코일(110)과 인증부(12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기상부(130)를 더 포함하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와 달리, 코일(220) 및 인증부(23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코일(110)은 기상부(130)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면 자성을 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코일(110)이 링타입 장치(200)의 코일(220)에 접근하면, 전자기유도 법칙에 따라 링타입 장치(200)의 코일(220)에 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어, 링타입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차량(100)의 코일(110)에 링타입 장치(200)를 접근시키면, 링타입 장치(200)의 코일(220)에는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링타입 장치(200)로부터 암호키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기상부(130)에 의해 기상할 수 있고, 기상되면 링타입 장치(200)로부터 암호키를 수신하기 위해 턴온되거나, 또는 링타입 장치(200)에 암호키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링타입 장치(200)로부터 암호키를 수신함으로써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수신된 암호키와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링타입 장치(200)를 승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차량(100)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거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인증부(12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상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차량(100)의 코일(110)을 기상시키기 위해 코일(1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기상부(130)의 전류 공급에 의해 코일(110)은 자성을 띌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상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인증부(120)를 기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상부(130)의 전류 공급에 의해 인증부(120)는 링타입 장치(200)로부터 암호키를 수신하기 위해 턴온되거나, 또는 링타입 장치(200)에 암호키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예 따른 기상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의 코일(220)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자성을 띄는 차량(100)의 코일(110)이 접근 시 전자기유도 법칙에 따라 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어, 링타입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차량(100)의 코일(110)에 링타입 장치(200)의 코일(220)을 접근시키면 링타입 장치(200)의 코일(220)에는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고, 코일(220)은 생성된 전류를 링타입 장치(200)의 인증부(230)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의 인증부(230)는 코일(220)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하고, 기상된 인증부(230)는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의 인증부(230)는 전류가 공급되면 기상하고, 기상된 인증부(230)는 턴온되어, 차량(100)으로부터 암호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차량(1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의 인증부(230)는 차량(100)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23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거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의 인증부(230)는 기상하면 자동으로 암호키를 송신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200)의 인증부(23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링타입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0 및 도 1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타입 장치가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전술한 차량(100)의 코일(110)과 인증부(120)와 기상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차량(100)의 도어(15L, 15R)에 마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손잡이(17L, 17R) 또는 손잡이(17L, 17R)의 근방에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는 오른손 뿐만 아니라 왼손에 링타입 장치(200)를 장착하고 왼손을 이용하여 손잡이(17L, 17R)를 당기는 것 또한 가능하다.
링타입 장치(200)의 코일(2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타입 장치(200)의 일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링타입 장치(200)의 링형상을 따라 링타입 장치(200)의 외부 전면 또는 내부 전면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링타입 장치(200)의 외부면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링타입 장치(200)의 외측면 및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내부면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링타입 장치(200) 내의 공간의 면이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부(130)는 손잡이(17L, 17R)의 외부면에서 가압 가능한 버튼 형태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기상부(130)의 입력부를 가압하면 코일(110)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부(130)의 입력부는 사용자가 손잡이(17L, 17R)를 당겨 도어(15L, 15R)를 열고자 하는 때,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가압하기 용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부(130)의 입력부는 손잡이(17L, 17R)의 내면에서 터치 가능한 터치 패드 형태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기상부(130)의 입력부를 터치하면 코일(110)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부(130)는 사용자가 손잡이(17L, 17R)를 당겨 도어(15L, 15R)를 열고자 하는 때, 사용자의 두번째 내지 다섯번째 손가락(즉,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터치하기 용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기상부(130)의 입력부는 손잡이(17L, 17R) 또는 손잡이(17L, 17R)의 근방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바, 사용자 입력 수신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상부(130) 입력에 의해 차량(100)이 기상하여 코일(110)에 전류가 공급되면 차량(100)의 코일(110)이 자화되어 자성체가 되고, 링타입 장치(200)의 차량(100) 접근에 링타입 장치(200)의 코일(220)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면, 유도 전류는 링타입 장치(200)의 인증부(230)에 공급되고, 인증부(230)는 전류가 공급되면 원격 조작 장치(300)에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송신하거나, 또는 전류가 공급되면 턴온되어 차량(100)으로부터 암호키 요청 신호를 수신 시 미리 저장된 암호키를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암호키를 수신한 차량(100)은 수신된 암호키와 미리 저장된 암호키가 일치하는 경우, 링타입 장치(200)를 승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경우, 차량(100)의 코일(110)과 기상부(130)가 도어(15L, 15R)의 손잡이(17L, 17R)에 마련된 것으로서 도시되었으나, 코일(110)과 기상부(13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코일(110)과 기상부(130)는 차량(100)의 스티어링 휠(27) 또는 트렁크 손잡이(20) 등 링타입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손이 접근할 수 있는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00)의 인증부(120) 또한 차량(100)의 스티어링 휠(27) 또는 트렁크 손잡이(20) 내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차량(100) 내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차량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200: 링타입 장치
300: 원격 조작 장치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자성체를 포함하는 링 타입 장치;
    상기 링타입 장치의 자성체의 접근에 의해 유도 전류가 생성되는 코일과, 상기 유도 전류에 의해 기상하고 제1암호키를 저장하는 제1인증부를 포함하는 차량; 및
    상기 링타입 장치와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와, 제2암호키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암호키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2인증부를 포함하는 원격 조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제1인증부는, 상기 기상에 대응하여 상기 원격 조작 장치에 제2암호키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제2암호키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제1암호키와 상기 제2암호키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된 제1암호키와 상기 제2암호키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승인하고, 상기 승인된 원격 조작 장치의 입력부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차량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자철과 전자석과 영구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타입 장치는 반지로 구현되는 차량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079103A 2018-07-09 2018-07-09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 시스템 KR10266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03A KR102664588B1 (ko) 2018-07-09 2018-07-09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 시스템
US16/174,199 US20200010048A1 (en) 2018-07-09 2018-10-29 Vehicle, ring-type apparatus, and vehicle system
CN201811464531.0A CN110696772A (zh) 2018-07-09 2018-12-03 车辆、环形装置和车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03A KR102664588B1 (ko) 2018-07-09 2018-07-09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758A KR20200005758A (ko) 2020-01-17
KR102664588B1 true KR102664588B1 (ko) 2024-05-10

Family

ID=6910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103A KR102664588B1 (ko) 2018-07-09 2018-07-09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10048A1 (ko)
KR (1) KR102664588B1 (ko)
CN (1) CN1106967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4213A1 (de) * 2018-10-01 2020-04-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ürbaugruppe mit Sender- und Empfängereinheit zur drahtlosen Übertragung von Energie und/oder Daten
US10850711B2 (en) * 2019-05-03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s for exterior vehicle display and panel exciters
CN111619704A (zh) * 2020-05-30 2020-09-04 东莞市喜悦自行车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的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2839A1 (en) * 2000-06-13 2001-12-20 Nahata Pratik Kumar Effortless entry system
US20070091627A1 (en) * 2003-06-20 2007-04-26 Masakatsu Nitawaki Vehicle door outer handle system
JP2010001011A (ja) * 2008-05-20 2010-01-07 Yamaha Motor Electronics Co Ltd 盗難抑止システムおよび輸送機器
JP2015140639A (ja) * 2014-01-30 2015-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キ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812A (en) * 1994-11-16 1995-10-31 Bennett; Emeric S.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apon firing safety system
JPH094292A (ja) * 1995-06-17 1997-01-07 Omron Corp 施解錠装置及び施解錠システム
US6104288A (en) * 1999-03-11 2000-08-15 Hopkins; John L. Door mounted audio reminder
US20070120642A1 (en) * 2005-11-28 2007-05-3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Vehicle with passive key fob having presence detection arrangement with key fob
JP4973019B2 (ja) * 2006-06-12 2012-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ドアロック機構の制御装置及びドアロック機構の制御方法
CN101974991B (zh) * 2010-10-09 2014-11-0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锁、智能钥匙及采用的启动方法
US20140266624A1 (en) * 2013-03-15 2014-09-18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Authentication Device
CN106104408B (zh) * 2013-11-29 2021-07-27 行动股份有限公司 穿戴式计算装置
CN105799645A (zh) * 2014-12-31 2016-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免电源智能钥匙、车辆解锁系统和车辆解锁方法
US9894492B1 (en) * 2016-09-22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bile device location relative to vehicle cab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2839A1 (en) * 2000-06-13 2001-12-20 Nahata Pratik Kumar Effortless entry system
US20070091627A1 (en) * 2003-06-20 2007-04-26 Masakatsu Nitawaki Vehicle door outer handle system
JP2010001011A (ja) * 2008-05-20 2010-01-07 Yamaha Motor Electronics Co Ltd 盗難抑止システムおよび輸送機器
JP2015140639A (ja) * 2014-01-30 2015-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キ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758A (ko) 2020-01-17
US20200010048A1 (en) 2020-01-09
CN110696772A (zh)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31217B (zh) 车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664588B1 (ko) 차량, 링타입 장치, 및 차량 시스템
KR102385474B1 (ko)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195106B2 (en) Vehicle control and communication via device in proximity
CN105549869B (zh) 手表式终端及其控制方法
US9690387B2 (en) Vehicle computing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a wearable device
US20070224939A1 (en) Vehicle control and communication via device in proximity
US1074786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669783B2 (en) Vehicle an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5020552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A2847645A1 (en) Electronic timepiece
CN105667246A (zh) Avn终端、具有该终端的车辆以及控制车辆的方法
US11804979B2 (en) Control device, vehicle having th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KR20190050002A (ko) 원격 조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00022613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9703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4886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48870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6250031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714467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21108B1 (ko) 차량 시스템 및 원격 제어 방법
KR20160063088A (ko)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
KR102254759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79550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60355A (ko) 인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