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331B1 -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 Google Patents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331B1
KR102663331B1 KR1020210075042A KR20210075042A KR102663331B1 KR 102663331 B1 KR102663331 B1 KR 102663331B1 KR 1020210075042 A KR1020210075042 A KR 1020210075042A KR 20210075042 A KR20210075042 A KR 20210075042A KR 102663331 B1 KR102663331 B1 KR 10266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frame
bar
covering
earthen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126A (ko
Inventor
남영조
남상호
권승귀
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to KR102021007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3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 A01B63/1117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using a hitch position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2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지의 여건이나 농작물의 상태 및 이랑의 상태에 맞게 로터리를 복토기프레임의 내,외측으로 가변시켜 대응하도록 하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하면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론트바와, 프론트바의 후방에 구비되고 양단을 차단판으로 연결한 리어바로 구성되는 복토기프레임과; 상기 복토기프레임의 중앙 위치에 농기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와; 상기 복토기프레임의 중앙 하방에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양측으로 구동축을 연결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복토기프레임의 양측에 프론트바를 수용한 프론트유지관과 리어바를 수용한 리어유지관의 양측을 간격유지바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좌측로터리장착기 및 우측로터리장착기와; 하방에 로터리날을 장착한 좌측로터리 및 우측로터리를 구성하고 구동축과 연결되며 간격유지바 사이에 장착되는 로터리케이스와; 상기 좌,우측로터리장착기를 구성하는 프론트유지관의 전방에 장착하는 보조바퀴와; 상기 리어유지관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로터리커버를 연결하는 서포터와; 상기 좌,우측로터리장착기를 복토기프레임의 내,외측으로 가변시켜 좌,우측로터리를 이랑의 폭 또는 간격에 맞게 대응하는 로터리가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승용관리기용 복토기{COVERING MACHINE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토기에 장착되는 로터리의 폭을 자유롭게 가변시켜 작업지 여건과 농작물의 종류 및 이랑의 상태에 대응하여 복토(로터리)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승용관리기용 복토기는 트랙터 등과 같은 농기계의 후방에 연결되어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아 로터리를 작동시켜 복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타입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선행기술의 내용을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동력인출이 가능한 주행차량의 후미에 회전형 경운수단을 장착하여 경작지 내를 주행하면서 복토작업을 수행하는 복토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경운수단이
A) 다수의 휴립날을 장착한 휴립용 로터리와;
B) 다수의 쇄토날을 장착한 쇄토용 로터리와;
C) 상기 쇄토용 로터리와 상기 휴립용 로터리를 각각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하우징 및;
D) 상기 주행차량에서 인출된 동력이 상기 쇄토용 로터리와 상기 휴립용 로터리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한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농기계 후단에 설치되어, 농업용 필름을 복토하고 멀칭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후단에 구비되고, 흙비산 하우징과, 상기 농기계 바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로터리와, 상기 역회전로터리에 다수가 구비되는 흙비산날을 포함하여, 흙을 상기 농기계 방향 측으로 비산시키는 흙비산부; 및 상기 흙비산부 후단측에 연결되는 멀칭부 하우징과, 상기 필름이 권취되는 필름거치대와, 상기 필름거치대의 회전에 의해 바닥에 펼쳐진 필름을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멀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흙비산부는, 상기 역회전 로터리와 상기 농기계 사이에 구비되어, 농기계 방향으로 비산된 흙을 멀칭부 측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필름 상부로 복토시키게 하는 비산흙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멀칭부는, 비산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비산흙 일부가 내부에 저장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몸체와 힌지결합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개폐 구동시키는 개폐부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필름고정장치를 포함하여, 멀칭 시작시점에서 개폐부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개폐부를 개방시켜 상기 고정몸체 내의 흙을 상기 필름 측으로 토출시켜 상기 필름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12936 - 0000 호 특허 제 10 - 1651388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농기계 바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 로터리 형태의 흙비산부를 이용하여 농업용 필름 전면을 흙으로 덮어 필름을 지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멀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포도 넝쿨 등을 흙으로 덮어 겨울철 냉해를 예방하는 복토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이 적용되는 복토기의 경우에는 복토에 관한 기술내용은 제시되어 있으나, 복토를 수행하는 로터리부분을 프레임 등에 대하여 위치를 가변시키는 기능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임과 아울러 선행기술의 복토기의 경우에는 로터리가 소정의 폭 전체에 대하여 로터리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두둑 표면을 작업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둑 표면을 작업하는 경우도 있으나 두둑과 두둑 사이의 이랑이나 두둑과 두둑 사이의 공간을 로터리작업을 통하여 복토를 수행하거나 제초작업의 수행 또는 이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후방에 소정의 폭(두둑 폭 또는 이랑 간격)에 맞게 로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폭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작업지의 여건에 따라 하나의 두둑이나 이랑이 시작에서 끝나는 지점까지의 폭이 가변되는 경우도 빈번할 뿐 아니라, 작업지 여건이나 심어진 작물의 종류에 따라 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로터리를 프레임의 중심에 대하여 양측으로 이동시켜 폭을 조정한 후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터리의 폭을 조절하는 작업을 작업전, 작업지 여건 또는 작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작업자가 매번 수작업에 의존하여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심할 경우에는 하루에도 몇 번에 걸쳐 로터리의 간격을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혹여 로터리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두둑을 손상시키는 것은 물론 심어진 작물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고, 수확시기에 작업할 경우에는 소중하게 키운 작물을 수확하여 판매에 이르지 못하게 함으로서 농가에 막대한 손실을 입히게 된다.
특히, 로터리의 간격조절을 작업자가 직접 하게 되는 데 작업의 특성상 많은 흙이 로터리와 프레임에 묻어있는 상태여서 이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작업을 쉽게 수행하기 못하는 것은 물론 잦은 변경으로 인한 작업자의 근 골격계에 이상을 초래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론트바(101)와, 상기 프론트바(101)의 후방에 구비되고 양단을 차단판(103)으로 연결한 리어바(104)로 구성되는 복토기프레임(105)과;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 위치에 농기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링크(106) 및 하부링크(107)와;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 하방에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양측으로 구동축(109)을 연결하는 기어박스(108)와;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양측에 프론트바(101)를 수용한 프론트유지관(110)과 리어바(104)를 수용한 리어유지관(111)의 양측을 간격유지바(112)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좌측로터리장착기(115) 및 우측로터리장착기(116)와;
하방에 로터리날(117)을 장착한 좌측로터리(118) 및 우측로터리(119)를 구성하고 구동축(109)과 연결되며 간격유지바(112) 사이에 장착되는 로터리케이스(120)와;
상기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를 구성하는 프론트유지관(110)의 전방에 장착하는 보조바퀴(121)와;
상기 리어유지관(1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로터리커버(123)를 연결하는 서포터(122)와;
상기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를 복토기프레임(106)의 내,외측으로 가변시켜 좌,우측로터리(118,119)를 이랑의 폭 또는 간격에 맞게 대응하는 로터리가변수단(130)을 포함하여;
작업지의 여건이나 농작물의 상태 및 이랑의 상태에 맞게 로터리를 복토기프레임의 내,외측으로 가변시켜 대응하도록 하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하면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승용관리기용 복토기를 구성하는 로터리를 복토기프레임에 대하여 폭을 가변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 준비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켜 작업 효율성과 집중도을 높일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승용관리용 복토기를 정지한 상태에서는 물론 주행중인 상태에서도 로터리의 간격을 조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작업중인 이랑을 인식하여 이랑의 간격에 맞게 로터리케이스의 폭을 가변시켜 이랑과 두둑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두둑에 심어진 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를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프레임과 로터리의 장착상태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프레임과 로터리의 장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양측 로터리를 양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양측 로터리를 중앙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일측 로터리를 가변시킨 상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를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프레임과 로터리의 장착상태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프레임과 로터리의 장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양측 로터리를 양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양측 로터리를 중앙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복토기의 일측 로터리를 가변시킨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승용관리기용 복토기(100)는, 작업지의 이랑과 이랑 사이의 폭 보다는 넓은 길이로 구비되는 프론트바(101)와, 상기 프론트바(101)의 후방에 구비되고 양단을 차단판(103)으로 연결한 리어바(104)로 복토기프레임(105)을 구비한다.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 위치에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부링크(106)와 하부링크(107)를 전방(농기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 하방에는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어박스(108)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박스(108)의 양측으로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각형상의 구동축(109)을 연결한다.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양측에는 프론트바(101)를 수용한 프론트유지관(110)과 리어바(104)를 수용한 리어유지관(111)의 양측을 간격유지바(112)로 연결한 좌측로터리장착기(115)와 우측로터리장착기(116)를 결합한다.
상기 간격유지바(112) 사이에는 하방에 로터리날(117)을 장착한 좌측로터리(118)와 우측로터리(119)를 구성하는 로터리케이스(120)를 고정하고, 상기 로터리케이스(120)는 구동축(109)과 연결하여 로터리날(117)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를 구성하는 프론트유지관(110)의 전방(농기계 방향)에는 보조바퀴(121)를 장착하고, 리어유지관(11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서포터(122)에는 로터리커버(123)를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를 복토기프레임(106)의 내,외측으로 가변시켜 좌,우측로터리(118,119)를 이랑의 폭 또는 간격에 맞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로터리가변수단(130)을 더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로터리가변수단(130)은,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부 양측에는 좌측실린더(131)와 우측실린더(132)를 실린더브라켓(133)에 장착하고, 상기 좌,우측실린더(131,132)에 구비되는 좌측로드(134)와 우측로드(135)는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의 내측부에 구비되는 로드브라켓(136)과 연결하여 좌,우측실린더(131,132)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가 복토기프레임(106)의 내,외측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실린더(131,132)는 농기계의 유압수단으로부터 유압을 전달받도록 하고, 복토기프레임(105) 또는 농기계에 장착되는 유압콘트롤밸브(140)에 의하여 신장과 수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유압콘트롤밸브(140)는 농기계의 운전석에 마련되는 스위치(141)의 조작신호를 인가받는 콘트롤러(142)와 연결되어 조작되도록 하고, 여기에 더하여 이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토기프레임(105) 또는 농기계에 장착되는 이랑센서(145)의 정보를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콘트롤러(142)에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스위치(141)를 조작하여 작동하기 위한 수동모드와, 이랑센서(145)의 감지정보에 의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이랑센서(145)는 포토센서, 포텐셔메터, 라이더,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중에서 하나를 택하여 농기계 또는 복토기프레임(105)의 양측에 설치하여 이랑을 감지하여 이랑폭을 실시간으로 콘트롤러(142)로 인가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의 외측은 차단판(103)에 의하여 정지되도록 하고, 내측은 복토기프레임(105)에 설치되는 별도의 스톱판(150)에 의하여 내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승용관리기용 복토기(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기계에 복토기(100)를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농기계의 후미와 복토기프레임(105)에 구비되는 상부링크(106)와 하부링크(107)를 연결하여 유지하고, 농기계의 동력이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에 장착된 기어박스(108)와 연결하고, 농기게의 유압 또한 유압콘트롤밸브(140)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농기계에 복토기(100)를 연결한 후 작업지로 이동하기 전 스위치(141)를 조작하여 콘트롤러(142)로 하여금 유압콘트롤밸브(140)를 통하여 좌,우측실린더(131,132)를 작동시켜 좌,우측로드(134,135)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좌,우측로드(134,135)와 연결된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를 움직여 작업지의 이랑 간격에 맞게 조절하여 작업지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다른 예로서는 작업지로 이동한 후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스위치(141)를 조작하여 콘트롤러(142)로 하여금 유압콘트롤밸브(140)를 통하여 좌,우측실린더(131,132)를 작동시켜 좌,우측로드(134,135)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좌,우측로드(134,135)와 연결된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를 움직여 작업지의 이랑 간격에 맞게 조절하여 작업지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여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는 상기와 같이 복토기(100)를 구성하는 좌,우측로터리(118,119)의 폭을 조절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랑센서(145)거 감지하는 이랑의 실시간 정보를 토대로 이랑의 폭이 달리질 경우에는 그에 맞게 콘트롤러(142)가 유압콘트롤밸브(140)를 제어하여 좌,우측실린더(131,132)를 실시간으로 신장 및 수축시켜 좌,우측로터리(118,119)를 가변시켜 대응하면서 복토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복토작업시에는 농기계의 동력이 기어박스(108)로 전달되고, 기어박스(108)에서 기어박스(108) 양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109)을 통하여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에 장착된 좌,우측로터리(118,119)로 동력을 전달하여 로터리날(117)을 회전시킴으로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복토기(100)에 장착된 좌,우측로터리(118,119)를 복토기프레임(105)의 내,외측으로 가변시켜 이랑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데, 좌,우측로터리(118,119)를 동시에 내,외측으로 가변시키는 형태, 좌측 또는 우측로터리(118,119) 중 하나만 가변시키는 형태 등 다양하게 가변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지의 여건이나 농작물의 상태 및 이랑의 상태에 맞게 로터리를 복토기프레임의 내,외측으로 가변시켜 대응하도록 하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하면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101; 프론트바
104; 리어바 105; 복토기프레임
108; 기어박스 109; 구동축
110; 프론트유지관 111; 리어유지관
115; 좌측로터리장착기 116; 우측로터리장착기
118; 좌측로터리 119; 우측로터리
130; 로터리가변수단 131; 좌측실린더
132; 우측실린더 134; 좌측로드
135; 우측로드 140; 유압콘트롤밸브
141; 스위치 142; 콘트롤러
145; 이랑센서

Claims (4)

  1. 프론트바(101)와, 상기 프론트바(101)의 후방에 구비되고 양단을 차단판(103)으로 연결한 리어바(104)로 구성되는 복토기프레임(105)과;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 위치에 농기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링크(106) 및 하부링크(107)와;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 하방에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양측으로 구동축(109)을 연결하는 기어박스(108)와;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양측에 프론트바(101)를 수용한 프론트유지관(110)과 리어바(104)를 수용한 리어유지관(111)의 양측을 간격유지바(112)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좌측로터리장착기(115) 및 우측로터리장착기(116)와;
    하방에 로터리날(117)을 장착한 좌측로터리(118) 및 우측로터리(119)를 구성하고 구동축(109)과 연결되며 간격유지바(112) 사이에 장착되는 로터리케이스(120)와;
    상기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를 구성하는 프론트유지관(110)의 전방에 장착하는 보조바퀴(121)와;
    상기 리어유지관(1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로터리커버(123)를 연결하는 서포터(122)와;
    상기 복토기프레임(105)의 중앙부 양측에 구비되는 실린더브라켓(133)에 장착하는 좌측실린더(131) 및 우측실린더(132)와,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의 내측부에 구비되는 로드브라켓(136)과 연결하여 좌,우측실린더(131,132)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가 복토기프레임(106)의 내,외측으로 가변되게하는 좌,우측실린더(131,132)의 좌측로드(134) 및 우측로드(135)와;, 상기 좌,우측실린더(131,132)는 농기계의 유압수단으로부터 유압을 전달아 복토기프레임(105) 또는 농기계에 장착되는 유압콘트롤밸브(140)에 의하여 신장과 수축작동이 이루어져 좌,우측로터리장착기(115,116)를 복토기프레임(106)의 내,외측으로 가변시켜 좌,우측로터리(118,119)를 이랑의 폭 또는 간격에 맞게 대응하는 로터리가변수단(130)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콘트롤밸브(140)는 농기계의 운전석에 마련되는 스위치(141)의 조작신호를 인가받는 콘트롤러(142)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이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토기프레임(105) 또는 농기계에 장착되는 이랑센서(145)의 정보를 인가받아 작동되게 하고;
    상기 이랑센서(145)는 포토센서, 포텐셔메터, 라이더,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며, 농기계 또는 복토기프레임(105)의 양측에 설치하여 이랑을 감지하여 이랑폭을 실시간으로 콘트롤러(142)로 인가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75042A 2021-06-09 2021-06-09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KR10266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042A KR102663331B1 (ko) 2021-06-09 2021-06-09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042A KR102663331B1 (ko) 2021-06-09 2021-06-09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126A KR20220166126A (ko) 2022-12-16
KR102663331B1 true KR102663331B1 (ko) 2024-05-07

Family

ID=8453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042A KR102663331B1 (ko) 2021-06-09 2021-06-09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3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530Y1 (ko) 2000-08-10 2001-02-15 김중호 배토기의 확산플레이트
KR100305185B1 (ko) * 1999-08-26 2001-09-24 선길웅 복토기
KR102001517B1 (ko) * 2017-06-09 2019-07-1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농업생산 무인자동화를 위한 주행 로봇
KR102094955B1 (ko) * 2018-10-26 2020-03-30 대호 (주) 복토기의 흙막이 장치 및 이러한 흙막이 장치를 구비한 복토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36Y1 (ko) 2006-01-20 2006-04-05 김광순 이중 로터리 구동식 복토기
KR101651388B1 (ko) 2016-01-07 2016-08-25 그린앤씨(주) 역회전 로터리를 이용한 복토 멀칭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85B1 (ko) * 1999-08-26 2001-09-24 선길웅 복토기
KR200212530Y1 (ko) 2000-08-10 2001-02-15 김중호 배토기의 확산플레이트
KR102001517B1 (ko) * 2017-06-09 2019-07-1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농업생산 무인자동화를 위한 주행 로봇
KR102094955B1 (ko) * 2018-10-26 2020-03-30 대호 (주) 복토기의 흙막이 장치 및 이러한 흙막이 장치를 구비한 복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126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850B1 (ko) 경운 및 두둑 성형, 파종, 비닐 타공, 피복 및 복토, 진압을 순차적으로 한 번에 수행하는 농업기계
KR101847531B1 (ko) 두둑위치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휴립 피복 복토기
US4175496A (en) Earth working implement
AU2018247293B2 (en) Agricultural Working Device
US3128729A (en) All-purpose farm machine
CN109843037A (zh) 用于旱种稻田的直播装置
US4015667A (en) Cotton stalk and root shredder with re-bedder
JP2018183079A (ja) 防除作業車
KR102663331B1 (ko)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CN109729765A (zh) 联合秸秆粉碎梳埋起垄机
US20060289179A1 (en) Three-point universal hitch having an electric motor powered linear actuated screw drive
KR102663328B1 (ko) 승용관리기용 복토기 가변장치
JPH09285210A (ja) 畑の苗植え機
DE102010010041A1 (de) Landwirtschaftliches Anbaugerät
CN210352398U (zh) 一种切膜回收机
CN210143244U (zh) 一种烟草高垄铺膜机
US3246458A (en) Vine shredder
US3421303A (en) Bean harvesting attachment for tractors
CN2812536Y (zh) 大蒜挖掘机
KR20220064134A (ko) 진동 쟁기 기능을 구비한 폐비닐 수거장치
US6851484B2 (en) Wheel track filling apparatus
JP3058407B2 (ja) 自走式管理作業機の補助装置
US3130796A (en) Earth conditioning implement
CN216873769U (zh) 一种土壤深松机械
CN205961717U (zh) 新型灭茬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