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098B1 -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098B1
KR102663098B1 KR1020187016520A KR20187016520A KR102663098B1 KR 102663098 B1 KR102663098 B1 KR 102663098B1 KR 1020187016520 A KR1020187016520 A KR 1020187016520A KR 20187016520 A KR20187016520 A KR 20187016520A KR 102663098 B1 KR102663098 B1 KR 102663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ad
brake pad
application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883A (ko
Inventor
만프레드 셰나우어
볼프강 팔레
마르쿠스 바르텔
토비아스 피슬
요한 바움가르트너
안드레아스 페치케
리차드 엘. 란츠
로버트 에스. 테케스키
마르쿠스 보만
Original Assignee
벤딕스 스파이서 파운데이션 브레이크 엘엘씨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6898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630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벤딕스 스파이서 파운데이션 브레이크 엘엘씨,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벤딕스 스파이서 파운데이션 브레이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8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16D65/0978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acting on one p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5Springs made from wire
    • F16D65/0976Springs made from wire acting on one p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026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outline shape of the braking member, e.g. footprint of friction l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84Assembly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차량용, 특히 상용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가 제공된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캐리어 내에 형태-끼워맞춤 방식으로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한다. 적어도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에는, 브레이크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고 브레이크 패드 상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11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4/939,74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문헌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및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세트, 및 특히 브레이크 패드 유지 장치 구성(brake pad retaining device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특히 상용 차량에 사용되고, 흔히 공압식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brake caliper)의 일 실시예는 슬라이딩 캘리퍼(sliding caliper)의 형태이며, 예를 들어 인접한 휠 림(wheel rim) 부근의 밀착된 구성 공간에 사용된다.
슬라이딩 브레이크 캘리퍼는 통상적으로 고정식 지탱부 및 가동식 지탱부로서 설계된 2개의 지탱 스트럿(bearing strut)을 통해 지지 브레이크 캐리어(supporting brake carrier)에 연결된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캐리어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며, 전형적으로 패드-유지 클립에 의해 브레이크 캐리어의 패드 슬롯(pad slot) 내에 스프링-부하 방식으로 유지된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경우, 특히 단 하나의 힘 도입 요소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경우에, 디자인은 브레이크 패드의 불균등한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는 그 패드 캐리어 플레이트의 평면에 대해 반경방향 또는 둘레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마모는 반경방향 또는 접선방향 마모로 지칭된다.
스프링-부하식 패드-유지 클립의 예는 독일 실용신안 공개 제DE 20 2008 013 446 U1호에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개 제WO 2013/143993 A1호, 독일 특허 공개 제DE 10 2012 002 734 A1호 및 미국 특허 제US 8,540,061 B1호의 문헌은 브레이크 패드 유지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해결책의 배경기술에 대하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구성요소의 사용 수명 연장과 동시에 비용 절감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선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려는 목적에 기초하고 있다.
다른 목적은 디스크 브레이크용의 개선된 브레이크 패드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가측(application-side)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brake carrier horn) 상에 지지되고 브레이크 패드 상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패드-유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제1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다른 목적은,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가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백 플레이트(back plate)의 일 단부를 넘어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섹션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의 전술한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차량용, 특히 상용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 적어도 하나의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배면측(반동측이라고도 알려짐) 브레이크 패드,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패드를 각각의 패드 슬롯 내에 수용하는 브레이크 캐리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가 관련 패드 슬롯 내에 형태-끼워맞춤(form-fitting)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인 브레이크 캐리어,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 걸터앉고 슬라이딩 캘리퍼로서 설계되는 브레이크 캘리퍼를 포함한다.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에는, 브레이크 캐리어의 패드 슬롯의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고 브레이크 패드 상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이 제공된다. 브레이크 캐리어 및 적어도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방향 이동에 대해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형태-끼워맞춤형의 상보적 윤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은 브레이크 패드가 그 형태-끼워맞춤 홀더 내로 당겨질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경사 마모(oblique wear)의 감소가 유리하게 가능해진다.
인장력의 생성은, 브레이크 패드가 끼워맞춰진 후에 패드 슬롯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을 갖는 유리하게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캐리어 혼의 윤곽을 갖는 패드 백 플레이트를 통해 브레이크 캐리어의 패드 슬롯에 형태-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 모두로의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고정이 유리하게 가능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캐리어 혼의 윤곽이 패드 백 플레이트의 윤곽과 대응하고, 브레이크 캐리어 혼의 윤곽의 언더컷 표면(undercut surface)이 각각의 경우에 패드 백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언더컷 표면과 유격없는(play-free)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패드 백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따라서, 콤팩트한 브레이크 패드가 생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본원에서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부착될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중앙 섹션; 아암(arm); 압력 섹션; 전이 섹션(transition section)을 포함하며, 중앙 섹션은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부착되고, 전이 섹션은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지지되며, 압력 섹션은, 각각의 경우에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의 일 단부에서, 패드 백 플레이트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패드-유지 스프링의 효과적이고 간단한 초기 인장(pretensioning)이 생성될 수 있다. 패드-유지 스프링은 예를 들어 편평한 스프링강일 수 있으며, 상기 패드-유지 스프링은 이 편평한 스프링강으로부터 펀칭 및 절곡 부품으로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중앙 섹션; 아암; 압력 섹션; 중간 섹션을 포함하며, 중앙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에 의해 패드 백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압력 섹션은, 각각의 경우에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의 일 단부에서, 패드 백 플레이트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사소한 수정 없이도 또는 사소한 수정만으로 기존의 체결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는 클램프형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패드-유지 스프링의 장착 상태에서 패드 백 플레이트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횡방향 섹션을 구비하며, 패드-유지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와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사이에 배열된다. 이것은 패드-유지 스프링이 이러한 체결 요소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백 플레이트에 포획식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다른 이점은 본원에서 체결 요소와 패드 백 플레이트 사이에서의 패드-유지 스프링의 중앙 부분의 틈새(clearance)이며, 그 결과 패드-유지 스프링의 균일 한 부하가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드-유지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의 일 섹션이 관통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lit)을 구비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기존의 펀칭 공구가 패드-유지 스프링의 슬릿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패드-유지 스프링 및 체결 요소가 함께 포획식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패드-유지 스프링은 패드 백 플레이트의 안내 돌출부가 관통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슬릿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드-유지 스프링은 유리하게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중심설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압력 섹션과 브레이크 캐리어 혼의 접촉 연결이 보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것의 가능한 종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압력 섹션 중 적어도 하나가 브레이크 캐리어의 패드 슬롯의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는 경우, 유리하게 간단한 인장력이 브레이크 패드 상에 생성되며, 브레이크 캐리어에 추가적인 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홀더에 의해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부착된다. 따라서, 중량에 대한 유리한 절감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와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사이에 초기 인장된 방식으로 배열 및 유지된다. 이것은 초기 인장을 간단하게 생성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섹션, 전이 섹션,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지탱 섹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탱 섹션은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안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섹션은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의 단부에서 패드 백 플레이트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이것은 유리하게 콤팩트한 디자인이 되게 한다.
브레이크 패드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유리하게 간단한 생성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섹션은 브레이크 캐리어의 패드 슬롯의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롤러, 특히 케이블 롤러(cable roller)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유형의 롤러 디자인은 패드-유지 스프링을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이 스프링 와이어로 제조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패드-유지 스프링은 제조하기에 간단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의 각 단부에 2개의 패드-유지 스프링을 제공한다. 이것은 인장력의 생성이 향상되게 한다.
차량용, 특히 상용 차량용의 전술한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한다.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섹션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섹션은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의 일 단부를 넘어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인장된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방법은: 적어도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브레이크 캘리퍼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 캐리어의 브레이크 패드 슬롯에 설치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 캐리어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형태-끼워맞춤 형상을 갖는 것인 작업;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면 위에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를 배치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의 대향 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 캐리어의 표면 상에 지지되는 것인 작업;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의 설치를 허용하는 거리만큼,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를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향해서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작업;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를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대응하는 리테이너 수용 특징부와 결합시키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상측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 캐리어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는 패드 유지 스프링이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는 리프트 핀이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리테이너 수용 특징부는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면 위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아이부(eye)이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아이부는, 사전 결정된 스프링 예하중이 유지되는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 상측면 상의 위치에 상기 패드 유지 스프링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리프트 핀을 수용하고 상기 리프트 핀과 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본 발명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를 갖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캐리어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브레이크 캐리어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2 실시예의 확대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3 실시예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백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실시예의 패드-유지 스프링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패드-유지 스프링의 체결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4 실시예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19는 제4 실시예의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백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0은 도 17 및 도 18에 따른 실시예의 패드-유지 스프링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5 실시예의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백 플레이트 및 패드-유지 스프링의 사시도 및 단면 입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특히 상용 차량에 사용되고, 흔히 공압식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의 일 실시예는 슬라이딩 캘리퍼의 형태이며, 예를 들어 인접한 휠 림 부근의 압박된 구성 공간에 사용된다.
"상부", "하부", "우측", "좌측" 등과 같은 용어는 도면의 방향 및 배열과 관련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특히 상용 차량에 사용되고, 흔히 공압식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의 일 실시예는 슬라이딩 캘리퍼의 형태이며, 예를 들어 인접한 휠 림 부근의 압박된 구성 공간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 예를 들어 공압 디스크 브레이크(1)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3)를 갖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 캐리어(5)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양호한 명확화를 위해, 브레이크 디스크(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상상 가능하다. 도 2는 브레이크 캐리어(5) 내의 브레이크 패드(3)의 마찰 패드(3b)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브레이크 패드(3)에 작용하는 힘(11, 12)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브레이크 캐리어 혼(5'a)과 결합하는 브레이크 패드(3)의 일 측부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1)는 예를 들어 차량, 특히 상용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이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2), 및 브레이크 디스크(2)의 양 측면 상에 배열된 2개의 브레이크 패드(3)를 포함한다. 본원에는, 2개의 브레이크 패드(3) 중,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만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는 쉽게 상상 가능하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와 동일할 수 있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1)는 브레이크 캐리어(5), 브레이크 캘리퍼(6) 및 인가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패드(3b)가 부착되는 패드 백 플레이트(3a)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패드(3)는 브레이크 캐리어(5)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 5b, 5'b) 사이의 패드 슬롯(15, 16)(또한, 도 5, 도 6 참조) 내에 각각 수용되고, 브레이크 캐리어(5)에 유지된다. 패드-유지 클립(도시되지 않음)은 브레이크 패드(3) 위에, 즉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적어도 브레이크 패드(3)는 관련 패드 슬롯(15) 내에서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양의 x 방향으로의 관련 차량의 전방 이동 중에, 브레이크 디스크(2)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을 중심으로 메인 회전 방향(10)(도 3)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도 1의 좌측에 위치된 브레이크 캘리퍼(6)의 측부는 입구측으로 지칭되고, 우측에 위치된 브레이크 캘리퍼(6)의 측부는 출구측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b)은 입구측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b)으로 지칭되고, 반대측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b)은 출구측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b)으로 지칭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입구측에 할당된 구성요소 및 조립체는 이하에서 각각의 참조 부호에 있는 아포스트로피(')에 의해 식별된다.
브레이크 캘리퍼(6)는 본원에서 슬라이딩 캘리퍼로서 설계되고, 연결 섹션(6c, 6'c)를 통해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 양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인가 섹션(6a) 및 배면 섹션(6b)을 구비한다. 인가 섹션(6a) 및 배면 섹션(6b)은 본원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의 일 측부 상에 그에 평행한 방식으로 각각 배열되고, 연결 섹션(6c)은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에 평행한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인가 섹션(6a) 및 배면 섹션(6b)은, 연결 섹션(6c)과 함께, 설치, 교환 및 유지보수 작업 동안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한 접근을 위해, 브레이크 패드(3)를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2) 위에 개구를 형성한다.
브레이크 캘리퍼(6)의 인가 섹션(6a)은 디스크 브레이크(1)의 인가 장치를 수용한다. 인가 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1)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압축 공기 실린더를 갖는 선회식 브레이크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지 않는다.
브레이크 캘리퍼(6)의 인가 섹션(6a)이 인가 장치와 함께 배열되는 디스크 브레이크(1)의 측부는 이하에서 인가측(ZS)으로 지칭된다. 브레이크 캘리퍼(6)의 배면 섹션(6b)이 배열되는 디스크 브레이크(1)의 다른 측부는 이하에서 배면측(RS)으로 지칭되며, 이는 반동측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용어 "인가측" 및 "배면측", 그리고 이것을 참조하는 다른 명칭은 통상적인 것이고, 보다 양호한 배향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인가측(ZS) 상에 위치된 패드 백 플레이트(3a)를 갖는 브레이크 패드(3)는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로 지칭되고, 이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와는 반대측의 브레이크 패드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로 지칭된다.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의 인가력에 의한 제동 작동 중에 인가 장치에 의해 작용을 받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상 가능한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캘리퍼(6)의 배면 섹션(6b)에 수용되고, 슬라이딩 브레이크 캘리퍼(6)를 갖는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1)의 경우에는 배면 섹션(6b)에 대한 어떠한 이동도 하지 않는다.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에는,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 상에 패드-유지 스프링(7)이 제공되어 있다. 패드-유지 스프링(7)(도 2)은 중앙 섹션(7a); 아암(7b, 7'b); 압력 섹션(7c, 7'c) 및 전이 섹션(7d, 7'd)을 포함한다.
중앙 섹션(7a)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에서 이 상측부(3d)의 대략 중앙에 체결되고, 패드 백 플레이트(3b)의 종방향[즉, 브레이크 패드(3)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에 평행한 방향]의 양 측부쪽으로, 각각의 경우에 종방향으로의 패드 백 플레이트(3d)의 길이의 1/4에 대략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된다. 중앙 섹션(7a)의 체결은, 예를 들어 용접, 리벳, 스크루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아암(7b, 7'b)을 중앙 섹션(7a)에 연결시키는 각각의 전이 섹션(7d, 7'd)은 중앙 섹션(7a)의 각 단부에 부착된다. 전이 섹션(7d, 7'd)은 곡선형 디자인을 갖고, 상기 전이 섹션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이 섹션(7d, 7d')은 각각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 상에 선형 접촉한 상태로 안착된다. 본 예에서, 브레이크 패드(3)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선형 접촉부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물론, 다른 접촉 형태, 예를 들어 단일-점 접촉, 다중-점 접촉, 다중-선 접촉 등이 또한 가능하다.
볼록한 전이 섹션(7d, 7'd)은 중앙 섹션(7a)으로 연결되고, 그 결과 상기 전이 섹션은 중앙 섹션(7a)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측부(3d) 상에 가압된다.
각각의 전이 섹션(7d, 7'd)은 각각의 아암(7b, 7'b)으로 이어진다. 각각의 아암(7b, 7'b)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의 각각의 단부까지 연장되고, 브레이크 패드(3)가 끼워맞춰지지 않은 경우 패드 백 플레이트(3a) 상에 각각의 단부가 안착된다.
각각의 경우에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종방향으로 상측부(3d)의 관련 단부를 넘어 돌출하고 중앙 섹션(7a), 전이 섹션(7d, 7'd) 및 아암(7b, 7'b)의 스프링력에 의해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 상에 가압되는 각각의 압력 섹션(7c, 7'c)은 아암(7b, 7'b)의 각 자유 단부에 부착된다.
각각의 압력 섹션(7c, 7'c)은 그 볼록한 면이 패드 백 플레이트(3a)를 향해 하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볼록한 디자인을 갖는다. 압력 섹션(7c, 7'c)의 곡률(rounding)은 전이 섹션(7d, 7'd)의 곡률보다 작다.
본 예에서, 패드-유지 스프링(7)의 폭은 일정하고, 본원에서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두께에 대략 대응한다. 상기 폭 및 상기 두께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물론, 패드-유지 스프링(7)의 폭은 또한 패드 백 플레이트(3a)에 대해 상이하게 연장될 수도 있고 및/또는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인가측 패드 슬롯(15)은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에 의해 양 측부가 한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럿(5d)에 의해 그 하측부가 폐쇄된다[스트럿(5d)은 생략될 수 있음].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은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각각의 러그(5c, 5'c)를 구비하며, 각각의 러그(5c, 5'c)는 패드 슬롯(15) 내로 내측으로 돌출하고, 둥근 코너를 갖는다. 언더컷(4, 4')은 각각의 러그(5c, 5'c)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언더컷은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 내에, 각각의 경우에 외측으로 형성되며, 즉 브레이크 디스크(2)에 평행한 평면에서 패드 슬롯(15)으로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경우에 러그(5c, 5'c)를 갖는 윤곽을 형성한다. 각각의 언더컷(4, 4')은 각 러그(5c, 5'c) 아래에서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 내로 스트럿(5d)에 초기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러면, 상기 각각의 윤곽은 각각의 경우에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 내에서 직각으로 안착부(rest)까지 하향으로 연장되고, 이 안착부는, 그 입장에서는, 패드 슬롯(15)의 내측부를 향해 직각으로 각각의 러그(5c, 5'c) 아래의 언더컷(4, 4')의 길이에 대략 대응하는 거리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안착부는 스트럿(5d)에 의해 연결되며, 스트럿(5d)의 상측부는 안착부의 표면보다 하측에, 즉 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쪽에 배열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3a)와 러그(5c, 5'c) 사이의 동등한 안착 표면들이 보다 높은 위치, 예를 들어 러그(5c, 5'c)의 상부 내로 기계가공된 편평한 표면 및 기계가공된 편평면 바로 위의 영역에서 백 플레이트 내에 기계가공된 편평한 표면에 위치되는 경우, 안착부는 생략될 수 있다.
인가측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각각의 측부는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과 상호작용하고, 관련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의 각각의 윤곽에 대응하는 윤곽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러그(5c, 5'c)의 형상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관련 측부에 형성되며,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각각의 직사각형 돌출부(3c, 3'c)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의 각각의 관련 언더컷(4, 4')과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는 패드 백 플레이트(3a)에 의해 러그(5c, 5'c) 및 언더컷(4, 4')을 갖는 윤곽의 인가측 패드 슬롯(15)에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수용되고, 그에 따라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는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지만,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고정된다. 인가측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하측부의 단부 영역만이 본원에서 스트럿(5d)의 단부에서 각각의 안착부 상에 안착된다.
도 2에서, 브레이크 패드(3)는 브레이크 캐리어(5)의 패드 슬롯(15) 내에 삽입된다. 이것은 우선 브레이크 패드(3)를 패드 슬롯(15, 16)(도 5 및 도 6) 사이의 중간 공간 내로 반경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 동안에, 패드-유지 스프링(7)은 우선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 상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는 브레이크 캐리어(5)의 언더컷(4, 4')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정렬된다. 이어서, 브레이크 패드(3)는 브레이크 캐리어(5)의 패드 슬롯(15)에 고정되고, 브레이크 캘리퍼(6)에 의해 그 작동 위치로, 축방향으로, 즉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3)의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측부의 윤곽은 본원에서 러그(5c, 5'c) 및 언더컷(4, 4')의 윤곽과 결합하여, 형태-끼워맞춤 접촉을 형성한다. 그러면, 패드-유지 스프링(7)의 압력 섹션(7c, 7'c)의 볼록한 면은 각각의 경우에 그 접촉 섹션(9, 9')에 의해 접촉하여,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의 상측부 상의 안착 섹션(8, 8') 상에 안착된다. 패드-유지 스프링(7)은 본원에서 인가측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 상에 지지되고, 패드-유지 스프링(7)의 스프링력과 반대로 상향으로 인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 측부 상에서 인장된 패드-유지 스프링(7)은 브레이크 패드(3) 상에,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으로부터 멀리 향하게 하는 방식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한다. 이것은 캐리어 혼 러그(5c, 5'c)의 하측부의 언더컷 표면(13, 13') 상의 브레이크 패드 돌출부(3c, 3'c)의 언더컷 표면(14, 14')에 의해 브레이크 캐리어 혼(5c, 5'c)에 대해 브레이크 패드(3)를 유격없이 접촉하게 한다.
특히 디스크 브레이크(1)의 단일-제동 인가 스핀들 실시예의 경우에, [종방향 측부, 즉 브레이크 패드(3)의 긴 측부에 걸친] 접선방향 경사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마찰력(11)이 레버 운동역학에 의해 입구측 언더컷 표면(13', 14') 상에 생성된다. 레버 운동역학은 레버 아암(11a)을 사용하여 선회 지점(10a)을 중심으로 토크를 발생시킨다. 선회 지점(10a)은 본원에 있어서 언더컷 표면(13 및 14) 사이에서 출구측 돌출부(3c)의 상측 코너 에지와 출구측 브레이크 캐리어 혼(5a)의 러그(5c)의 하측 코너 에지 사이의 접촉부에 놓인다.
상기 토크는 진입 토크(entering torque)[레버 아암(12a)에 의한 힘(12) - 출구측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상에서의 브레이크 패드(3)의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지지에 의해 마찰 패드(3b)의 진입측이 보다 심하게 마모되게 하는 알려진 효과를 발휘함]에 반대로 작용하고, 따라서 (접선방향) 경사 패드 마모의 일부를 보상한다.
이러한 효과의 최적 사용을 위해, 언더컷 표면(13, 14; 13', 14')은 브레이크 패드(3)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유격없는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의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브레이크 캐리어(5)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브레이크 캐리어(5)의 체결측(5e)을 바라보는 인가측(ZS)(도 1)에서 볼 때 브레이크 캐리어(5)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을 갖는 인가측 패드 슬롯(15) 및 인가측 패드 슬롯(15) 내로 돌출하는 러그(5c, 5'c)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배면측 패드 슬롯(16)은 러그가 없는 브레이크 캐리어 혼(5b, 5'b)을 구비하며, 이들 브레이크 캐리어 혼(5b, 5'b)은 스트럿(5d)과 평행한 스트럿(5f)에 의해 연결된다.
도 6은 출구측 언더컷(4)을 확대된 형태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브레이크 캐리어(5)의 체결측(5e)의 입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브레이크 캐리어(5)는 그 체결측(5e)에 의해 차량의 위치적으로 고정된 체결 섹션에 부착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부분 단면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단면은 브레이크 디스크 평면에 평행한 브레이크 캐리어(5)를 통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도 9는 디스크 브레이크(1)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의 제2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디스크 브레이크(1)의 구성요소는 브레이크 패드(3)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3)의 차이점만이 이하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는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마찰 패드(3b)를 갖는 패드 백 플레이트(3a)를 구비한다. 패드 백 플레이트(3a)에는, 러그(5c, 5'c) 및 언더컷(4, 4')의 윤곽과 대응하는 윤곽이 제공된다. 이것은 이미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되었다.
패드 백 플레이트(3a)에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70, 70')을 위한 각각의 스프링 홀더(17, 17')가 상측부(3d) 상의 측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스프링 홀더(17, 17')는 패드 백 플레이트(3a)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7a, 17'a)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17a, 17'a)는 플레이트형이고,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두께의 대략 2배로 상향으로 돌출한다.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종방향으로의 각각의 돌출부(17a, 17'a)의 팽창은 마찬가지로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두께의 대략 2배에 대응한다. 각각의 돌출부(17a, 17'a)는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각 측부로부터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종방향의 중앙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오프셋되어 배열되며, 상기 거리는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두께에 대략 대응한다.
각각의 돌출부(17a, 17'a)의 인가측(ZS)을 향하는 배면은 인가측(ZS)을 향하는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배면과 정렬된다.
각각의 유지 요소(18, 18')는 각각의 돌출부(17a, 17'a)의 마찰 패드(3b)를 향하는 측부의 중앙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요소(18, 18')는 브레이크 디스크 축(2a)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롤러이다. 상기 롤러는 예를 들어 케이블 롤러로서 설계될 수 있다.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에는, 각각의 유지 요소(18, 18') 아래의 영역에서 유지 요소(18, 18')의 롤러 직경과 대응하는 각각의 곡선형 리세스가 제공되고, 각각의 유지 요소(18, 18')는 이 리세스에 대해 소정 거리에 배열된다.
각각의 패드-유지 스프링(70, 70')은 각각의 유지 요소(18, 18')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 사이에 배열되고, 그 형상, 및 각각의 유지 요소(18, 18')와 상측부(3d)의 각각의 리세스 사이에서의 배열에 의해 초기 인장된다. 상기 초기 인장은, 각각의 패드-유지 스프링(70, 70')의 일 단부가 초기 장력 하에서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 상에 안착되고, 타 단부가 패드 브레이크 플레이트(3a)의 종방향으로 상측부(3d)의 각각의 단부를 넘어 돌출되며, 브레이크 패드(3)가 끼워맞춰지지 않은 경우에, 상측부(3d)의 상기 단부 상에 초기 인장된 방식으로 안착되는 효과를 갖는다.
각각의 패드-유지 스프링(70, 70')은 중앙 섹션(70a), 전이 섹션(70b 및 70c),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섹션(71, 71') 및 적어도 하나의 지탱 섹션(72, 72')을 포함한다.
출구측 패드-유지 스프링(70)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입구측 패드-유지 스프링(70')의 구성은 거울 반전된 디자인을 갖는다.
전이 섹션(70b, 70c)은 중앙 섹션(70a)의 각 단부에 부착된다. 전이 섹션(70b)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의 일 단부를 향하여 있고, 중앙 섹션(70a)을 압력 섹션(71)에 연결한다. 전이 섹션(70c)은 중앙부(70a)의 타 단부 상에 부착되고, 상측부(3d)의 중앙을 향하여 있으며, 중앙 섹션(70a)을 지탱 섹션(72)에 연결한다. 각각의 전이 섹션(70b, 70c)은 상측부(3d)를 향해 만곡된 방식으로 상측부(3d)에 대해 형상설정된다.
압력 섹션(71)의 자유 단부의 하측부는 브레이크 패드(3)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브레이크 캐리어 혼(5a)의 안착 부분(8) 상에 안착되는 접촉 섹션(9)을 갖는다. 브레이크 패드(3)가 끼워맞춰지지 않으면, 압력 섹션(71)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의 단부 상에 안착된다.
지탱 섹션(72)의 자유 단부의 하측부는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 상에 지속적으로 안착되는 안착 섹션(72a)을 갖는다.
중앙 섹션(70a)은 유지 요소(18)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의 리세스 사이에 배열되고, 중앙 섹션(70a)은 상측부(3d)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것은 리세스에 의해, 그리고 또한 케이블 롤러의 형태인 유지 요소(18)의 구성에 의해 가능해진다.
전이 섹션(70b, 70c)은 중앙 섹션(70a)으로 연결되고, 그 결과 압력 섹션(71)은 중앙 섹션(7a)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측부(3d)의 단부 또는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상에 가압된다. 동시에, 이러한 방식으로 인장된 중앙 섹션(70a)은 지탱 섹션(72)이 또한 상측부(3d) 상에 가압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예에서, 패드-유지 스프링(70, 70')은 스프링 와이어 재료로 제조된다. 이러한 경우에, 단부는 압력 섹션(71, 71') 및 지탱 섹션(72, 72')을 형성하기 위해 대응적으로 절곡된다. 점형(punctiform) 및/또는 곡선형 접촉 섹션은 본원에서 각각의 안착 표면과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된다.
브레이크 패드(3)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의 제3 실시예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인가측(ZS)(도 1)에서 볼 때, 패드 백 플레이트(3)의 작동측(3j)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브레이크 디스크(2)로부터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작동측(3j) 상에서 본,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브레이크 패드(3)의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실시예의 패드-유지 스프링(7)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브레이크 패드(3)의 도 15에 따른 패드-유지 스프링(7)의 체결 요소(2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디스크 브레이크(1)의 구성요소는 브레이크 패드(3)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3)의 차이점만이 이하에서 다루어진다.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는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마찰 패드(3b)를 갖는 패드 백 플레이트(3a)를 구비한다. 패드 백 플레이트(3a)에는, 러그(5c, 5'c) 및 언더컷(4, 4')의 윤곽과 대응하고 앞서 이미 설명된 윤곽이 제공된다.
제1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패드-유지 스프링(7)은 그 중앙에서 체결 요소(20)에 의해 체결 섹션(3f)에 고정된다. 체결 요소(20)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패드-유지 스프링(7)은 중앙 섹션(7a); 아암(7b, 7'b); 압력 섹션(7c, 7'c); 중간 섹션(7e, 7'e)을 포함한다.
중앙 섹션(7a)에는 체결 요소(20)의 일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 패드-유지 스프링(7)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7f)이 제공된다. 슬릿(7f)은 패드-유지 스프링(7)의 가상 중심선에서 연장되지 않고, 오히려 마찰 패드(3b)를 향한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패드-유지 스프링(7)의 가상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가상 중심선은 패드-유지 스프링(7)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중앙 섹션(7a)의 길이는 제1 실시예의 패드-유지 스프링(7)의 중앙 섹션(7a)의 길이의 대략 절반에 대응한다.
각각의 아암(7b, 7'b)은 중앙 섹션(7a)의 각 단부에 부착된다. 제1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아암(7b, 7'b)은 중앙 섹션(7a)보다 실질적으로 길고,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중앙 섹션(7a)의 길이의 2배만큼 길다.
각각의 아암(7b, 7'b)은 그 자유 단부의 영역에서 각각의 슬릿(7g, 7'g)을 구비한다. 슬릿(7g, 7'g)은 각각의 경우에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 상에 안내 돌출부(3g, 3'g)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압력 섹션(7c, 7'c)은 중간 섹션(7e, 7'e)을 통해 아암(7b, 7'b)의 각 자유 단부에 부착된다. 각각의 중간 섹션(7e, 7'e)은,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를 향하는 방식으로, 본원에서는 각각의 아암 단부로부터 둔각으로 하향으로 절곡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각의 압력 섹션(7c, 7'c)은 중간 섹션(7e, 7'e)의 각 자유 단부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상향으로 절곡된다. 압력 섹션(7c, 7'c)은 각각 패드 백 플레이트(3a)를 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패드 백 플레이트(3a)로부터,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종방향으로의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의 팽창에 대략 대응하는 거리만큼 돌출된다.
체결 섹션(3f)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로부터 돌출하고, 패드 백 플레이트(3a)를 통해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개구(19)를 갖는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찰 패드(3b)가 부착된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측부 상에서, 개구(19)의 영역에서의 마찰 패드(3b)는 개구(19) 아래 및 그 옆으로 오목하게 된다.
체결 요소(20)(도 16 참조)는 본원에서는 클램프 방식으로 설계되며, 플레이트(20a)를 포함하고, 이 플레이트(20a)의 종방향 측부에는, 각각의 사다리꼴 측벽(20b, 20c)이 각각의 경우에 대략 직각으로 부착된다. 사다리꼴 측벽(20b, 20c)은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짧은 하측부에서 횡방향 섹션(20d)에 의해 연결된다. 횡방향 섹션(20d)은 하나의 측벽(20b)에 직각으로 부착되고 연결부(20e), 예를 들어 용접 시임에서 다른 측벽(20c)의 하측부에 연결된다. 횡방향 섹션(20d)은 플레이트(20a)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패드-유지 스프링(7)의 장착 상태에서 개구(19)를 통해 연장된다. 연결부(20e)는 설치 후에 생성된다.
장착 상태에서, 하나의 사다리꼴 측벽(20b)은 패드-유지 스프링(7)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7f)을 통해 안내된다. 패드-유지 스프링(7)의 중앙 섹션(7a)의 보다 넓은 종방향 섹션은 본원에서 측벽(20b, 20c) 사이에, 그리고 플레이트(20a)의 하측부와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체결 섹션(3f)의 상측부(3d) 사이에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유격을 갖고서 배열된다.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 상에서의 패드-유지 스프링(7)의 장착 상태에서, 안내 돌출부(3g, 3'g)는 각각 패드-유지 스프링(7)의 슬릿(7g, 7'g)을 통해 연장되고, 각각의 아암(7b, 7'b)의 상측부로부터 돌출한다. 패드-유지 스프링(7)의 압력 섹션(7c, 7'c)의 하측부 상의 접촉 섹션(9, 9')은,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는 관련 안착 섹션(8, 8')과 각각 접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드 백 플레이트(3a)는 각각의 경사면(3i, 3'i)을 갖는 상측 경사형 코너 섹션(3e, 3'e)을 갖는다. 각각의 경사면(3i, 3'i)은 리세스(3h, 3'h)를 통해 각각의 안내 돌출부(3g, 3'g) 및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로 이어진다. 리세스(3h, 3'h)는 각각의 경사면(3i, 3'i)으로부터 초기에 직선형 섹션으로 연장되고, 그 후에 각각의 안내 돌출부(3g, 3'g) 및 상측부(3d)로의 전이부에서 각각의 둥근 부분을 갖는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의 제4 실시예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인가측(ZS)(도 1)에서 볼 때, 패드 백 플레이트(3)의 작동측(3j)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브레이크 디스크(2)로부터 마찰 패드(3b)가 없는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마찰 패드(3b)의 측부에서 볼 때, 도 17 및 도 18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브레이크 패드(3)의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마찰 패드(3b)는 여기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쉽게 상상 가능하다. 도 20은 도 17 및 도 18에 따른 실시예의 패드-유지 스프링(7)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패드 백 플레이트(3a)는 개구(19)를 갖는 체결 섹션(3f)을 갖지 않고, 오히려 안내 돌출부(3g, 3'g) 사이에서 연속하는 상측부(3d)를 갖는다. 이러한 제4 실시예에서는, 안내 돌출부(3g, 3'g) 부근에 각각 배열된 2개의 개구(19, 19')가 제공된다. 상기 개구(19, 19')의 서로로부터의 거리는 여기에서 안내 돌출부(3g, 3'g)의 서로로부터의 거리보다 작다.
예시적인 제3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예시적인 제4 실시예의 패드-유지 스프링(7)은 각각의 경우에 중앙 섹션(7a)의 단부 영역에서 체결 요소(20, 20')에 의해 패드 백 플레이트(3a)에 체결된다. 체결 요소(20, 20')는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다. 이것에 관한 설명은 이미 앞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에서, 패드-유지 스프링(7)은 중앙 섹션(7a); 아암(7b, 7'b); 압력 섹션(7c, 7'c); 중간 섹션(7e, 7'e)을 포함한다.
중앙 섹션(7a)의 단부 영역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체결 요소(20, 20')의 일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 패드-유지 스프링(7)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슬릿(7f, 7'f)이 제공된다.
제3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중앙 섹션(7a)의 길이는 예시적인 제3 실시예의 패드-유지 스프링(7)의 중앙 섹션(7a)의 길이의 대략 3배에 대응하고, 안내 돌출부(3g, 3'g)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짧다.
아암(7b, 7'b)은 중앙 섹션(7a)의 각 단부에 각각 부착된다. 아암(7b, 7'b)은 제3 실시예에서의 아암(7b, 7'b)의 길이의 대략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각각의 아암(7b, 7'b)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는, 각각의 슬릿(7g, 7'g)이 제공된다. 슬릿(7g, 7'g)은 각각 안내 돌출부(3g, 3'g)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 섹션(7c, 7'c)은, 제3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중간 섹션(7e, 7'e)을 통해 아암(7b, 7'b)의 각 자유 단부에 부착된다.
패드-유지 스프링(7)은 중앙 섹션(7a)이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부(3d)로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거리에서 연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체결 요소(20, 20')에 의해 패드 백 플레이트(3a)에 부착된다.
브레이크 패드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 및 적어도 하나의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또한 길이가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레이크 캐리어(5)가 브레이크 패드(3)의 간단한 설치를 위해 반경방향 홈(21)으로 지칭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구상할 수 있다. 홈(21)은 관련 러그(5c, 5'c)의 일 측부와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의 에지 사이에서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5a, 5'a)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매우 공간 제약적인 환경에서 패드-유지 스프링 예하중(preload)의 원하는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패드 설치 후에 항상 브레이크 패드, 특히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inboard brake pad)에 리프팅력(lifting force)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00N 내지 250N 정도의 리프팅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이 이용 가능한 작은 편향 범위, 예를 들어 4㎜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50 내지 65 N/㎜ 범위의 스프링율(spring rate)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형의 상용 디스크 브레이크는 2㎜ 정도의 조립 공차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큰 공차는 50 내지 65 N/㎜의 스프링율을 갖는 패드-유지 스프링이 100N 내지 125N만큼 변할 수 있는 스프링 예하중, 즉 원하는 200N 내지 250N 예하중 범위의 50N의 공차보다 큰 변동을 갖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 20 N/㎜의 스프링과 같은 보다 낮은 스프링율을 갖는 패드-유지 스프링이 사용되면, 스프링은, 원하는 200N 내지 250N의 리프팅력을 생성하기 위해 10㎜ 내지 12.5㎜만큼 편향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편향 거리는 공간 제약적인 환경에서 용인될 수 없다.
도 21은 공간 제약적인 환경에서 원하는 브레이크 패드 리프팅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3)가 초기에 브레이크 캐리어 장착 패드 슬롯에 설치된 후에, 패드-유지 스프링(7)은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상측면(3d) 상에 배치되고, 패드-유지 스프링 슬롯(7g, 7g')은 백 플레이트 돌출부(3g, 3g')와 결합하고, 패드-유지 스프링 외측 단부(7c, 7c')는 캐리어 장착 혼(5a, 5a') 상에 안착된다. 다음에, 패드-유지 스프링(7)은 리프트 핀(75)이 패드-유지 스프링(7)의 아이 슬릿(eye slit)(7h)(도 22의 단면 입면도에서 볼 수 있음)을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3a)의 아이 링(eye ring)(3k) 또는 아이부 내에 삽입될 때까지 브레이크 패드의 상측면(3d)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된다. 일단 리프트 핀(75)이 설치되면, 이 리프트 핀(75)은 예를 들어 코터 핀(cotter pin)(76)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핀(75)을 삽입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패드-유지 스프링(7)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힘은 원하는 리프팅력 예하중, 본 예에서는 200N 내지 250N의 압축력과 동일하다.
패드-유지 스프링(7)을 압축하기 위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작업은 설치 공구로서 패드-유지 클립(10)을 사용함으로써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유지 클립(10)이 존재하는 일 실시예에서, 클립의 단부는 캘리퍼 인가측(6a)의 리세스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후에, 패드-유지 스프링(7)의 상측면 상으로 하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패드-유지 스프링(7)과 캘리퍼 인가측(6a)의 리세스 사이의 비교적 짧은 거리와 비교하여 패드-유지 클립(10)의 길이에 의해 제공되는 기계적 이점으로 인해, 스프링(7)은 리프트 핀(75)이 삽입력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은 채로 삽입될 수 있는 지점까지 비교적 용이하게 압축될 수 있다. 일단 핀(75)이 설치되면, 핀(75)이 스프링에 가해지는 예하중력을 받아들이므로 패드-유지 클립(10)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유지 클립(10)이 디스크 브레이크 상에 설치되어야 한다면, 패드-유지 클립(10)은 캘리퍼 인가측(6a)의 리세스로부터 제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 가능할 때 설치되는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패드-유지 스프링 예하중은 스프링,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 및 장착 혼 사이에 직접적으로 설정되고, 이에 의해 조립 공차 누적에 의해 야기되는 예하중 변동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20 N/㎜ 정도의 스프링율을 갖는 패드-유지 스프링의 사용을 허용하며, 이는 200N 내지 250N의 예하중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10㎜ 내지 12.5㎜의 편향이 브레이크 패드 설치 중의 스프링의 압축 동안에 수용될 수 있고, 즉 조립된 브레이크 작동 중에 그러한 큰 스프링 편향을 수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프링 예하중 구성의 다른 이익은 브레이크 패드 리프팅 구조의 일부로서 리테이너 클립(retainer clip)에 대한 의존의 제거를 포함하지만, 리테이너 클립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목적을 위해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이들 도면에서, 유지 클립(10)에는, 아이 링(3k) 및 리프트 핀(75)을 수용하는 슬롯(10b)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를 포함하는 개시된 실시예의 그러한 변경이 당업자에게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디스크 브레이크
2 : 브레이크 디스크
2a :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
3 : 브레이크 패드
3a : 패드 백 플레이트
3b : 마찰 패드
3c, 3'c : 돌출부
3d : 상측부
3e, 3'e : 코너 섹션
3f : 체결 섹션
3g, 3'g : 안내 돌출부
3h, 3'h : 리세스
3i, 3'i : 경사면
3j : 작동측
3k : 아이 링
4, 4' : 언더컷
5 : 브레이크 캐리어
5a, 5'a; 5b, 5'b : 브레이크 캐리어 혼
5c, 5'c : 러그
5d : 스트럿
5e : 체결측
5f : 스트럿
6 : 브레이크 캘리퍼
6a : 인가 섹션
6b : 반동 섹션
6c, 6'c : 연결 섹션
7 : 패드-유지 스프링
7a : 중앙 섹션
7b, 7'b : 아암
7c, 7'c : 압력 섹션
7d, 7'd : 전이 섹션
7e, 7'e : 중간 섹션
7f, 7'f; 7g, 7'g, h : 슬릿
8, 8' : 안착 섹션
9, 9' : 접촉 섹션
10 : 메인 회전 방향
10a : 선회 지점
10b : 슬롯
11, 12 : 힘
11a, 12a : 레버 아암
13, 13' : 언더컷 표면
14, 14' : 언더컷 표면
15, 16 : 패드 슬롯
17, 17' : 스프링 홀더
17a : 돌출부
18, 18' : 유지 요소
19, 19' : 개구
20, 20' : 체결 요소
20a : 플레이트
20b, 20c : 측벽
20d : 횡방향 섹션
20e : 연결부
21 : 홈
70, 70' : 패드-유지 스프링
70a : 중앙 섹션
70b, 70c : 전이 섹션
71, 71' : 압력 섹션
72, 72' : 지탱 섹션
72a : 안착 섹션
75 : 리프트 핀
76 : 코터 핀
RS : 배면측
ZS : 인가측

Claims (32)

  1.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 걸터앉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캐리어;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패드 슬롯에서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각각의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를 갖는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 걸터앉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캘리퍼로서,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상에 지지되는 것인 브레이크 캘리퍼;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및 적어도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형태-끼워맞춤형의 상보적 윤곽을 갖고,
    상기 형태-끼워맞춤형의 상보적 윤곽은 인가측 브레이크 캐리어 패드 슬롯 내로의 대향하는 브레이크 캐리어 돌출부, 및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대향 측방향 측부의 상보적인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측 브레이크 캐리어 혼의 언더컷 표면은 브레이크 패드의 리세스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중앙 섹션, 이 중앙 섹션의 대향 단부에 인접한 아암 섹션, 이 아암 섹션에 인접한 압력 섹션, 및 상기 중앙 섹션과 아암 섹션 사이의 전이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섹션은, 상기 전이 섹션이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에 접촉하고 상기 압력 섹션이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는 거리만큼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측방향 측부를 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대향 단부가 인가측 브레이크 캐리어 패드 슬롯에 인접한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상에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에 의해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상기 압력 섹션은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는 거리만큼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측방향 측부를 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는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횡방향 섹션 및 상기 패드-유지 스프링 위로 연장되는 상측 섹션을 포함하여, 상기 패드-유지 스프링이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와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사이를 통과하게 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유지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의 측벽 섹션이 관통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유지 스프링은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안내 돌출부가 관통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구를 갖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6.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 걸터앉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캐리어;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패드 슬롯에서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각각의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를 갖는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 걸터앉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캘리퍼로서,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상에 지지되는 것인 브레이크 캘리퍼;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및 적어도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형태-끼워맞춤형의 상보적 윤곽을 갖고,
    상기 형태-끼워맞춤형의 상보적 윤곽은 인가측 브레이크 캐리어 패드 슬롯 내로의 대향하는 브레이크 캐리어 돌출부, 및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대향 측방향 측부의 상보적인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측 브레이크 캐리어 혼의 언더컷 표면은 브레이크 패드의 리세스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대향 단부가 인가측 브레이크 캐리어 패드 슬롯에 인접한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상에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의 대향 측방향 측부 각각에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대향 측방향 측부에 있는 상기 스프링 요소는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각각의 인접한 브레이크 혼 위로 연장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는, 인가측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위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각각의 스프링 홀더 상의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 상에 위치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는 각각의 유지 요소에 의해 각각의 스프링 홀더 상에 유지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는 스프링 와이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유지 요소는 롤러이며,
    상기 스프링 요소는 각각의 유지 요소에 의해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초기 인장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는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는 거리만큼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측방향 측부를 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유지 스프링 각각은 중앙 섹션, 각각의 중앙 섹션의 대향 단부에 있는 전이 섹션,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압력 섹션, 및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지탱 섹션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11.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 걸터앉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캐리어;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패드 슬롯에서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각각의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를 갖는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 걸터앉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캘리퍼로서,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상에 지지되는 것인 브레이크 캘리퍼;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 및 적어도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형태-끼워맞춤형의 상보적 윤곽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대향 단부가 인가측 브레이크 캐리어 패드 슬롯에 인접한 브레이크 캐리어 혼 상에 지지되도록, 그리고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상에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유지 스프링의 상측면 위에 배열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결합하는 유지 요소에 의해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에 결합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의 아이부(eye)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핀(lift pin)이며, 상기 패드-유지 스프링은 상기 리프트 핀과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상측면 사이에 포획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13.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인장된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방법으로서,
    적어도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브레이크 캘리퍼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 캐리어의 브레이크 패드 슬롯에 설치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 캐리어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형태-끼워맞춤 형상을 갖는 것인 작업;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면 위에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를 배치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의 대향 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 캐리어의 표면 상에 지지되는 것인 작업;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의 설치를 허용하는 거리만큼,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를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향해서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작업;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를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대응하는 리테이너 수용 특징부와 결합시키는 작업
    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상측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 캐리어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협동하는 것인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는 패드 유지 스프링이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는 리프트 핀이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리테이너 수용 특징부는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상측면 위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아이부(eye)이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아이부는, 사전 결정된 스프링 예하중이 유지되는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 상측면 상의 위치에 상기 패드 유지 스프링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리프트 핀을 수용하고 상기 리프트 핀과 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유지 스프링은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상기 패드 유지 스프링을 통과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백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아이부는 상기 리프트 핀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상기 리프트 핀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상기 아이부에 설치되었을 때,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상기 패드 유지 스프링의 변위를 저지하는 것인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 인장 요소 리테이너는 브레이크 패드 설치 작업 전에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상에 설치되는 것인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인장된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 및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것인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측 브레이크 패드는 배면측 인장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인가측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작업, 배치 작업, 가압 작업, 및 결합 작업에 대응하는 작업에 의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에 설치되는 것인 브레이크 패드의 설치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87016520A 2015-11-12 2016-11-09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KR102663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39,748 2015-11-12
US14/939,748 US10036437B2 (en) 2015-11-12 2015-11-12 Disc brake and set of brake pads
PCT/US2016/061124 WO2017083377A1 (en) 2015-11-12 2016-11-09 Disc brake and set of brake pa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883A KR20180084883A (ko) 2018-07-25
KR102663098B1 true KR102663098B1 (ko) 2024-05-02

Family

ID=5868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520A KR102663098B1 (ko) 2015-11-12 2016-11-09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3) US10036437B2 (ko)
EP (1) EP3374659B1 (ko)
JP (1) JP6688387B2 (ko)
KR (1) KR102663098B1 (ko)
CN (1) CN108603550B (ko)
AU (1) AU2016354121B2 (ko)
CA (1) CA3005196A1 (ko)
DK (1) DK3374659T3 (ko)
ES (1) ES2866040T3 (ko)
HK (1) HK1254294A1 (ko)
HU (1) HUE054533T2 (ko)
MX (1) MX2018005920A (ko)
PL (1) PL3374659T3 (ko)
PT (1) PT3374659T (ko)
RU (1) RU2704650C1 (ko)
WO (1) WO2017083377A1 (ko)
ZA (1) ZA201803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4969A1 (de) * 2015-10-09 2017-04-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15122563A1 (de) * 2015-12-22 2017-06-22 Bpw Bergische Achsen Kg Bremsbelag für eine Scheibenbremse, Scheibenbremse, Niederhalter für Bremsbeläge einer Scheibenbremse
KR20180117677A (ko) * 2016-03-03 2018-10-29 벤딕스 스파이서 파운데이션 브레이크 엘엘씨 디스크 브레이크와 브레이크 패드 세트
DE102017105641B4 (de) * 2017-03-16 2022-09-1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träger und Scheibenbremse
US10400837B2 (en) 2017-10-11 2019-09-03 Arvinmeritor Technology, Llc Brake carri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90271367A1 (en) * 2018-03-02 2019-09-05 Arvinmeritor Technology, Llc Brake assembly having a bridge
DE102018127475B4 (de) * 2018-11-05 2021-05-27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remsbelaghalter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KR102640172B1 (ko) 2019-07-03 2024-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2501A (ja) * 2008-02-22 2011-04-21 クノル−ブレムゼ ジステーメ フューア ヌッツファールツォイゲ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ディスクブレーキのため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5678C3 (de) * 1972-11-14 1975-09-1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Bremsbackenhalte- und -abstützeinrichtung
JPS5386969A (en) 1977-01-08 1978-07-31 Aisin Seiki Co Ltd Disccbrake used pad keep spring
JPS56134641A (en) * 1980-03-01 1981-10-21 Lucas Industries Ltd Disc brake and its friction pad assembly
FR2582763B1 (fr) * 1985-05-30 1987-07-24 Bendix France Ressort de plaque de poussee pour frein a disque
SU1666829A2 (ru) * 1989-07-19 1991-07-30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и автомоторный институт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JPH09329164A (ja) 1996-04-08 1997-12-22 Aisin Seiki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JP3838586B2 (ja) * 1996-09-25 2006-10-25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クリップ
US5875873A (en) 1997-05-05 1999-03-02 Meritor Heavy Vehicle Systems, Llc Air disc brake anti-rattle design
JP3729613B2 (ja) * 1997-08-11 2005-12-21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GB9926022D0 (en) 1999-11-04 2000-01-12 Federal Mogul Brake Sys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disc brake friction elements
GB0301799D0 (en) * 2003-01-25 2003-02-26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Disc brake pad hold down spring and backplate
GB0302186D0 (en) * 2003-01-30 2003-03-05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A disc brake pad spring
DE60317116T2 (de) 2003-12-30 2008-08-07 Freni Brembo S.P.A., Curno Bremsbelag und -sattel für scheibenbremse
DE102004062731A1 (de) 2004-06-04 2005-12-2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cheibenbremse mit Federanordung
JP2006057718A (ja) 2004-08-19 2006-03-02 Akebono Brake Ind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型ディスクブレーキ
JP4086827B2 (ja) 2004-09-15 2008-05-14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型ディスクブレーキ
EP1945965B1 (de) * 2005-11-03 2012-07-1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Halterung für die bremsbeläge einer scheibenbremse und bremsbelag
JP4803019B2 (ja) * 2006-12-20 2011-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DE102007046945B4 (de) * 2007-10-01 2009-07-1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belaghalterung und Bremsbelag einer Scheibenbremse
DE102007049981B4 (de) * 2007-10-18 2009-07-3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belag einer Scheibenbremse
DE102008004806A1 (de) * 2008-01-17 2009-07-3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neumatisch betätigte Scheibenbremse mit Betätigungsstößel
DE102008013514A1 (de) * 2008-03-11 2009-09-17 TRW KFZ-Ausrüstung GmbH Scheibenbremse mit orientierungsgesichertem Einbau der Bremsbeläge
DE202008013446U1 (de) 2008-10-09 2009-04-09 Haldex Brake Products Ab Scheibenbremse sowie Haltebügel und Sperrvorrichtung für Belaghaltefedern hierfür
US8215458B2 (en) * 2008-11-07 2012-07-10 Knor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Fixedly connected pad retaining spring for a brake pad
DE102011115304B3 (de) * 2011-09-29 2013-02-07 Wabco Radbremsen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sowie Niederhaltefeder einer solchen Scheibenbremse
DE102012002734A1 (de) * 2012-02-10 2013-08-1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elaghaltesystem einer Scheibenbrems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102584A1 (de) * 2012-03-26 2013-09-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mit Rückstelleinrichtung und Bremsbelag
DE102012006094A1 (de) 2012-03-26 2013-09-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belaganordnung für eine Schiebesattel-Scheibenbremse
US8540061B1 (en) 2012-08-17 2013-09-24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Disc brake pad mounting and retention system and method
US8544614B1 (en) * 2012-08-17 2013-10-01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Disc brake pad mounting and retention system and method
DE102013216592B4 (de) * 2013-01-31 2022-01-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Reibbelag mit einer Stahldrahtbügelfeder
DE102013013686A1 (de) * 2013-08-16 2015-02-1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elaghaltefeder eines Bremsbelags und Bremsbelaghalterung für eine Scheibenbremse eines Kraftfahrzeugs
US10125832B2 (en) * 2015-11-12 2018-11-13 Knor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Disc brake and brake pad set
US20170138426A1 (en) * 2015-11-12 2017-05-18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Disc Brake and Set of Brake Pads
US9939033B2 (en) * 2016-05-11 2018-04-10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Biased plunger arrangement for a brake pad retention system
FI3458738T3 (fi) * 2016-05-20 2023-04-27 Knorr 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Levyjarru kaupalliseen ajoneuvoon, jarrupala ja jarrupalasarj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2501A (ja) * 2008-02-22 2011-04-21 クノル−ブレムゼ ジステーメ フューア ヌッツファールツォイゲ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ディスクブレーキのため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4659B1 (en) 2021-02-24
US10480599B2 (en) 2019-11-19
EP3374659A1 (en) 2018-09-19
HUE054533T2 (hu) 2021-09-28
ZA201803721B (en) 2019-09-25
RU2704650C1 (ru) 2019-10-30
DK3374659T3 (da) 2021-05-25
US10036437B2 (en) 2018-07-31
MX2018005920A (es) 2018-11-09
US20180363719A1 (en) 2018-12-20
WO2017083377A1 (en) 2017-05-18
PL3374659T3 (pl) 2021-09-27
JP6688387B2 (ja) 2020-04-28
CA3005196A1 (en) 2017-05-18
EP3374659A4 (en) 2019-12-04
CN108603550A (zh) 2018-09-28
AU2016354121B2 (en) 2021-06-17
US20170138427A1 (en) 2017-05-18
CN108603550B (zh) 2019-12-17
HK1254294A1 (zh) 2019-07-19
JP2018533707A (ja) 2018-11-15
KR20180084883A (ko) 2018-07-25
US20180298965A1 (en) 2018-10-18
US10480600B2 (en) 2019-11-19
ES2866040T3 (es) 2021-10-19
BR112018009451A2 (pt) 2018-12-11
PT3374659T (pt) 2021-05-04
AU2016354121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09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US11078975B2 (en) Disc brake for a commercial vehicle and brake pad set
US10801565B2 (en) Disc brake for a utility vehicle, and brake pad set
US10962068B2 (en) Disc brake for a utility vehicle, and brake pad set
US20170138426A1 (en) Disc Brake and Set of Brake Pads
CN108474427B (zh) 具有衬片保持夹和锁定装置的盘式制动器及制动衬片组
CN111480019B (zh) 用于商用车的盘式制动器和制动衬面组
CN114746664B (zh) 用于商用车的盘式制动器
JP2019516928A (ja) 商用車用のディスクブレーキ、ブレーキパッドおよびブレーキパッドセット
CN109416093B (zh) 盘式制动器和制动衬片组
US10125832B2 (en) Disc brake and brake pad set
CA3005196C (en) Disc brake and set of brake p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