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86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868B1
KR102662868B1 KR1020180165934A KR20180165934A KR102662868B1 KR 102662868 B1 KR102662868 B1 KR 102662868B1 KR 1020180165934 A KR1020180165934 A KR 1020180165934A KR 20180165934 A KR20180165934 A KR 20180165934A KR 102662868 B1 KR102662868 B1 KR 10266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air
guide
inlet
guid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936A (ko
Inventor
라선욱
김진균
하종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68B1/ko
Priority to CN201980092553.5A priority patent/CN113454395A/zh
Priority to PCT/KR2019/011404 priority patent/WO2020130286A1/ko
Priority to EP19901350.9A priority patent/EP3879191A4/en
Priority to US17/415,500 priority patent/US20220049854A1/en
Publication of KR2020007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우징에 형성되는 메인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배출방법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도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송풍팬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는 열 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사용자가 배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배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배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열 교환된 공기 및 실내 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풍향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메인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메인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메인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2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향해 분기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메인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보다 느리게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홀을 갖는 배출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메인 배출구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메인 배출구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2 송풍장치의 팬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 장치는 댐퍼 구동원, 및 상기 댐퍼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 또는 회전하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댐퍼,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댐퍼 및 상기 복수의 제2 댐퍼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메인 배출구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송풍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제1 유로와 구획되는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송풍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제1 유로와 구획되는 제3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분배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가 형성된 일 측을 향하도록 설정할 때,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분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가 형성된 일 측을 향하도록 설정할 때,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분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는 축류 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송풍장치는 원심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는 상기 제1 송풍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제1 유로 상에서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배출구는 상기 열 교환기와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열 교환기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메인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배출구, 상기 메인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보다 느리게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홀을 갖는 배출 패널,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메인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메인 배출구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메인 배출구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2 송풍장치의 팬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메인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메인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향해 분기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배출홀을 갖는 배출 패널이 배치된 메인 배출구와 일반적인 송풍을 할 수 있는 가이드 배출구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공기 배출 방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배출홀을 갖는 배출 패널이 배치된 메인 배출구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가이드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부가 마련되므로, 열 교환된 공기 및 실내 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제2 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분배량을 조절함에 따라 풍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복잡한 구조물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중앙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좌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우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작동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작동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분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중앙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좌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우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중앙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좌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우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중앙 기류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좌 기류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우 기류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풍향이 상향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풍향이 하향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고, 냉매와 열교환한 조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각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나 증발기의 역할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난방기가 되고, 증발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냉방기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장치(20)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송풍장치(20) 및 열 교환기(30)가 장착되는 바디 케이스(11)와, 바디 케이스(11)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1 유입구(12)와, 제2 유입구(15)와, 메인 배출구(17)와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는 공기조화기(1)의 후면, 양 측면, 상면 및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는 전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전면은 바디 케이스 개구(11a)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디 케이스 개구(11a)는 전면 패널(16) 및 배출 패널(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전면 패널(16)은 바디 케이스 개구(11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면 패널(16)이 바디 케이스(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면 패널(16)과 바디 케이스(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 패널(16)에는 메인 배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전면 패널(16)을 관통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전면 패널(16)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제1 유입구(12)와 대략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열 교환된 공기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제1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가 형성된 전면 패널(16)의 일 부분에는 배출 패널(4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재(17a)가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재(17a)는 제1 배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재(17a)는 배출 패널(4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에는 제1 유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구(12)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유입구(12)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 유입구(12)가 2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유입구(1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 유입구(12)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유입구(1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에는 제2 유입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15)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유입구(15)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15)는 제1 유입구(1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15)를 통해 외부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입구(12)와 같이, 제2 유입구(15)의 개수 및/또는 형상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패널(16)은 배출 패널(40)과 함께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와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와, 메인 배출구(17)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바디 케이스(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제2 유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가이드 배출구(13, 1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형성하는 전면 패널(16)의 일 부분에는 가이드 배출구(13, 14)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가이드 배출구(13, 1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부(13a, 14a,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가이드 곡면부(13a, 14a)를 따라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 곡면부(13a, 14a)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곡면부(13a, 14a)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 상에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블레이드(61, 62, 도 3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61, 62)는 가이드 배출구(13, 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는 제1 블레이드(6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는 제2 블레이드(6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입구(12)와 메인 배출구(17)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1 유로(S1)라고 하고, 제2 유입구(15)와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2 유로(S2)라고 하며, 제2 유입구(15)와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3 유로(S3)라고 한다. 여기서, 제1 유로(S1)는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와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S1)를 흐르는 공기는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를 흐르는 공기는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는 일부 구간이 겹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는 제2 유입구(15)로부터 제2 송풍장치(26)까지의 구간이 공통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 유로(S1)와 제2 유로(S2)를 구획하는 제1 덕트(18)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덕트(18)는 제1 송풍장치(2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덕트(18)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덕트(18)는 제2 송풍장치(26)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덕트(18)는 제2 송풍장치(26)의 팬 배출구(29a)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덕트(18)는 제2 송풍장치(26)가 송풍한 공기의 일부를 제1 가이드 배출구(13)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덕트(18)에는 제2 송풍장치(26)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제1 덕트 필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 유로(S1)와 제3 유로(S3)를 구획하는 제2 덕트(19)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덕트(19)는 제1 송풍장치(2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덕트(19)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덕트(19)는 제2 송풍장치(26)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덕트(19)는 제2 송풍장치(26)의 팬 배출구(29a)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덕트(19)는 제2 송풍장치(26)가 송풍한 공기의 일부를 제2 가이드 배출구(14)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덕트(19)에는 제2 송풍장치(26)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제2 덕트 필터(19a)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열 교환기(30)와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열 교환기(30)를 거치지 않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배출구(13, 14)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S1) 상에는 열 교환기(30)가 배치되므로,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열 교환된 공기일 수 있다.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상에는 열 교환기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원발명은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상에도 열 교환기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열 교환시키기 위한 열 교환기는 바디 케이스(11)의 수용공간(1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 및 가이드 배출구(13, 14) 모두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바디 케이스(11)는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에 따른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하우징(10)은 바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전장품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11b)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b)에는 공기조화기(1)의 구동에 필요한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11b)에는 제2 송풍장치(26)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20)는 제1 송풍장치(21)와 제2 송풍장치(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26)는 제1 송풍장치(21)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26)의 회전 속도는 제1 송풍장치(21)의 회전 속도와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21)는 제1 유입구(12)와 메인 배출구(17)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21)에 의해 공기는 제1 유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S1)를 따라 이동하여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21)는 제1 팬(22)과 제1 팬구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22)은 축류 팬 또는 사류 팬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팬(22)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팬(22)은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제1 팬(22)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1 팬(22)은 3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팬(2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구동부(23)는 제1 팬(2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팬구동부(23)는 제1 팬(22)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팬구동부(23)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26)는 제2 유입구(15)와 가이드 배출구(13, 14) 사이에 형성된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26)에 의해 공기는 제2 유입구(15)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유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2 유로(S2)를 따라 이동하여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제3 유로(S3)를 따라 이동하여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송풍장치(26)는 제2 팬(27)과, 제2 팬구동부(28)와, 팬 바디 케이스(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27)은 원심 팬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팬(27)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팬(27)은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제2 팬(27)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2 팬(27)은 2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2 팬(27)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구동부(28)는 제2 팬(27)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팬구동부(28)는 제2 팬(27)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구동부(28)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팬 바디 케이스(29)는 제2 팬(27)을 커버할 수 있다. 팬 바디 케이스(29)는 공기가 유입되는 팬 유입구(미도시)와, 공기가 배출되는 팬 배출구(29a)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유입구와 팬 배출구(29a)는 제2 팬(27)의 종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제1 송풍장치(21)와 제1 유입구(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제1 유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제1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제1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튜브와, 튜브에 결합되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 교환기(3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가 형성된 전면 패널(16)의 일 부분에 배치되는 배출 패널(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패널(40)은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가이드 배출구(13, 14)에서 배출되는 공기보다 느리게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홀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배출홀은 배출 패널(40)의 내외면을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배출홀은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배출홀은 배출 패널(40)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복수의 배출홀에 의해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균일하게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패널(4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지 않은 차단부(40a)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바디 케이스(11)의 제1 유입구(12)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제1 흡입그릴(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그릴(51)은 제1 유입구(12)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흡입그릴(51)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그릴(51)은 제1 유입구(12)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바디 케이스(11)의 제2 유입구(15)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제2 흡입그릴(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입그릴(52)은 제2 유입구(15)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흡입그릴(52)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입그릴(52)은 제2 유입구(15)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전면 패널(16)의 제1 배출구(17)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배출그릴(5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그릴(53)은 패널 지지부재(17a)에 장착될 수 있다. 배출그릴(53)은 제1 배출구(17)를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그릴(53)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그릴(53)은 제1 배출구(17)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만을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에는 배출 패널(4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실내는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기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때, 배출 패널(40)의 복수의 배출홀을 지나며 풍속이 저감되어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송풍장치(21)가 구동됨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 공기는 제1 유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 교환기(30)를 통과하며 열 교환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를 통과하며 열 교환된 공기는 제1 송풍장치(21)를 지나 배출 패널(40)을 통과하며 속도가 저감된 상태로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S1)를 거치며 배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풍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2 송풍장치(26)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서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가이드 배출구(13, 14)만을 통해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하는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상에는 열 교환기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공기조화기(1)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에는 가이드 곡면부(13a, 14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 상에는 블레이드(61, 6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전방을 향해 더 멀리 송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송풍장치(26)가 구동됨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 공기는 제2 유입구(15)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송풍장치(26)를 통과한 후, 제1 유로(S1)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된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상에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한 후,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가이드 곡면부(13a, 14a)를 따라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1 송풍장치(21)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메인 배출구(17)를 통해서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즉, 제2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송풍하므로, 단순히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강한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 및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3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모드로 구동될 때보다 제3 모드로 구동될 때 냉기를 더 멀리까지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1)가 제3 모드로 구동될 때,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된 냉기 또는 온기와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혼합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보다 빠른 속도로 배출되므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된 열 교환된 공기를 더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된 공기와 실내공기가 혼합된 쾌적한 냉기 또는 온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조화기(1)는 제1 송풍장치(21) 및/또는 제2 송풍장치(26)의 구동력을 변경시킴에 따라, 냉기를 다양한 거리에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 송풍장치(21)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송풍장치(26)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송풍장치(26)의 구동력을 증가시켜 가이드 배출구(13, 1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증가시킬 때,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된 공기를 더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제2 송풍장치(26)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가이드 배출구(13, 1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감소시킬 때,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된 공기를 비교적 근거리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중앙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좌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우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작동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작동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분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분배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바디 케이스(11)의 수용공간(11b)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제2 송풍장치(26)의 팬 배출구(29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제2 유입구(15)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가이드 배출구(13) 및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향해 분기되는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제1 유입구(12)와 제2 유입구(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제2 송풍장치(26)가 송풍하는 공기를 제1 덕트(18) 및 제2 덕트(19)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 및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바디 케이스(11)에 장착되는 분배 케이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케이스(111)는 제2 송풍장치(26)와 연결되는 분배 유입구(112)와, 제1 덕트(18)와 연결되는 제1 분배 배출구(113)와, 제2 덕트(19)와 연결되는 제2 분배 배출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케이스(111)는 분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1 분배 배출구(113) 및 제2 분배 배출구(114)로 분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배 유입구(112)는 분배 케이스(111)의 저면이 개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분배 유입구(112)는 제2 송풍장치(26)의 팬 배출구(29a)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26)가 송풍하는 공기는 분배 유입구(112)를 통해 분배 장치(1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분배 배출구(113)는 분배 케이스(111)의 상면의 일부가 개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배 배출구(113)는 제1 덕트(18)와 연통될 수 있다. 분배 유입구(112)를 통해 분배 장치(110)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1 분배 배출구(113)를 통해 제1 덕트(18)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분배 배출구(114)는 분배 케이스(111)의 상면의 다른 일부가 개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배 배출구(114)는 제2 덕트(19)와 연통될 수 있다. 분배 유입구(112)를 통해 분배 장치(110)로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제2 분배 배출구(114)를 통해 제2 덕트(19)로 배출될 수 있다.
분배 장치(110)는 제1 덕트(18) 및 제2 덕트(19)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댐퍼(115)와, 댐퍼 구동원(116)과, 동력 전달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15)는 분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1 분배 배출구(113) 및 제2 분배 배출구(114)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댐퍼(1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15)와 제1 가이드 배출구(1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S2)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댐퍼(115)는 분배 유입구(112)와 제1 분배 배출구(113)를 연결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1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15)와 제2 가이드 배출구(14)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S3)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댐퍼(115)는 분배 유입구(112)와 제2 분배 배출구(114)를 연결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 구동원(116)은 댐퍼(115)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댐퍼 구동원(116)은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재(117)는 댐퍼 구동원(116)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댐퍼(115)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에서 동력 전달부재(117)는 댐퍼(115)에 형성되는 랙 기어와, 댐퍼 구동원(116)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댐퍼 구동원(116)의 동력을 댐퍼(115)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15)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1 덕트(18) 및 제2 덕트(19)로 대략 균일하게 분배되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배출구(13) 및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대략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반면, 공기조화기(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배출구(13)가 배치된 좌측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배 배출구(113)를 향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1 덕트(18)보다 제2 덕트(19)로 더 많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배출구(13) 측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좌측을 향하게 된다.
반면, 공기조화기(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배출구(14)가 배치된 우측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배 배출구(114)를 향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2 덕트(19)보다 제1 덕트(18)로 더 많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배출구(14) 측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우측을 향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입력 장치(91)와, 분배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9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91)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풍향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91)는 입력받은 명령을 컨트롤러(92)로 전달할 수 있다. 명령을 전달받은 컨트롤러(92)는 분배 장치(110)의 댐퍼 구동원(116)을 구동시켜 댐퍼(115)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 장치(91)를 통해 공기조화기(1)가 제1 가이드 배출구(13)가 형성된 일 측을 향하도록 풍향을 설정할 때, 컨트롤러(92)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댐퍼(115)를 제2 유로(S2)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입력 장치(91)를 통해 공기조화기(1)가 제2 가이드 배출구(14)가 형성된 일 측을 향하도록 풍향을 설정할 때, 컨트롤러(92)는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댐퍼(115)를 제3 유로(S3)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조화기(1)는 분배 장치(110)의 댐퍼(115)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왕복 이동시킴에 따라, 열 교환된 공기를 더 넓은 영역으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92)는 제2 송풍장치(26)가 송풍하는 공기를 제2 유로(S2)로 20%, 제3 유로(S3)로 80%로 분배하도록 댐퍼(115)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컨트롤러(92)는 제2 유로(S2)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댐퍼(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2 송풍장치(26)가 송풍하는 공기의 80%가 제2 유로(S2)로 흐르고 20%가 제3 유로(S3)로 흐를 때, 컨트롤러(92)는 댐퍼(115)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컨트롤러(92)는 제2 유로(S2)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댐퍼(11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2 유로(S2)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20%가 될 때, 컨트롤러(92)는 다시 댐퍼(115)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댐퍼(115)가 상기와 같이 구동될 때, 공기조화기(1)의 풍향은 좌에서 우로, 다시 우에서 좌로 연속적으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열 교환된 공기는 더 넓은 영역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가이드 배출구(13, 14)에 별도의 구조물 없이 열 교환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중앙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좌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우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2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20)는 바디 케이스(11)에 장착되는 분배 케이스(121)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케이스(121)는 제2 송풍장치(26)와 연결되는 분배 유입구(122)와, 제1 덕트(18)와 연결되는 제1 분배 배출구(123)와, 제2 덕트(19)와 연결되는 제2 분배 배출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케이스(121)는 분배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1 분배 배출구(123) 및 제2 분배 배출구(124)로 분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배 장치(120)는 제1 덕트(18) 및 제2 덕트(19)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댐퍼(125)와, 댐퍼 구동원(126)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125)는 분배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1 분배 배출구(123) 및 제2 분배 배출구(124)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댐퍼(125)는 댐퍼 축(127)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댐퍼(12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15)와 제1 가이드 배출구(1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S2)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댐퍼(125)는 분배 유입구(122)와 제1 분배 배출구(123)를 연결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12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15)와 제2 가이드 배출구(14)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S3)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댐퍼(125)는 분배 유입구(122)와 제2 분배 배출구(124)를 연결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 구동원(126)은 댐퍼(125)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댐퍼 구동원(126)은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25)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1 덕트(18) 및 제2 덕트(19)로 대략 균일하게 분배되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배출구(13) 및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대략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반면, 공기조화기(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배출구(13)가 배치된 좌측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2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배 배출구(123)를 향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제1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댐퍼(125)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1 덕트(18)보다 제2 덕트(19)로 더 많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배출구(13) 측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좌측을 향하게 된다.
반면, 공기조화기(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배출구(14)가 배치된 우측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2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배 배출구(124)를 향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댐퍼(12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2 덕트(19)보다 제1 덕트(18)로 더 많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배출구(14) 측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우측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20)를 갖는 공기조화기(1)는 가이드 배출구(13, 14)에 별도의 구조물 없이 열 교환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중앙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좌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우 기류를 제공할 때, 도 1에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3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30)는 바디 케이스(11)에 장착되는 분배 케이스(131)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케이스(131)는 제2 송풍장치(26)와 연결되는 분배 유입구(132)와, 제1 덕트(18)와 연결되는 제1 분배 배출구(133)와, 제2 덕트(19)와 연결되는 제2 분배 배출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케이스(131)는 분배 유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1 분배 배출구(133) 및 제2 분배 배출구(134)로 분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배 장치(130)는 제1 덕트(18) 및 제2 덕트(19)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댐퍼(135)와, 댐퍼 구동원(136)과, 동력 전달부재(137)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35)는 분배 유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1 분배 배출구(133) 및 제2 분배 배출구(134)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댐퍼(135)는 분배 케이스(131)에 형성된 댐퍼 가이드(13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135)는 공기조화기(1)가 중앙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제공할 때, 분배 케이스(131)의 댐퍼 가이드(138)에 삽입되어 제1 덕트(18) 및 제2 덕트(19)로 분배되는 공기를 간섭하지 않게 된다. 즉, 댐퍼(135)는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상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댐퍼(13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15)와 제1 가이드 배출구(1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S2)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댐퍼(135)는 분배 유입구(132)와 제1 분배 배출구(133)를 연결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135)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15)와 제2 가이드 배출구(14)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S3)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댐퍼(135)는 분배 유입구(132)와 제2 분배 배출구(134)를 연결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 구동원(136)은 댐퍼(135)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댐퍼 구동원(136)은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재(137)는 댐퍼 구동원(136)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댐퍼(135)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5에서 동력 전달부재(137)는 댐퍼(135)에 형성되는 랙 기어와, 댐퍼 구동원(136)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댐퍼 구동원(136)의 동력을 댐퍼(135)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35)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1 덕트(18) 및 제2 덕트(19)로 대략 균일하게 분배되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배출구(13) 및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대략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반면, 공기조화기(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배출구(13)가 배치된 좌측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3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가이드(138)로부터 인출되어 제1 분배 배출구(133)를 향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1 덕트(18)보다 제2 덕트(19)로 더 많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배출구(13) 측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좌측을 향하게 된다.
반면, 공기조화기(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배출구(14)가 배치된 우측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댐퍼(135)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배 배출구(134)를 향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댐퍼(13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장치(26)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제2 덕트(19)보다 제1 덕트(18)로 더 많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배출구(14) 측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우측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30)를 갖는 공기조화기(1)는 가이드 배출구(13, 14)에 별도의 구조물 없이 열 교환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중앙 기류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좌 기류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작동하며 우 기류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풍향이 상향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풍향이 하향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4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40)는 바디 케이스(11)에 장착되는 분배 케이스(141)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케이스(141)는 제2 송풍장치(26)와 연결되는 분배 유입구(미도시)와, 제1 덕트(18)와 연결되는 제1 분배 배출구(143)와, 제2 덕트(19)와 연결되는 제2 분배 배출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케이스(141)는 분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1 분배 배출구(143) 및 제2 분배 배출구(144)로 분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배 장치(140)는 제1 덕트(18)에 배치되는 제1 댐퍼(145) 및 제2 덕트(19)에 배치되는 제2 댐퍼(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퍼(145)는 제1 덕트(18)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댐퍼(146)는 제2 덕트(19)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댐퍼(145) 및 제2 댐퍼(146)는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댐퍼(145)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의 폭 방향에 따른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댐퍼(146)는 제2 가이드 배출구(14)의 폭 방향에 따른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댐퍼(145)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댐퍼(146)는 제2 가이드 배출구(14)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댐퍼(145) 및 제2 댐퍼(146)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1 댐퍼(145)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댐퍼(146)는 제2 가이드 배출구(14)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모드로 동작되며 중앙 기류를 형성할 때, 제1 댐퍼(145)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개방하고, 제2 댐퍼(146)는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과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대략 동일하며, 따라서,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를 중앙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반면, 도 1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모드로 동작되며 좌측 기류를 형성할 때, 제1 댐퍼(145)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댐퍼(145)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의 공기 배출 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배출구(13) 측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좌측을 향하게 된다.
반면, 도 20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모드로 동작되며 우측 기류를 형성할 때, 제2 댐퍼(146)는 제2 가이드 배출구(1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댐퍼(146)는 제2 가이드 배출구(14)의 공기 배출 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배출구(14) 측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우측을 향하게 된다.
아울러,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제1 댐퍼(145) 및 제2 댐퍼(146)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댐퍼(145)가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회전하고, 제2 댐퍼(146)가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회전할 때,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 및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측을 향하게 된다.
반면,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댐퍼(145)가 제1 가이드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회전하고, 제2 댐퍼(146)가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회전할 때,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제1 가이드 배출구(13) 및 제2 가이드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하측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제3 모드로 구동될 때,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된 냉기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공기조화기(1)는 제1 댐퍼(145) 및 제2 댐퍼(146)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냉기의 풍향을 계속해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0; 하우징
11; 바디 케이스
12; 제1 유입구
13; 제1 가이드 배출구
14; 제2 가이드 배출구
15; 제2 유입구
17; 메인 배출구
21; 제1 송풍장치
26; 제2 송풍장치
40; 배출 패널
110, 120, 130, 140; 분배 장치
115, 125, 135; 댐퍼
145; 제1 댐퍼
146; 제2 댐퍼
S1; 제1 유로
S2; 제2 유로
S3; 제3 유로

Claims (20)

  1.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메인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메인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메인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 장치는,
    댐퍼 구동원; 및
    상기 댐퍼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유로를 향해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부분 및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유로를 향해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2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향해 분기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보다 느리게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홀을 갖는 배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메인 배출구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메인 배출구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2 송풍장치의 팬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댐퍼;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댐퍼 및 상기 복수의 제2 댐퍼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메인 배출구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송풍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제1 유로와 구획되는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송풍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제1 유로와 구획되는 제3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덕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가 형성된 일 측을 향하도록 설정할 때,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분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가 형성된 일 측을 향하도록 설정할 때,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분배 장치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장치는 축류 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송풍장치는 원심 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장치는 상기 제1 송풍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제1 유로 상에서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출구는 상기 열 교환기와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열 교환기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6.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메인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배출구;
    상기 메인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보다 느리게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홀을 갖는 배출 패널;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메인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 장치는,
    댐퍼 구동원; 및
    상기 댐퍼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유로를 향해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부분 및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유로를 향해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메인 배출구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는 상기 메인 배출구의 우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제2 송풍장치의 팬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0.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메인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를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배출구;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메인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향해 분기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 장치는,
    댐퍼 구동원; 및
    상기 댐퍼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가이드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유로를 향해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부분 및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유로를 향해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165934A 2018-12-20 2018-12-20 공기조화기 KR10266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934A KR102662868B1 (ko) 2018-12-20 2018-12-20 공기조화기
CN201980092553.5A CN113454395A (zh) 2018-12-20 2019-09-04 空调器
PCT/KR2019/011404 WO2020130286A1 (ko) 2018-12-20 2019-09-04 공기조화기
EP19901350.9A EP3879191A4 (en) 2018-12-20 2019-09-04 AIR CONDITIONER
US17/415,500 US20220049854A1 (en) 2018-12-20 2019-09-04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934A KR102662868B1 (ko) 2018-12-20 2018-12-2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936A KR20200076936A (ko) 2020-06-30
KR102662868B1 true KR102662868B1 (ko) 2024-05-03

Family

ID=7110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934A KR102662868B1 (ko) 2018-12-20 2018-12-2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49854A1 (ko)
EP (1) EP3879191A4 (ko)
KR (1) KR102662868B1 (ko)
CN (1) CN113454395A (ko)
WO (1) WO2020130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05A (ko) * 2021-01-27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D1017784S1 (en) * 2021-10-27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15143526A (zh) * 2022-06-21 2022-10-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N115143528A (zh) * 2022-06-29 2022-10-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调室内机以及空调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60286U (zh) * 2016-10-21 2017-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3341A (en) * 1982-11-17 1985-01-15 Wilhelm Gebhardt Gmbh Blower unit for air-conditioning plant
US7334424B2 (en) * 2004-10-22 2008-02-26 Winiamando Inc. Air conditioner having independent cooling and purifying paths
US9551498B2 (en) * 2012-06-28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CN104235952B (zh) * 2013-06-14 2017-09-05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KR102342119B1 (ko) * 2014-10-31 202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359202B1 (ko) * 2014-12-30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KR101791056B1 (ko) * 2015-07-21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2192B1 (ko) *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30178B1 (ko) * 2016-01-07 202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3285016B1 (en) * 2016-02-26 2021-07-2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206222496U (zh) * 2016-10-31 2017-06-06 成都易态科技有限公司 室内空气调节装置
KR102362390B1 (ko) * 2017-03-31 2022-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0869677B (zh) * 2017-05-18 2022-05-13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
KR102569298B1 (ko) * 2017-05-18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6959284U (zh) * 2017-07-05 2018-02-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导流块及具有其的空调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60286U (zh) * 2016-10-21 2017-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54395A (zh) 2021-09-28
EP3879191A1 (en) 2021-09-15
KR20200076936A (ko) 2020-06-30
EP3879191A4 (en) 2022-01-19
WO2020130286A1 (ko) 2020-06-25
US20220049854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5600A1 (en) Air conditioner
KR102662868B1 (ko) 공기조화기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KR102541386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44162A (ko) 공기조화기
US11067298B2 (en) Air conditioner
EP3631307B1 (en) Air conditioner
US10591170B2 (en) Air conditioner
KR20170043908A (ko) 공기 조화기
KR102184544B1 (ko) 제습기
KR20180044160A (ko) 공기조화기
KR102613461B1 (ko) 공기조화기
KR20200119576A (ko) 공기조화기
KR20240020721A (ko) 공기조화기
US10935273B2 (en) Air conditioner
KR2021004944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01527B1 (ko) 공기조화기
KR20230069898A (ko) 공기조화기
KR102493913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12841A (ko) 공기조화기
US20230314012A1 (en) Air conditioner
KR20220099282A (ko) 공기조화기
KR20220086425A (ko) 공기조화기
KR2015008521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