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57B1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57B1
KR102662757B1 KR1020160035424A KR20160035424A KR102662757B1 KR 102662757 B1 KR102662757 B1 KR 102662757B1 KR 1020160035424 A KR1020160035424 A KR 1020160035424A KR 20160035424 A KR20160035424 A KR 20160035424A KR 102662757 B1 KR102662757 B1 KR 10266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disposed
side plate
protrusion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953A (ko
Inventor
박상옥
민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57B1/ko
Priority to PCT/KR2017/000352 priority patent/WO2017126842A2/ko
Priority to CN201780007366.3A priority patent/CN108474924B/zh
Priority to CN202111535016.9A priority patent/CN114355545B/zh
Priority to CN202111537913.3A priority patent/CN114153103B/zh
Priority to US16/069,112 priority patent/US10830980B2/en
Publication of KR2017011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953A/ko
Priority to US17/038,586 priority patent/US11619798B2/en
Priority to US18/120,564 priority patent/US202302289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구동부에 대향하는 제2구동부; 상기 커버 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오삽 방지부;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제1오삽 방지부와 결합되는 제2오삽 방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카메라 모듈에는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하며 내부에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커버 부재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휴대폰 조립 공정 등에서 렌즈 구동 장치에 하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렌즈 구동 장치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광축 얼라인먼트가 틀어져 성능이 저하되어 문제가 된다.
한편, 종래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커버 부재는 베이스에 대한 조립 방향성이 없어 조립 과정에서 오조립될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US 2014-0307319 A1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렌즈 구동 장치의 눌림에 의한 성능 변화 방지 구조를 갖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커버 부재의 오삽입이 방지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구동부에 대향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대응하거나 상기 베이스의 하면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위치하며, 상기 제2구동부와 대향하는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따라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하단은 상기 단자부의 하단에 대응하거나 상기 단자부의 하단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기판에서 제1측에 위치하는 제1단자부와,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1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측에 위치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 부재에서 상기 제1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커버 부재에서 상기 제2측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단자부로부터 상기 제1단자부의 장변방향 양측 각각으로 이격되는 제1지지 돌기와 제2지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단자부로부터 상기 제2단자부의 장변방향 양측 각각으로 이격되는 제3지지 돌기와 제4지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 돌기 및 상기 제3지지 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커버 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오삽 방지부;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제1오삽 방지부와 결합되는 제2오삽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오삽 방지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지 않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제1오삽 방지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오삽 방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일측 측판에 형성되는 제1돌기와, 상기 커버 부재의 타측 측판에 형성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돌기를 수용하는 제1홈과, 상기 제2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돌기를 수용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오삽 방지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오삽 방지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위치하며, 상기 제2구동부와 대향하는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그라운드 패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 표시 마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구동부에 대향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대응하거나 상기 베이스의 하면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베이스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납땜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액티브 얼라인용 본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구동부에 대향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대응하거나 상기 베이스의 하면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렌즈 구동 장치의 눌림에 의한 성능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가 오삽입 상태로 베이스에 결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커버 부재가 결합된 렌즈 구동 장치를 카메라 모듈의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이 일치하지 않게 결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a)과 변형례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b)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가 카메라 모듈의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일부 구성은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된 상태의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떨림(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렌즈 구동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이라 칭하고, 렌즈 구동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이라 칭한다.
이하에서는, AF 코일부(220), 구동 마그넷(320), OIS 코일부(420)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구동부"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3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AF 코일부(220)는 보빈(210)에 위치하고, 는 하우징(310)에 위치하고, OIS 코일부(420)는 베이스(500)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AF 코일부(220), 및 OIS 코일부(420)는 상호간 위치를 바꾸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코일부(220, 4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적인 마그넷부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구동부는, 상호간 선택적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AF 코일부(220) 및 OIS 코일부(420) 중 어느 하나는 '제1코일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는 '제2코일부'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지지 돌기(171)', '제2지지 돌기(172)', '제3지지 돌기(181)' 및 '제4지지 돌기(182)' 중 어느 하나를 '제1돌기'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2돌기'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3돌기'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4돌기'라 할 수 있다. 이때, '제1돌기(151)'와 '제2돌기(152)' 중 어느 하나를 '제5돌기'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6돌기'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며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갖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미도시), 렌즈 모듈(미도시),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 인쇄회로기판(800), 이미지 센서(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 및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렌즈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되어 렌즈 구동 장치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장치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장치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일례로서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베이스(5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홀더 부재(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5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5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800)은 렌즈 구동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800)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인쇄회로기판(800)의 상면 내측에는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고, 인쇄회로기판(800)의 상면 외측에는 센서홀더(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센서홀더의 상측에는 렌즈 구동 장치가 위치할 있다. 또는, 인쇄회로기판(800)의 상면 외측에 렌즈 구동 장치가 위치하고, 인쇄회로기판(800)의 상면 내측에 이미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수용된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인쇄회로기판(800)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800)은 렌즈 구동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800)에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8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일례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800)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를 이루는 구성 각각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tilt) 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의 피드백(Feedback)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어부는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보빈(210) 또는 하우징(310)의 위치를 수신하여 AF 코일부(220) 내지 OIS 코일부(420)에 인가하는 전원 또는 전류를 제어하여, 보다 정밀한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a)과 변형례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b)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가 카메라 모듈의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커버 부재(100),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고정자(400), 베이스(500), 지지부재(600) 및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커버 부재(100),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고정자(400), 베이스(500), 지지부재(600) 및 센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센서부는, 오토 포커스 피드백 기능 및/또는 손떨림 보정 피드백 기능을 위한 구성으로 생략이 가능하다.
커버 부재(100)는, 내측 공간에 하우징(310) 및 보빈(210)을 수용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베이스(50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렌즈 구동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재(100)는, 일례로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커버부재(100)는,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재(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커버부재(1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렌즈 구동 장치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커버부재(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00)는, 커버부재(100) 내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커버부재(100) 외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커버부재(10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재(100)는, 상판(110), 측판(120) 및 라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하단이 베이스(500)와 결합하는 측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하우징(3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측판(120)과 상판(110)을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라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측판(120)의 하단은, 베이스(500)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내측면이 베이스(500)의 측면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하여 베이스(500)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와 베이스(5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고정자(400) 및 지지부재(6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버부재(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재(100)의 측판(120)의 하단이 베이스(5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800)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부재(100)는 상판(110)에 형성되어 렌즈 모듈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40)는, 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40)의 크기는, 렌즈 모듈이 개구부(140)를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렌즈 모듈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구부(140)를 통해 유입된 광은, 렌즈 모듈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서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베이스(5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베이스(500)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커버 부재(100)는, EMI 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의 측판(120)은,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제1 내지 제4측판(121, 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판(121)은, 제4측판(124) 및 제2측판(1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측판(122)은, 제1측판(121) 및 제3측판(1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측판(123)은, 제2측판(122) 및 제4측판(1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측판(124)은, 제3측판(123) 및 제1측판(1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에는, 제1오삽 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오삽 방지부는, 커버 부재(1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오삽 방지부는, 베이스(500)에 형성되는 제2오삽 방지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오삽 방지부는, 베이스(500)에 형성되는 제2오삽 방지부와 형합될 수 있다. 제1오삽 방지부는, 커버 부재(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지 않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커버 부재(100)의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커버 부재(100)의 방향성이 잘못된 상태로 커버 부재(100)를 삽입하는 경우 커버 부재(100)의 제1오삽 방지부와 베이스(500)의 제2오삽 방지부에 의해 베이스(500)에 대한 커버 부재(100)의 삽입 자체가 이루어 지지 않게 된다.
제1오삽 방지부는, 커버 부재(1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50)는, 커버 부재(1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0)는, 커버 부재(100)의 제1측판(121)에 형성되는 제1돌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50)는, 커버 부재(100) 제3측판(123)에 형성되는 제2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측판(121) 및 제3측판(123)은, 상호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돌기(151) 및 제2돌기(152)는 커버 부재(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돌기(151)와 제2돌기(152)는 커버 부재(100)가 정해진 방향으로 베이스(500)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수용부(55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오삽 방지부는, 커버 부재(10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60)는 커버 부재(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지 않을 수 있다. 함몰부(160)에는 베이스(500)의 삽입부(56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함몰부(160)는, 베이스(500)의 삽입부(560)를 수용할 수 있다.
단, 변형례로서 커버 부재(100)의 함몰부(16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0)가 함몰부(160)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는 추가 함몰부(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500)에는 추가 함몰부에 수용되는 추가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기판(410)의 단자부(412, 413)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지지부(170, 18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70, 180)는, 광학기기의 조립시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가 상측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기판(410)의 일측에 대응하는 커버 부재(100)의 일측 측판(12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판(410)의 일측에 대응하는 커버 부재(100)의 일측 측판(120)은 제2측판(122)일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기판(410)의 타측에 대응하는 커버 부재(100)의 타측 측판(12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판(410)의 타측에 대응하는 커버 부재(100)의 타측 측판(120)은 제4측판(124)일 수 있다.
제1지지부(170) 및 제2지지부(180)의 하단은, 제1단자부(412) 및 제2단자부(413)의 하단과 대응하게 위치하거나 제1단자부(412) 및 상기 제2단자부(413)의 하단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광학기기의 조립시 커버 부재(10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더라도 기판(410)의 단자부(412, 413)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측판(12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70, 18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커버 부재(100)의 측판으로부터 하측으로 베이스(500)에 위치하는 기판(410)의 단자부(412, 413)의 하단 이상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70, 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70, 180)의 하단은, 베이스(500)의 하면에 대응하거나 베이스(500)의 하면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70, 180)의 하단은, 단자부(412, 413)의 하단에 대응하거나 단자부(412, 413)의 하단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70, 180)는, 인쇄회로기판(800)과 결합 부재(9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지지부(170, 180)는, 인쇄회로기판(800)에 납땜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70, 180)는, 인쇄회로기판(800)에 액티브 얼라인용 본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500)의 하면뿐만 아니라 지지부(170, 180)에 까지 액티브 얼라인용 본드가 접착되므로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 얼라인은, 인쇄회로기판(80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와 보빈(210)에 결합된 렌즈 모듈의 광축을 조절하기 위해 접착제에 의해 렌즈 구동 장치를 인쇄회로기판(800)에 가경화한 후 본경화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지지부(170, 180)는, 커버 부재(100)의 제2측판(122)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170)와, 커버 부재(100)의 제4측판(124)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70)는, 제1단자부(412)로부터 제1단자부(412)의 장변방향 양측 각각으로 이격되는 제1지지 돌기(171)와 제2지지 돌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180)는, 제2단자부(413)로부터 제2단자부(413)의 장변방향 양측 각각으로 이격되는 제3지지 돌기(181)와 제4지지 돌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 돌기(171) 및 제3지지 돌기(181)는, 커버 부재(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2지지 돌기(172) 및 제4지지 돌기(182)는, 커버 부재(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커버 부재(10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 표시 마킹(190)이 형성될 수 있다. 방향 표시 마킹(190)은, 커버 부재(100)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방향 표시 마킹(190)은, 커버 부재(100)의 상판(110)에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방향 표시 마킹(190)을 확인함으로써 커버 부재(100)가 결합된 렌즈 구동 장치의 방향성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방향 표시 마킹(190)은, 커버 부재(100)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보빈(210) 및 AF 코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렌즈 모듈과 결합하는 보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보빈(210)에 위치하며 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AF 코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0)은, 커버 부재(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보빈(210)은 렌즈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보빈(210)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에는 AF 코일부(220)가 위치할 수 있다. 보빈(210)에는 AF 코일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의 상부에는 상측 지지부재(61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빈(210)은, 렌즈 수용부(211), 제1구동부 결합부(212) 및 상측 결합부(213), 하측 결합부(미도시) 및 돌기(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0)은 내측에 상하 개방형의 렌즈 수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0)은, 내측에 형성되는 렌즈 수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수용부(211)에는 렌즈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수용부(211)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 수용부(211)는 렌즈 모듈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과 보빈(21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자외선(UV)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일 수 있다. 즉, 렌즈 모듈과 보빈(210)은 자외선 경화 에폭시 및/또는 열 경화 에폭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보빈(210)은, AF 코일부(220)가 배치되는 제1구동부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측면 중 일부가 AF 코일부(22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AF 코일부(220)는 제1구동부 결합부(212)에 직권선될 수 있다. 변형례로서, 제1구동부 결합부(212)는 상측 또는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AF 코일부(220)는 미리 권선된 상태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1구동부 결합부(21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은, 상측 지지부재(610)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부(213)는, 상측 지지부재(610)의 내측부(612)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측 결합부(213)의 돌기(미도시)는 상측 지지부재(610)의 내측부(612)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측 결합부(213)의 돌기는 내측부(612)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상측 지지부재(610)를 고정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측 지지부재(620)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결합부는, 하측 지지부재(620)의 내측부(622)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측 결합부의 돌기(미도시)는 하측 지지부재(620)의 내측부(622)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측 결합부의 돌기는 내측부(622)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하측 지지부재(620)를 고정할 수 있다.
AF 코일부(220)는, 제1구동부 결합부(212)에 가이드되어 보빈(210)의 외측면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AF 코일부(220)는 4 개의 코일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2 개의 코일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보빈(2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AF 코일부(220)는, 와 대향할 수 있다. AF 코일부(220)는, 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AF 코일부(220)는, 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빈(210)을 하우징(31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AF 코일부(220)는 전원 공급을 위한 한 쌍의 인출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F 코일부(220)의 한 쌍의 인출선은, 한 쌍의 상측 지지부재(61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AF 코일부(220)는 상측 지지부재(6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AF 코일부(220)로 전원이 공급되면 AF 코일부(220) 주변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제1가동자(200)의 외측에 제1가동자(200)와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제1가동자(200)를 이동시키거나 제1가동자(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자(400) 및/또는 베이스(50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커버부재(1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하우징(310) 및 구동 마그넷(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보빈(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가동자(300)는, AF 코일부(220)와 대향되게 위치하며 하우징(310)에 고정되는 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부재(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310)의 외측면은, 커버부재(100)의 측판(12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일례로서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하우징(310)의 형상은, 커버부재(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10)은 보빈(2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10)에는 가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베이스(5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OIS 구동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으로써 커버부재(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AF 모델에서는 하우징(310)이 베이스(5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AF 모델에서는, 하우징(310)이 생략되고 가 커버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상부에는 상측 지지부재(61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내측 공간(311), 제2구동부 결합부(312), 상측 결합부(313) 및 하측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어 제1가동자(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내측에 상하 개방형의 내측 공간(31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공간(311)에는 보빈(210)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내측 공간(311)은 보빈(2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측 공간(311)을 형성하는 하우징(310)의 내주면은 보빈(2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측면에 구동 마그넷(3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 마그넷(320)을 수용하는 제2구동부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구동 마그넷(320)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넷(320)은, 제2구동부 결합부(312)에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하우징(310)의 내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마그넷(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AF 코일부(22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일례로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마그넷(320)의 하측에 위치하는 OIS 코일부(420)와 구동 마그넷(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일례로서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제2구동부 결합부(312) 각각에는 구동 마그넷(32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측 지지부재(610)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부(313)는, 상측 지지부재(610)의 외측부(611)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측 결합부(313)의 돌기는 상측 지지부재(610)의 외측부(611)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측 결합부(313)의 돌기는 외측부(611)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상측 지지부재(610)를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하측 지지부재(620)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결합부는, 하측 지지부재(620)의 외측부(621)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측 결합부의 돌기는 하측 지지부재(620)의 외측부(621)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측 결합부의 돌기는 외측부(621)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하측 지지부재(620)를 고정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넷(320)은, 커버 부재(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넷(320)은, AF 코일부(220)와 대향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넷(320)은, AF 코일부(22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AF 코일부(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마그넷(320)은, 하우징(310)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넷(320)은, 하우징(310)의 제2구동부 결합부(312)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넷(320)은, 4 개의 마그넷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2 개의 마그넷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 마그넷(320)은, 하우징(310)의 4 개의 측면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는 마그넷을 통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마그넷(320)은, 하우징(31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자(400)는, 일례로서 기판(410)과 OIS 코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400)는, OIS 코일부(420)와 베이스(500) 사이에 위치하는 기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400)는, 구동 마그넷(320)과 대향하는 OIS 코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연성의 인쇄회로기판인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베이스(500)와 하우징(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410)은, OIS 코일부(420)와 베이스(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410)은 OIS 코일부(4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기판(410)은 AF 코일부(2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서, 기판(410)은, 측방 지지부재(630) 및 상측 지지부재(610)를 통해 AF 코일부(2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기판(410)은, 측방 지지부재(630) 및 상측 지지부재(610)를 통해 AF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기판(410)은, 일례로서 몸체부(411), 제1단자부(412), 제2단자부(413), 그라운드 패드부(414) 및 관통홀(41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몸체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몸체부(4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1단자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몸체부(41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2단자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단자부(412) 및 제2단자부(413) 중 어느 하나는 렌즈 구동 장치의 구동용 전원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센서부의 홀 입출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단자부(412)와 제2단자부(413)는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단자부(412)와 제2단자부(413)가 인쇄회로기판(800)에 반대로 결합되면 렌즈 구동 장치는 정상작동하지 않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커버 부재(100)가 기설정된 자세로만 베이스(500)에 결합되고 커버 부재(10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 표시 마킹(190)이 있어 작업자가 제1단자부(412)와 제2단자부(413)를 인쇄회로기판(800)에 반대로 결합하는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판(410)에는, 돌출부(150)와 접촉하는 그라운드 패드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드부(414)는, 기판(4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드부(414)는, 커버 부재(100)의 돌출부(15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 부재(1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을 차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관통홀(411)을 포함할 수 있다.
OIS 코일부(42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동 마그넷(3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OIS 코일부(420)는, 기판(410)에 위치할 수 있다. OIS 코일부(420)는, 베이스(500)와 하우징(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OIS 코일부(420)는, 구동 마그넷(320)과 대향할 수 있다. OIS 코일부(420)에 전원이 인가되면, OIS 코일부(420)와 구동 마그넷(320)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 마그넷(320) 및 구동 마그넷(320)이 고정된 하우징(310)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OIS 코일부(420)는 기판(410)에 실장되는 패턴 코일(FP coil, Fine Pattern coil)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구동 장치의 소형화(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OIS 코일부(420)는, 일례로서 하측에 위치하는 OIS 센서부(72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IS 코일부(420)는, OIS 센서부(720)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OIS 코일부(420)는, 렌즈 모듈의 광을 통과시키는 관통홀(421)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421)은, 렌즈모듈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OIS 코일부(420)의 관통홀(421)은, 기판(410)의 관통홀(411)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OIS 코일부(420)의 관통홀(421)은, 베이스(500)의 관통홀(510)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421)은 일례로서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500)는, 인쇄회로기판(800)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액티브 얼라인용 접착제에 의해 인쇄회로기판(800)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보빈(2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하우징(3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제2가동자(300)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500)의 하측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관통홀(510), 이물집 포집부(520) 및 센서 장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제2오삽 방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수용부(550)와 삽입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보빈(210)의 렌즈 수용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500)의 관통홀(510)에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500) 하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센서홀더에 적외선 필터가 결합될 수도 있다.
베이스(500)는, 커버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포집부(520)는, 베이스(500)의 상면 상에 위치하며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커버 부재(100)와 베이스(500)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 상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OIS 센서부(720)가 결합되는 센서 장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OIS 센서부(720)는, 센서 장착부(5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OIS 센서부(720)는, 하우징(310)에 결합된 구동 마그넷(320)을 감지하여 하우징(310)의 수평방향 움직임 또는 틸트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장착부(530)는, 일례로서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센서 장착부(530) 각각에는 OIS 센서부(7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OIS 센서부(720)는, 하우징(310)의 x축 및 y축 방향 움직임 모두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축 센서 및 제2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오삽 방지부는, 베이스(5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오삽 방지부는, 제1오삽 방지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오삽 방지부는, 베이스(50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며 돌출부(150)를 수용하는 수용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550)는, 베이스(50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수용부(550)는, 돌출부(150)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550)는,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부(15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550)는, 일례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100)의 돌기(151, 15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홈(55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550)는, 제1돌기(15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1돌기(151)를 수용하는 제1홈(55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550)는, 제2돌기(15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2돌기(152)를 수용하는 제2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551)은, 제1돌기(15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홈(551)은 제1돌기(151)를 수용할 수 있다. 제2홈은, 제2돌기(15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홈은 제2돌기(152)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550)는, 변형례로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100)의 돌기(151, 152)와 일부에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 제3홈(55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550)는, 일부에서 제1돌기(15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측 개방형의 제3홈(55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550)는, 일부에서 제2돌기(15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측 개방형의 제4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홈(553)은 일부에서 제1돌기(15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홈(553)은 하측 개방형일 수 있다. 제4홈은, 일부에서 제2돌기(15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홈은, 하측 개방형일 수 있다.
제2오삽 방지부는, 베이스(50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함몰부(160)에 수용되는 삽입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560)는, 베이스(500)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커버 부재(100)의 함몰부(160)에 수용될 수 있다. 삽입부(5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고정자(400) 및 베이스(500) 중 어느 2개 이상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고정자(400) 및 베이스(500) 중 어느 2개 이상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각 구성요소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600)는, 탄성부재 또는 스프링으로 호칭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일례로서 상측 지지부재(610), 하측 지지부재(620) 및 측방 지지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지지부재(610) 및 하측 지지부재(620)는, '오토 포커스용 스프링', 'AF용 탄성부재'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측방 지지부재(630)는, '손떨림 보정용 스프링', 'OIS용 탄성부재'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하우징(310)의 상부와 보빈(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의 내측부(612)는 보빈(210)의 상측 결합부(213)와 결합되고, 상측 지지부재(610)의 외측부(611)는 하우징(310)의 상측 결합부(313)와 결합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외측부(611), 내측부(612), 연결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보빈(210)에 결합되는 내측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하우징(310)에 결합되는 외측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외측부(611)와 내측부(612)를 연결하는 연결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620)는, 보빈(210)의 하부 및 하우징(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620)는, 외측부(621), 내측부(622), 및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620)는, 하우징(310)과 결합되는 외측부(621), 보빈(210)과 결합되는 내측부(622), 및 외측부(621)와 내측부(6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620)는, 일례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례로서, 하측 지지부재(620)는 한 쌍으로 분리 구비되어 AF 코일부(22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하우징(310)을 베이스(5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고정자(400) 및/또는 베이스(500)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측 지지부재(610) 및/또는 하우징(310)에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고정자(400) 및 상측 지지부재(610)에 결합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고정자(400)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측 지지부재(610)에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측방 지지부재(630)는 제2가동자(3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틸트(tilt)될 수 있도록 제2가동자(300)를 고정자(4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일례로서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측방 지지부재(630)는, 변형례로서 복수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측방 지지부재(630)는 상측 지지부재(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 또는 상측 지지부재(610)는, 충격흡수를 위한 충격흡수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는, 측방 지지부재(630)와 상측 지지부재(6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는, 댐퍼와 같은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또는, 충격흡수부는, 측방 지지부재(630)와 상측 지지부재(6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부에 대한 형상 변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는, 오토 포커스 피드백(Feedback) 및 손떨림 보정 피드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는, 일례로서 AF 센서부 및 OIS 센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AF 센서부는, 하우징(310)에 대한 보빈(210)의 상대적인 상하 이동을 센싱하여 AF 피드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OIS 센서부(720)는, 제2가동자(300)의 수평방향 움직임 내지는 틸트를 감지하여 OIS 피드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F 센서부는, 일례로서 AF 센서(미도시), 센서용 기판(미도시) 및 센싱 마그넷(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AF 센서는, 하우징(3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마그넷은 보빈(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AF 센서는 센서용 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AF 센서는, 보빈(210)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넷을 감지함으로써 보빈(210)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AF 센서는 센싱 마그넷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센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OIS 센서부(720)는, 고정자(400)에 위치할 수 있다. OIS 센서부(720)는, 기판(4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OIS 센서부(720)는, 일례로서 기판(410)의 하면에 배치되어 베이스(500)에 형성되는 센서 장착부(530)에 위치할 수 있다. OIS 센서부(720)는 일례로서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마그넷(320)의 자기장을 센싱하여 고정자(400)에 대한 제2가동자(3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OIS 센서부(720)는, 일례로서 제1축 센서 및 제2축 센서를 포함하여 제2가동자(300)의 x축, y축 움직임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한편, OIS 센서부(720)는, OIS 코일부(420)의 FP 코일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을 설명한다. AF 코일부(220)에 전원이 공급되면, AF 코일부(220)와 구동 마그넷(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AF 코일부(220)가 구동 마그넷(320)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AF 코일부(220)가 결합된 보빈(210)은 AF 코일부(22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렌즈 모듈이 내측에 결합된 보빈(210)이 하우징(310)에 대하여 광축방향(상하방향,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보빈(2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 모듈이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결과가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AF 코일부(220)에 전원을 공급하여 피사체에 대한 포커스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오토 포커스 피드백이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310)에 배치되며 홀센서로 구비되는 AF 센서는, 보빈(210)에 고정된 센싱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따라서, 보빈(210)이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AF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AF 센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빈(210)의 z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보빈(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보빈(21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오토 포커스 피드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설명한다. OIS 코일부(420)에 전원이 공급되면 OIS 코일부(420)와 구동 마그넷(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 마그넷(320)이 OIS 코일부(420)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구동 마그넷(320)이 결합된 하우징(310)은 구동 마그넷(320)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하우징(310)이 베이스(5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하우징(310)이 베이스(500)에 대하여 틸트(tilt)가 유도될 수도 있다. 한편, 보빈(210)은 하우징(310)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3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 모듈이 이미지 센서가 놓여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광축과 수직한 방향,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결과가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OIS 코일부(420)의 OIS 코일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손떨림 보정 피드백이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500)에 장착되며 홀센서로 구비되는 한 쌍의 OIS 센서부(720)는, 하우징(310)에 고정된 구동 마그넷(320)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따라서, 하우징(310)이 베이스(50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OIS 센서부(72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한 쌍의 OIS 센서부(70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310)의 수평방향(x축 및 y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하우징(31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손떨림 보정 피드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100: 커버 부재 200: 제1가동자
300: 제2가동자 400: 고정자
500: 베이스 600: 지지부재

Claims (20)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판과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 부재;
    상기 커버 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커버 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과 상호작용하는 구동 마그넷;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넷; 및
    상기 센싱 마그넷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제3측판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측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2측판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되는 제1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의 하단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측판의 최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이 만나는 제1코너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단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1코너와 이격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돌기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납땜하여 형성되는 땜납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가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2가동자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움직임 또는 틸트를 감지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마그넷은 상기 보빈의 상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와 상기 기판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부재; 및
    상기 보빈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재는 제1하측 지지부재 및 제2하측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측 지지부재 및 상기 제2하측 지지부재는 상기 제1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한 쌍으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1하측 지지부재 및 상기 제2하측 지지부재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넷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2측판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외측에서 볼 때,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단자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4측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4측판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되는 제3돌기와 제4돌기를 포함하고,
    외측에서 볼 때,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단자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3돌기와 상기 제4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측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5돌기와, 상기 제3측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6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5돌기가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6돌기가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5돌기와 상기 제6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지 않는 형상을 갖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5돌기와 상기 제6돌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그라운드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돌기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부와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상기 하단은 상기 제1단자부의 하단과 대응하는 높이로 배치되거나 상기 제1단자부의 상기 하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마그넷은 제1구동 마그넷 및 제2구동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 마그넷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1측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 마그넷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측판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마그넷은 제3구동 마그넷 및 제4구동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 마그넷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3측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4구동 마그넷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4측판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8.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판과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 부재;
    상기 커버 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 마그넷;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단자부;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넷; 및
    상기 센싱 마그넷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제3측판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측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2측판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되는 제1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의 하단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측판의 최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이 만나는 제1코너와 상기 제1단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1코너와 이격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단자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측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넷은 제1구동 마그넷 및 제2구동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 마그넷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1측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 마그넷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3측판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0.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0160035424A 2016-01-19 2016-03-24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24A KR102662757B1 (ko) 2016-03-24 2016-03-24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CT/KR2017/000352 WO2017126842A2 (ko) 2016-01-19 2017-01-11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201780007366.3A CN108474924B (zh) 2016-01-19 2017-01-11 透镜驱动装置、相机模组及光学设备
CN202111535016.9A CN114355545B (zh) 2016-01-19 2017-01-11 透镜驱动装置、相机模组及光学设备
CN202111537913.3A CN114153103B (zh) 2016-01-19 2017-01-11 透镜驱动装置、相机模组及光学设备
US16/069,112 US10830980B2 (en) 2016-01-19 2017-01-11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US17/038,586 US11619798B2 (en) 2016-01-19 2020-09-30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US18/120,564 US20230228963A1 (en) 2016-01-19 2023-03-13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24A KR102662757B1 (ko) 2016-03-24 2016-03-24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953A KR20170110953A (ko) 2017-10-12
KR102662757B1 true KR102662757B1 (ko) 2024-05-03

Family

ID=6014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424A KR102662757B1 (ko) 2016-01-19 2016-03-24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3447B1 (en) 2017-05-22 2023-08-0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481507B1 (ko) * 2017-10-16 2022-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476403B1 (ko) 2017-11-30 2022-1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7319A1 (en) * 2013-04-11 2014-10-16 Tdk Corporation Lens hol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937B1 (ko) * 2013-05-29 2020-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42681A (ko) * 2013-10-11 2015-04-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7319A1 (en) * 2013-04-11 2014-10-16 Tdk Corporation Lens hol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953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73023B (zh) 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光学设备
CN114706261B (zh) 摄像头模块以及光学装置
CN114967032B (zh) 透镜驱动设备、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102641438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07892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44400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113716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09414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2757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106547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63834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2749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9504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5605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71260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92140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67329A (ko) 카메라 모듈
KR102662769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87238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46370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19129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5481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06545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84439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