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02B1 -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02B1
KR102662702B1 KR1020210078844A KR20210078844A KR102662702B1 KR 102662702 B1 KR102662702 B1 KR 102662702B1 KR 1020210078844 A KR1020210078844 A KR 1020210078844A KR 20210078844 A KR20210078844 A KR 20210078844A KR 102662702 B1 KR102662702 B1 KR 10266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failure
information
details
communica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849A (ko
Inventor
김광재
윤여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Standardisation; Integration using relational databas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managing via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설비들을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 및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은 전력 설비와 함께 구비되어 상기 전력 설비와 중앙 관제 센터 사이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정보통신 설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quipment}
다양한 실시 예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설비들을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변전소 등과 같은 전력 설비의 점검 및 관리를 위하여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SCADA가 사용되기 위하여 각 전력 설비와 관제 서버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정보통신 설비(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quipment)가 각 전력 설비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각 전력 설비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정보통신 설비의 현황 및 점검 이력을 현재 각 개소의 설비 담당자가 개별 관리하고 있어 점검 및 현황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가 곤란하다. 정보통신 설비는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자가 설비와 외부 업체에 맡겨 위탁 관리하는 위탁 설비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자가설비는 담당자별 점검이력 개별 관리로 설비간 데이터 공유가 어려운 실정이며, 위탁설비는 위탁업체에서 제출한 점검 서류로 점검 여부를 확인하고 있어 실질적 점검여부 확인이 어렵고 점거사항 검토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고장 이력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정확한 고장원인 파악이 어렵고,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시점을 파악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장애 대응에 있어서도 설비 매뉴얼을 수기로 확인하고 조치에 들어감에 따라 신속한 장애처리가 곤란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부 및 변전소 ICT실에 운용중인 통신설비 현황, 점검이력, 장애이력, 고장이력 등 유지보수 이력을 제공하고, 시스템을 활용하여 정보통신 설비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 및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은 전력 설비와 함께 구비되어 상기 전력 설비와 중앙 관제 센터 사이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정보통신 설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진행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점검 진행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진행의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내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과거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로 상기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상기 인공신경망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을 입력시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추가적으로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애 예방 가이드 또는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장애 처리 가이드를 상기 점검관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노후도, 동작 상태, 장애 이력, 보수 예비품 상태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건전성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점검관리 PC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은 대응하는 점검관리 PC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점검관리 PC는 대응하는 점검관리 단말로부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을 관리하는 점검관리 서버는 관리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 및 출력부, 원격의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함께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진행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점검 진행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진행의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내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과거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로 상기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상기 인공신경망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을 입력시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애 예방 가이드 또는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장애 처리 가이드를 상기 점검관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노후도, 동작 상태, 장애 이력, 보수 예비품 상태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건전성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을 관리하는 점검관리 서버의 점검관리 방법은 원격의 점검관리 단말로부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수신하는 동작,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진행 일정을 수립하는 동작 및 상기 점검 진행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진행의 현황을 관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내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은 과거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학습 데이터로 상기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는 동작, 및 학습된 상기 인공신경망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을 입력시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애 예방 가이드 또는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장애 처리 가이드를 상기 점검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노후도, 동작 상태, 장애 이력, 보수 예비품 상태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동작 및 상기 평가된 건전성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은 장애 징후를 인식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장애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장애예방 가이드 또는 장애처리 가이드를 제공하여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은 점검내역, 장애내역, 고장내역 등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비 교체를 판정함으로써 효율적 자산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은 모바일을 활용한 설비 점검으로 설비현황 및 점검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고, 점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설비 운영 신뢰도 및 유지보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은 점검데이터 및 설비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어 인적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 설비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10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점검관리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데이터베이스부(150)가 정기점검 진행 현황을 관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프로세서가 장애를 예측하고 장애조치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통신 설비 점검관리 서버(100)의 점검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탈착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 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이 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10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100)와 전국에 산재해 있는 전력 설비 소재에서 운용되는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로 구성될 수 있다.
점검관리 서버(100)와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회사 외부와는 연결이 단절되어 있는 인트라넷(intranet)(300)으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핸드폰, 태블릿 등과 같은 이동 가능한 모바일 장치일 수도 있다.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외 추가적으로 점검관리 PC가 있을 수 있다. 점검관리 PC는 각 전력 설비 소재에 구비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실 및/또는 사무실에서 각종 설비현황, 점검이력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전국에 산재해 있는 전력 설비와 함께 구비되어 전력 설비와 중앙 관제 센터 사이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정보통신 설비에 대한 점검 담당자의 점검을 보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통신 설비는 ICT실에 통합적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점검 담당자는 ICT실에서 정보통신 설비 현황을 확인하면서 점검내역, 증빙 사진, 동영상 등의 점검 데이터를 점검관리 단말에 입력할 수 있다.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점검관리 PC와 화면 공유를 통해 점검 내역, 설비 현황 등 점검 데이터를 동기화하면서 실시간으로 점검관리 PC에 점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을 통해 입력되고 점검관리 PC에 저장된 점검 데이터는 사무실에서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에서 입력된 점검 데이터는 바로 점검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점검관리 PC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점검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ICT실의 정보통신 설비 배치도 기반의 점검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점검자는 ICT실 설비 배치도에 있는 점검 설비를 선택하여 설비 점검을 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설비 배치도, 설비가 구비된 랙(RACK) 상의 위치를 나타낸 랙 배치도 등의 설비 현황과 점검양식, 점검항목 등의 점검 데이터를 종합한 설비종합 현황을 점검관리 서버(100)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을 통해 점검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점검자는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의 화면에 표시된 설비종합 현황에 기초하여 점검 설비를 선택하여 설비 점검을 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ICT실 정보통신 설비 배치도를 화면에 도시하고, 점검자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보통신 설비를 선택하면 해당 정보통신 설비를 구비한 랙의 위치 및 랙의 구성도를 도시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통신 설비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이후,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화면에 점검양식 및 점검 항목 등을 표시하여 점검자에게 해당 정보통신 설비에 대하여 점검하여야할 내용을 보여줄 수 있다. 점검자는 점검 항목에 대응하는 점검 결과 입력란에 점검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정보통신 설비 장애 시 점검관리 서버(100)로부터 장애 내역을 수신 받아 해당 설비에 표시할 수 있으며, 담당자는 미처리 장애내역 및 알람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담당자가 장애처리 내역 및 결과를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에 입력하면, 장애 데이터는 점검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정보통신 설비별 점검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점검 가이드는 미리 만들어져 점검관리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정보통신 설비별 점검 가이드를 점검관리 서버(100)로부터 획득하여 점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점검 시 요구되는 각종 현황, 점검 매뉴얼, 체크리스트(checklist)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신속한 장애 대응을 위해 장애와 연관된 정보를 점검관리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은 장애 정보, 설비 매뉴얼, 최신 점검 데이터, 보수 예비품 현황, 설비 제작사 연락처, 장애분석 결과 및 대응 절차 등을 장애 담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담당자는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활용하여 장애 처리를 할 수 있고, 현장에서 장애 처리 결과를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에 입력할 수 있다. 장애 처리 결과는 점검관리 서버(100)로 전달되어 장애 이력 빅데이터로 저장되며, 설비 장애, 고장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
점검관리 서버(100)는 본부에 설치되어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에서 입력된 설비현황, 점검이력, 장애이력 등 점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점검관리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점검관리 서버(100)는 입력부(110), 프로세서(120), 출력부(130), 통신부(140) 및 데이터베이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 인식,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들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정보통신 설비의 현황, 장애, 점검이력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각종 현황, 점검내역, 장애, 고장이력 등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로부터 수집한 점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정보통신 설비별 점검항목(기준치, 검검 사항), 점검 내용, 점검 결과, 점검 부품 등을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고장 이력, 장애 이력 등 부적합 사항에 대해 추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설비별, 부품별, 점검사항별로 분류하여 점검 결과, 조치 내역 등 점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의 요청에 따라 설비 장애 예측 및 RISK 평가를 위해 점검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설비별 점검 일정(반기, 분기, 연간 등) 및 정기점검 진행 일정 및 현황(계획대비 실적)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는 데이터베이스부(150)가 정기점검 진행 현황을 관리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규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계통보호전송설비의 경우에는 점검 규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150)는 각 부 전압 정격치 측정 확인 및 시계의 정확성 확인은 매 분기 별로, 광선로부 송수신 레벨 측정 및 점검, 64K 전송부 TX, RX 전압 측정, 64K 전송부 BIT ERROR 및 데이터 측정, 전송 지연시간 측정, 및 연동 RELAY 동작 상태 확인은 매년 주기로 점검하여야 함을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입력받은 점검 규정에 맞추어 각 점검 일정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20/06/29일에 시작하여 매 3개월마다 계통보호전송설비의 각부 전압 정격치 측정 확인과 시계의 정확성 확인 점검을 시행하는 일정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과의 유,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점검 데이터를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점검관리 서버(100) 전체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을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화면 또는 동작에 필요한 화면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데이터베이스부(150)를 제어하여 점검관리 단말(200a, 200b, 200c)로부터 수신한 점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하거나, 데이터베이스화된 점검 데이터를 읽어 들여 추후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장애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데이터베이스부(150)로부터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수신 받아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장애를 예측하고, 설비상태 및 교체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집된 점검 데이터와 장애 내역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장애를 예측하고, 장애가 예측되는 경우 장애가 예측됨을 알리는 이벤트를 발생하며, 장애조치 가이드를 출력부(13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장애 예측을 위하여 인공신경망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유형, 장애 조치 내역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20)는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유형, 장애 조치 내역을 기초로 인공신경망을 심층 학습시킬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각 정보통신 설비를 보안감시 설비, 전원 설비, 광전송 장치, 계통보호전송장치, 광케이블 등과 같은 유형, 버전, 펌웨어 별로 분류하여 설비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정보통신 설비별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내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장애 내역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정보통신 설비별 장애 내역을 기초로 인공신경망을 학습시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고, 장애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장애 내역에 대한 장애 이벤트 등급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는 프로세서(120)가 출력부(130)를 통해 표시한 장애 이벤트와 장애 내역을 확인한 후 해당 장애 내역에 대한 이벤트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프로세서가 장애를 예측하고 장애조치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S110에서 점검관리 단말로부터 점검 데이터 및 장애 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수집한 점검 데이터 및 장애 내역은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 S120에서, 프로세서(120)는 과거의 점검 데이터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학습한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여 현재의 점검 데이터에 포함된 장애 징후를 인식하여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동작 S130에서, 프로세서(120)는 예측된 장애 각각에 대한 장애 영향도 (예를 들면, 장애 등급, 발생 확률, 발생 예상 시점 등)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140에서, 프로세서(120)는 각 장애를 예방, 점검 또는 해결하기 위한 장애 예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전력 설비 소재에서 운용중인 정보통신 설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설비 장애 시 점검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장애 대응 방안을 도출하고, 장애 처리를 위한 장애 분석 결과 및 장애 조치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점검, 장애 빅 데이터 분석 결과를 활용하고, 노후도, 동작 상태, 장애 이력, 보수 예비품 상태 등에 기초하여 정보통신 설비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RISK 평가에 기반하여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RISK 평가는 각 정보통신 설비의 고장 확률과 해당 고장에 의하여 전력 설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설비 노후도 20점, 동작상태 40점, 장애이력 20점, 보수 예비품 현황 20점으로 건전도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총점 100점 중에서 70점 이상 설비는 교체 대상으로 판정하고, 70점 이하라도 RISK 평가 결과 고장 확률이 높아 운영상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교체 대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정보통신 설비가 내용연수(예: 5년) 이상 사용된 경우 설비 노후도 점수를 20점으로 줄 수 있고, 내용연수의 90%이상, 80%이상, 70%이상, 60%이상 사용된 경우, 각각 설비 노후도 점수를 18점, 17점, 15점, 10점으로 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정기점검 이력분석을 통한 동작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정기점검 이력분석 결과 오동작, 부동작의 직접 원인이 되는 부분이 불량한 것으로 수리불가 또는 성능 보장 곤란의 경우에는 무조건 교체로 판정하고, 불량개소가 많으며 완전 정상복구가 불가한 경우에는 동작상태 점수를 40점으로, 부품의 특성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특성을 조정하면 임시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 경우에는 동작상태 점수를 30점으로, 동작 특성 및 상태 양호하나 탈색 등의 외관상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동작상태 점수를 10점으로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최근 3년간 장애고장 이력건수를 반영하여 10회 이상인 경우에는 장애이력 점수를 20점으로, 5회 이상인 경우에는 15점으로, 3회 이상인 경우에는 10점으로 장애이력 점수를 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보수 예비품 현황을 반영하여 단종제품으로 제작사가 예비품을 보유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20점으로, 단종제품으로 제작사가 일부 예비품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15점으로, 주문제작하여 생산 가능한 경우에는 10점으로 예비품 현황 점수를 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방식으로 결정된 각각의 점수를 합산하여 건전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처럼 프로세서(120)는 점검 데이터 및 장애 이력을 바탕으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고,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재에서 프로세서(120)가 장애 분석 및 설비교체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일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예: 장애분석 서버)에 의하여 해당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점검관리 서버(100)의 컴퓨팅 파워가 부족한 경우 별도의 장애분석 서버를 두고 장애분석 서버가 상술한 장애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1000)은 복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통신 설비 점검관리 서버(100)의 점검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S210에서, 점검관리 서버(100)는 점검관리 단말로부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동작 S220에서, 점검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S230에서, 점검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라, 점검관리 서버(100)는 수집된 점검 데이터와 장애 내역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장애를 예측하고, 장애가 예측되는 경우 장애가 예측됨을 알리는 이벤트를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 예에 따라 점검관리 서버(100)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유형, 장애 조치 내역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장애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점검관리 서버(100)는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유형, 장애 조치 내역을 기초로 인공신경망을 심층 학습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점검관리 서버(100)는 정보통신 설비의 노후도, 동작 상태, 장애 이력, 보수 예비품 상태 등에 기초하여 정보통신 설비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RISK 기반의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동작 S240에서, 점검관리 서버(100)는 추가적으로 장애가 예측되는 경우에 해당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애 예방 가이드 또는 해당 장애가 발생한 경우 취할 조치를 알려주는 장애 조치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의 동작과 병행하여 점검관리 방법은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규정에 기초하여,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진행 일정을 수립하고, 수립된 점검 진행 일정에 기초하여 점검 진행의 현황을 관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정보통신 설비에 대한 점검내역, 장애내역, 고장내역 등의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통신 설비 현황 및 점검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집한 점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장애예방 가이드 또는 장애처리 가이드를 제공하여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종합관리 시스템이 점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통신 설비 교체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 자산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0)

  1.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 및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은 전력 설비와 함께 구비되어 상기 전력 설비와 중앙 관제 센터 사이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정보통신 설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고,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노후도, 동작 상태, 장애 이력 및 보수 예비품 상태를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에 따라 점수화 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건전성의 총합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노후도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설비 별 내용 연수 대비 사용 기간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점수화하고, 상기 동작 상태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정기점검 이력분석에 따라 불량개소가 많고 완전 정상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 부품의 특성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특성을 조정하면 임시적 사용 가능한 경우 및 동작 특성과 상태가 양호하나 외관상 문제가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점수화하고, 상기 장애 이력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장애 횟수 별로 점수화하고, 상기 보수 예비품 상태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단종 제품으로 예비품을 보유할 수 없는 상태, 단종 제품으로 일부 예비품을 보유한 상태, 주문 제작하여 생산 가능한 상태로 구분하여 점수화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진행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점검 진행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진행의 현황을 관리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내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과거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로 상기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상기 인공신경망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을 입력시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는, 추가적으로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애 예방 가이드 또는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장애 처리 가이드를 상기 점검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점검관리 PC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은 대응하는 점검관리 PC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점검관리 PC는
    대응하는 점검관리 단말로부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검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통신 설비 점검 종합관리 시스템.
  8.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을 관리하는 점검관리 서버에 있어서,
    관리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 및 출력부;
    원격의 복수의 점검관리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함께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고,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노후도, 동작 상태, 장애 이력 및 보수 예비품 상태를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에 따라 점수화 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건전성의 총합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노후도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설비 별 내용 연수 대비 사용 기간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점수화하고, 상기 동작 상태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정기점검 이력분석에 따라 불량개소가 많고 완전 정상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 부품의 특성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특성을 조정하면 임시적 사용 가능한 경우 및 동작 특성과 상태가 양호하나 외관상 문제가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점수화하고, 상기 장애 이력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장애 횟수 별로 점수화하고, 상기 보수 예비품 상태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단종 제품으로 예비품을 보유할 수 없는 상태, 단종 제품으로 일부 예비품을 보유한 상태, 주문 제작하여 생산 가능한 상태로 구분하여 점수화하는,
    점검관리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진행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점검 진행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진행의 현황을 관리하는, 점검관리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내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점검관리 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과거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로 상기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상기 인공신경망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을 입력시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점검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애 예방 가이드 또는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장애 처리 가이드를 상기 점검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점검관리 서버.
  13. 삭제
  14.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을 관리하는 점검관리 서버의 점검관리 방법에 있어서,
    원격의 점검관리 단말로부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수신하는 동작;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노후도, 동작 상태, 장애 이력 및 보수 예비품 상태를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에 따라 점수화 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동작; 및
    상기 평가된 건전성의 총합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교체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노후도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설비 별 내용 연수 대비 사용 기간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점수화하고, 상기 동작 상태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정기점검 이력분석에 따라 불량개소가 많고 완전 정상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 부품의 특성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특성을 조정하면 임시적 사용 가능한 경우 및 동작 특성과 상태가 양호하나 외관상 문제가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점수화하고, 상기 장애 이력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장애 횟수 별로 점수화하고, 상기 보수 예비품 상태의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은 단종 제품으로 예비품을 보유할 수 없는 상태, 단종 제품으로 일부 예비품을 보유한 상태, 주문 제작하여 생산 가능한 상태로 구분하여 점수화하는,
    을 포함하는, 점검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진행 일정을 수립하는 동작; 및
    상기 점검 진행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점검 진행의 현황을 관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점검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점검 데이터 값과 장애 내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점검관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은,
    과거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 및 장애 내역에 기초하여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학습 데이터로 상기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는 동작; 및
    학습된 상기 인공신경망에 수신한 상기 점검 내역을 입력시켜, 상기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점검관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애 예방 가이드 또는 상기 예측된 정보통신 설비의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장애 처리 가이드를 상기 점검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점검관리 방법.
  19. 삭제
  2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4항 내지 제18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78844A 2021-06-17 2021-06-17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66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44A KR102662702B1 (ko) 2021-06-17 2021-06-17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44A KR102662702B1 (ko) 2021-06-17 2021-06-17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49A KR20220168849A (ko) 2022-12-26
KR102662702B1 true KR102662702B1 (ko) 2024-05-07

Family

ID=8454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44A KR102662702B1 (ko) 2021-06-17 2021-06-17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634B1 (ko) * 2023-01-12 2023-04-18 (주)이수정보기술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 보수 운용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72750B1 (ko) * 2023-02-14 2023-08-29 유광열 보증보험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구독형 설비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631B1 (ko) * 2010-08-03 2012-06-1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43438B1 (ko) * 2016-12-28 2019-01-29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방법
KR102073135B1 (ko) * 2017-12-26 2020-02-04 (주)아프로스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49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54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장애 예측 시스템
US9084937B2 (en) Faults and performance issue prediction
KR102662702B1 (ko) 정보통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N114267178B (zh) 一种车站的智能运营维护方法及装置
CN108170566A (zh) 产品故障信息处理方法、系统、设备和协同工作平台
CN109343395A (zh) 一种核电厂dcs操作日志的异常检测系统和方法
CN112738236B (zh) 大厦端智慧消防管理系统及方法
US20240142063A1 (en) Method for troubleshooting potential safety hazards of compressor in smart gas pipeline network and internet of things system thereof
US202102321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forecasting the development of faults in equipment
CN112686402A (zh) 一种日常巡检与智慧运维管理平台结合的方法
JP2015164005A (ja)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286771A (zh) 一种针对全域资源监控的告警方法
WO2023185061A1 (zh) 功能安全系统的检测方法、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CN116756966A (zh) 一种电网故障预警方法、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7689214A (zh) 一种柔性直流牵引供电系统能量路由器动态安全评估方法
KR102296561B1 (ko) 지그비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복수개의 배전반 통합 관제시스템
KR102296568B1 (ko) 머신러닝 기반 배전반 관제시스템
KR102648377B1 (ko) 네트워크 케이블 품질 모니터링이 가능한 ai 통합배선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4137302A (zh) 一种电能计量器具检定全过程监控系统
Sullivan Faith et al. Text analysis of after action reports to support improved emergency response planning
CN117474357A (zh) 基于深度学习的配电房运维管理方法及系统
JP7062505B2 (ja) 設備管理支援システム
CN113887861A (zh) 一种输变电主设备准实时数据监测系统
CN112542892B (zh) 变电站调控一体化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4468699A (zh) 电力系统信息状态服务系统及核心交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