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539B1 - 투명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539B1
KR102662539B1 KR1020227007209A KR20227007209A KR102662539B1 KR 102662539 B1 KR102662539 B1 KR 102662539B1 KR 1020227007209 A KR1020227007209 A KR 1020227007209A KR 20227007209 A KR20227007209 A KR 20227007209A KR 102662539 B1 KR102662539 B1 KR 10266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dical
acid
carbon atom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4986A (ko
Inventor
카트린 레만
세바스티안 헤스너
앙겔라 나브라칼라
자디크 아마이야에
스테판 부슈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9190668.4A external-priority patent/EP3772527A1/d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4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5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 물질 및 적어도 1종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투명도는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 최소한으로 영향을 받는다.

Description

투명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 물질 및 적어도 1종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투명도는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 최소한의 정도로 영향을 받는다.
투명 플라스틱 구성요소들은 수많은 적용 분야에서: 예를 들어 주방 용품의 패널로서, 자동차의 장치용 커버로서, 또는 디스플레이로서 접하게 된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성형 배합물의 높은 광학적 투명도 및 고유의 색상이 없는 것은 장식용 커버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 및 외부의 다양한 패널)에 사용되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상이한 색상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색의 PMMA 성형 배합물의 사용을 통해 고광택을 갖는 최고 품질 부류의 표면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최종 적용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MMA로부터 제조된 제품들의 표면은 높은 경도를 가지는데, 이는 장식용 커버로서의 그것의 최종 용도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에서, PMMA가 연필 경도 시험에 의해 결정된, 가장 높은 표면 경도와 내스크래치성을 갖는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표면에 높은 부담이 가해지는 일부 적용의 경우, 특히 장식용이고 관심을 끄는 제품들의 경우에, PMMA 성형체조차도 다양한 마모 현상들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성요소들에는 종종 코팅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와이핑 스트리크(streak) 및 스크래치에 대한 플라스틱 바디의 민감성은 해당 물품이 그 결과로 매력적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에 내스크래치성 층을 구비하는 수많은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사용되는 코팅 물질은 경화성 플라스틱 수지가 바람직하다. 예시로는 디알데히드 (예를 들어, US 3484157), 폴리우레탄 (예를 들어, DE 2611782), 알킬 티타네이트 (예를 들어, US 3700487), 매우 다양한 변형의 멜라민 또는 멜라민 폴리올 (예를 들어, GB 1308697, US 3862261)로의 폴리에스테르의 코팅을 포함한다. 또한, 매우 다양한 종류의 아크릴 수지 (예를 들어, DE 2317874), 매우 다양한 조합 및 개질의 플루오린화 탄화수소 (NL 6608316, DE 1963278, DE 2454076), 가교 폴리알킬렌이민 화합물 (US 3766299) 및 규소 화합물, 특히 실리콘 수지 (예를 들어, BE 821403, US 3451838, US 3707397)가 코팅에 사용되어 왔다. EP 180129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유기규소 중합체 또는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내스크래치성 및 반사 방지 작용을 갖는 플라스틱의 코팅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그 중에서도 플라즈마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졸-겔 시스템에 대한 기재가 있다. 이들 시스템은 개질된 실란 및 알콕시드로부터 가수분해 및 축합 공정을 통해 빈번하게 제조된다. 이들 시스템의 반응성으로 인해, 코팅 혼합물의 저장 안정성은 통상적으로 매우 짧다. 또한, 방사선-경화성 코팅 조성물이 또한 플라스틱 기판의 코팅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US 6,420,451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다양한 플라스틱 기판으로 만들어진, 예를 들어 렌즈와 같은 광학 기판의 코팅을 위한 방사선-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기재한다. 코팅 조성물은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콜로이드성 금속 산화물, 특히 SiO₂입자를 함유한다.
기재된 모든 방법에 대한 공통 인자는 그들이 추가적이고 복잡한 작업 단계, 즉 코팅 시스템/코팅 조성물의 도포 및 경화를 필요로 하고/하거나 다중 층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특히 폴리우레탄 (TPU), 폴리아미드 (PEBA), 코폴리에스테르 (COPE) 및 스티렌 (S-TPE)의 내스크래치성의 개선을 위해, EP 1640418은 첨가제로서 유기개질된 실록산을 제안하였다. 이들 실록산은 첨가제로서 성형 배합물에 직접적으로 첨가된다. 이들은 성형 배합물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의 표면 상에 일종의 윤활 필름을 형성한다. 표면의 손상이 방지되고, 따라서 성형물과 접촉하는 물품이 표면을 가로질러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성형체는 내스크래치성 래커로의 어떠한 추가적인 코팅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EP 1640418의 보다 면밀한 조사는 그에 사용된 플라스틱이 PMMA에 비해 매우 연질의 플라스틱임을 보여준다. 이들은 탄성 표면을 갖고, 따라서 날카롭거나 뾰족한 물품과의 기계적 접촉에 대해 본질적으로 덜 민감하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 중합체는 내스크래치성 개질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PMMA 성형물의 매우 경질인 표면과는 전적으로 상이한 요구를 갖는다. EP 1640418에는 유기개질된 실록산이 PMMA 성형물 표면의 내와이핑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없다.
DE 10059454는 상이한 중합체들로부터 만들어진 성형물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한다고 언급된 실록산 단위를 갖는 첨가제를 제안한다. 이들은 산 무수물-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과 히드록시-관능성 유기폴리실록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실록산-개질된 폴리올레핀이다. 이들 폴리에스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첨가제로서 중합체 매트릭스에 첨가된다. 그러나, 이 방법의 단점은 폴리에스테르-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복잡한 제조이다.
WO 2012/034821은 폴리에스테르실록산에 의해 내스크래치성이 증가된 PMMA-함유 성형 배합물 및 성형체를 청구한다. 기술적 데이터에 의해 실시예에서 뒷받침되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부분이 헥세놀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자체와 실록산의 연결 요소가 순수한 알킬렌 가교인 폴리에스테르실록산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고도로 투명하다.
놀랍게도, 폴리에스테르 단위와 폴리실록산 사이에 산소-함유 가교를 갖는 특정 폴리실록산-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높은 내스크래치성과 높은 투명도 둘 다를 갖는다.
본 발명은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 물질 및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M1 m1M2 m2D1 d1D2 d2 (I)
여기서
M1 = [R3SiO1/2]
M2 = [R2R1SiO1/2];
D1 = [R2SiO2/2];
D2 = [RR1SiO2/2]이고,
상기 식에서 R, R1, m1, m2, d1 및 d2는 하기 및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다.
추가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 배합물 및 성형체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또는 가전 제품 또는 주방 용품에서의, 장식용 커버 패널 또는 기능성 설치가능 구성요소로서의 본 발명의 성형체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배합물 및 성형체 및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본 발명을 이들 예시적 실시양태로 제한하려는 어떠한 의도 없이, 하기에 예로서 기재된다. 범위, 화학식, 또는 화합물의 부류가 하기에 언급되는 경우에, 이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상응하는 범위 또는 군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개별 값 (범위) 또는 화합물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모든 하위범위 및 하위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문헌이 본 명세서의 문맥 내에서 인용되는 경우에, 그의 전체 내용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일부인 것으로 의도된다. 백분율 수치가 하기에 주어지는 경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들은 중량% 수치이다. 조성물의 경우에, 백분율 수치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다. 하기에서 평균 값이 주어지는 경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들은 질량 평균 (중량 평균)이다. 하기에서 측정된 값이 주어지는 경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들 측정된 값은 101 325 Pa의 압력 및 25 ℃의 온도에서 결정되었다.
화학식 (I) 및 (II)에서의 다양한 단편은 통계적 분포로 존재한다. 통계적 분포는 임의의 원하는 수의 블록을 갖고 임의의 원하는 배열을 갖는 블록식 구성이거나, 또는 이들은 무작위화된 분포에 따르며; 이들은 또한 교호 구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달리 쇄에 걸쳐 구배를 형성할 수 있고; 보다 특히 이들은 또한 상이한 분포를 갖는 군들이 임의로 서로 이어질 수 있는 임의의 혼합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양태는 실시양태의 결과로서 통계적 분포에 대한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든 영역에 대해 통계적 분포에는 변화가 없다.
여기서 주어진 화학식 (I) 및 (II)에서 재현된 지수, 및 언급된 지수에 대한 값의 범위는 실제로 존재하는 구조 및/또는 그의 혼합물의 가능한 통계적 분포의 평균 값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또한 그 자체로 정확하게 재현된 구조식에도 그와 같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한 이점은 오로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물이 상응하는 선행 기술 조성물보다, 낮은 불투명도로 인해, 더 높은 투명도를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한 이점은 높은 표면 품질을 가지며, 또한 추가적인 내스크래치성 코팅 또는 필름 없이도 매우 우수한 내와이핑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투명 플라스틱 성형물이 제조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추가적인 이점은 첨가제의 첨가가 유색 플라스틱 성형물에 의한 색감을 단지 매우 미미한 정도로만 변화시키고; 따라서 시랩(CieLab) 시스템에서의 측색 값 L*, a* 및 b*가 단지 매우 약간 상이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추가적인 이점은 암색 플라스틱 부품, 특히 청색-, 회색-, 갈색-, 흑색- 및 무연탄-색 플라스틱 부품이, 인간의 눈이 감지가능한 어떠한 헤이즈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추가적인 이점은 평활한 표면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물이 매우 높은 광택 값을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물은, 이들의 내와이핑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으로 인해, 이들이 내부 및 외부 둘 다에 적합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해서, 용어 성형체(shaped body) 및 성형물(moulding)은 동의어로 사용된다. 이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라 청구된 조성물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만이 아니라, 또한 예를 들어 연속 압출에 의해, 예를 들어 프로파일, 필름 또는 시트의 형태로 얻어지는 것들, 또는 그밖에 필름 또는 시트의 열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제품들을 말한다.
외층에만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다층 필름 또는 시트, 예를 들어 자동차 구조물에서와 같이 흑색 ABS 및 투명 PMMA 시트도 또한 성형체 및 성형물의 정의에 포함된다.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서 아크릴산의 에스테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이고, 이는 또한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로 이루어지고:
a)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 물질
b)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첨가제
M1 m1M2 m2D1 d1D2 d2 (I)
여기서
M1 = [R3SiO1/2]
M2 = [R2R1SiO1/2]
D1 = [R2SiO2/2]
D2 = [RR1SiO2/2]이고,
여기서
R은 독립적으로 알킬 라디칼, 또는 방향족 또는 알킬방향족 라디칼이고, 여기서 알킬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방향족 또는 알킬방향족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6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R1은 독립적으로 -R3 - (O - R4)p이고, 여기서
R4는 폴리에스테르 라디칼이고,
R3은 3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특히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산소 원자가 개재된 p+1-가 탄화수소이고,
여기서 p =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이고,
여기서
d1 = 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d2 = 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m1 = 0 내지 2,
m2 = 0 내지 2, 바람직하게는 2이고,
단:
m1 + m2 = 2,
N = d1 + d2 + 2는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그리고
d2 + m2 ≥ 1이다.
d1, d2, m1, m2 및 N의 값은 중합체 분자에서의 평균 값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평형화된 혼합물의 형태이다. 화학식에 사용된 지수는 통계적 평균 (수 평균)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화학식 (I) 및 (II)의 개별 단편은 바람직하게는 통계적 구성이다.
통계적 분포는 임의의 원하는 수의 블록을 갖고 임의의 원하는 배열을 갖는 블록식 구성이거나, 또는 이들은 무작위화된 분포에 따르며; 이들은 또한 교호 구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달리 쇄에 걸쳐 구배를 형성할 수 있고; 보다 특히 이들은 또한 상이한 분포를 갖는 군들이 임의로 서로 이어질 수 있는 임의의 혼합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양태는 실시양태의 결과로서 통계적 분포에 대한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모든 영역에 대해 통계적 분포에는 변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 물질 및
b)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첨가제
로 이루어지는 투명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에서 폴리에스테르-개질된 실록산 단위의 백분율, 즉 (d2 + m2) * 100 / N은 4%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이다.
바람직하게는 R3 라디칼은 독립적으로 p+1개의 결합 부위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산소-개재된 탄화수소이고; R3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편 (a) 및 (b)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2개의 단편은 산소 원자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단편 (a) 및 (b)는 바람직하게는 원소 탄소, 산소 및 수소로 이루어지고; 단편 (a) 및 (b)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원자를 갖지 않고, 즉 특히 산소 원자를 갖지 않는다.
단편 (a)는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원자를 갖지 않는다.
단편 (b)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원자를 갖지 않는다.
추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R3 라디칼은, 단편 (a)로서, 적어도 1개의 에틸렌, 1,2-프로필렌, 1,3-프로필렌, 1,2-부틸렌, 1,4-부틸렌기 또는 부트-2-엔-1,2,4-트리일 (골파놀(Golpanol)로부터)을 갖고,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은 단편 (b)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3 라디칼은, 단편 (a)로서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및 수소로 이루어진 2가 포화 탄화수소를 갖고, 단편 (b)로서, p = 1인 경우에 에틸렌, 1,2-프로필렌 및 1,3-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갖고, p = 2인 경우에 프로프-1,2,3-트리일 (글리세롤로부터), 네오펜트리일 (네오펜탄올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프트리일 (TMP로부터)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3 라디칼은, 단편 (a)로서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및 수소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의 필수적 2가 포화 라디칼을 갖고, 단편 (b)로서, p = 1인 경우에 에틸렌, 1,2-프로필렌 및 1,3-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갖고, p = 2인 경우에 프로프-1,2,3-트리일 (글리세롤로부터), 네오펜트리일 (네오펜탄트리올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프트리일 (TMP로부터)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갖는다.
추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R3 라디칼은 5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산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를 가지며, 여기서 단편 (a)는 에틸렌 또는 1,3-프로필렌기이다.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3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2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15개의 에스테르 단위로부터 형성된다.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바람직하게는 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발레르산, 3-메틸부티르산, 카프로산, 오에난트산, 카프릴산, 3,5,5-트리메틸카프로산 및 상응하는 히드록시산 또는 락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레르산, 3-메틸부티르산, 카프로산, 오에난트산, 카프릴산, 3,5,5-트리메틸카프로산 및 상응하는 히드록시산 또는 락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레르산 및 카프로산 및 상응하는 히드록시산 또는 락톤, 특히 바람직하게는 5-히드록시발레르산 또는 δ-발레로락톤 및 6-히드록시카프로산 또는 ε-카프로락톤의 아실 라디칼로부터 형성된다.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그의 산 라디칼의 수와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산 라디칼로부터 형성된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은 락톤의 개환 (폴리)에스테르화에 의해 얻어지는 것들이다. 카프로락톤 또는 발레로락톤, 특히 ε-카프로락톤, 3,5,5-트리메틸카프로락톤 또는 δ-발레로락톤, 특히 바람직하게는 ε-카프로락톤의 (폴리)에스테르화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라디칼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동일한 산 라디칼로부터 상이한 수의 산 라디칼을 갖도록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히드록시발레르산 또는 δ-발레로락톤 및 6-히드록시카프로산 또는 ε-카프로락톤으로부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R1 라디칼은, 5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1개의 산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로서 여기서 단편 (a)는 에틸렌 또는 1,3-프로필렌기인 R3 라디칼 및 동일한 산 라디칼로부터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를 가지며,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5개 내지 15개의 ε-카프로락톤 및 δ-발레로락톤 단위로부터 형성된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첨가제는 3개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2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15개의 ε-카프로락톤 및/또는 δ-발레로락톤 단위로부터 폴리에스테르 라디칼이 형성된 것들이다.
화학식 (I)의 보다 바람직한 첨가제는 3개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15개의 ε-카프로락톤 및/또는 δ-발레로락톤 단위로부터 폴리에스테르 라디칼이 형성된 것이며,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개질된 실록산 단위의 백분율, 즉 (d2 + m2) * 100 / N은, 5%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이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첨가제는 R로서 오로지 메틸기를 가지며, N은 20 내지 60이고,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5개 내지 15개의 에스테르 단위로부터 형성된다.
화학식 (I)의 보다 바람직한 첨가제는 R로서 오로지 메틸기를 가지며, N은 20 내지 60이고, 여기서 R1 라디칼은, 5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1개의 산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로서 여기서 단편 (a)는 에틸렌 또는 1,3-프로필렌기인 R3 라디칼 및 동일한 산 라디칼로부터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를 가지며,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5개 내지 15개의 ε-카프로락톤 및/또는 δ-발레로락톤 단위로부터 형성된다.
화학식 (I)의 특히 바람직한 첨가제는 R로서 오로지 메틸기를 가지며, N은 20 내지 60이고, 여기서 R1 라디칼은, 5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1개의 산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로서 여기서 단편 (a)는 에틸렌 또는 1,3-프로필렌기인 R3 라디칼 및 동일한 산 라디칼로부터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를 가지며,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5개 내지 15개의 ε-카프로락톤 및/또는 δ-발레로락톤 단위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개질된 실록산 단위의 백분율, 즉 (d2 + m2) * 100 / N은, 8%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이다.
투명도를 결정하기 위해, 오로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진 성형체, 즉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 물질 및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성형체가 제조되며, 여기서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2 중량% 또는 3 중량%의 정도로 존재한다. 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플라크, 보다 바람직하게는 1, 2 또는 3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플라크이다. 2 mm의 두께 및 2 중량%의 첨가제 함량을 갖는 플라크의 투명도를 결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된 비교값은 첨가제가 없는 유사한 플라크이다.
투명도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도로서 결정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투명도는 엑스-라이트(X-Rite)의 SP62를 사용하여 그의 사용자 지침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비교값과 비교하여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9% 이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이하만큼의 불투명도의 증가가 존재하며; 이러한 증가는 식 (불투명도 {샘플} - 불투명도 {비교}) * 100% / 불투명도 {비교}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증가는 또한 샘플의 투명도가 비교값과 비교하여 증가한 경우에 음의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전술한 백분율은 2 mm의 두께 및 2 중량%의 첨가제 함량을 갖는 플라크에 대한 불투명도 측정치를 기준으로 한다.
화학식 (I)의 본 발명의 첨가제는 상응하는 히드로실록산과 불포화 탄화수소의 반응 및 후속 (폴리)에스테르화에 의한,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히드로실록산의 직접 반응에 의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반응은 EP 1 640 4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히드로실릴화에 의해/탈수소 히드로실릴화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라디칼을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의 제조는 예를 들어 EP 0 208 734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화학식 (I)의 본 발명의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제1 단계에서, 화학식 (II)의 상응하는 히드로실록산의 히드로실릴화 방식으로,
M1 m1M2' m2D1 d1D2' d2 (II)
(여기서
M1 = [R3SiO1/2]
M2' = [R2RHSiO1/2]
D1 = [R2SiO2/2]
D2' = [RRHSiO2/2]이고,
여기서
R은 독립적으로 알킬 라디칼, 또는 방향족 또는 알킬방향족 라디칼이고, 여기서 알킬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방향족 또는 알킬방향족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6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RH는 수소이고,
여기서
d1 = 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d2 = 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m1 = 0 내지 2,
m2 = 0 내지 2, 바람직하게는 2이고,
단:
m1 + m2 = 2,
N = d1 + d2 + 2는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그리고
d2 + m2 ≥ 1임)
불포화 화합물 R3V-(OH)p (여기서 R3V는 적어도 1개의 산소 원자가 개재된 p+1-가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여기서 상기 탄화수소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개재된 알킬렌 단위를 갖고,
여기서 p =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임)와,
히드로실릴화에 적합한 촉매와 함께 반응시키고,
그리고, 제2 단계에서, R3 라디칼의 OH기를 산 라디칼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무수물, 에스테르 및 락톤, 특히 바람직하게는 락톤과 반응시키고,
여기서 모든 지수 및 라디칼은 바람직한 것을 포함하여 화학식 (I)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10 중량%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정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3 중량% 정도의 화학식 (I)의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배합물 및 성형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조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그리고 특히 2 중량% 이하의 보조제 및 충전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배합물 및 성형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보조제 및 충전제뿐만 아니라, 추가의 첨가제, 예를 들어 유기 염료 및 안료로부터 선택된 착색제, UV 안정화제, UV 흡수제 및 IR 흡수체로부터 선택된 광안정화제, 활성 항미생물 성분, 난연제, 열 안정화제, 항산화제, 자연에서 유기 또는 무기인 가교 중합체 및/또는 섬유-강화 첨가제, 및 내충격 개질제를 포함한다.
착색 성분으로서 염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배합물 또는 성형체는, 각 경우 성형 배합물 또는 성형체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특히 0.1 중량%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6 중량%의 비율로 내충격 개질제를 함유한다. 모든 상업용 내충격 개질제, 특히 10 nm 내지 300 nm의 평균 입자 직경 (예를 들어 초원심분리 방법에 의한 측정)을 갖는 엘라스토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입자는 연질 엘라스토머 상 및 그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경질상을 갖는 코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요소 a)로서 사용되는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이한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른 중합체로 구성된 혼합물 및 블렌드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1종의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추가 공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a)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아니다.
여기서 "알킬"은 1개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8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된 또는 비분지된, 환형 또는 선형 알킬 라디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는 관능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O, S 또는 N, 바람직하게는 O 또는 N, 보다 바람직하게는 O를 가질 수 있다. 메틸, 에틸, 부틸 또는 시클로헥실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매트릭스 물질 a)는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정도,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정도, 특히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정도, 그리고 특히 99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정도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중합될 수 있다. 100 중량%는 단독중합체에 해당하고; 보다 낮은 농도는 공중합체에 해당한다. 이 성분 (주성분)은 매트릭스 물질 중에 적어도 50 중량%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정도로 존재한다.
추가의 중합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C2- 내지 C4-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말레산 무수물이다. 바람직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특히 n-부틸 아크릴레이트이다. 이들 중합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초과 20 중량% 이하의 정도, 특히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정도로 중합된다.
특히 바람직한 비율은 하기와 같은 것으로 밝혀졌고:
● 65 중량%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2 중량% 내지 18 중량%의 스티렌 및
● 5 중량%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내지 12 중량%의 말레산무수물,
여기서 본 발명은 합계가 총 100 중량%가 되는 3종의 단량체의 조합만을 포함한다. 이론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수치를 사용하여 합계가 100 중량% 미만이거나 또는 100 중량% 초과인 3-성분의 조합을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상기 언급된 범위의 범주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확인될 수 있다.
매트릭스 물질 a)의 주성분은 바람직하게는 40,000 g/mol 내지 280,000 g/mol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0 g/mol 내지 140,000 g/mol 범위의 분자량 Mw (중량-평균) (보정 표준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참조로 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Mw의 결정)를 갖는다.
매트릭스 물질 a)의 주성분은 25 ℃에서 바람직하게는 55 ml/g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ml/g 이하, 특히 40 ml/g 내지 55 ml/g,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ml/g 내지 50 ml/g의 클로로포름 중 용액 점도 (ISO 1628 - 파트 6)를 갖는다.
상기 기재된 혼합물, 및 개별 중합체 및 중합체 혼합물의 제조에 대한 세부사항은 WO 2005/108486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WO 2005/108486의 대상은 본 출원의 내용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화학식 (I)의 첨가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물질은 화학식 (I)의 첨가제 및 가능한 다른 성분들과 예비혼합된다. 예비혼합은 혼합 장비, 예를 들어 헨쉘(Henschel) 또는 텀블링 혼합기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후속적으로, 예비혼합물은 용융에 의해 또는 전단력의 작용에 의해 균질화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혼련기 또는 압출기에서 전단력의 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성형물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 열성형, 캘린더링 또는 압출이고, 사출 성형 방법 및 캘린더링의 다양한 실시양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배합물로부터 제조된다.
그러나, 구성요소는 또한, 예를 들어 동시압출, 다성분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제조된 다부분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여기서 성형체의 단지 하나 또는 다수의 부분/층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배합물로부터 제조된다. 이 경우에, 전체 성형체 중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배합물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3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한 특징은 이들이 최고 품질의 표면을 가지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상기 언급된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 손상 또는 표면 품질의 손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의 특별한 이점은 표면이 내스크래치성 및 내와이프성인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럼에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성형물을 필름 또는 페인트로 전체적 또는 부분적 코팅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가전 제품 또는 주방 용품에서 장식용 커버 패널 또는 기능성 설치가능 구성요소로서 사용된다.
시험 방법:
광택의 측정:
광택의 측정은 DIN 67530에 따라 다양한 입사각 (20˚, 60˚, 85˚)에서 수행된다. 광택은 수직에 대해 20˚, 60˚ 또는 85˚의 정해진 각도로 입사하는 광선을 기준으로, 정반사된 빛의 성분을 지칭한다. 측정은 비와이케이-가드너(Byk-Gardner) (베젤(Wesel))의 마이크로-글로스(micro-gloss) 광택계를 통해 수행된다. 플라스틱 필름의 광택의 측정에서, 흑색 종이 시트가 배경으로 사용된다. 광택은 흑색 유리 표준을 기준으로 하여 광택 단위(gloss units) (GE)로 나타낸다. 표면 광택 값은 최대여야 한다.
불투명도의 결정:
불투명도는 종이, 필름, 인쇄용 잉크 및 기타 층의 광학적 투명도의 척도이다. 측정은 엑스-라이트의 SP62를 사용하여 그의 사용자 지침에 따라 수행된다.
명도 값 L*의 결정:
명도 값 L*은 분광광도계 (엑스-라이트의 SP 62)에 의해 결정된다.
내와이프성의 결정:
내와이프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조된 플라스틱 플라크를 EN ISO 105-X12 또는 BS 1006 X12에 따라 크로크마스터(Crockmaster) 670 (제임스 에이치. 힐(James H. Heal), 영국)에 의해 시험한다. 이 목적을 위해, 플레이트를 크로킹 천으로 정해진 횟수의 스트로크 (전방/후방) 동안 9 N의 적용 중량으로 와이프한다. 평가는 육안으로 이루어졌으며; 매우 좋음(very good)의 1점부터 불만족(unsatisfactory)의 5점까지의 점수가 부여되고, 여기서 1점은 흔적 없음(no trace), 2점은 인지가능함(perceptible), 3점은 약간 긁힘(slightly scratched), 4점은 고도로 긁힘(highly scratched) 및 5점은 매우 고도로 긁힘(very highly scratched)을 의미한다.
내스크래치성의 결정:
테이버(Taber) 710 멀티-핑거 시험기(multi-finger tester) (엘코미터(Elcometer))에 의해, BN 108-13 또는 GMN 3943에 따라 시험을 수행한다. 2, 5, 10, 12 및 15 N이 되는 상이한 적용 중량을 갖는 팁 (직경 1 mm)이 육안으로 인지가능한 스크래치를 유발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5개의 팁은 스크래치될 표면 상에서 분당 7.5 미터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표면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성형체의 표면보다 더 적은 스크래치 또는 덜 깊은 스크래치를 갖는다.
실시예 1: 제조
실시예 1.1, 합성:
표 1의 첨가제는 WO 1986/004072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었고; 컬럼 E의 세부사항은 계량 첨가에 의한 것이다.
샘플 12 (표 1)의 제조를 위해, 정밀 유리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무수 ε-카프로락톤 395.7 g 및 68 mg KOH/g의 OH가를 갖는 폴리(메틸, 히드록시에틸프로폭시)(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204.3 g을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140 ℃로 가열하였다. 140 ℃에서, 0.3 g의 주석(II) 옥타노에이트를 첨가하였고, 발열성을 150 ℃까지 허용하였다. 145 ℃에서 7시간의 반응 시간 후, 점성 액체 생성물을 약 70 ℃로 냉각시키고, 냉각을 위해 금속 탱크에 부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1H NMR에 의해 결정된 0.3% 이하의 잔류 카프로락톤 함량을 갖는 고체 무색 생성물을 얻었다.
표 1: 실시예 1에 따른 첨가제; 기재된 일반적 파라미터는 상기 제시된 화학식을 기준으로 하고; 컬럼 A의 단편들은 실리콘 중합체의 좌측 원자가에 결합됨
Figure 112022023427567-pct000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화합물은 샘플 1 내지 5이다.
프로폭시-글리세릴 라디칼은 하기에 상응한다:
프로폭시-TMP 라디칼은 하기에 상응한다:
샘플 1 내지 13의 E 라디칼은 말단 히드록실기를 갖는다.
실시예 1.2, 배합물의 제조:
배합물의 제조를 위해, 3 kg의 PMMA를 5분 동안 헨쉘 혼합기 (4 리터의 부피)에서 실시예 1.1에 따른 적절한 비율의 첨가제와 혼합한 다음, 압출 라인의 주 유입구에 도입시킨다. 압출은 27 mm 이축-스크류 압출기 (L/D 비 = 40의 동방향회전 컴파운딩 스크류, 라이스트리츠(Leistritz))에서 실시한다. 온도 프로파일은 PMMA의 각각의 데이터 시트로부터 취하였고; 플렉시글라스(PLEXIGLAS)® FT 15, 플렉시글라스® 8N 및 플렉시글라스® 8N 9V002 (흑색) (에보니크(Evonik, 독일)의 상표)는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Evonik Rhm GmbH)에서 공급되었다.
실시예 2: 성형물의 제조 및 광학적 특성의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성형 배합물을 사출 성형기 상에서 가공하여 상이한 두께를 갖는 크기 6 cm x 6 cm의 플라크를 얻었다. 이들 플라크를 엑스-라이트의 SP 62를 사용하여 그들의 광학적 특성 (불투명도 및 L* 값)을 조사하였다. L* 값은 레네타(Leneta) 필름의 흑색 배경과 대조하여 기록하였고; 흑색 배경은 27.41의 L* 값을 가졌다. 결과표 2 및 3의 샘플 14 및 15는 각각 첨가제가 없는 플렉시글라스에 대한 값인데, 여기서 첨가제가 없는 투명 PMMA조차도 빛이 흑색 배경에 도달하기 전에 PMMA 층에 의해 부분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이미 유의한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이 L*에 대한 40 단위 영역의 값에 의해 명확해진다. 이와 같이, 샘플의 L* 값이 높을수록, 물질의 투명도의 손실이 커진다. 이어서, 이러한 L* 값의 증가는 또한 불투명도 값의 증가를 동반하지만, 이는 투명도의 감소이다.
표 2: 상이한 농도의 첨가제 및 상이한 층 두께 (SD)를 갖는 플렉시글라스 FT 15에서의 실시예 2에 따른 불투명도 ("Opac."로 약칭됨) 및 L* 값, 농도 수치는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로 제시되고; 샘플 14는 어떠한 첨가제도 없는 매트릭스 중합체에 해당함
Figure 112022023427567-pct00006
표 3: 상이한 농도의 첨가제 및 상이한 층 두께 (SD)를 갖는 플렉시글라스 8N에서의 실시예 2에 따른 불투명도 ("Opac."로 약칭됨) 및 L* 값, 농도 수치는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로 제시되고; 샘플 15는 어떠한 첨가제도 없는 매트릭스 중합체에 해당함
Figure 112022023427567-pct00007
표 2 및 3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불투명도 및 또한 L* 값에서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조성물에서 나타나는 것보다 전반적으로 더 낮은 값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플라크는 선행 기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투명하고 덜 탁하다.
실시예 3: 기계적 특성의 시험
내와이핑성을 결정하기 위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플라스틱 플라크를 EN ISO 105-X12 또는 BS 1006 X12에 따라 크로크마스터 670 (제임스 에이치. 힐, 영국)에 의해 시험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3회의 실험에서 100회, 250회 및 500회의 스트로크로, 9 N의 적용 중량 및 크로킹 천을 사용하여 플레이트에 정해진 횟수의 와이핑 스트로크 (전방/후방)를 적용하였다. 평가는 육안으로 이루어졌으며; 매우 좋음의 1점부터 불만족의 5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하고, 여기서 1점은 흔적 없음, 2점은 인지가능함, 3점은 약간 긁힘, 4점은 고도로 긁힘 및 5점은 매우 고도로 긁힘을 의미한다.
표 4: 상이한 농도의 첨가제를 갖는 무색 투명의 플렉시글라스® 8N의 실시예 3에 따른 내와이핑성
Figure 112022023427567-pct00008
본 발명에 따른 샘플 7 및 8은 미처리된 물질에 비해, 및 또한 선행 기술 첨가제에 비해 내와이핑성의 뚜렷한 증가를 나타낸다.

Claims (18)

  1. 하기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며:
    a)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 물질
    b)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첨가제
    M1 m1M2 m2D1 d1D2 d2 (I)
    여기서
    M1 = [R3SiO1/2]
    M2 = [R2R1SiO1/2]
    D1 = [R2SiO2/2]
    D2 = [RR1SiO2/2]이고,
    여기서
    R은 독립적으로 알킬 라디칼, 또는 방향족 또는 알킬방향족 라디칼이고, 여기서 알킬 라디칼은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고, 방향족 또는 알킬방향족 라디칼은 6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으며,
    R1은 독립적으로 - R3 - (O - R4)p이고, 여기서
    R4는 폴리에스테르 라디칼이고,
    R3은 3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산소 원자가 개재된 p+1-가 탄화수소이고,
    여기서 p는 1 내지 4이고,
    여기서
    d1 = 5 내지 70,
    d2 = 0 내지 20,
    m1 = 0 내지 2,
    m2 = 0 내지 2이고,
    단:
    m1 + m2 = 2,
    N = d1 + d2 + 2 = 10 내지 80,
    d2 + m2 ≥ 1이고,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는 락톤의 개환 (폴리)에스테르화에 의해 얻어지는 구조의 라디칼이고, 말단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d2 + m2) * 100 / N이 4% 내지 40%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R3 라디칼이 독립적으로 p+1개의 결합 부위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산소-개재된 탄화수소이고, 여기서 R3이 단편 (a) 및 (b)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2개의 단편은 산소 원자를 통해 서로 결합된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단편 (a)가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또는 2개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갖고, 단편 (b)가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또는 2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탄화수소를 갖고, 단편 (a) 및 (b) 둘 다가 헤테로원자를 갖지 않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가 3개 내지 30개, 4개 내지 20개, 또는 5개 내지 15개의 에스테르 단위로부터 형성된 것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라디칼 R4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발레르산, 3-메틸부티르산, 카프로산, 오에난트산, 카프릴산, 3,5,5-트리메틸카프로산 및 이들의 상응하는 히드록시산 또는 락톤 중 하나 이상의 아실 라디칼로부터 형성된 것인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3 중량%의 화학식 (I)의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 배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내충격 개질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내충격 개질제를, 각 경우에 성형 배합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5 중량%, 0.5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6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성형 배합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매트릭스 물질 a)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그의 혼합물이고, 여기서 매트릭스 물질 a)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 80 중량% 내지 100 중량%, 90 중량% 내지 100 중량%, 95 중량% 내지 100 중량%, 또는 99 중량% 내지 10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인 성형 배합물.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임의의 보조제 및 충전제, 및 추가의 첨가제 또는 착색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성형 배합물.
  12.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
  13. 제12항에 있어서, 내충격 개질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내충격 개질제를, 각 경우에 성형체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5 중량%, 0.5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6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성형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매트릭스 물질 a)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그의 혼합물이고, 여기서 매트릭스 물질 a)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 80 중량% 내지 100 중량%, 90 중량% 내지 100 중량%, 95 중량% 내지 100 중량%, 또는 99 중량% 내지 10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인 성형체.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임의의 보조제 및 충전제, 및 추가의 첨가제 또는 착색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성형체.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동차 또는 가전 제품, 또는 주방 용품에서의 장식용 커버 패널 또는 기능성 설치가능 구성요소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인 조성물.
  17.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자동차 또는 가전 제품, 또는 주방 용품에서의 장식용 커버 패널 또는 기능성 설치가능 구성요소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인 성형 배합물.
  18.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자동차 또는 가전 제품, 또는 주방 용품에서의 장식용 커버 패널 또는 기능성 설치가능 구성요소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인 성형체.
KR1020227007209A 2019-08-08 2020-08-03 투명 조성물 KR102662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0668.4 2019-08-08
EP19190668.4A EP3772527A1 (de) 2019-08-08 2019-08-08 Durchsichtige zusammensetzung
PCT/EP2020/071776 WO2021023699A1 (de) 2019-08-08 2020-08-03 Durchsichtige zusammensetz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986A KR20220044986A (ko) 2022-04-12
KR102662539B1 true KR102662539B1 (ko) 2024-05-0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35B1 (ko) * 2004-07-08 2013-06-18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폴리에스테르-개질형 폴리실록산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용 화합물 및 코팅 재료의 첨가제로서의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35B1 (ko) * 2004-07-08 2013-06-18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폴리에스테르-개질형 폴리실록산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용 화합물 및 코팅 재료의 첨가제로서의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220B1 (ko) 광택 및 내와이프성이 개선된 내후성 염색 성형물
JP5312454B2 (ja) 高められた応力き裂抵抗性を有する着色された組成物
JP5334962B2 (ja) 高められた応力き裂抵抗性を有する組成物
JP5447249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US8546491B2 (en) Polyolefin-based composite resin spherical particles, coating composition, and coated object
US11505688B2 (en) Scratch-resistant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organopolysiloxane compounds
KR20130092075A (ko) 아크릴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EP3658624B1 (en) Impact modified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polysiloxane additive having improved abrasion characteristics
EP2612883A1 (en) Polymer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KR102662539B1 (ko) 투명 조성물
KR20170080173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6257906B2 (ja) 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CN114207018B (zh) 透明组合物
JP2019218543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6193537A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CN106661321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和包含该聚碳酸酯树脂组合物的光学成型产品
Nishino et al. Preparation and coating properties of an acrylic melamine resin containing silicone segments
JP2003064296A (ja) コーティング用高屈折率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2021095482A (ja) 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車両用部材
JP2003049037A (ja) コーティング用高屈折率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