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480B1 -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480B1
KR102662480B1 KR1020227041657A KR20227041657A KR102662480B1 KR 102662480 B1 KR102662480 B1 KR 102662480B1 KR 1020227041657 A KR1020227041657 A KR 1020227041657A KR 20227041657 A KR20227041657 A KR 20227041657A KR 102662480 B1 KR102662480 B1 KR 102662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hannel
assemblies
soun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135A (ko
Inventor
차오우 리
후이팡 탕
빙얀 얀
보쳉 리
슈아이린 시
펜 유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693284.4U external-priority patent/CN21348516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693233.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334268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675913.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851007U/zh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7Mechanical or electrical reduction of wind noise generated by wind passing a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음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향장치는 하우징,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 및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수용공간과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을 가진다. 각 연통홀은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킨다.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연통홀들을 통해 소리를 픽업하기 위한 수용공간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픽업조립체들 중 하나의 소리픽업조립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 중 하나의 연통홀 사이에 설치되며, 따라서 상기 소리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에 전달된다.

Description

음향장치
관련 출원과의 교차참조설명
본 출원은 중국 특허출원(출원번호1: 202021675913.0(출원일자:2020년 8월 12일), 출원번호2: 202021693284.4, 출원일자: 2020년 8월 12일, 출원번호3: 202021693233.1, 출원일자: 2020년 8월 12일)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선출원들의 내용은 참고하여 모두 본 출원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는 전자장치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전도 어어폰은 소리를 상이한 주파수의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시키고, 사람의 뼈/조직을 매체로 상기 기계적 진동을 청각신경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사용자는 귀의 외이도와 고막을 이용하지 않고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를테면, 한쪽 귀는 정상적인 청력을 가지고 다른 귀의 청력은 손상을 입은 사용자)에 있어서, 그의 청력이 손상을 입거나 또는 퇴화되었기 때문에, 높은 음향 기능을 가지는(이를테면, 더 좋은 소리픽업효과를 가지는) 골전도 어어폰, 및 더 좋은 기능성 구조 구조(이를테면, 그의 청력조건에 매치되는 음량제어기능을 가진다)가 요구된다. 따라서, 높은 음향기능과 더 좋은 기능구조를 가지는 음향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한 양태에 의하면 음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향장치는 수용공간과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연통홀은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킨다.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해 소리를 픽업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 중 하나의 소리픽업조립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 중 하나의 연통홀 사이에 설치되며, 따라서 상기 소리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에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홀, 채널, 및 제2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홀은 상기 연통홀과 맞이어 연통된다. 상기 제2 홀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와 인접되어 설치되며, 따라서 상기 소리는 순차로 상기 연통홀, 상기 제1 홀, 상기 채널, 및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로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소리픽업조립체를 상기 수용홈에 누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매치되고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을 둘러싼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측벽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벽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바닥벽에는 상기 수용홈을 둘러싼 플랜지가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채널조립체는 상기 플랜지를 커버하여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상기 수용홈에 유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는 채널 상벽, 채널 바닥벽, 및 채널 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상벽과 상기 채널 바닥벽은 각각 상기 채널 측벽의 두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홀은 상기 채널 측벽 또는 상기 채널 상벽에 설치된다. 상기 제2 홀은 상기 채널 바닥벽에 위치하고, 상기 채널 바닥벽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눌러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소리픽업소자와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소리픽업소자의 외주면에 씌워져 있다.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채널 바닥벽을 향한 홈이 설치된다. 상기 소리픽업소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홈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플랜지에 접촉하여 밀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 상벽과 상기 채널 바닥벽을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채널의 길이는 0.45-0.75 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을 따라 상기 제1 홀로부터 상기 제2 홀까지의 거리는 4 mm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연통홀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조립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연통홀과 상기 제1 홀을 갈라 놓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호부재는 적층되어 배치된 제1 그물과 제2 그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그물은 상기 제1 그물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조립체에 더 가깝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는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제어회로조립체 및 인터랙티브 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각각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조립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어소자를 포함한다. 각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각 스피커조립체 및 상응한 제어소자에 대응되며,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소자를 촉발하여 상기 상응한 스피커조립체를 제어하여 사용자 동작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은 상기 복수의 제어소자들 중 각 제어소자가 독립적으로 그의 상응한 스피커조립체의 오디오 증익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각각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3 홀들과 각각 상기 제3 홀들에 설치된 버튼들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소자를 촉발하여 상응한 스피커조립체의 오디오 증익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일단부는 각각 하나의 스피커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메인회로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소자는 상기 메인회로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회로판은 귀걸이 하우징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서브회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회로판은 상기 다른 귀걸이 하우징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응한 음량버튼홀을 커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각각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 중 적어도 2개의 상응한 수용공간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제3 부분의 상응한 수용공간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제3 부분의 상응한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 중 하나는 상기 제3 부분의 상응한 수용공간의 중간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나머지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중간 위치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2개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은 2개의 채널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소리픽업조립체들과 상기 2개의 채널조립체들은 상기 2개의 귀걸이 하우징들 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음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향장치는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제어회로조립체, 및 복수의 인터랙티브 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복수의 제어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제어소자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조립체에 대응된다. 각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각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및 상기 스피커조립체의 상응한 제어소자에 대응되고,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소자를 촉발하여 상기 상응한 스피커조립체를 제어하여 사용자 동작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특징들을 아래의 개시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며,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아래의 내용과 도면을 검토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며, 또는 예를 구현하고 조작함으로써 학습될 것이다. 본 개시의 특징들은 아래의 상세한 예들의 설명의 방법, 도구 및 조합의 여러 방면을 연습하고 사용함으로써 구현하고 획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더 설명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예시적은 실시예들이 아니며, 여러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구조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귀걸이조립체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상기 귀걸이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의 구조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채널조립체의 구조도이다.
도 6b는 도 3에서의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장치에서의 소리픽업조립체의 하울링 역치와 위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기술안을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물론, 아래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예들 또는 실시예들임이 명확하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창조적 노력을 더하지 않고 이러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개시를 다른 유사한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상하문에서 명백하거나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나 동작을 표시한다.
본 개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 "일" 및 "상기"는 문맥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포함", "포괄"은 명시된 절차들과 소자들을 포함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절차들과 소자들은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방법들 또는 장치들은 기타 절차들 또는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블록", "시스템", "엔진", "유닛", "조립체", "모듈", 및/또는 "블록"은 상이한 수준의 조립체들, 소자들, 부분들, 부품들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다른 표현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른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다양한 용어가 소자들(이를테면, 층들 사이) 사이의 공간 및 기능 관계를 기재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연결", "결합", "인터페이스", "체결" 등을 포함한다. 명확히 "직접"이라고 기재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제1 및 제 2 소자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우, 상기 관계는 제1 및 제2 소자들 사이의 다른 매개 소자가 없는 직접 관계와, 하나 이상의 개입 소자들(공간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소자들 사이의 간접 관계를 포함한다. 이와 반대로, 소자가 "직접" 다른 소자와 연결, 체결, 인터페이스 또는 결합되는 경우, 매개 소자가 존자하지 않는다. 그리고 소자들 사이의 공간 및 기능 관계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소자들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용접 연결, 키 연결, 핀 연결, 죔쇠 끼워맞춤 연결 등,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들 사이의 관계를 기재하는데 이용되는 기타 단어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해야 한다(예들 들면, "사이", "와", "인접" 및 "직접 인접" 등).
본 개시는 음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향장치는 하우징,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 및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수용공간과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연통홀은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킨다.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들을 통해 소리를 픽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 중 소리픽업조립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 중 연통홀 사이에 설치되며, 따라서 상기 소리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응한 소리픽업조립체의 소리경로는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짧은 소리경로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소음" 현상을 약화시킨다.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리 픽업과 신호처리(이를테면, 증폭)를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음향장치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오는 소리에 적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자(예를 들면, 상기 청각 장애인 사용자)로 하여금 상이한 방향에서의 소리에 적응되고 상기 사용자의 청각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는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제어회로조립체, 복수의 인터랙티브 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복수의 제어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소자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조립체에 대응될 수 있다. 각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피커조립체의 상응한 제어소자에 대응된다.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랙션 조립체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소자를 촉발시켜 상기 상응한 스피커조립체를 제어하여 사용자 동작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청각 장애인(이를테면, 한 귀는 정상적인 청력을 가지고 다른 귀는 청력 손상이 있는 사용자)에 있어서, 그는 실제 요구에 따라 2개의 스피커조립체들을 적응되게 조절하여 그의 양귀의 상이한 청력에 적응할 수 있으며, 이로써 소리는 "일측에서 큰 소리, 다른 측에서 작은 소리"의 소리를 피하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음향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환경속의 주변의 소리 등을 픽업하며, 상기 픽업된 소리를 오디오 신호(이를테면, 전기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보청기, 어어폰(이를테면, 노이즈 제거 어어폰, 골전도 어어폰), 청음팔찌, 스마트 안경, 휴대폰, 마이크로폰, 및 기타 소리픽업 능력이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100)는 지지조립체(110), 코어모듈(120), 및 채널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조립체(110)는 수용공간과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다. 상기 연통홀들은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외부공간에 연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모듈(120)와 상기 채널조립체(130)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코어모듈(120)는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을 둘러싼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측벽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랜지는 상기 바닥벽의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한 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에워쌀 수 있다. 상기 채널조립체(130)는 상기 플랜지 위에 커버되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상기 수용홈 내에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채널조립체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상기 수용홈 내로 누르는 것은 상기 채널조립체의 특정된 표면과 상기 수용홈이 수용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픽업조립체가 상기 수용캐비티 내에 놓여진 경우,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는 상기 수용캐비티의 측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지조립체(110)(이를테면, 상기 하우징)의 형상은 상기 음향장치(100)의 특정된 용도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의 구체적인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음향장치(100)는 골전도 보청기일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지지조립체(110)는 상기 사용자의 외이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리고 쉽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지조립체(110)를 구비하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귀걸이 보청기라고도 부른다. 다른 예로써, 상기 음향장치(100)는 양귀개방형 어어폰일 수 있다. 상기 지지조립체(110)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상부에 수평으로 걸려 있을 수 있으며, 즉, 머리띠와 유사한 형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양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귀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지지조립체(110)는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부분(212), 제2 부분(214), 및 제3 부분(2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부분(212)와 상기 제2 부분(214)는 귀걸이조립체들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제3 부분(216)는 배면걸이조립체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상기 귀걸이조립체 및/또는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에 관하여, 본 개시의 기타 부분(이를테면, 도 2, 3, 및 4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지조립체(110)는 금속 재료(이를테면, 구리, 알루미늄, 티타늄, 황금 등), 합금 재료(이를테면,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등), 플라스틱재료(이를테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폭시, 나일론 등), 섬유 재료(이를테면, 아세테이트 섬유, 프로피온산 섬유, 탄소 섬유 등) 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지조립체(110) 외측에는 보호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져서 상기 사용자이 착용시 더 좋은 접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어모듈(120)은 소리픽업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의 연통홀을 통해 소리(예를 들면, 기계적 진동 신호들)를 픽업하는데 이용되어, 픽업된 소리를 오디오 신호(이를테면, 전기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들, 나팔 등과 같은 기타 음향장치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음향장치(100)의 기타 조립체들에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코어모듈(120)은 스피커조립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피커조립체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기계적 진동 신호들로 변환시킬 수 있고, 그 신호들을 상기 사용자의 뼈를 통해 청각신경에 전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보청기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는 이를테면, 상기 음향장치(100)의 상기 지지조립체(110),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와 같은 기타 부재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물리적 연결은 사출성형 연결, 용접, 리벳팅, 나사연결, 점착, 스냅피팅 등,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이를테면, 마이크로폰 어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소리픽업조립체는 하나의 연통홀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의 설치위치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출원의 다른 부분(이를테면, 도 2 및 도 7 및 그 설명)을 참조 바란다.
상기 채널조립체(130)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조립체(130)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와 상기 연통홀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후 상기 채널조립체(130)을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로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채널조립체(130)에 대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응한 소리픽업조립체의 소리 픽업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조립체(130)는 제1 홀(소리 유입홀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채널, 및 제2 홀(소리 유출홀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홀과 상기 연통홀은 맞이어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홀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에 인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는 순차로 상기 연통홀, 상기 제1 홀, 상기 채널, 및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로 전달된다. 상기 채널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에 관하여, 본 개시의 다른 부분(이를테면, 도 6a 및 도 6b 및 관련 설명)을 참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제어회로조립체와 하나 이상의 인터랙티브 조립체들(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상기 음향장치(10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음량제어, 켜기/끄기 제어, 조작모드선택(이를테면, 재생/잠시 중지), 무선 연결, 데이터 이송제어 등 제어를 진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복수의 제어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소자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조립체에 대응될 수 있다. 각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하나의 스피커조립체 및 상응한 제어소자에 대응될 수 있다. 각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사용자 동작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소자를 촉발시켜 상기 상응한 스피커조립체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와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에 관하여, 본 개시의 다른 부분(이를테면, 도 8 및 도 9및 관련 설명)을 참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보호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호조립체는 예를 들면, 방수 및 방천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음향장치(100)을 보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호조립체는 상기 지지조립체(110) 내에서 상기 지지조립체(11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향장치(100)를 보호하는 보호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모듈(120)은 상기 지지조립체(110)의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조립체는 상기 코어모듈(120)와 상기 지지조립체(110)의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모듈(120)을 보호하기 위한 상기 보호장벽을 형성하여 상기 방수 및 방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100)의 기재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여러가지 대안방안, 수정 및 변화는 용이한 것이다. 여기에서 기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기 특징들, 구조들, 방법들, 및 기타 특징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추가적인 및/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배터리조립체, 블루투스조립체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조립체는 상기 음향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조립체는 상기 음향장치(100)을 다른 장치들(이를테면, 휴대폰들, 컴퓨터들등.)에 무선 연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200)는 지지조립체(210),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이를테면, 소리픽업조립체들(222, 224, 및 226)), 2개의 스피커조립체들(이를테면, 스피커조립체들(232 및 234)), 배터리조립체(240), 및 제어회로조립체(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조립체(210)는 제1 부분(212)(예를 들면, 귀걸이조립체(212)), 제2 부분(214)(예를 들면, 귀걸이조립체(214)), 및 제3 부분(216)(예를 들면, 배면걸이조립체(216))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걸이조립체(216)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2개의 귀걸이조립체들(예를 들면, 상기 귀걸이조립체(212) 및 상기 귀걸이조립체(214))의 하나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향장치(200)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귀걸이조립체(212)와 상기 귀걸이조립체(214)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려있을 수 있으며, 상기 배면걸이조립체(216)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 뒤 주위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장치(200)는 안정되게 착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들(232 및 234)는 오디오 신호(이를테면, 전기신호)를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는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스피커조립체들(예를 들면, 상기 스피커조립체들(232 및 234)) 은 상기 2개의 귀걸이조립체들의 다른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귀걸이조립체(212)와 상기 귀걸이조립체(214)는 각각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조립체(232)는 상기 귀걸이조립체(212)의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조립체(234)는 상기 귀걸이조립체(214)의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200)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2개의 스피커조립체들은 기계적 진동을 상기 사용자의 뼈 및/또는 달팽이관을 통해 사람의 청각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소리를 듣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들(232 및/또는 234)는 상기 귀걸이조립체들과 따로 독립되어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조립체들(232 및/또는 234)는 스피커 하우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하우징들은 상기 귀걸이조립체들(212 및/또는 2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조립체들(232 및/또는 234)은 상기 귀걸이조립체들(212 및 214)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조립체들에 관한 더 많은 설명에 관하여, 도3 및 도4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 바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200)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은 상기 지지조립체(21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조립체(240)는 상기 귀걸이조립체(212)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250)는 상기 귀걸이조립체(214)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배터리조립체(240) 및/또는 상기 제어회로조립체(250)는 배면걸이조립체(216)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음향장치(200)는 블루투스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블루투스조립체는 배면걸이조립체(216)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음향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지지조립체(210)의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 중 하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채널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이를테면, 도 6a와 도 6b 및 관련 설명)의 설명을 참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향장치(200)는 복수의(이를테면, 2, 3, 4, 5 등.) 소리픽업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소리픽업조립체는 상기 지지조립체(210)의 연통홀 부근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는 상기 상응한 연통홀을 통해 소리를 픽업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서로 독립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소리의 픽업 및 신호 증폭을 실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독립적으로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오는 소리를 픽업하고 처리하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예를 들면, 상기 청각 장애인 사용자)로 하여금 상이한 방향에서 소리에 적응되고 사용자의 청각 체험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지지조립체(210)의 상이한 위치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배면걸이조립체(216)(이를테면, F, G, H, I위치) 내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 중 하나는 배면걸이조립체(216)의 중간 위치(예를 들면, I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타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중간 위치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귀걸이조립체들(212 및/또는 214) 내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의 일부분은 하나의 귀걸이조립체 내에서 간격을 두고(이를테면, 도 2에서의 E 및 B 위치 및/또는 도 4에서의 O 및 D위치) 설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배면걸이조립체(216) 내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은 상기 스피커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들의 일부분은 상기 지지조립체(210) 내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 내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리픽업조립체의 위치는 그에 대응되는 연통홀의 위치라고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소리픽업조립체가 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위치의 환경속의 주변 소리 등을 픽업하는 데 이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이를테면, 청각 장애인)에 있어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소리픽업 성능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향장치(200)를 통해 수신하는 소리의 명료도, 안정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는 상기 음향장치(200)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리픽업조립체가 상기 스피커조립체에 가까울 수록,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는 상기 스피커조립체의 영향을 더 쉽게 받으며,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와 상기 스피커조립체의 음향결합에 의해 "하울링"이 더 쉽게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설치 위치는 상기 음향장치(200)의 하울링 역치의 요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하울링 역치와 그의 상기 음향장치에서의 상대적 위치 사이의 관계에 관한 더 많은 정보에 관해, 본 개시의 다른 부분을 참고한다(이를테면, 도 7 및 그에 대한 설명을 참조).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귀걸이조립체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상기 귀걸이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3 및 도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조립체(300)는 귀걸이 하우징(310), 연결부재(320), 및 스피커 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0)의 일단부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320)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3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 상기 연결부재(320), 및/또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3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320)는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3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 상기 연결부재(320), 및/또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330)는 연결 구조들을 통해 연결되어 접혀지는 귀걸이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연결 구조들은 스냅피팅 구조, 플러그인 구조, 힌지 구조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는 제1 귀걸이 하우징(312)과 제2 귀걸이 하우징(314)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과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는 서로 연결되어 수용공간(36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360)는 배터리조립체, 제어회로조립체, 소리픽업조립체, 채널조립체, 블루투스조립체 등 중의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수용공간(360)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은 상기 연결부재(3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는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재(320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은 용접, 리벳팅, 점착, 스냅피팅 등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32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는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은 용접, 리벳팅, 점착, 스냅피팅 등을 통해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과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은 상기 연결부재(3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과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은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재(32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를테면, 상기 수용홈(525) 도 5에서)은 상기 수용공간(36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에는 상기 수용공간(360) 및 상기 외부공간에 연통되는 연통홀(350)이 설치된다.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는 상기 수용공간(360)에서 상기 연통홀(35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는 상기 연통홀(350)을 통해 소리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상기 연통홀(350) 사이의 거리는 1 m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상기 연통홀(350) 사이의 거리는 1 mm, 2 mm, 3 mm, 5 mm, 7 mm, 10 mm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통홀(350)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제1 귀걸이 하우징(3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에 관한 더 많은 설명에 관하여, 본 개시의 다른 부분을 참고한다(이를테면, 도 5 및 그에 관한 설명).
일반적으로, 상기 스피커조립체는 소리생성과정에서 외부의 공기를 구동하여 진동시킬 수 있으며, 즉, "누설음"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연통홀(350)(상기 스피커 하우징(330) 내에 위치)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상기 스피커조립체(이를테면, C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 또는 상기 연결부재(320)(이를테면, D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조립체에 의해 생성되는 "누설음" 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에 의해 픽업되는 것을 될 수록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스피커조립체의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는 상기 스피커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수용공간(360)의 측에 설치되며, 이에 의해서도 상기 스피커조립체에 의해 생성되는 기계적 진동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울링"의 발생 또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통홀(350)의 위치는 상기 상응한 소리픽업조립체의 위치라고 부를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통홀(350)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통홀(350)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상기 스피커조립체를 향한 측, 또는 상기 음향장치(또는 상기 귀걸이조립체(300))가 착용된 경우 상기 음향장치(또는 상기 귀걸이조립체(300))의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향한 측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음향장치(상기 귀걸이조립체(300))가 착용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멀어지는 측(이를테면, O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연통홀(350)은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에서 B, D, E 등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20)는 제1 탄성코팅층(321), 제2 탄성코팅층(322), 및 탄성지지부재(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의 일단부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이를테면,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의 다른 단부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330)(또는 스피커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선(미도시)은 상기 연결부재(3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선의 일단부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 상기 배터리조립체, 상기 제어회로조립체 등에 전기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360)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도선의 다른 단부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330) 내의 상기 스피커조립체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과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은 사출성형의 방식으로(이를테면, 투샷 사출성형)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도선을 감싼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재(323)는 상기 도선을 감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재(323)는 구불고 일정한 강성/강도르 가짐으로써 상기 귀걸이조립체(300)의 기본 형상을 형성하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향장치를 용이하게 착용하게 한다.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과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은 상기 탄성지지부재(323)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도선이 그 속에 감싸여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과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은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할 때 더 좋은 접촉감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과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의 접합선은 상기 연결부재(320)의 표면을 서로 반대되는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의 노출된 표면은 상기 연결부재(320)의 내측면으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의 노출된 표면은 상기 연결부재(320)의 외측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또는 상기 귀걸이조립체(300)) 상기 착용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320)의 내측면은 외측면보다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더 가까움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연결부재(320)의 내측면의 대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귀 및 부근 머리에 접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조도선은 상기 연결부재(320)를 제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도선은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조도선와 상기 탄성지지부재(323)는 형상, 길이, 곡률 반경 등 구조적 파라미터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조도선의 직경은 상기 도선의 직경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코팅층이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상기 보조도선과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의 표면에 형성된 후 상기 보조도선을 빼내어 상기 연결부재(320)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음향장치를 제조할 때, 상기 도선을 상기 탄성코팅층(예를 들면, 상기 보조도선이 원래 있던 위치)에 꿰넣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출성형 과정에서, 상기 보조도선과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이 일정한 길이와 곡률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양자(특히 중간 구역)는 상기 사출성형 재료의 영향하에서 상기 최초의 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탄성코팅층의 균일하지 않은 벽 두께를 초래하며, 상기 연결부재(320)의 성형 품질에 영향을 준다. 특히, 상기 탄성코팅층의 설계된 벽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 상기 음향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320)는 "표면파열"의 나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체험에 영향을 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코팅층은 제1 탄성코팅층(321)과 제2 탄성코팅층(322)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과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은 두 절차들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홈(324)이 상기 탄성코팅층들 중 하나의 일측(이를테면,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홈(324)은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의 연장방향에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재(323)과 상기 보조도선를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은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의 관통홈(324)이 있는 측에 사출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을 커버하고,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과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이 조립 및 고정된 후, 상기 보조도선을 뽑아서 상기 탄성지지부재(323)과 평행되고 상기 수용공간(360)(도 4에 표시되지 않음)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리드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드채널은 도선을 안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홈(324)가 특정된 깊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은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의 일부분을 감싸서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은 사출성형 재료의 영향을 견딜 수 있으며, 이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이 상기 최초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문제를 개선하는데 유리함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관통홈(324)의 깊이는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 중 큰 직경을 가지는 하나의 반경과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관통홈(324의 깊이는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 중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하나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 중 큰 직경을 가지는 하나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관통홈(324)의 깊이는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 중 큰 직경을 가지는 하나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관통홈들(324)의 수량은 2개일 수 있다. 상기 2개의 관통홈들(324)은 나란히 설치되어 각각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을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리드채널과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은 서로 떨어져 있다. 이런 방식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또는 도선)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관통홈들(324)의 수량을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은 상기 관통홈(324)에 공동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지지부재(323)는 상기 리드채널에 노출되어 상기 연결부재(320)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이를테면,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는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재(320)(이를테면,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은 상기 제3 탄성코팅층(316)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탄성코팅층(316)은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코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와 상기 스피커 하우징(330) 사이에 있으며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외면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은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3 탄성코팅층(316)와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는 동일한 코팅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은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과 상기 스피커 하우징(3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의 외면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300)의 형성과정은 아래의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1) 스피커 하우징(330)와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을 각각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의 양단에 형성하는 것. 조작 2) 상기 제1 사출성형 방식을 통해 상기 관통홈들(324)을 구비하는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을 제조하는 것. 조작 3) 조작2)에서 제조된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와 조작1)에서 제조된 반성품 및 보조도선을 조립하는 것. 조작 4) 상기 제2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상기 제2 탄성코팅층(322)을 상기 제1 탄성코팅층(321)의 관통홈(324)이 위치하는 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3 탄성코팅층(316)을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의 외면측에 형성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재(323)와 상기 보조도선을 감싸고,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의 외면을 커버하는 것. 조작 5) 상기 조작 4)에서 획득한 상기 반성품의 보조도선을 뽑아서 상기 리드채널을 형성하고, 그 다음 도선을 상기 리드채널에 꿰넣는 것. 조작 6) 점착체 연결, 스냅연결, 나사 연결 등 중 하나 또는 조합에 의해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을 조작 5)에서 제조한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에 고정하는 것.
상기 음향장치는 2개의 귀걸이조립체들(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응하게,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들(340)의 수량도 2개일 수 있으며, 상기 채널조립체들의 수량도 2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귀걸이조립체들(300)의 각 수용공간(360)에는 각각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채널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픽업 기능을 개선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도 4에서의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의 구조도이다.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는 바닥벽(3122)와 상기 바닥벽(3122)의 주변을 둘러싸는 측벽(3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은 상기 측벽(3124)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바닥벽(3122)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360)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525)은 상기 수용공간(36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랜지(3126)는 상기 바닥벽(3122)의 상기 제2 귀걸이 하우징(314)을 향한 측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3126)는 상기 수용홈(525)를 둘러싸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를 한정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플랜지(3126)와 상기 측벽(3124)의 적어도 일부분은 공동으로 상기 수용홈(525)을 이룰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통홀(350)은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의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350)은 상기 측벽(3124)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이를테면, 도 4에서 위치 C)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통홀(350)은 상기 바닥벽(312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가 상기 연통홀(350)을 통해 상기 외부공간과 직접 연통하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상기 외부공간("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경로"라고도 간칭할 수 있다) 사이의 소리 경로는 짧게 된다. 상기 음향장치가 복잡한 환경속에 있는 경우(예를 들면, 공기 유동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는 더 많은 소음을 픽업하며, 따라서 상기 "바람소음" 현상을 일으킨다. 상기 "바람소음" 현상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가 외부 소음을 픽업하고 소음을 생성하는 현상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채널조립체(이를테면, 도 6a에 표시하는 상기 채널조립체(600))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상기 연통홀(350)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경로를 연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픽업 기능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조립체는 제1 홀("소리 유입홀"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채널, 및 제2 홀("소리 유출홀"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조립체는 상기 수용공간(360)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3126)에 커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채널조립체는 상기 수용홈(525)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를 상기 수용홈(525) 내에 누르며, 상기 소리 유입홀은 상기 측벽(3124)을 향하고 상기 연통홀(350)과 맞이어 연통되며, 상기 소리 유출홀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맞이어 연통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기 채널조립체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소리경로를 연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고정을 구현한다. 상기 채널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에 관하여, 본 개시의 다른 부분을 참고한다(이를테면, 도 6a 및 그에 관한 설명).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통홀(350)은 일정한 폭(이를테면, 0.2 mm, 0.5 mm, 1 mm 등)을 가지는 슬릿일 수 있으며,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상기 외부공간의 소리경로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하며,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픽업 기능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통홀(350)의 형상은 원형, 정사각형, 타원형, 삼각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상기 외부공간의 소리경로 사이의 과다한 접촉면적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방수와 방천 기능의 감소 및/또는 "바람소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재(540)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경로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보호부재(540)는 상기 채널조립체와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연통홀(350)과 상기 채널조립체의 소리 유입홀을 갈라 놓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의 방풍 및 소음감소 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이용되며, 상기 귀걸이조립체(300)의 방수 및 방천 기능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호부재(540)는 하나 이상의 그물들, 이를테면, 제1 그물(542)과 제2 그물(5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적층되어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그물들은 상이하거나 또는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그물(542)은 금속 그물(이를테면, 철 그물, 알루미늄 그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그물(544)은 비금속 그물(이를테면, 나일론 그물, 탄소 그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그물(544)은 상기 제1 그물(542)보다 상기 채널조립체에 더 가깝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그물(542)의 구조 강도는 상기 제2 그물(544)의 구조 강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그물(544)의 그물구멍 단위 수량은 상기 제1 그물(542)의 그물구멍 단위 수량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상기 2개의 그물들의 결합은 상기 보호부재(540)로 하여금 그 자체의 구조 강도,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픽업 요구, 및 상기 귀걸이조립체(300)의 방수 및 방천 요구를 겸하여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량버튼홀(550) 및/또는 기능버튼홀(555)은 상기 제1 귀걸이 하우징(3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음량버튼은 상기 음량버튼홀(55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음량버튼홀(550)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음량버튼을 누르거나/전환함으로써 상기 음향장치에서 회로판의 상응한 처리칩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장치의 스피커조립체의 오디오 증익을 조절한다. 유사하게, 기능버튼은 상기 기능버튼홀(555)에 설치되고 상기 기능버튼홀(555)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능버튼을 누름/움직임(toggle)으로써 상기 음향장치에서 회로판의 상응한 처리칩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장치의 상응한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은 전원 켜기/끄기 제어, 임시 정지/재생 제어, 무선 연결 또는 데이터 전송 제어 등,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채널조립체의 구조도이다. 도 6b는 도 3에서의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구조도이다. 도 6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채널조립체(600)는 제1 홀(610)("소리 유입홀"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채널(620), 및 제2 홀(630)("소리 유출홀"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유입홀(610)과 상기 소리 유출홀(630)은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채널(620)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유입홀(610)은 상기 귀걸이조립체(이를테면, 상기 귀걸이조립체(300)에 있는 연통홀(350))에 있는 연통홀과 맞이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소리 유출홀(630)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는 순차로 상기 연통홀, 상기 소리 유입홀(610), 상기 채널(620), 및 상기 소리 유출홀(630)을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에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 유입홀(610)의 형상은 상기 연통홀의 형상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통홀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슬릿일 때, 상기 소리 유입홀(610)은 슬릿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연통홀이 원형홀의 형상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소리 유입홀(610)은 계란형 홀 또는 원형 홀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620)는 채널 상벽(640), 채널 바닥벽(650), 및 채널측벽(6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상벽(640)과 상기 채널 바닥벽(650)은 각각 상기 채널 측벽(660)의 양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채널 상벽(640)과 상기 채널 바닥벽(65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측벽(660)은 상기 채널 상벽(640)과 상기 채널 바닥벽(65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 상벽(640)과 상기 채널 바닥벽(650)을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채널(620)의 길이는 0.45-0.75 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채널 상벽(640)과 상기 채널 바닥벽(650)을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채널(620)의 길이는 0.45 mm, 0.5 mm, 0.55 mm, 0.6 mm, 0.65 mm, 0.7 mm, 0.75 mm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조립체(600)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를 누르는 경우, 특히, 상기 채널 바닥벽(650)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를 누를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채널 상벽(640)와 상기 채널 바닥벽(650)는 서로 평행되고 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채널(620)은 평탄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평탄한 구조에 적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 유입홀(610)은 상기 채널의 측벽(660) 또는 상벽(6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리 유출홀(630)은 상기 채널 바닥벽(65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리 유입홀(610)과 상기 소리 유출홀(630) 사이의 상기 채널(620)을 따른 거리는 4 mm 이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경로롤 연장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 유입홀(610)과 상기 소리 유출홀(630) 사이의 상기 채널(620)을 따른 거리는 4 mm, 4.5 mm, 5 mm, 5.5 mm, 6 mm, 8 mm, 10 mm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채널조립체(600)는 양단부에 구멍들을 구비하는 관 구조일 수 있으며, 이는 측벽으로만 구성된다. 상기 관 구조의 일단부의 구멍은 상기 소리 유입홀일 수 있으며, 상기 관 구조의 다른 단부의 구멍은 상기 소리 유출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6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는 소리픽업소자(342)와 보호커버(3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344)는 상기 소리픽업소자(342)의 외주면에 씌워져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호커버(344)에는 상기 채널 바닥벽(650)을 향한 홈(34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리픽업소자(342)는 상기 홈(34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채널조립체(600)(이를테면, 상기 채널조립체(600)의 채널 바닥벽(650))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를 상기 수용홈(525)(예를 들면, 상기 채널조립체(600)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 위에 덮여진다) 내에 누르는 경우, 상기 보호커버(344)는 상기 수용홈(525)의 측벽(이를테면, 상기 플랜지(3126))에 맞대어 상기 수용홈(525)의 측벽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홈(346)과 상기 소리 유출홀(630)은 맞이어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픽업된 소리는 상기 소리 유출홀(630)과 상기 홈(346)을 통해 상기 소리픽업소자(342)에 진입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보호커버(344)와 상기 수용홈(525)의 측벽이 맞닿인다는 것은 상기 보호커버(344)와 상기 수용홈(525)의 측벽 사이에 힘이 존재함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344)와 상기 수용홈(525)의 측벽은 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호커버(344)는 상기 탄성(이를테면, 실리콘 커버)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344)는 상기 음향장치의 조립과정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수용홈(525)의 측벽의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에 대한 고정 효과를 증가시키고,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와 상기 채널조립체(600) 사이의 소리경로의 밀봉 기능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340)의 소리픽업 기능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호커버(344)와 상기 소리픽업소자(342)는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리픽업소자(342)의 소리픽업부(이를테면, 진동막)는 상기 홈(346)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가 상기 홈(346)에 전달된 후, 상기 소리는 상기 보호커버(344)와 상기 소리픽업소자(342) 사이의 슬릿으로부터 상기 소리픽업소자(342)의 뒤측으로 누출되기 š˜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소자(342)의 소리픽업 기능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장치에서의 소리픽업조립체의 하울링 역치와 위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로축은 상기 음향장치에서의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또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에 대응되는 연통홀)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세로축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하울링 역치(단위는 dB이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하울링 역치가 클 수록,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하울링" 현상이 일어나는 가능성이 더 작으며, 상기 소리픽업조립체가 상기 스피커조립체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7에서, O, B, C, D, E, F, G, H, 및 I 위치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들이 도2 또는 도 4에서의 O, B, C, D, E, F, G, H, 및 I 위치에 설치됨을 표시한다. 도 4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300)는 도 2에서의 상기 음향장치의 상기 귀걸이조립체들(212 및/또는 214)의 예시적인 구조일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가 상기 착용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O 위치는 상기 귀걸이조립체(300)의 상기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측에 위치한다. B 및 E 위치는 상기 귀걸이조립체(300)의 귀걸이 하우징(310)의 상측에 위치하며, E 위치는 상기 B 위치보다 상기 스피커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다. D 위치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하측에 위치하고, C 위치는 상기 스피커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귀걸이 하우징(310)의 뒤칙에 위치한다. 또한, 배면걸이조립체에 있어서, 도 2와 결합하여, F, G, H, 및 I 위치는 차례로 상기 스피커조립체(232및/또는 23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다. 상기 I 위치는 상기 배면걸이조립체(216)의 중간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O 위치의 하울링 역치는 기준 역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즉, 상기 O 위치의의 하울링 역치 값은 0으로 정의된다.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B, C, D, E, F, G, H, 및 I 위치의 하울링 역치는 모두 0보다 크고, 이는 이러한 위치들에서의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의 설치가 상기 "하울링" 현상을 약화시키는데 유리함을 의미한다. 또한, F, G, H, 및 I 위치의 하울링 역치는 이러한 B, C, D, 및 E 위치보다 선명히 크며, 이는 상기 소리픽업조립체가 배면걸이조립체에 설치된 경우 상기 "하울링" 현상을 약화시키는데 더 유리함을 의미한다. 상기 귀걸이 하우징에 있어서, C 및 E 위치의 하울링 역치는 B 및 D 위치들보다 선명히 크며, 이는 상기 스피커조립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귀걸이 하우징에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더 멀리 설치할 수록, 상기 "하울링" 현상을 약화시키는데 더 유리함을 의미함에 유의해야 한다. E 위치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조립체와 상기 배면걸이조립체 사이에 구조적 간섭이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우선적으로 상기 귀걸이조립체의 C 위치에 설치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800)는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810)(이를테면, 스피커조립체들(810-1, 810-2), 제어회로조립체(820), 및 복수의 인터랙티브 조립체들 830(이를테면, 인터랙티브 조립체들(830-1, 830-2))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조립체(810)는 오디오 신호(이를테면, 전기신호)를 기계적 진동 신호로 변환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피커조립체(810)는 마이크로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를 기계적 진동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소리를 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810)는 골전도 스피커, 기전도 스피커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스피커조립체(810)는 골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자기회로조립체, 진동조립체, 및 스피커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장을 제공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진동조립체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자기장의 작용하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기계적 진동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조립체는 음성코일과 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코일은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자기갭에 설치된다. 상기 음성코일은 상기 스피커조립체(810)가 상기 전기신호(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자기장의 작용하에서 진동한다. 상기 음성코일은 상기 진동판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진동을 상기 진동판에 전달한다. 상기 스피커 하우징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진동판(예를 들면, 전동전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하우징은 상기 진동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진동판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여 진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진동을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청각신경에 전달하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소리를 듣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810)은 다양한 공진 피크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810)은 500 Hz보다 낮은, 또는 1000 Hz보다 낮은, 또는 5000 Hz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피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들(810)는 다양한 유형, 이를테면, 전자기(이를테면, 가동식 코일, 가동 철편식 등), 압전식, 역압전식, 정전기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는 상기 음향장치(800)의 기타 조립체들(이를테면, 상기 스피커조립체들(810))을 제어하는데 이용하여 상기 음향장치(800)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는 복수의 제어소자들(이를테면, 상기 제어소자들( 820-1, 82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소자는 상응하게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조립체를 제어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스피커조립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테면, 독립적으로 상응한 스피커조립체의 오디오 증익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는 하나 이상의 기능버튼들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음향장치(800)을 제어하여 켜기/끄기, 임시정지/재생, 무선 연결/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에 관하여, 본 개시의 기타 부분을 참조 바란다(이를테면, 도 9 및 그에 관한 설명).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830)는 사용자와 상기 음향장치(800) 사이의 인터랙션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830)는 상기 사용자, 상기 스피커조립체(810) 및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 사이의 인터랙션을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830)는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를 촉발시켜 상기 음향장치(800)가 사용자 동작명령을 수신하는 데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8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누름명령을 수신한 데 응답하여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를 제어하여 상기 음향장치(800)의 전원 켜기/끄기를 실행하게 한다. 다른 예로써, 각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스피커조립체 및 그의 상응한 제어소자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각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을 수신하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 중의 제어소자를 촉발시켜 상기 상응한 스피커조립체(810)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830-1)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누름 또는 움직임 명령을 수신한 데 응답하여 상기 제어소자(820-1)를 제어하여 기 스피커조립체(810-1)의 오디오 증익을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830)는 상기 음향장치(800)의 지지조립체(이를테면, 귀걸이조립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3 홀들과 각각 상기 제3 홀들 내에 설치된 제1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이를테면, 제어소자)를 촉발시켜 상기 음향장치(800)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사용자 동작명령을 수신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힘, 소리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는 누름, 돌리기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제1 부재는 소리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소리 센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사용자 동작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부재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 이를테면, 음량버튼 및 기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이를테면, 각 제어소자)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동작명령(이를테면, 누름,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를 촉발하여 음량 증가/감소, 재생/임시정지, 전원 켜기/끄기 등과 같은 상기 동작 명령들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부재는 기계 스위치, 음성활성화 스위치 등과 같은 기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부재의 일측에는 스위치 수용구역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수용구역은 상기 기능 스위치를 수용하는 데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명령(이를테면, 움직임)을 수신한 경우 기능 스위치를 움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조립체(820) 중의 제어소자를 촉발시켜 상응한 명령기능을 실행한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제2 부재는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소리에 응답하여 상기 기능 스위치를 촉발하여 상기 제2 부재에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900)는 스피커조립체(910), 스피커조립체(920), 귀걸이조립체(930), 귀걸이조립체(940), 및 배면걸이조립체(9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과 상기 상응한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다양한 조립체들은 공동으로 하우징 조립체라고 부를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배면걸이조립체(950)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귀걸이조립체들(930 및 940 ) 및 상응한 스피커조립체들(910 및 92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면걸이조립체(950)의 양단부의 다양한 전자소자(이를테면, 소리픽업조립체, 스피커조립체 등)는 배면걸이조립체(950)에 내장한 도선을 통해 전기연결되어 제어 명령들, 전력 등의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귀걸이조립체(930)는 메인회로판(932), 음량버튼(934), 기능버튼(936), 소리픽업조립체(938)등,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조립체(940)는 서브회로판(942), 음량버튼(944), 배터리조립체(946), 소리픽업조립체(948) 등,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인회로판(932)은 상기 귀걸이조립체(930)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조립체(946)는 상기 귀걸이조립체(940)의 수용공간에 수용하며, 따라서 상기 음향장치(900)의 무게 분포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독립적인 오디오 처리칩들(제어소자들이라고도 부른다)은 상기 메인회로판(932)에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2개의 스피커조립체들(910 및920)의 오디오 증익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910)를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칩은 상기 메인회로판(9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조립체(910)의 오디오 증익을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조립체(920)를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칩은 상기 서브회로판(942)에 일체로 형성되어 단독으로 상기 스피커조립체(920)의 오디오 증익을 제어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오디오 처리칩은 디지털 신호처리(DSP)칩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용자는 각각 상기 2개의 음량버튼들(934 및 944)을 통해 상기 2개의 스피커조립체들(910 및9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음량버튼홀은 각 귀걸이조립체에 대응되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음량버튼(934 또는 944)은 상응하게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음량버튼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음량버튼홀을 통해 노출되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음량버튼을 누르거나 돌려서 상기 상응한 오디오 처리칩을 제어할 수 있으며, 결국 상응한 스피커조립체의 오디오 증익이 조절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음량버튼(934)과 상기 음량버튼(944)은 인터랙티브 조립체들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상기 음량버튼(934), 상기 음량버튼(944))과 상기 메인회로판(932)는 공동으로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라고 부를 수 있다. 이런 경우, 서로 독립된 2개의 오디오 처리칩들은 상기 메인회로판(93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서브회로판(9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인회로판(932)과 상기 서브회로판(942)은 상이한 귀걸이 하우징들의 상응한 수용공간들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회로판(932)은 상기 음량버튼(934)와 결합되어 상기 음량버튼(934)에 대응되는 상기 음량버튼홀을 커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량버튼(934)에 응용하는 누름힘을 견디도록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서브회로판(942)은 상기 음량버튼(944)과 결합되어 상기 음량버튼(944)에 대응되는 상기 음량버튼홀을 커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량버튼(944)에 가한 누름힘을 견디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 2개의 소자들 사이의 결합은 직접 연결 또는 간접적 연결이라고 부를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브회로판(942)은 상기 메인회로판(932)에 전기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메인회로판(932)은 서브회로판(942)에 결합되는 상기 음량버튼(944)의 누름조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브회로판(942)과 상기 배터리조립체(946)는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동일한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기능버튼(93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버튼(936)은 상기 메인회로판(932)과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인회로판(932)이 일반적으로 체적이 상기 배터리조립체(946)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기능버튼(936)은 상기 귀걸이 하우징의 상기 메인회로판(932)이 위치하는 일측에 설치되며, 따라서 기 음향장치(900)의 체적 분포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버튼(936)은 상기 음량버튼(934)을 대체하거나 또는 상기 음량버튼(934)과 공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버튼(936)은 재생/임시정지, 전원 켜기/끄기 등과 같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장치(900)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음향장치(900)에 대한 기재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여러가지 대안방안, 수정 및 변화는 용이한 것이다. 여기에서 기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기 특징들, 구조들, 방법들, 및 기타 특징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추가적인 및/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향장치(900)는 상기 음향장치(900)의 방수 및 방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수뒤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음향장치(900)는 블루투스조립체, 채널조립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본 원칙을 설명하였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의 상세설명은 하나의 예 뿐이고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이 아님이 명료할 것이다. 여기에서 명기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개진,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화, 개량, 또는 수정은 본 개시의 제시를 받았으며, 이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용어 이를테면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상세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어의 상이한 부분에서 기술한 2개 이상의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는 전부 동일한 실시예로 여길 필요가 없음을 강조하고 인정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본 개시에서 일부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공개의 각 방면은 임의의 새롭고 유용한 처리, 기계, 제품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물질의 조합 또는 그들의 새롭고 유양한 개진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특허 가능한 종류 또는 상황을 통해 기술하고 설명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각 방면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는 "유닛", "모듈", 또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의 각 방면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내에 있는 컴퓨터 제품,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내장한 제품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요소 또는 순서, 또는 숫자, 문자 또는 기타 명칭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주장된 프로세스 및 방법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 공개는 상기 공개의 여러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를 통해 현재 본 공개의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지만, 이러한 상세내용은 오로지 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수정과 공개된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방안과 동등한 방안을 포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요소의 구현이 하드웨어 장치에 구현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예를 들면 기존 서버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하는)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개시의 상기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는 개시를 능률화하기 위해 어떤 경우 다양한 특징들이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그에 대한 기재에 함께 집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 방범은 각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특징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상기 공개된 하나의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 출원의 특정된 실시예를 설명하고 주장하는데 사용된 량 및 속성의 개수를 표시하는 숫자는 일부 예에서 용어 "약", "유사", 또는 "기본상" 등으로 수정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유사" 또는 "기본상"은 그 묘사하는 값이 ±20%의 변화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사용한 수치 계수는 유사치이며, 그 유사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얻으려는 성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치 계수는 보고된 유효 숫자를 고려하고 일반적인 숫자 보유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범위를 확인하는데 사용된 수치 범위와 계수는 유사치이지만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러한 수치는 가능한 범위에서 될수록 정확하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각 특허, 특허출원, 특허출원의 출판물과 기타자료, 예를 들면 문장, 서적, 명세서, 출판물, 서류, 물품 및 그 유사물 등은 인용되어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결합되어 모든 목적에 사용되나 인용되는 자료에 관련되는 임의의 소송 역사, 본 명세서와 불일치하거나 상호 충돌되는 인용자료, 또는 현재 또는 금후 본 명세서와 관련되어 청구범위의 최대 범위에 대하여 한정적 영향이 있는 인용서류는 제외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합병된 자료와 관련되는 용어의 기술, 정의와/또는 사용이 본 명세서와의 사이에서 임의의 불일치 또는 충돌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의 기술, 정의와/또는 사용을 기준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공개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원칙들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수정은 본 출원의 범위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비한정적인 대안 형태는 여기에서 주는 암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보여주고 묘사된대로 정확하게 한정된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음향장치로서,
    수용공간과, 각각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통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을 통해 소리를 픽업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 중 하나의 소리픽업조립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 중 하나의 연통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소리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에 전달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매칭되고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을 둘러싼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측벽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바닥벽에는 플랜지가 제공되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공동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랜지 상에 커버되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상기 수용홈에 유지하는, 음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홀, 채널, 및 제2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은 상기 연통홀과 맞이어 연통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와 인접되어 배치되어 상기 소리는 순차로 상기 연통홀, 상기 제1 홀, 상기 채널, 및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로 전달되는, 음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용홈에 누르는, 음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는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각각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조립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어소자들을 포함하는 제어회로조립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하우징의 측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회로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스피커조립체들 중 하나와 상기 스피커조립체의 상응한 제어소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터랙티브 조립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사용자 동작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조립체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소자를 촉발하여 상기 상응한 스피커조립체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음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채널 상벽, 채널 바닥벽, 및 채널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상벽과 상기 채널 바닥벽은 각각 상기 채널 측벽의 두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홀은 상기 채널 측벽 또는 상기 채널 상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채널 바닥벽 상에 위치되고,
    상기 채널 바닥벽은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를 눌러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음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픽업조립체는 소리픽업소자와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소리픽업소자의 외주면에 씌워져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채널 바닥벽을 향한 홈이 제공되고,
    상기 소리픽업소자는 상기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플랜지에 접촉하여 밀착되는, 음향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홀과 상기 제1 홀을 갈라 놓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향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조립체는 각각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3 홀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홀에 배치된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들은 상기 제어소자를 촉발하여 상응한 스피커조립체의 오디오 증익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음향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일단부는 각각 하나의 스피커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메인회로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소자는 상기 메인회로판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회로판은 귀걸이 하우징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어회로조립체는 서브회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회로판은 다른 귀걸이 하우징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응한 음량버튼홀을 커버하는, 음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는 각각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 중 적어도 2개의 상응한 수용공간들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픽업조립체는 상기 제3 부분의 상응한 수용공간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음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배면걸이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리픽업조립체 중 하나는 상기 배면걸이조립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음향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27041657A 2020-08-12 2021-04-29 음향장치 KR102662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1693284.4 2020-08-12
CN202021693284.4U CN213485164U (zh) 2020-08-12 2020-08-12 一种发声装置
CN202021693233.1 2020-08-12
CN202021693233.1U CN213342683U (zh) 2020-08-12 2020-08-12 一种发声装置
CN202021675913.0 2020-08-12
CN202021675913.0U CN212851007U (zh) 2020-08-12 2020-08-12 一种发声装置
PCT/CN2021/090973 WO2022033080A1 (zh) 2020-08-12 2021-04-29 声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135A KR20230003135A (ko) 2023-01-05
KR102662480B1 true KR102662480B1 (ko) 2024-05-03

Family

ID=8024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657A KR102662480B1 (ko) 2020-08-12 2021-04-29 음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53556A1 (ko)
EP (1) EP4124058A4 (ko)
JP (1) JP2023526608A (ko)
KR (1) KR102662480B1 (ko)
BR (1) BR112022022269A2 (ko)
WO (1) WO202203308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6790A (zh) * 2017-12-15 2019-06-25 骷髅头有限公司 包括多个振动部件的消噪耳机及相关的方法
WO2020140455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WO2020140463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519B2 (en) * 2006-02-02 2010-10-12 General Motors Llc Microphone apparatus with increased directivity
US8724840B2 (en) * 2012-03-22 2014-05-13 Robert Bosch Gmbh Offset acoustic channel for microphone systems
KR20170076357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이의 스피커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모드 전환 방법 및 음향 시스템
CN208489977U (zh) * 2018-08-01 2019-02-12 佛山市威耳听力技术有限公司 多向拾音装置
CN111432053A (zh) * 2020-03-27 2020-07-17 歌尔微电子有限公司 可实现远距离拾音的移动终端
CN212851007U (zh) * 2020-08-12 2021-03-3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发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6790A (zh) * 2017-12-15 2019-06-25 骷髅头有限公司 包括多个振动部件的消噪耳机及相关的方法
WO2020140455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WO2020140463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135A (ko) 2023-01-05
WO2022033080A1 (zh) 2022-02-17
JP2023526608A (ja) 2023-06-22
EP4124058A1 (en) 2023-01-25
BR112022022269A2 (pt) 2023-03-07
US20230053556A1 (en) 2023-02-23
EP4124058A4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0080B2 (en) Balanced armature based valve
US10357403B2 (en) Wireless earplug with improved sensitivity and form factor
EP1879424B1 (en) Earphone for placement in an ear
WO2014199612A1 (ja) 音響機器
MXPA06002815A (es) Aparato de audio.
US11871186B2 (en) Earmold with closing element for vent
JP2021034775A (ja) イヤホン
EP3637799B1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with a venting passage
JP2006517760A (ja) 外部の音響雑音を減少させる効果を有する双方向音声通信装置
KR20230118640A (ko) 음향출력장치
JP2020098957A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電気音響変換装置
US20220312098A1 (en) Acoustic device
TW202236866A (zh) 聽力輔助裝置
CN212851007U (zh) 一种发声装置
KR102662480B1 (ko) 음향장치
CN114845229A (zh) 一种发声装置
RU2800542C1 (ru) Акустические устройства
CN115053533A (zh) 声学装置
EP4340387A1 (en) An earphone and a method of performing a command by an earphone
CN115053536A (zh) 声学装置
EP3866484B1 (en) Throat headset system
EP4274254A1 (en) An element comprising a physical filter
CN213661944U (zh) 一种发声装置
EP4250770A1 (en) Method at a binaural hearing device system and a binaural hearing device system
CN115580801A (zh) 耳机及耳机盒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