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466B1 - 음성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466B1
KR102661466B1 KR1020190103759A KR20190103759A KR102661466B1 KR 102661466 B1 KR102661466 B1 KR 102661466B1 KR 1020190103759 A KR1020190103759 A KR 1020190103759A KR 20190103759 A KR20190103759 A KR 20190103759A KR 102661466 B1 KR102661466 B1 KR 102661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oice input
voice
circuit board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953A (ko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1Electrostatic transduc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ets
    • H04R19/016Electrostatic transduc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et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성 입력 장치는, 음성 입력공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입력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통과공과 결속공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통과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수신공이 구비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음성 입력공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과공으로 안내하는 실러를 포함하고, 상기 실러는, 중공을 갖는 관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의 상단을 규정하는 상면은 상기 음성 입력공을 둘러싸면서 상기 패널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중공의 하단을 규정하는 하면은 상기 음성 통과공을 둘러싸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속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입력 장치{VOIC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어플라이언스(appliance) 제어를 위한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내에는 TV, 에어컨, 오디오, 청소기, 세탁기, 공기청정기, 의류관리기, 냉장고, 오븐, 식기세척기, 정수기, 건조기 등의 다양한 어플라이언스(appliance)가 있다. 어플라이언스들을 무선 통신 기반의 원격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제어장치가 하나의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하나, 여러 개의 어플라이언스를 함께 관리, 제어하는 통합형 제어장치도 있다.
음성 인식기술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는 음성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음성 입력 장치와 연동된다. 상기 음성 입력 장치에는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스피커(speaker)가 구비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 응답, 알림 등의 각종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의 선택, 실행, 문의, 제어 등의 각종 지시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정확하게 동작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정확하게 입력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누설되지 않고 마이크로폰까지 이를 수 있는 최적의 실링 구조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패널에 형성된 음성 입력공을 통해 입력된 음성이 손실 없이 마이크로폰까지 이를 수 있는 음성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음성 입력공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이외의 불필요한 소음이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 음성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음향 실링을 위한 기구물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음성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음성 입력 장치는, 음성 입력공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입력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통과공과 결속공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통과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수신공이 구비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음성 입력공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과공으로 안내하는 실러를 포함한다.
상기 실러는, 중공을 갖는 관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의 상단을 규정하는 상면은 상기 음성 입력공을 둘러싸면서 상기 패널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중공의 하단을 규정하는 하면은 상기 음성 통과공을 둘러싸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속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관은 압축 가능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하측에 배치되는 스피커 룸과, 상기 스피커 룸 내에 배치되는 스피커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스피커 룸의 상면부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스피커 룸과 상기 패널을 연결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안내관이 비압축시의 길이 보다 작도록 유지시키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스피커 룸의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의 상단과 상기 패널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러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상기 중공은 상기 음성 입력공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상기 음성 통과공은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입력 장치는, 음성 입력공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입력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통과공과 제 1 결속공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통과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수신공이 구비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을 수용하고, 제 2 결속공이 형성된 후크 고정체와, 상기 음성 입력공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과공으로 안내하는 실러를 포함하고, 상기 실러는, 중공을 갖는 관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의 상단을 규정하는 상면은 상기 음성 입력공을 둘러싸면서 상기 패널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중공의 하단을 규정하는 하면은 상기 음성 통과공을 둘러싸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하는 안내관과,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1 결속공과 상기 제 2 결속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후크 고정체의 저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 고정체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고정체는,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고정체의 저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가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고정체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음성 입력 장치는, 첫째, 패널에 형성된 음성 입력공으로부터 회로기판에 형성된 음성 통과공까지 실러에 형성된 중공에 의해 음성이 안내되기 때문에, 음성의 누설과 상기 실러 내로 잡음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둘째, 후크와 결속공 간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상기 실러를 고정시킴으로써 제조 공정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양면테이프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상기 실러를 고정하는 방식에 비해, 물성(stiffness) 변화가 없는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성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의 케이싱을 절개하여 내부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6에 도시된 음성 입력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음성 입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음성 입력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의 부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은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 적어도 하나의 음성 입력 장치(20),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라이언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30)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한정되지 않고, 업무 공간 등에서 사용되는 오피스 어플라이언스일 수도 있다.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는 음성 입력 장치(20)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어플라이언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30)는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와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라이언스(30)는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는 어플라이언스(30)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음성 입력 장치(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는 허브(hub) 또는 서버(server)로써 기능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음성 입력 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라이언스(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은 음성 형태일 수 있고, 음성 입력 장치(20)는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221,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 장치(20)는 음성 이외에도 터치나 버튼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 장치(20)는 스피커(231)나 디스플레이(232) 등의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 입력 장치(20)는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나 응답 등을 출력하거나,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나 데이터는 어플라이언스(30)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음성 입력 장치(2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수단이 내장된 오디오 출력 장치(예컨대, 인공지능 스피커), 상기 입력 수단이 내장된 어플라이언스(예컨대, 마이크로폰을 갖는 에어컨, 세탁기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a)는 음성 처리 장치(11) 및 제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처리 장치(11) 및 제어 장치(13) 각각은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에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음성 입력 장치(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또는, 음성 명령)이 음성 처리 장치(11)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은 특정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처리 장치(11)는 수신된 음성을 처리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특정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처리 장치(11)는 획득된 제어 명령을 제어 장치(13)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음성 처리 장치(11)는 제어 장치(13)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또는 코드 형태의 메시지나 각종 정보를 음성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형태의 안내 메시지 또는 각종 정보를 음성 입력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처리 장치(11)는 AS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모듈(111),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모듈(113), 및 TTS (text to speech)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SR 모듈(111), NLP 모듈(113), 및 TTS 모듈(115)은 하나의 서버 내에 구현되거나, 각각 별도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ASR 모듈(111)은 기 공지된 자동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입력 장치(20)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NLP 모듈(113)은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제어 장치(13) 또는 어플라이언스(30)가 처리 가능한 제어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NLP 모듈(113)은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자연어로부터 어플라이언스(30)의 식별을 위한 키워드, 및/또는 어플라이언스(30)의 기능이나 동작과 관련된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NLP 모듈(113)은 획득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NLP 모듈(113)은 제어 장치(13)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또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자연어 형태의 텍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텍스트를 TTS 모듈(115)로 전송할 수 있다.
TTS 모듈(115)은 NLP 모듈(113)로부터 전송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을 음성 입력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는, 음성 처리 장치(11)로부터 어플라이언스(3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어플라이언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3)는 사용자 프로파일(UP) 및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UP)은 음성 입력 장치(20)의 사용자가 보유한 어플라이언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UP)은 사용자가 보유한 어플라이언스들의 제품 정보(모델 정보), 상기 보유한 어플라이언스들 각각에 대한 구동 히스토리, 사용 패턴, 에러 히스토리, 수리 내역 등의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보유한 어플라이언스들은 공간별 또는 기능별 등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되고, 각 그룹의 대표 어플라이언스만이 제어 장치(13)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거실에 위치한 어플라이언스들 중 공기청정기가 근거리 통신 모듈만을 구비하여 제어 장치(13)와 직접 연결될 수 없는 경우, 공기청정기는 에어컨을 통해 제어 장치(1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실에 위치한 어플라이언스들 중 에어컨이 대표 어플라이언스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는 상기 대표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나머지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프로파일(UP)에는 상기 어플라이언스들의 그룹 정보, 대표 어플라이언스 정보, 및/또는 어플라이언스들 간의 연결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은 어플라이언스의 제품들(모델들) 각각이 지원하는 기능들(모드들)에 대한 정보와, 기능들 각각에 대한 데이터 형식(예컨대, 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는 상기 제어 명령, 사용자 프로파일(UP), 및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명령이 공기조화기를 제습 모드로 구동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장치(13)는 사용자 프로파일(UP)로부터 사용자가 보유한 공기조화기의 제품 정보(모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13)는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공기조화기의 모델의 제습 모드에 대한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는 획득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습 모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공기조화기로 전송하고, 공기조화기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습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어플라이언스(30)는, 세부 모델에 따라 특정 기능에 대한 코드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즉, 모델에 따라 코드 정보가 파편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13)가 제어 명령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델들 각각에 대한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는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제어 명령들 각각을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므로, 상기 추가적인 과정은 제어 장치(13)의 부하 증가 및 처리속도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는 타겟 어플라이언스(또는 제어 대상 어플라이언스)의 모델에 대한 코드 정보를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 모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모듈(15)은 제어 장치(13)와 별도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제어 장치(13)와 함께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데이터 변환 모듈(15)은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변환 모듈(15)은 복수 개로 구현되어, 각각의 데이터 변환 모듈(15)이 제어 장치(13)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변환 모듈(15)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 장치(13)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어플라이언스에서 제어될 기능에 대한 통합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코드 정보는, 특정 어플라이언스 제품군에 대해 공통적으로 설정된 코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모듈(15)은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통합 코드 정보를, 타겟 어플라이언스의 모델에 대한 코드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은 데이터 변환 모듈(15)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13)는 데이터 변환 모듈(15)로 상기 타겟 어플라이언스의 모델 정보를 상기 제어 신호와 함께 상기 데이터 변환 모듈(15)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모듈(15)은 제어 장치(13)로부터 수신된 모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코드 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모듈(15)은 제어 서버(13)를 보조하는 일종의 클라우드렛(cloudlet)과 같은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모듈(15)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제어 장치(13)의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13)의 부하가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처리 속도의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3)는 프로세서(131), 통신부(132), 메모리(133), 및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제어 장치(13)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통신부(132)를 통해 음성 처리 장치(11)로부터 어플라이언스(3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통신부(132)를 통해 어플라이언스(30)로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2)는 인터넷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1)는 통신부(132)를 통해 어플라이언스(3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거나, 어플라이언스(30)의 동작 정보나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수신된 응답, 동작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음성 처리 장치(11) 또는 음성 입력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1)는 수신된 응답, 동작 정보, 또는 상태 정보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통신부(132)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어플라이언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31)는 적어도 하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집적 회로, 마이크로 컨트롤러,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3)는 제어 장치(13)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 데이터, 및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33)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각종 정보, 데이터, 및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는 제어 장치(13)의 동작 중 획득된 데이터 또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로드된 정보, 데이터, 알고리즘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33)는 사용자 프로파일(UP) 및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UP) 및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은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이 타겟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프로파일(UP)은 음성 입력 장치(20)의 사용자가 보유한 어플라이언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UP)은 사용자가 보유한 어플라이언스들의 제품 정보(모델 정보), 상기 보유한 어플라이언스들 각각에 대한 구동 히스토리, 사용 패턴, 에러 히스토리, 수리 내역 등의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은 어플라이언스의 제품들(모델들) 각각이 지원하는 기능들(모드들)에 대한 정보와, 기능들 각각에 대한 데이터 형식(예컨대, 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13)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UP) 및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장치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UP)의 적어도 일부 또는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133)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은 음성 처리 서버(11) 또는 음성 입력 장치(20) 등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이 프로세서(131)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은 프로세서(131)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은, 사용자 프로파일(UP)로부터 사용자가 보유한 어플라이언스들 중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될 어플라이언스의 모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은, 상기 제어될 어플라이언스의 모델과 관련된 데이터 중,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데이터(예컨대, 코드 정보)를 어플라이언스 프로파일(AP)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은 획득된 데이터(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가 데이터 변환 모듈(15)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 모듈(134)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될 기능에 대한 통합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모듈(15)은 상기 통합 코드 정보를, 상기 제어될 어플라이언스의 모델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성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성 입력 장치(2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1), 제어부(243), 전원 공급부(242), 및 인터페이스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음성 입력 장치(20)를 네트워크를 통해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 음성 처리 장치(11), 제어 장치(13), 어플라이언스(30), 및/또는 사용자의 단말기 등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모듈이나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3)는 통신부(210)를 통해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 구체적으로 음성 처리 장치(11) 또는 제어 장치(13)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어플라이언스(3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3)는 통신부(210)를 통해 음성 처리 장치(11) 또는 제어 장치(13)로부터 어플라이언스(30)와 관련된 정보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어플라이언스(30)로부터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조작 등의 행위에 의해 소정 신호,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음성 입력 장치(20)로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마이크로폰(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는 터치 입력부(222) 및/또는 버튼 조작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는 버튼 입력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 입력부(223)를 통해 음성 입력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23)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라이언스(30)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버튼 입력부(223)는 마이크로폰(221)을 활성/비활성시키는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버튼 입력부(223)를 누른 후 또는 누른 동안, 제어부(243)는 마이크로폰(221)을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의 발화를 완료한 후 버튼 입력부(223)를 다시 누르거나, 누름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3)는 마이크로폰(221)을 비활성화시키고, 수신된 음성을 음성 처리 장치(11)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20)를 통해 타겟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폰(221)을 통해 음성 형태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터치 입력부(222)나 버튼 입력부(223)를 통해 텍스트 형태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232)를 통해 출력된 메뉴 또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음성 입력 장치(20)의 동작이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230)는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나 데이터는, 어플라이언스(30)의 동작이나 상태와 관련된 정보,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한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이나 처리 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음성이나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231), 상기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32), 및 상기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광의 색상이나 밝기, 발광 패턴 등을 통해 출력하는 광 출력부(2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1)에는, 음성 입력 장치(2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입력부(220)를 통해 획득된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43)는 음성 입력 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43)는 입력부(220)를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어플라이언스(30)에 대한 제어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43)는 획득된 제어 명령을 통신부(210)를 통해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3)는 통신부(210)를 통해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로부터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3)는 적어도 하나의 CPU, 마이컴, AP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42)는 음성 입력 장치(2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각각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242)는 외부의 전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구성 요소들로 공급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 공급부(242)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음성 입력 장치(20) 내에 구비될 수 있고, 음성 입력 장치(20)에 포함된 전원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구비된 음성 입력 장치(20)는 특정 공간 내에서 사용자 등에 의해 이동가능한 포터블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242)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부(예컨대,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입력 장치(20)는 무선 전력 송신부가 구비된 어플라이언스(30) 또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등에 근접하게 안착, 부착, 또는 장착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 공급부(242)에 구현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음성 입력 장치(20)는 무선 전력 송신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도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42)는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35)는 음성 입력 장치(20)를 다른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35)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입력 장치(20)는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어플라이언스(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플라이언스(30)는 통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어플라이언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어플라이언스(30)는 음성 입력 장치(20)를 통해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1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 장치(20)는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어플라이언스(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의 케이싱을 절개하여 내부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6에 도시된 음성 입력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음성 입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음성 입력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음성 입력 장치(20)는 특정 공간(예컨대, 가정)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 형태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성 입력 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배치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음성 입력 장치(20)는 스피커(231)와, 스피커(231)가 수용되는 스피커 룸(26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21)은 스피커 룸(26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21)은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반의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231)는 하방으로 음을 출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231)는 전기 신호에 따라 진동하며 음을 방출하는 진동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동판에 의한 음의 출력이 하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피커 룸(260)은 스피커(231)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스피커 룸(260)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울림통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음성 입력 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2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50) 내에 스피커 룸(260)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싱(250)은 대략 수평한 베이스(251)와, 베이스(251)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252)과, 측벽(252)의 개방된 상면을 닫는 패널(25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251), 측벽(252) 및 패널(253)은 일체로 이루어져 케이싱(250)을 구성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251), 측벽(252) 및/또는 패널(253)은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이들이 서로 결합된 조립체로서 케이싱(25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피커 룸(260)에는 스피커(231)로부터 출력된 음을 방출하는 음 방출구(261)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250)에는 음 방출구(261)와 연통되는 음 출력구(254)가 형성될 수 있다. 음 방출구(261)를 통해 방출된 스피커(231)의 출력음이 음 출력구(254)를 통해 케이싱(250)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음 출력구(254)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21)은 스피커 룸(26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폰221)은 스피커 룸(260)의 상측에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케이싱(250)에는 음성 입력공(253h)이 형성된다. 음성 입력공(253h)은 패널(253)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음성 입력공(253h)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250) 내에는 회로기판(280)이 배치된다. 회로기판(280)은 패널(25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
회로기판(280)은 스피커 룸(2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280)은 스피커 룸(260)의 천장을 규정하는 룸의 상면부(이하, 룸 상면부(262)라고 함.)로부터 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서포터(266)가 룸 상면부(262)로부터 상측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연장되어 회로기판(280)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 서포터(266)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기판 서포터(266)는 상단에 나사(269)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갖는 보스(boss)일 수 있다. 회로기판(280)에는 기판 서포터(266)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통과공(286)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으로부터 나사(269)가 나사 통과공(286)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28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통과공(281)이 형성된다. 두 개의 음성 입력공(253h)과 각각 대응하도록 두 개의 음성 통과공(281)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음성 형태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221)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21)은 회로기판(28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음성 통과공(281)과 각각 대응하도록 두 개의 마이크로폰(221)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마이크로폰(221)은 회로기판(28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280)의 저면은 스피커 룸(260)을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221)는 음(또는, 음성)이 수신되는 음성 수신공(미도시)이 음성 통과공(281)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상기 음성 수신공은 적어도 일부분이 음성 통과공(281)과 중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성 통과공(281)의 내측에 위치한다.
음성 입력공(253h)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통과공(281)으로 안내하는 실러(270)가 구비된다. 실러(270)는 유연한, 변형 가능한, 연질 또는 압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러(270)는 실리콘(silicon)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러(270)는 안내관(271)과 후크(272)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관(271)은 중공(271h)을 갖는 관상으로 이루어져 패널(253)과 회로기판(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내관(271)은 중공(271h)의 상단을 규정하는 상면(271a)이 음성 입력공(253h)을 둘러싸면서 패널(253)의 저면과 접하고, 중공(271h)의 하단을 규정하는 하면(271b)은 음성 통과공(281)을 둘러싸면서 회로기판(280)의 상면과 접한다.
구체적으로, 안내관(271))의 중공(271h)은 음성 입력공(253h)과 중첩될 수 있다. 음성 입력공(253h)의 직경(W1)은 중공(271h)의 직경(W2) 보다 클 수 있다.(W1>W2)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중공(271h)은 음성 입력공(253h)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공(271h)의 직경(W2)은 음성 통과공(281)의 직경(W3) 보다 클 수 있다.(W2>W3)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음성 통과공(281)은 중공(271h)내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272)는 안내관(27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272)가 중공(271h)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구비될 수 있다. 회로기판(280)에는 결속공(282)이 형성되며, 후크(272)가 결속공(282)을 통과하여 회로기판(280)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한 쌍의 후크(272)와 대응하여 결속공(282)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결속공(282)은 후크(27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더라도, 연질로 이루어진 후크(272)는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속공(282)을 통과할 수 있으며, 통과한 후에는 다시 원형태로 복원되어 결속공(28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실러(270)가 후크(272) 없이 안내관(271)으로만 구비되고, 안내관(271)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회로기판(280)의 상면에 부착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 경우, 양면테이프를 접착할 시 접착면에 공기가 들어가거나, 양면테이프의 접힘, 짖어짐, 늘어짐 등이 발생하여 품질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양면테이프를 수작업으로 정위치에 부착하는 것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얇은 두께로 인한 작업의 곤란성, 주위 온도 변화로 인한 점착성 변화 등의 여러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본원발명은 후크(272)와 결속공(282) 간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실러(270)를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케이싱(250)과 스피커 룸(260)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264)가 구비될 수 있다. 브릿지(264)는 패널(253)과 회로기판(280) 사이의 거리(L2)가 안내관(271)의 비압축시의 길이(L1) 보다 작도록 유지시키는 브릿지(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2<L1) 안내관(271)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안내관(271)의 상면은 패널(253)의 저면에 밀착되고, 안내관(271)의 하면은 회로기판(280)의 상면에 밀착되어 소리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브릿지(264)는 일단이 스피커 룸(260)과 연결되고, 타단은 패널(253)과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264)의 길이, 즉,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의 길이는 일정하다.
브릿지(264)는 스피커 룸(260)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단에 체결공이 형성된 보스(boss)일 수 있고, 이 경우, 패널(253)에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통과공(2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으로부터 나사(268)가 나사 통과공(255)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될 수 있다. 브릿지(264)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나사 통과공(255)도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의 부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는 회로기판(280)의 하측에 실러(270)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 고정체(290)가 구비된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
후크 고정체(290)는 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어 마이크로폰(221)을 수용한다. 후크 고정체(290)에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용부(29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용부(291) 내로 마이크로폰(221)이 수용될 수 있다. 후크 고정체(290)는 바람직하게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회로기판(280)에는 제 1 결속공(282)이 구비되고, 후크 고정체(290)에는 제 2 결속공(29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결속공(292)이 한 쌍의 제 1 결속공(28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272)가 제 1 결속공(282)과 제 2 결속공(292)을 차례로 통과하여 후크 고정체(290)의 저면에 걸리 수 있다. 특히, 후크(272)가 후크 고정체(290)의 저면에 걸린 상태에서, 후크 고정체(290)의 상면은 회로기판(280)의 저면과 밀착(실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 20: 음성 입력 장치
30: 어플라이언스 221: 마이크로폰
253: 패널 253h: 음성 입력공
270: 실러 271: 안내관
272: 후크 280: 회로기판

Claims (12)

  1. 음성 입력공이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입력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통과공과 결속공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통과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수신공이 구비된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의 하측에 구비된 스피커 룸; 및
    상기 음성 입력공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과공으로 안내하는 실러를 포함하고,
    상기 실러는,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의 저면 및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하는 안내관; 및;
    상기 안내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속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은 상기 음성 통과공 및 상기 음성 입력공과 수직방향에서 중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안내관은 압축 가능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피커 룸과 상기 패널을 연결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안내관이 비압축시의 길이 보다 작도록 유지시키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음성 입력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룸 내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음성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룸의 상면부로부터 상측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음성 입력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상단과 상기 패널은 나사 결합되는 음성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러는 실리콘 재질인 음성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상기 중공은 상기 음성 입력공 내에 위치하는 음성 입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상기 음성 통과공은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하는 음성 입력 장치.
  9. 음성 입력공이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입력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통과공과 제 1 결속공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통과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수신공이 구비된 마이크로폰;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을 수용하고, 제 2 결속공이 형성된 후크 고정체; 및
    상기 음성 입력공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과공으로 안내하는 실러를 포함하고,
    상기 실러는,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의 저면 및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하는 안내관; 및
    상기 안내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1 결속공과 상기 제 2 결속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후크 고정체의 저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은 상기 음성 통과공 및 상기 음성 입력공과 수직방향에서 중첩되게 위치되는 음성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고정체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성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고정체는,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고정체의 저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가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과 밀착되는 음성 입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고정체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음성 입력 장치.
KR1020190103759A 2019-07-12 2019-08-23 음성 입력 장치 KR102661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PCT/KR2019/008651 2019-07-12
PCT/KR2019/008651 WO2021010499A1 (ko) 2019-07-12 2019-07-12 음성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53A KR20190104953A (ko) 2019-09-11
KR102661466B1 true KR102661466B1 (ko) 2024-04-25

Family

ID=6794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759A KR102661466B1 (ko) 2019-07-12 2019-08-23 음성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99226B2 (ko)
KR (1) KR102661466B1 (ko)
WO (1) WO2021010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498A1 (ko) * 2019-07-1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입력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834A (ja) * 2004-02-27 2005-09-08 Star Micronics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実装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実装方法
US20110170728A1 (en) * 2010-01-08 2011-07-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icrophone boo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9345B2 (ja) * 2006-10-31 2012-07-18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
US20140064546A1 (en) * 2012-08-01 2014-03-06 Knowles Electronics, Llc Microphone assembly
DE102014105849B3 (de) * 2014-04-25 2015-09-17 Epcos Ag Mikrofon mit vergrößertem Rückvolum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101819388B1 (ko) * 2016-12-19 2018-01-16 주식회사 포스코 방수 및 방진 기능이 강화된 자가 진단 마이크로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834A (ja) * 2004-02-27 2005-09-08 Star Micronics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実装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実装方法
US20110170728A1 (en) * 2010-01-08 2011-07-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icrophone boo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99226B2 (en) 2022-07-26
US20210385564A1 (en) 2021-12-09
WO2021010499A1 (ko) 2021-01-21
KR20190104953A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2499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CN114893823B (zh) 空调系统
US11615792B2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ppliance control apparatus and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8476351A (zh) 照明和声音系统
JP6564941B2 (ja) 無線放音装置及び無線放音装置を遠隔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EP3654331A1 (en) Home appliance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CN104697108A (zh) 空气调节机
KR102661466B1 (ko) 음성 입력 장치
JP2020021748A (ja) 照明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102639776B1 (ko) 음성 입력 장치
CN113574329B (zh) 空调机的室内机
KR10244537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639772B1 (ko) 음성 입력 장치
US9280228B1 (en) Patient-actuate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audio-visual display and ancillary functions in a hospital room
JP2021009125A (ja) 音源位置推定装置
JP201717456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6181765A (ja) インターホン装置の固定設置ユニット、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7235935A (ja) 機器制御装置
KR20190035375A (ko) 센서 장치
KR20240036998A (ko) 네트워크용 홈 어플라이언스
CN115601950A (zh) 一种家电语音遥控开关
CN106101924B (zh) 一种可防水音频传输装置和室内音频播放系统
CN115989477A (zh) 发话设备的发话测试方法、发话测试服务器、发话测试系统以及用于与发话测试服务器进行通信的终端的程序
CN112581738A (zh) 一种智能遥控器和工作方法
KR20190102578A (ko) 단위 유닛 기반의 통합 리모컨 및 벽걸이용 통합 리모컨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