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28B1 -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28B1
KR102661328B1 KR1020220048875A KR20220048875A KR102661328B1 KR 102661328 B1 KR102661328 B1 KR 102661328B1 KR 1020220048875 A KR1020220048875 A KR 1020220048875A KR 20220048875 A KR20220048875 A KR 20220048875A KR 102661328 B1 KR102661328 B1 KR 10266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holder
screw
dental implant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9544A (ko
Inventor
정충현
정열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정충현
정열
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충현, 정열, 정인화 filed Critical 정충현
Priority to KR102022004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328B1/ko
Priority to PCT/KR2023/004387 priority patent/WO2023204480A1/ko
Publication of KR2023014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2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to be fixed to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255Frames for partial dentures; Lingu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7Clasp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7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치악 환자의 치조골에 복수의 픽스처를 식립하고, 복수의 픽스처 각각에 하부 어버트먼트(lower abutment)와 상부 어버트먼트(upper abutment)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티타늄 재질의 프레임구조체(framework)를 이용하여 구치부 보철물과 전치부 보철물을 상부 어버트먼트(upper abutment)에 결합하여 시술할 수 있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복수의 픽스처; 하부가 상기 복수의 픽스처 각각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어버트먼트(lower abutment); 하부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upper abutment);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가 수용되는 캐비티가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어버트먼트홀더(abutment holder)와, 상기 어버트먼트홀더의 캐비티 내측에 주입되어 상부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홀더에 대해 고정하는 홀더접합용 레진을 포함하는 프레임구조체(framework); 및, 상기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 각각의 상부 나사공과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철물 접합용 레진에 의해 프레임구조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치아 형태로 된 멀티크라운(multi-crown);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MULTI-UNIT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치악 환자의 치조골에 복수의 픽스처를 식립하고, 복수의 픽스처 각각에 하부 어버트먼트(lower abutment)와 상부 어버트먼트(upper abutment)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티타늄 재질의 프레임구조체(framework)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상부 어버트먼트(upper abutment)에 결합하여 시술할 수 있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틀니는 인공치아를 갖는 보철물을 의미하며, 틀니는 부분틀니와 전체틀니로 구분할 수 있고 자연 치아의 결손 부위가 일부 일 때는 부분틀니를 적용하고, 상악 또는 하악에 잔존하는 자연치아가 전무한 경우에 전체틀니를 적용한다.
최근에는 인공 치근을 식립하여 틀니를 착탈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861165호에 틀니와 어버트먼트(abutment)를 연결하기 위한 틀니 결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틀니는 보철물을 지지하는 레진 플랜지(resin flange)가 넓어서 음식물이 끼는 빈도가 높아서 픽스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틀니는 수평을 맞추기 어려워 시술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157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0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11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87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틀니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술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되며, 상단부에 결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하단부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홈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픽스처; 하부가 상기 복수의 픽스처 각각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부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나사홈과 동축상으로 하부 나사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어버트먼트(lower abutment); 하부면이 상기 복수의 하부 어버트먼트 각각의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되어 하부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 나사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upper abutment);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상부 나사공과 하부 어버트먼트의 하부 나사공을 통과하여 상기 픽스처의 암나사홈에 나선 결합되면서 픽스처와 하부 어버트먼트와 상부 어버트먼트를 상호 결합하는 컨넥팅스크류;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가 수용되는 캐비티가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어버트먼트홀더(abutment holder)와, 상기 어버트먼트홀더의 캐비티 내측에 주입되어 상부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홀더에 대해 고정하는 홀더접합용 레진을 포함하는 프레임구조체(framework); 및, 상기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 각각의 상부 나사공과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철물 접합용 레진에 의해 프레임구조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치아 형태로 된 멀티크라운(multi-crown);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구조체의 어버트먼트홀더는 전후방향으로 긴 트랙(track) 또는 타원 형태의 캐비티를 가지며, 2개가 인체의 구강의 양측 구치부 위치에 배치되어 구치부의 치조골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를 동시에 수용하면서 멀티크라운의 구치부 부분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전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되어 양단부가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멀티크라운 중 인체의 구강의 전치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결합되는 전치부 보철물홀더(Anterior teeth Hol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상기 전치부 보철물홀더에 결합되어 구강의 전치부에 대응하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처에 결합된 상부 어버트먼트를 수용하면서 고정하는 'ㄷ'자 형태로 된 전치부 어버트먼트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는, 상기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캐비티 내에 홀더접합용 레진을 주입하기 전에, 환자의 구강 형태에 따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수평 상태를 맞추어 설치하기 위해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를 연결하는 수평조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정유닛은,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의 스크류체결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X' 형태로 교차하면서 연결하는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와, 상기 레벨컨트롤바아의 스크류체결슬릿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면서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결합하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정유닛은,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 각각의 상측에 끼워지도록 역'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에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커플링클립과,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의 스크류체결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체결슬릿의 양단부와 상기 2개의 커플링클립의 체결보스를 통해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커플링클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벨컨트롤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테두리에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는, 상기 프레임구조체의 어버트먼트홀더의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기둥 형태의 홀더결합부와, 상기 홀더결합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 테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의 회전방지돌기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록킹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홀더결합부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콘(con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홀더의 캐비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는 복수의 픽스처 각각에 하부 어버트먼트와 상부 어버트먼트가 결합되고, 상부 어버트먼트가 프레임구조체의 어버트먼트홀더에 광경화성 레진으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구치부 멀티크라운이 어버트먼트홀더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시술이 매우 용이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프레임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수의 임플란트 유닛으로 된 멀티크라운을 적은 수의 식립 작업으로 한번에 식립이 가능하며, 보합압의 분산이 용이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식립 각도를 다양하게 하여도 보철물의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셋째, 물리적, 기계적으로 보철물을 상부 어버트먼트에 연결시킬 수 있다.
넷째, 보철물 파손 시 보철물을 쉽게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다.
다섯째, 프레임구조체(framework)를 구강 내에서 만들 수 있어 임플란트 식립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프레임구조체(framework)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의 구치부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의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하부 어버트먼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하부 어버트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상부 어버트먼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프레임구조체(framework)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프레임구조체를 적용한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의 전치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프레임구조체(framework)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프레임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참고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의 각 구성의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로 정의한 것이며,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구강의 상악에 설치하는 경우와 하악에 설치하는 경우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반대로 될 것이다. 즉,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를 구강의 상악에 설치하는 경우, 도면에서 상부는 실제 구강의 상악에서는 하부에 배치되고, 반대로 도면에서 하부는 실제 구강의 상악에서는 상부에 배치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는, 복수의 픽스처(fixture)(10), 각각의 픽스처(10)에 식립되는 하부 어버트먼트(lower abutment)(20), 각각의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upper abutment)(30),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30)를 동시에 수용하면서 고정하는 프레임구조체(framework)(50), 프레임구조체(50) 상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치아 형태의 멀티크라운(multi-crown)(40)을 포함한다.
픽스처(10)는 공지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하는 픽스처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외면에는 치조골(B)에 천공된 구멍에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부 중앙에는 육각형이나 사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홈 형태, 또는 원형 홈 형태로 된 결합홈(1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의 하단부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홈(12)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픽스처(10)는 골유착성이 우수한 티타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외에도 항알레르기성 및 우수한 골유착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어버트먼트(20)는 하부가 상기 픽스처(10)의 결합홈(11)과 대응하는 다각형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되어 결합홈(11)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부는 상측으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원추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이 대체로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중앙부에는 상기 픽스처(10)의 암나사홈(12)과 동축상으로 연통되는 하부 나사공(2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연직한 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회전방지돌기(22)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22)는 다각형으로 된 하부 어버트먼트(20)의 하부의 각 변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돌기(22)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이외에도 곡선형의 아치(arch) 형태, 또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웨이브(wave)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상부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원주방향을 따라 굴곡진 요철 형태를 가지며, 상부 어버트먼트(30)의 하부면 또한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요철 형태와 대응하는 요철 형태를 갖도록 되어 상부 어버트먼트(30)의 하부면 요철이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상부면 요철에 형합되면서 안착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부 어버트먼트(30)는 하부면이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되어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부 나사공(34)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나사공(34)은 하부 어버트먼트(20)의 하부 나사공(21)과 동축상으로 연통되어 컨넥팅스크류(60)가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부 나사공(34)은 상부가 하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되어 상부 나사공(34)의 대략 하부에 컨넥팅스크류(60)의 헤드가 걸려서 지지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나사공(34)의 상단부에는 컨넥팅스크류(6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멀티크라운(40)을 상부어버트먼트(30)에 고정하는 록킹스크류(65)가 나선 결합되는 록킹나사산(35)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어버트먼트(30)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레임구조체(50)의 어버트먼트홀더(51) 내측에서 홀더접합용 레진(54)에 의해 고정된다. 홀더접합용 레진(54)은 자외선 또는 다른 파장대의 빛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광경화성 레진 또는 기타 치과에서 사용하는 치과용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어버트먼트(30)는 프레임구조체(50)의 어버트먼트홀더(51)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기둥 형태의 홀더결합부(31)와, 상기 홀더결합부(3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어버트먼트(2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베이스부(32)를 포함한다.
홀더결합부(31)는 어버트먼트홀더(51) 내측에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육각형이나 사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원기둥 또는 타원형 기둥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홀더(51) 내측에서 홀더접합용 레진(54)과의 접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와 같이 홀더결합부(31)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콘(con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 홀더결합부(31)의 외면은 길이방향 중간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된 형태를 갖거나, 요철 형태, 계단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베이스부(32)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20)의 회전방지돌기(22)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록킹플랜지(33)가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부(32)의 록킹플랜지(33)와 하부 어버트먼트(20)의 회전방지돌기(22)의 맞물림에 의해 상부 어버트먼트(30)가 하부 어버트먼트(20)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구조체(framework)(50)는 복수의 픽스처(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30)들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멀티크라운(40)을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3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30)가 동시에 수용되는 캐비티(52)가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abutment holder)(51)와, 양단이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아치형의 전치부 보철물홀더(Anterior teeth holder)(55) 및, 어버트먼트홀더(51)의 캐비티(52) 내측에 주입되어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30)를 어버트먼트홀더(51)에 대해 고정하는 홀더접합용 레진(54)을 포함한다.
어버트먼트홀더(51)는 2개가 1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이 인체의 구강 중 양측 구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어버트먼트홀더(51)는 전후방향으로 긴 트랙(track) 또는 타원 형태의 캐비티(52)를 갖는다. 상기 캐비티(52)는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캐비티(52)에 복수의(바람직하기로 2개 내지 4개)의 상부 어버트먼트(30)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어버트먼트홀더(51)는 골유착성이 우수한 티타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외에도 항알레르기성 및 우수한 골유착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버트먼트홀더(51)의 캐비티(52)는 상부 어버트먼트(30)의 홀더결합부(31)를 수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홀더(5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DU, DL)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데, 이러한 어버트먼트홀더(51)의 테이퍼진 형태는 어버트먼트홀더(51)와 홀더접합용 레진(54)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픽스처(10)를 치조골(B)에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식립하는 경우에도 어버트먼트홀더(51)에 대해 상부 어버트먼트(30)를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어버트먼트홀더(51)의 후단부 또는 후단부에는 핀홀(51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홀(51a)을 통해 앵커핀(anker pin)(51b)을 삽입하여 치조골에 결합시킴으로써 어버트먼트홀더(51)를 치조골에 고정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홀더(51)는 멀티크라운(40) 중 구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고정하며, 멀티크라운(40)의 구치부 부분의 교합면은 수평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를 구강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캐비티(52) 내에 홀더접합용 레진(54)을 주입하기 전에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수평을 맞추어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조정유닛을 사용한다.
상기 수평조정유닛은,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X' 형태로 교차하는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벨컨트롤바아(70)는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X' 형태로 교차하면서 연결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70)에 의해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는 인체의 구강의 양측 치조골 상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7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공형의 스크류체결슬릿(71)이 형성되어, 각각의 레벨컨트롤바아(70)의 스크류체결슬릿(71)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51c)을 통해 스크류(72)를 체결함으로써 레벨컨트롤바아(70)가 어버트먼트홀더(51)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벨컨트롤바아(70)는 어버트먼트홀더(51)의 캐비티(52) 내에 홀더접합용 레진(54)을 주입하여 상부 어버트먼트(30)를 어버트먼트홀더(51)에 대해 고정한 후에는 어버트먼트홀더(51)에서 분리된다.
어버트먼트홀더(51)의 전단부에는 전치부 보철물홀더(55)와의 결합을 위한 홀더결합편(53)이 일체로 형성된다. 홀더결합편(53)은 대략 사각판 형태로 되어 어버트먼트홀더(51)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스크류(59)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53a)이 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홀더결합편(53)은 어버트먼트홀더(51)의 중심축선에 일치하게 배치될 수 있지만, 전치부 보철물홀더(55)가 어버트먼트홀더(51)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도록 어버트먼트홀더(51)의 중심축선에 대해 일정거리 편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결합편(53)의 체결공(53a)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 실시예와 같이 상하 및 전후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결합력을 높이고 변위를 줄이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전치부 보철물홀더(55)는 멀티크라운(40)의 전치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치부 보철물홀더(55)는 전방으로 볼록한 아치형태의 바아로 이루어지며,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티타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치부 보철물홀더(55)에는 멀티크라운(40)의 전치부를 고정하기 위한 광경화성 레진 또는 치과용 레진 등의 보철물 접합용 레진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55a)이 배열될 수 있다. 전치부 보철물홀더(55)의 양단부에는 어버트먼트홀더(51)의 홀더결합편(53)의 체결공(53a)과 대응하여 스크류(59)가 체결되는 복수의 홀더체결공(55b)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전치부 보철물홀더(55)는 멀티크라운(40)을 고정하기 위한 보철물 접합용 레진과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높이방향 중간부가 두께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멀티크라운(40)은 치아 형태로 된 복수의 보철물(crown)이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 보철물은 지르코니아, 금(Gold), Porcelain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멀티크라운(40)은 치아 중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구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치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구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이 실시예와 같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전치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구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분할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멀티크라운(40)은 기성품(ready-mad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와 다르게 복수의 보철물(crown)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개별 치아 형태로 된 보철물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멀티크라운(40) 중 전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프레임구조체(50)의 전치부 보철물홀더(55)에 광경화성 레진 또는 치과용 레진 등의 보철물 접합용 레진으로 결합되며, 구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프레임구조체(50)의 어버트먼트홀더(51)에 광경화성 레진 또는 치과용 레진 등의 보철물 접합용 레진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크라운(40) 중 구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30)에 형성된 상부 나사공(34)과 연통되는 스크류삽입구(42)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멀티크라운(40)은 보철물 접합용 레진에 의해 프레임구조체(50)에 고정될 수 있지만,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멀티크라운(40)의 구치부에 형성되는 스크류삽입구(42)의 하부의 직경을 록킹스크류(65)의 헤드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록킹스크류(65)의 헤드가 걸리게 하면, 록킹스크류(65)가 멀티크라운(40)을 상부 어버트먼트(30)에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멀티크라운(40)의 하부를 보철물 접합용 레진으로도 프레임구조체(50)의 어버트먼트홀더(51)에 고정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다음과 같이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수 있다.
먼저 환자의 구강에 대한 CT 촬영 및/또는 인상 체득을 통해 구강 형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픽스처(10)를 식립할 위치를 파악한다.
구강 내의 전후 및 좌우의 픽스처(10) 식립 위치를 결정하면,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X자형으로 교차한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70)를 스크류(72)로 연결하면서 수평을 맞춘다. 이 때 구강의 형태에 따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에서 레벨컨트롤바아(70)의 스크류체결슬릿(71)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51c)을 맞추어 스크류(72)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수평이 맞춰진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를 구강의 양측 구치부 쪽에 배치한 다음, 어버트먼트홀더(51)의 후단부에 형성된 핀홀(51a)을 통해 앵커핀(51b)을 삽입하여 어버트먼트홀더(51)를 구강 내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홀더(51)의 캐비티(52)를 통해서 픽스처(10)를 식립할 위치에 드릴을 이용하여 일정 깊이로 구멍을 천공한 다음, 픽스처(10)를 구멍 내측에 나선 결합시켜 단단히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캐비티(52) 내에 2개씩의 픽스처(10)가 식립되지만, 이와 다르게 하나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캐비티(52)에 3개 또는 4개의 픽스처(10)가 식립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픽스처(10) 식립 작업 시 어버트먼트홀더(51)를 구강 내에 설치하지 않고 픽스처(10) 식립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복수의 픽스처(10)를 치조골(B)에 모두 식립한 다음, 어버트먼트홀더(51)를 구강 내에서 제거하고, 픽스처(10)에 공지의 힐링캡(healing cap)(미도시)을 결합시켜 골유착 시까지 기다린다. 힐링캡을 씌운 후 상악은 3~6개월 정도, 하악은 1~3개월 정도를 골 유착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한다.
그리고, 전치부 보철물홀더(55)의 양단부를 구강 내에 장착된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전단부의 홀더결합편(53)에 스크류(59)로 고정하여 프레임구조체(50)를 제작한다. 이 때,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추어 구강 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술한 것처럼 X자로 교차하는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70)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스크류(72)로 결합할 수 있다. 레벨컨트롤바아(70)는 어버트먼트홀더(51)를 구강 내에 정확하게 장착한 후에는 스크류를 풀어서 제거된다.
골 유착이 완료되면, 힐링캡(미도시)을 제거하고, 픽스처(10)에 하부 어버트먼트(20)와 상부 어버트먼트(30)를 차례로 안착시킨 후 상부 어버트먼트(30)의 상부 나사공(34)과 하부 어버트먼트(20)의 하부 나사공(21)을 통해 컨넥팅스크류(60)를 삽입하고, 컨넥팅스크류(60) 하단의 나사산을 픽스처(10)의 암나사홈(12)에 나선 결합하여 픽스처(10)와 하부 어버트먼트(20)와 상부 어버트먼트(3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프레임구조체(50)의 어버트먼트홀더(51)를 구강 내의 구치부의 정위치에 배치한 다음 앵커핀(51b)으로 프레임구조체(50)의 어버트먼트홀더(51)를 구강 내에 고정한다. 이 때 어버트먼트홀더(51)의 캐비티(52) 내에 복수의 픽스처(10)-하부 어버트먼트(20)-상부 어버트먼트(30)의 결합체가 배치된다.
이어서 어버트먼트홀더(51)의 캐비티(52) 내에 홀더접합용 레진(54)을 주입하고, 광을 조사하여 홀더접합용 레진(54)을 경화시키면 홀더접합용 레진(54)에 의해 어버트먼트홀더(51)와 하부 어버트먼트(20)들이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그런 다음 멀티크라운(40)을 프레임구조체(50)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하여 안착하고, 광경화성 레진 또는 다른 치과용 레진 등의 보철물 접합용 레진을 이용하여 멀티크라운(40)을 프레임구조체(50)에 결합한다. 이 때, 멀티크라운(40)의 구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어버트먼트홀더(51)에 결합되고, 전치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전치부 보철물홀더(55)에 결합된다.
끝으로 록킹스크류(65)를 멀티크라운(40)에 형성된 스크류삽입구(42)를 통해 삽입하여 상부 어버트먼트(30)의 록킹나사산(35)에 체결하고, 멀티크라운(40)의 스크류삽입구(42) 상부를 레진을 충전시켜 은폐시키면 임플란트 식립이 완료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는 복수의 픽스처(10) 각각에 하부 어버트먼트(20)와 상부 어버트먼트(30)가 결합되고, 상부 어버트먼트(30)가 프레임구조체(50)의 어버트먼트홀더(51)에 홀더접합용 레진(54)으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멀티크라운(40)이 어버트먼트홀더(51)에 결합되므로,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시술이 매우 용이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구치부 부분에만 픽스처(10)와 하부 어버트먼트(20)와 상부 어버트먼트(30)를 설치하고 어버트먼트홀더(51)에 레진으로 결합하였으나, 도 7 및 도 8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구강의 전치부에 대응하는 치조골(B)에도 픽스처(10)와 하부 어버트먼트(20)와 상부 어버트먼트(30)를 설치하고, 전치부 보철물홀더(55)의 대략 중앙부에 전치부의 픽스처(10)에 결합된 상부 어버트먼트(30)를 고정하기 위한 전치부 어버트먼트홀더(57)를 추가로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치부 어버트먼트홀더(57)는 대략 'ㄷ'자 형태로 되어 전치부 보철물홀더(55)의 전방면과의 사이에 상부어버트먼트(30)가 수용되면서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전치부 어버트먼트홀더(57)의 양단부에는 전치부 보철물홀더(55)에 스크류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57b)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편(57a)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강의 전치부의 상악 치조골(B)에 식립되는 픽스처(10)는 치아 구조 상 비스듬하게 식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스처(10)가 비스듬하게 식립되는 경우, 하부 어버트먼트(20)는 픽스처(10)의 암나사홈(12)과 동축상으로 연통되는 하부 나사공(21)이 연직한 축선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부 어버트먼트(30)가 안착되는 상단부에 전치부 멀티크라운(40)의 스크류삽입구(42) 및 상부 어버트먼트(30)의 상부 나사공(34)을 통과하는 록킹스크류(65)가 체결되는 탭홀(23)이 상기 하부 나사공(2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전치부 어버트먼트홀더(57)와 전치부 보철물홀더(55)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30)는 광경화성의 레진에 의해 전치부 어버트먼트홀더(57) 및 전치부 보철물홀더(55)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치부 보철물홀더(55)는 두께가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일정할 수도 있지만, 보철물 접합용 레진과의 접합 강도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치부 보철물홀더(55)의 두께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더 커지거나, 중앙부의 두께가 상부 및 하부의 두께보다 더 작은 장구 형태의 종단면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치부에 배치되는 어버트먼트홀더(51)의 하단부에 리텐션돌기(51d)가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홀더 접합용 레진 또는 보철물 접합용 레진과의 접합 강도가 대폭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전치부 보철물홀더(55)의 두께 변화에 의한 단면 형태적 특징과 어버트먼트홀더(51) 하단부의 리텐션돌기(51d)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프레임구조체(50)의 전치부 보철물홀더(55)와 어버트먼트홀더(51)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및 도 10은 프레임구조체(50)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조정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 수평조정유닛은 양측 어버트먼트홀더(51) 각각의 상측에 끼워지도록 대략 역'U'자형으로 된 2개의 커플링클립(75)과, 양단부가 2개의 커플링클립(75) 각각에 스크류(77)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벨컨트롤바아(76)를 포함한다.
커플링클립(75)은 어버트먼트홀더(51)의 폭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측면판(75a)과, 2개의 측면판(75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연결판(57b)와, 2개의 측면판(75a) 중 구강 내측에 위치하는 측면판(75a)의 상부에 L자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77)가 체결되는 체결보스(75d)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판(75c)을 포함한다.
그리고 레벨컨트롤바아(76)는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체결슬릿(71)이 길게 형성된 바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2개의 커플링클립(75)을 양측 어버트먼트홀더(51) 각각의 상측에 끼워 넣은 후, 레벨컨트롤바아(76)의 스크류체결슬릿(71)을 커플링클립(75)의 체결보스(75d)에 일치시켜 스크류(77)를 체결함으로써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51)의 수평을 맞추어 구강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B : 치조골 10 : 픽스처(fixture)
11 : 결합홈 12 : 암나사홈
20 : 하부 어버트먼트 21 : 하부 나사공
22 : 회전방지돌기 30 : 상부 어버트먼트
31 : 홀더결합부 32 : 베이스부
33 : 록킹플랜지 34 : 상부 나사공
35 : 록킹나사산 40 : 멀티크라운(multi-crown)
42 : 스크류삽입구 50 : 프레임구조체(framework)
51 : 어버트먼트홀더 51a : 핀홀
51b : 앵커핀(anker pin) 51c : 스크류체결공
51d : 리텐션돌기 52 : 캐비티
53 : 홀더결합편 53a : 체결공
54 : 홀더접합용 레진 55 : 전치부 보철물홀더(Anterior teeth holder)
55a : 관통공 59 : 스크류
60 : 컨넥팅스크류 65 : 록킹스크류
70 : 레벨컨트롤바아 71 : 스크류체결슬릿
72 : 스크류

Claims (10)

  1.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되며, 상단부에 결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하단부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홈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픽스처;
    하부가 상기 복수의 픽스처 각각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부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나사홈과 동축상으로 하부 나사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어버트먼트(lower abutment);
    하부면이 상기 복수의 하부 어버트먼트 각각의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되어 하부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 나사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upper abutment);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상부 나사공과 하부 어버트먼트의 하부 나사공을 통과하여 상기 픽스처의 암나사홈에 나선 결합되면서 픽스처와 하부 어버트먼트와 상부 어버트먼트를 상호 결합하는 컨넥팅스크류;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가 수용되는 캐비티가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어버트먼트홀더(abutment holder)와, 상기 어버트먼트홀더의 캐비티 내측에 주입되어 상부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홀더에 대해 고정하는 홀더접합용 레진을 포함하는 프레임구조체(framework); 및,
    상기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 각각의 상부 나사공과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철물 접합용 레진에 의해 프레임구조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치아 형태로 된 멀티크라운(multi-crown);
    을 포함하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의 어버트먼트홀더는 전후방향으로 긴 트랙(track) 또는 타원 형태의 캐비티를 가지며, 2개가 인체의 구강의 양측 구치부 위치에 배치되어 구치부의 치조골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어버트먼트를 동시에 수용하면서 멀티크라운의 구치부 부분과 각각 결합되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전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되어 양단부가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멀티크라운 중 인체의 구강의 전치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결합되는 전치부 보철물홀더(Anterior teeth Holder)를 더 포함하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상기 전치부 보철물홀더에 결합되어 구강의 전치부에 대응하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처에 결합된 상부 어버트먼트를 수용하면서 고정하는 'ㄷ'자 형태로 된 전치부 어버트먼트홀더를 더 포함하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캐비티 내에 홀더접합용 레진을 주입하기 전에, 환자의 구강 형태에 따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수평 상태를 맞추어 설치하기 위해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를 연결하는 수평조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정유닛은,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의 스크류체결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X' 형태로 교차하면서 연결하는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와, 상기 레벨컨트롤바아의 스크류체결슬릿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면서 2개의 레벨컨트롤바아를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결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정유닛은, 2개의 어버트먼트홀더 각각의 상측에 끼워지도록 역'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에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커플링클립과,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의 스크류체결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체결슬릿의 양단부와 상기 2개의 커플링클립의 체결보스를 통해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커플링클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벨컨트롤바아를 포함하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테두리에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는, 상기 프레임구조체의 어버트먼트홀더의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기둥 형태의 홀더결합부와, 상기 홀더결합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 테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의 회전방지돌기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록킹플랜지를 포함하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홀더결합부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콘(cone) 형태로 된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홀더의 캐비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KR1020220048875A 2022-04-20 2022-04-20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KR10266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75A KR102661328B1 (ko) 2022-04-20 2022-04-20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PCT/KR2023/004387 WO2023204480A1 (ko) 2022-04-20 2023-03-31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75A KR102661328B1 (ko) 2022-04-20 2022-04-20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44A KR20230149544A (ko) 2023-10-27
KR102661328B1 true KR102661328B1 (ko) 2024-04-30

Family

ID=8842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75A KR102661328B1 (ko) 2022-04-20 2022-04-20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1328B1 (ko)
WO (1) WO202320448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112A (ja) 2002-07-05 2005-10-27 ゼスト アン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科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及び方法
US20140134571A1 (en) 2012-11-14 2014-05-15 Robert Lemke Dental Prosthesis And Fabrication
KR101861165B1 (ko) 2018-02-09 2018-05-25 윤장훈 틀니 결합장치
KR102321570B1 (ko) 2021-02-26 2021-11-04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708B1 (ko) 2005-05-18 2007-02-02 이요섭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US9693834B2 (en) * 2013-09-13 2017-07-04 National Dentex, Llc Implant-based attachment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and method
US11173017B2 (en) * 2014-05-08 2021-11-16 Cagenix, Inc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DE102014226497A1 (de) * 2014-12-18 2016-06-23 Sirona Dental Systems Gmbh Ermitteln der räumlichen Positionen und Orientierungen von in einem Kiefer eines Patienten verankerten Implantaten
GB201602598D0 (en) 2016-02-13 2016-03-30 Nulty Adam B A method to accurately combine digital impressions with CBCT scans of the mandible or maxilla
US11160639B2 (en) * 2018-01-19 2021-11-02 Mark Elliot Palmer Dent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KR20200017565A (ko) * 2018-07-23 2020-02-19 이기봉 3d프린팅기술을 이용한 틀니제작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112A (ja) 2002-07-05 2005-10-27 ゼスト アン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科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及び方法
US20140134571A1 (en) 2012-11-14 2014-05-15 Robert Lemke Dental Prosthesis And Fabrication
KR101861165B1 (ko) 2018-02-09 2018-05-25 윤장훈 틀니 결합장치
KR102321570B1 (ko) 2021-02-26 2021-11-04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44A (ko) 2023-10-27
WO2023204480A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353B1 (ko) 치아 임플란트
JP2020062527A (ja) 仮補綴システム及びその仮補綴システムの使用法
KR1020850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882770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JP7393399B2 (ja) ベースを備え骨構造に適合されるように成形されるインプラント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KR20160026885A (ko) 치과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JP2010524524A (ja) 人工歯根システム
JPH02193660A (ja) 首状部なしブレードインプラント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WO2003017862A2 (en) Stable dental analog systems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RU2674081C2 (ru) 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составных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KR102661328B1 (ko) 멀티유닛 치아 임플란트
KR20090016560A (ko) 성장기 개인에서 단일 치아 대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80121A1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KR20090107508A (ko) 인공 치경 및 이뿌리
KR20210080199A (ko) 골결합 인공 치아 구조
KR100928019B1 (ko) 와이드 임플란트와 미니 임플란트로 이루어진 임플란트장치
KR10101519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0746739B1 (ko) 어버트먼트 일체형 임플란트
KR20190122285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KR102264155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