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219B1 - 커버 윈도우 및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및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219B1
KR102661219B1 KR1020180173029A KR20180173029A KR102661219B1 KR 102661219 B1 KR102661219 B1 KR 102661219B1 KR 1020180173029 A KR1020180173029 A KR 1020180173029A KR 20180173029 A KR20180173029 A KR 20180173029A KR 102661219 B1 KR102661219 B1 KR 10266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tape
cover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432A (ko
Inventor
이태호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2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향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표면 상에는 ESD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ESD 테이프에 의해 외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및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a cover window and a cover frame}
본 발명은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TV,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전자 기기는 이미지의 구현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커버 윈도우를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은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윈도우, 커버 프레임 및 표시 패널의 결합 공정 및 후속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내부 소자, 예를 들어 구동 회로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앞서 언급한 과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 상에는 커버 윈도우가 위치한다. 커버 윈도우는 커버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커버 프레임은 표시 패널의 측면을 둘러싼다. 표시 패널의 측면을 향한 커버 프레임의 표면 상에는 ESD 테이프가 부착된다.
ESD 테이프는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ESD 테이프는 커버 프레임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접착층, 도전층 및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층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은 세트 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ESD 테이프는 커버 프레임의 결합 영역과 중첩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ESD 테이프의 접착층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은 표시 패널의 측면을 향한 표면에 위치하는 테이프 홈을 포함할 수 있다. ESD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커버 프레임의 테이프 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테이프 홈의 폭은 ESD 테이프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테이프 홈의 깊이는 접착층의 두께와 도전층의 두께의 합보다 클 수 있다.
테이프 홈의 깊이는 ESD 테이프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패널의 측면을 향한 커버 프레임의 측면 상에 부착되는 ESD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정전기의 방전 통로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정전기에 의한 표시 패널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P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2의 R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ESD 테이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P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2의 R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ESD 테이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2, 3a, 3b,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은 소자 기판(110)과 봉지 기판(150)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10) 및 상기 봉지 기판(15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10) 및 상기 봉지 기판(15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150)은 상기 소자 기판(11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봉지 기판(15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130)는 특정한 색을 나타내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130)는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전극(131), 발광층(132) 및 제 2 전극(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31)은 상기 소자 기판(11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31)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31)은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131)은 알루미늄(Al) 및 은(Ag)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31)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131)은 ITO 및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들 사이에 높은 반사율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된 반사 전극이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발광층(132)은 상기 제 1 전극(131)과 상기 제 2 전극(133) 사이의 전압 차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132)은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물질층(Emission Material Layer; EM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물질을 유기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이 유기 물질로 형성된 발광층(132)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33)은 상기 봉지 기판(15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33)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33)은 상기 제 1 전극(131)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133)은 ITO 및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발광층(132)에 의해 생성된 빛이 상기 제 2 전극(133) 및 상기 봉지 기판(150)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10)과 각 발광 소자(130) 사이에는 구동 회로들이 위치할 수 있다. 각 구동 회로는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따라 해당 발광 소자(13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는 반도체 패턴(121), 게이트 절연막(122), 게이트 전극(123), 층간 절연막(124), 소스 전극(125) 및 드레인 전극(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121)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2) 및 상기 게이트 전극(123)은 상기 반도체 패턴(121)의 상기 채널 영역 상에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123)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22)에 의해 상기 반도체 패턴(121)과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25)은 상기 반도체 패턴(121)의 상기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126)은 상기 반도체 패턴(121)의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25) 및 상기 드레인 전극(126)은 상기 층간 절연막(12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층간 절연막(124)은 상기 반도체 패턴(121)의 상기 소스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컨택홀 및 상기 반도체 패턴(121)의 상기 드레인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126)은 상기 소스 전극(125)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10)과 상기 구동 회로 사이에는 버퍼층(112)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층(112)은 상기 소자 기판(110)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 사이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2)은 상기 구동 회로의 형성 공정에서 상기 소자 기판(110)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2)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동 회로와 해당 발광 소자(130) 사이에는 하부 보호막(114) 및 오버 코트층(116)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막(114)은 외부의 수분 및 충격에 의한 해당 구동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16)은 해당 구동 회로에 의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10)과 대향하는 상기 오버 코트층(116)의 표면은 평평한 평면(flat surface)일 수 있다. 각 구동 회로와 해당 발광 소자(13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보호막(114) 및 상기 오버 코트층(116)은 인접한 구동 회로와 해당 발광 소자(13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보호막(114) 및 상기 오버 코트층(116)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보호막(114) 및 상기 오버 코트층(116)은 상기 소자 기판(110)과 상기 발광 소자들(130) 사이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막(114) 및 상기 오버 코트층(116)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16)은 상기 하부 보호막(114)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보호막(114)은 실리콘 산화물(SiO)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 코트층(116)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막(114) 및 상기 오버 코트층(116)은 각 발광 소자(130)를 해당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컨택홀들(114h, 116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보호막(114)의 컨택홀들(114h)은 각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오버 코트층(116)의 컨택홀들(116h)은 상기 하부 보호막(114)의 컨택홀들(114h)과 중첩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130)의 상기 제 1 전극(131)은 상기 하부 보호막(114)의 해당 컨택홀(114h) 및 상기 오버 코트층(116)의 해당 컨택홀(116h)을 통해 해당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상기 드레인 전극(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130)는 인접한 발광 소자(130)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130)의 제 1 전극(131)은 인접한 발광 소자(130)의 제 1 전극(131)과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16) 상에는 인접한 제 1 전극들(131)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뱅크 절연막(140)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절연막(140)은 각 제 1 전극(131)의 가장 자리를 덮을 수 있다. 각 발광 소자(130)의 상기 발광층(132) 및 상기 제 2 전극(133)은 상기 뱅크 절연막(140)에 의해 노출된 해당 제 1 전극(131)의 일부 영역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130)는 인접한 발광 소자(130)와 동일한 색을 나타내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130)의 상기 발광층(132) 및 상기 제 2 전극(133)은 인접한 발광 소자(130)의 상기 발광층(132) 및 상기 제 2 전극(133)와 연결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130)의 상기 발광층(132) 및 상기 제 2 전극(133)은 상기 뱅크 절연막(140)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30) 상에는 상부 보호막(118)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막(118)은 외부의 수분 및 충격에 의한 상기 발광 소자(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막(118)은 상기 제 2 전극(133)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130)는 상기 상부 보호막(118)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막(118)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보호막(118)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막(118)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보호막(118)은 무기 물질로 형성된 무기 절연막들 사이에 유기 물질로 형성된 유기 절연막이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10)을 향한 상기 봉지 기판(150)의 표면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161) 및 컬러 필터들(162)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들(162)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16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161)는 상기 뱅크 절연막(140)과 중첩할 수 있다. 각 컬러 필터(162)는 상기 발광 소자들(130) 중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컬러 필터(162)는 상기 뱅크 절연막(140)에 의해 노출된 해당 발광 소자(130)의 제 1 전극(131)의 일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각 컬러 필터(162)는 인접한 컬러 필터(162)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100)에 의해 구현되는 이미지가 다양한 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161) 및 상기 컬러 필터들(162)이 형성된 상기 봉지 기판(150)은 접착층(170)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130)가 형성된 상기 소자 기판(1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170)은 접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70)은 상기 상부 보호막(118)과 상기 컬러 필터들(16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70)은 상기 상부 보호막(118)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161) 사이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는 커버 윈도우(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200)는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20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윈도우(200)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2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봉지 기판(150)은 접착 부재(250)에 의해 상기 커버 윈도우(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커버 윈도우(200)의 유동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00)이 구현한 이미지의 왜곡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측면 상에는 커버 프레임(3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300)은 상기 커버 윈도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프레임(300)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부(310) 및 상기 측면부(310)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100)을 향한 상기 커버 윈도우(200)의 표면 상으로 연장하는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측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측면부(310)로부터 상기 접착 부재(250)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의해 구현되는 이미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접착 부재(25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30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300)는 상대적으로 가공이 쉬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프레임(300)은 몰드(mol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을 향한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표면 상에는 ESD 테이프(4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ESD 테이프(400)는 외부 정전기의 방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SD 테이프(4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을 향한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표면 상에 순서대로 적층되는 접착층(410), 도전층(420) 및 커버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410)은 접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SD 테이프(400)는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41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41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과 같이 접착제 내에 분산된 도전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2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층(420)은 구리(Cu)와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ESD 테이프(400)에 의해 외부 정전기의 방출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20)은 상기 접착층(41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정전기의 방출 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43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층(43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같은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도전층(420)에 의한 노이즈가 상기 표시 패널(100)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ESD 테이프(4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측면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SD 테이프(400)는 폐곡선 형상(closed loop)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정전기의 방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300)은 세트 프레임(5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프레임(300)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 결합 영역(30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영역(300c)은 상기 측면부(310) 및 상기 지지부(320)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영역(300c)은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영역(300c)은 상기 측면부(310)의 일부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영역(300c)의 일부 영역은 상기 측면부(310)로부터 상기 세트 프레임(500)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세트 프레임(500)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트 프레임(5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트 프레임(500)은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상기 결합 영역(300c)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커버 프레임(300)과 상기 세트 프레임(500)의 결합 공정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트 프레임(500)은 리벳(rivet) 또는 나사를 통해 상기 커버 프레임(30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커버 프레임(300)이 상기 세트 프레임(500)과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ESD 테이프(400)는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상기 결합부(300c)와 중첩하는 돌출 영역(400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SD 테이프(400)의 상기 돌출 영역(400p)은 상기 커버 프레임(300)과 결합하는 상기 세트 프레임(500)의 결합부(500c)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SD 테이프(400)의 상기 돌출 영역(400p)은 상기 세트 프레임(500)과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300c)의 일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ESD 테이프(400)가 상기 세트 프레임(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ESD 테이프(400)에 의한 외부 정전기의 방출 경로가 상기 커버 프레임(300)에 의해 정의된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세트 프레임(500)은 상기 표시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600)을 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트 프레임(500)은 상기 커버 프레임(300)과 결합되는 측벽(510) 및 상기 측벽(510)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격벽(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520)은 상기 커버 프레임(300)에 의한 공간과 상기 세트 프레임(500)에 의한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은 상기 표시 패널(100)과 대향하는 상기 격벽(520)의 표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은 절연성 접착 필름에 의해 상기 세트 프레임(500)의 격벽(5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연성 필름(620)을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은 상기 연성 필름(620)과 연결되는 커넥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트 프레임(500)의 격벽(520)에는 상기 연성 필름(620)이 통과하는 관통홀(500h)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다양한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상기 표시 패널(100)과 분리된 공간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의 외측 표면 상에는 바텀 커버(7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00)는 상기 세트 프레임(50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력에 의한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커버 윈도우(200)에 부착된 상기 표시 패널(100)을 향한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표면 상에 부착된 ESD 테이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ESD 테이프(400)에 의해 외부 정전기의 방출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정전기에 의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 상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이미지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에 제공되는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 상에는 접지 전압원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0)의 접지 전압원이 상기 세트 프레임(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커버 프레임(300)에 부착된 ESD 테이프(400)가 접지 전압원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ESD 테이프(400)에 접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정전기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표면 상에 ESD 테이프(400)가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ESD 테이프(400)가 상기 커버 프레임(300)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커버 프레임(300)의 측면부(310)에 테이프 홈(310g)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홈(310g)은 ESD 테이프(400)와 동일한 폭(w)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홈(310g)은 표시 패널(100)의 측면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홈(310g)의 깊이(d)는 상기 ESD 테이프(40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ESD 테이프(400)에 의해 크기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프레임(300)의 테이프 홈(310g)이 ESD 테이프(400)에 의해 완전히 채워지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ESD 테이프(400)의 두께(t)가 테이프 홈(310g)의 깊이(d)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ESD 테이프(400)의 커버층(430)의 일부 영역이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상기 테이프 홈(310g)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커버 프레임(300)의 상기 테이프 홈(310g)이 적어도 상기 ESD 테이프(400)의 도전층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ESD 테이프(400)를 통해 방출되는 외부 정전기에 의한 노이즈가 표시 패널(100)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이 다수의 발광 소자들(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표시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100)이 백라이트 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이 소자 기판(110)과 봉지 기판(150) 사이에 액정층이 위치하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종류와 무관하게, 외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100: 표시 패널 200: 커버 윈도우
300: 커버 프레임 400: ESD 테이프
500: 세트 프레임

Claims (12)

  1.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커버 윈도우를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과 결합되는 측벽,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도록 상기 측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세트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향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표면 및 상기 세트 프레임의 측벽에 부착되는 ESD 테이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SD 테이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폐곡선 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SD 테이프는 상기 커버 프레임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접착층, 도전층 및 커버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금속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세트 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ESD 테이프는 상기 세트 프레임의 상기 결합 영역과 중첩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SD 테이프의 접착층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향한 표면에 위치하는 테이프 홈을 포함하고,
    상기 ESD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커버 프레임의 테이프 홈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홈의 폭은 상기 ESD 테이프의 폭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홈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와 상기 도전층의 두께의 합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홈의 깊이는 상기 ESD 테이프의 두께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상기 격벽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연성 필름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연성 필름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성 필름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73029A 2018-12-28 2018-12-28 커버 윈도우 및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1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29A KR102661219B1 (ko) 2018-12-28 2018-12-28 커버 윈도우 및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29A KR102661219B1 (ko) 2018-12-28 2018-12-28 커버 윈도우 및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32A KR20200082432A (ko) 2020-07-08
KR102661219B1 true KR102661219B1 (ko) 2024-04-29

Family

ID=7160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029A KR102661219B1 (ko) 2018-12-28 2018-12-28 커버 윈도우 및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2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90B1 (ko) * 1998-04-09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023B1 (ko) * 2013-06-27 2020-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의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90B1 (ko) * 1998-04-09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32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6394A1 (en) Array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437446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etection electrodes applicable for a touch sensor
JP6305759B2 (ja) 表示装置
US954180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257892B2 (en) Light-emitt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1700053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9225B1 (ko)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48253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366996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WO2019111477A1 (ja) 表示装置
KR20170107617A (ko) 표시 장치
KR102530802B1 (ko) 표시장치
KR20230047339A (ko) 배선 필름 및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102665541B1 (ko)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661219B1 (ko) 커버 윈도우 및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873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90004008A (ko) 표시장치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JP2012113216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
KR102522706B1 (ko) 표시 장치
US20240122012A1 (en) Display device
KR102666875B1 (ko) 적어도 하나의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58754B2 (en) Display apparatus
JP2003280539A (ja) 有機el表示装置
KR102573913B1 (ko) 박형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