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952B1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952B1
KR102660952B1 KR1020230063150A KR20230063150A KR102660952B1 KR 102660952 B1 KR102660952 B1 KR 102660952B1 KR 1020230063150 A KR1020230063150 A KR 1020230063150A KR 20230063150 A KR20230063150 A KR 20230063150A KR 102660952 B1 KR102660952 B1 KR 102660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otruding portion
electronic device
area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4432A (ko
Inventor
김두룡
김윤식
조재명
김진국
장용희
박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9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4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회전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에 대해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의 상기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 일 측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에 대해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의 상기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 타 측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하우징에 배치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벤딩 영역, 상기 벤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 일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회전 축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돌출 부분, 및 상기 돌출 부분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일부 영역이 곡면 또는 평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펼침 상태 및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접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영역은 접힘 상태에서 레이어들 사이에 곡률 반경 차이에 따른 전단 응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벤딩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안착되는 하우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에 외부 충격(예: 낙하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하우징 구조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전단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단 응력은 디스플레이의 면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전단 응력을 해소하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하우징 구조에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에 외부 충격(예: 낙하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하우징 구조의 내부 구조물과 충돌할 수 있다. 경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 구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충격에 취약한 벤딩 영역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구조 내부의 경성 구조물에 충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및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회전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에 대해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의 상기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 일 측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에 대해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의 상기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 타 측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하우징에 배치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벤딩 영역, 상기 벤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 일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회전 축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돌출 부분, 및 상기 돌출 부분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힌지 하우징에 정렬되는 폴딩 축을 중심으로 서로 접히도록 구성됨;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하우징에 배치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벤딩 영역, 상기 벤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폴딩 축 방향을 향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구조는 상기 측벽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 영역,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형성되며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제1 간격으로 이격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프레임 구조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으로 이격되는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충격 완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하우징 구조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을 통해 이물질이 하우징 구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경성의 하우징 구조에 직접적으로 충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조립 공정의 편차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 및 돌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힌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하우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낙하한 경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완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낙하 충격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와 힌지 하우징의 조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 및 힌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 및 힌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의 충격 완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 및 힌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예: 폴더블 하우징 구조),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의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예: 도 2의 힌지 커버(165)), 및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1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 면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는 센서 영역(131d)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구조(110), 제2하우징 구조(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1후면 커버(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하우징 구조(120)와 제2후면 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120)는 폴딩 축(F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F 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펼침 상태(flat stage 또는 closing state)인지, 접힘 상태(folding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 구조(110)는 제2하우징 구조(120)와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131d)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 배치 영역(131d)은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거나 대체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111), 제1면(1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112), 및 제1면(111)과 제2면(11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측면 부재(113)는 폴딩 축(F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113a), 제1측면(11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113b) 및 제1측면(11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F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측면(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하우징 구조(120)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면(121), 제3면(1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면(122), 및 제3면(121) 및 제4면(12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측면 부재(123)는 폴딩 축(F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측면(123a), 제4측면(12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F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측면(123b) 및 제4측면(12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F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측면(123c)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면(121)은 접힘 상태에서 제1면(111)과 마주보도록 대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120)의 구조적 형상 결합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01)는 디스플레이(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으로 인해, 리세스(101)는 폴딩 축(F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01)는 제2하우징 구조(120) 중 폴딩 축(F 축)에 평행한 제1부분(120a)과 제1하우징 구조(110) 중 센서 영역(131d)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부분(110a) 사이의 제1폭(W1), 및 제2하우징 구조(110)의 제2부분(120b)과 제1하우징 구조(110) 중 센서 영역(113d)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F 축)에 평행한 제2부분(11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폭(W2)은 제1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101)는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부분(110a)으로부터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1부분(120a)까지 형성되는 제1폭(W1)과,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2부분(110b)으로부터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2부분(120b)까지 형성되는 제2폭(W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부분(110a) 및 제2부분(110b)은 폴딩 축(F 축)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01)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의 형태 또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101)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3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하우징 구조(110)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131d)의 배치, 형상, 또는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하우징 구조(11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 영역(131d)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 영역(131d)을 통하거나, 또는 센서 영역(131d)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부품들은,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장치, 리시버,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는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2면(112)에 배치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 구조(1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후면 커버(150)는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4면(1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하우징 구조(120)에 의해 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는 폴딩 축(F 축)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후면 커버(140)는 제1하우징 구조(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후면 커버(150)는 제2하우징 구조(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 제2후면 커버(150),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결합된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 회로 기판, 안테나 모듈, 센서 모듈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후면 커버(140)의 제1후면 영역(141)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후면 카메라 장치 및/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후면 커버(150)의 제2후면 영역(151)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152)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배치되는 스피커 모듈(15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1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130) 및 디스플레이(130)에 인접한 제1하우징 구조(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은 제1후면 커버(140), 제1후면 커버(140)에 인접한 제1하우징 구조(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제2후면 커버(150) 및 제2후면 커버(150)에 인접한 제2하우징 구조(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폴딩 영역(131c), 폴딩 영역(131c)을 기준으로 일측(예: 폴딩 영역(131c)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131a) 및 타측(예: 폴딩 영역(131c)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영역(131a)은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고, 제2영역(131b)은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3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13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폴딩 영역(131c)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13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의한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디스플레이(130)는 하나의 전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폴딩 영역(131c)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영역(131a)은, 제2영역(131b)과 달리, 센서 영역(131d)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 영역(예: 도 3의 노치 영역(13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2영역(131b)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1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완전 접힘 상태(complete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사이에서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13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디스플레이의 제1영역(131a) 및 제2영역(131b)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131c)은 제1영역(131a) 및 제2영역(131b)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인 경우,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서로에 대하여 360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제2면(112)과 제4면(122)이 마주보도록 반대로 접힐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도 있다. 폴딩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제1하우징 구조(110), 제2하우징 구조(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display unit)(130)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힌지 구조(164)를 기준으로 분할된 제1플레이트(1321) 및 제2플레이트(13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힌지 구조(164)를 기준으로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120)가 접힘 및/또는 펼침 상태로 회동될 경우, 함께 접힘이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예: 그라파이트 부재) 및/또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Cu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플레이트(1321)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노치 영역(1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제1지지부재(161), 제2지지부재(162), 제1지지부재(161)과 제2지지부재(16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164), 힌지 구조(164)를 외부에서 볼 때, 이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 및 제1지지부재(161)와 제2지지부재(162)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플레이트(1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지지부재(161)는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62)는 디스플레이(130)의 제2영역(131b)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163)와 힌지 구조(16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제1지지부재(161)와 제2지지부재(1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폴딩 영역(131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161) 측에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지지부재(162) 측에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은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제1하우징 구조(110), 제2하우징 구조(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는 제1지지 부재(161)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 배터리(119),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 구조(110)는 디스플레이(130)의 노치 영역(13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82)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윈도우 글라스(18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하우징 구조(120)는 제2지지 부재(162)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1지지 부재(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 구조(120)와 제2지지 부재(162)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는 제1회전 지지면(1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우징 구조(120)는 제1회전 지지면(114)에 대응되는 제2회전 지지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를 덮어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전자 장치(10)는 접힘 상태(도 4의(a))와 펼침 상태(도 4의(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접힘 상태(도 4의(a)) 및 펼침 상태(도 4의(b))는 힌지 하우징(165)의 전자 장치(10)의 외관 형성 여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폴딩 영역(예: 도 3의 폴딩 영역(131c))의 벤딩 여부, 또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힘 상태(도 4의(a))는 전자 장치(10)의 힌지 하우징(165)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로 노출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힌지 하우징(165)은 전자 장치(10)의 외관(예: 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펼침 상태(도 4의(b))는 전자 장치(10)의 힌지 하우징(165)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힌지 하우징(165)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되어 전자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각각은 힌지 하우징(165)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폴딩 축(F 축)은 힌지 하우징(165)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축(F 축)은 앞서 설명한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폴딩 축(F 축)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회전 중심인 가상의 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축(F 축)은 접힘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축(F 축)은 힌지 하우징(165)으로부터 전자 장치(10)의 전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d)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폴딩 축(F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폴딩 축(F 축)은 제1 하우징(110)의 회전 구동의 중심인 제1 폴딩 축(Fa 축)과 제2 하우징(120)의 회전 구동의 중심인 제2 폴딩 축(Fb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폴딩 축(Fa 축) 및 제2 폴딩 축(Fb 축)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은 제1 폴딩 축(Fa)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2 폴딩 축(Fb)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폴딩 축(F)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접힘 구동(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의 중심 축을 의미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구동을 가능케 하는 축(예: 회전 중심 축)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각각 제1 폴딩 축(Fa)과 제2 폴딩 축(Fb)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이로써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1 커버(140) 및 제1 커버(140)에 형성되는 후면 카메라 영역(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힌지 하우징(165)으로부터 폴딩 축(F 축)에 수직한 방향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도시된 폴딩 축(F 축)을 중심으로 힌지 하우징(16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커버(150) 및 제2 커버(150)에 형성되는 후면 디스플레이 영역(152) 및/또는 후면 센서 영역(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힌지 하우징(165)으로부터 폴딩 축(F 축)에 수직한 방향 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도시된 폴딩 축(F 축)을 중심으로 힌지 하우징(16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165)은 폴딩 축(F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165)은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20)의 회전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a)는 도 4의(a)의 A-A' 단면도이다. 도 5의(b)는 도 4의(b)의 B-B'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접힘 상태(도 5의(a)) 및 펼침 상태(도 5의(b))를 포함할 수 있다. 접힘 상태(도 5의(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펼침 상태(도 5의(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 영역(251),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2 영역(252), 및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 가능한 폴딩 영역(25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의 접힘 상태는 상기 폴딩 영역(253)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이루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251) 및 제2 영역(252)은 각각의 법선 벡터가 0도가 아닌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는 상기 폴딩 영역(253)이 제1 영역(251) 및 제2 영역(252)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251) 및 제2 영역(252)은 펼침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예: 전자 장치의 전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제1 영역(251) 및 제2 영역(252)은 각각의 법선 벡터가 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금속 층(254, 2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층(254, 255)은 펼침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평면을 유지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금속 층(254, 255)은 제1 영역(251)의 배면에 부착되고 일부가 폴딩 영역(253)으로 연장되는 제1 금속 층(254) 및 제2 영역(252)의 배면에 부착되고 일부가 폴딩 영역(253)으로 연장되는 제2 금속 층(2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 층(254) 및 제2 금속 층(255) 각각은 폴딩 영역(253)의 배면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제1 금속 층(254) 및 제2 금속 층(255) 각각은 접힘 상태에서 제1 영역(251) 및 제2 영역(252)으로부터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 층(254) 및 제2 금속 층 각각은 접힘 상태에서 폴딩 영역(253)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금속 층(254) 및 제2 금속 층(255)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힌지 하우징(230)에 형성된 제3 리세스(2331)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접힘 상태에서, 폴딩 영역(253)의 적어도 일부가 힌지 하우징(230)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영역(253)은 폴딩 축(F) 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힌지 하우징(230)의 돌출 부분(234)에 겹쳐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10)은 펼침 상태(도 5의(b))에서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1 후면 커버(2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면 커버(218)는 펼침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제1 영역(251)과 대향할 수 있다. 제1 후면 커버(218)와 제1 영역(251) 사이에는 제1 리세스(219)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10)은 힌지 하우징(23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리세스(2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세스(219)는 힌지 하우징(230)을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리세스(219)는 제1 하우징(210)의 회전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하는 제1 회전 지지면(2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220)은 펼침 상태(도 5의(b))에서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후면 커버(2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면 커버(228)는 펼침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제2 영역(25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후면 커버(228)와 제2 영역(252) 사이에는 제2 리세스(229)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220)은 힌지 하우징(23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리세스(2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세스(229)는 힌지 하우징(230)을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리세스(229)는 제2 하우징(220)의 회전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하는 제2 회전 지지면(227)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230)은 펼침 상태에서 일부가 제1 리세스(219)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제2 리세스(229) 내부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200)의 외관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0)은 접힘 상태에서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과 함께 전자 장치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230)은 펼침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배면을 향하는 제1 면(231), 상기 제1 면(231)에 대향하며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면(232), 및 제3 리세스(2331)를 형성하는 내면(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231)에는 접힘 상태에서 제1 금속 층(254) 및 제2 금속 층(255)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3 리세스(2331)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0)의 제1 면(231)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돌출 부분(234)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분(234)은 펼침 상태를 기준으로, 힌지 하우징(230)의 제1 면(231)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향하는 방향(예: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분(234)은 폴딩 축(F) 방향으로 볼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의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분(234)은 폴딩 축(F) 방향으로 볼 때, 펼침 상태에서 폴딩 영역(253), 제1 영역(251)의 일부 및 제2 영역(252)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하우징(2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230)은 폴딩 축 방향(F)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0)은 제2 면(232)으로부터 연장되고 돌출 부분(234)을 포함하는 측벽(235)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235)은 내면(233)과 함께 힌지 하우징(230)의 내부 공간(233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내부 공간(2332)에는 힌지 구조물(예: 도 3의 힌지 구조(164)) 및/또는 연결 부재(예: 도 3의 연결 부재(163))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벽은 제1 측벽(235-1) 및 상기 제1 측벽(235-1)에 마주보는 제2 측벽(23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235-1)과 제2 측벽(235-2) 사이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측벽(235-1)과 제2 측벽(235-2) 사이에는 폴딩 영역(25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235-1)은 전자 장치(20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 부분(23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 부분(234-1)은 폴딩 축 방향(F)을 향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 부분(234-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제1 가장자리(250-1)와 마주볼 수 있다. 제1 가장자리(25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 중 폴딩 축 방향(F)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235-2)은 전자 장치(20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 부분(23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 부분(234-2)은 폴딩 축 방향(F)을 향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 부분(234-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제2 가장자리(250-2)와 마주볼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50-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 중 폴딩 축 방향(F)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50-2)는 제1 가장자리(250-1)와 대향하고 제1 가장자리(250-1)와 평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출 부분(234)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향해 형성되는 완충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돌출 부분(234)에 직접적으로 충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250-1, 250-2)와 돌출 부분(2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2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제1 가장자리(250-1)와 제1 돌출 부분(234-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완충 부재(240-1)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제2 가장자리(250-2)와 제2 돌출 부분(234-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완충 부재(2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240-1)와 제2 완충 부재(240-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에 인가되는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 및 돌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240)는 제1 부분(241) 및 상기 제1 부분(24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41)은 돌출 부분(234)의 제1 리세스(237)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접착면(245) 및 상기 접착면(245)에 대향하며 힌지 하우징(230)의 내부 공간(2332)을 향하는 대향면(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면(245)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착 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면(245)은 접착 부재(244)에 의해 돌출 부분(234)의 제1 리세스(237)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부분(242)은 힌지 하우징(230)의 내면(233)에 형성되는 제2 리세스(239)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부분(242)은 제2 리세스(239)에 안착되는 안착면(24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대향면(243)은 폴딩 축 방향(F)을 향하는 제1 영역(243-1), 및 상기 제1 영역(243-1)으로부터 연장되며 폴딩 축 방향(F1, F2)에 대해 경사지는 제2 영역(2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41)은 제2 영역(243-2)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에 비해 제1 영역(243-1)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243-2)은 접착면(245)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제1 영역(243-1)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230)은 제1 부분(241)이 수용되는 제1 리세스(237)와 제2 부분(242)이 수용되는 제2 리세스(2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세스(237)의 바닥면에는 제1 부분(241)의 접착면(245)이 부착될 수 있다. 제2 리세스(239)는 폴딩 축 방향(F2)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리세스(239)는 힌지 하우징(230)의 내부 공간(2332)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0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완충 부재(240)의 슬라이딩 방향 및 압착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제2 리세스(239)는 바닥면(2391)에 제2 부분(242)의 안착면(246)이 안착될 수 있다. 제2 리세스(239)의 바닥면(2391)은 주변 영역에 비해 단차자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세스(239)의 바닥면(2391)은 완충 부재(240)의 안착면(246)보다 폴딩 축 방향(예: F2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세스(239)의 바닥면(2391) 및 측벽들(2392, 2393)은 완충 부재(240)의 안착면(246)과 대응되는 폭(예: 폴딩 축 방향(F1, F2)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완충 부재(240)는 측벽들(2392, 2393)에 의해 폭 방향으로 구속되고, 일 측(F2)이 개방되어 폴딩 축 방향(F1, F2)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힌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a)에 도시된 힌지 하우징의 폴딩 축(F)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힌지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힌지 하우징(230)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일부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영역(예: 폴딩 영역(253))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230)은 내부 공간(2332)을 형성하는 내면(233) 및 측벽(235)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235)은 폴딩 축 방향(F2)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벽(235)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와 마주보는 돌출 부분(234)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234)은 측벽(235)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 부분(234)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1 리세스(2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세스(237)는 돌출 부분(234) 및/또는 측벽(235)의 힌지 하우징(230)의 내부 공간(2332)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세스(237)는 폴딩 축 방향(F1)으로 함몰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0)은 측벽(235)과 인접한 내면(233)의 일부에 형성되는 제2 리세스(2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세스(239)는 폴딩 축 방향(F1, F2)에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리세스(237)와 제2 리세스(239) 각각에는 완충 부재(24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240)는 힌지 하우징(230)의 측벽(235)에 결합되는 제1 부분(241)과 힌지 하우징(230)의 내면(233)에 결합되는 제2 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41)은 적어도 일부가 힌지 하우징(230)의 제1 리세스(237)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부분(242)은 힌지 하우징(230)의 제2 리세스(239)에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리세스(237)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내측벽(2372)과 제2 내측벽(2373), 및 완충 부재의 접착면(245)이 접착되는 제1 바닥면(2371)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제1 부분(241)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내측벽(2372)과 제2 내측벽(237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제1 부분(241)의 접착면(245)이 제1 리세스(237)의 제1 바닥면(2371)에 부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의 접착면(245)은 접착 부재(244)에 의해 제1 바닥면(2371)에 접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제2 부분(242)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리세스(239)의 제2 바닥면(2391)에 안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의 제2 부분(24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위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에 가려질 수 있다. 제2 부분(242)의 안착 위치를 통해 완충 부재(240)가 힌지 하우징(230)과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242)이 제2 바닥면(2391)의 외부(예: 힌지 하우징의 내부 공간(2332))로 돌출된 경우 제1 부분(241)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완충 부재(240)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간격'은 폴딩 축 방향(F1, F2)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돌출 부분(234)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과 적어도 제1 간격(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으로부터 적어도 제2 간격(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간격(d1)은 제2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즉, 완충 부재(240)는 돌출 부분(234)에 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과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폴딩 축 방향(F1, 예: 돌출 부분(234)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는 완충 부재(240)의 대향면(243)에 충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위에서 볼 때, 완충 부재(240)는 돌출 부분(234)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돌출 부분(234)에 직접 충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에 취약한 폴딩 영역(253)을 보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돌출 부분(234)은 폴딩 영역(253)과 마주보는 면에 C-Cut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 리세스(237)의 제1 내측벽(2372), 제2 내측벽(2373), 및 제1 바닥면(2371)은 C-Cut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C-Cut 구조는 완충 부재(240)를 보호하고, 완충 부재(240)가 전자 장치의 외관으로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2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과 마주보는 대향면(243)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면(243)은 실질적으로 폴딩 축 방향(F2)을 향하는 제1 영역(243-1), 및 제1 영역(243-1)으로부터 연장되며 폴딩 영역(253)으로부터의 간격이 점차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제2 영역(243-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234)의 제1 내측벽(235)은 적어도 일부가 제2 영역(243-2)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영역(243-2)의 폴딩 축 방향(F1)에 대한 각도(θ)는 50도 내지 8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θ)는 약 66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2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와 돌출 부분(234)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전자 장치의 외관으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된 경사 구조 및 C-Cut 구조(예: 제1 리세스(237))는 완충 부재(240)가 전자 장치의 외관으로 노출되는 면적을 감소시켜 전자 장치의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대향면(243)의 제1 영역(243-1)은 폴딩 영역(253)과 제2 간격(d2)만큼 이격되고, 대향면(243)의 제2 영역(243-2)은 제2 간격(d2)보다 큰 제3 간격(d3)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돌출 부분(234)은 제2 간격(d2)보다 큰 제1 간격(d1)만큼 폴딩 영역(25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출 부분(234)과 폴딩 영역(253) 사이의 가장 작은 간격(예: 제1 간격(d1))은 완충 부재(240)와 폴딩 영역(253) 사이의 가장 큰 간격(예: 제3 간격(d3))보다 클 수 있다. 즉, 완충 부재(240)는 돌출 부분(234)보다 폴딩 영역(253)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폴딩 축 방향(F1, F2)으로 볼 때, 돌출 부분(234)보다 폴딩 영역(253)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b)는 접힘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c)는 펼침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230)은 외관을 형성되는 외면(231, 232),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면(233), 폴딩 축 방향(F)으로 형성되는 돌출 부분(234), 및 돌출 부분(234)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0)의 외면(231, 232)은 펼침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향하는 제1 면(231), 및 상기 제1 면(231)에 대향하며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면(232)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폴딩 축(F) 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과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240)의 제1 부분(241)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 부분(234)에 결합되고, 완충 부재(240)의 제2 부분(242)의 적어도 일부는 내면(23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분(241)은 돌출 부분(234)의 대향면(243)보다 폴딩 영역(25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접힘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이 완충 부재(240)의 일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는 완충 부재(240)의 제1 부분(241)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금속 층(254), 및 제2 금속 층(255)은 접힘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힌지 하우징(230)의 제1 면(231)에 형성되는 제3 리세스(233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세스(2331)는 제1 면(231)으로부터 내면(233)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펼침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이 완충 부재(240)의 일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제1 영역(251), 제2 영역(252), 제1 금속 층(254), 및 제2 금속 층(255)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완충 부재(240)의 제1 부분(2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폴딩 축 방향(F)으로 볼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폴딩 영역(253)이 완충 부재(240)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폴딩 영역(253)은 완충 부재(240)의 제1 부분(241)과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폴딩 영역(253), 및 제1 영역(251)과 제2 영역(252)의 일부는 완충 부재(240)의 제1 부분(241)과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돌출 부분(234)은 경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낙하한 경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완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낙하 충격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전자 장치 내부(예: 제1 하우징 내부 및 제2 하우징 내부)에서 폴딩 축 방향(F)으로 소정의 범위만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배면과 하우징 내부(예: 도 3의 제1 지지 부재(161), 제2 지지 부재(162))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단 응력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하우징 내부(예: 도 3의 제1 지지 부재(161), 제2 지지 부재(162))에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는 무게 중심이 힌지 하우징(230)의 폴딩 축 방향(F)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접힘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낙하되는 경우, 힌지 하우징(230)의 단부(예: 돌출 부분)에 낙하 충격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210, 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253)은 관성에 의해 돌출 부분(234)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완충 부재(240)는 폴딩 영역(253)이 돌출 부분(234)에 직접 충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딩 영역(253)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는 폴딩 영역(253)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낙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은 다른 영역(예: 제1 영역(251), 제2 영역(252))에 비해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폴딩 영역(253)은 접힘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에 포함된 복수의 레이어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폴딩 영역(253)에 포함되는 복수의 레이어들 사이의 곡률 반경 차이에 따른 전단 응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폴딩 영역(253)은 다른 영역(예: 제1 영역(251), 제2 영역(252))에 비해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폴딩 영역(253)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돌출된 완충 부재(240)를 포함하여, 폴딩 영역(253)이 돌출 부분(234)에 직접 충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전자 장치(200)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힌지 하우징(23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완충 부재(240)에 접촉한 폴딩 영역(253)에 인가되는 충격은 폴딩 영역(253)이 돌출 부분(234)에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더 작을 수 있다. 이는 완충 부재(240)가 충격의 일부를 흡수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완충 부재(240)를 포함하는 충격 완화 구조는, 반드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폴더블 전자 장치(10, 200)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에 롤링 영역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또는 접힘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예: 아웃폴딩 전자 장치(도 15의(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문서에 개시되는 충격 완화 구조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와 힌지 하우징의 조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완충 부재(240)는 제1 부분(241)이 제1 리세스(237)에 수용되고 제2 부분(242)이 제2 리세스(239)에 수용되도록 돌출 부분(23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분(241)의 접착면(245)은 접착 부재(244)에 의해 제1 리세스(237)의 제1 바닥면(2371)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부분(242)의 안착면(246)은 제2 리세스(239)의 제2 바닥면(2391)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안착면(246)은 폴딩 축 방향(F1, F2) 길이가 제2 바닥면(2391)의 폴딩 축 방향(F1, F2)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완충 부재(240)의 조립 공정에서 완충 부재(240)가 돌출 부분(234)에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디케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안착면(246)이 제2 리세스(239)의 제2 바닥면(2391)의 외측(예: 내부 공간(2332) 방향)으로 돌출된 경우, 완충 부재(240)는 돌출 부분(234)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완충 부재(240)는 제1 부분(241)이 돌출 부분(234)에 형성된 제1 리세스(237)에 삽입되고, 및 제2 부분(242)이 제2 리세스(239)에 삽입되도록 돌출 부분(234)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완충 부재(240)의 슬라이딩 방향은 폴딩 축 방향(F1)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리세스는 슬라이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예: F2)으로 개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0)를 돌출 부분(234)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완충 부재(240)에 추가적인 압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완충 부재(240)의 압착 방향은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예: F1)일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완충 부재 및 힌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힌지 하우징(330) 및 힌지 하우징(330)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330)은 회전 축 방향(예: F1) 단부에 형성되는 측벽(331), 측벽(331)과 함께 내부 공간(333)을 형성하는 내면(332), 및 상기 측벽(331)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3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돌기(335)에는 완충 부재(34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기(335)는 힌지 하우징(330)의 측벽(331)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335)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335-1)과 제1 부분(335-1)으로부터 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335-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부분(335-2)은 제1 부분(335-1)으로부터 폴딩 축 방향(F1, F2)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340)는 힌지 하우징(330)에 형성된 결합 돌기(335)에 결합될 수 있다. 완충 부재(340)는 실질적으로 힌지 하우징(33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대향면(342)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340)가 힌지 하우징(330)에 결합된 경우, 상기 대향면(342)은 힌지 하우징(330)의 측벽(331)으로부터 연장된 면일 수 있다. 완충 부재(340)는 상기 대향면(342)에 형성된 제2 리세스(3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349)는 힌지 하우징(330)에 형성된 제1 리세스(339)와 연결될 수 있다. 완충 부재(340)의 제2 리세스(349)는 힌지 하우징(330)의 측벽(331)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힌지 하우징(330)의 제1 리세스(339)는 완충 부재(34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340)가 힌지 하우징(3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리세스(339) 및 제2 리세스(349)는 서로 개방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완충 부재(34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하우징과 완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C-C'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가 힌지 하우징(330)의 측벽(331) 및 완충 부재(340)의 대향면(34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은 힌지 하우징(330)의 측벽(331) 및 완충 부재(340)의 대향면(342)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폴딩 영역(253)은 힌지 하우징(330)의 측벽(331)과 제1 간격(d1)으로 이격되고, 폴딩 영역(253)은 완충 부재(340)의 대향면(342)과 상기 제1 간격(d1)보다 작은 제2 간격(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340)는 힌지 하우징(330)의 측벽(331)에 비해 힌지 하우징(330)의 내부 공간(333)을 향하는 방향(예: F2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폴딩 축 방향(F1)으로 이동하는 경우,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는 완충 부재(340)에 부딪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에 인가되는 충격은 완충 부재(34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330)의 측벽(331)에 형성된 제1 리세스(339) 및 완충 부재(340)의 대향면(342)에 형성된 제2 리세스(349)는 하나의 리세스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340)는 측벽(331)과 마주보는 지지면(3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43)에는 힌지 하우징(330)의 결합 돌기(335)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34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347)는 완충 부재(340)의 지지면(343)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340)의 개구(347)는 상기 결합 돌기(335)가 상기 개구(347)에 압입(press fit)되도록, 결합 돌기(335)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개구(347)의 직경은 결합 돌기(335)의 일부(예: 도 13의 제2 부분(335-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 돌기(335)의 제2 부분(예: 도 13의 제2 부분(335-2))은 상기 개구에 압입될 수 있다.
도 15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의 충격 완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폴딩 타입의 폴더블 전자 장치(150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폴딩 타입의 폴더블 전자 장치(1502)(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c)는 도 15의(a) 및 도 15의(b)에 도시된 폴더블 전자 장치 각각의 폴딩 축(F)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아웃폴딩 타입의 폴더블 전자 장치(1501)는 접힘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폴더블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1501, 150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구조(1506),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구조(1505)를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1505)는 플레이트 구조(1506)를 둘러쌀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구조(1505) 및 플레이트 구조(1506)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부재로서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구조(1506)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으로 참조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1505)는 도 1에 도시된 제1 측면 부재(113), 및 제2 측면 부재(123)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플레이트 구조(1506)에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플레이트 구조(1506)에 부착되되 폴딩 축(F)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미세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구조(1505)는 제1 영역(25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프레임 구조(1510), 제2 영역(25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프레임 구조(1520), 및 폴딩 영역(25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3 프레임 구조(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 구조(1530)는, 도 5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돌출 부분(23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구조(1505)는 적어도 일부에 충격 완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완화 구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충격 완화 구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충격 흡수 부재(1550)(예: 도 5 내지 도 12의 완충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1550)는 프레임 구조(1505)의 다른 부분에 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와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의(c)를 참조하면, 제3 프레임 구조(15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와 제1 간격(d1)으로 이격되고, 충격 흡수 부재(15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와 제2 간격(d2)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충격에 취약한 폴딩 영역(253)이 금속 재질의 프레임 구조(1505)에 직접적으로 충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충격 흡수 부재(1550)는 프레임 구조(1505)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 부재(1550)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 구조(1505)의 일부에 사출 형성된 사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충격 완화 구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가 접히는 방향(예: 인 폴딩(1501), 아웃 폴딩(1502), 및 더블 폴딩(미도시))에 상관 없이, 형상이 변형(평면 또는 곡면)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하우징 및 완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430)은 완충 부재(440)가 결합되는 측벽(431), 상기 측벽(431)과 함께 힌지 하우징(430)의 내부 공간(433)을 형성하는 내면(432), 및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면(4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측벽(431)은 적어도 일 부분이 폴딩 축 방향(F1, F2)을 향할 수 있다. 측벽(431)의 내측면에는 완충 부재(4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40)는 힌지 하우징(430)의 내부 공간(433)을 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측벽(43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힌지 하우징(430)은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 예들과 달리, 측벽(431)에 형성된 돌출 구조물(예: 도 5 내지 도 14의 돌출 부분(234), 도 13의 결합 돌기(335))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40)는 힌지 하우징(430)의 측벽(431)보다 힌지 하우징(430)의 내부 공간(4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40)는 일부가 힌지 하우징(430)의 측벽(431)에 형성된 리세스(435)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완충 부재(440)는 나머지 일부가 리세스(435)의 주변부에 비해 힌지 하우징(430)의 내부 공간(4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4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폴딩 영역(253))가 측벽(431)에 직접적으로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미도시)에서, 완충 부재(440)는 적어도 일부가 힌지 하우징(43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외측(예: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폴딩 축(F)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 하우징(230); 상기 힌지 하우징(230)에 대해 상기 폴딩 축(F)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230)의 상기 폴딩 축(F)에 수직한 방향 일 측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210); 상기 힌지 하우징(230)에 대해 상기 폴딩 축(F)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230)의 상기 폴딩 축(F)에 수직한 방향 타 측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220);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하우징(230)에 배치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폴딩 영역(253), 상기 폴딩 영역(253)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F)에 수직한 방향 일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251), 및 상기 폴딩 영역(253)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F)에 수직한 방향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252)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230)은 상기 폴딩 축(F)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돌출 부분(234), 및 상기 돌출 부분(234)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완충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돌출 부분(234)은 상기 폴딩 축(F) 방향 일 측에 위치한 제1 돌출 부분(234-1), 및 상기 폴딩 축(F) 방향 타 측에 위치한 제2 돌출 부분(234-2)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240)는 상기 제1 돌출 부분(234-1)과 상기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완충 부재(240-1), 및 상기 제2 돌출 부분(234-2)과 상기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완충 부재(24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돌출 부분(234)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상기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와 제1 간격(d1)으로 이격되고, 상기 완충 부재(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상기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돌출 부분(234)은 상기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와 대면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1 리세스(237)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2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리세스(237)에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완충 부재(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를 상기 폴딩 축(F) 방향으로 볼 때, 상기 폴딩 영역(253)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완충 부재(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상기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와 상기 힌지 하우징(230) 사이의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힌지 하우징(230)을 위에서 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23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상기 폴딩 영역(253)의 후면과 마주보는 내면(233), 및 상기 내면(233)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폴딩 축(F) 방향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측벽(235)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234)은 상기 측벽(235)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완충 부재(240)는 일부가 상기 돌출 부분(234)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내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내면은 상기 완충 부재(24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2 리세스(239)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세스(239)는 상기 폴딩 축(F)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완충 부재(240)는, 상기 돌출 부분(234)에 부착되는 접착면(245)과 상기 접착면(245)에 대향하며 상기 폴딩 영역(253)과 마주보는 대향면(243)을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힌지 하우징(230)의 상기 내면에 안착되는 안착면(246)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240)는 상기 접착면(245)이 상기 돌출 부분(234)에 형성된 제1 리세스의 제1 바닥면에 부착되고, 및 상기 안착면(246)에 상기 힌지 하우징(230)의 상기 내면에 형성되는 제2 리세스(239)의 제2 바닥면(2391)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23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대향면(243)은 상기 폴딩 축(F) 방향을 향하는 제1 영역(251), 및 상기 제1 영역(251)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폴딩 축(F)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2 영역(25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252)은 상기 제1 영역(2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폴딩 영역(253)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50도 내지 80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리세스(237)는 상기 폴딩 영역(253)의 가장자리를 향하는 제1 바닥면(2371), 및 상기 제1 바닥면(237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230)의 상기 내면을 향하는 제1 측벽(2372)과 상기 제1 측벽(2372)에 대향하는 제2 측벽(237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2372)과 상기 제2 측벽(2373) 사이에는 상기 완충 부재(240)의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2372)은 상기 대향면(243)의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및 상기 제1 하우징(210)과 상기 제2 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430)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 상기 제1 하우징(210) 및 상기 제2 하우징(220)은, 상기 힌지 하우징(430)에 정렬되는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서로 접히도록 구성됨;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하우징(430)에 배치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폴딩 영역(253), 상기 폴딩 영역(253)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210)에 배치되는 제1 영역(251), 및 상기 폴딩 영역(253)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하우징(220)에 배치되는 제2 영역(252)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43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폴딩 축(F) 방향을 향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구조는 상기 측벽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430)은, 상기 측벽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간격으로 이격되고, 및 상기 완충 부재(440)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완충 부재(4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하우징(430)의 내부 공간(433)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측벽(431)은 상기 폴딩 축(F)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측벽(235-1), 및 상기 폴딩 축(F) 방향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측벽(235-2)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440)는 상기 제1 측벽(235-1)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완충 부재(240-1), 및 상기 제2 측벽(235-2)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완충 부재(24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240)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240) 사이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상기 폴딩 영역(253)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 영역(251),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2 영역(252), 및 상기 제1 영역(251)과 상기 제2 영역(252) 사이에 형성되며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폴딩 영역(253)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제1 간격으로 이격된 프레임 구조(1505)를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프레임 구조(1505)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으로 이격되는 충격 흡수 부재(1550)를 포함하는 충격 완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 구조(1505)는 상기 제1 영역(25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프레임 구조(1510), 상기 제2 영역(25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프레임 구조(1520), 및 상기 폴딩 영역(25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3 프레임 구조(1530)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완화 구조는 상기 제3 프레임 구조(153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 구조는 상기 프레임 구조(1505)가 형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의 배면이 안착되는 플레이트 구조(15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50)는 상기 플레이트 구조(1506)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폴딩 축(F)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영역(251) 및 상기 제2 영역(252)의 배면이 상기 플레이트 구조(1506)에 결합되고,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제2 간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550)는 상기 프레임 구조(150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설정된(adapted to or 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또는 구성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예: 메모리 #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성된 유닛(unit)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접힘 또는 펼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 구조물;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1 영역,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정의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접히거나 펼쳐지면 변형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힌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를 형성하는 측벽으로부터 상기 힌지 하우징과 나란한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측벽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돌출 부분과 체결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접힘 또는 펼침 동안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제2 부분의 상부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접힘 또는 펼침일 동안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제2 부분의 하부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다른 일 부분은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 구조물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 구조물의 반대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1 돌출 부분 및 상기 힌지 하우징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제2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돌출 부분과 체결되는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돌출 부분과 체결되는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부분 및 상기 제2 돌출 부분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 부분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 부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폴딩 축을 기준으로 접힘 또는 펼쳐지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폴딩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폴딩 축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폴딩 축 방향을 향하는 상기 힌지 하우징의 적어도 일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 부분 및 상기 폴딩 축 방향을 향하는 벤딩 영역의 주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폴딩 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 측벽 및 상기 폴딩 축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 부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돌출 부분에 체결되는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돌출 부분에 체결되는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돌출 부분을 향하는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부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 부분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돌출 부분을 향하는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1 부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 부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 부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벤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접힘 또는 펼침 상태에서, 상기 돌출 부분의 제1 부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벤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접힘 또는 펼쳐지는 동안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벤딩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벤딩 영역의 반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접힘 또는 펼침에 대응하여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벤딩 영역의 주변부는 상기 힌지 하우징 및 상기 완충 부재의 상기 측벽을 향하며,
    상기 벤딩 영역의 주변부는 제1 간격에 의해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에 의해 상기 완충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의 상기 벤딩 영역의 일측 외부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063150A 2019-05-03 2023-05-16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0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150A KR102660952B1 (ko) 2019-05-03 2023-05-16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58A KR20200127741A (ko) 2019-05-03 2019-05-0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063150A KR102660952B1 (ko) 2019-05-03 2023-05-16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458A Division KR20200127741A (ko) 2019-05-03 2019-05-0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432A KR20230074432A (ko) 2023-05-30
KR102660952B1 true KR102660952B1 (ko) 2024-04-25

Family

ID=704824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458A KR20200127741A (ko) 2019-05-03 2019-05-0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063150A KR102660952B1 (ko) 2019-05-03 2023-05-16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458A KR20200127741A (ko) 2019-05-03 2019-05-0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602058B2 (ko)
EP (3) EP4340340A3 (ko)
KR (2) KR20200127741A (ko)
CN (2) CN111885222A (ko)
ES (1) ES2962724T3 (ko)
WO (1) WO2020226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2898S1 (en) * 2018-08-01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67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2345S1 (en) * 2018-08-21 2021-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20200094950A (ko) * 2019-01-31 2020-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923620S1 (en) * 2019-05-17 2021-06-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writing device
CN113950654A (zh) * 2019-05-28 2022-01-18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US10838458B1 (en) 2019-05-31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KR20210081045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871517B1 (en) * 2020-05-11 2024-01-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tacked circuitry
CN112382201A (zh) * 2020-11-17 2021-02-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屏折叠模组及显示装置
CN113554943B (zh) * 2020-11-28 2022-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边缘防护结构及折叠显示终端
KR102628918B1 (ko) * 2020-12-18 2024-01-2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롤러블 모바일 디바이스용 확장형 케이스
US11079798B1 (en) * 2020-12-21 2021-08-03 Pioneer Square Brands,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
KR20220107863A (ko) * 2021-01-26 2022-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92212A4 (en) * 2021-01-27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ALING ELEMENT
JP2022170037A (ja) * 2021-04-28 2022-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220169698A (ko) * 2021-06-21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40220A (ko) * 2021-09-15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보호를 위한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76272A (ko) * 2021-11-24 202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7373341A (zh) * 2022-07-01 2024-01-09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组件及折叠式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0139A1 (en) 2005-05-09 2010-05-0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obile Device With A Printhead And A Capper Actuated By Contact With The Media To Be Printed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7496B1 (en) * 2001-01-18 2003-06-10 Palm, Inc. Non-rigid mounting of a foldable display
JP3850847B2 (ja) * 2004-06-28 2006-11-2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の液晶表示装置保護構造
US7697281B2 (en) * 2008-09-05 2010-04-13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KR101636077B1 (ko) * 2009-09-14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5574680B2 (ja) 2009-11-27 2014-08-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表示装置
KR101383207B1 (ko) * 2011-05-02 2014-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85218A (ko) 2012-01-19 2013-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818703B2 (ja) * 2012-01-25 2015-11-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542411B1 (ko) * 2013-04-17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2163406B1 (ko) * 2014-02-21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하우징 제작 방법
US9715257B2 (en) * 2014-04-18 2017-07-25 Apple Inc. Active screen pro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791892B2 (en) 2014-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2208686B1 (ko) * 2014-08-11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1779012B1 (ko) * 2014-08-15 2017-09-18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1663517B1 (ko) * 2014-08-25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298220B2 (en) 2014-09-02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09439B2 (en) * 2014-09-02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display cas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16766B1 (ko)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33261B1 (ko) * 2015-01-27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09514B1 (ko) * 2014-09-05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851759B2 (en) * 2014-12-31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ivot hinge cover
KR102353760B1 (ko) * 2015-04-01 2022-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CN104898784B (zh) * 2015-06-16 2019-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366516B1 (ko)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7239B1 (ko) 2015-12-16 2023-09-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0470B1 (ko) * 2016-06-28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279735B1 (ko) * 2016-10-10 202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595230B1 (ko) * 2016-10-13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356866B1 (ko) 2017-04-10 2022-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306788B2 (en) * 2017-04-28 2019-05-28 Wuhan China Start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exible bottom shel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275123B1 (ko) * 2017-06-15 2021-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460559B1 (ko) * 2017-07-04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93344B1 (ko) * 2017-07-28 2022-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0318B1 (ko) * 2018-08-08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하우징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0139A1 (en) 2005-05-09 2010-05-0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obile Device With A Printhead And A Capper Actuated By Contact With The Media To Be Prin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62724T3 (es) 2024-03-20
US11602058B2 (en) 2023-03-07
US20230209733A1 (en) 2023-06-29
CN116684509A (zh) 2023-09-01
KR20230074432A (ko) 2023-05-30
WO2020226326A1 (en) 2020-11-12
EP3734947C0 (en) 2023-08-30
US20200352038A1 (en) 2020-11-05
EP3734947A1 (en) 2020-11-04
US20240121904A1 (en) 2024-04-11
EP4340340A3 (en) 2024-06-19
EP4340340A2 (en) 2024-03-20
EP3734947B1 (en) 2023-08-30
EP4228232A1 (en) 2023-08-16
US11877406B2 (en) 2024-01-16
KR20200127741A (ko) 2020-11-11
CN111885222A (zh)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952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8997B1 (ko) 배선 부재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906365B (zh) 包括弹性构件的电子装置
CN114424272A (zh) 显示模块和包括该显示模块的电子装置
KR102660605B1 (ko) 폴더블 전자장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장치
EP4350672A1 (en) Folding display device
US8058553B2 (en) Electronic device
US20220240637A1 (en) Protective cover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13597592A (zh) 包括显示器保护结构的可折叠电子装置
KR20200101239A (ko)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2019663A (zh) 便携式通信设备
KR2021011601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1632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pplementary structure
CN117221428A (zh) 便携式通信设备
KR20220115380A (ko)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8589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561705B2 (ja) 情報処理装置
EP436175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member
KR20220169672A (ko) 폴더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31817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oldable housing
KR20220006189A (ko)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