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580B1 -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580B1
KR102660580B1 KR1020200012744A KR20200012744A KR102660580B1 KR 102660580 B1 KR102660580 B1 KR 102660580B1 KR 1020200012744 A KR1020200012744 A KR 1020200012744A KR 20200012744 A KR20200012744 A KR 20200012744A KR 102660580 B1 KR102660580 B1 KR 10266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electronic device
housing
bracket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774A (ko
Inventor
김두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580B1/ko
Priority to EP21750560.1A priority patent/EP4096235B1/en
Priority to PCT/KR2021/000786 priority patent/WO2021157914A1/ko
Publication of KR2021009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774A/ko
Priority to US17/879,073 priority patent/US2022036900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이어 버즈(earbuds)를 수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브라켓의 제1 부분이 수용되는 하우징, 이어 버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및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안착 공간 또는 안착 공간에 수용되는 이어 버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브라켓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브라켓의 제2 부분은 하우징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으면서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향해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브라켓은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위치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AN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 예들은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음향 출력 장치(예: 이어 버즈(earbuds))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반면,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음향 출력 장치는 비교적 크기가 작아 사용하지 않는 동안 분실하기 쉬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하지 않는 동안의 분실을 막기 위해 별도의 전자 장치 내에 보관될 수 있고, 무선 음향 출력 장치가 전자 장치에 보관 중인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음향 출력 장치는 전자 장치 내에 구비된 리세스(recess)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고, 상기 리세스에 마련된 도전성 핀과 무선 음향 출력 장치의 도전성 핀이 접촉됨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상기 리세스가 깊게 형성되고 무선 음향 출력 장치가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부분이 증가될수록, 무선 음향 출력 장치는 전자 장치의 상기 리세스에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음향 출력 장치가 전자 장치의 상기 리세스에 안정적으로 보관됨과 동시에 충전을 위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자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무선 음향 출력 장치와 전자 장치에 각각 배치하고, 무선 음향 출력 장치가 전자 장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무선 음향 출력 장치와 전자 장치 각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들이 서로 끌어당기도록 구현함으로써, 무선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리세스 내에 더 강하게 안착될 수 있고, 전자 장치와 무선 음향 출력 장치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무선 음향 출력 장치가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부분이 증가될수록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감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음향 출력 장치가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기 어려울 수 있고, 무선 음향 출력 장치를 상기 리세스로부터 꺼내기 어려울 수 있다.
전자 장치와 무선 음향 출력 장치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자성이 강할수록 무선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리세스에 강하게 안착되므로, 사용자는 무선 음향 출력 장치를 상기 리세스로부터 꺼내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이어 버즈(earbuds)를 수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브라켓의 제1 부분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이어 버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안착 공간 또는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이어 버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2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향해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장자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위치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earbuds)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제공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은 자성 스위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를 포함함 -,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자석을 포함하는 상기 자성 스위치, 상기 자성 스위치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를 관통함,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에 포함된 제2 자석과 중첩되고, 상기 자성 스위치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이 중첩되는 영역이 달라지도록 상기 개구를 통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출력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는, 상기 무선 음향 출력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를 제공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은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와 정렬되고 상기 리세스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함 -, 및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개구와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팝업(pop-up)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스위치는 상기 무선 음향 출력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 밖으로 팝업되도록,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리세스 안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예: 무선 음향 출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을 약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방향에서 바라본 커버가 열린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a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커버가 열린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가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가 열린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가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가 닫힌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가 수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브라켓이 유동하는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8a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성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자성 스위치 및 제2 자성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위치의 자성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위치의 자성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9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위치의 자성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팝업 스위치 및 제2 팝업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방향에서 바라본 커버(120)가 열린 전자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a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커버(120)가 열린 전자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연결부(140), 및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일정 형상의 바디(111)와, 바디(111)에 결합되는 브라켓(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은 바디(111)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12)은 바디(111)의 외면(111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바디(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은 하우징(110)의 높이 방향(h)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바디(111)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12)이 하우징(110)의 높이 방향(h)으로 유동 가능하기 위하여, 브라켓(112)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 도 3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를 포함할 수 있고 바디(1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예: 도 3의 적어도 하나의 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의 상면(1121)은 커버(120)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브라켓(112)의 상면(1121)에 형성되고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a의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20)는 연결부(140)에 의해 일정 각도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120)는 상부 커버(121) 및 상부 커버(121)와 결합되며 하우징(110)의 상면(1121)과 대향되는 대향면(1221)을 갖는 하부 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커버(120)의 상부 커버(121) 및 하부 커버(12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커버(122)는 브라켓(112)의 리세스(1122)와 대응되는 수용 홈(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 홈(1222)은 커버(120)가 닫힌 상태에서 리세스(1122)와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 홈(1222)은 외부 전자 장치가 하우징(110)의 리세스(11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40)는 도시된 X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10)과 커버(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140)는 브라켓(112)의 유동 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우징(110)의 바디(111)와 결합될 수 있고, 바디(111) 및 커버(120)는 연결부(1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140)는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연결부(140)는 바디(111) 또는 커버(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리세스(1122)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123)은 하우징(110)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123)은 리세스(1122)에 수용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d의 외부 전자 장치(2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123)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123)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a의 외부 전자 장치(200))의 장착을 검출하는 디텍트 핀, 충전용 핀, 데이터 통신용 핀 또는 그라운드(GND)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123)은 포고 핀 및/또는 탄성을 갖는 C-cli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에 배치되는 커넥터 포트(1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 포트(1127)는 외부 전력 공급 장치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도전성 핀(1123)을 통해 리세스(1122)에 수용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a의 외부 전자 장치(200))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커넥터 포트(1127)는 리세스(1122)에 수용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a의 외부 전자 장치(200))와 또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커넥터 포트(1127)는 전자 장치(1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충전 및 무선 통신 연결(예: BT)을 지원함으로써 커넥터의 포트(1127)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120)가 열린 전자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120)가 닫힌 전자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외부 전자 장치(200)(예: 이어버드(earbuds))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리세스(1122)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리세스(1122)에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는 바디(210)와, 바디(2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이어 피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는 바디(2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커넥터(221)(예: 도전성 단자(conductive terminal))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커넥터(221)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123)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커넥터(221)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하우징(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123)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하우징(110)에 수용되고 커버(120)가 닫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커넥터(221)는 커버(12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2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받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커넥터(221)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221)은 물리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의 상면(1121) 및 외부 전자 장치(200)의 일부는 커버(120)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120)는 브라켓(112)의 상면(1121) 및 외부 전자 장치(20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우징(110)을 덮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의 리세스(1122) 및 커버(120)의 수용 홈(1222) 각각의 형상 및/또는 크기는 어느 하나의 실시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외부 전자 장치(200)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커버(12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커버(120)에 배치되는 걸림 돌기(1226)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110)은 걸림 돌기(1226)와 대응되는 걸림 홈(112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1226)와 걸림 홈(1126)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커버(12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커버(120) 내에 배치되는 커버 자석(1227) 및 하우징(110) 내에서 커버 자석(1227)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하우징 자석(1127)을 포함할 수 있다. 반대되는 극성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커버 자석(1227)과 하우징 자석(1127)이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커버(12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의 일측에 돌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3)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기에 적합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의 참조 부호 301은 도 2b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의 참조 부호 302는 전자 장치(100)의 B-B'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자석(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석(310)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석(310)은 하우징(110)의 바디(111) 및 브라켓(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자석(310)은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2 자석(320)과 중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리세스(1122)를 향해 끌어당겨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의 일부는 바디(111)에 수용될 수 있고, 바디(111)에 수용되지 않는 브라켓(112)의 일부는 바디(111)의 테두리를 덮으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112)의 제1 부분(112a)은 바디(111)에 수용될 수 있고, 브라켓(112)의 제2 부분(112b)은 바디(111)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으면서 제1 부분(112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브라켓(112)의 제2 부분(112b)은 외부에서 보일 수 있고, 제2 부분(112b)에 의해 둘러싸이는 바디(111)의 상기 가장자리의 일부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의 제2 부분(112b)이 바디(111)의 일부를 덮으므로, 하우징(110)의 측면(1111)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은 제2 부분(112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는 브라켓(112)의 제2 부분(112b)으로부터 바디(111)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디(111)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31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12)과 바디(11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는 적어도 하나의 홈(311)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311)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홈(311)은 바디(111)의 높이 방향의 둘레를 따라 지정된 길이(L)만큼 연장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는 적어도 하나의 홈(311)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은 적어도 하나의 홈(311)의 위치에 따라 바디(111)로부터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리세스(1122)에 견고하게 보관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커넥터(221)와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핀(1221)은 물리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은 외부 전자 장치(200)를 리세스(1122) 내에 고정하기에 충분히 강한 인력을 갖도록 정해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커버(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100)가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고 외부 전자 장치(100)를 리세스(1122)로부터 꺼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상기 인력보다 강한 힘을 가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200)를 꺼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예: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강할수록,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리세스(1122) 내에 더 강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강할수록,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전자 장치(100)로부터 꺼내기 어려울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브라켓(112)이 유동하는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를 포함하는 브라켓(112)은 적어도 하나의 홈(311)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112)은 적어도 하나의 홈(311)이 연장되는 방향(예: +z 방향 또는 ①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는 브라켓(112)의 리세스(1122)에 수용되기 때문에, 브라켓(112)의 유동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제1 자석(310)과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2 자석(32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112)이 ① 방향을 따라 이동할수록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은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를 전자 장치(100)의 리세스(11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인력은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이 서로 멀어질수록, 외부 전자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에 작용하는 인력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인력이 작아지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리세스(1122)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의 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브라켓(112)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브라켓(112)을 움직이기 위한 돌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113)에 손가락을 걸고 브라켓(112)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참조부호 401을 참조하면, 브라켓(112)은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브라켓(112)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브라켓(112)과 제1 자석(310)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일 수 있다.
참조부호 403을 참조하면, 브라켓(112)은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브라켓(112)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제2 위치에서 바디(111)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112)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브라켓(112)과 제1 자석(3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 사이의 거리 및 인력은 브라켓(112)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은 적어도 하나의 홈(311)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120)는 브라켓(112)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유동함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고, 커버(120)는 브라켓(112)의 유동에 따라 닫힌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참조 부호 40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112)는 브라켓(112)의 유동에 의해 ① 방향을 따라 회전되지만,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시된 것과 다르게, 커버(120)는 브라켓(112)의 유동에 의해 ①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완전히 개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커버(120)가 브라켓(112)에 의해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커버(120)가 자동으로 개방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은 연결부(예: 도 1a의 연결부(140))에 결합된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이용 가능한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부재(5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링크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부재(510)는 커버(120)에 결합될 수 있고, 커버(120)의 결합부(511)로부터 하우징(110)의 내부로 지정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링크 부재(510)는 일 영역에서 구부러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링크 부재(510)는 구부러진 부분이 형성되지 않은 바(bar)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부재(510)는 커버(1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20)가 개방되는 경우, 커버(120)의 결합부(511)는 커버(120)가 회전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고, 결합부(511)에 연결된 링크 부재(510)는 결합부(511)의 회전에 대응하여 ①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은 링크 부재(510)의 동작에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부재(510)는 커버(120)의 동작에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브라켓(112)은 링크 부재(510)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서 ①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120)가 폐쇄 상태(501)인 경우, 브라켓(112)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커버(120)가 완전 개방 상태(503)인 경우, 브라켓(112)은 상기 제1 위치보다 ①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120)는 폐쇄 상태(501) 및 완전 개방 상태(503)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링크 부재(510)는 커버(120)가 개방된 각도에 대응하여 유동할 수 있다. 브라켓(112)은 커버(120) 및 링크 부재(510)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4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브라켓(112)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전자 장치(100)의 브라켓(112)과 제1 자석(310)은 상기 제1 거리에 있을 수 있고, 브라켓(112)이 상기 제2 위치에서 브라켓(112)과 제1 자석(310) 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상기 제2 거리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전자 장치(100)의 제1 자석(310) 및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2 자석(320) 사이의 거리 및 인력은 브라켓(112)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커버(120)가 폐쇄된 상태(501)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를 리세스(1122) 내에 견고하게 보관할 수 있고, 커버(1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503)에서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200)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예와 다르게 브라켓(112)에 직접 외력을 가하지 않고, 커버(120)를 개폐하는 동작만으로 브라켓(112)을 움직일 수 있다. 브라켓(112)은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아닌 커버(120)와 연동되는 링크 부재(510)의 동작에 대응하여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브라켓(112)을 용이하게 움직이게 하기 위한 돌출부(113)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부재(510)는 도 6의 링크 부재(610)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가 링크 부재(610)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공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부재(6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링크 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부재(610)는 제1 부재(611), 제2 부재(612), 및 제3 부재(6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611)의 일단은 커버(120)와 결합될 수 있고 제1 부재(611)의 타단은 제2 부재(6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재(612)의 일단은 제1 부재(611)와 결합되고, 제2 부재(612)의 타단은 브라켓(112)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부재(611) 또는 제2 부재(612)는 제3 부재(613)에 형성된 가이드 홀(614)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부재(610)는 커버(1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유동할 수 있고, 브라켓(112)은 링크 부재(610)의 동작에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20)가 폐쇄 상태(601)에서 개방 상태(603)로 변경되는 경우, 브라켓(112)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120)가 개방되면서 커버(120)에 연결된 제1 부재(611)는 제3 부재(613)의 가이드 홀(614)을 따라(예: ②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고, 제1 부재(611)에 연결된 제2 부재(612)는 제1 부재(612)의 동작에 따라 브라켓(112)을 향하는 방향(예: 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112)과 접촉된 제3 부재(613)는 커버(120)의 개방 동작에 따라 브라켓(112)을 ① 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부재(610) 및 브라켓(112)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도 4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브라켓(112)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전자 장치(100)의 브라켓(112)과 제1 자석(310)은 상기 제1 거리에 있을 수 있고, 브라켓(112)이 상기 제2 위치에서 브라켓(112)과 제1 자석(310) 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상기 제2 거리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12)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전자 장치(100)의 제1 자석(310) 및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2 자석(320) 사이의 거리 및 인력은 브라켓(112)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도 5의 링크 부재(510)가 링크 부재(610)로 대체되는 점을 제외하고, 도 5를 참조하여 제공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7의 전자 장치(700)는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제공된 설명이 동일하게 또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는 하우징(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710)은 바디(711) 및 브라켓(7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711)는 하우징(110)의 측면(1111)을 형성할 수 있고, 브라켓(712)은 하우징(110)의 상면(112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712)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71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의 전자 장치(100)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전자 장치(700)의 브라켓(712)은 바디(711)의 측면(1111)의 일부를 덮지 않으므로, 하우징(710)의 측면(1111)은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는 도 3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2) 및 적어도 하나의 홈(311)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브라켓(712)은 브라켓(112)과 달리 유동 동작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성 스위치(8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자성 스위치(800L) 및 제2 자성 스위치(800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8a의 참조부호 801은 자성 스위치(800)가 눌리지 않은 제1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의 참조부호 803은 자성 스위치(800)가 눌린 제2 상태를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는 자성 스위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스위치(800)는 링크 부재(810) 및 제1 자석(8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부재(810)는 바디(711)에 형성된 개구(811)에 삽입될 수 있다. 개구(811)는 링크 부재(810)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링크 부재(810)의 일단은 개구(811)를 통해 하우징(7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링크 부재(810)의 타단은 제1 자석(82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석(820)은 제1 부분(821) 및 제2 부분(82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스위치(800)가 눌리지 않은 제1 상태(801)에서, 제1 자석(820)의 제1 부분(821)은 브라켓(712)에 수용된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2 자석(840)(예: 도 3의 제2 자석(320))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자석(820)의 제1 부분(821)은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2 자석(840)과 반대되는 극을 가질 수 있고, 제1 자석(820)의 제1 부분(821)은 제2 자석(840)을 끌어당길 수 있다. 제1 자석(820)의 제1 부분(821) 및 제2 자석(840)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200)는 브라켓(7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고, 전자 장치(7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리세스(1122) 내에 견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제1 상태(801)에서 자성 스위치(800)의 위치는 제1 위치로 참조될 수 있다.
자성 스위치(800)가 눌린 제2 상태(803)에서, 자성 스위치(800)의 제2 부분(822)은 브라켓(712)에 수용된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2 자석(840)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자석(820)의 제2 부분(822)은 제2 자석(840)과 동일한 극을 가질 수 있고, 제1 자석(820)의 제2 부분(822)과 제2 자석(840)은 서로 미는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제1 자석(820)의 제2 부분(822) 및 제2 자석(840)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200)는 브라켓(712)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리세스(1122)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제2 상태(803)에서 자성 스위치(800)의 위치는 제2 위치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스위치(8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성 스위치(8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700)에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가 수용되는 경우, 자성 스위치(80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에 대응되는 제1 자성 스위치(800L)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에 대응되는 제2 자성 스위치(800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성 스위치(800L) 및 제2 자성 스위치(800R)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하우징(710)의 외부로 그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700)의 사용자는 제1 자성 스위치(800L) 및/또는 제2 자성 스위치(800R)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 및/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전자 장치(7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도 동일하게 또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스위치(800)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자성 스위치(900)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위치의 자성 스위치(9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위치의 자성 스위치(9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9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위치의 자성 스위치(9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는 자성 스위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스위치(900)는 하우징(7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성 스위치(900)는 바디(711) 및 브라켓(7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 스위치(900)의 일부는 바디(711)에 형성된 개구(911)를 관통하고 하우징(7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스위치(900)는 링크 부재(910), 제1 자석(920), 및 제2 자석(9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부재(910)의 제1 단은 하우징(7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 부재(910)는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개구(911)를 관통할 수 있다. 링크 부재(910)는 개구(911)를 통과하여 하우징(71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링크 부재(910)는 하우징(710) 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크 부재(910)의 제2 단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를 향하여 연장되고, 링크 부재(910)의 제3 단은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에는 제1 자석(92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 단에는 제2 자석(930)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석(920)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석(920)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의 제3 자석(941)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자석(930)은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자석(930)은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의 제4 자석(942)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석(920)은 제1 부분(921) 및 제2 부분(9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920)의 제1 부분(921)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의 제3 자석(941)과 반대되는 극을 가질 수 있다. 제1 자석(920)의 제2 부분(922)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의 제3 자석(941)과 동일한 극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석(920)의 제1 부분(921)은 제2 부분(922)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석(920)의 제1 부분(921)은 제2 부분(92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자석(930)은 제1 부분(931) 및 제2 부분(9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석(930)의 제1 부분(931)은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의 제4 자석(942)과 반대되는 극을 가질 수 있다. 제2 자석(930)의 제2 부분(932)은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의 제4 자석(942)과 동일한 극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자석(930)의 제1 부분(931)은 제2 부분(932)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자석(930)의 제1 부분(931)은 제2 부분(93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구(911)는 링크 부재(910)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911)는, 개구(911)를 관통하는 링크 부재(910)의 부분 보다 더 큰 둘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링크 부재(910)는 개구(911)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710) 외부로 노출된 링크 부재(910)의 부분을 손가락으로 움직임으로써, 자성 스위치(900)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성 스위치(90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자성 스위치(900)의 제1 자석(920) 및 제2 자석(93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를 참조하면, 자성 스위치(900)는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링크 부재(910)는 개구(911)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제1 자석(920)의 제1 부분(921)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의 제3 자석(941)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자석(920)의 제1 부분(921)과 제3 자석(941)은 상이한 극을 가지므로, 제1 위부 전자 장치(200L)는 리세스(1122)를 향하여 끌어당겨질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자석(930)의 제1 부분(921)은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의 제4 자석(942)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자석(930)의 제1 부분(931)과 제4 자석(942)은 상이한 극을 가지므로, 제2 위부 전자 장치(200R)는 리세스(1122)를 향하여 끌어당겨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성 스위치(900)는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자성 스위치(900)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1 방향(예: L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 링크 부재(910)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방향(예: L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자석(920)의 제2 부분(922)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의 제3 자석(941)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자석(920)의 제2 부분(922)과 제3 자석(941)은 서로 동일한 극을 가지므로, 제1 위부 전자 장치(200L)는 리세스(112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제2 자석(930)의 제1 부분(931)은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의 제4 자석(942)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자석(930)의 제1 부분(931)과 제4 자석(942)은 상이한 극을 가지므로, 제2 위부 전자 장치(200R)는 리세스(1122)를 향하여 끌어당겨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자성 스위치(900)를 상기 제2 위치로 조작하여 리세스(1122)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9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성 스위치(900)는 제3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에서, 자성 스위치(900)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예: R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에서, 링크 부재(910)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방향(예: R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에서 제1 자석(920)의 제1 부분(921)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의 제3 자석(941)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자석(920)의 제1 부분(921)과 제3 자석(941)은 서로 반대의 극을 가지므로, 제1 위부 전자 장치(200L)는 리세스(11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에서 제2 자석(930)의 제2 부분(932)은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의 제4 자석(942)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자석(930)의 제2 부분(932)과 제4 자석(942)은 서로 동일한 극을 가지므로, 제2 위부 전자 장치(200R)는 리세스(112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사용자는 자성 스위치(900)를 상기 제3 위치로 조작하여 리세스(1122)로부터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스위치(9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전자 장치(7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도 동일하게 또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스위치(10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스위치(10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팝업 스위치(1020L) 및 제2 팝업 스위치(1020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00)는 팝업 스위치(1020)를 포함할 수 있다. 팝업 스위치(1020)는 하우징(71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바디(711)에 형성된 제1 개구(1011) 및 브라켓(712)에 형성된 제2 개구(1012)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개구(1012)는 제1 개구(1011)와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팝업 스위치(10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개구(1012)를 통해 리세스(1122) 안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팝업 스위치(1020)를 누르는 경우, 팝업 스위치(1020)의 일부는 리세스(1122)를 향하여 제2 개구(1012)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가 리세스(1122)에 수용된 상태에서, 팝업 스위치(1020)의 동작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개구(1012) 밖으로 돌출되는 팝업 스위치(1020)의 상기 일부에 의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는 리세스(1121) 밖으로 이탈(또는 팝업)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가 리세스(1121) 밖으로 이탈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200)의 위치는 브라켓(712)으로부터 더 멀어질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가 브라켓(71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하우징(710) 내의 제1 자석(310)과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2 자석(3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고,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 사이의 인력이 약해질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1121)에서 이탈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증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외부 전자 장치(200)를 집을 수 있다. 전자 장치(700)의 사용자는 팝업 스위치(1020)를 조작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200)를 리세스(1122)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팝업 스위치(1020)는 케이싱(casing)(1121), 제1 부재(1131), 제1 탄성 부재(1141), 제2 탄성 부재(1142), 및 제2 부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싱(1121)은 제1 부재(1131), 제1 탄성 부재(1141), 제2 탄성 부재(1142) 및 제2 부재(1132)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부재(1131)는 케이싱(1121)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싱(1121)의 일단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부재(1131)는 케이싱(1121)의 상기 일단에 일부가 걸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탄성 부재(1141)는 케이싱(1121)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부재(1131) 및 제2 부재(1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부재(1132)는 케이싱(1121)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부재(1131)가 배치되는 케이싱(1121)의 상기 일단과 반대 방향의 타단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부재(1132)는 케이싱(1121)의 상기 타단에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탄성 부재(1142)는 케이싱(1121)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부재(1132)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탄성 부재(1141) 및 제2 탄성 부재(1142)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의 참조부호 1101을 참조하면, 팝업 스위치(10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 11의 참조부호 1103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31)가 눌리는 경우, 제1 부재(1131)는 케이싱(1121)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부재(1131)가 이동되면서 제1 탄성 부재(1141)는 압축될 수 있다.
도 11의 참조부호 1105를 참조하면, 압축된 제1 탄성 부재(1141)가 복원되면서 제2 부재(113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재(1131)를 누르는 외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압축된 제1 탄성 부재(1141)가 복원되는 힘은 제2 부재(1132)를 향하여 작용될 수 있다. 제2 부재(1132)는 제1 탄성 부재(1141)에 의해 케이싱(1121)의 바깥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도 10에서 제1 개구(1020)에서 제2 개구(1021)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부재(1132)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전자 장치(200)를 밀어낼 수 있다. 제2 부재(1132)가 케이싱(1121) 바깥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제2 탄성 부재(1142)가 압축될 수 있다.
도 11의 참조부호 1107을 참조하면, 압축된 제2 탄성 부재(1142)가 복원되면서, 케이싱(1121) 바깥을 향하는 방향(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제2 부재(1132)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1132)는 제2 탄성 부재(114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스위치(102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700)에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가 수용되는 경우, 팝업 스위치(102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에 대응되는 제1 팝업 스위치(1020L)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에 대응되는 제2 팝업 스위치(1020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팝업 스위치(1020L) 및 제2 팝업 스위치(1020R)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우징(710)으로부터 일부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700)의 사용자는 제1 팝업 스위치(1020L) 및/또는 제2 팝업 스위치(1020R)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00L) 및/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00R)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이어 버즈(earbuds)를 수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브라켓의 제1 부분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이어 버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안착 공간 또는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이어 버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2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향해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장자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위치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은 상기 이어 버즈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 버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제1 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어 버즈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의 거리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더 멀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정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1 돌출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1 홈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은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커버가 열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브라켓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링크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earbuds)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자성 스위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를 포함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자석을 포함하는 상기 자성 스위치, 상기 자성 스위치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를 관통함,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에 포함된 제2 자석과 중첩되고, 상기 자성 스위치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이 중첩되는 영역이 달라지도록 상기 개구를 통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자석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자석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자석과 중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자석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자석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자석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자석과 반대되는 극을 갖고, 상기 제1 자석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자석과 동일한 극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 스위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일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일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링크 부재의 상기 나머지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는 제1 이어 버드(earbud) 및 제2 이어 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상기 제1 이어 버드가 안착되는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이어 버드가 안착되는 제2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이어 버드에 포함되고, 상기 자성 스위치는 제3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자석과 상기 제2 이어 버드에 포함된 제4 자석이 중첩되는 영역이 달라지도록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자석은 상기 제4 자석과 반대의 극을 갖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4 자석과 동일한 극을 갖는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자석의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4 자석과 중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자석의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4 자석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 스위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제1 부분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리세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리세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3 자석은 상기 제3 부분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출력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는, 상기 무선 음향 출력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와 정렬되고 상기 리세스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함, 및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개구와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팝업(pop-up)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스위치는, 상기 무선 음향 출력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 밖으로 팝업되도록,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리세스 안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팝업 스위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관통 홀의 일단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됨, 상기 관통 홀의 타단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재를 감싸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개구에서 상기 제2 개구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압축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상기 리세스 안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압축된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한 쌍의 이어 버즈(earbuds)를 수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브라켓의 제1 부분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이어 버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안착 공간 또는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이어 버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2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향해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장자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위치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은 상기 이어 버즈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 버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과 중첩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제1 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를 갖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어 버즈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의 거리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더 먼,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1 돌출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1 홈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은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 사이로 연장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커버가 열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브라켓을 밀어 올리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earbuds)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자성 스위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를 포함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자석을 포함하는 상기 자성 스위치, 상기 자성 스위치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를 관통함;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에 포함된 제2 자석과 중첩되고,
    상기 자성 스위치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이 중첩되는 영역이 달라지도록 상기 개구를 통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한, 케이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자석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자석과 중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자석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자석과 중첩되는, 케이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자석과 반대되는 극을 갖고,
    상기 제1 자석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자석과 동일한 극을 갖는, 케이스.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성 스위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일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일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링크 부재의 상기 나머지 일부와 결합되는, 케이스.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는 제1 이어 버드(earbud) 및 제2 이어 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상기 제1 이어 버드가 안착되는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이어 버드가 안착되는 제2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이어 버드에 포함되고,
    상기 자성 스위치는 제3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자석과 상기 제2 이어 버드에 포함된 제4 자석이 중첩되는 영역이 달라지도록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유동 가능한, 케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석은 상기 제4 자석과 반대의 극을 갖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4 자석과 동일한 극을 갖는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자석의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4 자석과 중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자석의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4 자석과 중첩되는, 케이스.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자성 스위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제1 부분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리세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리세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3 자석은 상기 제3 부분의 일단에 결합되는, 케이스.
  18. 무선 음향 출력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음향 출력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와 정렬되고 상기 리세스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함; 및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개구와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팝업(pop-up)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스위치는, 상기 무선 음향 출력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 밖으로 팝업되도록,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리세스 안으로 돌출되는, 케이스.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팝업 스위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관통 홀의 일단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됨;
    상기 관통 홀의 타단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재를 감싸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개구에서 상기 제2 개구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압축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상기 리세스 안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압축된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케이스.
KR1020200012744A 2020-02-03 2020-02-03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66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44A KR102660580B1 (ko) 2020-02-03 2020-02-03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
EP21750560.1A EP4096235B1 (en) 2020-02-03 2021-01-20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PCT/KR2021/000786 WO2021157914A1 (ko) 2020-02-03 2021-01-20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7/879,073 US20220369008A1 (en) 2020-02-03 2022-08-02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44A KR102660580B1 (ko) 2020-02-03 2020-02-03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774A KR20210098774A (ko) 2021-08-11
KR102660580B1 true KR102660580B1 (ko) 2024-04-26

Family

ID=7720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744A KR102660580B1 (ko) 2020-02-03 2020-02-03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69008A1 (ko)
EP (1) EP4096235B1 (ko)
KR (1) KR102660580B1 (ko)
WO (1) WO2021157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6859S1 (en) * 2021-08-06 2023-05-23 Yongsheng Duan Wireless earphones with charging case
WO2023027213A1 (ko) * 2021-08-26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크래들 및 휴대용 음향기기
CN116709081A (zh) * 2022-02-25 2023-09-05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盒
WO2023200134A1 (ko) * 2022-04-15 2023-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폐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362527A1 (en) * 2022-05-06 2023-11-09 Bose Corporation Raised feature on earbud body
USD1002530S1 (en) 2022-06-08 2023-10-24 Nothing Technology Limited Earphone charging ca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96B1 (ko) 2017-09-01 2019-08-27 크레신 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375B1 (ko) * 2009-01-28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10003881B2 (en) * 2015-09-30 2018-06-19 Apple Inc. Earbuds with capacitive touch sensor
KR102366797B1 (ko) * 2017-08-22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개폐 구조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115962A (ko) * 2018-04-04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US11102563B2 (en) *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ttachment mechanism for eartips
KR101960680B1 (ko) * 2018-11-27 2019-03-21 박태수 이어폰 충전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96B1 (ko) 2017-09-01 2019-08-27 크레신 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7914A1 (ko) 2021-08-12
KR20210098774A (ko) 2021-08-11
EP4096235A4 (en) 2023-08-02
EP4096235A1 (en) 2022-11-30
EP4096235B1 (en) 2024-03-06
US20220369008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580B1 (ko) 외부 전자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
EP3448057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ver having open/close structure using magnetic force
TWI779587B (zh) 具有充電系統之耳塞盒
JP5723136B2 (ja) 磁気制御式電気スイッチ装置
EP2703936B1 (en) Docking station
CN112886311B (zh) 电源适配器及电子设备组件
CN111988697A (zh) 耳机充电盒
JP5054561B2 (ja) マグネット式コンセントアダプタ
KR200211457Y1 (ko) 플립형 휴대전화기
CN212878096U (zh) 一种耳机盒
KR102241395B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CN211296922U (zh) 一种耳机充电盒
WO2023098547A1 (zh) 一种无线电子设备充电仓保护壳
CN212811339U (zh) 无线耳机充电盒及无线耳机充电系统
CN212696191U (zh) 充电盒组件及无线耳机系统
CN210609610U (zh) 一种无线耳机充电盒
CN209994535U (zh) 耳机收纳盒
WO2005071798A1 (en) Press-contacting conductive terminal device
JP2002233065A (ja) 充電器
JP3560785B2 (ja) 電池収納装置
CN113810818B (zh) 耳机组件
EP2779697A1 (en) Hearing aid with safety feature for opening a battery door
WO2013039089A1 (ja) 電子機器およびコネクタ
CN214101727U (zh) 收纳模组和耳机组件
KR100652749B1 (ko) 휴대 단말기의 소켓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