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328B1 -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328B1
KR102660328B1 KR1020220026291A KR20220026291A KR102660328B1 KR 102660328 B1 KR102660328 B1 KR 102660328B1 KR 1020220026291 A KR1020220026291 A KR 1020220026291A KR 20220026291 A KR20220026291 A KR 20220026291A KR 102660328 B1 KR102660328 B1 KR 10266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nozzle
plasma
storage device
atmospher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8852A (ko
Inventor
최동열
Original Assignee
(주)엔도마스터
최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도마스터, 최동열 filed Critical (주)엔도마스터
Priority to KR102022002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32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e.g. by using a sanitary sheath
    • A61B1/00144Hygienic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105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경을 보관함과 아울러 살균하도록 된 내시경 보관장치로서, 내부에 살균공간이 마련된 캐비닛본체와, 상기 캐비닛본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내시경이 수용되는 보관카세트와, 상기 캐비닛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공간에 플라즈마를 유입시키는 플라즈마발생부로 이루어져, 캐비닛에 플라즈마발생부를 마련하여 보관된 내시경의 외부를 살균하고, 플라즈마발생부와 연결된 노즐유닛을 내시경에 체결하여 내부가 살균되도록 함으로써, 보관과정에서 내시경의 내,외부를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Endoscope storage device using atmospheric pressure plasma}
본 발명은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에 플라즈마발생부를 마련하여 보관된 내시경의 외부를 살균하고, 플라즈마발생부와 연결된 노즐유닛을 내시경에 체결하여 내부가 살균되도록 함으로써, 보관과정에서 내시경의 내,외부를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내시경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을 충분히 살균하지 않으면 2차 감염의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최근 많은 병원에서 사용중인 내시경(위 내시경, 장 내시경 등)의 세균감염에 의한 2차 감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전체 의료건수의 18%에 이르고 있는 현실에서 내시경 살균이야말로 절실한 과제였으나, 현재까지는 화학약품에 의한 내시경튜브의 소독이 고작이었으며 특별한 살균의 방법이 없었다.
물론 고압증기나 단순가열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살균방법이 있으나 내시경기구는 고도한 광학부품을 가지고 있고 통상의 의료기구와는 달리 고압증기멸균을 하는 것은 곤란하고 고가이며 사용빈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에치렌옥사이드 가스 등에 의한 멸균도 적합하지 않다.
종래 약품침적이나 비누 등에 의한 기구의 청결화가 행해지고 있으나, 전자는 기화한 약재의 상해성이나 약품가격이 비싸고 완전소독에 장시간을 요하는 것이 문제점이었다. 또 후자에서는 H.pylori 등에 대한 살균효과에 의문이 있다. 단 시간에 살균효과가 높고 안전한 내시경기구의 살균법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플라즈마는 반도체 제조기술의 핵심기술로서 국내 산업에 오랫동안 기여해 왔다. 최근에는 플라즈마 기술을 의료산업, 미용산업, 식품산업 기술과 융합하여 적용범위를 넓히고 있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각종 치료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플라즈마 발생장치 주변에 많은 활성 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살균작용을 발휘하도록 한 각종 바이오 응용 기술이 나타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약품, 증기 및 가열에 의한 내시경 살균법은 살균효율과 살균효과가 떨어지므로, 플라즈마를 이용한 내시경 살균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73689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4677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에 플라즈마발생부를 마련하여 보관된 내시경의 외부를 살균하고, 플라즈마발생부와 연결된 노즐유닛을 내시경에 체결하여 내부가 살균되도록 함으로써, 보관과정에서 내시경의 내,외부를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시경을 보관함과 아울러 살균하도록 된 내시경 보관장치로서, 내부에 살균공간이 마련된 캐비닛본체와, 상기 캐비닛본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내시경이 수용되는 보관카세트와, 상기 캐비닛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공간에 플라즈마를 유입시키는 플라즈마발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발생부는 상기 캐비닛본체에 마련되는 방전하우징과, 상기 방전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플라즈마발생기와, 상기 방전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플라즈마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를 상기 살균공간에 유입시키는 공급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하우징에는 송풍팬이 더 마련되어, 상기 공급노즐에서 배출되는 플라즈마가 상기 살균공간에 확산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하우징에는 연결노즐이 마련되고, 내시경이 배치되는 보관카세트에는 유입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노즐과 상기 유입노즐은 연결라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방전하우징의 플라즈마가 상기 보관카세트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노즐은 상기 보관카세트에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보관카세트에 배치되는 상기 내시경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된 유입노즐에 상기 연결라인을 연결하여 플라즈마를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노즐에는 상기 내시경에 형성되는 물분사구, 기구통로 및 공기노즐공에 삽입되어 플라즈마를 유입시키도록 노즐유닛이 더 체결되고, 상기 노즐유닛은 내부에 상기 유입노즐에서 플라즈마를 공급받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유입노즐에 체결되도록 배면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유닛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체결노즐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노즐에는 신장라인의 일단이 더 체결되고, 상기 신장라인의 타단은 상기 노즐유닛의 결합공에 체결되어, 상기 노즐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내시경에 체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는 캐비닛에 플라즈마발생부를 마련하여 보관된 내시경의 외부를 살균하고, 플라즈마발생부와 연결된 노즐유닛을 내시경에 체결하여 내부가 살균되도록 함으로써, 보관과정에서 내시경의 내,외부를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플라즈마발생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플라즈마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보관카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보관카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노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노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플라즈마발생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플라즈마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보관카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보관카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노즐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노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의 노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내시경 보관장치라 명명함)는 내시경을 보관함과 아울러 살균하도록 된 내시경 보관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내시경 보관장치(10)는 캐비닛본체(20)와 보관카세트(30)와 플라즈마발생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비닛본체(20)는 내부에 살균공간이 마련되고, 내시경이 안착된 상기 보관카세트(30)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도어(21)가 마련된다.
상기 캐비닛본체(20)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안내레일들이 마련된 보관프레임을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보관카세트(30)가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적층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본체(20)의 하부에는 캐스터를 마련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관카세트(30)는 상기 캐비닛본체(20)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내시경이 수용된다.
상기 보관카세트(30)는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구조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관카세트(30)에는 외면에 통기공(32)들을 더 형성하여, 상기 통기공(32)으로 플라즈마 및 에어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부(40)는 상기 캐비닛본체(20)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공간에 플라즈마를 유입시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부(40)는 상기 캐비닛본체(20)에 마련되는 방전하우징(41)과, 상기 방전하우징(41)의 내부에 배치되는 플라즈마발생기(42)와, 상기 방전하우징(41)에 형성되어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2)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를 상기 살균공간에 유입시키는 공급노즐(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하우징(41)은 상기 캐비닛본체(20)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2)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대기압 플라즈마)는 상기 공급노즐(43)을 통해 상기 살균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플라즈마는 상기 보관카세트(30)의 개구부 및 통기공(32)을 통해 보관카세트(30) 내부에 유입되어, 상기 보관카세트(30)에 배치되는 내시경을 살균하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부(40)는 상기 캐비닛본체(20)의 크기 및 보관카세트(30)의 갯수에 따라 다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전하우징(41)에는 송풍팬(44)이 더 마련되어, 상기 공급노즐(43)에서 배출되는 플라즈마가 상기 살균공간에 확산이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송풍팬(44)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의 이동속도를 높여 살균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상기 살균공간에 플라즈마가 균일하에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팬(44)은 상기 방전하우징(41)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공급노즐(43) 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하게 된다.
다르게는, 상가 송풍팬(44)을 상기 공급노즐(43) 내부에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전하우징(41)에는 연결노즐(45)이 마련되고, 내시경이 배치되는 보관카세트(30)에는 유입노즐(3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노즐(45)과 상기 유입노즐(31)은 연결라인(46)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방전하우징(41)의 플라즈마가 상기 보관카세트(30)에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노즐(31)은 보관카세트(3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되게 끼움된 후 고정된다.
상기 연결라인(46)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플랙시블한 구조의 호스 또는 파이프이며, 일단이 상기 연결노즐(45)에 끼움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노즐(31)에 끼움된다.
즉, 상기 연결라인(46)에 의해 플라즈마가 보관카세트(30)에 직접전달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내시경의 살균효율을 높이고 살균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라인(46)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호스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유입노즐(31)은 상기 보관카세트(30)에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보관카세트(30)에 배치되는 상기 내시경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된 유입노즐(31)에 상기 연결라인(46)을 연결하여 플라즈마를 공급하도록 된다.
상기 유입노즐(31)에는 상기 내시경에 형성되는 물분사구, 기구통로 및 공기노즐공에 삽입되어 플라즈마를 유입시키도록 노즐유닛(50)이 더 체결되고, 상기 노즐유닛(50)은 내부에 상기 유입노즐(31)에서 플라즈마를 공급받도록 수용공간(51)이 마련되며, 상기 유입노즐(31)에 체결되도록 배면부에 결합공(52)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유닛(50)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51)과 연통되게 체결노즐(53)들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유닛(50)에는 상기 유입노즐(31)에 끼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51)과 연통되게 결합공(5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52)은 상기 노즐유닛(50)의 배면부에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유입노즐(31)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51)으로 유입된 플라즈마는 상기 체결노즐(53)들로 분기되면서 이동되어, 물분사구, 기구통로 및 공기노즐공에 플라즈마를 유입시켜 살균시키게 된다.
즉, 상기 노즐유닛(50)에 의해 내시경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공급노즐(43)을 통해 전달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내시경의 외부를 살균하여 내부와 외부를 모두 살균할 수 있어, 살균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노즐(31)의 외면에는 환형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링의 일부가 외부에 돌출되게 끼움으로써, 상기 결합공(52)이 상기 유입노즐(31)에 체결시 기밀을 유지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마찰링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노즐(31)에는 신장라인(60)의 일단이 더 체결되고, 상기 신장라인(60)의 타단은 상기 노즐유닛(50)의 결합공(52)에 체결되어, 상기 노즐유닛(50)을 이동시켜 상기 내시경에 체결하도록 된다.
상기 신장라인(6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플랙시블한 구조를 갖는 자바라호스이며, 일단이 상기 유입노즐(31)에 끼움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공(52)에 끼움되어, 상기 노즐유닛(5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노즐유닛(50)을 이동시켜 상기 내시경의 물분사구, 기구통로 및 공기노즐공에 노즐유닛(50)의 체결노즐(53)들을 끼움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하게 체결 가능하게 되고, 작업자가 몸을 숙여 체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편하게 체결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노즐(53)은 자유단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여, 물분사구, 기구통로 및 공기노즐공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노즐(53)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체결과정에서 걸림시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체결 후 탄성에 의해 밀착되어 기밀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는 내시경(E)과의 기밀구조를 강화시키는 노즐패킹(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패킹(54)은 일측이 수용케이스(51a)에 나사결합되며, 타측이 내시경(E)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노즐패킹(54)의 중간 부분에는 체결노즐(53)이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패킹(54)은 일측이 수용케이스(51a)에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이 가능하며, 이러한 회전에 따라 타측에 끼움 결합된 내시경(E)에 가해지는 힘(압력)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만일 회전을 반대 방향으로 한다면 내시경(E)에 가해지는 힘(압력)이 약해지고 이에 따라 체결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관카세트(30) 및 노즐패킹(54)에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보관카세트(30)에 설치되는 압력센서는 제1 압력센서, 노즐패킹(54)에 설치되는 압력센서는 제2 압력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카세트(30)의 바닥면에 제1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제1 압력센서는 내시경(E)이 보관카세트(30)에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패킹(54)에 설치된 제2 압력센서는 내시경(E)과 체결노즐(53)의 체결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캐비닛본체(2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어부는 플라즈마발생부(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플라즈마발생부(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제1 압력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플라즈마발생기(42)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압력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연결노즐(4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1 압력센서를 통해 보관카세트(30)에 내시경(E)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플라즈마발생기(42)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압력센서를 통해 내시경(E)과 체결노즐(53)의 체결 유무를 판단하고, 내시경(E)과 체결노즐(53)이 체결된 경우 연결노즐(45)을 개방할 수 있으며, 내시경(E)과 체결노즐(53)이 체결되지 않은 경우 연결노즐(45)을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제어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에너지 사용이 가능하며, 연결노즐(45) 개폐를 통해 내시경(E)과 체결노즐(53)이 체결되지 않았을 때 불필요하게 플라즈마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일한 에너지를 사용하더라도 더 높은 효율성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내시경 보관장치
20 : 캐비닛본체
21 : 도어
30 : 보관카세트
31 : 유입노즐
32 : 통기공
40 : 플라즈마발생부
41 : 방전하우징
42 : 플라즈마발생기
43 : 공급노즐
44 : 송풍팬
45 : 연결노즐
46 : 연결라인
50 : 노즐유닛
51 : 수용공간
52 : 결합공
53 : 체결노즐
54: 노즐패킹
60 : 신장라인

Claims (7)

  1. 내시경을 보관함과 아울러 살균하도록 된 내시경 보관장치로서,
    내부에 살균공간이 마련된 캐비닛본체;
    상기 캐비닛본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내시경이 수용되는 보관카세트; 및
    상기 캐비닛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공간에 플라즈마를 유입시키는 플라즈마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발생부는 상기 캐비닛본체에 마련되는 방전하우징과,
    상기 방전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플라즈마발생기와,
    상기 방전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플라즈마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를 상기 살균공간에 유입시키는 공급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하우징에는 연결노즐이 마련되고, 내시경이 배치되는 보관카세트에는 유입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노즐과 상기 유입노즐은 연결라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방전하우징의 플라즈마가 상기 보관카세트에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노즐에는 상기 내시경에 형성되는 물분사구, 기구통로 및 공기노즐공에 삽입되어 플라즈마를 유입시키도록 노즐유닛이 더 체결되고,
    상기 노즐유닛은 내부에 상기 유입노즐에서 플라즈마를 공급받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유입노즐에 체결되도록 배면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유닛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체결노즐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하우징에는 송풍팬이 더 마련되어, 상기 공급노즐에서 배출되는 플라즈마가 상기 살균공간에 확산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노즐은 상기 보관카세트에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보관카세트에 배치되는 상기 내시경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된 유입노즐에 상기 연결라인을 연결하여 플라즈마를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노즐에는 신장라인의 일단이 더 체결되고, 상기 신장라인의 타단은 상기 노즐유닛의 결합공에 체결되어,
    상기 노즐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내시경에 체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KR1020220026291A 2022-02-28 2022-02-28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KR10266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91A KR102660328B1 (ko) 2022-02-28 2022-02-28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91A KR102660328B1 (ko) 2022-02-28 2022-02-28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852A KR20230128852A (ko) 2023-09-05
KR102660328B1 true KR102660328B1 (ko) 2024-04-24

Family

ID=8797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91A KR102660328B1 (ko) 2022-02-28 2022-02-28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2163A (ja) 2008-01-24 2009-08-0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洗浄消毒システム
KR101103758B1 (ko) * 2010-12-30 2012-01-12 이상일 내시경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873689B1 (ko) * 2017-03-13 2018-07-02 배준형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용 캐비넷
KR102257210B1 (ko) 2020-11-06 2021-05-26 이종현 플라즈마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778B1 (ko) 2020-02-12 2022-01-04 전남대학교병원 내시경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2163A (ja) 2008-01-24 2009-08-0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洗浄消毒システム
KR101103758B1 (ko) * 2010-12-30 2012-01-12 이상일 내시경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873689B1 (ko) * 2017-03-13 2018-07-02 배준형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용 캐비넷
KR102257210B1 (ko) 2020-11-06 2021-05-26 이종현 플라즈마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852A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5684B1 (en) Fluid connection system for endoscope reprocessing with controlled leakage
EP2109468B1 (en) Instrument container having multiple chambers with flow pathways therebetween
US6068817A (en) Method for sterilizing an interior of an article
AU733540B2 (en) Lumen device reprocessor without occlusion
US20050000553A1 (e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steam sterilization container for endoscope, and endoscope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AU2001236742A1 (en) Fluid connection system for endoscope reprocessing with controlled leakage
KR101250748B1 (ko)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료용 소형 멸균장치
JP2003521999A (ja) 内視鏡の殺菌方法
KR20070072410A (ko) 캐비넷 타입의 내시경 프로세서 및 내시경을 무균 상태로소독 및 보관하기 위한 방법
KR101177868B1 (ko) 핸드피스 소독 멸균장치
JP2007181688A (ja) 内視鏡処理キャビネット
JP2012505031A (ja) 管腔を有する器具を再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20028413A (ko)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102660328B1 (ko) 대기압 플라즈마를 활용한 내시경 보관장치
JP4948692B2 (ja) 接触面を有する物品へ殺菌薬剤を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20130053635A1 (en) Device for sterilization check
US7850603B2 (en) Endoscope for sterilizing built-in elongated channel with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vapor
US20050274122A1 (en) Spinning cold plasma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JP2019533513A (ja) 押込空気を利用する除染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US20220175993A1 (en) Mechanical multi-stag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maintaining sterile barrier
JP3947730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KR20230171318A (ko) 내시경 보관장치의 지능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6254A (ko) 내시경 건조장치
KR20200009287A (ko)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US202003057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medical instruments and for detecting residue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