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258B1 -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258B1
KR102660258B1 KR1020230179374A KR20230179374A KR102660258B1 KR 102660258 B1 KR102660258 B1 KR 102660258B1 KR 1020230179374 A KR1020230179374 A KR 1020230179374A KR 20230179374 A KR20230179374 A KR 20230179374A KR 102660258 B1 KR102660258 B1 KR 10266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conveyor
sor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팩
Priority to KR102023017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2Application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는, 제약품이 수용된 용기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체결된 캡의 장착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에 있어서, 용기가 기립된 채,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가 일정거리 이격된 채, 진행되도록 하는 간격형성부, 상기 간격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간격형성부를 통과한 용기의 캡 장착 유무 및 장착 상태를 센싱하는 선별센서부, 상기 선별센서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 중, 캡핑 불량 용기를 외부로 반출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값에 따라 상기 선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 capping defective}
본 발명은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약품이 수용된 용기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체결된 캡의 장착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용기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로는 제약품 또는 생활용품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는 그 구조가 대략 병과 같은 내용물이 입출할 수 있는 좁은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로부터 연결되어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용물이 출입하는 입구를 막아 필요한 경우에만 개봉할 수 있도록 캡(뚜껑)이 마련된다.
개폐 구조를 갖는 캡은 용기의 입구에 완벽하게 조립되어야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용기의 입구 외경과 캡의 내경에는 각각 암나사와 수나사가 형성되어 나사산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나사산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용기의 입구 및 뚜껑은 자동화 공정에 의해 조립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속 제조공정에서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를 캡으로 마감하는 캡핑 작업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품의 배송 중 내용물이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면서 다른 제품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충진된 용기의 캡핑 후 포장을 위해 컨베이어를 타고 운반되는 중에 내용물이 충진된 용기가 컨베이어 상에서 넘어지면서 컨베이어의 이송벨트를 오염시킨다.
따라서, 용기의 캡핑이 완벽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용기의 개별 포장 또는 대량 포장공정에 앞서 다수의 작업자가 컨베이어의 양편으로 나열한 후 컨베이어를 타고 공급되는 용기를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용기와 캡의 체결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용기와 캡의 체결 상태를 검사하는 경우에는 작업 인원의 과도한 채용에 따른 노무비의 증가로 인해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용기의 캡핑검사를 작업자에게만 전적으로 의존하게 됨으로써, 작업 피로도의 증가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1551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제약품이 수용된 용기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체결된 캡의 장착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는, 제약품이 수용된 용기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체결된 캡의 장착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에 있어서, 용기가 기립된 채,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가 일정거리 이격된 채, 진행되도록 하는 간격형성부, 상기 간격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간격형성부를 통과한 용기의 캡 장착 유무 및 장착 상태를 센싱하는 선별센서부, 상기 선별센서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 중, 캡핑 불량 용기를 외부로 반출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값에 따라 상기 선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핑 불량 용기는, 캡이 장착되지 않은 용기 또는 캡이 기 설정된 위치에 체결되지 않은 용기이고,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가 이웃한 용기와 이격되어, 상기 선별부에 의한 캡핑 불량 용기의 외부 반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상기 선별센서부는, 상기 간격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컨베이어부에 기립되도록 형성되는 선별센서기립편, 상기 선별센서기립편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의 유무를 센싱하는 용기센서편, 상기 선별센서기립편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센서편 보다 높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의 캡 유무를 센싱하는 캡센서편 및 상기 선별센서기립편에 형성되되, 상기 캡센서편 보다 높이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의 일정높이를 센싱하는 캡핑센서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센서편에 용기가 센싱되고, 상기 캡센서편에 용기의 캡이 센싱되며, 상기 캡핑센서편에 용기의 캡이 센싱되지 않는 양품판단 조건이 충족되면, 양품으로 판단하고, 상기 양품판단 조건 이외의 불량품판단 조건에서는 불량품으로 판단하며, 상기 양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불량품판단 조건에서는 상기 선별부가 구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상기 선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된 채,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의 진행 경로를 가이드하는 간격가이드부 및 상기 간격가이드부에 장착되며, 상기 간격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된 용기가 체류하는 체류 공간을 제공하고, 구동에 따라 상기 체류 공간이 위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한 용기의 위치 이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간격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간격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통로공간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간격회전축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간격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간격구동부 및 상기 간격회전축부에 장착된 채, 상기 간격회전축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원형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형톱니부는, 외주연을 따라 함입되며, 용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상기 통로공간은, 상기 원형톱니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통로편 및 제2 통로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통로편을 따라 이동된 용기는, 상기 복수의 함입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원형톱니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통로편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 통로편은, 입구측은 상기 컨베이어부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출구측은 상기 간격회전축부를 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통로편은, 입구측은 상기 원형톱니부의 외주연 접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출구측은 상기 컨베이어부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간격이동부는, 상기 원형톱니부의 상부측에 배치된 채, 상기 원형톱니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간격형성부를 통과한 용기의 이격 거리는, 상기 간격회전축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상기 선별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낙하된 용기가 수용되는 선별수용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부를 이동하는 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선별수용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선별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별작동부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선별구동부, 상기 선별구동부에 연결된 채, 회전되는 선별회전축부 및 상기 선별회전축부에 연결되고, 상기 선별회전축부에 의해 회동되는 선별회동바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회동바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기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부를 가로지르는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 상의 용기가 상기 선별수용부로 낙하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회동바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불량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회동바가 상기 대기위치를 유지하거나, 상기 회동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는, 상기 간격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간격형성부로 진입하는 용기의 유무를 센싱하는 용기투입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로편 상에 복수의 용기가 적체되어 용기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 상기 용기투입센서부에 센싱되면, 상기 간격구동부의 구동이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무한궤도 주행부 및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가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가이드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축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연동축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를 회전시키는 주행구동부 및 상기 구동축부와 상기 연동축부를 에워싼 채, 상기 구동축부에 의해 이동되는 벨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 상의 용기 유무를 센싱하는 용기진입센서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 상의 용기 유무를 센싱하는 용기반출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진입센서부에 의해 용기가 센싱된 후, 제1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용기반출센서부에 의한 용기 센싱이 구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진입센서부에 의해 용기가 센싱된 후, 상기 제1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용기반출센서부에 의한 용기 센싱이 구현된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의 구동이 계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의 체결 상태를 자동으로 검사하여, 작업자의 육안 검사에 따른 작업 피로도를 줄이고 노무비의 감소로 인한 생산원가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간격형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선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1, 이하 검출장치)는, 제약품이 수용된 용기(V)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체결된 캡(C)의 장착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1)이다.
본 발명의 검출장치(1)는 컨베이어부(10), 간격형성부(20), 선별센서부(30), 선별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10)는, 용기(V)가 기립된 채,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간격형성부(20)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진행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10)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V)가 일정거리 이격된 채,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별센서부(30)는, 상기 간격형성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간격형성부(20)를 통과한 용기(V)의 캡(C) 장착 유무 및 장착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선별부(40)는, 상기 선별센서부(3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10)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V) 중, 캡핑 불량 용기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선별센서부(30)에 의해 센싱된 값에 따라 상기 선별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캡핑 불량 용기는, 캡(C)이 장착되지 않은 용기(V) 또는 캡(C)이 기 설정된 위치에 체결되지 않은 용기(V)이다.
상기 간격형성부(20)는, 상기 컨베이어부(10)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V)가 이웃한 용기(V)와 이격되어, 상기 선별부(40)에 의한 캡핑 불량 용기의 외부 반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형성부(20)는, 상기 선별부(40)에 의한 캡핑 불량 용기의 외부 반출 시, 이웃하여 이동되는 양품의 용기가 함께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부(40)로의 용기(V) 이동의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간격형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장치(1)의 상기 간격형성부(20)는, 간격가이드부(21) 및 간격이동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간격가이드부(21)는, 상기 컨베이어부(10)에 설치된 채, 상기 컨베이어부(10)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V)의 진행 경로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이동부(23)는, 상기 간격가이드부(21)에 장착되며, 상기 간격가이드부(21)를 따라 이동된 용기(V)가 체류하는 체류 공간을 제공하고, 구동에 따라 상기 체류 공간이 위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컨베이어부(10)를 통한 용기(V)의 위치 이동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간격가이드부(21)는, 제1 가이드부(211) 및 제2 가이드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211)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212)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211)와의 사이에 통로공간(R)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이동부(23)는, 간격회전축부(231), 간격구동부(233) 및 원형톱니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간격회전축부(231)는, 상기 제1 가이드부(2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구동부(233)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간격회전축부(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원형톱니부(235)는, 상기 간격회전축부(231)에 장착된 채, 상기 간격회전축부(231)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원형톱니부(235)는, 외주연을 따라 함입되며, 용기(V)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함입부(235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로공간(R)은, 상기 원형톱니부(235)에 의해 구획되는 제1 통로편(R1) 및 제2 통로편(R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편(R1)을 따라 이동된 용기(V)는, 상기 복수의 함입부(235a)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원형톱니부(23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통로편(R2)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편(R1)은, 입구측은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출구측은 상기 간격회전축부(231)를 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로편(R2)은, 입구측은 상기 원형톱니부(235)의 외주연 접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출구측은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이동부(23)는, 상기 원형톱니부(235)의 상부측에 배치된 채, 상기 원형톱니부(235)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부(2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간격형성부(20)를 통과한 용기(V)의 이격 거리는, 상기 간격회전축부(231)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출장치(1)는 용기투입센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투입센서부(60)는, 상기 간격형성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간격형성부(20)로 진입하는 용기(V)의 유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 통로편(R1) 상에 복수의 용기(V)가 적체되어 용기(V)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 상기 용기투입센서부(60)에 센싱되면, 상기 간격구동부(233)의 구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투입센서부(60)는, 상기 제1 통로편(R1) 상의 용기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여, 기립된 상태가 아닌 도복된 상태에서 상기 간격구동부(233)로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컨베이어부(10)는, 베이스부(11), 무한궤도 주행부(13) 및 이동가이드벽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13)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무한궤도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벽부(15)는,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13)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13)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V)가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13)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13)는, 구동축부(131), 연동축부(133), 주행구동부(135) 및 벨트부(1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부(131)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동축부(133)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구동부(135)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1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벨트부(137)는, 상기 구동축부(131)와 상기 연동축부(133)를 에워싼 채, 상기 구동축부(131)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는, 상기 베이스부(11)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11)가 일정높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레그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벽부(15)는, 상기 간격형성부(20) 및 상기 선별부(40)와 이웃한 무한궤도 주행부(13)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선별부 및 선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장치(1)의 선별센서부(30)는, 선별센서기립편(31), 용기센서편(33), 캡센서편(35) 및 캡핑센서편(3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별센서기립편(31)은, 상기 간격형성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컨베이어부(10)에 기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센서편(33)은, 상기 선별센서기립편(31)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10)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V)의 유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캡센서편(35)은, 상기 선별센서기립편(31)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센서편(33) 보다 높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부(10)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V)의 캡(C) 유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캡핑센서편(37)은, 상기 선별센서기립편(31)에 형성되되, 상기 캡센서편(35) 보다 높이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10)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V)의 일정높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용기센서편(33)에 용기(V)가 센싱되고, 상기 캡센서편(35)에 용기(V)의 캡(C)이 센싱되며, 상기 캡핑센서편(37)에 용기(V)의 캡(C)이 센싱되지 않는 양품판단 조건이 충족되면, 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양품판단 조건 이외의 불량품판단 조건에서는 불량품으로 판단하며, 상기 양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부(4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불량품판단 조건에서는 상기 선별부(40)가 구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V)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상기 선별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불량품판단 조건은, 제1 조건 내지 제3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용기센서편(33)에 용기(V)가 센싱되고, 상기 캡센서편(35) 및 상기 캡핑센서편(37)에 캡(C)이 센싱되는 조건이다.
또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용기센서편(33)에 용기(V)가 센싱되고, 상기 캡센서편(35) 및 상기 캡핑센서편(37)에 캡(C)이 센싱되지 않는 조건이다.
그리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용기센서편(33)에 용기(V)가 센싱되지 않고, 상기 캡센서편(35) 및 상기 캡핑센서편(37)에 캡(C)이 센싱되지 않는 조건이다.
상기 선별부(40)는, 선별수용부(41) 및 선별작동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별수용부(41)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10)로부터 낙하된 용기(V)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선별작동부(43)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부(10)를 이동하는 용기(V)를 가압하여, 상기 선별수용부(41)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별작동부(43)는, 선별구동부, 선별회전축부(433) 및 선별회동바(4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별구동부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선별회전축부(433)는, 상기 선별구동부에 연결된 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선별회동바(435)는, 상기 선별회전축부(433)에 연결되고, 상기 선별회전축부(433)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선별회동바(435)는, 상기 컨베이어부(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기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부(10)를 가로지르는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 상의 용기(V)가 상기 선별수용부(41)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양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회동바(435)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불량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회동바(435)가 상기 대기위치를 유지하거나, 상기 회동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장치(1)는 용기진입센서부(70) 및 용기반출센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진입센서부(70)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 상의 용기(V) 유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용기반출센서부(80)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 상의 용기(V) 유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용기진입센서부(70)에 의해 용기(V)가 센싱된 후, 제1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용기반출센서부(80)에 의한 용기(V) 센싱이 구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1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용기진입센서부(70)에 의해 용기(V)가 센싱된 후, 상기 제1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용기반출센서부(80)에 의한 용기(V) 센싱이 구현된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10)의 구동이 계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V: 용기
C: 캡
10: 컨베이어부
20: 간격형성부
30: 선별센서부
40: 선별부
50: 제어부
R: 통로공간
R1: 제1 통로편
R2: 제2 통로편
60: 용기투입센서부
70: 용기진입센서부
80: 용기반출센서부

Claims (7)

  1. 제약품이 수용된 용기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체결된 캡의 장착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에 있어서,
    용기가 기립된 채,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가 일정거리 이격된 채, 진행되도록 하는 간격형성부;
    상기 간격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간격형성부를 통과한 용기의 캡 장착 유무 및 장착 상태를 센싱하는 선별센서부;
    상기 선별센서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 중, 캡핑 불량 용기를 외부로 반출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값에 따라 상기 선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핑 불량 용기는, 캡이 장착되지 않은 용기 또는 캡이 기 설정된 위치에 체결되지 않은 용기이고,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가 이웃한 용기와 이격되어, 상기 선별부에 의한 캡핑 불량 용기의 외부 반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선별센서부는,
    상기 간격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컨베이어부에 기립되도록 형성되는 선별센서기립편,
    상기 선별센서기립편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의 유무를 센싱하는 용기센서편,
    상기 선별센서기립편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센서편 보다 높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의 캡 유무를 센싱하는 캡센서편 및
    상기 선별센서기립편에 형성되되, 상기 캡센서편 보다 높이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의 일정높이를 센싱하는 캡핑센서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센서편에 용기가 센싱되고, 상기 캡센서편에 용기의 캡이 센싱되며, 상기 캡핑센서편에 용기의 캡이 센싱되지 않는 양품판단 조건이 충족되면, 양품으로 판단하고,
    상기 양품판단 조건 이외의 불량품판단 조건에서는 불량품으로 판단하며,
    상기 양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불량품판단 조건에서는 상기 선별부가 구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상기 선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된 채,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용기의 진행 경로를 가이드하는 간격가이드부 및
    상기 간격가이드부에 장착되며, 상기 간격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된 용기가 체류하는 체류 공간을 제공하고, 구동에 따라 상기 체류 공간이 위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한 용기의 위치 이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간격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간격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통로공간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간격회전축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간격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간격구동부 및
    상기 간격회전축부에 장착된 채, 상기 간격회전축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원형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형톱니부는,
    외주연을 따라 함입되며, 용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함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공간은,
    상기 원형톱니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통로편 및 제2 통로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통로편을 따라 이동된 용기는, 상기 복수의 함입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원형톱니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통로편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 통로편은, 입구측은 상기 컨베이어부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출구측은 상기 간격회전축부를 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통로편은, 입구측은 상기 원형톱니부의 외주연 접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출구측은 상기 컨베이어부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간격이동부는,
    상기 원형톱니부의 상부측에 배치된 채, 상기 원형톱니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간격형성부를 통과한 용기의 이격 거리는,
    상기 간격회전축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낙하된 용기가 수용되는 선별수용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부를 이동하는 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선별수용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선별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별작동부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선별구동부,
    상기 선별구동부에 연결된 채, 회전되는 선별회전축부 및
    상기 선별회전축부에 연결되고, 상기 선별회전축부에 의해 회동되는 선별회동바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회동바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기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부를 가로지르는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부 상의 용기가 상기 선별수용부로 낙하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회동바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불량품판단 조건에서 상기 선별회동바가 상기 대기위치를 유지하거나, 상기 회동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간격형성부로 진입하는 용기의 유무를 센싱하는 용기투입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로편 상에 복수의 용기가 적체되어 용기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 상기 용기투입센서부에 센싱되면, 상기 간격구동부의 구동이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무한궤도 주행부 및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가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가이드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무한궤도 주행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축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연동축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를 회전시키는 주행구동부 및
    상기 구동축부와 상기 연동축부를 에워싼 채, 상기 구동축부에 의해 이동되는 벨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 상의 용기 유무를 센싱하는 용기진입센서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 상의 용기 유무를 센싱하는 용기반출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진입센서부에 의해 용기가 센싱된 후, 제1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용기반출센서부에 의한 용기 센싱이 구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진입센서부에 의해 용기가 센싱된 후, 상기 제1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용기반출센서부에 의한 용기 센싱이 구현된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의 구동이 계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KR1020230179374A 2023-12-12 2023-12-12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KR102660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9374A KR102660258B1 (ko) 2023-12-12 2023-12-12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9374A KR102660258B1 (ko) 2023-12-12 2023-12-12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258B1 true KR102660258B1 (ko) 2024-04-24

Family

ID=9088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9374A KR102660258B1 (ko) 2023-12-12 2023-12-12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2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897A (ja) * 1998-11-20 2000-06-06 Daiwa Can Co Ltd スポーツキャップ装着不良容器の検出方法とその装置
KR20020015517A (ko) 2000-08-22 2002-02-28 박원재 용기의 캡핑 검사방법
KR102491843B1 (ko) * 2022-07-29 2023-01-27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포장용기의 등 간격 분리이동을 위한 포장용기의 자동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897A (ja) * 1998-11-20 2000-06-06 Daiwa Can Co Ltd スポーツキャップ装着不良容器の検出方法とその装置
KR20020015517A (ko) 2000-08-22 2002-02-28 박원재 용기의 캡핑 검사방법
KR102491843B1 (ko) * 2022-07-29 2023-01-27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포장용기의 등 간격 분리이동을 위한 포장용기의 자동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0463A (en) Apparatus for checking containers
US5522512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eeding, inspecting and diverting tablets for continuous filling of tablet containers
US6298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rotating containers
CN101046480B (zh) 检测瓶子及类似容器的方法及装置
EA000333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сосудов вдоль установки для инспекции дна сосудов
KR100496104B1 (ko)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US20070017593A1 (en) Method of operating a beverage bottling plant with a beverage filling machine for filling beverage bottles,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everage bottle or container handing machines in the beverage bottling plant
US20070127018A1 (en) Inspection machine
JPH07190958A (ja) びん等の検査機
US7795556B1 (en) Packaging apparatus
EA000294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предметов, в частности, бутылок для напитков
KR102660258B1 (ko) 제약 용기 캡핑 불량 검출장치
US4756403A (en) Device for lowering and lifting containers
US9352361B2 (en) Elevator for caps
KR200459840Y1 (ko) 캡핑 불량 검사장치
JPH10249287A (ja) ガラス瓶の色選別装置
JP7102646B2 (ja) 検査選別システム、検査選別方法
JP3400931B2 (ja) 分別装置
KR950001107B1 (ko) 병의 정렬이송장치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679938B2 (en)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having a wear indicator
JPH11326244A (ja) ガラス容器又はボトルへ充填された液体食品用非破壊x線検査装置
JPH0449045Y2 (ko)
JP5066749B2 (ja) 容器検査装置
JP3659478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の多数列整列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この廃棄プラスチックの多数列整列装置を用いた廃棄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
KR102367128B1 (ko) 목재 팔레트의 바닥 파손 및 박스의 기울어짐 불량을 선별할 수 있는 과일전용 운반 및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