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962B1 -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962B1
KR102659962B1 KR1020230168502A KR20230168502A KR102659962B1 KR 102659962 B1 KR102659962 B1 KR 102659962B1 KR 1020230168502 A KR1020230168502 A KR 1020230168502A KR 20230168502 A KR20230168502 A KR 20230168502A KR 102659962 B1 KR102659962 B1 KR 102659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tent
video content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주)빛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빛글림 filed Critical (주)빛글림
Priority to KR102023016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 DID를 구현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여 구현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클라우드 기반 중앙 제어 서버간 연결을 통해 각 현장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영상 콘텐츠를 변형하여 송출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MULTI DISPLAY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 DID를 구현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E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 구현이 용이하며, 경박단소의 특징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면적 화면을 구현하는 데 따르는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급격히 상승하고 신호 지연 등에 의한 화질 저하 등의 한계를 갖는다.
이에 따라, 단일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매트릭스 형태 나란히 연결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빌딩의 측면에 설치되는 광고용 디스플레이, 경마장이나 카지노 등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주식 시황 표시용 디스플레이 등, 실내외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60인치 이상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개를 좌우 매트릭스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나의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동작하게 되며, 종래의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TV, 모니터 등에서 재생되는 동일한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TV, 모니터 등에서 재생되는 콘텐츠들은 FHD(1920 X 1080) 또는 UHD(3840 X 2160) 해상도의 콘텐츠인 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여 제작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5760 X 3240 과 같이 가로 및 세로의 화소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영상 콘텐츠를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게 미리 편집된 영상이 아닌 경우, 영상의 비율이 맞지 않거나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좌우에 상당한 여백이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품질을 낮추는 주요 원인이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45936호(공고일자: 2012.05.1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각 지역에 설치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 콘텐츠를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에 맞게 변경 및 송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가 아닌,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면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를 편집하거나, 지정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지역에 설치되고, 각각이 독립 또는 연계하여 구동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그리드 형태로 연결되어 하나의 장치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설정에 따라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각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장치정보에 따라 재생 예정인 영상 콘텐츠를 변환하여 상기 구동 장치에 전송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하좌우로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또는 상기 중앙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통신부,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위치 및 형태를 포함하는 장치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장치 등록부, 등록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 또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 및, 상기 영상 콘텐츠에 연결되며 재생 방식이 정의된 재생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소 및, 상기 재생정보에 따라, 연결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콘텐츠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및,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장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장치정보에 따른 영상 편집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설정부,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소, 상기 영상 편집UI를 통해 편집된 영상 콘텐츠의 재생 해상도를 확정하고, 각 디스플레이 패널별로 하나 또는 분할된 영상을 할당하여 재생정보를 생성하는 재생정보 생성부 및, 생성한 재생정보 및 연결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구동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정보 생성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가로 및 세로 크기를 판단하고, 할당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가로 및 세로 크기에 따라, 영상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지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정보를 전송받아 시스템에 등록하는 장치 관리부,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소, 영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목록에 따라, 상기 서버 저장소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추출하고, 각 구동 장치에 등록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콘텐츠를 변환하는 콘텐츠 처리부 및, 변환된 영상 콘텐츠를 해당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구동 장치에 제공하는 콘텐츠 배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현재 접속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접속정보를 수집하여 사용권한을 인증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의 접속을 승인 또는 차단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각 지역의 기상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등록된 각 지역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 중 이거나 제공 예정인 영상 콘텐츠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여 구현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클라우드 기반 중앙 제어 서버간 연결을 통해 각 현장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영상 콘텐츠를 변형하여 송출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장치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편집 환경을 통해 영상을 직접 편집 및 송출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서 의도에 따라 즉시 영상 콘텐츠를 편집 및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구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중앙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이 제공하는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해상도 변환 방법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편집 UI를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전제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을 가리키는 용어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혼용 기재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지역에 설치되고, 각각이 독립 또는 연계하여 구동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1, 102)이 그리드 형태로 연결되어 하나의 장치를 이루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고, 설정에 따라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 102)을 통해 표시하는 구동 장치(200), 및 구동 장치(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장치정보에 따라 재생 예정인 영상 콘텐츠를 변환하여 구동 장치(200)에 전송하는 중앙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공지의 LCD, PDP 및 OLED 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소자로 구현될 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1, 102)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지역에서 건물벽을 비롯하여 역, 은행 및 공공기관 등, 다수의 보행자들이 이동하는 실내외 장소에 설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구동 장치(200)가 재생하는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영상 콘텐츠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과 연동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서로 이격하여 의도한 위치에 배치한 디지털 액자형을 비롯하여, 동일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결합시켜 배치한 대화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디지털 액자형의 경우 각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서로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대화면형의 경우 하나의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패널(102)이 위치에 맞게 나누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구동 장치(2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1, 102)과 각각 연결되어, 중앙 서버(400) 또는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를 탑재된 영상 재생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하고,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200)는, 일반적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해상도, 예를 들어 FHD(1920 X 1080) 또는 UHD(3840 X 2160) 등의 영상을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FHD 해상도이고, 원 영상 콘텐츠가 FHD 해상도일 때, 구동 장치(200)는 디지털 액자형의 경우, 영상과 다중 디스플레이간 영상 재생을 1:1 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고, 대화면형의 경우, 영상의 해상도를 확장하여 영상과 다중 디스플레이간 영상 재생을 4:1 해상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200)는 자체 해상도 변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등록된 장치정보에 따라 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적합한 해상도를 판단 및 변환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200)는 후술하는 중앙 서버(400)뿐만 아니라,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인근에서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보면서 영상 콘텐츠를 편집 및 재생을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300)과의 연동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모바일 단말(300)은 블루투스, WIFI 등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동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고, 편집 UI를 제공하여 영상 콘텐츠가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동시에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지, 아니면 하나의 영상을 분할 및 해상도를 확장하여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나누어 표시할 지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모바일 단말(3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태블릿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 서버(400)는 각 지역에 설치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재생될 영상 콘텐츠를 배포하는 서버로서, 원격지에서 각 구동 장치(200)와 원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등록된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목록에 따라 적합한 해상도의 영상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서버(400)와 각 구동 장치(200)간의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로는, 공지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5G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400)는 각 지역에서 운영되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장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각 장치에 적합한 영상 방식 및 해상도를 판단하고, 원 영상 콘텐츠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환된 내용은 재생정보에 포함되어 원 영상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중앙 서버(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장소에 DID 또는 디지털 액자 등과 같이 설치되며,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원격지 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의 비율을 알맞게 편집 및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동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구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구동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300) 또는 중앙 서버(40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통신부(210),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치 위치 및 형태를 포함하는 장치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장치 등록부(220), 등록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장치정보, 모바일 단말(300) 또는 중앙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 및, 영상 콘텐츠에 연결되며 재생 방식이 정의된 재생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소(230) 및, 재생정보에 따라, 연결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콘텐츠 재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 및 중앙 서버(40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300)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중앙 서버(400)는 WLAN가 같은 원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장치 등록부(220)는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장치정보를 입력받아 구동 장치(200)를 비롯하여 시스템에 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정보에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루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결 형태 및 각 패널의 해상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는 모바일 단말(300) 및 중앙 서버(400)에 제공될 수 있다.
장치 저장소(230)는 모바일 단말(300) 및 중앙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콘텐츠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전송되는 영상 콘텐츠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 형태 및 해상도에 따라 원 영상에서 변환된 영상일 수 있고, 구동 장치(200)는 재생을 위해 장치 저장소(230)에 수신한 영상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부(240)는 장치 저장소(230)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를 영상 목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재생부(240)는 다양한 코덱을 지원하는 영상 재생 플레이어가 탑재될 수 있고, HDMI 케이블 또는 무선 방식으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 콘텐츠를 재생 및 출력하여 각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맞게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부(240)는 모바일 단말(300) 및 중앙 서버(400)로부터 영상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재생정보를 참조하여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310),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및,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장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장치정보에 따른 영상 편집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설정부(320),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소(330), 영상 편집UI를 통해 편집된 영상 콘텐츠의 재생 해상도를 확정하고, 각 디스플레이 패널별로 하나 또는 분할된 영상을 할당하여 재생정보를 생성하는 재생정보 생성부(340) 및, 생성한 재생정보 및 연결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구동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제공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31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설정부(320)는 현재 연결된 구동 장치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정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치, 연결형태 및 해상도를 표시하고, 그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설정부(320)는 전용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편집 UI를 통해 의도한 방식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UI를 이용한 영상 편집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이때, 영상 콘텐츠는 모바일 단말(300)에 미리 저장된 영상 또는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구동 장치에 임시 저장된 영상일 수 있다.
단말 저장소(330)는 구동 장치를 통해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할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저장소(330)는 모바일 단말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재생정보 생성부(340)는 편집 UI 영상 편집UI를 통해 편집된 영상 콘텐츠의 재생 해상도를 확정하고, 각 디스플레이 패널별로 하나 또는 분할된 영상을 할당하여 재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생정보에는 영상 콘텐츠의 비율, 색상을 비롯하여 해상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동 장치는 이러한 재생정보에 따라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편집 UI는 구동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장치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특히, 재생정보 생성부(340)는 재생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콘텐츠의 가로 및 세로 크기를 판단하고, 할당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가로 및 세로 크기에 따라, 영상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350)는 편집 완료에 따른 재생정보를 비롯하여 이에 연관된 영상 콘텐츠를 단말 통신부(310)를 통해 해당 구동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중앙 서버(400)에서 제공한 영상 콘텐츠를 편집 후 재생하는 방식일 경우, 구동 장치에 미리 임시 저장된 영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단말 저장소(330)에 저장한 후 편집이 종료되면, 재생정보와 함께 연관된 영상 콘텐츠를 구동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중앙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중앙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중앙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지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20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410), 연결된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200)로부터 장치정보를 전송받아 시스템에 등록하는 장치 관리부(420),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소(430), 영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목록에 따라, 서버 저장소(4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추출하고, 각 구동 장치에 등록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장치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콘텐츠를 변환하는 콘텐츠 처리부(440) 및, 변환된 영상 콘텐츠를 해당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구동 장치에 제공하는 콘텐츠 배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4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지역에서 운영되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고, 콘텐츠 배포부(450)에서 배포하는 각 구동 장치(200)별 영상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1 ~ #n(n은 자연수)는 재생 목록에 따라 모두 동일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각 지역별로 서로 다른 영상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인접한 지역별로 순차적(#1->#2->#3)으로 동일 한 영상 콘텐츠가 재생될 수도 있다.
장치 관리부(420)는 구동 장치(200)가 제공하는 장치정보에 따라 각 지역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정보에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방식, 해상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중앙 서버(400)는 이러한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변환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정보와 함께 해당 구동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저장소(430)는, 배포할 다수의 영상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저장소(430)에는 각 지역에서 운영되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장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별로 편집 완료된 영상 콘텐츠도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재생 목록에 따라 해당 구동 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440)는 미리 설정된 재생 목록에 따라 해당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된 영상 콘텐츠의 변환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440)는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장치의 해상도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적합하도록 재생 목록에 지정된 영상 콘텐츠의 비율 및 해상도를 변경하여 그 내용을 재생정보에 정의하고 영상 콘텐츠와 연관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배포부(450)는 재생 목록에 따라 서버 저장소(430)로부터 해당하는 편집된 영상 콘텐츠 및 재생정보를 추출하고, 식별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장치(200)에 서버 통신부(4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400)는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고, 보다 좋은 품질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인증부(460)는 구동 장치(200)로부터 현재 접속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접속정보를 수집하여 사용권한을 인증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의 접속을 승인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는 시스템에 미리 등록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의 접속 시도시 해당 구동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계정 등을 제공받아 등록여부를 확인 및 승인되지 않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접속 시도에 대한 차단을 구동 장치(200)에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절차는 모든 구동 장치(200) #1 ~ #n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인접한 지역 내 구동 장치(200) #1, #2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영상 보정부(470)는 구동 장치(200)로부터 각 지역의 기상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등록된 각 지역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 중 이거나 제공 예정인 영상 콘텐츠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어느 하나의 지역의 기상 상태가 좋지 않는 경우, 해당 지역에 배포될 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원 영상에 대하여 밝기를 조절하여 배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구동형태 및 모바일 단말이 제공하는 편집 UI의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이 제공하는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은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접하여 표시될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에 적합하도록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집 UI 상에서 콘텐츠의 타이틀을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그리드의 로우(row) 및 컬럼(column)의 개수 및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를 'Square', 'Vertical' 및 'Horizpntal' 중 어느 하나를 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상에서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간 연결 형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각각 동일한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해상도 변환 방법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9개의 16:9 비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각각 3 X 3 그리드 형태로 인접 배치되어 구현되는 하나의 대화면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예시한 것으로, 각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FHD 해상도인 경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 해상도가 5760 X 3240 해상도를 갖게 된다.
만약, 원 영상의 해상도가 FHD 인 경우, 9개의 동일 영상이 각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동시에 표시되거나, 가로 및 세로가 3배 확장된 하나의 고해상도 영상(super resolution)이 각 디스플레이 패널(110)별로 분할되어 전체화면을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연결 구조를 갖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로 배치됨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9:16 비율을 갖는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이러한 구조의 대면적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240 X 5760 해상도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80 X 1920 해상도의 영상을 9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나누어 표시하거나, 3240 X 5760으로 3배 확장된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40)가 비정규 해상도인 3240 X 1920으로 구성된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16:9 FHD 디스플레이 패널을 세로 방향으로 3개 연결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140)에 관하여 9:16 비율의 FHD 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면, 하나의 영상(img)을 확장하여 하나의 대화면으로 표시하되, 가로 길이에 맞추어 영상(img)을 확장할 수 있으며, 이에 화면의 상하부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black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a).
한편, 영상(img)의 세로길이가 3240 초과하는 경우, 1920 X 1080 해상도의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41, 142)을 연결한 장치에 대하여 상하 영상이 일부 잘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b), 1920 X 1080 해상도의 세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43 ~ 145)을 연결한 장치에 대해서는 좌우 영상이 일부 잘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c), 이 경우 각각 원 영상을 세로 및 가로에 맞추어 축소하는 형태로 편집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의 편집 UI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은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될 영상 콘텐츠를 사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집하고자 영상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집 UI는 도 10과 같이 템플릿 상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align 기능 등을 포함하는 편집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템플릿 상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로딩하고, 템플릿 네임을 설정 및 저장할 수 있으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디스플레이 패널(row) 상에서 표시될 위치에 영상 및 텍스트를 배치하여 영상을 편집하고 그 내용을 템플릿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은 편집 완료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등록된 복수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은 템플릿으로 저장된 영상 콘텐츠에 대한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재생하고자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정된 영상 콘텐츠를 선택하여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101, 102 : 디스플레이 패널
200 : 구동 장치 210 : 장치 통신부
220 : 장치 등록부 230 : 장치 저장소
240 : 콘텐츠 재생부 300 : 모바일 단말
310 : 단말 통신부 320 : 디스플레이 설정부
330 : 단말 저장소 340 : 재생정보 생성부
350 : 영상 제공부 400 : 중앙 서버
410 : 서버 통신부 420 : 장치 관리부
430 : 서버 저장소 440 : 콘텐츠 처리부
450 : 콘텐츠 배포부 460 : 인증부
470 : 영상 보정부 500 : 외부 시스템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지역에 설치되고, 각각이 독립 또는 연계하여 구동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그리드 형태로 연결되어 하나의 장치를 이루는 복수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복수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설정에 따라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각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장치정보에 따라 재생 예정인 영상 콘텐츠를 변환하여 상기 구동 장치에 전송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재생 목록에 따라, 모든 지역마다 동일 또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인접한 지역별로 동일한 영상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지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정보를 전송받아 시스템에 등록하는 장치 관리부;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소;
    영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목록에 따라, 상기 서버 저장소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추출하고, 각 구동 장치에 등록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콘텐츠를 변환하는 콘텐츠 처리부;
    변환된 영상 콘텐츠를 해당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구동 장치에 제공하는 콘텐츠 배포부; 및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각 지역의 기상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등록된 각 지역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 중이거나 제공 예정인 영상 콘텐츠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하좌우로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콘텐츠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또는 상기 중앙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통신부;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위치 및 형태를 포함하는 장치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장치 등록부;
    등록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 또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 및, 상기 영상 콘텐츠에 연결되며 재생 방식이 정의된 재생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소; 및
    상기 재생정보에 따라, 연결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콘텐츠 재생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및,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장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장치정보에 따른 영상 편집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설정부;
    하나 이상의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소;
    상기 영상 편집UI를 통해 편집된 영상 콘텐츠의 재생 해상도를 확정하고, 각 디스플레이 패널별로 하나 또는 분할된 영상을 할당하여 재생정보를 생성하는 재생정보 생성부; 및
    생성한 재생정보 및 연결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구동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제공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재생정보 생성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가로 및 세로 크기를 판단하고, 할당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가로 및 세로 크기에 따라, 영상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인, 콘텐츠 제어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현재 접속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접속정보를 수집하여 사용권한을 인증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의 접속을 승인 또는 차단하는 인증부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각 지역의 기상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등록된 각 지역의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 중 이거나 제공 예정인 영상 콘텐츠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부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KR1020230168502A 2023-11-28 2023-11-28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KR102659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8502A KR102659962B1 (ko) 2023-11-28 2023-11-28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8502A KR102659962B1 (ko) 2023-11-28 2023-11-28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962B1 true KR102659962B1 (ko) 2024-04-23

Family

ID=9088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8502A KR102659962B1 (ko) 2023-11-28 2023-11-28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96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1121A2 (en) * 2002-08-28 2004-03-11 Adspace Networks, Inc. Process for modification of ad content by localization
KR101145936B1 (ko) 2010-05-04 2012-05-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제어기를 이용한 다중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20160259539A1 (en) * 2015-03-04 2016-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digital signag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20160106970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페타프레임 디지털 사이니지의 최적 템플릿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795522B1 (ko) * 2016-05-18 2017-11-09 주식회사 카이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US20180088888A1 (en) * 2016-03-04 2018-03-2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pliced Panel and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Allocating Content to be Display on Spliced Panel
KR20180077411A (ko) * 2016-12-28 201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
KR20200071266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8632B1 (ko) * 2021-08-17 2021-12-14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감성지능형 저전력 디지털 사이니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1121A2 (en) * 2002-08-28 2004-03-11 Adspace Networks, Inc. Process for modification of ad content by localization
KR101145936B1 (ko) 2010-05-04 2012-05-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제어기를 이용한 다중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60106970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페타프레임 디지털 사이니지의 최적 템플릿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259539A1 (en) * 2015-03-04 2016-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digital signag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20180088888A1 (en) * 2016-03-04 2018-03-2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pliced Panel and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Allocating Content to be Display on Spliced Panel
KR101795522B1 (ko) * 2016-05-18 2017-11-09 주식회사 카이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KR20180077411A (ko) * 2016-12-28 201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
KR20200071266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8632B1 (ko) * 2021-08-17 2021-12-14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감성지능형 저전력 디지털 사이니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33524B2 (en) Display devices
JP5326234B2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および画像送信システム
US10417742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editing preview images
CN109445733A (zh) 跨屏展示方法、装置、计算设备以及储存介质
US10192338B2 (en) Method, device and MCU for adjusting and controlling sub-picture in multiple pictures
US20180130401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JP201003904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JP6103076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伝送システム
US20200145608A1 (en) Media Production Remote Control and Switching Systems, Methods, Devices, and Configurable User Interfaces
JPWO2015098841A6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伝送システム
KR20180025286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CN107195251A (zh) 一种阵列基板和显示面板
CN106469039B (zh) 图像显示方法及系统
KR102659962B1 (ko)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US9794510B1 (en) Multi-vision device
CN111294649B (zh) 基于组屏的内容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468865B2 (en)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high-luminance and high-color saturation imag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5045605A (ja) 電子機器及び情報視聴方法、並びに情報視聴システム
EP3594934A2 (en)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4038748A (zh) 多通道数据融合矫正方法
JP200901067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KR101375104B1 (ko) 스마트 홈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727784A (zh) 大屏幕公共信息服务与广告显示器
US90535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visual effect of a display device
CN206075593U (zh) 一种网络教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